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044A -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 및 조립 방법, 시일 부재, 가스 터빈 - Google Patents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 및 조립 방법, 시일 부재, 가스 터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044A
KR20180037044A KR1020187006518A KR20187006518A KR20180037044A KR 20180037044 A KR20180037044 A KR 20180037044A KR 1020187006518 A KR1020187006518 A KR 1020187006518A KR 20187006518 A KR20187006518 A KR 20187006518A KR 20180037044 A KR20180037044 A KR 20180037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member
combustor
fitting
turbine
gas tur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6046B1 (ko
Inventor
히로아키 기시다
노리히코 나가이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7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1/00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 F01D11/005Sealing means between non relatively rot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1/00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 F01D11/003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by packing rings; Mechanical 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 F01D9/023Transition ducts between combustor cans and first stage of the turbine in gas-turbine engines; their cooling or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3/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 F02C3/04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having a turbine driving a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8Arrangement of 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out packing between the surfaces, e.g. with ground surfaces, with cutting ed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gas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55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Gasket Seals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 및 조립 방법, 시일 부재, 가스 터빈에 있어서, 연소기 미통(43)에 설치되는 제1 플랜지부(63, 65)가 시일 부재(71, 72)에 설치되는 제1 감합부(73, 76)에 감합한 상태에서, 제1 플랜지부(63, 65)에 설치되는 볼록부(87)가 제1 감합부(73, 76)에 설치되는 오목부(90)에 억지로 들어가는 것이다.

Description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 및 조립 방법, 시일 부재, 가스 터빈
본 발명은 연소기와 터빈 사이에 설치되어 연소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 이 시일 부재의 조립 방법, 시일 부재,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가 적용되는 가스 터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스 터빈은 압축기와 연소기와 터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 취입구로부터 취입된 공기가 압축기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고온·고압의 압축 공기로 되고, 연소기에서 이 압축 공기에 대해 연료를 공급하여 연소시킴으로써 고온·고압의 연소 가스(작동 유체)를 얻고, 이 연소 가스에 의해 터빈을 구동하고, 이 터빈에 연결된 발전기를 구동한다.
이 가스 터빈에서, 연소기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 링상을 이루어 병설되어 있고, 각 연소기는 연소기 미통(尾筒)의 하류 측 단부와 터빈에 있어서의 슈라우드(shroud)의 상류 측 단부 사이에 상부 시일 및 하부 시일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소기는 연소기 미통부의 측부에, 인접하는 연소기끼리를 칸막이하는 사이드 시일(side seal)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 시일 및 하부 시일은 연소기 미통의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가 감합(嵌合)하여 연결 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부 시일 및 하부 시일과 각 사이드 시일에 의해 연소기 미통과 슈라우드와의 틈새로부터의 연소 가스의 누설이 방지된다.
이러한 가스 터빈으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소)62-176448호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시일 및 하부 시일은, 연소기 미통의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가 감합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상부 시일 및 하부 시일은 연소기 미통과 슈라우드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가스 터빈의 축심(軸心) 방향의 변위가 구속되고, 슈라우드에 의해 직경 방향의 변위가 구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스 터빈의 운전 중에, 상부 시일 및 하부 시일의 원주 방향의 변위를 구속할 수 없게 되면, 상부 시일 및 하부 시일이 위치 어긋남을 일으켜서 연소 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시일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여 연소 가스의 누설을 장기간에 걸쳐서 방지할 수 있는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 시일 부재의 조립 방법, 시일 부재, 가스 터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는, 연소기용 통(筒)과 터빈용 슈라우드 사이에서 가스 터빈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용 통과 상기 터빈용 슈라우드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제1 플랜지부가 상기 시일 부재에 설치되는 제1 감합부에 감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감합부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볼록부가 다른 쪽에 설치되는 오목부에 억지로 들어가 있고,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에 의해 상기 제1 플랜지부에 대한 상기 제1 감합부의 상기 가스 터빈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이동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플랜지부가 시일 부재의 제1 감합부에 감합함으로써, 시일 부재가 연소기용 통 또는 터빈용 슈라우드에 연결되고, 이때 제1 플랜지부 또는 제1 감합부의 한쪽에 설치되는 볼록부가 다른 쪽에 설치되는 오목부에 억지로 들어가는 것으로 된다. 그 때문에, 연소기용 통 또는 터빈용 슈라우드에 대해 시일 부재가 원주 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하지만, 볼록부와 오목부가 접촉함으로써, 이 시일 부재의 변위가 규제된다. 그 결과, 시일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함으로써 연소 가스의 누설을 장기간에 걸쳐서 방지할 수 있어서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에서는, 연결 핀이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감합부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연소기용 통과 상기 터빈용 슈라우드의 어느 한쪽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연결 핀이 제1 플랜지부와 제1 감합부를 관통하여 시일 부재가 연소기용 통 또는 터빈용 슈라우드에 연결됨으로써 연결 핀에 의해 시일 부재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에서는, 상기 볼록부는 상기 가스 터빈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측에 돌출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가스 터빈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측에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가스 터빈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가 직경 방향으로 우묵하게 들어가는 오목부에 억지로 들어감으로써, 볼록부와 오목부가 접촉하여 시일 부재의 변위를 용이하게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에서는,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는 상기 가스 터빈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틈새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볼록부와 오목부에 있어서의 가스 터빈의 원주 방향을 따라 틈새를 설치함으로써, 연소기용 통과 시일 부재의 조립을 해제할 때, 이 틈새량만큼 연결 핀에 전단력을 부여하여 파단할 수 있어서 메인터넌스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에서는,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는 서로 대향하는 면이 곡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볼록부와 오목부를 곡면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접촉 시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에서는, 상기 제1 플랜지부가 상기 제1 감합부에 감합함으로써 서로 상기 가스 터빈의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불능이며, 상기 연결 핀이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감합부를 관통함으로써 서로 상기 가스 터빈의 원주 방향으로 상대 이동 불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연소기용 통에 대해 시일 부재를 적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에서는, 상기 시일 부재는 제2 감합부가 설치되고, 연소기용 통과 터빈용 슈라우드의 어느 다른 쪽에 설치되는 상기 제2 플랜지부가 제2 감합부에 감합함으로써 서로 상기 가스 터빈의 직경 방향으로 상대 이동 불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터빈용 슈라우드에 대해 시일 부재를 적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일 부재의 조립 방법은, 연소기용 통과 터빈용 슈라우드 사이에서 가스 터빈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시일 부재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용 통의 제1 플랜지부를 상기 시일 부재의 제1 감합부에 감합하는 공정과,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감합부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볼록부를 다른 쪽에 설치되는 오목부에 억지로 들어가게 하고,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에 의해 상기 제1 플랜지부에 대한 상기 제1 감합부의 상기 가스 터빈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이동을 저지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소기용 통의 제1 플랜지부가 시일 부재의 제1 감합부에 감합하고, 제1 플랜지부와 제1 감합부의 한쪽에 설치되는 볼록부는 다른 쪽에 설치되는 오목부에 억지로 들어가고 있다. 