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163A -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163A
KR20180035163A KR1020170124544A KR20170124544A KR20180035163A KR 20180035163 A KR20180035163 A KR 20180035163A KR 1020170124544 A KR1020170124544 A KR 1020170124544A KR 20170124544 A KR20170124544 A KR 20170124544A KR 20180035163 A KR20180035163 A KR 20180035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information
mileage
reserv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5331B1 (ko
Inventor
구경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재영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재영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재영비즈
Priority to PCT/KR2017/01084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62903A1/ko
Publication of KR20180035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inductive or magnetic detector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 회원 또는 비회원이 거주자 유휴 주차면을 이용한 경우 거주자에게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또는 공영주차장에서 사용 가능한 실적을 부여하고, 부여된 실적을 추후에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유휴 시간대에 타인의 주차면 사용에 따른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그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주차장 사용현황 제공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 inhabitant priority parking area based on IoT}
본 발명은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차량 증가로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자동차 주차공간의 부족이 큰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주차장 수에 비해 차량 증가 속도가 월등하여 주차 공간 수급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불법주차가 만연되고 있으며, 이는 주차질서 및 시민의식의 붕괴로 이어지고 있다. 그 폐해를 보면 주택가 주차문제로 이웃간의 불화가 자주 발생하고, 이면도로의 불법주차로 인해 응급사태 발생시 소방차나 구급차의 진입 불가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 등에서는 다양한 대책을 수립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거주자 우선 주차제이다. 이는 주택가 이면도로에 주차구획선을 표시하여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을 설치하고, 거주자의 신청에 따라 유료로 제공함으로써, 거주자에게는 안정적인 주차면을 제공하며, 주택가의 주차난을 해소하고 이면도로의 주차질서를 확립하고자 하는 제도이다.
지역마다 시설관리공단에서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공영주차장 외에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사용을 위한 회원가입, 신청, 배정, 및 결제 서비스를 관리하고 있다.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배정 시에 점포, 대문 앞 주차면은 점포, 건물주에게 우선 배정된다. 그 뒤로는, 국가유공자중 상이자(1급∼7급)와 장애인(1급∼3급) 본인 또는 본인을 포함한 공동명의 등록 차량, 주차면과 가까운 거주자로서 주민등록상 등재되어 있으며 실제 거주하고 있는 신청인의 명의로 등록되어 있는 차량, 만일 조건이 같을 경우 배기량 순으로 배정된다.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의 주차면은 인터넷, 방문, 팩스로 이용동의서를 신청해야 한다.
그러나 공영주차장 외에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확보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도심의 주차난 문제는 완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이는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사용을 위해 회원가입을 하고 주차면 신청을 하더라도 모든 신청자가 배정을 받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을 이용하지 못하는 회원들은 어쩔 수 없이 비싼 유료주차장을 이용하거나 공영주차장을 이용하거나 여전히 이면도로에 불법 주차를 해야 하는 상황이 많다.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0654394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함)에는 거주자우선 주차장의 차량진입여부를 판독하는 RFID 태그 리더기와 거주자우선 주차공간의 진입여부를 센싱하는 센서장치 및 이를 관리하는 관리자시스템을 구비하여 거주자가 주차하지 않는 시간대에 해당 주차공간을 유료주차장으로 전용하여 사용하고 관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에 따르면,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을 유료주차장으로 전용하기 위한 방법은 거주자의 주차 시간대를 분석하여 거주자가 등록하지 않은 시간대에 해당 거주자 우선 주차면을 비거주자가 사용하도록 하는 것과, 불법으로 주차면을 이용하는 주차자에게 요금을 결제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주차관리자가 해당 불법으로 주차한 차량이 있는 현장에 도착하여, 견인조치 또는 요금징수 등을 하는 시간에 거주자는 예컨대 유료주차장에 자신의 차량을 주차해야 하는 등 물적, 인적, 시간적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의 주차면을 배정받은 회원이 필요 시에 정당하게 타 회원의 유휴 주차면에 주차할 수 있는 새로운 해결 방안이 필요한 실정에 있다.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0654394호(등록일 2006.11.29.)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과거에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의 주차면을 이용한 실적이 있거나 혹은 현재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의 주차면을 배정받은 회원은 정당하게 타 회원의 유휴 주차면에 차량을 주차할 수 있도록 하여 부족한 주차공간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타 회원 또는 비회원이 거주자 유휴 주차면을 이용한 경우 거주자에게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또는 공영주차장에서 사용 가능한 실적을 부여하고, 부여된 실적을 추후에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유휴시간 대에 타인의 주차면 사용에 따른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주자 우선주차구역의 주차면에 대해 거주자와 비거주자와 비회원들이 주차면 예약을 통해 유휴시간 대에 주차면의 사용을 원활하게 하며, 현재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의 주차면을 배정받은 회원에게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또는 공영주차장에서 사용 가능한 실적을 추가로 부여하여 부족한 주차공간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회원별로 자신이 다른 회원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1 사용시간과 다른 회원이 자신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2 사용시간을 이용해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또는 공영주차장에서 사용 가능한 제1 주차면 마일리지를 생성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유휴 시간대에 타인의 주차면 사용에 따른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회원별로 비회원이 자신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3 사용시간을 추가 산출하고 산출한 제3 사용시간을 추가로 이용하여 제2 주차면 마일리지를 추가 생성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불법 주차 차량으로 인한 물적, 인적, 시간적 손해를 줄일 수 있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회원 단말기로부터 주차면 예약정보를 입력 받아 관리함으로써 부족한 주차공간 해소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일과 시간에 비어있는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지불 없이 거주자 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운영자에게 수익을 제공할 수 있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은, 주차관리자 단말기와 회원 단말기와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의 각 주차면에 설치되는 표지병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주차정보 관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차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표지병으로부터 주차/출차이벤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차관리자 단말기와 주차 관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회원 단말기와 주차면 이용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회원정보, 주차장정보 및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주차면 이용 관련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부의 회원정보, 주차장정보 및 부가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저장 또는 갱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차관리자 단말기 및 회원 단말기와 주차 관리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의 회원정보는 회원 개인정보, 회원 결제정보, 회원 차량의 태그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의 주차장정보는 주차장위치정보, 주차면정보, 표지병정보 및 주차관리자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의 부가정보는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와 비회원 주차면 이용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접속정보 처리부, 주차장정보처리부, 주차면점유상태처리부, 알람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속정보처리부는 회원 단말기와의 접속을 통해 회원가입안내를 제공하고, 공인인증등록, 결제수단등록, 거주차우선주차면활용동의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의 회원정보에 저장하며, 상기 주차장정보처리부는 상기 주차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주차면 식별 정보, 표지병 식별 정보, 회원 정보, 주차면 이용 요금, 주차면 이용 시간을 포함하는 주차장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의 주차장정보에 저장하며, 상기 주차면점유상태처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상기 표지병으로부터 태그정보와 표지병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이벤트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회원정보를 검색하고, 검색결과 회원정보가 없으면 상기 주차면정보의 주차면점유상태정보를 ‘비회원 주차중’으로 변경하며, 검색결과 회원정보가 있으면 검색된 회원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를 이용해 주차된 차량이 거주자 차량인지 또는 비거주자 차량인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주차면정보의 점유상태정보를 ‘거주자 주차중’ 또는 ‘비거주자 주차중’으로 변경하며, 상기 주차면점유상태처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지병으로부터 적어도 표지병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차이벤트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표지병 식별정보를 이용해 상기 주차면정보의 주차면점유상태정보를 ‘주차가능’으로 변경하며, 상기 알람처리부는 상기 주차면정보의 상기 주차면점유상태정보가 ‘비회원 주차중’인 경우 상기 주차면에 대응하는 주차관리자 단말기 식별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주차관리자 단말기 식별정보와 상기 주차면 식별정보와 비회원차량 주차이벤트정보를 포함하는 알람메시지를 상기 주차관리자 단말기로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부가정보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부가정보처리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회원정보와 주차장정보를 분석해서 회원별로 자신이 다른 회원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1 사용시간과 다른 회원이 자신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2 사용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사용시간과 제2 사용시간을 이용해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또는 공영주차장에서 이용가능한 제1 주차면 마일리지를 산출하여 상기 저장부의 부가정보에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가정보처리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회원정보와 주차장정보를 분석해서 회원별로 비회원이 자신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3 사용시간을 추가 산출하고 산출한 제3 사용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주차면 마일리지에 비해 같거나 더 높은 시간당 적립율을 갖는 제2 주차면 마일리지를 추가 산출하여 상기 저장부의 부가정보에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주차장예약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주차장예약처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회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회원 단말기 식별정보와 주차장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예약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예약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의 상기 주차면점유상태정보에 상기 주차면 예약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주차면점유상태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원 단말기는 상기 주차정보 관리장치와 주차면 이용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조작명령과 데이터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에게 처리 현황 및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회원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조작명령과 데이터에 따라 상기 회원 단말기의 상기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접속처리부, 주차면점유상태제공부, 주차장예약처리부 및 부가정보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속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접속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차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주차정보 관리장치로부터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사용과 관련된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며, 상기 주차면점유상태제공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주차장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점유상태요청정보를 상기 주차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주차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주차장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점유상태정보와 주차면 예약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점유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며, 상기 주차장예약처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회원 단말기 식별정보와 주차장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예약시간정보 