KR101828776B1 - 수간주사용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수간주사용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776B1
KR101828776B1 KR1020160087346A KR20160087346A KR101828776B1 KR 101828776 B1 KR101828776 B1 KR 101828776B1 KR 1020160087346 A KR1020160087346 A KR 1020160087346A KR 20160087346 A KR20160087346 A KR 20160087346A KR 101828776 B1 KR101828776 B1 KR 101828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band member
drug
perforation
perfor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6681A (ko
Inventor
이상현
정성철
전철현
김용범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087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7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06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수간주사용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높이에서 수목의 외부면에 감싸져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밴드부재 ; 상기 밴드부재의 표면에 상기 수목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약제투입용 천공홀의 천공위치를 표시하는 천공홀 마크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간주사용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Band for Tree Trunk Injection and Its Application for Tree Disease and Insect Pest Control}
본 발명은 수간주사에 사용되는 밴드 및 이용하여 약제를 투입하여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병해충의 방제를 위한 수간주사 작업시 수목의 다양한 흉고직경에 따라 약제 투입용 천공홀의 갯수 및 주사위치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약제가 주입되어 방제처리된 수목의 식별확인이 용이한 수간주사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소나무는 우리나라의 거의 전 지역에서 자생하거나 조림되는 중요한 수목의 하나로서 산림 내 생육 영역이 넓고 비율이 높은 만큼 솔잎혹파리, 솔껍질깍지벌레, 재선충병 등 각종 병해충에 의해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다.
이러한 병해충에 의한 수목 피해를 방지하는 방법 중 하나는 수목에 드릴로 구멍을 뚫은 후, 구멍을 통하여 일정량의 약제를 투입하는 수간주사이다.
현재 수간주사는 대표적으로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감염되지 않은 우량한 수목을 대상으로 11월부터 이듬해 3월말까지 작업자가 산림지역에서 수작업으로 수행한다. 소나무 재선충병에 대해서는 아바멕틴(유제1.8%), 에마멕틴 벤조에이트(유제 2.15%), 밀베멕틴(유제2.0%) 등의 약제를 주입하고 있으며, 송진이 유출되는 시기에는 약액이 침투하지 못하므로 별도의 압력보상장치가 필요하다.
약제주입기를 이용하여 수간주사를 하는 경우에는 직경 1㎝의 구멍을 8∼10 ㎝ 깊이까지 아래쪽으로 45°경사지게 수목의 중심부를 비켜서 천공하며, 천공 위치는 지상으로부터 대략 50㎝ 이하에 고루 분포되어야 한다.
별도의 약제주입병을 이용하여 수간주사를 하는 경우에는 직경 0.6㎝, 깊이 8∼10 ㎝의 구멍을 같은 방식으로 뚫고, 약제 주입이 완료되면 주입병을 수거한 후 천공 부위를 코르크 마개로 막아 밀봉 처리한다.
수간주사 시 천공수와 약제 투입량은 병해충의 종류 및 수목의 흉고직경 크기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각 대상목마다 작업자가 가슴높이에서 수목의 직경을 측정한 후 직경 크기에 따라 약제 주입을 위한 천공수 및 약제 투입량을 결정해야 하며, 적정량의 약이 골고루 수목에 분포되기 위해서는 이 과정에서 작업인부들이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러나 수간주사 전문 인력이 부족한 현실에서 비전문 작업자의 천공작업을 일일이 관리하기가 어렵고, 작업자들이 천공 기준표를 소지하고 다니면서 정확한 천공작업 하는 것이 불편할 뿐 아니라 착오가 발생할 여지도 많다.
또한, 수간주사 작업 시 흉고직경을 측정하는 작업자 1인, 천공 작업자 1인 및 약제 주입 작업자 1인을 포함하여 3인 1조로 작업해야 하므로 인력이 과다 투입되어 방제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수간주사를 통한 방제 시 또 하나의 문제점은 작업자가 방대한 산림지역에서 다수의 수목을 대상으로 작업함에 따라 약제가 투입된 수목과 그렇지 않은 수목간의 간편한 육안 확인법이 없어 약제 투입여부를 식별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이다.