그 때문에, 연소기용 통 또는 터빈용 슈라우드에 대해 시일 부재가 원주 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하지만, 볼록부와 오목부가 접촉함으로써, 이 시일 부재의 변위가 규제된다. 그 결과, 시일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함으로써 연소 가스의 누설을 장기간에 걸쳐서 방지할 수 있어서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일 부재의 조립 방법에서는 연결 핀을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감합부에 관통시켜 고정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연결 핀이 제1 플랜지부와 제1 감합부를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연결 핀에 의해 시일 부재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일 부재는, 연소기용 통과 터빈용 슈라우드 사이에서 가스 터빈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시일 부재로서, 상기 연소기용 통과 상기 터빈용 슈라우드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제1 플랜지부가 감합하는 제1 감합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에 대한 상기 제1 감합부의 상기 가스 터빈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이동을 저지하는 계지부(係止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일 부재는 연소기용 통과 터빈용 슈라우드의 한쪽에 설치되는 제1 플랜지부가 제1 감합부에 감합하고, 계지부에 의해 제1 플랜지부에 대한 제1 감합부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이동이 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연소기용 통 또는 터빈용 슈라우드에 대해 시일 부재가 원주 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하지만, 볼록부와 오목부가 접촉함으로써, 이 시일 부재의 변위가 규제된다. 그 결과, 시일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함으로써 연소 가스의 누설을 장기간에 걸쳐서 방지할 수 있어서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일 부재에서는, 상기 제1 플랜지부에 상기 제1 감합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핀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貫通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연결 핀이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제1 플랜지부와 제1 감합부를 연결함으로써 연결 핀에 의해 시일 부재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일 부재에서는, 상기 계지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에 계지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계지부를 볼록부 또는 오목부로 함으로써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스 터빈은,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가 압축한 압축 공기와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하는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가 생성한 연소 가스에 의해 회전 동력을 얻는 터빈과, 상기 시일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일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함으로써 연소 가스의 누설을 장기간에 걸쳐서 방지할 수 있어서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 시일 부재의 조립 방법, 시일 부재, 가스 터빈에 의하면, 볼록부와 오목부와의 관계에서 연소기용 통 또는 터빈용 슈라우드와 시일 부재와의 상대 이동이 저지되므로, 시일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함으로써 연소 가스의 누설을 장기간에 걸쳐서 방지할 수 있어서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시일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Ш-Ш 단면도이다.
도 4는 볼록부와 오목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연결 핀 파단 시의 시일 부재의 작동을 나타내는 시일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가스 터빈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의 가스 터빈 연소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8은 연소기 미통과 슈라우드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시일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시일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시일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시일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시일 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 시일 부재의 조립 방법, 시일 부재, 가스 터빈의 적절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실시형태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각 실시형태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제1 실시형태]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가스 터빈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7은 제1 실시형태의 가스 터빈 연소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8은 연소기 미통과 슈라우드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터빈(10)은 압축기(11)와 연소기(12)와 터빈(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가스 터빈(10)은 동축 상에 도시하지 않은 발전기가 연결되어 있으며, 발전 가능으로 되어 있다.
압축기(11)는 공기를 취입하는 공기 취입구(20)를 갖고, 압축기 차실(21) 내에 입구 안내 베인(IGV: Inlet GuideVane)(22)이 배치되는 동시에 복수의 정익(靜翼)(23)과 동익(動翼)(24)이 전후 방향(후술하는 로터(32)의 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그 외측에 추기실(抽氣室)(25)이 설치되어 있다. 연소기(12)는 압축기(11)에서 압축된 압축 공기에 대해 연료를 공급하고, 점화함으로써 연소 가능으로 되어 있다. 터빈(13)은 터빈 차실(26) 내에 복수의 정익(27)과 동익(28)이 전후 방향(후술하는 로터(32)의 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 터빈 차실(26)의 하류 측에는, 배기 차실(29)을 개재시켜 배기실(30)이 배치되어 있고, 배기실(30)은 터빈(13)에 연속하는 배기 디퓨저(exhaust diffuser)(31)를 갖고 있다.
또한, 압축기(11), 연소기(12), 터빈(13), 배기실(30)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로터(회전축)(32)가 위치하고 있다. 로터(32)는, 압축기(11) 측의 단부가 베어링부(33)에 의해 회전 자유자재로 지지되는 한편, 배기실(30) 측의 단부가 베어링부(34)에 의해 회전 자유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로터(32)는 압축기(11)에서, 각 동익(24)이 장착된 디스크가 복수 중첩되어 고정되고, 터빈(13)에서, 각 동익(28)이 장착된 디스크가 복수 중첩되어 고정되어 있고, 배기실(30) 측의 단부에 도시하지 않은 발전기의 구동축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스 터빈(10)은, 압축기(11)의 압축기 차실(21)이 다리부(35)에 지지되고, 터빈(13)의 터빈 차실(26)이 다리부(36)에 의해 지지되며, 배기실(30)이 다리부(3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압축기(11)의 공기 취입구(20)로부터 취입된 공기가 입구 안내 베인(22), 복수의 정익(23)과 동익(24)을 통과하여 압축됨으로써 고온·고압의 압축 공기로 된다. 연소기(12)에서, 이 압축 공기에 대해 소정의 연료가 공급되어 연소한다. 그리고 이 연소기(12)에서 생성된 작동 유체인 고온·고압의 연소 가스가 터빈(13)을 구성하는 복수의 정익(27)과 동익(28)을 통과함으로써 로터(32)를 구동 회전하고, 이 로터(32)에 연결된 발전기를 구동한다. 한편, 터빈(13)을 구동한 연소 가스는 배기 가스로서 대기에 방출된다.
상술한 연소기(12)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소기 외통(41)은, 내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소기 내통(42)이 지지되고, 이 연소기 내통(42)의 선단부에 연소기 미통(연소기용 통)(43)이 연결되어 연소기 케이싱이 구성되어 있다. 연소기 내통(42)은, 내부의 중심에 위치하여 파일럿 연소 버너(44)가 배치되는 동시에 연소기 내통(42)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파일럿 연소 버너(44)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메인 연소 버너(4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소기 미통(43)은, 바이패스 관(46)이 연결되어 있고, 이 바이패스 관(46)에 바이패스 밸브(47)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연소기 외통(41)은, 기단부(基端部)에 연소기 내통(42)의 기단부가 장착됨으로써, 양자(兩者) 사이에 공기 유로(5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소기 내통(42)은, 내부의 중심에 위치하여 파일럿 연소 버너(44)가 배치되고, 그 주위에 복수의 메인 연소 버너(45)가 배치되어 있다.
