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279A -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279A
KR20180035279A KR1020160124948A KR20160124948A KR20180035279A KR 20180035279 A KR20180035279 A KR 20180035279A KR 1020160124948 A KR1020160124948 A KR 1020160124948A KR 20160124948 A KR20160124948 A KR 20160124948A KR 20180035279 A KR20180035279 A KR 20180035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ayer
blue
quantum dots
transpor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원
이준우
이재성
김상협
강병호
이상원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24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5279A/ko
Priority to PCT/KR2017/008472 priority patent/WO2018062677A1/ko
Publication of KR20180035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0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1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comprising active inorganic nanostructures, e.g. luminescent quantum dots
    • H01L51/5016
    • H01L51/5056
    • H01L51/5072
    • H01L51/5088
    • H01L51/5203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는 제 1 전극; 제 1 전극 상의 정공주입층; 정공주입층 상의 정공수송층; 정공수송층 상의 발광층; 발광층 상의 전자수송층; 및 전자수송층 상의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발광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양자점에 청색 발광 폴리머가 도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색 발광 폴리머는 청색 발광 여기자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적색, 녹색 및 청색 양자점으로의 에너지 전달 특성을 통해 휘도를 향상시킨다. 실시 예에서, 청색 발광 폴리머는 440 ~ 490 nm 파장 대역에서 발광하는 플루오렌 호모 폴리머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낮은 청색 발광 효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RGB 양자점으로의 에너지 전달 특성을 통해 고휘도 백색광 발광 특성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White quantum dots base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자점 발광 소자(QLED; Quantum dots based Light Emitting Diode)는 유기 발광 소자 공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양자 효율이 높으며 색순도가 뛰어나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는 서로 다른 밴드갭의 양자점들(R/G/B 양자점들)을 다층 구조로 적층하는 방식(적층 구조)과, 동일 용매 내에 R/G/B 양자점들을 혼합한 단일 발광층을 전자수송층과 정공수송층 사이에 위치시키는 방식(혼합 구조)으로 나눌 수 있다.
적층 구조의 발광층을 갖는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경우, 혼합 구조에 비해 향상된 휘도를 기대할 수 있으나, 적층 순서에 따라 양자점들을 교차로 적층함에 따라 미세한 두께 조절이 필요하고 복잡한 공정이 요구된다. 또한 인접층 간의 용해도와 극성에 대한 문제점을 고려해야 하고, 양자점 표면 개질을 통한 화학적 처리도 요구되므로, 적층 구조의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는 현재까지 많은 연구를 필요로 한다.
이에 비해 R/G/B 양자점이 혼합된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경우, R/G/B 양자점의 조성 비율로 발광 색 조절이 가능하고, 적층 구조에 비해 공정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R/G/B 혼합 구조의 발광층을 갖는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는 청색 양자점(blue quantum dots)이 가지는 낮은 발광 효율 및 불안정성으로 인해, 단시간에 퇴화가 진행되고 낮은 백색 휘도 및 낮은 발광 효율을 나타내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낮은 청색 발광 효율 문제를 해결하고, RGB 양자점으로의 에너지 전달 특성을 통해 고 휘도의 백색광을 발휘할 수 있는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의 정공주입층; 상기 정공주입층 상의 정공수송층; 상기 정공수송층 상의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의 전자수송층; 및 상기 전자수송층 상의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양자점에 청색 발광 폴리머가 도핑된다.
상기 청색 발광 폴리머는, 청색 발광 여기자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양자점으로의 에너지 전달 특성을 통해 휘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청색 발광 폴리머는, 440 ~ 490 nm 파장 대역에서 발광하는 플루오렌 호모 폴리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판 상에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극 상에 정공주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정공주입층 상에 정공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정공수송층 상에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층 상에 전자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수송층 상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양자점에 청색 발광 폴리머를 도핑하여 상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낮은 청색 발광 효율 문제를 해결하고, RGB 양자점으로의 에너지 전달 특성을 통해 고 휘도의 백색광을 발휘할 수 있는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1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휘도 및 전류밀도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전류효율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CIE 색좌표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RGB 양자점만 혼합되고 청색 발광 폴리머가 도핑되지 않은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EL(Electroluminescence) 특성 분석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RGB 양자점과 청색 발광 폴리머가 도핑된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EL(Electroluminescence) 특성 분석 결과이다.
