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406A - 조립식 다목적 정자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다목적 정자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406A
KR20180036406A KR1020160126971A KR20160126971A KR20180036406A KR 20180036406 A KR20180036406 A KR 20180036406A KR 1020160126971 A KR1020160126971 A KR 1020160126971A KR 20160126971 A KR20160126971 A KR 20160126971A KR 20180036406 A KR20180036406 A KR 20180036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roof
sperm
pillar
colum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4456B1 (ko
Inventor
변덕규
Original Assignee
변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덕규 filed Critical 변덕규
Priority to KR1020160126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456B1/ko
Publication of KR20180036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다목적 정자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관, C 형강 등 건축 자재(생산이나 시공 과정에서 사용하고 남은 폐자재도 가능함)의 사용을 통해 견고하게 시공하고 휴식공간과 함께 농기구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창고를 제공하고 아울러 자가 발전을 통해 상용전원의 공급이 어려운 산간지 등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목적 정자는,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면서 각각 세워지고 저부가 지면에 정착되는 다수의 1층 기둥(11), 상기 1층 기둥들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에 창고의 공간을 형성하는 벽체(12),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창고 도어(13)로 이루어진 창고부(10)와; 상기 창고부의 위에 설치되는 2층 바닥, 상기 2층 바닥에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2층 기둥(26), 상기 2층 기둥들 사이에 배치되어 좌우 양측이 이웃하는 2층 기둥에 고정되면서 저부가 상기 2층 바닥에 지지되는 안전대(27), 상기 2층 기둥을 따라 배열되면서 상기 2층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측 가로보(28), 상기 지붕측 가로보의 상부에 상기 지붕측 가로보보다 높은 높이이면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행거봉(50), 상기 행거봉의 저부에 매달려 설치되는 센터 홀더(60), 상기 센터 홀더와 상기 지붕측 가로보에 걸쳐 설치되는 지붕(29)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정자부(20)와; 지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창고부와 정자부 중 일측 이상에 지지되어 상기 정자부의 출입통로를 제공하는 계단부(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지붕 위에 설치되며 태양광 에너지를 발전하는 태양광 모듈(40)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다목적 정자 및 이의 시공 방법{SELF ASSEMBLY MULTI PURPOSE PAVIL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본 발명은 정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관, C 형강 등 건축 자재(생산이나 시공 과정에서 사용하고 남은 폐자재도 가능함)의 사용을 통해 견고하게 시공하고 휴식공간과 함께 농기구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창고를 제공하고 아울러 자가 발전이 가능한 조립식 다목적 정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 마당, 과수원 등 야외에는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정자(팔각정, 육각정, 원두막 등)가 시공되어 사용된다.
일반적인 정자는 다수의 기둥, 마루 및 지붕으로 구성되며, 목재를 자재로 하여 시공되며, 목재는 친환경적이지만 부패하는 단점이 있고 또한 기후조건에 민감하여 잦은 보수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으며, 아울러, 대개 휴식공간만을 제공할 뿐 농기구 등의 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 효용성이 약하다.
또한, 정자는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어려운 곳 설치되기도 하며, 이러한 정자는 주간에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야간에는 조명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아 사용이 불가능하고, 따라서, 시공 지역이 매우 제한적이다.
특허문헌(공개특허 제10-2003-0037957호)은 원두막을 형성함에 있어서, 침상의 하부 공간에 물품 보관용 창고와 주방, 그리고 상기 물품 보관용 창고와 주방을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을 형성한 다목적 원두막으로서, 휴식공간인 침상 아래에 창고가 구성될 뿐이며, 건축자재를 사용하지 않아 강도가 약하고 잦은 보수를 필요로 하고 또한 자가 발전 시설이 구비되지 않아 야간에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공개특허 제10-2003-003795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관, C 형강 등 건축 자재(생산이나 시공 과정에서 사용하고 남은 폐자재도 가능함)의 사용을 통해 견고하게 시공하고 휴식공간과 함께 농기구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창고를 제공하고 아울러 자가 발전을 통해 상용전원의 공급이 어려운 산간지 등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조립식 다목적 정자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목적 정자는,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면서 각각 세워지고 저부가 지면에 정착되는 다수의 1층 기둥, 상기 1층 기둥들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에 창고의 공간을 형성하는 벽체,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창고 도어로 이루어진 창고부와; 상기 창고부의 위에 설치되는 2층 바닥, 상기 2층 바닥에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2층 기둥, 상기 2층 기둥들 사이에 배치되어 좌우 양측이 이웃하는 2층 기둥에 고정되면서 저부가 상기 2층 바닥에 지지되는 안전대, 상기 2층 기둥을 따라 배열되면서 상기 2층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측 가로보, 상기 지붕측 가로보의 상부에 상기 지붕측 가로보보다 높은 높이이면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행거봉, 상기 행거봉의 저부에 매달려 설치되는 센터 홀더, 상기 센터 홀더와 상기 지붕측 가로보에 걸쳐 설치되는 지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정자부와; 지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창고부와 정자부 중 일측 이상에 지지되어 상기 정자부의 출입통로를 제공하는 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붕 위에 설치되며 태양광 에너지를 발전하는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목적 정자 및 이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1층의 창고와 2층의 정자를 함께 마련하여 농기구 등을 휴대하여 운반하지 않고 창고에 보관토록 함으로써 농기구의 휴대에 따른 번거로움 해소하고, 강도가 큰 건축 자재(각관, C형강 등)를 사용하여 견고성을 높임으로써 내진성과 안정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건축 자재의 특성 상 다양한 크기의 재단(절단과 연결)이 가능하여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다.
