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547A - 식기 세척기, 특히 가정용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특히 가정용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547A
KR20180034547A KR1020187005394A KR20187005394A KR20180034547A KR 20180034547 A KR20180034547 A KR 20180034547A KR 1020187005394 A KR1020187005394 A KR 1020187005394A KR 20187005394 A KR20187005394 A KR 20187005394A KR 20180034547 A KR20180034547 A KR 20180034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dishwasher
trough
shaped
shro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8113B1 (ko
Inventor
안드레이 부트친스키
디터 홋츠
아르민 클라이버
셍기치 퀴?
셍기치 퀴?g
요한 샤베르트
Original Assignee
베에스하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에스하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에스하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34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통(2)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1), 특히 가정용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며, 세척통은 복수의 벽 부재(3, 4, 5, 6, 7)를 포함하고, 세척 물품의 적재를 위해, 전면에, 세척통 도어를 통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폐쇄될 수 있는 적재 개구부(B)를 구비하며; 우측 측벽부(3), 천장부(4) 및 좌측 측벽부(5)는, 곧게 펴진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평판 프레스 부품을 형성한 다음, U자 형태로 굽혀진 금속 보호판(8)을 형성하며; 홈통형 금속 바닥부(6)는 바람직하게는 오스테나이트 강으로 제조된 딥드로잉 부품이며; 금속 보호판(8) 상에, 그리고 홈통형 금속 바닥부(6) 상에 후면에서 고정되는 금속 후벽부(7)는 바람직하게는 평판 프레스 부품으로서 형성되며; 금속 보호판(8)의 두 측벽부(3, 5)는 자신들의 각각의 하부 벽 에지부(3.U, 5.U)에서 외부 인터페이스들(12.R, 12.L)에 의해 홈통형 금속 바닥부(6)와 바람직하게는 형태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며; 외부 인터페이스(12.R, 12.L)는 형태 결합식 연결부(13), 특히 동적 또는 정적 절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 특히 가정용 식기 세척기
본 발명은 세척통(washing tub)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특히 가정용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며, 세척통은 복수의 벽 부재를 포함하고, 세척 물품의 적재를 위해, 전면(front side)에 세척통 도어를 통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폐쇄될 수 있는 적재 개구부(charging opening)를 구비한다.
상기 유형의 식기 세척기는 예컨대 독일 공보 DE 75 20 122 U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개시되는 식기 세척기는, 세척 물품의 적재를 위해 전면에서 개방된 외부 케이싱부(outer casing)를 구비한 세척통을 포함하며, 외부 케이싱부는 절첩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기밀하게 구성되는 복수의 박판 블랭크(sheet-metal blank)로 구성되고, 적재 개구부를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에워싸는, 밀봉부의 수용을 위한 단차형 테두리부(stepped edge)를 포함한다. 테두리부는, 적재 개구부를 에워싸는 절첩된 세척통의 테두리 구역을 확대하는 것을 통해 단차형으로 형성된다. 확대된 테두리부는 세척통의 측벽부들 및 천장부(ceiling)에 걸쳐서 연장되며, 그에 반해 바닥부는 적재 개구부에서 확대된 언더컷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는 실시형태에서, 일측 박판 블랭크는 세척통의 천장부이고, 그에 반해 제2 박판 블랭크는 세척통의 측벽부들 및 후벽부와 함께 세척통의 중앙 섹션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2 박판 블랭크는 세척통의 수직 벽부들을 형성하며, 다시 말해 제2 박판 블랭크는 장착된 상태에서 이른바 "가로 놓인 U자"의 형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3 박판 블랭크는 최종적으로 세척통의 바닥부를 형성한다.
독일 공보 DE 69 24 403 U1호는 서로 연결되는 금속 박판 소재의 바닥 벽부-천장 벽부-측벽부들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용 세척통을 개시하고 있다. 각각의 측벽부는 인접한 테두리부들의 플랜지 결합을 통해 바닥 벽부 및 천장 벽부와 연결된다. 다시 말해, 일체형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진 수직 측벽부들은 다시금 장착된 상태에서 이른바 "가로 놓인 U자"의 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영국 공보 GB 2 064 309 B호도 서로 연결되는 금속 박판 소재의 바닥 벽부-천장 벽부-측벽부들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용 세척통을 개시하고 있다. 각각의 측벽부는 인접한 테두리부들의 플랜지 결합을 통해 바닥 벽부 및 천장 벽부와 연결된다. 또한, 그에 따라, 일체형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진 3개의 수직 측벽부는 장착된 상태에서 이른바 "가로 놓인 U자"의 형태를 나타낸다.
장착된 상태에서 이른바 "가로 놓인 U자" 형태로 세척통의 수직 측벽부들을 구성하게 되면, 그 결과로, 예컨대 식기 세척기의 운송 또는 보관 동안 불시에 세척통에 작용하는 힘을 흡수하기 위한 후벽부 플랜지가 제공되지 않게 되는 제조 기술 측면에서 중대한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에 따라, 통상, 제2 프레임부가 고정 및 힘 전달 부재로서 식기 세척기의 뒤쪽 영역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런 제2 프레임부를 통해 추가적인 제조 및 조립 비용이 발생한다.
독일 공보 DE 75 16 419 U1호는 특히 전면 적재형 식기 세척기들을 위한 터브(tub)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 터브는, 바람직하게는 환형 박판 케이싱부(sheet casing)를 확대하는 것을 통해 형성되어 홈통(trough)형 바닥부, 측벽부들 및 천장부를 포함하는 터브 섹션을 포함하고, 이 터브 섹션은 자신의 후면에 고정되는 벽부로 폐쇄되어 있다. 터브 섹션은 2개의 상이한 폭넓은 박판 블랭크로 구성되며, 이 박판 블랭크들 중 상대적으로 폭이 더 넓은 광폭 박판 블랭크는 바닥부를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폭이 더 좁은 협폭 박판 블랭크는 측벽부들 및 천장부를 형성한다.