(특허문헌 1) KR1389702 B1
특허문헌 1에는 발수기능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수목의 줄기에 감겨져 수목의 줄기가 접하는 부분에서 일부 또는 전체에 농약 또는 수목의 치료제를 투입하는 수목용 테이프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목용 테이프에서는 수간주사용 약제를 투입하기 위한 천공홀의 천공위치와 천공수를 확인할 수 있는 흉고직경을 측정하는 기능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병해충 방제를 위한 수간주사 작업시 수목의 다양한 흉고직경에 따라 약제 투입용 천공의 개수 및 위치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약제가 주입되어 방제 처리된 수목의 식별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수간주사용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높이에서 수목의 외부면에 감싸져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밴드부재 ; 상기 밴드부재의 표면에 상기 수목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약제투입용 천공홀의 천공위치를 표시하는 천공홀 마크 ; 를 포함하고, 상기 수목의 외경둘레길이, 상기 수목의 흉고직경, 상기 수목의 약제투입량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흉고직경을 근거로 하여 산출된 약제투입량을 표시하는 약제량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천공홀 마크는 상기 약제투입용 천공홀을 통하여 투입된 후 외부로 노출되는 약제와의 반응시 색상이 변경되어 약제투입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약을 포함하고, 상기 약제투입용 천공홀로부터 배출되는 송진이 상기 천공홀 마크의 형성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방제중단시기로 판단하고, 상기 천공홀 마크의 형성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경우 방제시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간주사용 밴드를 제공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천공홀 마크는 상기 밴드부재의 바탕색과 구별되는 다른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천공홀 마크는 상기 밴드부재의 표면에 인쇄되는 인쇄물로 구비되거나 상기 밴드부재의 표면에 부착고정되는 부착물로 구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목의 외부면에 감기는 밴드부재의 표면에 상기 수목의 외경둘레길이를 인식하도록 표시되는 원주길이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목의 외경둘레길이를 근거로 하여 산출된 수목의 흉고직경을 표시하는 흉고직경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높이에서 수목의 외부면에 감싸져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밴드부재 ; 상기 밴드부재의 표면에 상기 수목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약제투입용 천공홀의 천공위치를 표시하는 천공홀 마크 ; 를 포함하고, 수목의 흉고높이에서 상기 밴드부재를 상기 수목의 외부면에 감싸 수목의 외경둘레를 측정하고, 상기 외경둘레를 근거로 하여 산출된 약제투입용 천공홀 형성갯수를 확인하는 측정단계 ; 상기 밴드부재를 수목의 천공형성높이에서 상기 수목의 외부면에 감싸면서 위치고정하는 밴드고정단계 ; 상기 밴드부재에 형성된 천공홀 마크와 대응하는 수목의 외부면에 일정깊이의 약제투입용 천공홀을 형성하는 천공단계 ; 상기 천공홀 마크마다 형성되는 약제투입용 천공홀을 통하여 약제를 투입하는 약제투입단계 ; 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단계는 상기 수목의 흉고직경을 근거로 하여 산출되어 상기 밴드부재에 표시된 수목의 약제투입량을 인식하여 확인하며, 상기 천공단계 이후에, 상기 약제투입용 천공홀로부터 배출되는 송진이 상기 천공홀 마크의 형성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방제중단시기로 판단하고, 상기 천공홀 마크의 형성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경우 방제시기로 판단하며, 상기 약제투입단계 이후에 상기 약제투입용 천공홀에 통하여 투입된 후 외부로 노출되는 약제와 상기 천공홀마크에 포함되는 시약간의 반응에 의해서 상기 천공홀마크의 색상을 변경시켜 약제투입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간주사용 밴드를 이용한 방제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단계는 상기 수목의 외부면에 감기는 밴드부재의 표면을 따라 표시되는 눈금에 의해서 상기 수목의 외경둘레길이를 인식하도록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단계는 상기 수목의 외경둘레길이를 근거로 하여 산출되어 상기 밴드부재에 표시된 수목의 흉고직경을 인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방제대상물인 수목의 외부면에 감겨 고정되는 밴드부재의 표면에 외경둘레길이를 근거로 하여 산출된 흉고직경에 맞추어 천공홀 마크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천공홀 마크마다 약제투입용 천공홀을 천공하는 작업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3인 1조작업을 2인 1조작업으로 대체할 수 있어 방제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 