그리고, 지붕 위에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여 자가 발전이 가능하고, 자체 생산한 전기에너지를 다른 사용처에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정자의 전기시설물에 공급하여 상용전원의 공급이 어려운 산간지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지붕이 상부에 거꾸로 매달린 센터 홀더를 통해 설치되어 층고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넓고 쾌적한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목적 정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목적 정자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목적 정자에 적용된 1층 창고부를 도시한 도면.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목적 정자의 2층 바닥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목적 정자에 적용된 2층 기둥과 안전대의 설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목적 정자에 적용된 지붕측 가로보의 시공 상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목적 정자에 적용된 행거봉과 센터 홀더의 설치 상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목적 정자에 적용된 행거봉과 센터 홀더의 설치 상태 정면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목적 정자에 적용된 서까래의 설치 평면도와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목적 정자에 적용된 계단의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목적 정자에 태양광 모듈이 적용된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목적 정자에 적용된 모듈 지지대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목적 정자의 다른 예로서, 태양광 모듈이 적용되지 않은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다목적 정자는, 1층의 창고부(10)와 2층의 정자부(20), 계단부(30) 및 태양광 모듈(40)로 구성되고, 창고부(10)와 정자부(20) 및 태양광 모듈(40)을 고정하기 위한 모듈 지지대(50)는 강을 재질로 하는 각관과 C 형강 등 고강도의 건축자재로 이루어진다. 이 건축자재는 신규 제품은 물론 생산 과정과 시공 과정에서 사용하고 남은 폐자재도 가능하다. 또한, 강을 재질로 하는 자재의 특성 상 외관이 자연적인 느낌을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모든 자재의 외부면에 천연 목재의 느낌을 주는 무늬목 시트, 목재 등이 부가될 수 있다.
1층의 창고부(10)는 다수(6각형의 정자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며 즉 6개)의 1층 기둥(11), 1층 기둥(11)들 사이를 막는 벽체(12), 벽체(12)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창고 도어(13)로 구성된다.
1층 기둥(11)은 각관(사각형)으로서 저부에 더 큰 단면적의 베이스판(11a)이 형성되고 이 베이스판에 앵커가 체결됨으로써 지면 위에 세워진다.
1층 기둥(11)은 2층 정자부(20)를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며 이를 위하여 상단부에 단면적이 더 넓은 지지판(11b)이 구성된다.
창고부(11)는 6개의 1층 기둥(11) 사이에 6개의 면이 형성되고, 모든 면에 벽체(12)가 조립될 수 있다. 벽체(12)는 철판 등으로서 좌우 양측이 이웃하는 1층 기둥(11)에 용접이나 볼팅 등을 통해 조립된다.
벽체(12)는 6면 모두에 조립되지 않고 일부의 면에만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다.
벽체(12)는 내부측의 단열재와 외부측의 외장재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며, 1층 기둥(11)의 안쪽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1층 기둥(11)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른 심미감의 저하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1층 기둥(11)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벽체(12)는 1층 기둥(11)들의 사이를 막아 이웃하는 것이 이들 사이의 1층 기둥(11)에서 만나도록 설치되고, 이 부분에서 벽체(12)들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1층 기둥(11)의 외부면에는 이웃하는 벽체(12)들과 면접촉되는 벽체 지지앵글(12a)이 적용되며, 또한 벽체(12)들의 바깥쪽에서는 벽체(12)들을 덮는 벽체 몰딩(12b)이 적용된다. 벽체 지지앵글(12a)은 필수적으로 사용되지 아니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사용된다.
