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535A - 네킹 가공기계용 무윤활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네킹 가공기계용 무윤활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535A
KR20180034535A KR1020187005269A KR20187005269A KR20180034535A KR 20180034535 A KR20180034535 A KR 20180034535A KR 1020187005269 A KR1020187005269 A KR 1020187005269A KR 20187005269 A KR20187005269 A KR 20187005269A KR 20180034535 A KR20180034535 A KR 20180034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ckout
tool
guide
forming di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라이언 에스. 기어하트
스테픈 씨. 버넷
Original Assignee
벨박프로덕션머쉬너리,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벨박프로덕션머쉬너리,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벨박프로덕션머쉬너리,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34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6Stripping-off devices
    • B21D45/065Stripping-off devices for deep-drawn cans, e.g. using strippin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2615Edge treatment of cans or tins
    • B21D51/2638Ne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형성 기계(100), 형성 램 어셈블리(140), 및 형성 램 어셈블리(140)의 제작 방법과 사용 방법을 포함한다. 형성 램 어셈블리(140)는 캠 레일(142)을 갖춘 터릿 어셈블리(104)을 구비한 용기 형성 기계(100)를 위해 제공된다. 램 어셈블리(140)는 터릿 어셈블리(104)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레일(148)을 구비한다. 캠 팔로워(144)는 장착 레일(148)에 장착되고 캠 레일(142)에 대해서 롤링가능하게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캠 팔로워(144)에 연결된 형성 다이(154)는 캠 팔로워(144)가 캠 레일(142)을 가로지를 때에 이동한다. 녹아웃 툴(152)은 형성 다이(154) 내에 장착되고 단차형 세그먼트(179)를 구비한다. 구동 실린더는 형성 다이(154) 내에서 녹아웃 툴(152)을 이동시킨다. O-링(170)은 녹아웃 툴(152)의 상보적인 채널(185) 내부에 안착된다. 고리형상의 녹아웃 가이드(172)는 녹아웃 툴(152)의 단차형 세그먼트(179) 상에 안착되어, O-링(170)과 형성 다이(154) 사이에서 인접하게 위치된다.

Description

네킹 가공기계용 무윤활 실링장치
본 출원은 2015년 7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US 62/198,915호의 우선권을 주장하였으며, 이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병합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제조 물품의 형성 또는 가공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별하기로, 본 발명의 양상은 병과 캔 등의 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네킹 작업에 사용될 기계를 형성하는 녹아웃 램(knockout ram)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용기 제조 산업에서, 병, 캔, 및 단지(jar)를 포함하는 다른 용기 구성을 제작하고 가공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램 어셈블리는 컬링(curling), 절단, 확장, 네킹(necking), 또는 다른 형성(forming) 작업에서 처리될 용기를 위치선정하고 성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램 어셈블리는 터릿(turret) 샤프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실린더 램(피스톤)과, 터릿 샤프트에 장착된 평 부싱(plain bushing;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램은 예컨대 터릿 배럴 캠(turret barrel cam)에 의해 부싱을 관통하는 왕복운동으로 이동된다. 종래에, 터릿 어셈블리는 예컨대 캔의 폐쇄 단부에서 캔을 기계에 형성 헤드로 밀어넣는 하나의 램 어셈블리로 작동된다. 그런 다음에, 별도의 제2 램 어셈블리가 형성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예컨대 캔의 개방 단부에서 캔의 내부 또는 외부로 형성 툴(tool)을 밀어낸다.
금속 캔은 일체형 바닥벽과 캔 상부를 갖춘 원통형 캔 몸체를 구성하는 "2 피스(piece)" 구성으로 종종 생산된다. 이러한 캔은 일반적으로 얇은 알루미늄 또는 강재 판금(sheet metal)으로 제조된다. 예컨대, 알루미늄 캔은 맥주와 소다 등과 같은 가스-가압 액체를 포장하는 데에 종종 사용된다. 이러한 용도를 위해, 캔은 내용물에 의해 생성될 내부 가스 압력 뿐만 아니라 캔의 적재, 포장 및 선적, 기계로부터의 분배, 및 취급으로 인한 외력을 견딜 수 있도록 미리 결정된 최소 강도를 보여야만 한다. 하지만, 판금의 두께는 이러한 캔의 전체 제조 비용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판금의 두께가 강도 요건과 다른 제조 공차를 준수하면서 줄일 수 있다면, 캔은 감소된 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다.
