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375A -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 - Google Patents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375A
KR20190023375A KR1020170109069A KR20170109069A KR20190023375A KR 20190023375 A KR20190023375 A KR 20190023375A KR 1020170109069 A KR1020170109069 A KR 1020170109069A KR 20170109069 A KR20170109069 A KR 20170109069A KR 20190023375 A KR20190023375 A KR 20190023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vertical bar
bar
layered
low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권
Original Assignee
김용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권 filed Critical 김용권
Priority to KR1020170109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3375A/ko
Publication of KR20190023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에 관한 것으로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1층종바와, 상기 1층종바를 연결하는 1층횡바를 포함하는 하부블럭체와; 상기 하부블럭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1층종바의 상부에 결합되는 2층종바 및 2층종바를 연결하는 2층횡바를 포함하는 상부블럭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에 있어서, 상기 1층종바는 상측 일면에 결합공이 형성된 사각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2층종바는 상기 1층종바와 대응되는 사각 파이프로 형성되며 상기 1층종바의 상부에 결합되는 삽입돌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돌출구에는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하부블럭체의 1층종바의 종,횡 배열을 변경하고, 하부블럭체의 상부에 상부블럭체를 간편하게 조립하여 설치 장소 및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복층 건물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블럭체를 분리하여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 {Prefabricated duplex housing}
본 발명은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1층종바 및 1층종바를 연결하는 1층횡바를 포함하는 하부블럭체의 상부에 2층종바 및 2층종바를 연결하는 2층횡바를 포함하는 상부블럭체를 결합하는 것으로 1층종바의 상부에 2층종바를 간편하게 끼움 결합하여 다양한 크기의 복층 주택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주택은 기본 골조에 지붕과 벽을 조립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각종 창고, 야영이나 간이숙소 등은 물론 최근에는 여가문화의 확산으로 별장대용의 화장실, 주방, 침실 등 생활에 필요한 모든 공간이 확보되어 있고, 난방과 보온시설까지 갖춰진 조립식 주택의 보급이 급격히 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단층의 조립식 주택에서 크기와 층수를 가감할 수 있는 조립식 주택은 물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조립식 주택의 수요가 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조립식 주택이 제작되고 있으며 그 일예로 등록특허 제10-0427137호 '철재 조립식 주택'이 제시되었는데 이를 살펴보면 브라켓이 양측과 안쪽의 3방향에 고정된 관형상의 주받침대가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어 이들 사이에 가로지지대가 고정되며, 상기 각 주받침대의 양쪽 브라켓에는 상부측이 마루판재로 연결된 세로지지대가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마루판을 이루고, 브라켓이 세로지지대 방향과 안쪽의 2방향으로 고정된 관형상의 보조받침대가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어 이들 사이에 가로지지대가 고정되며, 상기 보조받침대의 브라켓이 상기 세로지지대의 외측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바닥부와; 브라켓이 상부 양측과 안쪽의 3방향에 고정된 주기둥이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어 이들 사이에 가로보가 고정되며, 상기 각 주기둥의 양쪽 브라켓에는 세로보가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브라켓이 세로보 방향과 안쪽의 2방향에 고정된 보조기둥이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어 이들 사이에 가로보가 고정되며, 상기 보조기둥의 브라켓이 상기 세로보의 외측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주기둥은 상기 주받침대에 각각 삽입 고정되고 상기 보조기둥은 상기 보조받침대에 각각 삽입고정되는 기둥부와; 지지프레임이 양쪽으로 구비되어 그 상단부가 서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지지프레임보다는 큰 면적을 가진 양쪽의 지붕본체가 상기 각 지지프레임 단위로 각각 고정되어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세로보를 볼트로써 서로 고정하여서 되는 지붕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바닥부, 기둥부, 지붕부의 3부분이 서로 끼워맞춤 될 수 있는 사이즈로 각각 구성하되, 각각의 구성부위가 1/2 이하로 절첩될 수 있게 하여 이송이 편리하며 축조에 소요되는 비용,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조립식 주택은 한 번의 제작으로 크기가 고정되어 주택의 크기 가변이 불가능하고 절첩식으로 연결되어 강풍 등의 악천후에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부에 또 다른 건축물을 조립식으로 결합이 곤란한 단층 구조로 제작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1층의 하부블럭체와 2층의 상부블럭체가 분리되어 필요한 장소에 이동이 용이함은 물론 하부블럭체와 상부블럭체의 복수개 결합하여 주택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설치 장소에 따라 하부블럭체의 1층종바 배열을 달리하여 조립식 주택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하부블럭체의 1층종바에 상부블럭체의 2층종바를 끼움 결합하여 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조립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골조가 금속재로 구비되며 H-빔과 각파이프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고, 