벽체(12)는 시야 확보를 위하여 투명의 창이 구성될 수 있다.
벽체 지지앵글(12a)은 산형 또는 삼각형의 단면이 가능하고 1층 기둥(11)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벽체 지지앵글(12a)은 벽체(12)와 대응하는 길이로서 하나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2개 이상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벽체 몰딩(12b)은 하나의 1층 기둥(11)에 이웃하는 2개의 벽체(12)의 가장자리를 각각 감싸는 구조로서, 양측이 벽체(12)들의 각도에 맞는 각도로 벌어지는 구조이고, 각각의 벽체(12)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구는 벽체 몰딩(12b)과 벽체(12) 및 벽체 지지앵글(12a)을 함께 고정한다.
창고 도어(13)는 1층 기둥(11)들 사이의 모든 공간이 벽체(12)로 막힌 구조에서만 적용되고, 사용자가 창고부(10) 내부를 출입하도록 하는 모든 구조(회동식 등)가 가능하다.
2층의 정자부(20)는 2층 바닥, 상기 2층 바닥 위에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2층 기둥, 상기 2층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으로 구성된다.
상기 2층 바닥은 2층 바닥보(21)와 마루판(22)으로 이루어진다.
2층 바닥보(21)는 각관(사각형)으로서 길이방향의 양측이 각각 일정 각도로 경사(양측이 중앙을 향해 모아지는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는 2개의 2층 바닥보(21)가 하나의 1층 기둥(11) 위에서 견고하게 조립되기 위함이다.
즉,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2층 바닥보(21)는 1층 기둥(11)들을 따라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길이방향의 양측이 이웃하는 2개의 1층 기둥(11)들 위에 올려지고 반대로 설명하면 1개의 1층 기둥(11) 위에 이웃하는 2개의 2층 바닥보(21)가 올려진다.
이렇게 1개의 1층 기둥(11)과 2개의 2층 바닥보(21)가 조립되며, 바람직하게, 1층 기둥(11)의 지지판(11b)의 양측에 2개씩의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고 2층 바닥보(21)는 각각 2개씩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구를 통해 1층 기둥(11)과 조립된다.
2층 바닥보(21)는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더 큰 단면적의 접합판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2층 바닥보(21)는 1층 기둥(11)의 배열에 따라 6개의 면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고, 마루판(22)의 견고한 설치를 위하여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1층 기둥(11)들 사이에 횡방향을 따라 다수의 지지관(23)을 설치한다. 지지관(23)은 각관이 바람직하고,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일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르게는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1층 기둥(11)들 사이의 중앙부에 1층 센터 기둥(14)을 세우고, 1층 센터 기둥(14)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6개의 바닥보강 가로보(24)를 조립할 수 있다.
바닥보강 가로보(24)는 각관이며 길이방향의 일측은 1층 센터 기둥(14) 위에 올려지면서 체결구 등을 통해 조립되고 타측은 1층 기둥(11)의 지지판(11b) 위[2층 바닥보(21)들의 옆에 남은 공간]에 올려지면서 체결구 등을 통해 조립된다.
이와 같은 2층 바닥보(21)와 바닥보강 가로보(24)의 조립 상태에 따르면, 2층 바닥의 모든 부분에서 상부 하중에 대한 큰 버팀강성을 확보한다.
마루판(22)은 2층 바닥보(21)[지지관(23) 또는 바닥보강 가로보(24)] 위에 깔리며, 다수의 단위 마루판들이 2층 바닥의 형태에 맞춰 배열되면서 접착 또는 체결구로 조립된다.
한편, 바닥보강 가로보(24)는 2층 바닥보(21)보다 낮은 크기로 구성되어, 바닥보강 가로보(24) 위에 2층 바닥보(21)에 의해 둘레부가 막힌 일정 높이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공간은 마루판(22)이 설치되는 공간으로 활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에서처럼, 2층 바닥보(21) 위에 사이드 몰딩(25)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이드 몰딩(25)은 일측을 향해 개방된 공간을 갖는 C 형강으로서 개방부가 안쪽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마루판(22)의 테두리부가 내부의 공간에서 마감될 수 있다.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2층 기둥(26)은 각관(사각형)이며 길이방향(상하방향)의 양측에 각각 더 큰 단면적의 베이스판(26a)과 지지판(26b)이 구성된다.
