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862A -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 - Google Patents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862A
KR20180036862A KR1020160126765A KR20160126765A KR20180036862A KR 20180036862 A KR20180036862 A KR 20180036862A KR 1020160126765 A KR1020160126765 A KR 1020160126765A KR 20160126765 A KR20160126765 A KR 20160126765A KR 20180036862 A KR20180036862 A KR 20180036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guide
reflected
guide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8352B1 (ko
Inventor
김형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6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3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36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14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polarised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having optical polarisation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라이트가이드를 통해 발산되는 빛의 일부 중 버려지는 빛을 재반사시켜 활용함으로써 광학 효율이 증대되고, 어느 한 방향의 편광 빔만이 전방으로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빛이 균일하게 발산되는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이 소개된다.

Description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 {LIGHT MODULE FOR VEHICLE WITH LIGHT GUIDE}
본 발명은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에 있어서, 라이트가이드에 의해 발산되는 빛의 광학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주행 방향의 사물을 잘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용도의 등화장치를 구비한다. 전조등이라고도 하는 램프는 차량이 진행하는 전방의 진로를 비추는 기능을 하는 조명등이다.
이러한 램프는 헤드램프, 안개등, 방향지시등, 브레이크등, 후진등으로 분류되어 각각 노면에 대해 빛을 조사하는 방향이 다르게 설정된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전구에서 조사된 빛이 전방으로 조사됨으로써 식별력을 제공하지만, 최근에는 외관 디자인의 향상을 위해 라이트가이드가 적용되어 빛이 특정 이미지를 가지고 조사되도록 한다.
종래의 라이트가이드는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옵틱이 형성되어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이 옵틱에 의해 전방을 향해 반사되어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라이트가이드는 평면상에 있는 옵틱에 의해 빛이 반사되는데, 전방으로 발산되는 빛에 대비하여 후방으로 발산되는 빛은 그대로 버려짐에 따라 광 효율이 저감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빛의 균일도가 저감됨은 물론 광 효율이 저감되어 시인 가능한 충분한 광량이 확보되지 못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KR 10-2014-0083807 A (2014.07.04)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라이트가이드에 의해 발산되는 빛 중 버려지는 빛을 최소화하여, 광학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은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켜 빛의 이동을 안내하며 일부 빛이 전방을 향해 발산되도록 이루어진 라이트가이드; 라이트가이드의 전방에 마련되어 라이트가이드에 의해 발산된 빛이 입사되고, 라이트가이드를 통해 입사된 빛 중 어느 한 방향의 편광빔은 투과광으로서 통과되고, 다른 방향의 편광빔은 반사광으로서 라이트가이드를 향해 반사되도록 구성된 편광반사체; 및 라이트가이드의 후방에 마련되어 편광반사체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이 입사되고, 빛이 투과광 및 반사광으로 라이트가이드를 향해 반사되도록 하는 확산반사체;를 포함한다.
라이트가이드는 내부에 다수의 노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치부는 라이트가이드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함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편광반사체는, 라이트가이드에 의해 발산된 빛 중 투과광만을 통과시키는 제1편광필름; 및 라이트가이드에 의해 발산된 빛 중 투과광은 통과시키고 투과광을 제외한 반사광은 라이트가이드를 향해 후방으로 반사시키는 제2편광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편광반사체는 전단에 제1편광필름이 결합되고 후단에 제2편광필름이 결합되어 제1편광필름과 제2편광필름 사이에 개재되는 결합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확산반사체에는 다수의 확산옵틱이 형성되어 입사된 빛이 확산옵틱에 의해 투과광 및 반사광으로 재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확산옵틱은 확산반사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에 따르면, 라이트가이드를 통해 발산되는 빛의 일부 중 버려지는 빛을 재반사시켜 활용함으로써 광학 효율이 증대된다.
