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964A -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 - Google Patents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964A
KR20180035964A KR1020160125358A KR20160125358A KR20180035964A KR 20180035964 A KR20180035964 A KR 20180035964A KR 1020160125358 A KR1020160125358 A KR 1020160125358A KR 20160125358 A KR20160125358 A KR 20160125358A KR 20180035964 A KR20180035964 A KR 20180035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ir
fixing
reinforcing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5561B1 (ko
Inventor
김상구
윤현기
김인호
고종철
천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Priority to KR1020160125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561B1/ko
Publication of KR20180035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6Spacers having means to adapt the spacing d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는 철근의 끝 부분과 결합하는 한 쌍의 몸통체와 상기 몸통체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구멍을 구비하여, 한 쌍의 철근을 연결하면서 함께 정착시키는 정착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몸통체는, 중앙부에 상기 철근에 형성된 철근나사부와 결합하는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정착판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정착판은, 상기 한 쌍의 결합구멍을 2분할하되 분할된 결합구멍을 각각 한 쌍씩 포함하도록 형성된 제1판과 제2판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Dual type rebar anchoring device}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에 삽입되는 철근의 정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2개의 철근에 동시에 설치할 수 있고, 콘크리트 측면파열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에 관한 것이다.
철근 콘크리트조 구조물에서 보와 기둥의 접합부에 삽입되는 인장 철근의 정착을 위하여, 종래부터 해당 부위의 철근 끝 부분을 구부려 배근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다.
그런데 이러한 구부러진 철근은 굽힘부에 의해 다른 철근과의 배근관계가 복잡해져서 배근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배근 후에는 굽힘부 부위의 철근이 과밀하여 콘크리트가 충분히 충전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철근의 끝 부분을 구부리는 대신에 별도의 정착구를 장착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확대머리 정착구를 사용한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확대머리 정착구는 국내공개특허공보 2001-0076863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의 확대머리 정착구(1)는 원판형으로 넓게 형성된 확대머리 정착판(2)과 상기 정착판의 하부에서 원통형으로 연장 형성된 몸체(3)를 구비한다.
몸체(3)에는 철근(10)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구멍(7)이 형성되어 있으며, 정착판(2)은 상기 몸체(3)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므로 콘크리트 인장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구조물 슬래브(5)와 접합 되는 기둥(6) 부위 같은 곳에서, 기둥 콘크리트에 수직으로 삽입된 철근(10)이 강한 인장하중(P)을 받게 되면 정착구(1)의 돌출된 정착판(2)에 의하여 전단저항력(V)(V')이 콘크리트에 발생한다. 그리고 이 전단저항력(V)(V')에 의해 수평분력(V1)(V'1)과 수직분력(V2)(V'2)이 콘크리트에 작용하게 된다.
이때 정착판이 콘크리트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수직분력(V2)(V'2)은 철근의 부착력과 함께 인장하중(P)에 저항하는 유효 정착력으로 작용한다.
이에 반해, 수평분력(V1)(V'1)은 정착력에 기여하지 못하는 불필요한 힘이 된다. 특히 기둥 외곽 쪽에 위치한 철근에 장착된 정착구의 정착판(2)에서 콘크리트 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내밈길이(4)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분력(V1)은 도 1에 빗금부(R)로 도시된 기둥 측면 일부를 파괴하여 떨어져 나가게 하는 측면파열(Side Blow-Out) 파괴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측면파열 파괴를 막으려면, 상기 청착구의 돌출된 내밈길이(4)의 위치를 좀 더 콘크리트 내부로 이동시켜서 콘크리트 측면 표면까지의 피복두께(L)를 최소허용치(구조설계기준상의 보와 기둥의 최소 피복두께는 40mm)까지 확보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 경우엔 정착구가 부착되어 있는 철근도 콘크리트 내부로 이동되는 셈이므로, 결국 철근은 보나 기둥의 중심부로 몰려 배근 되고 철근과 콘크리트 측면 표면 사이의 피복두께는 지나치게 두꺼워져, 부재 내력이 저하된다.
그런데 이러한 문제가 있어도 종래에는 상기 정착판의 돌출된 내밈길이(4)의 돌출 길이를 함부로 줄일 수 없다.