철거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1층종바와, 상기 1층종바를 연결하는 1층횡바를 포함하는 하부블럭체와; 상기 하부블럭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1층종바의 상부에 결합되는 2층종바 및 2층종바를 연결하는 2층횡바를 포함하는 상부블럭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에 있어서, 상기 1층종바는 상측 일면에 결합공이 형성된 사각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2층종바는 상기 1층종바와 대응되는 사각 파이프로 형성되며 상기 1층종바의 상부에 결합되는 삽입돌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돌출구에는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부블럭체의 하부에는 상기 1층종바와 결합되며, 지면에 설치되어 하부블럭체를 지지하는 지지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지지구는 지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사각 판재의 고정구와 상기 1층종바와 결합되는 H-빔 형태의 지지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층종바의 결합공과 2층종바의 고정공에는 볼트 또는 고정핀이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블럭체의 1층종바의 종,횡 배열을 변경하고, 하부블럭체의 상부에 상부블럭체를 간편하게 조립하여 설치 장소 및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복층 건물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블럭체를 분리하여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의 골조는 금속재로 구비되어 철거시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의 골조 및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의 상,하부블럭체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의 다른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의 또 다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이하 '복층 주택'이라 함)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복층 주택(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하부블럭체(10)가 설치되고, 하부블럭체(10)의 상부에 상부블럭체(20)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 및 하부블럭체(20,10)는 사각 박스형태로 형성되나 설치 장소에 따라 골조의 배치를 변경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블럭체(20,10)의 골조 형태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1층종바(11)와, 상기 1층종바(11)를 연결하는 1층횡바(12)를 포함하는 하부블럭체(10)와; 상기 하부블럭체(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1층종바(11)의 상부에 결합되는 2층종바(21) 및 2층종바(21)를 연결하는 2층횡바(22)를 포함하는 상부블럭체(20)로 이루어진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에 있어서, 상기 1층종바(11)는 상측 일면에 결합공(11a)이 형성된 사각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2층종바(21)는 상기 1층종바(11)와 대응되는 사각 파이프로 형성되며 상기 1층종바(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삽입돌출구(23)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돌출구(23)에는 상기 결합공(11a)과 대응되는 고정공(2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블럭체(20,10)의 외면에는 창문(3), 출입문(4) 등이 구비되는 벽체판넬(2)이 시공되며, 상부에는 데코타일 등이 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블럭체(10)의 1층횡바(12)는 천장면과 바닥면을 시공할 수 있도록 상기 1층종바(11)의 상,하부에 이웃하는 1층종바(11)를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1층종바(11)는 종,횡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배열되며, 설치 장소의 면적에 따라 이격거리를 조정하여 복층 주택(1)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하나의 하부블럭체(10)의 일측에 또 다른 하부블럭체(10)를 구비하여 복층 주택(1)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블럭체(10)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블럭체(10)와 같은 크기의 상부블럭체(20)를 조립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하부블럭체(10)의 대략 절반 면적의 상부블럭체(20)를 하부블럭체(10)의 상부 일측에 하부블럭체(10)의 나머지 절반을 테라스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블럭체(10)의 상부 둘레에 난간(5)을 설치하거나 태양광모듈(6)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블럭체(10)의 1층횡바(12)는 H-빔으로 형성하여 하부블럭체(10)의 바닥면과 천장을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도록 이웃하는 1층종바(11)의 상부와 하부에 2중으로 결합되며, 1층종바(11)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하부블럭체(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복층을 형성하는 상부블럭체(20)는 하부블럭체(10)의 1층종바(11)와 대응되는 2층종바(21)와 1층횡바(12)와 마찬가지로 2층종바(21)의 상,하부를 연결하는 2층횡바(2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블럭체(10)와 상부블럭체(20)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철거 후 재활용이 가능함은 물론 하부블럭체(10)와 상부블럭체(20)를 이루는 H-빔과 각파이프의 2가지 형태를 이용하여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조립이 간편하고 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1층종바(11)와 2층종바(21)가 상호 결합되어 결합되어 파이프 형태의 1층종바(11)의 상부에 2층종바(21)의 하부에 돌출된 삽입돌출구(23)가 삽입되며 2층종바(21) 역시 1층종바(11)와 같은 형태의 사각 파이프로 형성되어 외관상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블럭체(20)의 상부에는 아치 형태의 지붕(25)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즉 트러스(truss) 구조로 상부에 렉산(lexan)을 시공할 수 있다.