2층 기둥(26)은 1층 기둥(11)의 상부와 연계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저부 즉 베이스판(26a)이 1층 기둥(11) 위에서 함께 고정된 2개의 2층 바닥보(21) 위에 볼팅이나 용접으로 고정되며, 따라서, 상부 하중이 2개의 2층 바닥보(21)와 1층 기둥(11)을 통해 분산되도록 하며, 도면에서처럼 상부로 가면서 벌어지는 각도로 경사지는 구조일 수 있고, 이를 통해 디자인적 심미감을 높이고 넓은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2층 정자부(20)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2층 기둥(26)들을 서로 연결함과 아울러 2층에서 추락 사고를 막기 위하여 안전대(27)가 적용된다.
안전대(27)는 횡방향의 상부 레일, 횡방향의 하부 레일, 상기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의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종방향의 연결바로 구성되고, 이들은 각관이 바람직하다.
안전대(27)는 상기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의 좌우 양측 단부에 더 큰 단면적의 접합판이 구성되어 이웃하는 2층 기둥(26)의 둘레면에 볼팅이나 용접으로 고정된다.
2층 기둥(26)들의 상부에는 지붕측 가로보(28)가 설치된다.
지붕측 가로보(28)는 2층 바닥보(21)처럼 길이방향의 양측이 경사진 각관으로서 전술한 2층 바닥보(21)의 배열처럼 2층 기둥(26)들을 따라 6각형의 테두리 형태로 배열되어 2층 기둥(26)과 조립되고, 이는 2층 바닥보(21)와 1층 기둥(11)의 조립과 동일할 수 있다.
지붕측 가로보(28)는 6각형의 틀의 형태로만 구성되지 아니하고 전술한 바닥보강 가로보(24)와 동일한 형태의 대들보가 구성될 수 있다.
6개의 지붕측 가로보(28) 중에서 태양광 모듈(40)을 설치하기 위하여 어느 일면에 배치되는 지붕측 가로보(28-1)는 다른 지붕측 가로보(28)보다 길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양측이 각각 돌출된다. 즉 지붕측 가로보는 제1지붕측 가로보(28)와 제2지붕측 가로보(28-1)로 구분되며, 제2지붕측 가로보(81)는 제1지붕측 가로보(28)보다 길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좌우 양측이 각각 돌출되어 상부에 태양광 모듈(40)을 설치하기 위한 구성이 결합된다.
도 8과 도 9에서 보이는 것처럼, 지붕(29)의 설치를 위하여 행거봉(50)과 센터 홀더(60)가 적용되며, 지붕(29)은 행거봉(50)과 센터 홀더(60)를 통해 매달리는 구조이다.
행거봉(50)은 행거봉 지지대(51)를 통해 지붕측 가로보 위에 설치된다.
행거봉 지지대(51)는 각관으로서 6개의 2층 기둥(26) 중에서 서로 대향되는 2개의 2층 기둥(26)과 같은 위치로서 제1지붕측 가로보(28) 위에 세워져 저부가 용접이나 볼팅으로 고정된다.
행거봉(50)은 2층 정자부(20)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길이방향의 양측이 각각 행거봉 지지대(51)의 상부에 용접이나 볼팅 등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행거봉(50)은 평면에서 볼 때 2층 정자부(20)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위치에 배열된다.
센터 홀더(60)는 서까래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한 목적이며, 행거봉(50)에 매달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2층 정자부(20)의 층고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행거봉(50)에 고정되는 행거봉 고정부(61), 행거봉 고정부(61)의 저부에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62) 및 연결부(62)의 저부에 형성되며 서까래를 지지하는 서까래 지지부(63)로 구성된다.
행거봉 고정부(61)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행거봉(50)의 저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 있고, 또는 틀 형태로 구성되어 행거봉(50)을 감싸면서 조임구로 고정될 수도 있다.
서까래 지지부(63)는 정자의 형태에 맞춰 6각형으로 구성되며, 6개의 면은 지붕측 가로보(28,28-1)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도 10과 도 11에서 보이는 것처럼, 지붕(29)은 서까래(29a)와 지붕재(29b)로 구성된다.
서까래(29a)는 바람직하게 각관으로서, 센터 홀더(60)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배열되면서 상부는 센터 홀더(60)에 저부는 지붕측 가로보(28,28-1)에 고정되며, 예를 들어 1개면에 2개씩 설치된다.