그 이유는 정착판 돌출길이가 짧아지면 정착판과 콘크리트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정착판이 결합된 철근의 정착력도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일본특허 제3323309호에서는 정착구에 근접하여 전단저항력이 부족해진 콘크리트 측면 부분에 별도의 보강판을 덧대어 설치함으로써 측면파열 파괴를 막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안은 추가적인 비용과 작업공수가 소요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2001-0076863호 일본특허 제332330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확대머리 정착구에 비하여 콘크리트의 측면파열 파괴 현상의 발생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정착구의 정착판 두께도 감소시키면서 시공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두 개의 철근에 동시에 지지가 되는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는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에 삽입된 철근을 정착시키는 철근 정착구로서, 상기 철근의 끝 부분과 결합하는 한 쌍의 몸통체와; 상기 몸통체가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구멍을 구비하여, 한 쌍의 철근을 연결하면서 함께 정착시키는 정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통체는, 중앙부에 상기 철근에 형성된 철근나사부와 결합하는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정착판이 결합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정착판은, 상기 한 쌍의 결합구멍을 2분할하되 분할된 결합구멍을 각각 한 쌍씩 포함하도록 형성된 제1판과 제2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통체의 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결합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정착판 부위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상기 몸통체 외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몸통체는, 상기 홈의 형성에 따라 홈 앞쪽의 전방지지부와 홈 뒤쪽의 후방지지부가 형성되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판과 제2판의 외측 둘레부에는 상기 제1판과 제2판을 결합시키기 위한 묶음부를 더 형성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결합구멍 중 적어도 하나는 결합되는 몸통체의 설치위치 이동이 가능한 장공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은 종래 확대머리 정착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 측면, 즉 피복방향 쪽 정착판 내밈길이를 최소화하여 충분한 피복두께를 확보함으로써,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에 발생하는 측면파열 파괴현상을 저감하고 구조부재 내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정착판과 몸통체가 분리되어 있고, 정착판도 2분할되어 있으므로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정착구는 두 가닥의 철근에 함께 장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착판은 양단이 지지가 된 구조를 가지므로, 단일 철근용 정착판에 비해 보다 고하중에 견딜 수 있으며, 동일 하중 조건에서라면 단일 철근용 정착구의 정착판에 비해 그 두께를 얇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철근의 배근 위치에 오차가 있더라도, 소정 오차 이내에서는 정착구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조립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배근 된 철근에 본 발명을 체결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작용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편의상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다. 그런데 이러한 용어들은 설계자나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내용을 참작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앞', '뒤', '좌, '우', '선단', '전방', '후단', '후방'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이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체결' 등이 되었다고 기재한 경우는, 중간 매개 구성요소를 통한 간접적 방법으로 이루어진 '연결', '결합' 또는 '체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 구성요소를 분리해서 그린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구성요소들을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례의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는 철근(10)의 끝 부분과 결합하는 한 쌍의 몸통체(30)와 이 한 쌍의 몸통체(30) 각각의 외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구멍을 구비한 정착판(20)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철근(10)의 끝 부분에 철근나사부(11)를 형성한다. 그리고 몸통체(3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중앙부에 중심축 방향으로 나사구멍(33)을 형성하여, 상기 철근 나사부(11)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원통형 몸통체(30)의 외면에는 정착판(20)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32)를 형성한다. 이 결합부(32)는 상기 원통형 외면 둘레를 빙 둘러서 형성한 홈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홈에 정착판(20)의 제1결합구멍(21)과 제2결합구멍(22)을 형성하고 있는 정착판 부위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렇게 결합부(32)를 홈으로 형성하면, 도 2의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 몸통체(30)가 상기 홈을 기준으로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홈 앞쪽 부분을 전방지지부(31), 홈 뒤쪽 부분은 후방지지부(31')라 칭한다. 상기 전방지지부(31)와 후방지지부(31')는 결합부(32)에 삽입된 정착판(20)에 인장하중이 작용해도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의 정착판(20)은 한 쌍의 철근 단부를 연결하면서 장착되므로, 전체적으로 기다란 판재 형태를 갖는다.
이 판재형태 정착판(20)의 좌우 양단 쪽으로는 상기 몸통체(30)와 체결할 수 있는 결합구멍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멍은 편의상 제1결합구멍(23)과 제2결합구멍(24)으로 구분한다.
