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210B1 - 수평 대공간형 조립식 건축 모듈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평 대공간형 조립식 건축 모듈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210B1
KR100660210B1 KR1020050126786A KR20050126786A KR100660210B1 KR 100660210 B1 KR100660210 B1 KR 100660210B1 KR 1020050126786 A KR1020050126786 A KR 1020050126786A KR 20050126786 A KR20050126786 A KR 20050126786A KR 100660210 B1 KR100660210 B1 KR 100660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large space
building
horizontal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봉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50126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0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주거기능별로 규격화된 건축 모듈을 사용하여 시공의 편의성과 신속성을 향상시키면서 특히 수평 대공간을 형성하는 수평 대공간형 조립식 건축 모듈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수평 대공간형 조립식 건축 모듈은, 수평 배치된 보;와, 상기 보가 수평 접합되는 제 1 기둥과 상기 보 사이에 접합되는 제 2 기둥으로 구성되는 기둥; 및, 상기 보사이에 접합되어 바닥과 천장으로 구성되는 조이스트를 포함하는 단위 건축 모듈들이 상하 및 좌우로 적층 연결 구성되고, 상기 적층된 모듈의 중앙측 기둥은 사전 제작후 현장 시공시 해체 또는 접혀져 모듈 수평방향으로 대공간을 형성하고, 중앙측 보들은 추가로 접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 및 좌우로 적층 연결되어 접합되는 적어도 4개 이상의 단위 건축 모듈들이 조립 시공된후 중앙측 기둥을 해체 또는 접어서 수평방향의 대공간을 형성함으로서, 건축 모듈의 수평방향 공간을 확장시킴은 물론, 보다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 가능하게 한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건축 모듈, 조립식 건축물, 수평 대공간형 건축 모듈, 임시보

Description

수평 대공간형 조립식 건축 모듈 및 그 시공방법{Large horizontal Space Type Building Module and Method for Execu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조립식 건축 모듈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모듈 연결 시공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위 모듈의 골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대공간형 조립식 건축 모듈에서 기둥의 해체를 통한 대공간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듈의 기둥과 보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상세도
도 5는 도 4의 조립식 건축 모듈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평 대공간형 조립식 건축 모듈의 단위 모듈을 도시한 구조도
도 7은 도 6의 단위 모듈을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평 대공간형 건축 모듈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2개의 장폭 단위 모듈인 경우를 도시한 구도조
(b)는 3개의 단폭 단위 모듈인 경우를 도시한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제 2 기둥의 접힘을 통한 수평 대공간을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 한 구조도
(b)는 요부도
(c)는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b....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모듈
100c....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수평 대공간형 건축 모듈
100c'...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수평 대공간형 건축 모듈
100c"...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수평 대공간형 건축 모듈
130.... 기둥 140.... 보
150.... 조이스트 A.... 단위 모듈의 공간
A'.... 수평 대공간
본 발명은 주거기능별로 규격화된 건축 모듈을 사용하여 시공의 편의성과 신속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건축 모듈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상하 및 좌우로 적층 연결되어 접합되는 적어도 4개 이상의 단위 건축 모듈들이 조립 시공된후 중앙측 기둥을 해체 또는 접어서 수평방향의 대공간을 형성함으로서, 건축 모듈의 수평방향 공간을 확장시킴은 물론, 보다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 가능하게 한 수평 대 공간형 조립식 건축 모듈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일반적인 조립식 건축 모듈은 컨테이너 하우스인데, 이와 같은 컨테이너 하우스는 통상 건축 건설현장에서 노동자들의 임시숙소로 많이 사용되는 임시용 하우스가 대부분이다.
즉, 영구 거주가 아닌 특정기간 동안만 임시적으로 사용하고, 다시 원하는 장소로 이동 간단하게 설치 사용하는 임시 거주용으로 주로 사용되는데, 이는 컨네티너 하우스 대부분이, 별도의 시공이 필요 없어 설치비용이 저렴하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알려진 컨테이너를 이용하는 하우스는 중단기적으로 사용할 건물을 주로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다층 건축물은, 각 층은 수평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컨테이너들에 의해 조립된다.