물론, 상부블럭체(20)의 외부에 창문(3)과 출입문(4)이 구비된 벽체판넬(2)이 시공되며, 상기 벽체판넬(2)은 단열재 등이 구비된 석고보드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하부블럭체(10)의 하부에는 상기 1층종바(11)와 결합되며, 지면에 설치되어 하부블럭체(10)를 지지하는 지지구(3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지지구(30)는 지면에 고정수단(31)에 의해 고정되는 사각 판재의 고정구(32)와 상기 1층종바(11)와 결합되는 H-빔 형태의 지지바(33)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32)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31)으로 지면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바(33)는 상기 1층종바(11)와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바(33)와 1층종바(11)는 체결 수단 등으로 결합되어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층종바(11)의 결합공(11a)과 2층종바(21)의 고정공(23a)에는 볼트(40) 또는 고정핀(40)이 삽입 결합되어 상부블럭체(2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공(11a)에는 나사산을 가공하여 복수개의 볼트(40)를 체결하거나, 도 4와 같이 'ㄷ'자로 형성된 고정핀(50)을 삽입하여 상부블럭체(2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공(23a) 및 결합공(11a)은 볼트(40) 또는 고정핀(50)이 벽체판넬(2) 시공시 간섭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1층종바(11) 및 2층종바(21)의 삽입돌출구(23)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블럭체(20)의 2층종바(21) 및 하부블럭체(10)의 1층종바(11) 또는 1층횡바(12)의 일면에는 너트체(60)가 용접되고, 상기 2층종바(21)의 너트체(60)와 1층종바(11)의 너트체(60) 또는 2층종바(21)의 너트체(60)와 1층횡바(12)의 너트체(60)에 볼트고리(61)가 체결되어 턴버클(turnbuckle)과 같은 연결부재(62)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볼트고리(61)는 일측이 상기 너트체(60)에 나사 결합되고, 머리부가 환형으로 형성되어 각 볼트고리(61)가 연결부재(62)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이때, 연결부재(62)는 턴버클, 끈부재, 체인 등 볼트고리(61)를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부블럭체(20)의 결합과 해제가 매우 간편하고, 이송시 상부블럭체(20)를 분리하여 간편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부블럭체(10)와 상부블럭체(20)의 2 종류의 기본 골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이동이 매우 간편한 장점이 있고, 골조를 다양한 형태로 배치하여 즉, 수평 배치하여 구조와 면적을 사용자의 선택과 지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건축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복층 구조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블럭체(10)와 상부블럭체(20)의 골조들은 금속재로 형성되어 철거 후 재활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복층 주택 2: 벽체판넬
3: 창문 4: 출입문
10: 하부블럭체 11: 1층종바
12: 1층횡바 20: 상부블럭체
21: 2층종바 22: 2층횡바
23: 삽입돌출구 25: 지붕
30: 지지구 31: 고정수단
32: 고정구 33: 지지바
40: 볼트 50: 고정핀
60: 너트체 61: 볼트고리
62: 연결부재

Claims (4)

  1.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1층종바(11)와, 상기 1층종바(11)를 연결하는 1층횡바(12)를 포함하는 하부블럭체(10)와; 상기 하부블럭체(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1층종바(11)의 상부에 결합되는 2층종바(21) 및 2층종바(21)를 연결하는 2층횡바(22)를 포함하는 상부블럭체(20)로 이루어진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에 있어서, 상기 1층종바(11)는 상측 일면에 결합공(11a)이 형성된 사각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2층종바(21)는 상기 1층종바(11)와 대응되는 사각 파이프로 형성되며 상기 1층종바(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삽입돌출구(23)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돌출구(23)에는 상기 결합공(11a)과 대응되는 고정공(2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블럭체(10)의 하부에는 상기 1층종바(11)와 결합되며, 지면에 설치되어 하부블럭체(10)를 지지하는 지지구(3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지지구(30)는 지면에 고정수단(31)에 의해 