상기 결합구멍은 결합되는 몸통체(30)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장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장공은 한 쌍의 결합구멍 모두에 적용할 수도 있고, 하나의 결합구멍에만 적용하여도 좋다.
도 3에 도시된 실시례는, 제2결합구멍(24)만을 상기 장공으로 형성하여 몸통체(30)를 가변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하고, 제1결합구멍(23)은 몸통체의 결합부(32)에 꼭 맞게 결합 고정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 장공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타원과 유사하나, 상변과 하변은 직선으로 형성하고 좌우 단부를 반원형의 곡선으로 형성한다.
상기 상변과 하변 사이의 간격, 즉 작은 지름은 결합부(32)에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한다. 다시 말해 상변과 하변의 간격은 몸통체의 전방 지지부(31)와 후방 지지부(31')의 최대 직경보다 작아서 몸통체 결합부(32)에 결합하였을 때 저절로 이탈되지 않는 길이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장공의 좌우 단부 사이의 간격, 즉 큰 지름은 상기 작은 지름보다 철근의 배근 허용오차 ±a 만큼 길게 형성한다. 다시 말해 장공은 몸통체(30)를 좌우로 a만큼 이동시켜도 정착판(20)과 결합이 가능한 형상을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기다란 판재 형태를 갖는 정착판(20)의 외측단부(26)와 내측단부(27)가 위치하는 좌우 측 외곽부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는 좌우 측 외곽부 쪽 정착판(20)의 면적을 줄여서, 이 부분의 정착판에 의해 발생하는 콘크리트 전단력의 크기를 줄이기 위함이다.
한편, 도 3의 실시례에서는, 정착판(20)이 상하로 2분할된다. 이때 분할된 정착판의 제1결합구멍(23)과 제2결합구멍(24) 역시 절반씩 상하로 분할되도록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이렇게 분할된 정착판(20)에 대하여 도면상 상부 쪽을 제1판(21)과 하부 쪽을 제2판(22)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1판(21)과 제2판(22)의 외측 둘레부에는 상기 제1판(21)과 제2판(22)을 결합시키기 위한 묶음부(25)가 형성된다.
묶음부(25)는 홈 형태로 형성하고, 이 홈에는 체결수단(40)을 이용하여 몸통부(30)에 결합된 제1판(21)과 제2판(22)을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상기 체결수단(40)으로는 와이어나 클립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와이어 같은 경우에는 상기 홈에 감아 매듭짓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고, 탄성 클립 같은 경우는 제1판(21)과 제2판(22)의 홈을 상하에서 탄성으로 잡아주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례의 사용법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참조하여, 본 실시례의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나란히 인접한 한 쌍의 철근(10) 끝 부분에 형성된 철근나사부(11)에 각각 몸통체(30)의 나사구멍(33)을 맞추어 나사 결합시킨다.
이렇게 철근(10)에 몸통체(30)를 결합하면, 이어서 정착판(20)을 결합한다. 정착판은 제1판(21)과 제2판(22)의 반으로 분할된 결합구멍 부분을 몸통체 결합부(32)에 상하에서 끼워 넣는 방식으로 결합한다.
몸통체(30)에 제1판(21)과 제2판(22)을 결합시킨 다음에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와이어나 탄성 클립 같은 체결수단(40)으로 고정한다.
만일 정착판(20)이 2분할되지 않은 일체형이라면, 몸통체(30)를 분할형으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후방지지부(31')를 도넛 형으로 떼어 별도의 구성요소로 만들 수 있다.
이 경우의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를 설치하는 과정은, 우선 철근나사부(11)에 분할된 전방지지부(31)를 먼저 나사 체결하고, 이어서 일체형 정착판(20)을 전방지지부(31) 위로 끼운 후, 다시 끼워진 정착판 위에 후방지지부(31')를 철근나사부(11)에 나사체결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정착판과 몸통체가 조립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현장 시공성이 대단히 좋다.
도 4는 한 쌍의 배근 된 철근에 본 실시례의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를 체결한 상태를 보여준다.
철근 콘크리트조 건축물의 기둥과 보의 접합부 같은 곳에서는, 배근 되는 철근(10) 주변에 또 다른 철근(10')이 수직으로 교차 배근된다.