수년에 걸쳐 확인된 점에 따르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대된 세척통의 제조를 위한 확대 장치(expander)의 구조는 매우 개발 집약적이고 그에 따라 평균 이상으로 고가이다. 또한, 상기 유형의 확대 장치는 작동 중에 지나치게 유지보수 집약적이고, 그에 따라 비용 집약적이며, 그리고 바로 계획되지 않은 정지 시간을 야기하기 쉽다.
독일 공보 DE 10 2010 029 763 A1호는 세척 주기 동안 세척 물품의 수용을 위해 제공되고 하면에는 특히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개수대(dishpan)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특히 가정용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을 위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개수대의 상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표면 마감(facing)하기 위한 박판부를 포함한다.
유럽 공보 EP 1 609 403 B1호는 상판(upper plate)과, 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판(lower plate)과,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결되는 중판(middle plate)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을 개시하고 있다. 상판, 중판 및 하판은 모서리 용접 섹션들을 포함하며, 이 모서리 용접 섹션들의 안쪽 휨 반경들은 모서리 용접 섹션들의 바깥쪽 휨 반경들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기술의 배경을 기반으로, 현저하게 개량된 세척통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특히 가정용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복수의 벽 부재를 포함하고; 세척 물품의 적재를 위해 전면에 세척통 도어를 통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폐쇄될 수 있는 적재 개구부를 구비한; 세척통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특히 가정용 식기 세척기가 제안된다. 그 외에, 우측 금속 측벽부, 금속 천장부 및 좌측 금속 측벽부는 세척통의 금속 보호판(metal shroud)을 형성하며, 이 금속 보호판은 곧게 펴진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평판 프레스 부품을 형성한 다음, U자 형태로 굽혀진 것이다. 또한, 홈통형 금속 바닥부는 바람직하게는 오스테나이트 강으로 제조된 딥드로잉 부품이며, 그리고 금속 보호판 상에, 그리고 홈통형 금속 바닥부 상에 후면에서 고정되는 금속 후벽부는 바람직하게는 평판 프레스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금속 보호판의 두 측벽부는 자신들의 각각의 하부 벽 에지부에서 외부 인터페이스들에 의해 홈통형 금속 바닥부와 바람직하게는 형태 결합 방식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외부 인터페이스는 형태 결합식 연결부, 특히 동적 또는 정적 절첩부(dynamic or static folding)를 포함한다.
자체의 두 금속 측벽부가 이 금속 측벽부들을 연결하는 금속 천장부와 함께 금속 보호판으로서 이른바 "서 있는 U자"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유형의 세척통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 특히 가정용 식기 세척기는, 프레스 및 툴 기술의 가능한 이용을 기반으로 상대적으로 더 간단하고 더 유연하며 더 비용 효과적인 제조 설비들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통상의 확대 기술과 직접 비교할 때, 투자에서 분명한 비용 이점이 달성된다. 또한, 제조 설비들의 제조도 상대적으로 더 간단하고 그에 따라 더 비용 효과적이다. 그리고 제조 품질의 관점에서는, 공지된 세척통 기본 형태로서의 "가로 놓인 U자"에 비해, 벽 부재들의 상대적으로 더 나은 공차 보상이 가능하다.
또한, 오직 홈통형 금속 바닥부만이 딥드로잉 부품이기 때문에, 공지된 세척통 기본 형태로서의 "가로 놓인 U자"와 직접 비교할 때 더 낮은 재료 비용 역시도 달성된다. "가로 놓인 U자"의 경우, 금속 천장부 역시도 딥드로잉 부품이며, 이는 결국 금속 박판의 더 많은 조각을 의미한다.
또한, 확대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모든 측면에서 적합한 것으로서 입증된 후벽 플랜지는 그대로 유지된다. 이런 점에서, 기존 플랫폼 콘셉트에서 더 나은 통합 가능성이 달성되며, 그리고 예컨대 열교환기, 측벽부들 등과 같이 적합한 것으로서 입증되는 식기 세척기의 부착 컴포넌트들은 최대한 가능한 정도로 동일하게, 그리고 전체 범위에서 종래 구성들로부터 차용될 수 있다.
또한, 세척통의 금속 보호판 및 금속 후벽부를 위해, 비용 효과적이면서 용이하게 가공될 수 있는 소재 번호 1.4016에 따른 페라이트 강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판 프레스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금속 후벽부의 이용을 기반으로, 식기 세척기의 뒤쪽 영역에서 고정 및 힘 전달 부재로서의 제2 프레임부는 완전히 생략되고 그에 따라 재료 비용도 절약될 수 있다.
또한, 홈통형 금속 바닥부는 페라이트 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 보호판과 홈통형 바닥부 간의 실링 베드(sealing bed)는 부식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일측의 페라이트 강으로 이루어진 홈통형 바닥부와 타측의 금속 보호판 및 금속 후벽부의 사이에서 플라스틱 프레임의 이용을 통해 최적화되어야 한다. 상기 유형의 플라스틱 프레임은 예컨대 국제 공보 WO 2009/003823 A2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로써, 이와 관련한 상기 국제 공보의 개시 내용은 본원의 개시 내용의 대상이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오스테나이트 강으로 제조되는 딥드로잉 부품인 홈통형 금속 바닥부 대신, 플라스틱 바닥부 역시도 차별화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두 대안, 즉 홈통형 금속 바닥부를 포함한 세척통 또는 홈통형 플라스틱 바닥부를 포함한 세척통이 개시된다. 두 번째에 언급한 대안의 경우, 금속 후벽부의 영역에는 오직 상대적으로 더 적은 매칭만이 필요하다. 세척통이 홈통형 플라스틱 바닥부를 포함한다면, 상기 세척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척통의 세척실(washroom)에 인접하는 자신의 상면에서 바람직하게는 내부식성 금속, 특히 특수강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박판부로 표면 마감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의 홈통형 플라스틱 바닥부의 상기 유형의 표면 마감은 예를 들어 독일 공보 DE 10 2010 029 763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로써, 이와 관련한 상기 독일 공보의 개시 내용은 본원의 개시 내용의 대상이 된다.