천공홀에 투입되는 약제와 화학반응하여 천공홀 마크의 색상을 변경시킴으로써 약제투입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병해충의 방제를 위한 수간주사 작업시 약제투입이 누락되는 것을 예방하여 방제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간주사용 밴드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간주사용 밴드를 수목에 설치한 상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간주사용 밴드를 이용한 방제방법을 도시한 작업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간주사용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에 적용되는 약제량 기준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간주사용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을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간주사용 밴드(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부재(110), 천공홀 마크(120)를 포함하여 병해충의 방제를 위한 수간주사 작업시 수목의 다양한 흉고직경에 따라 약제 투입용 천공홀의 개수 및 주사위치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밴드부재(11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높이인 대략 50cm에서 수목의 외부면을 감싸 고정되고, 대략 3 내지 5cm의 폭을 갖는 일정길이의 종이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밴드부재(110)는 종이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노천에서 빗물이나 수분 및 온도차이에 의해서 쉽게 찢어지거나 손상되지 않는 인장강도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공홀 마크(120)는 상기 수목의 외부면에 감싸 고정되어 외부노출되는 밴드부재(110)의 표면에 약제투입용 천공홀의 천공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수목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천공홀 마크(120)가 상기 수목의 외부면에 감싸 고정되는 밴드부재(110)의 표면에 형성됨으로써 천공 작업자는 드릴링 장치의 선단을 천공홀 마크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일정깊이의 약제투입용 천공홀(125)을 드릴링하여 천공하는 작업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천공홀(125)의 형성개수는 상기 수목의 외경둘레길이를 근거로 하여 상기 밴드부재(110)의 표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천공홀 마크(120)는 약제투입용 천공홀(125)을 통하여 투입되는 약제가 외부로 누출되고, 외부 누출되는 약제와의 반응시 색상이 변경되어 약제투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약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천공홀 마크(120)는 산성의 약제와의 접촉반응시 색상이 변화하는 리트머스지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밴드부재(110)의 표면에 인쇄되고, 시약이 일정량 포함된 인쇄물로 구비되거나 상기 밴드부재(110)의 표면에 부착고정되고 시약이 일정량 포함된 부착고정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공홀 마크(120)는 밴드부재의 표면에 상기 약제투입용 천공홀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대략 원형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부재(110)는 수목에 수간주사를 2 내지 3년마다 1번씩 수행함에 따라 주사기간별로 밴드부재를 식별할 수 있도록 2가지 이상의 다른 색상인 흰색, 노랑색, 주황색 중 어느 하나의 바탕색을 갖도록 제작되고, 이러한 바탕색은 외부에서 육안식별 및 확인이 용이하도록 밝은 색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밴드부재(110)에 형성되는 천공홀 마크(120)의 색상은 상기 밴드부재에 밝은 색상의 바탕색과 차별화되어 쉽게 구별될 수 있도록 빨강색과 같은 색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재(110)의 표면에는 산림조합 또는 산림청을 확인할 수 있는 로고 또는 마크를 연하게 표시하여 수간주사된 처리목 및 실험용 수목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밴드부재(110)에는 작업자가 방제대상물인 수목의 외경둘레길이, 상기 수목의 흉고직경, 상기 수목의 약제투입량 중 어느 하나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부(130)를 상기 천공홀 마킹과 더불어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상기 수목의 외부면에 감기는 밴드부재(110)의 표면에 상기 수목의 외경둘레길이를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눈금 또는 숫자로 표시되는 원주길이 표시부(131)를 포함하고, 이러한 원주길이 표시부(131)는 상기 밴드부재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수목의 외경둘레길이를 근거로 하여 산출된 수목의 흉고직경을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눈금 또는 숫자로 표시되는 흉고직경 표시부(133)를 포함한다.