따라서 이렇게 교차 배근 된 철근(10')들 때문에 불가피하게 배근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철근(10)의 배근 위치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설계치를 벗어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들에 대처하기 위하여 철근(10) 배근 시에는 배근 오차를 고려하게 된다.
도 4에는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례의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는 제2결합구멍(24)을 장공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철근의 배근 오차인 ±a 이내일 경우 문제없이 장착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향상된다.
만일, 제1결합구멍(23)도 장공으로 형성한다면, 철근의 배근 오차 ±2a까지 확대하여 본 실시례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의 도면은,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의 슬래브(5)와 기둥(6)의 접합하는 부위에서 기둥 부분에 수직 배근 된 한 쌍의 철근에 본 실시례의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를 설치하였을 경우의 전단저항력의 작용을 보여준다.
본 실시례의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는, 기둥 외곽 쪽에 위치한 철근에 결합한 정착판(20)의 외측단부(26)가 콘크리트 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내밈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대신 내측단부(27) 쪽으로는 정착판의 길이는 길게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기둥 콘크리트에 수직으로 삽입된 철근(10)이 강한 인장하중(P)을 받게 되면, 정착판(20) 하부로 전단저항력(V)(V')이 콘크리트에 발생한다.
그런데 정착판(20)의 외측단부(26) 쪽에 발생하는 전단저항력(V)은 내밈길이 짧기 때문에 크기가 작게 발생한다.
따라서 외측단부(26) 쪽 수평분력(V1)도 작게 발생하므로, 종래 확대머리 정착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측면파열 파괴의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 측면으로부터 정착판 외측단부(26)까지의 피복두께(b) 허용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철근을 구조물 내부 쪽으로 이동시켜 배근할 필요가 없거나, 또는 미소량만 이동하면 되므로 양호한 부재내력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정착판(20)의 내측단부(27)는 장공 형태인 제2결합구멍(24) 쪽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철근이 정상적인 배근 위치에 있거나, 배근 오차가 마이너스 a 쪽으로 형성되었다면, 정착판(20)의 내측단부(27)는 그 돌출길이가 길어진다.
이 경우에는 종래 확대머리 정착구와 동일한 측면파열 파괴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정착판(20)의 내측단부(27)를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의 내면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외곽 쪽에 위치한 철근에 오른쪽에 위치한 정착판(20) 부분, 즉 철근과 철근 사이에 기다랗게 연결되는 정착판 부분은 종래 확대머리 정착구의 정착판에 비해 그 단면적이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례의 듀얼타입 정착판(20)은 내측단부(27) 쪽으로 길이가 길게 연장된 부분에서 콘크리트 전단저항력(V')도 크게 발생한다.
이에 따라, 파열파괴를 일으키는 수평분력(V'1)도 크게 발생하지만, 그 방향이 구조물 내부를 향하게 되므로 측면파열 파괴를 일으키지는 않는다.
반면에, 이 부분에서는 수직분력(V'2)도 크게 발생하므로 콘크리트에 대한 철근의 유효정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인장하중(P)에 의하여 발생하는 콘크리트 전단력을 넓게 분산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정착판(20)은 두 개의 철근에 의해 양쪽에서 지지가 되므로, 구조적으로 인장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커지는 장점도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는 단일 철근용 정착판에 비해 보다 고하중을 견딜 수 있으며, 동일 하중 조건에서라면 정착판 두께를 단일 철근용 정착구에 비해 더 얇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파악되어야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라면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10' : 철근 11 : 철근나사부
20 : 정착판
21 : 제1판 22 : 제2판
23 : 제1결합구멍 24 : 제2결합구멍
25 : 묶음부 26 : 외측단부
27 : 내측단부
30 : 몸통체
31 : 전방 지지부 31' : 후방 지지부
32 : 결합부 33 : 나사구멍
40 : 체결수단

Claims (5)

  1.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에 삽입된 철근을 정착시키는 철근 정착구로서,
    상기 철근(10)의 끝 부분과 결합하는 한 쌍의 몸통체(30);와