캔 몸체의 형상을 형성하는 기계의 실례는 "네커(necker)" 장치로 알려져 있다. 종래의 네커는 일반적인 몸체 형상, 다시 말하자면 일체형 바닥벽을 갖춘 실린더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된 이후에 캔 몸체에 기계적 압력을 가하여 작동한다. 네커는 툴-다이(tool-and-die) 장치의 유형으로, 판금이 돌출부를 갖춘 툴과 정합 만입부를 갖춘 다이 사이에 위치된다. 툴과 다이는 가압 상태에서 함께 결합하여 판금을 강제로 돌출부-만입부의 형상을 갖도록 한다. BELVACTM(Belvac Product Machinery, Inc.) 595 성형 캔 네커는 예컨대 분당 대략 최대 2500 캔의 속도로 캔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캔 몸체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램 어셈블리들, 즉 툴로 작용하는 일련의 푸시 램과 다이로 작용하는 대향된 일련의 녹아웃 램 사이에서 압착("네킹")된다. 기계를 통해 가공되면서, 캔 몸체는 제1 쌍의 푸시와 녹아웃 램 사이에서 신속하게 압착되고, 6쌍, 8쌍 또는 그 이상의 쌍으로 되어 있는 제2 쌍의 푸시와 녹아웃 램을 압착시켜 "네킹" 작업을 완료한다.
각각의 램은 예컨대 대략 1-3 인치의 상대적으로 짧은 이동 거리에서 고속으로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공압 액츄에이터와 전자기계 솔레노이드 시스템은 종종 고압과 고속 및 극도의 충격 부하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종래의 네킹 램은 예컨대 "캠" 기계설비에 의해 기계적으로 작동된다. 캠(cam)은 진동(정현곡선) 트랙을 갖춘 길이연장되고 융기된 레일이며; 각각의 램 피스톤은 이의 후단에서 캠 트랙의 대향 측면에 끼워지는 휠을 지지한다. 캠 트랙이 회전하면서, 램의 휠을 당기고 밀어붙여 피스톤을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속도와 이송 이외에, 피스톤 정렬은 램이 정확한 타이밍과 구속력없이 이동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중요하다. 램이 걸리거나 닳게 되면, 차질을 가져와 전체 캔 생산 시스템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램은 조심스럽게 윤활처리되고, 정기적으로 검사되며, 필요한 경우에 교체된다. 현대의 많은 기계는 각 램 어셈블리에 통상적으로 그리스 튜브를 작동시키는 자동 윤활을 사용한다. 회전 터릿에 부착될 램 어셈블리를 위해, 그리스 공급라인용 특수 커플링이 각 램에 그리스를 분배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 커플링은 시간이 지나고 사용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마모될 수 있어, 그리스가 노출될 수 있다. 적당한 윤활에도, 램은 몇주 마다 검사하고 교체될 수 있는데, 이는 부품, 기계 가동 중단 시간, 숙련자의 노동 시간, 및 폐기될 캔의 측면에서 많은 비용을 지출하게 된다.