또한, 기재한 세척통 콘셉트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서 있는 U자"를 이용한 확대 기술, "가로 놓인 U자" 보호판 기술 및 "서 있는 U자" 보호판 기술의 장점들을 긍정적으로, 그리고 유리하게 통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 밖에도, 통상의 기술자 집단에서는, "케이스(case)"의 용어도 이용된다. 이런 개시 내용의 범위에서 "케이스"의 용어는 적어도 보호판과 홈통형 바닥부로 형성되는 어셈블리를 의미한다.
홈통형 금속 바닥부와 금속 보호판의 두 측벽부의 외부 연결부는, 세척통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으면서 세척액을 통해 오직 적은 가압만 가해지는, 바람직하게는 가압이 가해지지 않는 연결부의 장점을 달성한다. 이와 반대로, 형태 결합식 연결부는 유체 기밀성 연결부의 기밀성 및 유효 수명과 관련하여 바람직하다.
외부 인터페이스 상에서 형태 결합식 연결부, 특히 동적 또는 정적 절첩부는 높은 정도의 기밀성 및 시간 안정성을 특징으로 한다.
절첩은, 에지부의 보강을 달성하기 위해 박판 에지부가 굽혀지는 박판 가공에서의 기술이다. 조합된 방법으로서는, 성형을 통해 복수의 구조부재로 이루어진 연결부를 제공하기 위해, 플랜지 결합 역시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구조부재들뿐 아니라 상이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구조부재들 역시도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예컨대 플라스틱들을 함유한 박판들이 이용될 수 있다. 절첩 동안, 바람직하게는 표준 산업 로봇 시스템들에 의해 안내되는 롤러 시스템들이 이용된다면, 이는 롤러 절첩 또는 동적 절첩으로 지칭된다. 이와 반대로, 절첩 동안 정적 툴들(static tool)이 이용된다면, 이는 정적 절첩으로 지칭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두 외부 인터페이스, 금속 보호판 및 홈통형 금속 바닥부는, 자신들의 후면 영역들에, 다시 말해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 도어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영역들에 바깥쪽을 향하는 90° 절첩 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절첩 에지부는, 비교적 적은 제조 비용 조건에서도, 두 외부 인터페이스에 높은 정도의 강도 및 안정성을 부여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두 외부 인터페이스는, 자신들의 전면 영역들에, 다시 말해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 도어로 향해 있는 영역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깥쪽을 향하는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바깥쪽을 향하는 1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바깥쪽을 향하는 80㎜ 이상의 반경을 보유하고, 그리고/또는 자신들의 후면 영역들에는, 다시 말해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 도어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영역들에는 직선인, 또는 거의 직선인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반경들을 포함한 영역들은, 세척통의 유효 개구 치수(clear opening)의 확대를 실현하는 이른바 절첩 램프(folded ramp)를 나타내며, 그럼으로써 세척통의 전면 영역에서 추가 구조부재들 및 어셈블리들은 장착 공간을 갖게 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후면에서 금속 보호판 상에, 그리고 홈통형 금속 바닥부 상에 고정되는 금속 후벽부는 하나 이상의 밀봉 수단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테두리 영역들의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액밀 방식으로 설치되며, 특히 접착되고,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점 용접된다. 일반적으로, 밀봉 수단은 실리콘 재료 또는 감압 접착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실리콘 재료, 다시 말해 실리콘은, 규소 원자들이 산소 원자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인 합성 폴리머의 군에 대한 명칭이다. 금속 보호판 상에서, 그리고 홈통형 금속 바닥부 상에서 후벽부의 상기 유형의 후면 설치는 예컨대 독일 공보 DE 10 2009 001 896 A1호 및 독일 공보 DE 10 2009 001 897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로써, 이와 관련한 상기 두 독일 공보의 개시 내용은 본원의 개시 내용의 대상이 된다. 금속 후벽부가 접착되어야 한다면, 밀봉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감압 접착제를 함유한다. 이런 경우, 감압 접착제는 그 정의상 다수의 표면에서 가볍게 눌러 부착된 후에 실온에서의 건조 상태에서 점착되었다가 다시 떼어지며 그리고 어딘가 다른 곳에서 다시 접착될 수 있는 영구 점착성 접착제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금속 보호판은, 전면에, 하향 개방되어 세척통의 앞쪽 표면을 형성하는 U자형 프레임부를 구비하며, 이 프레임부는 바람직하게는 리벳 결합, 특히 열적 리벳 결합에 의해 금속 보호판과 바람직하게는 형태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고, 홈통형 금속 바닥부 내로 맞물려 고정되며, 그루브형 윤곽부 내에 도어 밀봉부를 수용한다. 상기 유형의 프레임부는 예컨대 국제 공보 WO 2007/048697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이로써 이와 관련한 상기 국제 공보의 개시 내용은 본원의 개시 내용의 대상이 된다. 프레임부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특히 유리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며, 그리고 열적 리벳 결합 기술에 의해 적어도 세척통의 금속 보호판 상에 고정된다. 또한, 동일한 프레임부 역시도 홈통형 금속 바닥부를 포함한 세척통을 위해, 또는 홈통형 플라스틱 바닥부를 포함한 세척통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프레임부는 세척통의 내부 챔버의 앞쪽 표면을 형성하며, 그럼으로써 세척통의 금속 보호판은 프레임부에 의해 안쪽에서 부분적으로 덮이고, 세척통은 높은 정도의 기밀성을 갖게 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두 금속 측벽부, 금속 후벽부 및 프레임부의 높이는, 식기 세척기가 약 86.5㎝, 약 81.5㎝, 약 77.5㎝, 약 60㎝ 또는 약 45㎝ 범위의 장치 높이를 보유하도록 선택된다. 명시한 장치 높이에서, 식기 세척기는 상면 조리대(upper-side countertop)로 향하지 않는다. 증가하고 있는 인간의 평균 사이즈, 자세 변형에 대해 증가하고 있는 민감성, 및 인체의 등부위의 고통을 수반한 손상은 높이가 높은 식기 세척기들에 대한 경향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80㎝를 초과하는 다양한 장치 높이는 설치 및 하부구조 부분에서 개별적인 사용 가능성을 보장한다. 81.5㎝의 장치 높이를 갖는 식기 세척기는 정의상 하부 선반 높이(floor cupboard height)에서 기저부 높이(base height)를 뺀 655㎜와 725㎜ 사이의 본체 치수를 보유하고 815㎜와 875㎜ 사이에서 높이 조정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86.5㎝의 장치 높이를 갖는 식기 세척기는 90/91㎝의 작업 높이와 705㎜와 775㎜ 사이의 본체 치수를 보유하며, 865㎜와 925㎜ 사이에서 높이 조정될 수 있다. 붙박이형(built-in wall) 식기 세척기는 45.4㎝ 또는 59.5㎝의 장치 높이를 보유하며, 그와 반대로 테이블 설치형 식기 세척기로서는 45㎝의 장치 높이를 보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통 콘셉트를 기반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에 의해서는 명시한 모든 장치 높이가 비용 효과적이면서 최대한 유연하게 실현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우측 금속 측벽부, 금속 천장부 및 좌측 금속 측벽부를 형성하는 금속 보호판은 소재 번호 1.4301에 따른 오스테나이트 강 또는 소재 번호 1.4016에 따른 페라이트 강을 함유한다. 