또한, 어느 한 방향의 편광 빔만이 전방으로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빛이 균일하게 발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3은 도 1에 도시된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3은 도 1에 도시된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은 도 1에 도시된 같이,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100); 광원(100)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켜 빛의 이동을 안내하며 일부 빛이 전방을 향해 발산되도록 이루어진 라이트가이드(200); 라이트가이드(200)의 전방에 마련되어 라이트가이드(200)에 의해 발산된 빛이 입사되고, 라이트가이드(200)를 통해 입사된 빛 중 어느 한 방향의 편광빔은 투과광으로서 통과되고, 다른 방향의 편광빔은 반사광으로서 라이트가이드(200)를 향해 반사되도록 구성된 편광반사체(300); 및 라이트가이드(200)의 후방에 마련되어 편광반사체(300)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이 입사되고, 빛이 투과광 및 반사광으로 라이트가이드(200)를 향해 반사되도록 하는 확산반사체(4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광원(100), 라이트가이드(200), 편광반사체(300), 확산반사체(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광원(100)은 LED가 적용될 수 있으며, 라이트가이드(200)는 광원(100)인 LED로부터 입사되는 빛이 전방에 대해 발산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라이트가이드(200)의 전방에 마련되어 라이트가이드(200)에 의해 발산된 빛이 입사되는 편광반사체(300)가 구비되는데, 편광반사체(300)는 라이트가이드(200)를 통해 발산된 빛 중 어느 한 방향의 편광빔은 통과시키고 다른 방향의 편광빔은 반사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광원(100)에서 발생된 빛은 라이트가이드(200)로 입사되고, 라이트가이드(200) 내에서 빛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됨과 더불어 다양한 방향의 편광빔으로 발산되며, 라이트가이드(200)를 통해 발산된 빛 중 어느 한 방향의 편광빔은 투과광으로서 편광반사체(300)를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되고, 투과광 이외의 다른 방향의 편광빔은 반사광으로서 편광반사체(300)에 의해 반사되어 라이트가이드(200)를 향해 이동된다. 이때, 편광반사체(300)에 의해 반사되어 라이트가이드(200)를 향해 이동된 반사광은 다시 라이트가이드(200)에 의해 투과광 및 반사광으로 발산됨과 더불어, 라이트가이드(200)의 후방에 마련된 편광반사체(400)에 의해 투과광 및 반사광으로 재반사된다. 이로 인해, 라이트가이드(200) 및 편광반사체(400)에 의해 반사된 투과광과 반사광 중 투과광은 다시 편광반사체(400)를 통해 통과되어 외부로 조사되고 반사광은 편광반사체(300)에 반사됨을 반복함으로써 버려지는 빛이 최소화되어 광학 효율이 향상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라이트가이드(200)는 내부에 다수의 노치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치부(220)는 라이트가이드(20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라이트가이드(200)로 입사된 빛은 함몰됨에 따라 형성된 노치부(220)에 의해 전반사되어 전방으로 발산됨과 더불어 일부 빛이 라이트가이드(200)가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된다.
한편, 편광반사체(300)는, 라이트가이드(200)에 의해 발산된 빛 중 투과광만을 통과시키는 제1편광필름(320); 및 라이트가이드(200)에 의해 발산된 빛 중 투과광은 통과시키고 투과광을 제외한 반사광은 라이트가이드(200)를 향해 후방으로 반사시키는 제2편광필름(340);을 포함한다.