그리고, 컨테이너의 양 측면에는 출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통상이며, 이 출입구는 좌우 측면에 배열된 컨테이너의 출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수평으로 배열하여도 외측에 위치한 컨테이너의 출입구를 통해 내측 컨테이너로 출입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배열된 컨테이너 위에는 다시 복수개의 컨테이너가 배열 설치되어 또 다른 층을 형성하기도 하는데, 위층 컨테이너의 출입구에는 지상과 연 결된 계단이 설치된다.
그런데, 통상 컨테이너는 철재 마감재로 이루어져 있어 무거운 자중을 가지고 있고, 때문에, 컨테이너 위에 또 다른 컨테이너를 올려놓아도 컨테이너의 자중에 의해 그 구조물의 안정성이 어느 정도 유지되나, 강풍 및 지진 등과 같은 자연재해에 대해서는 매우 취약하다.
한편, 최근에는 이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고자 상하 적층된 컨테이너를 와이어 또는 클램프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단은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된 컨테이너를 건축 구조적인 검토없이 연결하므로 건물의 안정성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의 컨테이너를 이용한 건축물의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연구가 집중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조립 및 기능성은 향상시키면서, 조립식 건축 모듈을 이용하여 내구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건축물을 짓는 조립식 건축 모듈에 대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본 건의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5-0049015호에서는 조립식 건축 모듈에 대하여 개시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의 조립식 건축 모듈은 공간을 단위 모듈이상으로 확장시키는 것에 대하여는 개시된 바가 없는 것이다.
즉, 단위 모듈을 적충시킨 경우 보를 해체 또는 분할시키어 수평 방향으로의대공간을 제공함으로서, 보다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에 대응 사용하도록 하는 기술 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단위 건축 모듈의 적층시 그 내부 수평방향 공간을 확장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보다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 가능하게 한 수평 대공간형 조립식 건축 모듈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수평 배치된 보;
상기 보가 수평 접합되는 제 1 기둥과 상기 보 사이에 접합되는 제 2 기둥으로 구성되는 기둥; 및,
상기 보사이에 접합되어 바닥과 천장으로 구성되는 조이스트를 포함하는 단위 건축 모듈들이 상하 및 좌우로 적층 연결 구성되고,
상기 적층된 모듈의 중앙측 기둥은 사전 제작후 현장 시공시 해체 또는 접혀져 모듈 수평방향으로 대공간을 형성하고,
중앙측 보들은 추가로 접합 구성된 수평 대공간형 건축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서로 연결 접합되는 기둥과 보 및 바닥 천장의 조이스트로 기본 골격으로 하는 건축 단위 모듈을 제작하는 단계;
현장에서 단위 모듈들의 조립 시공시 적어도 4개 이상 상하 및 좌우로 적층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적층된 단위 모듈의 보사이에 접합된 중앙측 기둥을 해체하거나 접어서 2개의 모듈단위로 수평 대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및.
나머지 보들을 접합시키는 단계;
로 구성된 수평 대공간형 건축 모듈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관련된 조립식 건축 모듈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관련된 조립식 건축 모듈의 제작단계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제 1단계에서는 건축 모듈을 제작하는 단계인데, 이는 시공 현장에서 조립 시공을 하지 않고 공장에서 단위 모듈별로 미리 대량 생산하여 준비시킬 수 있고, 단지 현장에서는 조립작업만을 하기 때문에, 현장작업을 최소화시킨다.