두 강종은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고 게다가 쉽게 가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홈통형 금속 바닥부는, 요구되는 성형성 및 부식 요건으로 인해, 소재 번호 1.4301에 따른 오스테나이트 강을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홈통형 금속 바닥부는, 하면에서, 홈통형 금속 바닥부 내에 형성되는 환형 칼라부(annular collar) 상에서 하나 이상의 밀봉 수단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액밀 방식으로 펌프 웰(pump well)을 바람직하게는 간접적으로 지지하며, 환형 칼라부는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3°의 링 각도(ring angle)를 보유한다. 펌프 웰은 상면에서 스크린(screen)에 의해 덮이며, 이 스크린은,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5°의 스크린 각도(screen angle)로 홈통형 금속 바닥부 내에 형성되는 스크린 칼라부(screen collar) 내에 적어도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각도 범위들을 기반으로, 추가 조치 없이도 지속적인 시스템 기밀성이 보장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는 특히 가정용 식기 세척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가능한 구현예들은, 상기에서, 또는 하기에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재되는 특징들 또는 실시형태들의 분명하게 언급하지 않은 조합구성들 역시도 포함한다. 이와 동시에,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각각의 기본 형태의 개선안 또는 보충안으로서 개별 양태들 역시도 부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들 및 양태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하기에 기재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대상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따라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앞에서 비스듬하게 보고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뒤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보고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개략적 분해도이다.
도 4의 (a)는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폭 방향으로 보고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4의 (b)는 도 4의 (a)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세척통을 폭 방향을 따라서 도시한 상세 단면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깊이 방향으로 보고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5의 (b)는 도 5의 (a)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깊이 방향으로 보고 도시한 상세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7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9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일부 절단하여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일부 절단하여 깊이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일부 절단하여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12의 (a)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또 다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2의 (b)는 도 12의 (a)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연속되는 제조 단계들을 각각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d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보호판-바닥부-후벽부 연결부의 연속되는 제조 단계들을 각각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홈통형 금속 바닥부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홈통형 금속 바닥부를 일부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들의 상이한 실시형태들을 각각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들에서, 별다른 사항이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기능이 동일한 요소들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부여된다.
도 1에는, 식기 세척기(1), 특히 가정용 식기 세척기의 세척통(2)이 앞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개략적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세척통(2)은 복수의 벽 부재(3 내지 7)를 포함하며, 그리고 세척 물품의 적재를 위해 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세척통 도어를 통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폐쇄될 수 있는 적재 개구부(B)를 구비한다. 이 경우, 우측 금속 측벽부(3), 금속 천장부(4) 및 좌측 금속 측벽부(5)는 벽 부재들로서 금속 보호판(8)을 형성하며, 이 금속 보호판은 곧게 펴진 상태에서 평판 프레스 부품을 형성한 다음, U자 형태로 굽혀진 것이다. 추가 벽 부재로서 홈통형 금속 바닥부(6)는 소재 번호 1.4301에 따른 오스테나이트 강으로 제조된 딥드로잉 부품이다. 금속 보호판(8) 상에는, 그리고 홈통형 금속 바닥부(6) 상에는, 후면에서, 바람직하게는 평판 프레스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금속 후벽부(7)가 고정된다.
그러나 홈통형 금속 바닥부(6)는 페라이트 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 보호판과 홈통형 바닥부 사이의 실링 베드는 부식과 관련하여 예컨대 일측의 페라이트 강으로 이루어진 홈통형 바닥부와 타측의 금속 보호판 및 금속 후벽부의 사이에서 플라스틱 프레임의 이용을 통해 최적화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우측 금속 측벽부(3), 금속 천장부(4) 및 좌측 금속 측벽부(5)로 형성되는 금속 보호판(8)은 이른바 "서 있는 U자"의 형태를 형성된다.
또한, 금속 보호판(8)은, 전면에, 하향 개방되어 세척통(2)의 앞쪽 표면(F)을 형성하는 U자형 프레임부(9)를 구비한다. 프레임부(9)는 리벳 결합, 특히 열적 리벳 결합에 의해 금속 보호판(8)과 형태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며(도 6 및 도 9 참조), 그리고 홈통형 금속 바닥부(6) 내로 맞물려 고정된다(도 8 역시 참조). 또한, 프레임부(9)는 전면에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그루브형 윤곽부(10)(도 9 참조)를 구비하며, 이 그루브형 윤곽부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도어 밀봉부를 수용하고, 프레임부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특히 유리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한다.
도 2에는, 도 1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이 뒤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개략적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세척통(2)의 실질적으로 금속인 벽 부재들, 다시 말해 두 금속 측벽부(3, 5), 금속 천장부(4), 홈통형 금속 바닥부(6) 및 금속 후벽부(7)를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서 있는 U자"인 금속 보호판(8)의 형태 및 프레임부(9) 역시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 1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의 개략적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세척통(2)의 실질적으로 금속인 벽 부재들은 금속 보호판(8), 홈통형 금속 바닥부(6), 금속 후벽부(7) 및 프레임부(9)이며, 금속 보호판(8)은 두 금속 측벽부(3, 5) 및 금속 천장부(4)로 형성되어 "서 있는 U자"의 형태를 형성한다. 금속 보호판(8) 및 홈통형 금속 바닥부(6)는 자신들의 후면 영역들에 바깥쪽을 향하는 90° 절첩 에지부(11)를 포함한다.