도 7은 RGB 양자점만 혼합되고 청색 발광 폴리머가 도핑되지 않은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PL 붕괴(Photoluminescence decay) 특성 분석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RGB 양자점과 청색 발광 폴리머가 도핑된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PL 붕괴(Photoluminescence decay) 특성 분석 결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RGB 양자점과 청색 발광 폴리머의 형광 공명 에너지 전달(FRET)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서 일부 구성은 다소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는 R/G/B 양자점에 청색 발광 폴리머(blue emitting polymer)가 도핑된 발광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R/G/B 혼합 양자점 발광층의 낮은 청색 발광 효율 문제를 해결하고, RGB 양자점으로의 에너지 전달 특성을 통해 고 휘도 백색광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청색 발광 폴리머의 도핑 농도에 따라 색좌표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1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10)는 기판(100), 제 1 전극(110), 정공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120), 정공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130), 발광층(emissive layer, 140), 전자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150), 및 제 2 전극(160)을 포함한다.
제 1 전극(110)은 기판(100) 상에 위치한다. 제 1 전극(110)은 양극(Anode)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양극은 발광층(140)의 호모(HOMO) 준위로 정공의 주입이 용이하도록 일함수가 크면서 투명한 전극인 ITO(Indium Tin Oxide)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ITO 전극은 사진식각공정(photo-lithography)을 통하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정공주입층(120)은 제 1 전극(110) 상에 위치한다. 정공주입층(120)은 노광 및 식각을 통해 발생된 ITO의 거칠기를 평탄화시키고, ITO로부터 정공수송층(130)으로 정공을 주입한다. 일 예로, 정공주입층(120)은 PEDOT:PSS(poly(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phonate)로 제공될 수 있다.
정공수송층(130)은 정공주입층(120) 상에 위치한다. 정공수송층(130)은 정공주입층(120)을 통해 주입받은 정공을 발광층(140)으로 전달한다. 이때, 정공수송층(130)은 poly-TPD(poly(N,N'-bis(4-butylphenyl)-N,N'-bis(phenyl)benzidine)로 제공될 수 있다.
발광층(140)은 정공수송층(130) 상에 위치한다. 발광층(140)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양자점들, 그리고 이에 도핑된 청색 발광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양자점은 TOPO(trioctyl phosphine oxide) 또는 OA(oleic acid) 리간드를 가지는 core와 shell의 이종접합 형태로 구성된 CdSe/ZnS의 II-VI족 화합물로서, 입자 크기에 따라 여러 가지 발광 파장을 가지는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청색 발광 폴리머는 청색 발광 여기자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R/G/B 발광 양자점으로의 에너지 전달을 극대화하여 낮은 청색 발광 효율 문제를 해결하고, 발광 효율을 향상시킨다. 청색 발광 폴리머는 R/G/B 양자점으로의 에너지 전달이 가능한 도너(donor) 물질로써, 혼합된 R/G/B 양자점 발광층으로의 도핑을 통하여 형광 공명 에너지 전달(fluorescent resonance energy transfer)에 의해 고휘도의 백색광을 발휘하는데 기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청색 발광 폴리머는 440 ~ 490 nm 파장 대역에서 발광하는 폴리머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청색 발광 폴리머는 플루오렌 폴리머(Fluorene Polymers)(예컨대, ADS329BE)와 같은 청색 발광 호모 폴리머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청색 발광 폴리머의 도핑 농도에 따라 다양한 색좌표 구현이 가능하다. 발광층에 청색 발광 폴리머가 도핑된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는 인가 전압의 상승에 불구하고 파장 이동이 거의 없어 우수한 색순도 효과를 나타낸다.
전자수송층(150)은 발광층(140) 상에 위치한다. 전자수송층(150)은 음극에서 주입된 전자를 발광층(140)으로 전달한다. 또한, 전자수송층(150)은 정공주입층(120), 정공수송층(130)을 거쳐 발광층(140)으로 주입된 정공이 발광층(140) 내에서 잘 구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공차단층(hole blocking layer)의 역할을 한다. 전자수송층(150)은 산화물 반도체인 ZnO 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전극(160)은 전자수송층(150) 상에 위치한다. 제 2 전극(160)은 제 1 전극(110)과 다른 전압을 수신한다. 제 2 전극(160)은 음극(Cathode)일 수 있다. 음극으로는 발광층(140)의 LUMO 준위로 전자의 주입이 용이하도록 낮은 일함수를 가지며 내부 반사율이 뛰어난 금속류의 전극(예를 들어, 알루미늄 전극)이 사용된다.
Al과 ZnO의 LUMO 준위 사이 전위장벽(potential barrier)이 존재하지 않고, CdSe의 LUMO 준위로 효과적인 전자 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ZnO의 높은 HOMO 준위는 CdSe의 HOMO 준위에 비해 크기 때문에, 발광층(140) 내에서 결합하지 못한 잉여 정공이 ZnO의 HOMO 준위로 이동할 확률이 낮아진다.
따라서, CdSe 내 효율적인 전하 구속을 유도해 전자-정공의 재결합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극성 용매에서의 분산 특성이 우수하여 비극성 용매에 분산된 양자점과 계면 상의 용해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용액 공정에 의한 스핀 코팅이 가능하다.