몇몇 다이 네킹 공정 중에서, ("녹아웃 툴"로 알려져 있는) 녹아웃은 ("형성 다이"로 알려져 있는) 고정 다이를 통해 스트로크하여 축관 가공 동안에 캔의 개방 단부를 지지한다. 네크 지지 이외에, 녹아웃은 압축공기를 캔에 주입하여 돔 밀판(push plate)에서 캔 위치를 안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중에 캔의 구김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 램 어셈블리의 중요 특징은 녹아웃의 외경(OD) 상에 위치선정될 O-링이다. O-링은 일정한 툴 갭을 유지하기 위해 고정 다이 내부에 녹아웃의 센터링을 돕는 한편, 인입되는 캔의 벽 두께의 변동과 함께 기동성을 위해 "플로트(float)"를 허용한다. 또한, O-링은 예컨대 예상치 않은 환기를 방지하기 위해 녹아웃의 후단에서 압축 공기를 밀봉하는 한편, 최대 공정 지원을 유지하고 사용 요건을 최소화한다. 또한, O-링은 네커에 공통된 그리스, 오물, 및 다른 오염물을 ("구동 실린더"로 알려져 있는) 툴링 램에 인접해 있는 녹아웃의 후단을 통해 툴링으로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돕는다. O-링은 전형적으로 고속 왕복 운동과 제한된 단면 압착을 갖는 동적 셋업에서 나타나게 된다. 덧붙여서, 전형적으로 O-링이 전형적으로 볼 수 있는 유일한 윤활은 네킹을 위해 캔에 사용될 잔류 미네랄 오일 또는 왁스이다. 이와 같이, O-링 작동 기대 수명이 줄어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정규적으로 교체해야만 한다. 이는 부품 및 인건비를 증가시켜, 결국 전반적인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용기 형성 기계, 녹아웃 램 어셈블리, 및 병과 캔 등의 용기를 네킹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실례로서, 형성 램 어셈블리가 형성 다이에 대해 녹아웃을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고리형상의 PTFE-계 녹아웃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으로 개시된다. 녹아웃 가이드는 램의 전면과 녹아웃 툴의 후면 사이에 장착되어, 다이의 내경(ID)에 대해서 압입된다. 이러한 배열에서는 선택적이지만 기계적 패스너와 접착제가 녹아웃 가이드의 위치선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지 않는다. 녹아웃 가이드가 O-링의 상부에 위치선정된 녹아웃 툴의 후미에 상보적인 단차부 상에 안착되어, 압축공기 손실을 최소화하고 툴 세트의 후미를 통해 오염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녹아웃 가이드는 "특정화", 즉 다이 내부에서 작동되는 크기를 갖출 수 있고 녹아웃 가이드가 다이의 ID 완화면과 일정한 접촉을 유지하도록 선택적으로 전방을 향해 대략 45도로 경사져 있는 OD 리딩 엣지를 구비할 수 있다. 녹아웃 가이드의 원주 둘레를, 예컨대 리딩 및 트레이딩 ID 엣지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모따기된 모서리는 녹아웃 툴 상에 가이드의 장착을 단순화되도록 돕는다. 이러한 어셈블리에서, 녹아웃 가이드는 다이에 대해 녹아웃의 왕복 운동을 위한 동적 마모 성분으로 작용한다. PTFE 또는 다른 내마모성, 저마찰 폴리머 물질의 사용으로, 녹아웃 가이드의 작동 수명은 동일 분야에 표준 O-링의 작동 수명보다 크게 연장될 것이다. O-링은 툴링 어셈블리 내에서 녹아웃의 플로트를 허용하는 녹아웃 가이드의 ID에 대해서 위치선정될 수 있다. 하지만, O-링은 "정적 용도"로 활용되어, 네킹 가공에서 현저하게 마모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양상은 제조품을 가공하기 위한 자동화 형성 기계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서, 용기의 형상을 변형하는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예컨대, 형성 장치는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를 갖춘 프레임과, 제1 베이스에서 제2 베이스까지 연장되는 구동 샤프트를 구비한다. 터릿 스타휠은 구동 샤프트와 동축으로 장착되고 형성 중에 용기를 수용 및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샤프트와 동축으로 장착된 터릿 어셈블리는 길이연장된 캠 레일을 구비한다. 형성 램 어셈블리는 터릿 어셈블리에 연결된다. 형성 램 어셈블리는 길이연장된 캠 레일에 대해서 롤링가능하게 안착된 캠 팔로워를 구비한다. 캠 팔로워에 연결된 형성 다이는 캠 팔로워가 길이연장된 캠 레일을 가로지를 때 왕복 방식으로 이동한다. 형성 다이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녹아웃 툴은 단차형 세그먼트를 갖춘 외부면을 구비한다. 녹아웃 툴에 연결된 구동 실린더는 형성 다이에 대해 왕복 방식으로 녹아웃 툴을 이동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O-링은 녹아웃 툴의 단차형 세그먼트로 한정된 상보적인 채널 내에 안착된다. 녹아웃 가이드는 녹아웃 툴의 단차형 세그먼트 상에 안착되는바, O-링과 형성 다이에 인접하여, 일반적으로 형성 다이와 녹아웃 툴을 유체 밀봉하는 한편 2개의 다이가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제조품의 가공에 사용될 형성 기계용 램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서, 용기 형상 기계용 녹아웃 램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예컨대, 램 어셈블리는 용기 형성 기계의 터릿 어셈블리에 형성 램 어셈블리를 부착하도록 구성된 장착 레일을 구비한다. 