이러한 흉고직경 표시부(133)는 상기 원주길이 표시부와 마주하는 밴드부재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흉고직경 표시부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흉고직경(D)은 상기 밴드부재의 원주길이 표시부(131)에 측정되는 외경둘레인 원주길이(L)를 근거로 하여 하기 수학식 1에 의해서 계산되어 상기 밴드부재에 환산 표시되는 것이다.
Figure 112016066675012-pat00001
또한,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원주길이 표시부(131), 흉고직경 표시부(133)와 더불어 상기 흉고직경을 근거로 하여 도 4에 도시된 약제량 기준표에 따라 산출된 약제투입량을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숫자로 표시되는 약제량 표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목에 주입되는 약제의 주입량은 수목 1본당 형성되는 천공홀 개수마다 5ml씩 투입됨에 따라 4개의 약제투입용 천공홀이 형성되면, 대략 20ml의 약제가 투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천공홀 마크(120)는 상기 외경둘레의 측정값을 근거로 산출된 수목의 흉고직경을 기초로 하여 상기 밴드부재의 표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며, 이러한 천공홀 마크(120)는 상기 원주길이 표시부(131), 흉고직경 표시부(133) 및 약제량 표시부(132)와 더불어 밴드부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간주사용 밴드를 이용한 방제방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단계(S1), 밴드고정단계(S2), 천공단계(S3) 및 약제투입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단계(S1)는 도 3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부재의 표면에 천공홀 마크가 형성된 수간주사용 밴드(100)를 방제하고자 하는 수목의 흉고높이(H1)에서 상기 수목의 외부면에 감싸 상기 밴드부재에 형성되는 원주길이 표시부(131)에 의해서 수목의 외경둘레를 측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주길이 표시부(131)에서 측정된 외경둘레를 근거로 하여 산출된 천공홀 형성갯수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밴드부재(110)의 표면에는 수목의 외경둘레를 근거로 산출되는 흉고직경을 기준으로 하여 복수개의 천공홀 마크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밴드고정단계(S2)는 도 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간주사용 밴드(100)의 밴드부재(110)를 상기 흉고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목의 천공형성높이(H2)에서 상기 수목의 외부면에 감싸도록 위치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목의 외부면에 접하는 밴드부재를 제외하고 나머지 밴드부재는 중첩되지 않도록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재(110)는 상기 수목의 외부면과 접하는 일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방식으로 위치고정되거나 서로 마주하는 밴드부재의 양단에 동시에 박혀지는 고정핀에 의해서 핀고정방식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천공단계(S3)는 도 3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드릴링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밴드부재에 형성된 복수개의 천공홀 마크(120)마다 이에 일대일 대응하는 약제투입용 천공홀(125)을 수목의 외부면에 일정깊이까지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천공홀 마크(120)마다 일대일로 약제투입용 천공홀(125)을 형성하는 작업을 수행한 다음, 상기 약제용 천공홀의 천공깊이를 측정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상기 약제투입단계는 상기 천공홀 마크(120)마다 형성되는 천공홀(125)을 통하여 약제를 투입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천공홀(125)을 통한 약제투입이후에는 약제투입시 상기 천공홀 마크(120)에 포함되는 시약과 상기 천공홀에 투입되는 약제간의 상호 화학반응에 의해서 상기 천공홀 마크(120)의 색상을 변경시킴으로써 작업자는 천공홀 마크의 색상변화를 통하여 약제의 투입여부를 육안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약제주입 누락여부를 간편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천공홀 마크(120)마다 천공되는 약제투입용 천공홀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송진이 상기 천공홀 마크에 묻어나는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방제시기를 확인할 수 있고, 송진 발생시기에는 소나무와 같은 수목에 대한 수간주사 방제작업을 중단할 수 있다.