파일럿 연소 버너(44)는, 연소기 내통(42)에 지지된 파일럿 콘(pilot cone)(52)과, 파일럿 콘(52)의 내부에 배치된 파일럿 노즐(53)과, 파일럿 노즐(53)의 외주부에 설치되는 선회 베인(스월 베인(swirl vane))(54)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메인 연소 버너(45)는, 버너 통(55)과, 버너 통(55)의 내부에 배치된 메인 노즐(56)과, 메인 노즐(56)의 외주부에 설치되는 선회 베인(57)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소기 외통(41)은, 도시하지 않은 파일럿 연료 라인이 파일럿 노즐(53)의 연료 포트(58)에 연결되고, 도시하지 않은 메인 연소 라인이 각 메인 노즐(56)의 연료 포트(59)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고온·고압의 압축 공기의 공기류(空氣流)가 공기 유로(51)에 유입하면, 이 압축 공기가 연소기 내통(42) 안에 유입하고, 이 연소기 내통(42) 안에서, 이 압축 공기가 메인 연소 버너(45)로부터 분사된 연료와 혼합되어 예혼합(予混合) 기체의 선회류(旋回流)로 된다. 또한, 압축 공기는 파일럿 연소 버너(44)로부터 분사된 연료와 혼합되고, 도시하지 않은 불씨(種火)에 의해 착화되어 연소하고, 연소 가스로 되어 연소기 내통(42) 안에 분출된다. 이때, 연소 가스의 일부가 연소기 내통(42) 안에 화염을 수반하여 주위로 확산하도록 분출됨으로써 각 메인 연소 버너(45)로부터 연소기 내통(42) 안에 유입된 예혼합 기체에 착화되어 연소한다. 즉, 파일럿 연소 버너(44)로부터 분사된 파일럿 연료에 의한 확산 화염에 의해, 메인 연소 버너(45)로부터의 희박 예혼합 연료의 안정 연소를 행하기 위한 보염(保炎)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소기(12)의 연소기 미통(43)과 터빈(13)의 슈라우드(터빈용 슈라우드)(61, 62)는 시일 부재(71, 72)를 개재시켜 연결되어 있다. 연소기(12)는 복수가 원주 방향을 따라 링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각 연소기 미통(43)은 연소기 외통(41)(도 7참조)에 지지되어 있다. 외측 슈라우드(61)와 내측 슈라우드(62)는 링 형상을 이루며, 터빈 차실(26)(도 6 참조)에 지지되어 있다. 각 시일 부재(71, 72)는 연소기 미통(43)의 하류 측 단부와 각 슈라우드(61, 62)의 상류 측 단부를 연결함으로써 연소 가스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직경 방향, 원주 방향, 내주 측, 외주 측의 각 기재는 특정의 설명이 없는 한 가스 터빈(10)을 기준으로 한 방향이다.
외주 측 시일 부재(71)는 연소기 미통(43)에 있어서의 가스 터빈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류 측 단부가 연소기 미통(43)의 외주 측 제1 플랜지부(63)에 연결되며, 하류 측 단부가 외측 슈라우드(61)의 외주 측 제2 플랜지부(64)에 연결되어 있다. 내주 측 시일 부재(72)는 연소기 미통(43)에 있어서의 가스 터빈의 직경 방향의 내측(축심 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류 측 단부가 연소기 미통(43)의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에 연결되며, 하류 측 단부가 내측 슈라우드(62)의 내주 측 제2 플랜지부(66)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소기 미통(43)은, 하류 측 단부가 인접하는 연소기 미통(43)끼리를 칸막이하는 사이드 시일(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연소기 미통(43)은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이루며, 하류 측 단부의 외주변(外周邊) 측으로부터 직경 방향의 외측에 연출(延出)하는 외주 측 제1 플랜지부(63)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슈라우드(61)는, 상류 측 단부의 외주 측으로부터 직경 방향의 외측에 연출하는 부착부(67)가 설치되고, 부착부(67)로부터 상류 측(연소기 미통(43) 측)에 연출하는 외주 측 제2 플랜지부(6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외주 측 시일 부재(71)는, 상류 측 단부에 내주 측으로 개방하는 외주 측 제1 감합부(73)가 설치되고, 하류 측 단부에 하류 측(외측 슈라우드(61) 측)으로 개방하는 외주 측 제2 감합부(7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소기 미통(43)의 외주 측 제1 플랜지부(63)가 외주 측 시일 부재(71)의 외주 측 제1 감합부(73)에 감합하고, 연결 핀(75)이 외주 측 제1 플랜지부(63) 및 외주 측 시일 부재(71)를 관통함으로써, 연소기 미통(43)과 외주 측 시일 부재(71)가 연결된다. 또한, 외측 슈라우드(61)의 외주 측 제2 플랜지부(64)가 외주 측 시일 부재(71)의 외주 측 제2 감합부(74)에 감합함으로써, 외주 측 시일 부재(71)와 외측 슈라우드(61)가 연결된다.
또한, 연소기 미통(43)은, 하류 측 단부의 내주변(內周邊) 측으로부터 직경 방향의 내측(축심 측)에 연출하는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슈라우드(62)는, 상류 측 단부의 내주 측(축심 측)으로부터 직경 방향의 내측에 연출하는 부착부(68)가 설치되고, 부착부(68)로부터 상류 측(연소기 미통(43) 측)에 연출하는 내주 측 제2 플랜지부(66)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내주 측 시일 부재(72)는, 상류 측 단부에 외주 측으로 개방하는 내주 측 제1 감합부(76)가 설치되고, 하류 측 단부에 하류 측(내측 슈라우드(62) 측)으로 개방하는 내주 측 제2 감합부(7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소기 미통(43)의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가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내주 측 제1 감합부(76)에 감합하고, 연결 핀(78)이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 및 내주 측 시일 부재(72)를 관통함으로써, 연소기 미통(43)과 내주 측 시일 부재(72)가 연결된다. 또한, 내측 슈라우드(62)의 내주 측 제2 플랜지부(66)가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내주 측 제2 감합부(77)에 감합함으로써, 내주 측 시일 부재(72)와 내측 슈라우드(62)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소기 미통(43)과 각 슈라우드(61, 62)가 각 시일 부재(71, 72)를 개재시켜 연결됨으로써, 연소 가스 유로(70)가 설치되고, 연소 가스 유로(70)를 흐르는 연소 가스의 누설이 방지되어 있다.