캠 팔로워는 장착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터릿 어셈블리의 캠 레일에 대해서 롤링가능하게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원통형상의 형성 다이는 캠 팔로워에 연결된다. 2개의 구성부재를 연결함으로써, 원통형상의 형성 다이는 캠 레일을 가로지르는 캠 팔로워에 대응하여 왕복 방식으로 이동한다. 원통형상의 녹아웃 툴은 원통형상의 형성 다이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녹아웃 툴은 단차형 세그먼트를 갖춘 외경(OD) 면을 구비한다. 구동 실린더는 원통형상의 녹아웃 툴에 연결되고 원통형상의 형성 다이 내에서 왕복 방식으로 녹아웃 툴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O-링은 녹아웃 툴의 단차형 세그먼트로 한정된 상보적인 채널 내에 안착된다. 고리형상의 녹아웃 가이드는 녹아웃 툴의 단차형 세그먼트 상에 안착되어, O-링과 형성 다이 사이에서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러한 배열은 일반적으로 형성 다이와 녹아웃 툴을 유체 밀봉하는 한편 2개의 다이가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덧붙여서, O-링의 작동 수명이 연장되고 윤활의 필요성이 현저하게 감소되거나 배제된다.
또한, 제조품의 성형을 위한 램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과 사용 방법이 개시된다. 실시예에서, 용기 형성 기계용 형성 램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아래에 개시된 단계와 특징과 다른 임의의 순서 및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용기 형성 기계의 캠 레일에 대해서 롤링가능하게 안착되고 캠 레일을 가로질러 형성 다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캠 팔로워에 형성 다이를 연결하는 단계와; 형성 다이 내에서 녹아웃 툴을 활주가능하게 장착하는 단계; 형성 다이 내에서 녹아웃 툴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실린더를 녹아웃 툴에 연결하는 단계; 녹아웃 툴에 O-링을 장착하는 단계; 및 녹아웃 가이드가 O-링과 형성 다이에 대해서 가압하여 형성 다이와 녹아웃 툴을 유체 밀봉하는 한편 2개의 다이가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녹아웃 툴의 단차형 세그먼트 상에 녹아웃 가이드를 안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개요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 또는 모든 양상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전술된 개요는 단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새로운 양상과 특징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특징과 장점, 및 단독 또는 임의로 조합에 의해 독창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례와 모드를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대표적인 용기 형성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 선을 따라 절취된 용기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상에 따라 형성 다이와 녹아웃을 갖춘 대표적인 형성 램 어셈블리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녹아웃 가이드를 갖춘 대표적인 녹아웃 및 형성 다이 서브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녹아웃 및 형성 다이 서브어셈블리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형성 램 어셈블리의 구동 실린더 샤프트와 협업하는 도 4의 녹아웃 및 형성 다이 서브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대안적인 형태를 허용하는데, 몇몇 대표적인 실시예들은 첨부도면에 예시적으로 도해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독창적인 양상이 첨부도면에 도해된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로 한정된 본 발명의 범주와 범위 내에서 있는 모든 변형, 균등 및 대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형태의 실시예를 허용할 수 있다. 첨부도면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술된 대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로서 고려되어야 하고 도해된 실시예의 광범위한 양상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없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추론, 요약, 및 상세한 설명에 개시되어 있지만 청구범위에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범위, 요소, 및 제한은 암시, 추론 또는 다른 방식으로 단독 또는 집합적으로 청구범위에 병합되어서는 안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목적상 구체적으로 부인되거나 논리적으로 금지되지 않는 한: 단수는 복수를 포함하고, 복수는 단수를 포함하며; "포함하는" 또는 "이루어지는" 또는 "구비하는"의 용어는 "제한없이 포함하는"을 의미한다. 