지붕(29)의 경사에 맞춰 서까래(29a)는 센터 홀더(60)를 기준으로 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 때, 센터 홀더(60)와 지붕측 가로보(28,28-1)가 지면에 대해 평행하므로 경사브래킷(29c,29d)을 매개로 하여 설치된다. 경사브래킷(29c,29d)은 2면의 면을 갖는 구조와 3개의 면을 갖는 구조 모두가 가능하고, 센터 홀더(60)와 지붕측 가로보(28,28-1)에 각각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지붕재(29b)는 한옥 느낌을 주기 위한 기와, 판재 등 다양한 자재의 사용이 가능하고 서까래(29a)에 볼팅 등으로 고정되며, 단 우천시 비가 정자부에 떨어지지 않도록 차수 처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지붕재(29b)의 안쪽에는 단열재(단열판)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지붕(29b)들 사이를 통해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지붕재(29b)들 사이는 누수 방지 처리된다. 누수 방지 처리는 지붕재(29b)들의 이웃하는 단부를 서로 겹쳐지도록 하는 방법, 실링재를 도포하거나 실링재를 끼우는 방법 등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센터 홀더(60)를 거꾸로 매달지 않고 지붕측 가로보(28)와 같은 높이로 보를 세운 후 이 보 위에 센터 홀더를 세워 서까래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렇게 되면 상기 보에 의해 천정에 지장물이 생겨 층고가 낮아보이게 되며, 센터 홀더(60)를 거꾸로 매달아 설치하면 천정에 상기 보와 같은 지장물이 없어 층고를 높이는 효과가 있어 실내 공간을 넓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2층 정자부(20)는 2층 기둥(26)들 사이가 개방되어 통풍이 잘되고 깨끗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며, 우천시와 동절기에도 안락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2층 도어(70)(도 2에 도시됨)가 구성될 수 있다.
2층 도어(70)는 예를 들어 상부가 지붕측 가로보(28) 또는 별도의 도어틀에 힌지 고정되어 저부가 상부를 향해 회전하면서 개폐 동작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 개폐되도록 쇽업소버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단(30)은 2층 정자부(20)에 올라가기 위한 것이며, 계단 틀(31)과 발판(32)으로 구성된다.
계단 틀(31)은 6각형의 정자 형태에서 최적의 동선을 고려하여 1차 계단부(31-1), 1차 방향전환부(31-2), 2차 계단부(31-3) 및 2차 방향전환부(31-4)로 구성된다.
1차 계단부(31-1)는 지면에서부터 시작하여 일정 높이 바람직하게 1층 기둥(11)의 중간 높이까지 형성되고, 1차 방향전환부(31-2)는 1차 계단부(31-1)의 상단부에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2차 계단부(31-3)는 1차 방향전환부(31-2)에서 1차 계단부(31-1)와 다른 방향으로서 2층의 높이까지 형성되고, 2차 방향전환부(31-4)는 2차 계단부(31-3)의 상단부에서 2층 정자부(20)를 출입할 수 있는 부분[2층 기둥(26)들 사이의 공간]에 걸쳐 형성된다.
도 12에서 보이는 것처럼, 계단 틀(31)은 각관으로 이루어지며 좌우 틀(31a), 좌우 틀(31a)들 사이에 연결되는 횡대(31b)로 구성된다.
좌우 틀(31a)은 발판(32)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메인 틀로서 하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강도의 각관으로 이루어진다.
횡대(31b)는 좌우 틀(31a)의 사이에 배치되어 좌우 양측이 좌우 틀(31a)에 용접 결합되며 발판(32)을 지지하고, 발판(32)의 견고한 지지를 위하여 횡대 본체 및 이 횡대 본체의 좌우 양측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며 좌우 틀(31a)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계단(30)은 별도의 다리를 사용하지 않고 설치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좌우 틀(31a) 중 1층 기둥(11)과 바닥보강 가로보(24)와 대향되는 부분은 1층 기둥(11)과 바닥보강 가로보(24)에 용접이나 볼팅 등을 통해 고정된다. 또한, 1층 기둥(11)과 바닥보강 가로보(24)와 먼 곳의 발판(32)쪽에서 처짐이 일어나지 않도록 경사형 지지대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단(30)에 다리가 적용되지 않으면 계단(30) 저부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점에서 이점이 있고, 물론,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발판(32)은 철판으로서 계단 틀(31)에 볼팅이나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또한, 계단(30)은 사용자의 추락 방지를 위하여 계단 난간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계단 난간은 각관이나 원형관으로서 계단 틀(31)의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수직바와 이 수직바들의 상부에 연결되는 핸드레일로 구성된다.
도 1, 도 2, 도 13, 도 14에서 보이는 것처럼, 태양광 모듈(4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이 사용되며, 모듈 지지대(80)를 통해 설치된다.