따라서,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 특성상 촉박한 공기를 맞추는 데에 문제가 없고, 단지 건축 모듈은 현장에서 건축물을 완공하기 위한 전기배선, 상하수도관, 창틀 및 문틀 등을 조립 기공하면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공장의 시전 제작은 건축물의 용도와 특성에 맞게 다양한 건축 모듈의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학교건물로 예로 들면, 학생들이 항상 앉아서 공부하는 교실은 냉난방배관이 필요하지만 단순히 통로로 사용되는 복도와 계단은 냉난방배관이 필 요 없다. 아울러, 화장실은 상하수도 배관이 필요한 반면 교실이나 복도 등은 필요 없다. 따라서, 건축 모듈을 제작할 때에는 해당건물의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여 건축 모듈은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제 2단계는 시공 건물을 설계하는 단계이고, 제 3단계는 건축할 부지의 기초를 다지는 단계이다.
제 4단계는 건물 시공에 필요한 건축 모듈을 전용 공장에서 현장으로 운반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건축 모듈은 통상 운송이 가능한 편리하도록 사전에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단계는 전용공장에서 운반된 건축 모듈을 이용하여 건물을 시공하는 단계이다. 즉, 건축 모듈을 기중기를 이용하여 기초의 앵커볼트와 체결하여 기초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과 같이 수평 대공간에 관련되어 건물의 층수를 높이려면 기 설치된 건축 모듈 위에 또 다른 건축 모듈을 쌓아 올리면 된다. 이미 이와 같은 다층의 건축물의 경우 단위 모듈의 설계에 반영됨은 물론이다.
제 6단계는 건축 모듈로 이루어진 건물 상부에 지붕을 씌우는 단계이다. 지붕공사는 일반적인 건축부재를 사용하거나 별도로 특수 제작된 지붕용 모듈을 사용한다. 아울러, 완공된 모듈의 외벽에 별도의 외장공사를 수행하여 건축물의 외형을 주위경관과 어우러지게 꾸밀 수 있다.
다음, 도 1 및 도 2에서는 건축 모듈의 일예로 학교건물의 건축물에 적용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학교 교실용 건축 모듈(100)로서, 넓은 쪽이 교실부분이고 좁은 쪽은 복도부분이다.
이와 같은 교실용 모듈(100)은 너비방향으로 복수로 결합되면 하나의 교실을 형성하고, 교실 모듈(100) 중 일부에는 너비방향에 벽면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너비방향에 벽면이 형성된 교실 모듈(100)과 벽면이 형성되지 않은 모듈(100)을 혼합하여 배열하면 각각 분리된 교실과 복도로 이루어진 건축구조를 얻을 수 있다.
다음, 도 2에서는 도 1의 단위 모듈(100)들을 너비방향으로 길게 배열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각의 단위 모듈(100)은 기초(110)에 설치된 고정판(112)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예를 들어 3개의 모듈(100)이 하나의 교실(100')을 이루는 구조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20은 모듈(100) 상부에 형성된 배관공 즉, 천장매입형 에어콘 이나 각종 배관의 통과용 배관공이다.
한편,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건축 모듈의 일예를 설명한 것일뿐, 다양한 형태로 조립 시공됨은 물론이다.
다음, 도 3에서는 본 발명인 건축 모듈(100)의 골조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건축 모듈(100)은 통상적인 컨테이너와 비슷한 직사각형 형태인데, 건축 모듈(100)의 네 모퉁이와 양중점에는 기둥(130)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기둥(130)의 상하에는 보(140)가 수평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140)와 보(140) 사이에는 복수개의 조이스트(150)들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구조물의 바닥과 천장골조를 형성한다.
아울러, 건축 모듈(100)의 측면에는 수개의 보강부재(160)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벽면골조를 형성한다.
한편, 도 4에서는 상기 도 3의 'A'부위를 상세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 모듈(100)에서 기둥(130)은 실질적으로 하중을 감당하는 부분으로 통상 굽힙강도가 강한 각형강관으로 되어 있다.
상기 기둥(130)의 상단은 연결판재(170)가 결합되어 있고, 이 연결판재(170)는 건축 모듈(100)과 그 위로 적층되는 건축 모듈(100)을 결합하기 위해 마련된 부재이다. 이 연결판재(170)에는 볼트체결을 위한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기중기로 운반할 때에는 와이어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연결판재(170)의 결합공에 아이볼트를 체결한다.