즉, 소나무와 같은 수목에 대한 약제 주입작업은 송진이 발생하는 시기에 중단해야만 하는데 이는 상기 약제투입용 천공홀(125)을 통해 수목 외부면으로 누출되는 송진이 일정크기의 원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천공홀 마크(120)의 영역을 넘어서 흘러내리게 되면 이는 송진 과다발생시기로 판단하여 방제작업을 중단하고, 상기 송진이 천공홀 마크의 범위 내에 잔류하면 방제가능시기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밴드부재
120 : 천공홀 마크
125 : 약제투입용 천공홀
130 : 표시부
131 : 원주길이 표시부
132 : 약제량 표시부
133 : 흉고직경 표시부

Claims (14)

  1.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높이에서 수목의 외부면에 감싸져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밴드부재 ;
    상기 밴드부재의 표면에 상기 수목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약제투입용 천공홀의 천공위치를 표시하는 천공홀 마크 ; 를 포함하고,
    상기 수목의 외경둘레길이, 상기 수목의 흉고직경, 상기 수목의 약제투입량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흉고직경을 근거로 하여 산출된 약제투입량을 표시하는 약제량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천공홀 마크는 상기 약제투입용 천공홀을 통하여 투입된 후 외부로 노출되는 약제와의 반응시 색상이 변경되어 약제투입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약을 포함하고,
    상기 약제투입용 천공홀로부터 배출되는 송진이 상기 천공홀 마크의 형성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방제중단시기로 판단하고, 상기 천공홀 마크의 형성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경우 방제시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간주사용 밴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홀 마크는 상기 밴드부재의 바탕색과 구별되는 다른 색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간주사용 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홀 마크는 상기 밴드부재의 표면에 인쇄되는 인쇄물로 구비되거나 상기 밴드부재의 표면에 부착고정되는 부착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간주사용 밴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목의 외부면에 감기는 밴드부재의 표면에 상기 수목의 외경둘레길이를 인식하도록 표시되는 원주길이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간주사용 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목의 외경둘레길이를 근거로 하여 산출된 수목의 흉고직경을 표시하는 흉고직경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간주사용 밴드.
  8. 삭제
  9.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높이에서 수목의 외부면에 감싸져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밴드부재 ;
    상기 밴드부재의 표면에 상기 수목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약제투입용 천공홀의 천공위치를 표시하는 천공홀 마크 ; 를 포함하고,
    수목의 흉고높이에서 상기 밴드부재를 상기 수목의 외부면에 감싸 수목의 외경둘레를 측정하고, 상기 외경둘레를 근거로 하여 산출된 약제투입용 천공홀 형성갯수를 확인하는 측정단계 ;
    상기 밴드부재를 수목의 천공형성높이에서 상기 수목의 외부면에 감싸면서 위치고정하는 밴드고정단계 ;
    상기 밴드부재에 형성된 천공홀 마크와 대응하는 수목의 외부면에 일정깊이의 약제투입용 천공홀을 형성하는 천공단계 ;
    상기 천공홀 마크마다 형성되는 약제투입용 천공홀을 통하여 약제를 투입하는 약제투입단계 ; 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단계는 상기 수목의 흉고직경을 근거로 하여 산출되어 상기 밴드부재에 표시된 수목의 약제투입량을 인식하여 확인하며,
    상기 천공단계 이후에, 상기 약제투입용 천공홀로부터 배출되는 송진이 상기 천공홀 마크의 형성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방제중단시기로 판단하고, 상기 천공홀 마크의 형성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경우 방제시기로 판단하며,
    상기 약제투입단계 이후에 상기 약제투입용 천공홀에 통하여 투입된 후 외부로 노출되는 약제와 상기 천공홀마크에 포함되는 시약간의 반응에 의해서 상기 천공홀마크의 색상을 변경시켜 약제투입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간주사용 밴드를 이용한 방제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는 상기 수목의 외부면에 감기는 밴드부재의 표면을 따라 표시되는 눈금에 의해서 상기 수목의 외경둘레길이를 인식하도록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간주사용 밴드를 이용한 방제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는 상기 수목의 외경둘레길이를 근거로 하여 산출되어 상기 밴드부재에 표시된 수목의 흉고직경을 인식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간주사용 밴드를 이용한 방제방법.