모듈 지지대(80)는 행거바(50)를 상측 기둥으로 사용하며, 1개 이상 바람직하게 2개의 하측 기둥(81), 하측 기둥(81) 위에 행거바(50)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가로 지지대(82), 행거바(50)와 가로 지지대(82)의 사이에 이들(50,8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세로 지지대(83)로 구성되며, 아울러, 태양광 모듈(40)을 경사지게 고정하기 위한 경사브래킷(84,85)이 포함된다.
하측 기둥(81)은 제2지붕측 가로보(28-1) 위에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2개가 세워지며 저부가 용접 등으로 고정되며, 태양광 모듈(40)이 하향 경사지므로 이에 맞는 높이로 이루어진 각관이 사용된다.
가로 지지대(82)는 행거바(50)와 동일한 길이로서 행거바(50) 보다 낮은 높이로 배치되며 하측 기둥(81)의 상부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세로 지지대(83)는 각관으로서 하부와 상부가 각각 가로 지지대(82)와 행거바(50)에 각각 경사브래킷(84,85)을 매개로 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은 모듈 지지대(80)는 틀의 형태로서 태양광 모듈(40)을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며, 예를 들어 태양광 모듈(40)은 좌우 양측이 세로 지지대(83)에 각각 볼팅 등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설치된다.
한편, 하측 기둥(81)은 태양광 모듈(40)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측 기둥(81)은 고정관 및 상기 고정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며 가로 지지대(82)가 고정되는 높이조절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관의 높이 조절 방식은 높이조절관에 다단의 높이조절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고정관에 상기 높이조절관과 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과 어느 하나의 높이조절공에 고정핀이 체결됨으로써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이 가능하고,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스크류식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이 없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태양광 모듈이 없는 예를 도시한 것이며, 전술한 예에서 태양광 모듈(40)을 지지하는 모듈 지지대(80)가 사용되지 않으며, 지붕측 가로보는 제1지붕층 가로보(28)가 사용된다.
태양광 모듈이 없는 경우에도 지붕(29)은 행거바(50)와 센터 홀더(60)를 매개로 하여 시공된다.
태양광 모듈(40)은 태양광으로 전기에너지를 발전하며, 발전된 전기에너지를 본 발명의 정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조명등이 갖추어질 수 있다.
내부 조명을 위하여 창고부(10)와 정자부(20)의 천정이나 벽면이나 기둥의 안쪽 면, 외부 조명을 위하여 지붕(29)의 서까래, 1,2층 기둥, 계단 등에 조명등이 설치되고, 이들 조명등은 태양광 모듈(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조명한다.
물론, 태양광 모듈(40)에서 발전된 전기에너지는 정자 외에 다른 용도로도 공급될 수 있고, 전력회사에 송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창고부, 11 : 1층 기둥
12 : 벽체, 13 : 창고 도어
20 : 정자부, 21 : 2층 바닥보
22 : 마루판, 23 : 지지관
24 : 바닥보강 가로보, 25 : 사이드 몰딩
26 : 2층 기둥, 27 : 안전대
28 : 지붕측 가로보, 29 : 지붕
30 : 계단, 31 : 계단 틀
32 : 발판, 40 : 태양광 모듈
50 : 행거봉, 51 : 행거봉 지지대
60 : 센터 홀더, 70 : 2층 도어
80 : 모듈 지지대,

Claims (8)

  1.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면서 각각 세워지고 저부가 지면에 정착되는 다수의 1층 기둥(11), 상기 1층 기둥들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에 창고의 공간을 형성하는 벽체(12),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창고 도어(13)로 이루어진 창고부(10)와;
    상기 창고부의 위에 설치되는 2층 바닥, 상기 2층 바닥에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2층 기둥(26), 상기 2층 기둥들 사이에 배치되어 좌우 양측이 이웃하는 2층 기둥에 고정되면서 저부가 상기 2층 바닥에 지지되는 안전대(27), 상기 2층 기둥을 따라 배열되면서 상기 2층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측 가로보(28), 상기 지붕측 가로보의 상부에 상기 지붕측 가로보보다 높은 높이이면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행거봉(50), 상기 행거봉의 저부에 매달려 설치되는 센터 홀더(60), 상기 센터 홀더와 상기 지붕측 가로보에 걸쳐 설치되는 지붕(29)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정자부와;
    지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창고부와 정자부 중 일측 이상에 지지되어 상기 정자부의 출입통로를 제공하는 계단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정자.