바닥과 천장골조를 형성하는 조이스트(150)는 'ㄷ'형강이 사용되고, 조이스트(150)의 수직면에는 복수개의 배관통로(152)가 조이스트(15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관통로(152)에는 난방배관, 상하수도배관, 또는 전기배선이 설치된다.
그리고, 보(140)는 도 4와 같이 기둥에 볼트(144)체결된 연결 플레이트(142)에 용접 결합되는 각형강관이다, 그러나 ㄷ자 형강이나 기타 절곡된 형강 등을 보로 사용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다.
다음,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4개의 단위 모듈(100)들을 상하 및 좌우로 적층 연결하여 2층의 건축물로 시공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도 5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기둥(130)과 보(140)를 기본 골격으로 나타내었고, 기둥과 보의 연결 구조는 도 4와 같다.
한편, 도 5의 단위 모듈들이 적층된 건축 모듈(100a)의 경우 단위 모듈들이 적층되어도 중간에 기둥들이 있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 공간(A)은 단위 모듈에 제한되고, 따라서 특정 건축물 즉, 수평방향으로 공간이 필요한 회의실 등은 단위모듈로는 공간확보가 업렵다.
따라서, 다음의 도 6에서 도시한 변형된 단위 모듈(100b)을 이용하여 도 8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수평 대공간형 건축 모듈(100c)(100c')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 8의 본 발명의 수평 대공간형 건축 모듈(100c)(100c')을 제공하기 위하여는 본 발명의 단위 모듈(100b)는 구조가 도 5와는 다르게 변경되어야 한다.
즉, 일측 기둥(130)은 도 4와 같이 접합플레이트(142)가 기둥(130)에 체결되고, 이에 보(140)가 용접 접합되지만, 반대측 기둥(130')은 보(140)사이에 상,하부가 접합되어 있다.
이때, 도 6의 상세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140)의 끝 부분에 접합 플레이트(130'a)가 볼트(B)로서 체결 고정되고, 이 접합플레이트(130'a)에 원래의 것보다 길이가 짧아진 기둥(130')이 가 용접된다.
즉, 본 발명의 수평 대공간형 건축 모듈은, 도 7에서 중앙측 기둥(130')들을 건축 모듈의 현장 시공후 해체 분리하거나 도 9와 같이 접어서 2개의 단위 모듈에 해당하는 수평 대공간(A')을 제공하여야 하므로, 상기 기둥(130')은 접합플레이트(130'a)에 가 접합되어 있다.
물론, 기둥(130')들은 공장 제작후 현장 이동 및 조립 시공될 때 까지는 모듈의 구조를 유지하고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정도로는 가 접합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다음, 도 8a 및 도 8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에서 단위 모듈(100b)(100b')들의 적층후 시공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길이가 조정된 기둥(130')은 그 접합플레이트(130'a)(도 6)가 보(140)사이에서 분해 제거되고, 이때 사전에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140)들은 미리 기둥 제거전에 접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기둥이 해체되는 부위의 기둥(140)은 그 사이에 볼트(B) 체결되는 접합 플레이트(160)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공간이 넓어진 만큼 보의 연결 강도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상부 및 하부 단위 모듈(100b)의 접합는 보(140)들은 그 내부 접합플레이트(160)들을 볼트(B) 체결하고 이에 용접으로 견고하게 결합 고정시킨다.
다음, 도 8a 및 도 8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 전체 공간(A')은 일정하지만 보(140)의 길이를 조정하여 전체 확장된 수평 길이를 기준으로 2 또는 3의 보(140)들은 연결하는 형태로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도 8a의 경우에는 중앙 접합부분이 하중을 가장 많이 받게 되는 부위이므로 구조 간소화 면에서는 도 8a의 경우가 바람직하고, 강도 측면에서는 도 8b 가 바람직할 것이며, 물론 실제 시공환경도 요구되는 건축 구조적인 강도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하면 된다.