여기서, 연소기 미통(43)은, 외주 측 제1 플랜지부(63)가 외주 측 시일 부재(71)의 외주 측 제1 감합부(73)에 감합한 상태에서, 연결 핀(75)이 관통함으로써, 외주 측 시일 부재(71)가 연결된다. 또한, 연소기 미통(43)은,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가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내주 측 제1 감합부(76)에 감합한 상태에서, 연결 핀(78)이 관통함으로써, 내주 측 시일 부재(72)가 연결된다. 그 때문에, 가스 터빈의 운전 중에, 각 시일 부재(71, 72)에 있어서의 원주 방향의 구속이 없어지고, 각 시일 부재(71, 72)가 원주 방향으로 어긋나서 틈새가 발생하여, 연소 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시일 부재(71, 72)의 원주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시일 부재(71, 72)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지만, 여기서는 내주 측 시일 부재(72)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시일 부재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 도 3은 도 1의 Ш- Ш 단면도, 도 4는 볼록부와 오목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연결 핀 파단 시의 시일 부재의 작동을 나타내는 시일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부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소기 미통(43)은, 하류 측 단부의 내주부로부터 직경 방향의 내측에 연출하는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가 설치되어 있다. 내주 측 시일 부재(72)는 이 연소기 미통(43)의 내주부를 따라 배치되고, 상류 측 단부에 3개의 감합 벽(81, 82, 83)에 의해 내주 측 제1 감합부(76)가 설치되고, 하류 측 단부에 3개의 감합 벽(84, 85, 86)에 의해 내주 측 제2 감합부(7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주 측 시일 부재(72)는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가스 터빈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 돌출하는 볼록부(계지부)(87)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87)는 감합 벽(81)의 단면으로부터 외측에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 볼록부(87)의 위치에 대응한 감합 벽(81)에 축심 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 구멍(88)이 형성되는 동시에 감합 벽(83)에 축심 방향으로 관통하지 않는 원형의 부착 구멍(8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소기 미통(43)은, 내주변에 있어서의 원주 방향의 중간부에 가스 터빈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 우묵하게 들어가는 오목부(계지부)(90)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90)는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에 있어서의 평면부로부터 상류 측에 돌출하는 블록체(91)의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고,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에 연소기 미통(43)의 직경 방향으로 길게, 축심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공(長孔)(9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소기 미통(43)의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가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내주 측 제1 감합부(76)에 감합하고, 연결 핀(78)이 관통 구멍(88) 및 장공(92)을 관통하고, 부착 구멍(89)에 감입(嵌入)하여 코오킹(caulking)됨으로써, 연소기 미통(43)과 내주 측 시일 부재(72)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볼록부(87)가 연소기 미통(43)의 오목부(90)에 억지로 들어가서 직경 방향에서 중첩되고, 볼록부(87)와 오목부(90)는, 연소기 미통(43)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틈새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볼록부(87)는 감합 벽(81)의 단면으로부터 곡면을 갖고 돌출하며, 오목부(90)는, 연소기 미통(43)의 블록체(91)의 단면이 곡면을 갖고 절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볼록부(87)와 오목부(90)는 서로 대향하는 면이 곡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이때,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가 내주 측 제1 감합부(76)에 감합함으로써, 내주 측 시일 부재(72)가 연소기 미통(43)에 대해 그 축 방향으로 이동 불능으로 되고, 연결 핀(78)이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와 내주 측 제1 감합부(76)를 관통함으로써, 내주 측 시일 부재(72)가 연소기 미통(43)에 대해 그 원주 방향으로 이동 불능으로 된다. 단, 연결 핀(78)이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의 장공(92)을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내주 측 시일 부재(72)는 연소기 미통(43)에 대해 그 직경 방향으로 소정량만큼 상대 이동 가능으로 되는 동시에 연결 핀(78)을 지점으로 하여 소정 각도만큼 회동 가능으로 된다. 그 때문에, 연소기 미통(43)과 내주 측 시일 부재(72)와의 열팽창 차이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내주 측 제2 플랜지부(66)가 내주 측 제2 감합부(77)에 감합함으로써, 내주 측 시일 부재(72)가 내측 슈라우드(62)에 대해 그 직경 방향으로 이동 불능으로 된다. 이 경우에도,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의 장공(92)에 의해 연소기 미통(43)과 내측 슈라우드(62)와의 열팽창 차이를 흡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의 조립 방법은, 연소기 미통(43)과 내측 슈라우드(62) 사이에서 연소기 미통(43)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시일 부재의 설치 방법에 있어서, 연소기 미통(43)의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를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내주 측 제1 감합부(76)에 감합하는 공정과,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내주 측 제1 감합부(76) 측에 설치되는 볼록부(87)를 연소기 미통(43)의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 측에 설치되는 오목부(90)에 억지로 들어가게 하는 공정과, 연결 핀(78)을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와 내주 측 제1 감합부(76)에 관통시켜 고정하는 공정과, 내측 슈라우드(62)의 내주 측 제2 플랜지부(66)를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내주 측 제2 감합부(77)에 감합하는 공정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연소기 미통(43)과 내측 슈라우드(62) 사이에 내주 측 시일 부재(72)가 조립되었을 때,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87)가 형성되는 감합 벽(81)의 단면과 오목부(90)가 형성되는 블록체(91)의 단면 사이에 틈새가 확보되어 있고, 볼록부(87)와 오목부(90)는, 연소기 미통(43)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작동 틈새(S1)가 확보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연소기 미통(43)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병설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연소기 미통(43)과의 사이, 즉 인접하는 내주 측 시일 부재(72)와의 사이에 틈새(S2)가 확보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 틈새(S1)는 틈새(S2)보다 작게(S1 <S2) 설정되어 있다. 또한, 작동 틈새(S1, S2)의 관계는 이 대소 관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시일 부재(72)를 관통하고 있는 연결 핀(78)이 운전 중에 복수 개 접히는 경우가 있다. 그때, 복수의 시일 부재(72)가 중력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여 적정한 시일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 S1<S2 로 되지 않지만, 시일 부재(71)의 요철이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있기만 하다면, 시일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연소기 미통(43)이나 내주 측 시일 부재(72) 등은 소정의 기간을 경과하여 교환할 필요가 있고, 연소기 미통(43)이나 내주 측 시일 부재(72)를 떼어낼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연결 핀(78)을 파단함으로써 연소기 미통(43)과 내주 측 시일 부재(72)와의 조립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는, 내주 측 시일 부재(72)에 대해 길이 방향(연소기 미통(43)의 원주 방향)의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연결 핀(78)에 전단력을 부여하여 파단하고, 연소기 미통(43)과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조립을 해제한다. 그 때문에, 작동 틈새(S1)는 연결 핀(78)의 외경(D)보다 크게(S1>D) 설정되어 있다. 또한, 작동 틈새(S1)와 연결 핀(78)의 외경(D)과의 관계도 이 대소 관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1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소기 미통(43)과 내주 측 시일 부재(72)와 내측 슈라우드(62)가 조립된 상태에서, 연소기 미통(43)과 내주 측 시일 부재(72)는 소정의 위치에 조립되어 있고, 볼록부(87)와 오목부(90)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이 상태에서, 가스 터빈이 운전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가스 터빈의 운전 중에, 연소기 미통(43) 및 내측 슈라우드(62)에 대해 내주 측 시일 부재(72)가 원주 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한다. 그런데, 내주 측 시일 부재(72)가 연소기 미통(43) 및 내측 슈라우드(62)에 대해 작동 틈새(S1)만큼 이동하면, 볼록부(87)와 오목부(90)에 당접(접촉)함으로써,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원주 방향 변위가 규제된다. 그 결과,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또한, 연소기 미통(43)과 내주 측 시일 부재(72)와 내측 슈라우드(62)의 조립을 해제하는 경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내주 측 시일 부재(72)에 대해 원주 방향의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연결 핀(78)에 전단력을 부여하여 파단한다. 다음에, 내측 슈라우드(62)를 하류 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연소기 미통(43) 및 내주 측 시일 부재(72)를 상류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내측 슈라우드(62)의 내주 측 제2 플랜지부(66)를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내주 측 제2 감합부(77)로부터 빼냄으로써, 내측 슈라우드(62)와 내주 측 시일 부재(72)와의 조립을 해제한다. 그리고 연소기 미통(43)에 대해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상류 측을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를 내주 측 제1 감합부(76)로부터 빼내는 동시에 볼록부(87)를 오목부(90)로부터 빼냄으로써, 연소기 미통(43)과 내주 측 시일 부재(72)와의 조립을 해제한다.