전자수송층(150)의 ZnO 나노입자는 아연화합물과 염기성 물질을 알코올 용매에 용해시켜 합성될 수 있다. 이때, 아연화합물은 Zn(ClO4)2, Zn(CH3COO)2, Zn(NO3)2 등과 같은 물질일 수 있다. 염기성 물질은 KOH, NaOH 및 LiOH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알코올 용매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ZnO 나노입자는 졸겔(sol-gel) 법을 이용하여 합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Zn(CH3COO)2)를 전구체(precursor)로 사용하고, KOH를 산화제로 사용할 수 있다.
ZnO 나노입자는 합성 시간, 온도, 전구체(precursor) 농도 등 관련 인자들의 조건에 의해 입자의 사이즈 및 형태가 변화될 수 있다. ZnO 나노입자의 합성시 알코올 용매와 염기성 물질의 농도를 변화시키면, HOMO 및 LUMO 준위가 조정된 Zno 나노입자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ZnO 나노입자를 전자수송층(150)으로 사용할 경우, 파장에 따라 다양한 밴드갭을 갖는 발광층(140)과 효과적인 밴드갭 레벨링이 가능하다.
또한, 발광 소자(10)는 ZnO 나노입자를 극성 또는 비극성 계면활성제로 계면 처리하여 합성할 수 있다. ZnO 나노입자를 합성할 때 PVP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면, 물 혹은 알콜과 같은 극성용매 계열에서 나노 입자간 응집현상과 같은 분산도 저하를 완화할 수 있다.
ZnO 나노입자를 합성할 때 propylamine (PA)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면, 클로로벤젠, 다이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등에 분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발광 소자(10)는 ZnO 나노입자를 금속 물질로 도핑 처리하여 합성할 수 있으며, 일 예로, Al으로 도핑할 수 있다. Al으로 ZnO를 도핑할 경우, 전도도가 높아지면서 Al 음극층과의 격자상수 결함도 최소화할 수 있어 주입되는 전자가 발광층(140)으로 전달될 수 있는 확률 또한 커질 수 있다.
발광층(140)의 계면 평탄도와 불순물 최소화를 위해 0.45 ㎛ PVDF 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R/G/B 양자점을 정제한 후, 동일 용매 내에 R/G/B 양자점과 청색 발광 폴리머(440 ~ 490 nm)를 혼합한 후 poly-TPD 박막 상에 3,000 rpm으로 60초 동안 스핀코팅하였다. 이어서, 진공오븐에서 80℃ 온도로 30분간 열처리하여 발광층(140)을 성막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휘도 및 전류밀도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에서, 'WQLED-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휘도(L) 및 전류밀도(J)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WQLED-1'은 R/G/B 양자점만 혼합되고 청색 발광 폴리머가 도핑되지 않은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휘도(L) 및 전류밀도(J) 측정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전류효율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에서, 'WQLED-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전류효율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의 'WQLED-1'은 R/G/B 양자점만 혼합되고 청색 발광 폴리머가 도핑되지 않은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전류효율 측정 결과이다.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청색 발광 폴리머가 발광층에 도핑된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는 청색 발광 폴리머가 도핑되지 않은 백색광 발광소자에 비해 3배 이상의 휘도를 나타내며, 전류 효율 역시 2배 정도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CIE 색좌표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RGB 양자점과 청색 발광 폴리머가 도핑된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WQLED-2)는 백색광 좌표인 CIE (0.33, 0.33)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RGB 양자점만 혼합되고 청색 발광 폴리머가 도핑되지 않은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EL(Electroluminescence) 특성 분석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RGB 양자점과 청색 발광 폴리머가 도핑된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EL(Electroluminescence) 특성 분석 결과이다.