도 4의 (a)에는, 도 2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이 폭 방향(BR)(양방향 화살표)으로 보이는 단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세척통(2)의 금속 보호판(8)은 두 금속 측벽부(3, 5) 및 금속 천장부(4)로 형성되며, 그리고 "서 있는 U자"의 형태를 형성한다. 금속 보호판(8)의 하면에는 홈통형 금속 바닥부(6)가 배치되고, 금속 보호판(8)의 전면에는 프레임부(9)가 배치된다.
도 4의 (b)에는, 도 4의 (a)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이 폭 방향(BR)(양방향 화살표)을 따라서 보이는 상세 단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금속 보호판(8)의 두 측벽부(3, 5)는 자신들의 각각의 하부 벽 에지부들(3.U, 5.U) 상에서 외부 인터페이스들(12.R, 12.L)에 의해 홈통형 금속 바닥부(6)와 형태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각각의 외부 인터페이스(12.R, 12.L)는 형태 결합식 연결부(13), 특히 동적 또는 정적 절첩부, 또는 롤러 시임 용접부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형태 결합식 연결부(13)는 절첩부를 포함한다. 절첩은, 에지부의 보강을 달성하기 위해 박판 에지부가 굽혀지는 박판 가공에서의 기술이다. 이와 반대로, 롤러 시임 용접은 저항 용접의 방법이며, 그리고 직접적으로 점 용접에 의해 유도된다. 두 제조 방법은 세척통의 홈통형 금속 바닥부(6)와 세척통(2)의 금속 보호판(8)을 액밀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적합하다.
도 5의 (a)에는, 도 1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이 깊이 방향(TR)(양방향 화살표)으로 보이는 단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세척통(2)의 금속 보호판(8)은 두 금속 측벽부(3, 5) 및 금속 천장부(4)로 형성되며, 그리고 "서 있는 U자"의 형태를 형성한다. 금속 보호판(8)의 하면에는 홈통형 금속 바닥부(6)가 배치되며, 그리고 금속 보호판(8)의 전면에는 프레임부(9)가 배치된다. 후면에서 금속 보호판(8) 상에, 그리고 홈통형 금속 바닥부(6) 상에 고정되는 금속 후벽부(7)는 하나 이상의 밀봉 수단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테두리 영역들(14)의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액밀 방식으로 설치되며, 특히 접착되고,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점 용접된다.
도 5의 (b)에는, 도 5의 (a)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이 깊이 방향(TR)(양방향 화살표)으로 보이는 상세 단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홈통형 금속 바닥부(6)는 자신의 후면 영역에 바깥쪽을 향하는 90° 절첩 에지부(11)를 포함한다. 후면에서 미도시한 보호판 상에, 그리고 홈통형 금속 바닥부(6) 상에 고정되는 금속 후벽부(7)는 하나 이상의 밀봉 수단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테두리 영역들(14)의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액밀 방식으로 설치되며, 특히 접착되고,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점 용접된다. 밀봉 수단은 예컨대 실리콘 재료 또는 감압 접착제를 함유한다.
도 6에는, 도 2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하향 개방되어 세척통(2)의 앞쪽 표면(F)을 형성하는 U자형 프레임부(9)는 전면에서 금속 보호판(8) 상에 설치되고 리벳 결합, 특히 열적 리벳 결합에 의해 금속 보호판(8)과 형태 결합 방식으로, 그리고 액밀 방식으로 연결된다. 액밀한 연결부는 예컨대 TPE 또는 유사한 밀봉 수단들의 이용에 의해 제조되고 보장될 수 있다.
도 7에는, 도 1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금속 보호판(8) 및 홈통형 금속 바닥부(6)는 자신들의 후면 영역들에 바깥쪽을 향하는 90° 절첩 에지부(11)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90° 절첩 에지부(11) 상에는, 금속 후벽부(7)가 하나 이상의 밀봉 수단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테두리 영역들(14)의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액밀 방식으로 설치되며, 금속 후벽부(7)는 바람직하게는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돌출 단부(15)를 포함한다.
도 8에는, 도 2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금속 보호판(8)은, 전면에, 하향 개방되어 세척통(2)의 앞쪽 표면(F)을 형성하는 U자형 프레임부(9)를 구비하며, 이 프레임부는 홈통형 금속 바닥부(6) 내로 맞물려 고정된다.
도 9에는, 도 1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이 일부 절단되어 수평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하향 개방되어 세척통(2)의 앞쪽 표면(F)을 형성하는 U자형 프레임부(9)는, 금속 보호판의 전면에서 금속 보호판(8)과 형태 결합 방식으로, 그리고 액밀 방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특히 유리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프레임부(9)는, 전면에,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그루브형 윤곽부(10)를 구비하며, 이 윤곽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도어 밀봉부를 수용한다.
도 10에는, 도 1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이 일부 절단되어 깊이 방향(TR)(양방향 화살표)으로 보이는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금속 보호판(8), 다시 말해 도시된 금속 천장부(4)는 자신의 후면 영역에 바깥쪽을 향하는 90°절첩 에지부(11)를 포함한다.
도 11에는, 도 1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이 일부 절단되어 수평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금속 보호판(8), 다시 말해 도시된 우측 금속 측벽부(3), 그리고 우측 금속 측벽부(3) 상의 우측 인터페이스(12.R)는 자신들의 후면 영역들에 바깥쪽을 향하는 90° 절첩 에지부(11)를 포함한다. 이들은 자신들의 전면 영역들에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깥쪽을 향하는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바깥쪽을 향하는 1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바깥쪽을 향하는 80㎜ 이상의 반경(R)을 보유한다. 상기 반경(R)은 통상의 기술자 집단에서는 절첩 램프로서도 지칭된다.