또한, 상술의 설명에서는 연소기 미통(43)과 내주 측 시일 부재(72)와 내측 슈라우드(62)의 조립 구조, 조립 방법, 떼어 내는 방법 등에 대해 설명했지만, 연소기 미통(43)과 외주 측 시일 부재(71)와 외측 슈라우드(61)의 조립 구조 및 조립 방법도 마찬가지이다. 즉, 외주 측 시일 부재(71)의 외주 측 제1 감합부(73)의 볼록부가 설치되고, 연소기 미통(43)의 외주 측 제1 플랜지부(63)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외주 측 제1 감합부(73)의 볼록부가 외주 측 제1 플랜지부(63)의 오목부를 억지로 들어가도록 조립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87)와 오목부(90)의 서로 대향하는 면을 곡면에 의해 형성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부터 도 11은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시일 부재의 정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 측 시일 부재(72)는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가스 터빈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 돌출하는 볼록부(계지부)(101)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101)는 감합 벽(81)의 단면으로부터 외측에 돌출하고, 직사각 형상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연소기 미통(43)은, 내주변에 있어서의 원주 방향의 중간부에 가스 터빈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 우묵하게 들어가는 오목부(계지부)(102)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102)는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에 있어서의 평면부로부터 상류 측에 돌출하는 블록체(91)의 일부가 절결되어, 직사각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소기 미통(43)의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가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내주 측 제1 감합부(76)에 감합하고, 연결 핀(78)이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연소기 미통(43)과 내주 측 시일 부재(72)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볼록부(101)가 연소기 미통(43)의 오목부(102)에 억지로 들어가서 직경 방향에서 중첩되고, 볼록부(101)와 오목부(102)는 연소기 미통(43)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틈새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01)와 오목부(102)를 직사각 형상으로 했지만,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상, 사각형상, 사다리꼴상 등의 다각 형상이어도 좋고, 반원, 타원 형상이어도 좋으며, 직사각형과 원형을 조합한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 측 시일 부재(72)는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가스 터빈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 돌출하는 볼록부(87)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87)는 감합 벽(81)의 단면으로부터 외측에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한편, 연소기 미통(43)은, 내주변에 있어서의 원주 방향의 중간부에 가스 터빈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 우묵하게 들어가는 오목부(계지부)(111)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111)는,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에 있어서의 평면부로부터 상류 측에 돌출하는 블록체(112)의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블록체(112)는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에 있어서의 평면부의 전체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길이 방향의 일부, 즉 볼록부(87)에 대향하는 위치만큼 설치되면 좋다.
그리고 연소기 미통(43)의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가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내주 측 제1 감합부(76)에 감합하고, 연결 핀(78)이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연소기 미통(43)과 내주 측 시일 부재(72)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볼록부(87)가 연소기 미통(43)의 오목부(111)에 억지로 들어가서 직경 방향에서 중첩되고, 볼록부(87)와 오목부(111)는, 연소기 미통(43)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틈새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3에서,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 측 시일 부재(72)는,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가스 터빈의 직경 방향의 내측에 우묵하게 들어가는 오목부(계지부)(121)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121)는, 감합 벽(81)의 단면의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소기 미통(43)은, 내주변에 있어서의 원주 방향의 중간부에 가스 터빈의 직경 방향의 내측에 돌출하는 볼록부(계지부)(122)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122)는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에 있어서의 평면부로부터 상류 측에 돌출하는 블록체(91)로부터 내측에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소기 미통(43)의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가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내주 측 제1 감합부(76)에 감합하고, 오목부(121) 및 볼록부(122)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연결 핀(78)이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연소기 미통(43)과 내주 측 시일 부재(72)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오목부(121)에 연소기 미통(43)의 볼록부(122)가 억지로 들어가서 직경 방향에서 중첩되고, 오목부(121)와 볼록부(122)는, 연소기 미통(43)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틈새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에 있어서는, 연소기 미통(43)에 설치되는 제1 플랜지부(63, 65)가 시일 부재(71, 72)에 설치되는 제1 감합부(73, 76)에 감합하고, 연결 핀(75, 78)이 제1 플랜지부(63, 65)와 제1 감합부(73, 76)를 관통함으로써, 시일 부재(71, 72)가 연소기 미통(43)에 연결되고, 제1 감합부(73, 76)에 설치되는 볼록부(87)가 제1 플랜지부(63, 65)에 설치되는 오목부(90)에 억지로 들어가는 것이다.