도 5의 도시로부터, 청색 발광 폴리머가 도핑되지 않은 경우, 인가 전압이 상승함에 따라 장파장으로 파장이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청색 발광 폴리머가 도핑되지 않은 발광 소자의 경우, 색순도 저하 및 non-radiative 재결합을 유발할 수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에 반해,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청색 발광 폴리머가 도핑된 발광 소자의 경우, 인가 전압이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파장 이동이 거의 없어 우수한 색순도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RGB 양자점만 혼합되고 청색 발광 폴리머가 도핑되지 않은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PL 붕괴(Photoluminescence decay) 특성 분석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RGB 양자점과 청색 발광 폴리머가 도핑된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PL 붕괴(Photoluminescence decay) 특성 분석 결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RGB 양자점과 청색 발광 폴리머의 형광 공명 에너지 전달(FRET)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PL 붕괴 특성 분석 결과로부터, 청색 발광 폴리머가 발광층에 첨가됨에 따라 PL 붕괴 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RGB 양자점에 비해 밴드갭이 큰 청색 발광 폴리머에 의해 RGB 양자점으로의 에너지 전달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형광 공명 에너지 전달(FRET; Forster resonant energy transfer) 현상으로 규명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양자점 발광 소자
100: 기판
110: 제 1 전극
120: 정공주입층
130: 정공수송층
140: 발광층
150: 전자수송층
160: 제 2 전극

Claims (5)

  1.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의 정공주입층;
    상기 정공주입층 상의 정공수송층;
    상기 정공수송층 상의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의 전자수송층; 및
    상기 전자수송층 상의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양자점에 청색 발광 폴리머가 도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발광 폴리머는,
    청색 발광 여기자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양자점으로의 에너지 전달 특성을 통해 휘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발광 폴리머는,
    440 ~ 490 nm 파장 대역에서 발광하는 플루오렌 호모 폴리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
  4. 기판 상에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극 상에 정공주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정공주입층 상에 정공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정공수송층 상에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층 상에 전자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수송층 상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양자점에 청색 발광 폴리머를 도핑하여 상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발광 폴리머는,
    440 ~ 490 nm 파장 대역에서 발광하는 플루오렌 호모 폴리머로 이루어지고, 청색 발광 여기자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양자점으로의 에너지 전달 특성을 통해 휘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160124948A 2016-09-28 2016-09-28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3527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948A KR20180035279A (ko) 2016-09-28 2016-09-28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PCT/KR2017/008472 WO2018062677A1 (ko) 2016-09-28 2017-08-04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948A KR20180035279A (ko) 2016-09-28 2016-09-28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279A true KR20180035279A (ko) 2018-04-06

Family

ID=61760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948A KR20180035279A (ko) 2016-09-28 2016-09-28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35279A (ko)
WO (1) WO201806267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0627A (zh) * 2019-10-09 2019-12-20 纳晶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传输层、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13130792A (zh) * 2019-12-31 2021-07-16 Tcl集团股份有限公司 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发光二极管和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1522A (zh) * 2018-11-12 2020-05-19 香港城市大学深圳研究院 氧化锌纳米颗粒稳定溶液、氧化锌-聚合物纳米复合材料稳定溶液及其制备与应用
CN113130794B (zh) * 2019-12-31 2022-12-13 Tcl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量子点发光二极管及其制备方法
CN113497192A (zh) * 2020-04-08 2021-10-12 陈学仕 白光量子点二极管元件、背光模块及照明装置
CN114106814B (zh) * 2021-11-23 2023-11-28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量子点光致发光膜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440A (ko) * 2013-02-27 2014-09-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색광을 발산하는 단일 입자 및 이의 형성 방법
KR101560088B1 (ko) * 2014-04-16 2015-10-13 희성전자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제조 방법
KR102392843B1 (ko) * 2014-11-28 2022-05-0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코어/쉘 구조의 양자점, 이를 포함하는 나노하이브리드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0627A (zh) * 2019-10-09 2019-12-20 纳晶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传输层、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10600627B (zh) * 2019-10-09 2021-10-08 纳晶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传输层、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13130792A (zh) * 2019-12-31 2021-07-16 Tcl集团股份有限公司 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发光二极管和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2677A1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charya et al. High efficiency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s from positive aging
Kim et al. Performance of light-emitting-diode based on quantum dots
US10962835B2 (en) Inorganic composite luminescent material, light-emitting film, light-emitting diode package, light emitting diode and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665805B2 (en) Light-emitting diode and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658691B1 (ko) 안정적이고 모든 용액에 처리 가능한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
KR101695442B1 (ko) 황색 및 청색 양자점 이중층을 포함하는 백색 전기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35279A (ko) 백색광 양자점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US9634278B2 (en) OLED pixel structure
US10741793B2 (en)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blue emitting quantum dots and method
KR101620870B1 (ko) 표면 개질된 산화아연을 전자전달층 물질로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US20160240730A1 (en)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emitting device
WO2017160410A1 (en) Quantum dot spacing for high efficiency quantum dot led displays
CA3074241C (en) Multiple-layer quantum-dot led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KR20190043085A (ko) 발광체, 이를 포함하는 발광 필름, 발광다이오드 및 발광장치
KR101575572B1 (ko)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제조 방법
WO2014201712A1 (zh) 一种发光器件、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KR101656927B1 (ko)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용 전자수송층 제조 방법
KR101552662B1 (ko)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용 정공주입/수송층 제조 방법
KR20180035278A (ko) 양자점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980105A (zh) 一种qled器件
KR101560088B1 (ko)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제조 방법
US11502267B2 (en) In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in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TWI791164B (zh) 發光二極體及包含該發光二極體的發光裝置
KR101687637B1 (ko) 단일의 양자점으로 이루어지는 발광층과 컬러변환층을 이용한 백색광 발광소자
US11495769B2 (en) In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in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