도 12의 (a)에는, 도 1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의 또 다른 개략적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세척통(2)의 결국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금속 벽 부재들, 다시 말해 두 금속 측벽부(3, 5), 금속 천장부(4) 및 홈통형 금속 바닥부(6)와, 인터페이스들(12.R, 12.L) 역시도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자신들의 각각의 90° 절첩 에지부(11)의 전방에서 자신들의 후면 영역들에, 직선인, 또는 거의 직선인 돌출부(16)를 포함한다.
도 12의 (b)에는, 도 12의 (a)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직선인, 또는 거의 직선인 돌출부(16)는, 금속 보호판(8)의 후면 90° 절첩 에지부(11) 및 금속 보호판과 연결된 홈통형 금속 바닥부(6)의 전방에서 후면 인터페이스들(12.R, 12.L) 안쪽으로 연장된다.
도 13 내지 도 16에는, 도 1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의 연속되는 제조 단계들이 각각 개략적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제1 제조 단계(도 13)에서, 프레임부(9)는 "서 있는 U자"의 형태를 형성하는 금속 보호판(8)과 형태 결합 방식으로, 그리고 액밀 방식으로 연결된다. 금속 보호판(8)은 두 금속 측벽부(3, 5)와 금속 천장부(4)로 형성되며, 그리고 곧게 펴진 상태에서 평판 프레스 부품을 형성한 다음, U자 형태로 굽혀진 것이다.
제2 제조 단계(도 14)에서, 홈통형 금속 바닥부(6)는 프레임부(9)와 함께 금속 보호판(8)과 형태 결합 방식으로 연결된다. 홈통형 금속 바닥부는 바람직하게는 오스테나이트 강으로 제조되는 딥드로잉 부품이다. 형태 결합식 연결은, 금속 보호판(8)의 금속 측벽부들(3, 5)의 각각의 하부 벽 에지부(3.U, 5.U) 상에서 외부 인터페이스들(12.R, 12.L)에 의해 홈통형 금속 바닥부(6)와 함께 수행된다. 연결부 자체는 형태 결합식 연결부, 특히 동적 또는 정적 절첩부, 또는 롤러 시임 용접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제조 단계(도 15)에서, 한편으로, 금속 보호판(8), 프레임부(9) 및 홈통형 금속 바닥부(6)로 형성되는 어셈블리에서 후면 영역에 90° 절첩 에지부(11)가 구비된다. 다른 한편으로, 금속 후벽부(7) 상에서 필요한 영역들(14)에는 밀봉 수단, 예컨대 실리콘 재료 또는 감압 접착제가 구비된다.
제4 제조 단계(도 16)에서, 후면에서 금속 보호판(8) 상에는, 그리고 홈통형 금속 바닥부(6) 상에는 금속 후벽부(7)가 하나 이상의 밀봉 수단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테두리 영역들(14)의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액밀 방식으로 설치되며, 특히 접착되고,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점 용접된다.
자명한 사실로서,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의 제조는 여전히 분명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또 다른 제조 단계들 역시도 포함한다.
도 17a 내지 도 17d에는, 도 1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의 금속 보호판-바닥부-후벽부 연결부들의 연속되는 제조 단계들이 각각 개략적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원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의 금속 보호판-바닥부-후벽부 연결부의 제1 제조 단계(도 17a)에서, 구조 부재들인 금속 보호판(8) 및 금속 바닥부(6)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툴에서 제조된다. 마지막으로, 상호 간의 연결부의 각각의 기하구조가 제조된다.
본원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의 금속 보호판-바닥부-후벽부 연결부의 제2 제조 단계(도 17b)에서, 구조 부재들인 금속 보호판(8) 및 금속 바닥부(6)는 인터페이스들(12.R, 12.L) 상에서 형태 결합 방식으로, 그리고 액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절첩에 의해 연결된다.
본원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의 금속 보호판-바닥부-후벽부 연결부의 또 다른 제조 단계(도 17c)에서, 인터페이스들(12.R, 12.L)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 부재들인 금속 보호판(8) 및 금속 바닥부(6)는 자신들의 후면 영역들에서 가공되어 90° 절첩 에지부(11)를 형성하며, 그럼으로써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테두리 영역(14)이 제조된다.
본원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의 금속 보호판-바닥부-후벽부 연결부의 제4 제조 단계(도 17d)에서, 금속 후벽부(7)는 금속 보호판(8) 상에, 그리고 홈통형 금속 바닥부(6) 상에 후면에서 고정되고 수밀 방식으로 연결된다. 금속 후벽부(7)는 바람직하게는 평판 프레스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자명한 사실로서, 본원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의 보호판-바닥부-후벽부 연결부의 제조는 여전히 분명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또 다른 제조 단계들 역시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는, 도 1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의 홈통형 금속 바닥부(6)의 개략적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홈통형 금속 바닥부(6)는, 예컨대 펌프 웰, 소금 용기 또는 제올라이트 건조 시스템처럼, 공지되었지만 도시되어 있지는 않은 식기 세척기(1)의 컴포넌트들을 위한 기재한 윤곽부 및 만일의 부착 영역들을 포함한다.
도 19에는, 도 18의 식기 세척기(1)의 세척통(2)의 홈통형 금속 바닥부(6)가 일부 절단되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홈통형 금속 바닥부(6)는 바람직하게는 간접적으로, 그리고 하면에서, 예컨대 공지된 펌프 포트 실링과 같은 하나 이상의 밀봉 수단을 이용하여, 홈통형 금속 바닥부(6) 내에 형성된 환형 칼라부(18) 상에서, 실질적으로 액밀 방식으로, 분명하게 도시되지 않은 펌프 웰(17)을 지지한다. 환형 칼라부(18)는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3°의 링 각도(18.W)를 보유한다.