고정되는 사각 판재의 고정구(32)와 상기 1층종바(11)와 결합되는 H-빔 형태의 지지바(33)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층종바(11)의 결합공(11a)과 2층종바(21)의 고정공(23a)에는 볼트(40) 또는 고정핀(50)이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블럭체(20)의 2층종바(21) 및 하부블럭체(10)의 1층종바(11) 또는 1층횡바(12)의 일면에는 너트체(60)가 용접되고, 상기 2층종바(21)의 너트체(60)와 1층종바(11)의 너트체(60) 또는 2층종바(21)의 너트체(60)와 1층횡바(12)의 너트체(60)에 볼트고리(61)가 체결되고, 각 볼트고리(61)는 연결부재(62)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
KR1020170109069A 2017-08-29 2017-08-29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 KR20190023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069A KR20190023375A (ko) 2017-08-29 2017-08-29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069A KR20190023375A (ko) 2017-08-29 2017-08-29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375A true KR20190023375A (ko) 2019-03-08

Family

ID=65800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069A KR20190023375A (ko) 2017-08-29 2017-08-29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337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5065A (zh) * 2019-04-22 2019-07-12 马诗涵 一种新型绿色节能房屋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117188B1 (ko) * 2019-01-04 2020-05-29 김현호 복층형 이동식 주택
KR20210146732A (ko) 2020-05-27 2021-12-06 송종운 실링유닛과 및 이를 이용한 간이주택용 벽체패널 조립체
KR102380944B1 (ko) 2020-10-22 2022-03-31 한경수 승하강이 가능한 지붕이 구비된 복층형 조립식 주택
CN117905313A (zh) * 2024-03-18 2024-04-19 山东长峰机械有限公司 一种工具房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188B1 (ko) * 2019-01-04 2020-05-29 김현호 복층형 이동식 주택
CN110005065A (zh) * 2019-04-22 2019-07-12 马诗涵 一种新型绿色节能房屋结构及其施工方法
KR20210146732A (ko) 2020-05-27 2021-12-06 송종운 실링유닛과 및 이를 이용한 간이주택용 벽체패널 조립체
KR102380944B1 (ko) 2020-10-22 2022-03-31 한경수 승하강이 가능한 지붕이 구비된 복층형 조립식 주택
CN117905313A (zh) * 2024-03-18 2024-04-19 山东长峰机械有限公司 一种工具房
CN117905313B (zh) * 2024-03-18 2024-05-10 山东长峰机械有限公司 一种工具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3375A (ko) 조립식 이동 복층주택
US6625937B1 (en) Modular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on
CN104755678B (zh) 模块化建筑物
US20180274254A1 (en) Container type combination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10208475B2 (en) Building modules
CA2862083C (en) Prefabricated module for a building
US8943759B2 (en) Dual-side unfoldable building modules
KR101131980B1 (ko) 건축 구조물
CA2862085A1 (en) Prefabricated panel for a building
CA28620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on of a building
WO2012129601A1 (en) Building system
KR101381408B1 (ko) 조립주택 구조물과 이것을 이용한 조립주택 시공방법
US20100058689A1 (en) Modular building for deployment in disaster regions
JP5563351B2 (ja) 建物ユニット
JP5356304B2 (ja) 建物
US3466828A (en) Modular wall construction
KR101086060B1 (ko) 조립식 건축모듈
JP2000154597A (ja) 建物の建築工法と、それに使用する部屋ユニット
AU2010100356A4 (en) A modular building
JP5563868B2 (ja) 建物の防水構造
KR100660210B1 (ko) 수평 대공간형 조립식 건축 모듈 및 그 시공방법
JP7286374B2 (ja) 建物
WO1998015695A1 (en) Multiple occupancy accommodation
JP2001220818A (ja) 鉄骨軸組構造
KR20130068273A (ko) 조립식 임시 숙소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