및 마일리지 또는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예약정보를 주차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주차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예약완료정보 또는 예약변경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로 출력하며, 상기 부가정보처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회원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마일리지 요청정보를 주차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주차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주차면 마일리지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로 출력하고, 회원 단말기 식별정보와 주차장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마일리지 사용정보를 주차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차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주차정보 관리장치와 주차 관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조작명령과 데이터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에게 처리 현황 및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주차관리자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조작명령과 데이터에 따라 상기 주차관리자 단말기의 상기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접속처리부, 주차장정보제공부 및 알람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속 처리부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접속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주차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주차정보 관리장치로부터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사용과 관련된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며, 상기 주차장정보 제공부는 주차장 식별정보와 회원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점유상태요청정보를 주차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주차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주차장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점유상태정보와 주차면 예약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점유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며, 상기 알람 처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차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주차관리자 단말기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비회원차량 주차이벤트정보를 포함하는 알람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며, 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비회원차량에 구비된 휴대폰 번호, 차량번호 및 주차 사진 중 적어도 하나의 차량 정보와 회원가입, 요금징수, 과태료 부과, 또는 견인조치 중 적어도 하나의 내용을 포함하는 조치내용이 입력되면, 주차관리자의 단말기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상기 차량 정보와 조치내용을 포함하는 비회원차량 조치결과정보를 주차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방법은, 주차관리자 단말기와 회원 단말기와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의 각 주차면에 설치되는 표지병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주차정보 관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에서의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주차면에 대한 주차예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차예약요청을 전송한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회원 마일리지 정보와 상기 주차예약요청에 대응하는 예약 마일리지 정보를 비교하여 마일리지가 충분하면 예약을 완료하고 주차를 허용하며, 마일리지가 충분하지 않으면 마일리지 구입 권유 메시지를 상기 회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일리지 구입 권유 메시지에 대응하여 회원 단말기로부터 마일리지 구입 요청이 있으면 이에 대응하여 마일리지를 제공하고 상기 주차예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로 복귀하며,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마일리지 구입 요청이 없으면 주차를 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차예약시간의 종료 전후로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예약연장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예약연장요청에 대응하는 시간대에 다른 주차예약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다른 주차예약이 없으면 상기 주차예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로 복귀하며, 다른 주차예약이 있으면 주차를 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차예약시간이 종료된 주차 허용 차량 및 주차 거절된 차량에 대한 주차유지여부를 판단하여, 주차유지가 해소되면 다른 회원 단말기로부터 주차예약요청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며, 주차유지가 지속되면 상기 주차관리자 단말기로 알람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른 회원 단말기로부터의 주차예약요청 대기 중에 상기 표지병으로부터 주차이벤트정보는 수신하면 해당 차량이 예약차량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해당 차량이 예약차량인 경우 주차를 허용하며, 상기 해당 차량이 예약차량이 아닌 경우 회원 차량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해당 차량이 회원 차량인 경우 해당 회원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즉시 예약을 수행하며, 회원 차량이 아닌 경우 차량 운전자 단말기와의 통신이 가능한 경우 소정 기간을 기다려서 회원 가입 및 즉시예약을 수행하며, 회원 차량이 아니고 차량 운전자 단말기와의 통신도 불가능하거나 소정 기간 동안 회원가입 및 즉시예약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주차유지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주차유지가 해소되면 다른 회원 단말기로부터 주차예약요청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며, 주차유지가 지속되면 상기 주차관리자 단말기로 알람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IoT 기반 거주자우선주차구역 관리 방법은, 주차관리자 단말기와 회원 단말기와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의 각 주차면에 설치되는 표지병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주차정보 관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에서의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차정보 관리장치에서 각 회원별로 자신이 다른 회원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1 사용시간과 다른 회원이 자신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2 사용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시간과 제2 사용시간 및 각 회원별 기본 조건에 대응하는 마일리지를 소정의 방식으로 산출하여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또는 공영주차장에서 사용 가능한 제1 주차면 마일리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1 주차면 마일리지를 각 회원별로 적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회원별로 비회원이 자신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3 사용시간을 추가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3 사용시간을 추가로 이용하여 제2 주차면 마일리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2 주차면 마일리지를 상기 각 회원별로 적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주차면 마일리지는 상기 제1 주차면 마일리지에 비해 적어도 같거나 더 높은 비율로 적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회원의 주차면 이용정보 및 무단주차에 대한 조치결과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주차면 마일리지 생성시 시간당 마일리지 생성 또는 차감비율은 상기 제1 및 제2 사용시간에 비해서 상기 제3 사용시간에 대한 비율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거에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의 주차면을 이용한 실적이 있거나 혹은 현재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의 주차면을 배정받은 회원은 정당하게 타 회원의 유휴 주차면에 차량을 주차할 수 있도록 하여 부족한 주차공간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타 회원 또는 비회원이 거주자 유휴 주차면을 이용한 경우 거주자에게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또는 공영주차장에서 사용 가능한 실적을 부여하고, 부여된 실적을 추후에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유휴시간 대에 타인의 주차면 사용에 따른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주자 우선주차구역의 주차면에 대해 거주자와 비거주자와 비회원들이 주차면 예약을 통해 유휴시간 대에 주차면의 사용을 원활하게 하며, 현재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의 주차면을 배정받은 회원에게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또는 공영주차장에서 사용 가능한 실적을 추가로 부여하여 부족한 주차공간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회원별로 자신이 다른 회원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1 사용시간과 다른 회원이 자신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2 사용시간을 이용해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또는 공영주차장에서 사용 가능한 제1 주차면 마일리지를 생성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유휴 시간대에 타인의 주차면 사용에 따른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회원별로 비회원이 자신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3 사용시간을 추가 산출하고 산출한 제3 사용시간을 추가로 이용하여 제2 주차면 마일리지를 추가 생성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불법 주차 차량으로 인한 물적, 인적, 시간적 손해를 줄일 수 있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회원 단말기로부터 주차면 예약정보를 입력 받아 관리함으로써 부족한 주차공간 해소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일과 시간에 비어있는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지불 없이 거주자 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운영자에게 수익을 제공할 수 있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의 각 주차면에 설치되는 표지병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을 관리하는 주차정보 관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사용현황 제공모듈이 탑재된 주차관리자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사용현황 제공모듈이 탑재된 회원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 관리장치와 표지병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전 예약 후 주차면 이용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예약 후 주차면 이용 방법의 다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면 이용에 따른 마일리지 사용 방법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주차장(110 내지 140), 주차장의 각 주차면에 설치되는 표지병(200), 표지병(220)과 주차정보 관리장치(300) 사이의 정보 송수신을 중계하는 무선중계기(290), 주차정보 관리장치(300), 복수의 주차관리자 단말기(310 내지 440), 및 복수의 회원 단말기(511 내지 516)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복수의 주차장(110 내지 140)은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주차면(1 내지 16)을 구비한 주차장을 기본적으로 의미하지만, 그 외에도 표지병(200)이 설치되어 무선중계기(290)를 통해 주자정보 관리장치(300)와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주차장은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표지병(200)은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의 각 주차면에 삽입 설치되며, 차량의 주차 및 출차와 같은 이벤트를 감지한다. 표지병(200)은 차량에 구비된 RFID태그의 태그정보와 표지병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이벤트정보 또는 출차이벤트정보를 생성하여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 전송한다.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는 복수의 주차관리자 단말기(410 내지 440), 및 복수의 회원 단말기(511 내지 516)와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의 각 주차면(1 내지 16)에 설치되는 표지병과 무선중계기(290)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된다.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는 로라(LoRa) 통신망, 이더넷 또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는데,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는 이더넷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무선중계기(290)와 연결되며, 주차관리자 단말기 및 회원 단말기와는 이동통신망(3G/4G/와이파이 등)을 통해 연결된다. 무선중계기(290)와 표지병(200)은 로라 통신망 등의 저전력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는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사용을 위한 회원가입, 신청, 배정, 및 결제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는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을 무단으로 사용하는 차량 운전자에게 요금징수 또는 과태료를 부과하며 차량을 견인 조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는 지역별 시설관리공단에서 운영하는 소정의 공영주차장 관리장치와 통합되어 운영 가능하다.
무선중계기(290)는 표지병(200)으로부터의 전송신호를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 중계한다. 로라(LoRa) 통신망 기술은 전력 소모가 낮고 다른 무선통신 프로토콜보다 훨씬 긴 범위(가시거리가 확보된 환경에서 최대 21km)를 가지므로 많은 수신기 및 AP 가 필요 없어 인프라 구축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3/4G 셀룰러 네트워크에 비해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더욱 높은 확장 가능성과 비용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주차관리자 단말기(400, 410~440)는 주차관리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로서 주차정보 관리장치(300)와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기능을 구비하며, 필요시 회원 단말기(500, 511~516)와도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주차관리자 단말기(400)는 GIS 데이터를 관리 블록 별로 저장부에 저장하여 신속한 주차차량 확인이 가능하며, 주차정보 관리장치(300)와의 통신을 통해 주차면 정보 검색이 가능하고, 부정/불법 주차 차량의 증거수집을 위한 디지털 카메라와 영수증 발급을 위한 프린터가 구비될 수 있다.