  2.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면서 각각 세워지고 저부가 지면에 정착되는 다수의 1층 기둥, 상기 1층 기둥들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에 창고의 공간을 형성하는 벽체,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창고 도어로 이루어진 창고부와;
    상기 창고부의 위에 설치되는 2층 바닥, 상기 2층 바닥에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2층 기둥, 상기 2층 기둥들 사이에 배치되어 좌우 양측이 이웃하는 2층 기둥에 고정되면서 저부가 상기 2층 바닥에 지지되는 안전대, 상기 2층 기둥을 따라 배열되면서 상기 2층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측 가로보, 상기 지붕측 가로보의 상부에 상기 지붕측 가로보보다 높은 높이이면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행거봉, 상기 행거봉의 저부에 매달려 설치되는 센터 홀더, 상기 센터 홀더와 상기 지붕측 가로보에 걸쳐 설치되는 지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정자부와;
    지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창고부와 정자부 중 일측 이상에 지지되어 상기 정자부의 출입통로를 제공하는 계단부와;
    상기 정자부의 지붕 위에 모듈 지지대(80)를 통해 경사지게 설치되며 태양광으로 전기에너지를 발전하여 공급하는 태양광 모듈(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정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자부의 2층 바닥은 상기 1층 기둥을 따라 배열되면서 상기 1층 기둥의 상부에 고정되는 2층 바닥보(21), 상기 2층 바닥보들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관(23), 상기 지지관 위에 설치되는 마루판(22), 일측을 향해 개방되는 공간을 갖는 C 형강으로서 상기 2층 기둥들 사이의 가장자리에 개방부가 안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사이드 몰딩(25)으로 구성되며, 상기 2층 바닥보는 각관으로서 길이방향의 양측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2개의 상기 1층 기둥 위에 각각 올려지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정자.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붕은 상기 센터 홀더의 둘레부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면서 상하부가 각각 상기 센터 홀더와 상기 지붕측 가로보에 경사브래킷을 매개로 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서까래(29a) 및 상기 서까래 위에 설치되는 지붕재(29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정자.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듈 지지대는 상기 지붕측 가로보 위에 상기 행거봉보다 낮은 높이로 세워지는 하측 기둥(81), 상기 하측 기둥 위에 상기 행거봉보다 낮은 높이이면서 상기 행거봉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로 지지대(82), 상기 가로 지지대와 상기 행거봉 사이에 상기 가로 지지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세로 지지대(83)로 이루어져 상기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정자.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2층 기둥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2층 기둥들 사이의 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2층 도어(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정자.
  7. 청구항 1에 의한 조립식 다목적 정자의 시공 방법으로서,
    다수의 1층 기둥을 일정한 배열로 세워 설치하는 제1-1단계, 상기 제1-1단계에서 설치된 1층 기둥들 사이에 벽체를 설치하는 제1-2단계로 이루어져 1층의 창고부를 시공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1단계에서 설치된 1층 기둥 위에 상기 1층 기둥들을 따라 2층 바닥을 시공하는 제2-1단계, 상기 제2-1단계에서 시공된 바닥의 둘레부에 안전대를 설치하는 제2-2단계, 상기 1층 기둥과 동일 선상의 상기 2층 바닥 위에 2층 기둥을 설치하는 제2-3단계, 상기 2층 기둥의 상부에 상기 2층 기둥들을 따라 지붕측 가로보를 설치하는 제2-4단계, 상기 지붕측 가로보의 상부에 상기 지붕측 가로보보다 높은 높이로 행거봉을 설치하는 제2-5단계, 상기 행거봉의 저부에 센터 홀더를 설치하는 제2-6단계, 상기 센터 홀더와 지붕측 가로보에 걸쳐 지붕을 설치하는 제2-6단계로 이루어져 2층의 정자부를 시공하는 제2단계와;
    지면에서부터 상기 정자부의 입구에 걸쳐 계단을 설치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정자의 시공 방법.
  8. 청구항 1에 의한 조립식 다목적 정자의 시공 방법으로서,
    다수의 1층 기둥을 일정한 배열로 세워 설치하는 제1-1단계, 상기 제1-1단계에서 설치된 1층 기둥들 사이에 벽체를 설치하는 제1-2단계로 이루어져 1층의 창고부를 시공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1단계에서 설치된 1층 기둥 위에 상기 1층 기둥들을 따라 2층 바닥을 시공하는 제2-1단계, 상기 제2-1단계에서 시공된 바닥의 둘레부에 안전대를 설치하는 제2-2단계, 상기 1층 기둥과 동일 선상의 상기 2층 바닥 위에 2층 기둥을 설치하는 제2-3단계, 상기 2층 기둥의 상부에 상기 2층 기둥들을 따라 지붕측 가로보를 설치하는 제2-4단계, 상기 지붕측 가로보의 상부에 상기 지붕측 가로보보다 높은 높이로 행거봉을 설치하는 제2-5단계, 상기 행거봉의 저부에 센터 홀더를 설치하는 제2-6단계, 상기 센터 홀더와 지붕측 가로보에 걸쳐 지붕을 설치하는 제2-6단계로 이루어져 2층의 정자부를 시공하는 제2단계와;
    지면에서부터 상기 정자부의 입구에 걸쳐 계단을 설치하는 제3단계와;
    상기 2층의 정자부의 지붕 상부에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정자의 시공 방법.