따라서 연소기 미통(43)에 대해 시일 부재(71, 72)가 원주 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하지만, 볼록부(87)와 오목부(90)가 접촉함으로써, 이 시일 부재(71, 72)의 변위가 규제된다. 그 결과, 시일 부재(71, 72)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함으로써 연소 가스의 누설을 장기간에 걸쳐서 방지할 수 있어서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에서는, 볼록부(87)는 연소기 미통(43)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돌출하고, 오목부(90)는 연소기 미통(43)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우묵하게 들어가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볼록부(87)와 오목부(90)가 접촉하여 시일 부재(71, 72)의 변위를 용이하게 규제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에서는, 볼록부(87)와 오목부(90) 사이에 연소기 미통(43)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작동 틈새(S1)가 설치된다. 따라서 연소기 미통(43)과 시일 부재(71, 72)의 조립을 해제할 때, 이 작동 틈새(S1)의 양만큼 연결 핀(75, 78)에 전단력을 부여하여 파단할 수 있고, 메인터넌스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에서는, 볼록부(87)와 오목부(90)는 서로 대향하는 면이 곡면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볼록부(87)와 오목부(90)가 접촉했을 때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에서는, 제1 플랜지부(63, 65)가 제1 감합부(73, 76)에 감합함으로써 서로 연소기 미통(43)의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불능이며, 연결 핀(75, 78)이 제1 플랜지부(63, 65)와 제1 감합부(73, 76)를 관통함으로써 서로 연소기 미통(43)의 원주 방향으로 상대 이동 불능이다. 따라서 연소기 미통(43)에 대해 시일 부재(71, 72)를 적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에서는, 시일 부재(71, 72)는 슈라우드(61, 62)에 설치되는 제2 플랜지부(64, 66)가 제2 감합부(74, 77)에 감합함으로써 서로 슈라우드(61, 62)의 직경 방향으로 상대 이동 불능이다. 따라서 슈라우드(61, 62)에 대해 시일 부재(71, 72)를 적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는, 연소기 미통(43)의 제1 플랜지부(63, 65)를 시일 부재(71, 72)의 제1 감합부(73, 76)에 감합하는 공정과, 제1 감합부(73, 76)에 설치되는 볼록부(87)를 제1 플랜지부(63, 65)에 설치되는 오목부(90)에 억지로 들어가게 하는 공정과, 연결 핀(75, 78)을 제1 플랜지부(63, 65)와 제1 감합부(73, 76)에 관통시켜 고정하는 공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연소기 미통(43)에 대해 시일 부재(71, 72)가 원주 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하지만, 볼록부(87)와 오목부(90)가 접촉함으로써, 이 시일 부재(71, 72)의 변위가 규제된다. 그 결과, 시일 부재(71, 72)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함으로써 연소 가스의 누설을 장기간에 걸쳐서 방지할 수 있어서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에 있어서는, 연소기 미통(43)에 설치되는 제1 플랜지부(63, 65)가 감합하는 제1 감합부(73, 76)와, 제1 플랜지부(63, 65)에 제1 감합부(73, 76)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핀(75, 78)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88)과, 제1 플랜지부(63, 65)에 대한 제1 감합부(73, 76)의 연소기 미통(43)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이동을 저지하는 볼록부(계지부)(87)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연소기 미통(43)에 대해 시일 부재(71, 72)가 원주 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하지만, 볼록부(87)와 오목부(90)가 접촉함으로써, 이 시일 부재(71, 72)의 변위가 규제된다. 그 결과, 시일 부재(71, 72)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함으로써 연소 가스의 누설을 장기간에 걸쳐서 방지할 수 있어서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가스 터빈에 있어서는 압축기(11)와 연소기(12)와 터빈(13)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시일 부재(71, 72)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함으로써 연소 가스의 누설을 장기간에 걸쳐서 방지할 수 있어서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12는 제2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시일 부재의 단면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에 있어서,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소기 미통(43)은, 직경 방향의 내측에 연출하는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소기 미통(43)은, 이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와 2개의 감합 벽(131, 132)에 의해 내주 측 제3 감합부(13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내주 측 시일 부재(72)는, 상류 측 단부에 3개의 감합 벽(81, 82, 83)에 의해 내주 측 제1 감합부(76)가 설치되고, 하류 측 단부에 3개의 감합 벽(84, 85, 86)에 의해 내주 측 제2 감합부(7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주 측 시일 부재(72)는,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가스 터빈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 돌출하는 볼록부(87)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87)는 감합 벽(81)의 단면으로부터 외측에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한편, 연소기 미통(43)은, 내주변에 있어서의 원주 방향의 중간부에 가스 터빈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 우묵하게 들어가는 오목부(계지부)(90)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90)는,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에 있어서의 평면부로부터 상류 측에 돌출하는 감합 벽(132)의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고, 감합 벽(131)과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에 연소기 미통(43)의 직경 방향으로 길게, 축심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공(134, 9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소기 미통(43)의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가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내주 측 제1 감합부(76)에 감합하는 동시에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감합 벽(81)이 연소기 미통(43)의 내주 측 제3감합부(133)에 감합하고, 연결 핀(78)이 장공(134), 관통 구멍(88), 장공(92)을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연소기 미통(43)과 내주 측 시일 부재(72)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볼록부(87)가 연소기 미통(43)의 오목부(90)에 억지로 들어가서 직경 방향에서 중첩되고, 볼록부(87)와 오목부(90)는, 연소기 미통(43)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틈새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에 있어서는, 연소기 미통(43)의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를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내주 측 제1 감합부(76)에 감합하는 동시에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감합 벽(81)을 연소기 미통(43)의 내주 측 제3감합부(133)에 감합하고, 연결 핀(78)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연소기 미통(43)과 내주 측 시일 부재(72)를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연소기 미통(43)과 내주 측 시일 부재(72)와의 연결 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13은 제3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시일 부재의 단면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에 있어서,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소기 미통(43)과 내측 슈라우드(62)는 내주 측 시일 부재(141)를 개재시켜 연결되어 있다. 내주 측 시일 부재(141)는 연소기 미통(43)의 하류 측 단부와 내측 슈라우드(62)의 상류 측 단부를 연결함으로써, 연소 가스가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다.
내주 측 시일 부재(141)는 연소기 미통(43)에 있어서의 가스 터빈의 직경 방향의 내측(축심 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류 측 단부가 연소기 미통(43)의 내주 측 제1 플랜지부(151)에 연결되고, 하류 측 단부가 내측 슈라우드(62)의 내주 측 제2 플랜지부(152)에 연결되어 있다. 연소기 미통(43)은, 하류 측 단부의 내주변 측으로부터 직경 방향의 내측(축심 측)에 연출하는 부착부(153)가 설치되고, 이 부착부(153)로부터 하류 측(내측 슈라우드(62) 측)에 연출하는 내주 측 제1 플랜지부(151)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슈라우드(62)는, 상류 측 단부의 내주 측(축심 측)으로부터 상류 측(연소기 미통(43) 측)에 연출하는 내주 측 제2 플랜지부(15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내주 측 시일 부재(141)는, 상류 측 단부에 상류 측(연소기 미통(43) 측)으로 개방하는 내주 측 제1 감합부(142)가 설치되고, 하류 측 단부에 하류 측(내측 슈라우드(62) 측)으로 개방하는 내주 측 제2 감합부(14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소기 미통(43)의 내주 측 제1 플랜지부(151)가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내주 측 제1 감합부(142)에 감합하고, 직경 방향을 따르는 연결 핀(144)이 내주 측 제1 플랜지부(151) 및 내주 측 시일 부재(72)를 관통함으로써, 연소기 미통(43)과 내주 측 시일 부재(141)가 연결된다. 또한, 내측 슈라우드(62)의 내주 측 제2 플랜지부(152)가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내주 측 제2 감합부(143)에 감합함으로써, 내주 측 시일 부재(141)와 내측 슈라우드(62)가 연결된다. 이 경우, 내주 측 제1 플랜지부(151)와 내주 측 제1 감합부(142) 사이에 직경 방향 틈새가 확보됨으로써 연소기 미통(43)과 내주 측 시일 부재(141)와의 열팽창 차이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내주 측 시일 부재(141)는, 내주 측 제1 감합부(142)의 상류 측에 돌출하는 볼록부(계지부)(14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연소기 미통(43)은, 부착부(153)의 선단부에 상류 측에 우묵하게 들어가는 오목부(계지부)(15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소기 미통(43)의 내주 측 제1 플랜지부(151)가 내주 측 시일 부재(141)의 내주 측 제1 감합부(142)에 감합하고, 연결 핀(144)이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연소기 미통(43)과 내주 측 시일 부재(141)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내주 측 시일 부재(141)의 볼록부(145)가 연소기 미통(43)의 오목부(154)에 억지로 들어가서 직경 방향에서 중첩되고, 볼록부(145)와 오목부(154)는, 연소기 미통(43)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틈새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에 있어서는, 연소기 미통(43)에 설치되는 내주 측 제1 플랜지부(151)가 내주 측 시일 부재(141)에 설치되는 내주 측 제1 감합부(142)에 감합하고, 연결 핀(144)이 내주 측 제1 플랜지부(151)와 내주 측 제1 감합부(142)를 관통함으로써, 내주 측 시일 부재(141)가 연소기 미통(43)에 연결되고, 내주 측 제1 감합부(142)에 설치되는 볼록부(145)가 부착부(153)에 설치되는 오목부(154)에 억지로 들어가는 것이다.