회원 단말기(500, 511~516)는 본 발명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회원 가입한 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로서, 통상의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통신 단말기에 회원 단말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앱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이다. 회원은 행정관청에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이용자로 등록되고 본 발명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에 회원 가입한 거주자 회원과, 행정관청에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이용자로 등록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회원가입자 비거주자 회원으로 구분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의 각 주차면에 설치되는 표지병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표지병(200)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부(210), 차량감지센서(220), 비콘수신기(230), 무선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 기능의 일부가 스위칭부(252)로 분리될 수도 있다.
전원부(210)는 배터리로 구현된다. 다른 예로, 전원부(210)는 표지병(200)의 본체 상부에 설치되는 태양전지와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며 태양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축전지 및 관련 회로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지병(200)은 무선중계기(290)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 따라 활성 모드(active mode)와 대기 모드(idle mode)로 구분된다. 대기 모드(idle mode)에서는 차량의 접근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능만 동작함으로 배터리 소모가 거의 없다. 이를 위해, 대기 모드는 수 마이크로 암페어 범위이고 활성 모드에서도 수 밀리 암페어 범위로 동작 전류가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 제한을 좀 더 완화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전원부에 연결되어 주차면 위치 및 주차여부 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감지센서(220)는 지자기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지자기 센서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 저항 값이 변하는 자기저항 소자를 이용하여 지구 자기장의 변화를 검출한다. 지구의 표면에 분포되어 있는 지구 자기장은 위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대략 평균적으로 0.5 Gauss 정도의 자속 밀도로 항상 존재한다. 이러한 지구 자기장의 분포는 철이나 철 합금 등의 강자성체(Ferro-Magnetic Material)에 의해 변할 수 있으며, 자동차와 같은 강자성체는 자신을 중심으로 일정한 범위(이하, 간단히 '자기장 변형영역'이라 함)까지 지구자기장의 밀도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차량의 유무를 지자기 센서를 통해 구별하는 것이다.
비콘수신기(230)는 블루투스 4.0 이상의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 또는 저전력 RFID 기술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비콘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이다. 차량에 설치된 BLE 태그 또는 RFID 태그(10)(이하, RFID 태그로 통칭하지만 특정 기술에 한정되지 않음)로부터 전송되는 RFID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근접여부 및 주차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RFID 태그(10)에 저장된 태그정보는 MAC 어드레스 외에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사용을 위해 회원 가입한 회원 단말기 식별정보 및/또는 차량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비콘수신기(230)는 표지병(200)이 대기 모드(idle mode)인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는다.
무선통신부(240)는 저전력 IoT 통신 기술의 일종인 로라(LoRa) 통신프로토콜에 따라 무선중계기(290)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주차면 이용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어부(250)는 표지병(200)의 동작을 제어하여 활성 모드(active mode)와 대기 모드(idle mode)로 동작시킨다. 제어부(255)는 전원제어부(251), 스위칭부(252), 태그정보 인식부(253), 및 이벤트 처리부(254)를 포함한다.
전원제어부(251)는 차량감지센서(220)로부터 차량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표지병(200)이 대기 모드(idle mode)에서 활성 모드(active mode)로 동작하도록 스위칭부(252)를 동작시켜서 전원부(252)로부터 전원이 비콘수신기(230)와 무선통신부(240)와 태그정보 인식부(253)와 이벤트 처리부(254)에 인가되도록 한다.
이벤트 처리부(254)는 차량감지센서(220)로부터 차량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이벤트 발생 이력정보를 확인하여 차량이 주차하는 것인지 출차하는 것인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태그정보 인식부(253)에서 인식한 태그정보와 표지병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이벤트정보 또는 출차이벤트정보를 생성하여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 전송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을 관리하는 주차정보 관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는 통신부(310), 출력부(320), 사용자 입력부(330), 저장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무선중계기(290)를 통해서 표지병(200)으로부터 주차면 이용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310)는 주차관리자 단말기 및 회원 단말기와 주차 관리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출력부(320)는 LC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부와 프린터기, 복사기와 같은 인쇄부와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330)는 사용자 조작명령과 데이터를 입력 받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음성 입력수단,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340)는 주차정보 관리장치(3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유형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유형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들은 플로피 디스크, 제거 가능한 하드 디스크, 바코드, CD-ROM 및 DVD 등의 광학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판독-전용 메모리(ROM), 휘발성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 기타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 저장 디바이스 등을 모두 포함한다.
저장부(34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회원정보(341)와 주차장정보(342)와 부가정보(343)를 포함한다.
회원정보(341)는 개인정보로서,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사용을 위한 회원가입 시 입력 받은 회원 단말기 식별정보, 차량정보, RFID 태그정보 접속정보(예를 들어, 아이디와 패스워드) 및 주차면 마일리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정보(341)는 또한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사용을 신청하여 배정받은 주차면 식별정보와 주차면 사용을 위해 회원이 결제한 결제금액과 주차면 사용기간을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저장한다. 주차관리자의 정보도 회원정보(341)에 기록되어 관리된다.
주차장정보(342)는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주차장 위치정보, 각 주차장에 구비된 주차면 식별정보, 주차면 이용요금 변경, 주차장 이용시간 등 주차장 및 주차면에 과한 기본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주차면 점유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정보, 각 주차면의 표지병에 관한 표지병정보를 포함한다. 표지병정보는 유지보수정보, 예컨대 배터리 교체예상날짜, 통신 칩 교체예상날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차장정보(342)는 각 주차장을 관리하는 주차관리자의 주차 단말기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차면정보 중 주차면 점유상태정보는 일례로, 1: 비회원 주차중, 2: 거주자(회원) 주차중, 3: 비거주자(회원) 주차중, 4: 주차가능, 5: 주차 예약 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1: '비회원 주차중'은 무단주차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사용을 위한 회원가입을 하지 않고 주차면에 주차한 차량, 회원이지만 주차면을 배정받지 못한 상태에서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의 주차면에 주차한 차량, 또는 결제정보에 포함된 주차면 사용시간 또는 사용기간이 만료된 차량일 수 있다. 주차면정보의 점유상태정보가 1: “비회원 주차중”인 차량은 요금징수, 과태료 부과, 또는 견인조치 등의 대상이 되지만, 실시간 회원가입 권유 대상이 되기도 한다.
2: '거주자 주차중'은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등록 회원이고 배정받은 주차면의 사용시간 또는 사용기간 내에 해당 차량이 주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3: '비거주자 주차중'은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등록 회원이 타 회원에게 배정된 주차면에 차량을 주차했음을 의미한다.
4: '주차가능'은 현재 주차면에 주차중인 차량이 없으며 따라서 예약 가능한 주차면 임을 의미한다.
5: '주차 예약 중'은 이미 해당 주차면에 주차를 예약한 차량이 있으며, 따라서 타인이 예약 불가한 상태임 의미한다.
부가정보(343)는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와 비회원 주차면 이용정보를 포함하는데,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는 제1 회원이 다른 회원에게 배정된 주차면을 사용한 '제1 사용시간', 다른 회원이 제1 회원에게 배정된 주차면을 사용한 '제2 사용시간', 및 '주차면 마일리지'를 포함한다.
제1 회원에게 배정된 주차면을 유휴 시간대에 타 회원이 사용하면 제1 회원에게 소정의 주차면 마일리지가 할당된다. 주차면 마일리지는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또는 공영주차장에서 사용 가능한 가상의 권리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발행되어 각 회원에게 지급되기도 하지만 현금, 상품권, 신용카드, 기타 유가증권으로 구매도 가능하다.
또한,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는 비회원이 자신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3 사용시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회원에게 배정된 주차면을 유휴시간 대에 비회원이 사용하면 제1 회원에게 소정의 주차면 마일리지가 할당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부가정보(343)에는 자신의 우선주차구역에 주차한 비회원의 주차면 이용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무단으로 자신의 주차면을 사용한 비회원 차량에 대한 회원가입, 요금징수, 과태료부과, 견인조치 등의 조치결과도 저장 가능하다.
제어부(350)는 저장부(340)에 저장된 실행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사용과 관련된 동작을 실행한다. 제어부(3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정보 처리부(351)와 주차장정보 처리부(352)와 주차면 점유상태 처리부(353)와 알람 처리부(354)와 부가정보 처리부(355)와 주차장 예약처리부(356)를 포함한다.