즉, 편광반사체(300)는 제1편광필름(320)과 제2편광필름(340)으로 구성되며, 제1편광필름(320)이 제2편광필름(340)의 전방 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편광필름(320)과 제2편광필름(340)을 구성함에 있어서, 투과광은 P 편광으로 이루어지고 반사광은 S 편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편광필름(320)은 P 편광으로 이루어진 투과광만이 통과되도록 구성되고 제2편광필름(340)은 P 편광으로 이루어진 투과광은 통과되고 S 편광으로 이루어진 반사광은 반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편광필름(320) 및 제2편광필름(340)은 이색성 물질을 염착시킨 PVA(Poly Vinyl Alcoho) 필름(편광소자)을 중심으로 편광소자의 보호체의 역할을 하는 TAC(Tri-acetate cellulose) 필름이 편광소자의 양면으로 접합된 형태인 TAC-PVA-TAC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편광반사체(300)는 전단에 제1편광필름(320)이 결합되고 후단에 제2편광필름(340)이 결합되어 제1편광필름(320)과 제2편광필름(340) 사이에 개재되는 결합렌즈(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제1편광필름(320)과 제2편광필름(340)은 결합렌즈(360)를 중심으로 결합렌즈(360)의 전면과 후면에 결합되도록 하여 제1편광필름(320)과 제2편광필름(340)이 일물의 편광반사체(30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렌즈(360)는 직선상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라이트가이드(200)의 전방에 고정됨에 따라 제1편광필름(320)과 제2편광필름(340)이 결합렌즈(360)에 고정됨으로써 라이트가이드(200)를 통해 발산된 빛이 제1편광필름(320) 및 제2편광필름(340)에 입사시 투과광과 반사광으로 정확히 분배되어 통과 및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라이트가이드(200)와 편광반사체(300)는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라이트가이드(200)와 편광반사체(30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공기층을 삭제하고 레진을 충진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라이트가이드(200)와 편광반사체(300) 사이에 레진을 충진시킬 경우 레진에 의한 굴절률까지 고려한 설계가 추가되어야 하는바, 공기층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가이드(200)의 후방에 마련되어 편광반사체(300)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이 입사되고 다수의 확산옵틱(420)이 형성됨으로써 입사된 빛이 확산옵틱(420)에 의해 투과광 및 반사광으로 재반사되도록 하는 확산반사체(400);가 구비된다. 여기서, 확산옵틱(420)은 확산반사체(40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라이트가이드(200)의 후방에 확산반사체(400)가 마련됨으로써 라이트가이드(200)를 통해 발산되지 못한 빛이 확산반사체(400)에 의해 재반사됨으로써 광학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즉, 라이트가이드(200)의 전방에는 편광반사체(300)가 마련되어 라이트가이드(200)에서 발산된 빛 중 투과광만이 편광반사체(300)를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되고 반사광이 반사되어 라이트가이드(200)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되는데, 이 반사광은 라이트가이드(200)에 의해 투과광 및 반사광으로 발산됨과 더불어 확산반사체(400)에 의해 반사광이 확산되어 투과광 및 반사광으로 재반사된다. 이로 인해, 광원(100)에서 조사된 빛이 라이트가이드(200)를 이동하면서 후방으로 발산된 빛과, 라이트가이드(200)의 전방에서 편광반사체(300)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이 확산반사체(400)에 형성된 확산옵틱(420)에 의해 확산되어 투과광 및 반사광으로 전방을 향해 재반사됨으로써 버려지는 빛을 최소화하여 모든 빛이 전방으로 조사됨에 따라 광학 효율이 향상된다.
이렇게, 확산반사체(400)에 의해 생성된 투과광 및 반사광은 편광반사체(300)를 통해 투과광은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되고, 반사광은 다시 라이트가이드(200) 및 확산반사체(400)에 의해 재반사된다. 이에 따라, 투과광만이 최종적으로 편광반사체(300)를 통과하여 조사됨에 따라 광학 효율과 점등 필링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라이트가이드(200)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에 따르면, 라이트가이드(200)를 통해 발산되는 빛의 일부 중 버려지는 빛을 재반사시켜 활용함으로써 광학 효율이 증대된다.