KR1020160126971A 2016-09-30 2016-09-30 조립식 다목적 정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974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971A KR101974456B1 (ko) 2016-09-30 2016-09-30 조립식 다목적 정자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971A KR101974456B1 (ko) 2016-09-30 2016-09-30 조립식 다목적 정자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406A true KR20180036406A (ko) 2018-04-09
KR101974456B1 KR101974456B1 (ko) 2019-05-02

Family

ID=6197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971A KR101974456B1 (ko) 2016-09-30 2016-09-30 조립식 다목적 정자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45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8050A (zh) * 2018-12-25 2019-03-19 天津市春华校园体育设施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型棋文化亭
CN110644820A (zh) * 2019-10-08 2020-01-03 王学东 一种正压岗亭
CN110984629A (zh) * 2019-11-27 2020-04-10 中徽绿管家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用于别墅区私家园林景观台
KR102205287B1 (ko) * 2020-09-22 2021-01-20 이흥주 태양열 집열판 점검대
CN112302375A (zh) * 2020-10-30 2021-02-02 戴倪平 一种利用太阳能蓄能的户外节能凉亭及使用方法
KR20220007936A (ko) * 2020-07-13 2022-01-20 노경숙 스마트 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957A (ko) 2001-11-07 2003-05-16 김순자 다목적 원두막
KR20050123230A (ko) * 2004-06-24 2005-12-29 코오롱건설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제공된 친수공간의 휴식 구조물
KR100836123B1 (ko) * 2007-01-12 2008-06-09 이병구 대나무 골재형 그늘막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957A (ko) 2001-11-07 2003-05-16 김순자 다목적 원두막
KR20050123230A (ko) * 2004-06-24 2005-12-29 코오롱건설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제공된 친수공간의 휴식 구조물
KR100836123B1 (ko) * 2007-01-12 2008-06-09 이병구 대나무 골재형 그늘막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8050A (zh) * 2018-12-25 2019-03-19 天津市春华校园体育设施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型棋文化亭
CN110644820A (zh) * 2019-10-08 2020-01-03 王学东 一种正压岗亭
CN110984629A (zh) * 2019-11-27 2020-04-10 中徽绿管家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用于别墅区私家园林景观台
KR20220007936A (ko) * 2020-07-13 2022-01-20 노경숙 스마트 헛
KR102205287B1 (ko) * 2020-09-22 2021-01-20 이흥주 태양열 집열판 점검대
CN112302375A (zh) * 2020-10-30 2021-02-02 戴倪平 一种利用太阳能蓄能的户外节能凉亭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456B1 (ko)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456B1 (ko) 조립식 다목적 정자 및 이의 시공 방법
US9915062B2 (en) Structure having convertible roof and walls
US4173855A (en) Prefabricated building frame structure
CN102444206B (zh) 可交叠组合之预制式模块建筑
AU2012211472A1 (en) Construction system, connector and method
US4073101A (en) Unit and combined housing structures
KR20190023375A (ko)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
KR101909136B1 (ko) 조립식 전원주택 시공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시공된 조립식 전원주택
CN202202580U (zh) 可交叠组合之预制式模块建筑
WO2010142032A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US4115962A (en)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CN115917098A (zh) 临时泳池罩和地板系统
KR20110107047A (ko) 조립식 주택
JP5563351B2 (ja) 建物ユニット
JP5356304B2 (ja) 建物
JP3177005U (ja) 自走式駐車場と、それを使用する仮設住宅施設
JP5563868B2 (ja) 建物の防水構造
CN213233815U (zh) 观景房
JP6075341B2 (ja) 木造軸組建物
JP3000701U (ja) ベランダ付き組立物置
JP4047211B2 (ja) 手摺および手摺ユニット
SE447744B (sv) Byggnadselement
WO20170115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orary housing
JP6949526B2 (ja) ユニット建物
RU65535U1 (ru) Многоугольный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д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