접속정보 처리부(351)는 회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접속정보, 즉 아이디(예컨대 차량번호)와 패스워드를 저장부(340)에 저장된 회원정보와 비교하여 회원 가입된 접속정보인지를 판단한다. 접속정보 처리부(351)는 확인결과 긍정이면,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사용과 관련된 화면 정보를 회원 단말기로 전송한다. 접속정보 처리부(351)는 확인결과 부정이면,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사용과 관련된 회원가입을 안내하는 화면 정보를 회원 단말기로 전송하여 즉시가입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회원도 자신의 통신 단말기에 서비스를 받기 위한 전용 앱을 설치한 후 공인인증, 결제수단등록 및 거주차우선주차면 활용 동의 등의 절차를 거쳐 회원가입을 할 수 있다.
주차장정보 처리부(352)는 사용자 입력부(330) 또는 주차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주차장 관련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부(340)에 저장한다. 주차장정보 처리부(352)는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에 추가된 주차면 식별정보, 표지병 식별정보, 주차면 이용요금 변경, 주차장 이용시간 등 주차장 및 주차면에 과한 기본 정보를 처리한다. 또한, 주차장정보 처리부(352)는 표지병 유지보수정보, 예컨대 배터리 교체예상날짜, 통신 칩 교체예상날짜 등을 저장부(340)의 주차장정보(342)에 저장할 수 있다.
주차면 점유상태 처리부(353)는 통신부(310)를 통해 표지병(200)으로부터 전송된 태그정보와 표지병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이벤트정보를 수신하면, 주차이벤트정보에 포함된 표지병 식별정보를 이용해 저장부(340)로부터 주차이벤트가 발생한 주차면 식별정보를 검색하고, 주차이벤트정보에 포함된 태그정보를 이용해 저장부(340)로부터 주차된 차량의 회원정보를 검색한다. 주차면 점유상태 처리부(353)는 검색결과 회원정보가 없으면 주차면정보의 점유상태정보를 ‘비회원 주차중’으로 변경하고, 검색결과 회원정보가 있으면 검색된 회원정보를 주차면정보에 추가 저장하고 검색된 회원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를 이용해 주차된 차량이 거주자 또는 비거주자의 차량인지를 판단한다. 주차면 점유상태 처리부(353)는 주차된 차량이 거주자 또는 비거주자의 차량인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주차면정보의 점유상태정보를 ‘거주자 주차중’ 또는 ‘비거주자 주차중’으로 변경한다.
주차면 점유상태 처리부(353)는 통신부(310)를 통해 표지병으로부터 전송된 표지병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차이벤트정보를 수신하면, 출차이벤트정보에 포함된 표지병 식별정보를 이용해 저장부(340)로부터 출차이벤트가 발생한 주차면 식별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주차면 식별정보를 이용해 주차면정보의 점유상태정보를 ‘주차가능’으로 변경한다. 또한, 회원 단말기(500)로부터 주차면 예약 신청을 받은 경우 해당 주차면을 '주차 예약 중'으로 변경한다.
알람 처리부(354)는 주차면정보의 점유상태정보가 ‘비회원 주차중’인 주차면 식별정보를 이용해 저장부(340)로부터 주차관리자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주차관리자 단말기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비회원차량 주차이벤트정보를 포함하는 알람메시지를 발송한다. 주차관리자 단말기를 소지한 주차관리자는 알람메시지를 보고, 현장에 방문하여 운전자 휴대폰 번호, 차량번호, 주차 사진을 확보하고 적어도 회원가입, 요금징수, 과태료 부과, 또는 견인조치 중 어느 하나의 내용을 주차관리자 단말기에 입력하여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 전송한다.
부가정보 처리부(355)는 저장부(340)에 저장된 회원정보와 주차장정보를 분석해서 회원별로 자신이 다른 회원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1 사용시간과 다른 회원이 자신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2 사용시간을 산출하고, 산출한 제1 사용시간과 제2 사용시간을 이용해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또는 공영주차장에서 사용 가능한 제1 주차면 마일리지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제1 주차면 마일리지를 포함하는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를 저장부(340)에 저장한다.
부가정보 처리부(355)는 통신부(310)를 통해 회원 단말기(500)로부터 회원 단말기 식별정보와 주차장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마일리지 사용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마일리지 사용정보를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에 추가 저장하고, 상기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에 저장된 주차면 마일리지에서 상기 마일리지 사용정보만큼 감산하고, 감산된 주차면 마일리지를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에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차면 마일리지 사용례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부가정보 처리부(355)는 통신부(310)를 통해 주차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 주차관리자 단말기 식별정보와 주차장 식별정보와 적어도 회원 단말기 식별정보, 차량정보, 또는 태그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마일리지 사용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마일리지 사용정보를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에 추가 저장하고, 상기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에 저장된 주차면 마일리지에서 상기 마일리지 사용정보만큼 감산하고, 감산된 주차면 마일리지를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에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주차면 점유상태 처리부(353)는 통신부(310)를 통해 주차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주차관리자 단말기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조치내용(예를 들어 운전자 휴대폰 번호, 차량번호, 주차 사진 등 차량 관련 정보 및 적어도 회원가입, 요금징수, 과태료 부과, 또는 견인조치 중 어느 하나의 조치결과)을 포함하는 비회원차량 조치결과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340)이 부가정보(343)에 비회원차량 조치결과정보를 추가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부가정보 처리부(355)는 저장부(340)에 저장된 회원정보와 주차장정보를 분석해서 회원별로 비회원이 자신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3 사용시간을 추가 산출하고 산출한 제3 사용시간을 추가로 이용하여 제2 주차면 마일리지를 추가 산출하고 산출한 제2 주차면 마일리지를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에 추가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주차장 예약 처리부(356)는 통신부(310)를 통해 회원 단말기 식별정보와 주차장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예약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예약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주차면 대여 가능 시간대에 속하는 예약신청인지를 확인하고 주차면정보에 상기 주차면 예약정보를 주차면점유상태정보의 일종으로 추가 저장한다.
이에 따라, 해당 주차면은 추가적인 주차예약이 불가한 상태로 되며, 주차면의 실제 이용 여부에 상관없이 주차 예약 시에 사전 결제 또는 마일리지 차감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주차 예약 및 주차 실행 후 사후 결제나 마일리지 차감을 할 수도 있다.
마일리지로 주차면을 예약하는 경우에는, 주차장 예약 처리부(356)는 해당 회원정보(341)의 마일리지를 조회하여 잔여 마일리지를 확인하고, 예약에 필요한 마일리지가 충분한 경우에는 예약을 확정하며, 예약에 필요한 마일리지가 부족한 경우에는 예약거부 또는 마일리지 유료 구입을 권유할 수 있다.
한편, 거주자 회원의 경우에도 회원 가입 시에 설정한 자신의 주차면 대여 시간에는 타 회원과 동일한 자격으로 자신의 주차면을 예약해야 주차면 이용이 가능하며, 자신의 주차면 대여 시간 이외의 전용 이용 시간 대에는 예약 없이 주차면 이용이 가능하다. 주차면 예약을 포함하는 주차면 사용례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사용현황 제공모듈이 탑재된 주차관리자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주차관리자 단말기(4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데스크탑 PC,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PC 등의 전용기기 또는 전용 앱이 설치된 범용 기기일 수 있다. 주차관리자 단말기(400)는 통신부(410)와 출력부(420)와 사용자 조작명령과 데이터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430)와 저장부(440)와 제어부를 포함한다.
통신부(410)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주차정보 관리장치(300)와 주차 관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출력부(320)는 LC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부와 프린터기, 복사기와 같은 인쇄부와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330)는 사용자 조작명령과 데이터를 입력 받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음성 입력수단,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340)는 주차관리자 단말기(4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유형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유형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들은 고체상태디스크(SSD), 하드디스크(HDD), 광디스크(ODD), 바코드, CD-ROM 및 DVD 등의 광학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판독-전용 메모리(ROM), 휘발성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 기타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 저장 디바이스 등을 모두 포함한다.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43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조작명령과 데이터에 따라 주차장 사용현황 제공모듈(450)을 구동한다. 주차장 사용현황 제공모듈(450)은 접속 처리부(451)와 주차장정보 제공부(452)와 알람 처리부(453)를 포함한다.
접속 처리부(451)는 사용자 입력부(430)로부터 입력된 접속정보를 통신부(410)를 통해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 전송하고,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부터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사용과 관련된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420)로 출력한다.
주차장정보 제공부(452)는 주차장 식별정보와 회원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점유상태요청정보를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 전송하고,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부터 주차장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점유상태정보와 주차면 예약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점유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420)로 출력한다.
알람 처리부(453)는 통신부(410)를 통해 상기 주차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주차관리자 단말기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비회원차량 주차이벤트정보를 포함하는 알람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부(420)로 출력한다. 알람 처리부(453)는 사용자 입력부(430)로부터 비회원차량에 구비된 휴대폰 번호, 차량번호 및 주차 사진과 적어도 회원가입, 요금징수, 과태료 부과, 또는 견인조치 중 어느 하나의 내용을 포함하는 조치내용이 입력되면, 주차관리자의 단말기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상기 조치내용을 포함하는 비회원차량 조치결과정보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 전송한다. 주차관리자는 회원차량이어도 예약 시간대가 아니거나 결제 없이 주차면을 이용하는 경우 등에는 비회원차량에 준하여 조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알람 처리부(453)에 무단주차 상황이 통보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사용현황 제공모듈이 탑재된 회원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회원 단말기(500)는 PDA, 데스크탑 PC,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PC 등의 전용기기 또는 전용 앱이 설치된 범용 기기일 수 있다. 회원 단말기(500)는 통신부(510)와 출력부(520)와 사용자 조작명령과 데이터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530)와 저장부(540)와 제어부(550: 주차장 사용현황 제공모듈)를 포함한다.