따라서 연소기 미통(43)에 대해 내주 측 시일 부재(141)가 원주 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하지만, 볼록부(145)와 오목부(154)가 접촉함으로써, 이 내주 측 시일 부재(141)의 변위가 규제된다. 그 결과, 내주 측 시일 부재(141)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함으로써 연소 가스의 누설을 장기간에 걸쳐서 방지할 수 있어서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연소기 미통(43)의 외주 측 제1 플랜지부(63)가 외주 측 시일 부재(71)의 외주 측 제1 감합부(73)에 감합하고, 연결 핀(75)이 외주 측 제1 플랜지부(63) 및 외주 측 시일 부재(71)를 관통함으로써, 연소기 미통(43)과 외주 측 시일 부재(71)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소기 미통(43)의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가 내주 측 시일 부재(72)의 내주 측 제1 감합부(76)에 감합하고, 연결 핀(78)이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 및 내주 측 시일 부재(72)를 관통함으로써, 연소기 미통(43)과 내주 측 시일 부재(72)가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각 연결 핀(75, 78)을 없애도 좋다. 외주 측 시일 부재(71)는, 외주 측 제1 감합부(73)가 연소기 미통(43)의 외주 측 제1 플랜지부(63)에 감합하고, 외측 슈라우드(61)의 외주 측 제2 플랜지부(64)가 외주 측 시일 부재(71)의 외주 측 제2 감합부(74)에 감합함으로써, 위치 결정이 유지된다. 또한, 내주 측 시일 부재(72)는, 내주 측 제1 감합부(76)가 연소기 미통(43)의 내주 측 제1 플랜지부(65)에 감합하고, 내측 슈라우드(62)의 내주 측 제2 플랜지부(66)가 내주 측 제2 감합부(77)에 감합함으로써, 위치 결정이 유지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연소기 미통(43)에 설치되는 제1 플랜지부(63, 65)를 시일 부재(71, 72)에 설치되는 제1 감합부(73, 76)에 감합하여 고정하고, 제1 감합부(73, 76)에 볼록부(87)를 설치하고, 제1 플랜지부(63, 65)에 오목부(90)를 설치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슈라우드(61, 62)에 설치되는 제2 플랜지부(64, 66)를 시일 부재(71, 72)에 설치되는 제2 감합부(74, 77)에 감합하여 고정하고, 제2 감합부(74, 77)와 제2 플랜지부(64, 66)의 한쪽에 볼록부를 설치하고, 다른 쪽에 오목부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87)가 연소기 미통(43)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돌출하고, 오목부(90)가 연소기 미통(43)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우묵하게 들어가는 것으로 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볼록부가 연소기 미통(43)의 축심 방향으로 돌출하고, 오목부가 연소기 미통(43)의 축심 방향으로 우묵하게 들어가는 것으로 해도 좋다. 즉, 볼록부와 오목부가 원주 방향으로 어긋났을 때에 접촉하는 바와 같은 위치에 설치되면 좋다.
11: 압축기
12: 연소기(가스 터빈 연소기)
13: 터빈
41: 연소기 외통
42: 연소기 내통
43: 연소기 미통(통)
61: 외측 슈라우드
62: 내측 슈라우드
63: 외주 측 제1 플랜지부
64: 외주 측 제2 플랜지부
65, 151: 내주 측 제1 플랜지부
66, 152: 내주 측 제2 플랜지부
70: 연소 가스 유로
71: 외주 측 시일 부재
72, 141: 내주 측 시일 부재
73: 외주 측 제1 감합부
74: 외주 측 제2 감합부
75, 78, 144: 연결 핀
76, 142: 내주 측 제1 감합부
77, 143: 내주 측 제2 감합부
87, 101, 122, 145: 볼록부(계지부)
90, 102, 111, 121, 154: 오목부(계지부)

Claims (13)

  1. 연소기용 통과 터빈용 슈라우드 사이에서 가스 터빈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로서,
    상기 연소기용 통과 상기 터빈용 슈라우드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제1 플랜지부가 상기 시일 부재에 설치되는 제1 감합부에 감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감합부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볼록부가 다른 쪽에 설치되는 오목부에 억지로 들어가고 있고,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에 의해 상기 제1 플랜지부에 대한 상기 제1 감합부의 상기 가스 터빈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이동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 핀이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감합부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연소기용 통과 상기 터빈용 슈라우드의 어느 한쪽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가스 터빈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측에 돌출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가스 터빈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측에 우묵하게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는, 상기 가스 터빈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틈새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는, 서로 대향하는 면이 곡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가 상기 제1 감합부에 감합함으로써 서로 상기 가스 터빈의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불능이며, 상기 연결 핀이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감합부를 관통함으로써 서로 상기 가스 터빈의 원주 방향으로 상대 이동 불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제2 감합부가 설치되고, 연소기용 통과 터빈용 슈라우드의 어느 다른 쪽에 설치되는 제2 플랜지부가 상기 제2 감합부에 감합함으로써 서로 상기 가스 터빈의 직경 방향으로 상대 이동 불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
  8. 연소기용 통과 터빈용 슈라우드 사이에서 가스 터빈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시일 부재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연소기용 통의 제1 플랜지부를 상기 시일 부재의 제1 감합부에 감합하는 공정과,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감합부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볼록부를 다른 쪽에 설치되는 오목부에 억지로 들어가게 하고,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에 의해 상기 제1 플랜지부에 대한 상기 제1 감합부의 상기 가스 터빈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이동을 저지하는 공정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부재의 조립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연결 핀을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감합부에 관통시켜 고정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부재의 조립 방법.