또한, 펌프 웰(17)은 상면에서 분명하게 도시되지 않은 스크린(19)에 의해 덮인다. 상기 스크린(18)은,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5°의 스크린 각도(20.W)로 홈통형 금속 바닥부(6) 내에 형성되는 스크린 칼라부(20) 내에 적어도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c에는, 식기 세척기(1)의 상이한 실시형태들의 개략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식기 세척기들(1)은 상이한 장치 유형들이다. 도 20a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1)는 약 86.5㎝, 약 81.5㎝ 또는 약 77.5㎝ 범위의 장치 높이(H)를 보유한 대형 장치(자기 지지형, 하부구조 설치형 또는 완전 통합형)이다. 이와 반대로, 도 20b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1)는 45.4㎝ 또는 59.5㎝의 장치 높이(H)를 보유한 붙박이형 식기 세척기이다. 그리고 도 20c에 도시된 45㎝의 장치 높이(H)를 보유한 식기 세척기는 테이블 설치형 식기 세척기로서 이용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기재되었기는 하지만,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1: 식기 세척기; 가정용 식기 세척기
2: 세척통
3: 우측 측벽부; 벽 부재
3.U: 우측 측벽부의 하부 벽 에지부
4: 천장부; 벽 부재
5: 좌측 측벽부; 벽 부재
5.U: 좌측 측벽부의 하부 벽 에지부
6: 바닥부
7: 후벽부
8: 보호판
9: 프레임부
10: 그루브형 윤곽부
11: 절첩 에지부
12.R: 우측 인터페이스
12.L: 좌측 인터페이스
13: 형태 결합식 연결부
14: 테두리 영역
15: 돌출 단부
16: 돌출부
17: 펌프 웰
18: 환형 칼라부
18.W: 링 각도
19: 스크린
20: 스크린 칼라부
20.W: 스크린 각도
B: 적재 개구부
BR: 폭 방향(양방향 화살표)
H: 장치 높이
F: 앞쪽 표면
R: 반경; 절첩 램프
TR: 깊이 방향(양방향 화살표)

Claims (11)

  1. 세척통(2)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1), 특히 가정용 식기 세척기로서, 세척통은 복수의 벽 부재(3, 4, 5, 6, 7)를 포함하고, 세척 물품의 적재를 위해, 전면에, 세척통 도어를 통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폐쇄될 수 있는 적재 개구부(B)를 구비하는, 상기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우측 측벽부(3), 천장부(4) 및 좌측 측벽부(5)는, 곧게 펴진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평판 프레스 부품을 형성한 다음, U자 형태로 굽혀진 금속 보호판(8)을 형성하며; 홈통형 금속 바닥부(6)는 바람직하게는 오스테나이트 강으로 제조된 딥드로잉 부품이며; 금속 보호판(8) 상에, 그리고 홈통형 금속 바닥부(6) 상에 후면에서 고정되는 금속 후벽부(7)는 바람직하게는 평판 프레스 부품으로서 형성되며; 금속 보호판(8)의 두 측벽부(3, 5)는 자신들의 각각의 하부 벽 에지부(3.U, 5.U)에서 외부 인터페이스들(12.R, 12.L)에 의해 홈통형 금속 바닥부(6)와 바람직하게는 형태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며; 외부 인터페이스(12.R, 12.L)는 형태 결합식 연결부(13), 특히 동적 또는 정적 절첩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1).
  2. 제1항에 있어서, 두 외부 인터페이스(12.R, 12.L), 금속 보호판(8) 및 홈통형 금속 바닥부(6)는 자신들의 후면 영역들에 바깥쪽을 향하는 90°절첩 에지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두 외부 인터페이스(12.R, 12.L)는, 자신들의 전면 영역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깥쪽을 향하는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바깥쪽을 향하는 1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바깥쪽을 향하는 80㎜ 이상의 반경(R)을 보유하고, 그리고/또는 자신들의 후면 영역들에는 직선인, 또는 거의 직선인 돌출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면에서 금속 보호판(8) 상에, 그리고 홈통형 금속 바닥부(6) 상에 고정되는 금속 후벽부(7)는 하나 이상의 밀봉 수단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테두리 영역들(14)의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액밀 방식으로 설치되며, 특히 접착되고,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단은 실리콘 재료 또는 감압 접착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 보호판(8)은, 전면에, 하향 개방되어 세척통(2)의 앞쪽 표면(F)을 형성하는 U자형 프레임부(9)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바람직하게는 리벳 결합, 특히 열적 리벳 결합에 의해 금속 보호판(8)과 바람직하게는 형태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고, 홈통형 금속 바닥부(6) 내로 맞물려 고정되며, 그루브형 윤곽부(10) 내에 도어 밀봉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1).
  7. 제6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프레임부(9)는 세척통(2)의 내부 챔버의 전면 표면(F)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측벽부, 금속 후벽부(7) 및 프레임부(9)의 높이는, 식기 세척기(1)가 약 86.5㎝, 약 81.5㎝, 약 77.5㎝, 약 60㎝ 또는 약 45㎝ 범위의 장치 높이(H)를 보유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우측 측벽부(3), 천장부(4) 및 좌측 측벽부(5)를 형성하는 금속 보호판(8)은 소재 번호 1.4301에 따른 오스테나이트 강 또는 소재 번호 1.4016에 따른 페라이트 강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통형 금속 바닥부(6)는 소재 번호 1.4301에 따른 오스테나이트 강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통형 금속 바닥부(6)는, 하면에서, 홈통형 금속 바닥부(6) 내에 형성되는 환형 칼라부(18) 상에서 실질적으로 액밀 방식으로 펌프 웰(17)을 바람직하게는 간접적으로 지지하며, 환형 칼라부(18)는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3°의 링 각도(18.W)를 보유하며, 펌프 웰(17)은 상면에서 스크린(19)에 의해 덮이며, 스크린(19)은,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5°의 스크린 각도(20.W)로 홈통형 금속 바닥부(6) 내에 형성되는 스크린 칼라부(20) 내에 적어도 위치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1).