통신부(510)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주차정보 관리장치(300)와 주차면 이용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출력부(520)는 LC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부와 프린터기, 복사기와 같은 인쇄부와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530)는 사용자 조작명령과 데이터를 입력 받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음성 입력수단,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540)는 회원 단말기(5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유형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유형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들은 고체상태디스크(SSD), 하드디스크(HDD), 광디스크(ODD), 바코드, CD-ROM 및 DVD 등의 광학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판독-전용 메모리(ROM), 휘발성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 기타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 저장 디바이스 등을 모두 포함한다.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53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조작명령과 데이터에 따라 주차장 사용현황 제공모듈(550)을 구동한다. 주차장 사용현황 제공모듈(550)은 접속 처리부(551)와 주차면 점유상태 제공부(552)와 주차장 예약 처리부(553)와 부가정보 제공부(554)를 포함한다.
접속 처리부(551)는 사용자 입력부(530)로부터 입력된 접속정보를 통신부(510)를 통해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 전송하고,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부터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사용과 관련된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420)로 출력한다.
주차면 점유상태 제공부(552)는 통신부(510)를 통해 주차장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점유상태요청정보를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 전송하고,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부터 주차장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점유상태정보와 주차면 예약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점유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520)로 출력한다.
주차장 예약 처리부(553)는 통신부(510)를 통해 회원 단말기 식별정보와 주차장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예약시간정보 및 마일리지 또는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예약정보를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 전송하고,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부터 예약완료정보 또는 예약변경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520)로 출력한다.
부가정보 처리부(554)는 통신부(510)를 통해 회원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마일리지 요청정보를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 전송하고,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부터 주차면 마일리지를 수신하여 출력부(520)로 출력하고, 회원 단말기 식별정보와 주차장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마일리지 사용정보를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 전송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 관리장치와 표지병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표지병(200)은 대기 모드(S271)에서 차량이 주차면에 주차하였는지를 감지한다(S272). 주차 감지되면 활성 모드(S273)로 변경하고, 차량에 구비된 RFID 태그의 태그정보를 인식한다(S274). 표지병(200)은 태그정보와 표지병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이벤트정보를 생성하여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 전송한다(S275). 비회원 차량의 경우 태그정보가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태그정보 없이 표지병 식별정보만을 포함하는 주차이벤트정보를 생성하여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는 표지병(200)으로부터 전송된 태그정보 및/또는 표지병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이벤트정보를 수신하면(S361), 주차이벤트정보에 포함된 표지병 식별정보를 이용해 저장부로부터 주차이벤트가 발생한 주차면 식별정보를 검색하고, 주차이벤트정보에 포함된 태그정보를 이용해 저장부(340)로부터 주차된 차량의 회원정보를 검색한다(S362).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는 검색결과 회원정보가 없으면(S363), 주차면 식별정보를 이용해 저장부로부터 주차관리자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주차관리자 단말기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비회원차량 주차이벤트정보를 포함하는 알람메시지를 주차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364). 주차관리자 단말기를 소지한 주차관리자는 알람메시지를 보고, 현장에 방문하여 운전자 휴대폰 번호와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주차 사진과 적어도 회원가입, 요금징수, 과태료 부과, 또는 견인조치 중 어느 하나의 내용을 주차관리자 단말기에 입력한다.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는 주차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된 주차관리자의 단말기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조치내용을 포함하는 비회원차량 조치결과정보를 수신하면 주차면점유정보에 비회원차량 조치결과정보를 추가 저장한다.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는 주차면점유정보의 점유상태정보를 ‘비회원 주차중’으로 변경한다(S365).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는 검색결과 회원정보가 있으면(S363), 검색된 회원정보를 주차면점유정보에 추가 저장하고 검색된 회원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를 이용해 주차된 차량이 거주자 또는 비거주자의 차량인지를 판단한다.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는 주차된 차량이 거주자 또는 비거주자의 차량인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주차면점유정보의 점유상태정보를 ‘거주자 주차중’ 또는 ‘비거주자 주차중’으로 변경한다(S365).
표지병(200)은 주차이벤트정보 전송 후 대기 모드(S276)에서 차량이 주차면에서 출차하였는지를 감지한다(S277). 출차 감지되면 활성 모드(S278)로 변경하고, 태그정보와 표지병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차이벤트정보를 생성하여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 전송한다(S279).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는 표지병(200)으로부터 전송된 표지병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차이벤트정보를 수신하면(S366), 출차이벤트정보에 포함된 표지병 식별정보를 이용해 저장부로부터 출차이벤트가 발생한 주차면 식별정보를 검색하고(S367), 검색된 주차면 식별정보를 이용해 주차면점유정보의 점유상태정보를 ‘주차가능’으로 변경한다(S368).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는 저장부에 저장된 회원정보와 주차장정보를 분석해서 회원별로 자신이 다른 회원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1 사용시간과 다른 회원이 자신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2 사용시간을 산출하고, 산출한 제1 사용시간과 제2 사용시간을 이용해 타인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또는 공영주차장에서 사용 가능한 제1 주차면 마일리지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제1 주차면 마일리지를 포함하는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S369).
단계 S369에서,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는 저장부에 저장된 회원정보와 주차장정보를 분석해서 회원별로 비회원이 자신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3 사용시간을 추가 산출하고 산출한 제3 사용시간을 추가로 이용하여 제2 주차면 마일리지를 추가 산출하고 산출한 제2 주차면 마일리지를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에 추가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전 예약 후 주차면 이용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방법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회원 단말기(500)에 서비스 이용을 위한 앱을 설치하고 회원가입을 한다(S100). 이때 행정청에 등록된 자신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주차면 보유하는지의 유무를 입력하고,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주차면 보유자인 거주자 회원은 자신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주차면에 대한 전용 사용 시간과 대여 가능 시간을 구분하여 설정하도록 한다.
이후, 회원이 타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주차장을 이용하기 위해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 주차예약 요청을 한다(S102). 이용가능한 주차장 및 주차면을 검색하는 기능이 회원단말기(500)에서 지원되어 지도를 이용한 위치 검색, 가격대 검색 기능 등이 구현될 수 있다.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는 해당 회원의 보유 마일리지 정보를 확인하여 예약 내용에 따른 주차면 이용에 필요한 마일리지 이상으로 적립된 상태인지를 확인한다(S104).
확인 결과, 충분한 마일리지가 적립되어 있으면 예약완료가 되지만(S106), 마일리지가 부족하면 해당 회원에게 추가 마일리지 구입의사를 확인한다(S120).
회원은 현금, 상품권, 신용카드, 기타 유가증권이나 사이버 머니 등으로 주차정보 관리장치(300)에서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통해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이용을 위한 마일리지를 구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일리지 구입에 의해 상기 예약에 필요한 마일리지를 확보하게 되면 다시 주차예약 단계로 복귀하여(S102), 마일리지 적립 현황을 체크하고(S104) 예약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S106).
만약, 마일리지가 부족한 상태인데 마일리지 구입 요청이 없으면 주차를 거부하게 된다.
예약을 마친 회원은 예약된 시간대에 해당 주차면에 차량을 주차할 수 있으며(S110), 예약종료 후에도 타 차량의 예약이 없다면 예약연장을 신청(S112)할 수 있다. 예약연장 신청은 초기 예약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되며 마일리지 확인절차를 거쳐 예약을 완료하게 된다.
만약, 예약연장 신청에 대응하는 시간대에 다른 주차예약이 있다면 주차를 거부하게 된다.
주차가 완료되고 예약연장신청이 없는 경우에는 주차면 이용결과를 정산하게 된다(S114). 주차면 이용결과 정산은 회원 단말기(500)에서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로 해당 주차면 이용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하는 절차이며, 바람직하게는 주차예약 시간 종료시점에 자동으로 수행된다. 이에 따라,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는 해당 회원 및 해당 주차면에 관련된 정보를 갱신하고 예약절차를 종료하며, 다른 회원 단말기로부터의 주차예약요청을 수신하는 대기 모드로 진행한다.