더욱이, "약", "대부분", "실질적으로", "대략" 등과 같은 근사 용어는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에서, 근처, 또는 거의" 또는 "3-5% 내에" 또는 "제조 허용오차 내에" 또는 이들의 임의의 논리적 조합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는 여러 도면에 걸쳐 동일한 특징을 나타내는데, 도 1에 물품의 형상을 변형하기 위한 일반적으로 100으로 지칭된 대표적인 형성 기계를 도해하고 있다. 도면에 도해된 대표적인 형성 기계(100)는 알루미늄 캔과 병 등의 금속 음료 용기를 성형하기 위해 자동으로 "회전가능한" 네킹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형성 장치(100)는 오로지 본 발명의 다양한 독창적인 양상과 특징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적용예로서 제공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새로운 특징과 양상은 임의의 다른 제조품에 다른 형성 작업을 실행하는 다른 형성 기계에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자동화된 형성 장치(100) 중 선택된 구성 요소만이 도해되어 있으며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명세서에서 논의될 시스템, 장치, 및 어셈블리는 본 발명의 의도된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방법과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다수의 추가적이고 선택적인 특징과 잘 알려져 있는 다른 주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형성 기계(100)는 용기의 형상이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 변경되도록 형성, 가공, 또는 그 이외의 실행을 용기의 제조 작업에 사용된다. 다단계 라인에서, 용기는 회전 터릿/스타휠(star wheel)에 포켓을 진입시키기 위해 제1 단계(예컨대, 회전 형성 장치)로 우선 공급된다. 각각의 스타휠은 가공과 운송을 위해 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임의 갯수의 포켓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스타휠은 주어진 시간에 6개, 8개, 10개, 12개, 14개 등의 용기를 개별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6개, 8개, 10개, 12개, 14개 등의 포켓을 구비할 수 있다. 스타휠은 의도된 용도에 적합하게 단일 포켓 또는 더욱 일반적인 임의 갯수의 포켓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단계에서 나온 이후에, 용기는 다단계 라인의 구성에 따라 제2 단계, 그런 다음에 제3 단계 등으로 진입할 수 있다. 다단계 라인에 공급되면, 용기는 임의 갯수의 단계, 예컨대 네킹 단계, 컬링 단계, 확장 단계,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가공 또는 형성 단계를 통해 처리된다. 용기가 모든 가공/형성 단계를 통과하면, 용기는 기계로부터 배출된다. 다단계 라인은 예컨대 재순환 시스템 또는 인-라인(in-line) 시스템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 기계(100)는 하나 이상의 형성 터릿 어셈블리를 내부에 수용하는 견고한 외부 프레임(102)을 구비하는데, 2개의 형성 터릿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지만 1개의 형성 터릿 에셈블리 만이 도 1에서 참조부호 104로 표시되어 있다. 프레임(102)은 제1 (하부) 베이스(106)와 제2 (상부) 베이스(108)를 구비한다. 각각의 형성 터릿 어셈블리(104)은 구동 샤프트(110), 터릿 스타휠(114), 다수의 푸시 램 어셈블리(120)를 갖는 제1 (고정) 터릿(116), 및 다수의 형성 램 어셈블리(140)를 갖는 제2 (기동) 터릿(115)을 구비한다. 고정 터릿(116)은 "푸시 램 블록"으로 언급될 수 있는 반면에, 기동 터릿(115)는 "형성 램 블록" 또는 "축방향으로 조절가능한 터릿부"로 언급될 수 있다. 도해된 실례에 따르면, 구동 샤프트(110)는 형성 터릿 어셈블리(104)의 길이방향 축(A1-A1)을 따라 외부 프레임(102)의 하부 베이스(106)에서 상부 베이스(108)까지 수직방향(예컨대, 지면과 직교되게)으로 연장된다. 구동 샤프트(110)는 베어링, 커플링, 기어(gear) 등을 포함한 임의의 적당한 커넥터를 통해 하부 및 상부 베이스(106,108)에 연결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샤프트(110)는 공동 회전하기 위해 고정 터릿(116)과 기동 터릿(115) 모두를 지지한다. 구동 샤프트(110)는 도 2에 도시된 모터 구동 기어 기계설비(118)를 포함한 임의의 적당한 수단으로 구동될 수 있다. 가늘고 긴 진동 캠 레일(122,142;또는 간략하게 "캠")은 구동 샤프트(110)와 동심으로 위치된 베이스 지지부(124)에 연결된다. 구동 샤프트(110)의 회전은 캠(122,142)을 조정하여 램 어셈블리(120,140)의 왕복운동과 위성운동을 일으킨다. 몇몇 구성에서, 270도의 각각의 캠(122,142)이 각 단계의 형성 작업을 위해 사용된다.