KR1020187005394A 2015-08-25 2016-08-24 식기 세척기, 특히 가정용 식기 세척기 KR102008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16228.1 2015-08-25
DE102015216228.1A DE102015216228A1 (de) 2015-08-25 2015-08-25 Geschirrspülmaschine, insbesondere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PCT/EP2016/069924 WO2017032779A1 (de) 2015-08-25 2016-08-24 Geschirrspülmaschine, insbesondere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547A true KR20180034547A (ko) 2018-04-04
KR102008113B1 KR102008113B1 (ko) 2019-08-06

Family

ID=56787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394A KR102008113B1 (ko) 2015-08-25 2016-08-24 식기 세척기, 특히 가정용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71438B2 (ko)
EP (1) EP3340851B1 (ko)
KR (1) KR102008113B1 (ko)
CN (1) CN107920714B (ko)
DE (1) DE102015216228A1 (ko)
PL (1) PL3340851T3 (ko)
WO (1) WO20170327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8193A (ko) * 2021-08-20 2023-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9234A1 (de) 2017-05-31 2018-12-06 BSH Hausgeräte GmbH Spülbehälter,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und Verfahren
DE102017209241B4 (de) * 2017-05-31 2022-06-09 BSH Hausgeräte GmbH Spülbehälter für eine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und Verfahren
DE102017209824B3 (de) * 2017-06-09 2018-09-20 BSH Hausgeräte GmbH Spülbehälter,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pülbehälters und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DE102017211670A1 (de) 2017-07-07 2019-01-10 BSH Hausgeräte GmbH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und Verfahr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349A (ko) * 2004-06-24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터브 조립 구조
JP2010531689A (ja) * 2007-06-29 2010-09-30 ベーエスハー ボッシュ ウント ジーメンス ハウスゲレーテ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食器洗浄機のためのプラットフォーム
DE102011088129A1 (de) * 2011-12-09 2013-06-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optimierten Spülkamm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27699A (ko) 1969-03-06 1971-04-07
DE7516419U (de) * 1975-05-23 1976-03-04 Bosch-Siemens Hausgeraete Gmbh, 7000 Stuttgart Behaelter, insbesondere fuer frontseitig beschickbare geschirrspuelmaschinen
DE7520122U (de) 1975-06-25 1976-04-01 Bosch-Siemens Hausgeraete Gmbh, 7000 Stuttgart Behaelter, insbesondere fuer geschirrspuelmaschinen o.dgl.
IT7934041V0 (it) 1979-12-10 1979-12-10 Zanussi A Spa Industrie Vasca metallica per lavastoviglie.
DE10048508B4 (de) * 2000-09-29 2008-06-19 Miele & Cie.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Spülbehälters einer Geschirrspülmaschine
US7985300B2 (en) * 2005-04-04 2011-07-26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DE202005016735U1 (de) 2005-10-25 2006-01-0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DE102007041314B4 (de) * 2007-08-31 2014-08-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asserführenden Haushaltsgeräts sowie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DE102009001897A1 (de) 2009-03-26 2010-09-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m Spülbehälter
DE102009001896B4 (de) 2009-03-26 2020-06-18 BSH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zugehöriges Verfahren sowie Vorrichtung zu deren Herstellung
WO2010133514A1 (en) * 2009-05-22 2010-11-25 Arcelik Anonim Sirketi A dishwasher
DE102010029763A1 (de) 2010-06-07 2011-12-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inrichtung für einen Spülbehälter einer Geschirrspülmaschine
DE102011004056A1 (de) * 2011-02-14 2012-08-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pülbehälters einer Geschirrspülmaschine
DE102011004222A1 (de) * 2011-02-16 2012-08-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insbesondere Geschirrspülmaschine
DE102011017635A1 (de) * 2011-04-27 2012-10-3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EP2517611A1 (en) * 2011-04-29 2012-10-3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Filter
US10119255B2 (en) * 2015-01-15 2018-11-06 James Chadwick Dover Stainless steel mop sink assembly
CN104939783A (zh) * 2015-06-25 2015-09-30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内胆、洗碗机和洗碗机内胆的制造方法
US20160029869A1 (en) * 2015-08-06 2016-02-04 David R. McKinney Dishwasher with vacuum drying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349A (ko) * 2004-06-24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터브 조립 구조
JP2010531689A (ja) * 2007-06-29 2010-09-30 ベーエスハー ボッシュ ウント ジーメンス ハウスゲレーテ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食器洗浄機のためのプラットフォーム
DE102011088129A1 (de) * 2011-12-09 2013-06-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optimierten Spülkamm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8193A (ko) * 2021-08-20 2023-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113B1 (ko) 2019-08-06
EP3340851A1 (de) 2018-07-04
DE102015216228A1 (de) 2017-03-02
PL3340851T3 (pl) 2020-12-14
CN107920714A (zh) 2018-04-17
EP3340851B1 (de) 2020-04-15
US11071438B2 (en) 2021-07-27
US20200196829A1 (en) 2020-06-25
CN107920714B (zh) 2020-10-16
WO2017032779A1 (de)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4547A (ko) 식기 세척기, 특히 가정용 식기 세척기
AU2005266305B2 (en) Dishwasher with a modular structure
US8440027B2 (en) Dishwasher having a compartment cover made of low-cost steel, a frame of high-grade steel and a dishwasher tray made of plastic
US9480389B2 (en) Connector for a dishwasher middle spray arm
ES2338338T3 (es) Lavaplatos.
RU2457771C2 (ru) Посудомоечный аппарат
CN101397748A (zh) 洗涤剂盒组件
CN104507375B (zh) 具有处于外部的软管高引部的家用器具
JP5234352B2 (ja) バスエプロンの取付構造
US11497375B2 (en) Washing container, domestic dishwasher, and method
WO2007065865A1 (en) A dishwasher
CN209285233U (zh) 一种食品加工机
JP2020196994A (ja) シンクの排水構造及び調理台
AU2010243797B2 (en) Siphon and item of furniture
NO312328B1 (no) Kjökkenbenkbeslag
JP2010270533A (ja) 浴槽防水パン
CN211269406U (zh) 防渗水式橱柜结构
CN218622443U (zh) 盥洗台
CN210917598U (zh) 具有多个台阶的台阶水槽
CN215687602U (zh) 洗碗机的底部喷淋结构及洗碗机
CN217137991U (zh) 一种洗碗机及其溢流结构
KR102580739B1 (ko) 용기의 부속품용 고정 요소, 그 부속품 및 용기
CN211093848U (zh) 一种清洗机
JP4345556B2 (ja) ユニットバス
JP2005068785A (ja) 洗い場付浴槽の配管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