예약절차가 종료된 상태에서 소정의 기간이 지나도록 해당 주차면에 여전히 주차된 회원의 차량은 무단주차차량으로 간주되므로(S116), 표지병(200)이 이러한 상황을 감지하여 주차정보 관리장치(300)에 관련 정보를 전송하면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는 회원 단말기(500)의 앱을 통해 추가 주차예약 또는 예약연장을 원하는지 확인하고 주차예약요청 등의 관련절차를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약종료 후 소정의 기간 동안 추가 주차예약이나 예약연장 없이 주차상태가 유지되면,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는 이를 무단주차로 판단하고 알람처리 절차를 통해 주차관리자 단말기(400)로 통지하여 해당 주차장을 관리하는 주차관리자가 요금징수, 과태료 부가 또는 차량 견인 등의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S118). 이때, 주차관리자는 위와 같은 조치의 시행 이전에 해당 차량의 운전자에게 본 발명의 주차관리 서비스를 설명하고 회원가입을 유도하여 해당 주차면에 대해 즉시예약 후 이용하도록 하는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주차종료 후 곧바로 무단주차로 판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예약 시간과 다른 예약 시간 사이에는 소정의 시간 동안 대기 시간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예약 후 주차면 이용 방법의 다른 순서도이다.
도 8은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의 특정 주차면에 대해 사전에 이용 예약이 없는 상태에서 차량의 주차가 감지된 경우의 처리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주차면에 매립되어 설치된 표지병(200)이 차량주차를 감지하고 주차이벤트정보를 생성하여 무선중계기(290)를 거쳐 주차정보 관리장치(300)에 해당 주차이벤트정보를 전송한다(S200).
이후, 주차정보 관리장치(300)에서는 해당 차량이 예약 차량인지를 판단하여(S202), 예약된 차량인 경우에는 주차를 허용하고(S204), 예약 차량이 아닌 경우에는 회원 단말기(500)의 서비스 앱을 통해 회원인지를 인증하고, 인증된 회원인 경우에는 해당 주차면을 실시간으로 예약하고 즉시 이용할 수 있도록 즉시예약을 유도한다(S216).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곧바로 무단주차로 처리할 것이 아니라, 차량 운전자가 서비스 앱을 설치하고 통신을 수행하는 소정의 기간 동안을 기다려 회원가입이 이루어지고(S218), 즉시예약(S216)이 이루어지면 해당 주차면을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와 같이, 서비스의 활용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예약 없이 주차한 차량에 대해 곧바로 무단주차에 따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소정의 시간 동안 대기 시간을 두어 정상적인 회원가입, 주차예약 등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원인 경우에도 상기 대기 시간 내에 즉시예약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거나, 비회원인 경우에 상기 대기 시간 내에 회원가입 및 즉시예약이 이루어지지 않고 주차유지상태가 지속되고 있으면(S210),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는 이를 무단주차로 판단하고 알람처리를 통해 주차관리자 단말기(400)로 통지하여 해당 주차장을 관리하는 주차관리자가 요금징수, 과태료 부가 또는 차량 견인 등의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S212). 이때, 주차관리자는 위와 같은 조치의 시행 이전에 해당 차량의 운전자에게 본 발명의 주차관리 서비스를 설명하고 회원가입을 유도하여 해당 주차면에 대해 즉시예약 후 이용하도록 하는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한편, 사전예약 또는 즉시예약을 통해 주차를 마친 회원은 예약된 시간대에 해당 주차면에 차량을 주차할 수 있으며(S204), 예약종료 후에도 타 차량의 예약이 없다면 예약연장을 신청(S296)할 수 있으며, 주차가 완료되고 예약연장신청이 없는 경우에는 주차면 이용결과를 정산하게 되는 과정(S208)은 도 7에서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예약절차가 종료된 상태에서 소정의 기간이 지나도록 해당 주차면에 여전히 차량이 주차된 상태인지를 판단하여(S210), 알람처리 등의 절차를 진행하는 과정(S212)도 도 7에서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면 이용에 따른 마일리지 사용 방법의 개념도이다.
행정청에 등록된 자신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의 주차면을 확보하고 본 발명의 주차관리 서비스에 가입한 거주자 회원 A 와 거주자 회원 B, 및 자신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주차면이 없는 상태로 본 발명의 주차관리 서비스에 가입한 거주자 회원 C 및 본 발명의 주차관리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비회원 D를 상정한다.
거주자 회원 A, B의 경우 예를 들어 일주일 중 평일 5일을 주차면 대여 기간으로 설정하고 하루 중 10시간을 주차면 대여 시간을 설정하면, 매 대여 시간 1시간마다 1마일의 마일리지(여기서, '마일', '마일리지' 등의 용어는 동일 목적과 기능을 가진 다른 용어도 대체 가능함)를 제공하고, 타인이 해당 주차면을 이용하는 각 1시간마다 추가로 1마일의 마일리지를 제공한다.
비거주자 회원 C의 경우 자신의 주차면이 없으므로 마일리지의 무상 제공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현금 등으로 마일리지를 구매해야 한다.
회원이 타인의 주차면을 이용하는 경우 매 예약 1시간마다 2마일의 마일리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비회원 D는 본 발명의 주차관리 서비스 가입절차를 거쳐서 회원으로 전환되지 않는 한 주차관리자를 통해서 유료 주차하거나 기타 방식으로 조치된다. 비회원 D의 경우에는 무단주차 1시간마다 3마일의 마일리지를 사용/구매하는 것으로 하며, 비회원 D가 이용한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주차면 보유자에게는 무단주차 1시간마다 2마일의 마일리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예컨대 일주일의 동일 기간 동안 A, B, C, D의 주차면 사용현황에 따른 마일리지 적립, 사용 등의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거주자 회원 A는 자신의 주차면을 매일 10시간 대여하고 그 동안 비거주자 회원 C가 해당 주차면에 주5일간 매일 5시간씩 주차하였고, 거주자 회원 A는 동일 기간 동안 거주자 회원 B의 주차면에 주5일간 매일 5시간씩 주차하였다.
거주자 회원 B는 자신의 주차면을 매일 10시간 대여하고 그 중 5시간을 거주자 회원 A가 이용하였지만, 본인은 타인의 주차면을 이용하지 않았다.
비거주자 회원 C는 거주자 회원 A의 주차장을 주5일간 매일 5시간씩 주차하였다.
비회원 D는 비거주자 회원 C와는 다른 시간대에 거주자 회원 A의 주차장을 주5일간 매일 5시간씩 무단 주차하였다.
먼저, 거주자 회원 A는 매일 10시간의 대여에 대해 5일간 50마일의 마일리지를 제공받고, 비거주자 회원 C의 주차면 이용에 따라 매일 5시간씩 5일간 25마일의 마일리지를 제공 받고, 비회원 D의 주차면 이용에 따라 매일 5시간씩 5일간 추가 50마일을 제공받고, 거주자 회원 B의 주차면을 이용함에 따라 매일 5시간씩 5일간 50마일을 지급하므로 결국 일주일간 총 75마일의 마일리지 적립이 이루어진다.
거주자 회원 B는 매일 10시간의 대여에 대해 5일간 50마일의 마일리지를 제공받고, 거주자 회원 A의 주차면 이용에 따라 매일 5시간씩 5일간 25마일의 마일리지를 제공받아 총 75마일을 적립한다.
비거주자 회원 C는 매일 5시간씩 5일간 주차에 따라 총 50마일을 지급해야 하므로, 50마일의 마일리지를 구매하여야 한다.
비회원 D는 매일 5시간씩 5일간 무단 주차하였으므로 무단주차에 따른 과태료 및 견인료 외에 75마일에 상당하는 거주자 우선주차 구역 이용료를 부담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은 주차정보 관리장치(300)에 의해 다음과 같이 처리 가능하다.
먼저, 주차정보 관리장치(300)는 저장부(341)의 회원정보(341)에 거주자 회원 A, B 및 비거주자 회원 C의 회원 단말기 식별정보, 차량정보, RFID 태그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부가정보(343)에 제1, 제2 주차면 마일리지를 포함하는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와 비회원 D에 대한 조치결과정보를 저장하고 갱신한다.
주차정보 관리장치(300)의 제어부(350)는 부가정보처리부(355)에서 회원 A, B, C의 주차면 이용정보를 이용하여 각 회원별로 제1 주차면 마일리지를 산출한다. 즉, 자신이 다른 회원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1 사용시간과 다른 회원이 자신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2 사용시간을 산출하고, 산출한 제1 사용시간과 제2 사용시간 및 기본 조건에 대응하는 마일리지를 합산, 차감 등의 방식으로 산출하여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또는 공영주차장에서 사용 가능한 제1 주차면 마일리지를 생성하여 저장부(340)의 부가정보(343)에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의 일종으로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회원별로 비회원이 자신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3 사용시간을 추가 산출하고 산출한 제3 사용시간을 추가로 이용하여 제2 주차면 마일리지를 추가 산출하고 산출한 제2 주차면 마일리지를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에 추가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한편, 부가정보처리부(355)에서 비회원 D의 주차면 이용정보 및 무단주차에 대한 조치결과정보를 저장부(340)의 부가정보(343)에 비회원 주차면 이용정보의 일종으로 저장 및 관리한다.