또한, 어느 한 방향의 편광 빔만이 전방으로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빛이 균일하게 발산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광원 200:라이트가이드
220:노치부 300:편광반사체
320:제1편광필름 340:제2편광필름
360:결합렌즈 400:확산반사체
420:확산옵틱

Claims (7)

  1.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켜 빛의 이동을 안내하며 일부 빛이 전방을 향해 발산되도록 이루어진 라이트가이드;
    라이트가이드의 전방에 마련되어 라이트가이드에 의해 발산된 빛이 입사되고, 라이트가이드를 통해 입사된 빛 중 어느 한 방향의 편광빔은 투과광으로서 통과되고, 다른 방향의 편광빔은 반사광으로서 라이트가이드를 향해 반사되도록 구성된 편광반사체; 및
    라이트가이드의 후방에 마련되어 편광반사체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이 입사되고, 빛이 투과광 및 반사광으로 라이트가이드를 향해 반사되도록 하는 확산반사체;를 포함하는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라이트가이드는 내부에 다수의 노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노치부는 라이트가이드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함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편광반사체는,
    라이트가이드에 의해 발산된 빛 중 투과광만을 통과시키는 제1편광필름; 및
    라이트가이드에 의해 발산된 빛 중 투과광은 통과시키고 투과광을 제외한 반사광은 라이트가이드를 향해 후방으로 반사시키는 제2편광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
  5. 청구항 4에 있어서,
    편광반사체는 전단에 제1편광필름이 결합되고 후단에 제2편광필름이 결합되어 제1편광필름과 제2편광필름 사이에 개재되는 결합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확산반사체에는 다수의 확산옵틱이 형성되어 입사된 빛이 확산옵틱에 의해 투과광 및 반사광으로 재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
  7. 청구항 6에 있어서,
    확산옵틱은 확산반사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
KR1020160126765A 2016-09-30 2016-09-30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 KR101918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765A KR101918352B1 (ko) 2016-09-30 2016-09-30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765A KR101918352B1 (ko) 2016-09-30 2016-09-30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862A true KR20180036862A (ko) 2018-04-10
KR101918352B1 KR101918352B1 (ko) 2018-11-14

Family

ID=61975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765A KR101918352B1 (ko) 2016-09-30 2016-09-30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3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717B1 (ko) * 1991-02-14 1994-08-03 Bakusutaa Daiagunosuchitsukusu Inc
JP2013515289A (ja) * 2009-12-21 2013-05-0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半透過性物品及びライトア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8974B2 (ja) 2003-09-02 2009-04-0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6259756A (ja) 2006-04-14 2006-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パネルモジュール
JP5526763B2 (ja) * 2009-12-24 2014-06-18 凸版印刷株式会社 隠蔽構造体を備えた照明装置と表示装置
JP5741166B2 (ja) * 2011-04-13 2015-07-01 凸版印刷株式会社 照明ユニット、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717B1 (ko) * 1991-02-14 1994-08-03 Bakusutaa Daiagunosuchitsukusu Inc
JP2013515289A (ja) * 2009-12-21 2013-05-0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半透過性物品及びライトア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352B1 (ko) 2018-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9455B2 (ja) 車両用ランプ装置
JP6040346B2 (ja) 自動車用の照明装置
JP5911397B2 (ja) 車両用前照灯
JP6560514B2 (ja) 車両用灯具
JP2012028155A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KR101628561B1 (ko) 입체 점등이미지 재생용 광학계 장치
JP6777432B2 (ja) 車両用灯具
CN106838759A (zh) 适于车辆的照明装置
US10598334B2 (en) Vehicle lamp
JP7332231B2 (ja) 車両用灯具
KR102585750B1 (ko) 차량용 조명 장치
JP6737644B2 (ja) 車両用灯具
KR101822259B1 (ko) 차량용 조명 장치
KR101918352B1 (ko) 라이트가이드가 구비된 차량용 광원 모듈
JP2018041711A (ja) 回り込み導光部を備えたレンズおよび車両用灯具
JP2014154522A (ja) 導光レンズ及び灯具
JP2020004483A (ja) 車両用灯具
KR20170088019A (ko) 자동차의 조명장치
JP6096528B2 (ja) 灯具
JP2016122520A (ja) 車両用ランプ
KR102392552B1 (ko) 차량용 램프
CN220338282U (zh) 光导装置、照明和/或信号指示装置以及机动车辆
WO2024024879A1 (ja) 車両用灯具
JP2017162786A (ja) 車両用照明装置
KR101843946B1 (ko) 리어콤비램프의 광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