  10. 연소기용 통과 터빈용 슈라우드 사이에서 가스 터빈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시일 부재로서,
    상기 연소기용 통과 상기 터빈용 슈라우드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제1 플랜지부가 감합하는 제1 감합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에 대한 상기 제1 감합부의 상기 가스 터빈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이동을 저지하는 계지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에 상기 제1 감합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핀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부재.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에 계지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부재.
  13.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가 압축한 압축 공기와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하는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가 생성한 연소 가스에 의해 회전 동력을 얻는 터빈과,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시일 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KR1020187006518A 2015-09-08 2016-09-01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 및 조립 방법, 시일 부재, 가스 터빈 KR102056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76770 2015-09-08
JP2015176770A JP5886465B1 (ja) 2015-09-08 2015-09-08 シール部材の組付構造及び組付方法、シール部材、ガスタービン
PCT/JP2016/075696 WO2017043415A1 (ja) 2015-09-08 2016-09-01 シール部材の組付構造及び組付方法、シール部材、ガスタービ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044A true KR20180037044A (ko) 2018-04-10
KR102056046B1 KR102056046B1 (ko) 2019-12-16

Family

ID=55523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518A KR102056046B1 (ko) 2015-09-08 2016-09-01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 및 조립 방법, 시일 부재, 가스 터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61859B2 (ko)
EP (1) EP3348814B1 (ko)
JP (1) JP5886465B1 (ko)
KR (1) KR102056046B1 (ko)
CN (1) CN107949688B (ko)
TW (1) TWI627347B (ko)
WO (1) WO20170434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12552A1 (en) * 2015-04-24 2018-04-26 Nuovo Pignone Tecnologie Srl Gas turbine engine having a casing provided with cooling fins
JP5886465B1 (ja) * 2015-09-08 2016-03-16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シール部材の組付構造及び組付方法、シール部材、ガスタービン
JP6917278B2 (ja) * 2017-11-14 2021-08-11 三菱パワー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の環状シール及びガスタービン
US11047574B2 (en) * 2018-12-05 2021-06-29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ustor assembly for a turbine engine
JP7348784B2 (ja) 2019-09-13 2023-09-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出口シール、出口シールセット、及びガスタービン
JP6737969B1 (ja) 2020-02-18 2020-08-1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出口シール、及びこれを備えるガスタービン
US20230383667A1 (en) * 2022-05-31 2023-11-30 Pratt & Whitney Canada Corp. Joint between gas turbine engine components with bonded fastener(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9400A (en) * 1983-12-15 1987-07-14 General Electric Company Variable turbine vane support
JPS62176448A (ja) 1986-01-30 1987-08-03 石田 光男 開閉式サポ−タ−
EP1437863B1 (en) * 2001-10-16 2014-07-16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e based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JP3840556B2 (ja) * 2002-08-22 2006-11-0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燃焼器ライナのシール構造
JP2004169655A (ja) * 2002-11-21 2004-06-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タービンノズル支持構造
US6910853B2 (en) 2002-11-27 2005-06-28 General Electric Company Structures for attaching or sealing a space between components having different coefficients or rates of thermal expansion
US6860108B2 (en) * 2003-01-22 2005-03-01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Gas turbine tail tube seal and gas turbine using the same
US6814538B2 (en) 2003-01-22 2004-11-09 General Electric Company Turbine stage one shroud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service enhancement
JP4381276B2 (ja) * 2004-10-08 2009-12-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
US7527469B2 (en) * 2004-12-10 2009-05-05 Siemens Energy, Inc. Transition-to-turbine seal apparatus and kit for transition/turbine junction of a gas turbine engine
JP4476152B2 (ja) * 2005-04-01 2010-06-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US8142142B2 (en) * 2008-09-05 2012-03-27 Siemens Energy, Inc. Turbine transition duct apparatus
US8141879B2 (en) * 2009-07-20 2012-03-27 General Electric Company Seals for a turbine engine, and methods of assembling a turbine engine
TWI439604B (zh) * 2009-10-30 2014-06-01 Tsung Hsien Kuo Method and apparatus for burning and working of solid fuel powder into open combustion gas turbine burner.
US9879555B2 (en) 2011-05-20 2018-01-30 Siemens Energy, Inc. Turbine combustion system transition seals
JP5785056B2 (ja) * 2011-11-08 2015-09-24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
US8459041B2 (en) * 2011-11-09 2013-06-11 General Electric Company Leaf seal for transition duct in turbine system
JP5506834B2 (ja) * 2012-01-27 2014-05-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
US20130234396A1 (en) * 2012-03-09 2013-09-12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ition Piece Aft-Frame Seals
EP3299583B1 (en) * 2013-09-10 2019-10-3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Dual anti surge and anti rotation feature on first vane support
US10422244B2 (en) * 2015-03-16 2019-09-2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for cooling a turbine shroud
US10422239B2 (en) * 2015-03-18 2019-09-24 Siemens Energy, Inc. Seal assembly in a gas turbine engine
JP5886465B1 (ja) 2015-09-08 2016-03-16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シール部材の組付構造及び組付方法、シール部材、ガスタービン
JP6763519B2 (ja) * 2016-03-31 2020-09-30 三菱パワー株式会社 燃焼器およびガスタービ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8814B1 (en) 2020-04-01
WO2017043415A1 (ja) 2017-03-16
US20180347385A1 (en) 2018-12-06
TW201723303A (zh) 2017-07-01
TWI627347B (zh) 2018-06-21
EP3348814A1 (en) 2018-07-18
JP2017053252A (ja) 2017-03-16
EP3348814A4 (en) 2019-04-24
CN107949688A (zh) 2018-04-20
CN107949688B (zh) 2020-07-14
KR102056046B1 (ko) 2019-12-16
JP5886465B1 (ja) 2016-03-16
US10961859B2 (en)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7044A (ko) 시일 부재의 조립 구조 및 조립 방법, 시일 부재, 가스 터빈
US728437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ow emission gas turbine energy generation
US763150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gas turbine engines
EP2500655A1 (en) Gas turbine combustor and gas turbine
JP2005098678A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エミッションを低減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WO2019187559A1 (ja) 燃焼器及びそれを備えるガスタービン
KR102142896B1 (ko) 가스 터빈 연소기 및 트랜지션 피스
EP3309457B1 (en) Combustion dynamics mitigation system
JP2011141111A (ja) ターボ機械ノズル
JPWO2019003724A1 (ja) ガスタービンの1段静翼、ガスタービン、ガスタービンの静翼ユニット及び燃焼器アセンブリ
US11209163B2 (en) Gas turbine combustor, manufacturing method for gas turbine and gas turbine combustor
JP5606346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KR102021129B1 (ko) 연료 노즐,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및 가스 터빈
JP2008031870A (ja) ガスタービンのシール構造
JP7154984B2 (ja) タービン静翼及びガスタービン
US11976596B2 (en) Fuel supply pipe assembly, gas turbine combustor, and gas turbine
KR102186435B1 (ko) 터빈 블레이드, 터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WO2023140180A1 (ja) 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JP5514174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