예시적으로 상기한 A, B, C, D의 경우에 대한 주차정보 관리장치(300)의 부가정보처리부(355)에서의 마일리지 산출 및 처리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거주자 회원 A의 제1, 2 주차면 마일리지 = 기본 대여 시간(+50마일)+제1 사용시간(-50마일)+제2 사용시간(+25마일)+제3 사용시간(+50마일) = 75마일 적립
거주자 회원 B의 제1, 2 주차면 마일리지 = 기본 대여 시간(+50마일)+제1 사용시간(0마일)+제2 사용시간(+25마일)+제3 사용시간(0마일) = 75마일 적립
비거주자 회원 C의 제1 주차면 마일리지 = 기본 대여 시간(0마일)+제1 사용시간(-50마일)+제2 사용시간(0마일) = 50마일리지 구매
비회원 D의 주차면 이용정보 = 제3 사용시간(-75)마일 + 견인정보 = 75마일리지 구매 + 과태료정보 + 견인정보
한편, 위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주차관리 시스템 운영자에 대한 주차정보 관리장치(300)에서의 마일리지 정산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주차관리 시스템 운영자 마일리지 = A + B + C + D 마일리지 정산 = 거주자 회원 A 50마일 제공(-75마일) + 거주자 회원 B 75마일 제공(-75마일) + 비거주자 회원 C 50마일 판매(+50마일) + 비회원 D 50마일 판매(+75마일) = 25마일 제공(-25마일)
한편, 위 예시적인 경우와 달리, 기본 대여 시간에 적용하는 마일리지, 제1, 제2 및 제3 사용시간에 거주자와 주차면 이용자에게 적용하는 마일리지를 해당 지역의 통상적인 주차료, 주차면 수, 월 이용 현황 등의 특성에 맞추어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한다면, 기존의 주차 현황과 같은 통계를 이용하거나 시범 운영 기간 동안 추출된 통계를 이용하여, 주차관리 시스템 운영자의 누적 마일리지가 플러스가 되도록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마일리지는 비거주자 회원이나 비회원이 구매할 수 있는 유료 아이템이므로 주차관리 시스템 운영자는 마일리지 판매에 따른 수입을 얻을 수 있으며, 적립 또는 구매한 마일리지 보유자는 마일리지를 이용하여 주차장 이용이 절실한 순간에 금전적 부담 없이 교통 요지에 위치한 타인의 우선주차구역을 이용하거나 공영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주차관리 시스템 운영자가 운영하는 공영주차장 외에, 동일 주차관리 시스템 운영자가 운영하는 타 지역의 주차관리 시스템이 관할하는 거주자 우선주차 구역을 이용할 때 적립 또는 구매한 마일리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주차관리 시스템 운영자와 업무 제휴된 타 주차관리 시스템 운영자가 운영하는 타 지역의 거주자 우선주차 구역이나 공영주차장을 이용할 때에도 적립 또는 구매한 마일리지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주차관리자 단말기와 회원 단말기와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의 각 주차면에 설치되는 표지병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주차정보 관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차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표지병으로부터 주차/출차이벤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차관리자 단말기와 주차 관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회원 단말기와 주차면 이용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회원정보, 주차장정보 및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주차면 이용 관련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부의 회원정보, 주차장정보 및 부가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저장 또는 갱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차관리자 단말기 및 회원 단말기와 주차 관리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의 회원정보는 회원 개인정보, 회원 결제정보, 회원 차량의 태그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의 주차장정보는 주차장위치정보, 주차면정보, 표지병정보 및 주차관리자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의 부가정보는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와 비회원 주차면 이용정보를 포함하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접속정보 처리부, 주차장정보처리부, 주차면점유상태처리부, 알람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속정보처리부는 회원 단말기와의 접속을 통해 회원가입안내를 제공하고, 공인인증등록, 결제수단등록, 거주차우선주차면활용동의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의 회원정보에 저장하며,
    상기 주차장정보처리부는 상기 주차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주차면 식별 정보, 표지병 식별 정보, 회원 정보, 주차면 이용 요금, 주차면 이용 시간을 포함하는 주차장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의 주차장정보에 저장하며,
    상기 주차면점유상태처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상기 표지병으로부터 태그정보와 표지병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이벤트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회원정보를 검색하고, 검색결과 회원정보가 없으면 상기 주차면정보의 주차면점유상태정보를 ‘비회원 주차중’으로 변경하며, 검색결과 회원정보가 있으면 검색된 회원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를 이용해 주차된 차량이 거주자 차량인지 또는 비거주자 차량인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주차면정보의 점유상태정보를 ‘거주자 주차중’ 또는 ‘비거주자 주차중’으로 변경하며,
    상기 주차면점유상태처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지병으로부터 적어도 표지병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차이벤트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표지병 식별정보를 이용해 상기 주차면정보의 주차면점유상태정보를 ‘주차가능’으로 변경하며,
    상기 알람처리부는 상기 주차면정보의 상기 주차면점유상태정보가 ‘비회원 주차중’인 경우 상기 주차면에 대응하는 주차관리자 단말기 식별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주차관리자 단말기 식별정보와 상기 주차면 식별정보와 비회원차량 주차이벤트정보를 포함하는 알람메시지를 상기 주차관리자 단말기로 발송하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부가정보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부가정보처리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회원정보와 주차장정보를 분석해서 회원별로 자신이 다른 회원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1 사용시간과 다른 회원이 자신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2 사용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사용시간과 제2 사용시간을 이용해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또는 공영주차장에서 이용가능한 제1 주차면 마일리지를 산출하여 상기 저장부의 부가정보에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로 저장하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처리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회원정보와 주차장정보를 분석해서 회원별로 비회원이 자신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3 사용시간을 추가 산출하고 산출한 제3 사용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주차면 마일리지에 비해 같거나 더 높은 시간당 적립율을 갖는 제2 주차면 마일리지를 추가 산출하여 상기 저장부의 부가정보에 회원별 주차면 이용정보로 저장하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차장예약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주차장예약처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회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회원 단말기 식별정보와 주차장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예약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예약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의 상기 주차면점유상태정보에 상기 주차면 예약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주차면점유상태정보를 갱신하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회원 단말기는:
    상기 주차정보 관리장치와 주차면 이용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조작명령과 데이터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에게 처리 현황 및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회원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조작명령과 데이터에 따라 상기 회원 단말기의 상기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접속처리부, 주차면점유상태제공부, 주차장예약처리부 및 부가정보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속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접속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차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주차정보 관리장치로부터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사용과 관련된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며,
    상기 주차면점유상태제공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주차장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점유상태요청정보를 상기 주차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주차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주차장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점유상태정보와 주차면 예약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점유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며,
    상기 주차장예약처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회원 단말기 식별정보와 주차장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예약시간정보 및 마일리지 또는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예약정보를 주차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주차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예약완료정보 또는 예약변경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로 출력하며,
    상기 부가정보처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회원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마일리지 요청정보를 주차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주차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주차면 마일리지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로 출력하고, 회원 단말기 식별정보와 주차장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마일리지 사용정보를 주차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주차정보 관리장치와 주차 관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조작명령과 데이터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에게 처리 현황 및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주차관리자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조작명령과 데이터에 따라 상기 주차관리자 단말기의 상기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접속처리부, 주차장정보제공부 및 알람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속 처리부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접속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주차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주차정보 관리장치로부터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사용과 관련된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며,
    상기 주차장정보 제공부는 주차장 식별정보와 회원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점유상태요청정보를 주차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주차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주차장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점유상태정보와 주차면 예약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점유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며,
    상기 알람 처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차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주차관리자 단말기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비회원차량 주차이벤트정보를 포함하는 알람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며, 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비회원차량에 구비된 휴대폰 번호, 차량번호 및 주차 사진 중 적어도 하나의 차량 정보와 회원가입, 요금징수, 과태료 부과, 또는 견인조치 중 적어도 하나의 내용을 포함하는 조치내용이 입력되면, 주차관리자의 단말기 식별정보와 주차면 식별정보와 상기 차량 정보와 조치내용을 포함하는 비회원차량 조치결과정보를 주차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8. 주차관리자 단말기와 회원 단말기와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의 각 주차면에 설치되는 표지병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주차정보 관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에서의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주차면에 대한 주차예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차예약요청을 전송한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회원 마일리지 정보와 상기 주차예약요청에 대응하는 예약 마일리지 정보를 비교하여 마일리지가 충분하면 예약을 완료하고 주차를 허용하며, 마일리지가 충분하지 않으면 마일리지 구입 권유 메시지를 상기 회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일리지 구입 권유 메시지에 대응하여 회원 단말기로부터 마일리지 구입 요청이 있으면 이에 대응하여 마일리지를 제공하고 상기 주차예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로 복귀하며,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마일리지 구입 요청이 없으면 주차를 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주차예약시간의 종료 전후로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예약연장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예약연장요청에 대응하는 시간대에 다른 주차예약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다른 주차예약이 없으면 상기 주차예약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로 복귀하며, 다른 주차예약이 있으면 주차를 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주차예약시간이 종료된 주차 허용 차량 및 주차 거절된 차량에 대한 주차유지여부를 판단하여, 주차유지가 해소되면 다른 회원 단말기로부터 주차예약요청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며, 주차유지가 지속되면 상기 주차관리자 단말기로 알람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다른 회원 단말기로부터의 주차예약요청 대기 중에 상기 표지병으로부터 주차이벤트정보는 수신하면 해당 차량이 예약차량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해당 차량이 예약차량인 경우 주차를 허용하며, 상기 해당 차량이 예약차량이 아닌 경우 회원 차량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해당 차량이 회원 차량인 경우 해당 회원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즉시 예약을 수행하며, 회원 차량이 아닌 경우 차량 운전자 단말기와의 통신이 가능한 경우 소정 기간을 기다려서 회원 가입 및 즉시예약을 수행하며, 회원 차량이 아니고 차량 운전자 단말기와의 통신도 불가능하거나 소정 기간 동안 회원가입 및 즉시예약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주차유지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주차유지가 해소되면 다른 회원 단말기로부터 주차예약요청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며, 주차유지가 지속되면 상기 주차관리자 단말기로 알람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방법.