고정 터릿(116)의 중앙 길이방향 축은 일반적으로 구동 샤프트(110)와 평행하고 동심으로 정렬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고정 터릿(116)은 회전가능한 형성 기계(100)의 모든 단계를 관통하도록 용기의 이동을 돕는 송입(infeed) 및 배출 운반 시스템에 대해 형성 기계(100)로 진입하고 배출하는 각각의 용기의 방향(예컨대, 하부 라인)이 변경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고정"되어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형성 작업의 용이한 설정과 제어를 허용한다. 적어도 몇몇 선택적인 구성에 대해, 푸시 램 어셈블리(120)는 기동 터릿(115)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한편 형성 램 어셈블리(140)는 고정 터릿(116)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더욱이, 터릿(115,116)에 장착된 램 어셈블리(120,140)의 갯수는 도면에 도시된 갯수와 다를 수 있다.
도 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터릿 스타휠(114)은 개별적인 구동 샤프트(110)와 동심축으로 되어 있고, 송입 스타휠(123) 또는 이송 스타휠(125)에서 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송 스타휠(125)은 제1 단계 가공 터릿(예컨대, 도 2에서 최좌측의 형성 터릿 어셈블리(104))의 터릿 스타휠로부터 용기를 수용하고, 다음 단계 가공 터릿(예컨대, 도 2에서 최우측 형성 터릿 어셈블리(104)의 터릿 스타휠로 용기를 공급한다. 터릿 스타휠(114)은 용기 격실 또는 "포켓"을 (예컨대, 6개, 8개, 10개, 12개 등) 임의의 적당한 갯수로 구비할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터릿 스타휠(114)은 푸시 램 어셈블리가 보유한 임의의 적당한 갯수(예컨대, 6개, 8개, 10개, 12개 등)의 구성 요소를 구비할 수 있고 용기의 형성/형상을 변경하기 위해 형성 램 어셈블리로 용기를 밀어 넣을 수 있다. 형성 램 어셈블리는 다이 램 어셈블리 또는 익스펜더(expander) 램 어셈블리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다이 램 어셈블리는 용기를 네킹할 수 있는 반면에 익스펜더 램 어셈블리는 용기의 형상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기동 터릿(115)의 중앙 길이방향 축은 구동 샤프트(110)와 고정 터릿(116)과 동심으로 정렬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수의 형성 램 어셈블리(140)는 기동 터릿(115) 둘레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장착된다. 각각의 형성 램 어셈블리(140)는 구동 샤프트(110)를 둘러싸는 캠(142)과 연통되고, 상부 베어링 하우징과 키(key) 연결로 방향설정된다. 구동 샤프트(110)의 회전은 기동 터릿(115)을 회전시키고, 차례로 형성 램 어셈블리(140)를 캠(142) 주위에서 회전하게 한다. 기동 터릿(115)은 다른 길이의 용기를 위해 형성 터릿 어셈블리(114)를 구성하도록 고정 터릿(116)에 대해서 구동 샤프트(110)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터릿(115)의 위치선정을 조정하기 위한 기계적 조정 기계설비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형성 램 어셈블리(140)는 각각의 슬라이드 블록(142)을 관통해 뻗어 있는 프로파일 레일(148)을 갖춘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블록(142)을 구비한다. 