  14. 삭제
KR1020160087346A 2016-07-11 2016-07-11 수간주사용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KR101828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346A KR101828776B1 (ko) 2016-07-11 2016-07-11 수간주사용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346A KR101828776B1 (ko) 2016-07-11 2016-07-11 수간주사용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681A KR20180006681A (ko) 2018-01-19
KR101828776B1 true KR101828776B1 (ko) 2018-02-19

Family

ID=61025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346A KR101828776B1 (ko) 2016-07-11 2016-07-11 수간주사용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7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918B1 (ko) * 2019-11-06 2021-03-08 대한민국(산림청장) 수목관리용 IoT 밴드 및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 시스템
CN113925035B (zh) * 2021-09-02 2023-04-25 洛阳市绿化管理中心 一种草履蚧老熟雌虫防治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023Y1 (ko) * 2000-04-25 2000-11-01 박호진 병해충 방제를 위한 기준척
JP2012093130A (ja) * 2010-10-25 2012-05-1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伐採樹木の直径測定バンド
KR101507033B1 (ko) * 2013-10-10 2015-03-30 대한민국 수목용 노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023Y1 (ko) * 2000-04-25 2000-11-01 박호진 병해충 방제를 위한 기준척
JP2012093130A (ja) * 2010-10-25 2012-05-1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伐採樹木の直径測定バンド
KR101507033B1 (ko) * 2013-10-10 2015-03-30 대한민국 수목용 노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681A (ko) 2018-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776B1 (ko) 수간주사용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US4144673A (en) System and method for introducing systemic treatment liquids into trees and similar plants
DE69918266T2 (de) Injektionseinheit
CN101479584B (zh) 脉管通入装置时间敏感状态指示
DE2930617C3 (de) Schutzkappe für eine Probennadel
US71782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jecting trees
DE60311893T2 (de) Verschlusskappe
NZ576776A (en) Training aid for practicing inserting a needle in a vein
DE2803035A1 (de) Verfahren zur feststellung einer fehlstelle in einer schweissnaht zwischen papier und kunststoff bei einer sterilisierbaren verpackung
DE213408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enn zeichnen einer bestimmten Verwendung die nender Substanzen, insbesondere einem be stimmten Patienten zugeordneter physiolo gischer Flüssigkeiten od dgl
WO2006044289A3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jecting and sampling material through avian egg membranes
US200702666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jecting trees
US2018017179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emented multi-zone completions
CA2547049C (en) Expiration warning patch for gas expiration date management
JPH01273516A (ja) 根生長抑制バッグ
DE102008004646B4 (de) Chemische Reaktionskassette und Verwendung einer chemischen Reaktionskassette
US20150305253A1 (en) Automatic injection syringe for plants
EP1389421A1 (en) Improved ear tag
DE102004056655B4 (de) Probenröhrchen zur Aufnahme von Körperflüssigkeit, insbesondere Blut
US5000111A (en) Trail marking device
DE102012104460A1 (de) Überrundumetikett zum Umkleben des Umfangs eines Gegenstandes
EP3817658B1 (de) Vorrichtung zur lokalisation eines medizinischen implantats
KR20180001294U (ko) 수목 주사용 마킹 테이프
US10219442B2 (en) Device for injecting at least one chemical substance and/or preparation into trees and/or palmacea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KR20170003831U (ko) 간편한 수간주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