    상기 몸통체(30)가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구멍을 구비하여, 한 쌍의 철근(10)을 연결하면서 함께 정착시키는 정착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몸통체(30)는, 중앙부에 상기 철근(10)에 형성된 철근나사부(11)와 결합하는 나사구멍(33)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정착판(20)이 결합하는 결합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정착판(20)은, 상기 한 쌍의 결합구멍을 2분할하되 분할된 결합구멍을 각각 한 쌍씩 포함하도록 형성된 제1판(21)과 제2판(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몸통체(30)의 결합부(32)는, 상기 한 쌍의 결합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정착판 부위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상기 몸통체(30) 외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몸통체(30)는, 상기 홈의 형성에 따라 홈 앞쪽의 전방지지부(31)와 홈 뒤쪽의 후방지지부(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
  4.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제1판(21)과 제2판(22)의 외측 둘레부에는 상기 제1판(21)과 제2판(22)을 결합시키기 위한 묶음부(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
  5. 청구항1 내지 청구항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구멍 중 적어도 하나는 결합되는 몸통체(30)의 설치위치 이동이 가능한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
KR1020160125358A 2016-09-29 2016-09-29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 KR101875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358A KR101875561B1 (ko) 2016-09-29 2016-09-29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358A KR101875561B1 (ko) 2016-09-29 2016-09-29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964A true KR20180035964A (ko) 2018-04-09
KR101875561B1 KR101875561B1 (ko) 2018-07-09

Family

ID=6197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358A KR101875561B1 (ko) 2016-09-29 2016-09-29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56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867B2 (ko) * 1987-09-18 1991-03-20 Tomei Tsushin Kogyo Kk
JPH1129979A (ja) * 1997-07-10 1999-02-02 Ohbayashi Corp 柱・梁接合部における梁主筋の定着構造
JP2002309713A (ja) * 2001-04-16 2002-10-23 Anderson Technology Kk Pc鋼材定着部の構造
KR200383847Y1 (ko) * 2005-02-11 2005-05-10 정범건 철근 연결구
JP2005226258A (ja) * 2004-02-10 2005-08-25 Fujita Corp アンカー筋付き定着金物
KR20130109852A (ko) * 2012-03-28 2013-10-08 오영근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867B2 (ko) * 1987-09-18 1991-03-20 Tomei Tsushin Kogyo Kk
JPH1129979A (ja) * 1997-07-10 1999-02-02 Ohbayashi Corp 柱・梁接合部における梁主筋の定着構造
JP2002309713A (ja) * 2001-04-16 2002-10-23 Anderson Technology Kk Pc鋼材定着部の構造
JP2005226258A (ja) * 2004-02-10 2005-08-25 Fujita Corp アンカー筋付き定着金物
KR200383847Y1 (ko) * 2005-02-11 2005-05-10 정범건 철근 연결구
KR20130109852A (ko) * 2012-03-28 2013-10-08 오영근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3020867호(2000.03.15.)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561B1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6895B2 (en) Insert bolt having anti-turn function
KR101520002B1 (ko) 조립식 플레이트와 정착 채널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JP4795971B2 (ja) 金属構造物のための剛性ネジ止めユニット
TWI681101B (zh) 一體設有快捷式固定裝置的v形繫筋
KR101628343B1 (ko) 트러스 강성을 보강한 합성보
KR20120021911A (ko) 간격조절이 용이한 판넬결합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모듈
KR102175306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1875561B1 (ko) 듀얼타입 철근 정착구
KR20170121955A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KR101500456B1 (ko) 스틸 스터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건식벽체 시스템
KR101887032B1 (ko) 스틸와이어 커플러를 갖는 조립식 소하천 교량
KR101124820B1 (ko) 슬래브 구축용 결합구조
KR20180001758A (ko) 건축용 고정부재
JP7233976B2 (ja) 構造体への補強部材の固定構造、h形鋼用固定部材
KR101938974B1 (ko)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KR101803487B1 (ko) 거푸집 연결용 보강재
KR20090061327A (ko) 호형구조물용 내/외장재 패널 조립시스템
KR102106107B1 (ko) 갱폼용 간격유지장치
JP6308803B2 (ja) スリット形成用型枠構造及びその補強金物
JP2000345654A (ja) 主筋用定着金物
JP6566597B1 (ja) モルタル充填式継手
JP2005226258A (ja) アンカー筋付き定着金物
JP6188323B2 (ja) 梁のピン連結構造
KR102186905B1 (ko)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1313643B1 (ko) 패널 결합 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