  12. 주차관리자 단말기와 회원 단말기와 거주자 우선주차구역의 각 주차면에 설치되는 표지병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주차정보 관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에서의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차정보 관리장치에서 각 회원별로 자신이 다른 회원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1 사용시간과 다른 회원이 자신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2 사용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시간과 제2 사용시간 및 각 회원별 기본 조건에 대응하는 마일리지를 소정의 방식으로 산출하여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또는 공영주차장에서 사용 가능한 제1 주차면 마일리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1 주차면 마일리지를 각 회원별로 적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각 회원별로 비회원이 자신의 주차면을 사용한 제3 사용시간을 추가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3 사용시간을 추가로 이용하여 제2 주차면 마일리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2 주차면 마일리지를 상기 각 회원별로 적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차면 마일리지는 상기 제1 주차면 마일리지에 비해 적어도 같거나 더 높은 비율로 적립되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비회원의 주차면 이용정보 및 무단주차에 대한 조치결과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주차면 마일리지 생성시 시간당 마일리지 생성 또는 차감비율은 상기 제1 및 제2 사용시간에 비해서 상기 제3 사용시간에 대한 비율이 더 큰,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방법.
KR1020170124544A 2016-09-28 2017-09-26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55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10843 WO2018062903A1 (ko) 2016-09-28 2017-09-28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24455 2016-09-28
KR1020160124455 2016-09-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758A Division KR20180048530A (ko) 2016-09-28 2018-04-30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163A true KR20180035163A (ko) 2018-04-05
KR101855331B1 KR101855331B1 (ko) 2018-06-08

Family

ID=619772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544A KR101855331B1 (ko) 2016-09-28 2017-09-26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180049758A KR20180048530A (ko) 2016-09-28 2018-04-30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758A KR20180048530A (ko) 2016-09-28 2018-04-30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85533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610B1 (ko) * 2018-10-19 2019-07-10 (주)케이넷 이엔지 주차 공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16089B1 (ko) * 2018-08-06 2019-08-30 세종솔루텍 주식회사 전화 자동응답시스템 겸 Web기반 보이는 ARS를 이용한 주차면 공유 시스템
KR20200025625A (ko) * 2018-08-31 2020-03-10 모루시스템 주식회사 요금 지불을 포함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KR20200038047A (ko) * 2018-10-02 2020-04-1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개인용 주차공간 관리 방법 및 개인용 주차공간 관리 시스템
KR20200088672A (ko) * 2019-01-15 2020-07-23 에이앤엘코퍼레이션 주식회사 거주자 우선 주차면 관리 방법
KR20200143826A (ko) * 2019-06-17 2020-12-28 이효영 반공용 충전 단말기를 기반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KR20210047696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아모에스넷 주차 공간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6652A (ko) * 2020-12-01 2022-06-08 주차장만드는사람들(주) 주차 공간의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방법
KR20220116648A (ko) * 2021-02-15 2022-08-23 (주)지비솔루션 표지병을 활용한 길 안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427A (ko) 2018-10-26 2020-05-15 주식회사 에이텍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의 공유시스템
KR102201677B1 (ko) * 2018-12-04 2021-01-12 김남아 무인 주차장 자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82870B1 (ko) * 2018-12-19 2021-07-29 에이앤엘코퍼레이션 주식회사 거주자 우선 주차 구역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392159B1 (ko) 2020-05-20 2022-04-29 주식회사 네트리 사물인터넷 기반 비콘을 이용한 공유주차장 운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25566A (ko) 2020-08-24 2022-03-03 양성준 주차구역의 공유시스템
WO2023008882A1 (ko) * 2021-07-30 2023-02-02 (주)신라시스템 아파트 또는 상가 주차면 공유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121A (ko) * 2002-03-28 2003-10-08 안상문 휴대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거주자 우선주차구획 관리방법
KR100654394B1 (ko) 2006-03-30 2006-12-06 주식회사 디앤에스 테크놀로지 Rfid태그와 매립센서를 이용한 거주자우선 주차장의 유휴시간 유료주차 관리 및 도난방지 방법
KR20070109529A (ko) * 2006-05-11 2007-11-15 임명구 주차장 온라인 관리 장치와 주차 관리 장치 및 그 방법과그를 이용한 주차장 온라인 운영 시스템
KR20160063476A (ko) * 2014-11-26 2016-06-07 신덕유 주차장 공유를 위한 인센티브 사이버 머니 운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0051A (ko) * 2009-03-05 2010-09-15 심범수 시간 할당에 의한 거주자 우선 주차공간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6363B1 (ko) * 2014-05-28 2016-11-29 (주) 심플릿 주차장 관리용 공유주차 관리시스템
KR20160058334A (ko) * 2014-11-14 2016-05-25 송문택 주차 공간 중개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121A (ko) * 2002-03-28 2003-10-08 안상문 휴대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거주자 우선주차구획 관리방법
KR100654394B1 (ko) 2006-03-30 2006-12-06 주식회사 디앤에스 테크놀로지 Rfid태그와 매립센서를 이용한 거주자우선 주차장의 유휴시간 유료주차 관리 및 도난방지 방법
KR20070109529A (ko) * 2006-05-11 2007-11-15 임명구 주차장 온라인 관리 장치와 주차 관리 장치 및 그 방법과그를 이용한 주차장 온라인 운영 시스템
KR20160063476A (ko) * 2014-11-26 2016-06-07 신덕유 주차장 공유를 위한 인센티브 사이버 머니 운영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089B1 (ko) * 2018-08-06 2019-08-30 세종솔루텍 주식회사 전화 자동응답시스템 겸 Web기반 보이는 ARS를 이용한 주차면 공유 시스템
KR20200025625A (ko) * 2018-08-31 2020-03-10 모루시스템 주식회사 요금 지불을 포함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KR20200038047A (ko) * 2018-10-02 2020-04-1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개인용 주차공간 관리 방법 및 개인용 주차공간 관리 시스템
KR101998610B1 (ko) * 2018-10-19 2019-07-10 (주)케이넷 이엔지 주차 공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088672A (ko) * 2019-01-15 2020-07-23 에이앤엘코퍼레이션 주식회사 거주자 우선 주차면 관리 방법
KR20200143826A (ko) * 2019-06-17 2020-12-28 이효영 반공용 충전 단말기를 기반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KR20210047696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아모에스넷 주차 공간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6652A (ko) * 2020-12-01 2022-06-08 주차장만드는사람들(주) 주차 공간의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방법
KR20220116648A (ko) * 2021-02-15 2022-08-23 (주)지비솔루션 표지병을 활용한 길 안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530A (ko) 2018-05-10
KR101855331B1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331B1 (ko)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643242B2 (en) Parking locator system providing variably priced parking fees
CA2991091C (en) Method and system for legal parking
US20180068337A1 (en) City parking services with area based loyalty programs
US10242573B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merchant and shopper-friendly parking reservations through tourist privileges
US108992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user interface therefor
KR101676363B1 (ko) 주차장 관리용 공유주차 관리시스템
EP2444924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reservations
CN107067248A (zh) 一种智能地锁控制方法及系统
KR20080039452A (ko) 복합 지리 위치할 수 있는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공동이용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150750B1 (ko) 주차 분산을 유도하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및 무인 주차 관제 방법
JP2005276184A (ja) 無線サービス購買システム
KR20120024135A (ko) 스마트폰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대리운전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KR101766858B1 (ko) 가상화폐를 이용한 주차장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8300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user interface therefor
WO2009098813A1 (ja) 路線バス料金精算システム
JP2019079460A (ja) 料金計算装置、料金計算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WO2021230236A1 (ja) 運用支援システム
EP2546795A2 (en) City parking services with area based loyalty programs
KR20160063476A (ko) 주차장 공유를 위한 인센티브 사이버 머니 운영방법
JP2004234513A (ja) 保険提示システム、保険提示サーバ、保険提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062903A1 (ko)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15981A (ko) 주차장 공유를 위한 인센티브 사이버 머니 운영방법
JP7390538B2 (ja) センターバリュー型バス運賃決済システム
JP7333389B2 (ja) 中央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