한편, 도 6 및 도 8에서 도면부호 h는 작업구멍 즉, 볼트 체결을 위한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구멍을 나타낸다.
다음, 9에서는 본 발명인 수평 대공간형 건축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그 특징은 기둥(130")을 도 8과 같이 완전하게 해체하지 않고, 접어서수평 대공간(A')을 구현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된 상하부 단위 모듈(100b)의 중앙측 접힘형 기둥(130")들을 좌우로 접어서 각각 단위 모듈 공간(A)을 수평 대공간(A')으로 변형 제공시키는 것이다.
이때, 도 9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된 수평 대공간형 건축 모듈(100c")에서는 보(140)사이로 구비되는 기둥(130")의 하단부는 도 6과 같이 보(140)에 볼트(B) 체결되는 접합부위(130"b)와 분리되어 있는 기둥(130")이 각각 외부에 경첩부재(200)와 가 접합철물(210)로 공정 제작이나 조립 시공시 까지는 연결 접합되어 있다.
다음, 도 8과 같이 보들의 연결 접합이 완료되면, 상기 가 접합철물(210)을 해체하고 기둥(130") 상부의 접합 플레이트(130"a)를 볼트 조작으로 보에서 해체하고, 기둥(13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접는다.
따라서, 도 9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첩부재(200)에 의하여 기둥(130") 은 접어지고, 따라서 도 9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모듈의 공간(A)은 합쳐져 수평 대공간(A')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도 9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혀진 기둥(130")이 모듈 바닥측으로 접혀지면 이부분에 의한 바닥측 공간에 필요한 차음재나 단열재 또는 온수파이프 (190)등을 시공하고 그 위로 바닥 마감재(180)로 처리하여 접혀진 기둥에 의한 공간을 활용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 도 9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 9b의 가 접합철물(210) 대신에 기둥 주위에 제작 및 이동 조립시공시에는 서로 접촉 지지되는 플랜지(200')를 갖는 기둥을 제공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이때 접혀지는 부위에는 플랜지(200')가 없고 그 외측으로 경첩부재(200)가 부착되어 있고, 물론 작업을 위한 구멍(h)이 사각보의 기둥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수평 대공간형 건축 모듈 및 그 시공방법은 단위 모듈의 적어도 2배가 되는 수평 공간을 확보하게 함으로서, 그 만큼 공간 설계나 활용도가 증대되어 실제 건축물 설계에서 부터 용도 활용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수평 대공간형 건축 모듈과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상하 및 좌우로 적층 연결되어 접합되는 적어도 4개 이상의 단위 건축 모듈들이 조립 시공된후 중앙측 기둥을 해체 또는 접어서 수평방향의 대공간을 형성함으로서, 건축 모듈의 수평방향 공간을 확장시킴은 물론, 보다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 가능하게 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7)

  1. 수평 배치된 보;
    상기 보가 수평 접합되는 제 1 기둥과 상기 보 사이에 접합되는 제 2 기둥으로 구성되는 기둥; 및
    상기 보사이에 접합되어 바닥과 천장으로 구성되는 조이스트;
    를 포함하는 단위 건축 모듈들이 상하 및 좌우로 적층 연결 구성되고,
    상기 적층된 모듈의 중앙측 기둥은 사전 제작후 현장 시공시 해체 또는 접혀져 모듈 수평방향으로 대공간을 형성하고,
    중앙측 보들은 추가로 접합 구성된 수평 대공간형 건축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체되어 수평 대공간을 형성하는 기둥은 보에 체결된 접합 플레이트에 가 용접되고, 모듈의 조립 시공후 접합 플레이트와 일체로 보에서 해체되어 수평 대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혀지는 기둥은 보에 체결된 접합플레이트에 용접 결합된 접합부분에 가 접합철물과 경첩부재로 접합되고, 모듈의 조립 시공후 가 접합 철물의 분해시 경첩부재로서 접혀져 모듈 바닥측에 제공되면서 수평 대공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이 해체 또는 접어져 수평 대공간을 형성하는 단위 모듈의 보들은 서로 볼트 체결되는 끼움부재에 용접 연결되고, 단위 모듈의 상하측으로 접하는 보들은 용접된 접합플레이트이 체결되어 수평대공간을 형성하는 모듈의 보 강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모듈.
  5. 서로 연결 접합되는 기둥과 보 및 바닥 천장의 조이스트로 기본 골격으로 하는 건축 단위 모듈을 제작하는 단계;
    현장에서 단위 모듈들의 조립 시공시 적어도 4개 이상 상하 및 좌우로 적층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적층된 단위 모듈의 보사이에 접합된 중앙측 기둥을 해체하거나 접어서 2개의 모듈단위로 수평 대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및.
    나머지 보들을 접합시키는 단계;
    로 구성된 수평 대공간형 건축 모듈 시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체되는 기둥은 보에 체결된 접합 플레이트에 가 용 접된 상태에서 시공후 접합 플레이트의 보 분해로 일체로 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모듈 시공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혀지는 기둥은 보 접합부위와 기둥이 가 접합 철물과 경첩부재로 임시 가 접합되고, 현장 조립 시공후 가 접합철물의 해체후 보 접합부위를 두고 나머지 기둥이 접혀져 수평 대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모듈 시공방법.
KR1020050126786A 2005-12-21 2005-12-21 수평 대공간형 조립식 건축 모듈 및 그 시공방법 KR100660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786A KR100660210B1 (ko) 2005-12-21 2005-12-21 수평 대공간형 조립식 건축 모듈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786A KR100660210B1 (ko) 2005-12-21 2005-12-21 수평 대공간형 조립식 건축 모듈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0210B1 true KR100660210B1 (ko) 2006-12-21

Family

ID=3781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786A KR100660210B1 (ko) 2005-12-21 2005-12-21 수평 대공간형 조립식 건축 모듈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02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477A (ko) * 2014-09-16 2016-03-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닛 모듈러 접합 시스템 및 방법
KR102253062B1 (ko) 2020-06-24 2021-05-17 유한회사 예원농업회사법인 조립식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477A (ko) * 2014-09-16 2016-03-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닛 모듈러 접합 시스템 및 방법
KR101668761B1 (ko) * 2014-09-16 2016-10-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닛 모듈러 접합 시스템 및 방법
KR102253062B1 (ko) 2020-06-24 2021-05-17 유한회사 예원농업회사법인 조립식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63371A (en) Erection of prefabricated houses
CN108779637B (zh) 模块化建筑结构
JP5833564B2 (ja) 建築用パネル化構造システム
US4592175A (en) Modular habitation structure
ES2333636B1 (es) Modulo semirresistente prefabricado para construccion y procedimientode montaje en obra del mismo.
JP2006152557A (ja) スチールハウスの構造形式および構築方法
WO2021186481A1 (en) System for architectural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KR20130044574A (ko) 조립식 건축의 단위유닛 및 이에 의한 조립식 건축물
US3762112A (en) Modular build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534515A (en) Prefabricated building unit and structures made therefrom
KR100660210B1 (ko) 수평 대공간형 조립식 건축 모듈 및 그 시공방법
KR101980663B1 (ko) 컨테이너용 모듈러 유닛
KR100660211B1 (ko) 수직 대공간형 조립식 건축 모듈 및 그 시공방법
US20160333568A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JPH1046664A (ja) 梁貫通型鉄骨架構システム
KR101086060B1 (ko) 조립식 건축모듈
US3466828A (en) Modular wall construction
US20150000223A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JP7286375B2 (ja) 建物
JP7286374B2 (ja) 建物
TWI814113B (zh) 用於具有承重牆的多層建築之預鑄樓地板天花板走廊板
KR102580908B1 (ko) 철골 3d 모듈러 유닛의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방법
JP5762188B2 (ja) 簡易建築構造体
US5571230A (en) Hand-tool-assemblable and -disassemblable building
JP7056830B2 (ja) ユニット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