구동 실린더(146)는 예컨대 수직방향으로 프로파일 레일(148)을 따라 각각의 슬라이드 블록(142)을 활주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각각의 슬라이드 블록(142)은 프로파일 레일(148)을 따라 슬라이드 블록(142)을 활주할 수 있게 허용하는 볼 베어링(제공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는데, 형성 램 어셈블리(140)는 고정 터릿(116)과 기동 터릿(115)에 대해 수직방향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형성 램 어셈블리(140)는 형성 어셈블리(100)에 형성 램 어셈블리(140)의 긴 스트로크 거리를 허용할 뿐만 아니라 형성 램 어셈블리의 안정성과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단일 슬라이드 블록,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슬라이드 블록(142)을 구비할 수 있다. 프로파일 레일(148;"장착 레일"로 기재됨)은 기계적 커넥터(예컨대, 볼트(151))을 통해 기동 터릿(115)에 형성 램 어셈블리(140)를 결합한다. 레일(148)은 예컨대 주변 홈 또는 리지(ridge), 둥근 프로파일, 또는 둥근 곡선과 각 또는 편평부의 조합을 갖는 사각 단면부를 구비한 "프로파일" 형상으로 절단되거나 형성된다.
도 3을 참조로 하면, 각각의 형성 램 어셈블리(140)는 또한 슬라이드 블록(142)의 밑면에 부착된 브라켓(168)에 결합된 단차형 어댑터 아암(158)를 구비한다. 녹아웃과 형성 다이 서브어셈블리(150)의 대향 단부인 어댑터 아암(158)의 말단부는 캠 팔로워(144)를 램 어셈블리(140)에 장착하기 위해 폴리머 그로밋(141,143;polymer grommet), 부싱(145), 육각 너트(147), 및 와셔(149)와 같은 부품을 구비한다. 각각의 캠 팔로워(144;cam follower)는 캠(142)이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 형성 램 어셈블리(140)가 캠(142) 둘레를 터릿(115)과 회전하도록 캠(142)의 진동 프로파일을 가로지르는 길이연장된 캠 레일(142)의 각 측면에 슬라이딩 및/또는 롤링 결합된다. 녹아웃 및 형성 다이 서브어셈블리(150)에 가장 가까운 단부인 어댑터 아암(158)의 근단부는 브라켓(168)과 슬라이드 블록(142)에 장착하기 위해 볼트(153)와 같은 부품을 구비한다. 기동 터릿(115)의 회전 그리고 캠 팔로워(144)와 캠(142) 사이의 상호 작용은 슬라이드 블록(142)을 구동 샤프트(110)에 대해 프로파일 레일(148)을 따라 활주하도록 한다.
일단 툴링 부품으로 조립되면, 형성 램 어셈블리(140)는 구동 실린더(146), 녹아웃 툴(152;또는 간략하게 "녹아웃"), 및 형성 다이(154)를 각각 구비한다. 도시된 실례에서, 녹아웃 실린더로 언급될 수 있는 구동 실린더(146)는 공압식 실린더 액츄에이터의 형태를 취한다. 구동 실린더(146)는 중력에 의해 수직하방과 공기 유로 저항에 의해 공기압 변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 실린더(146)는 구동 샤프트(110)에 고정되고 회전하는 공기 매니폴드 어셈블리로부터 공기압 변동을 받아들인다. 일단 용기가 녹아웃 툴(152)과 접촉하면, 구동 실린더(146)는 캠(142)을 따르는 형성 다이로 인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고서, 용기의 형성이 일어나는 동안에 용기가 녹아웃 툴(152)을 건너가게 한다. 압력이 용기 내에서 유지되어 형성 작업에 도움을 주게 된다.
형성 다이(154)는 예컨대 어댑터 아암(158)과 브라켓(168)을 통해 캠 팔로워(144)에 결합되어, 형성 다이(154)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고 캠(142) 프로파일을 따라 위성 회전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특정 기동 터릿(115)을 위한 각각의 형성 램 어셈블리(140)의 형성 다이(154)는 예컨대 인-라인 시스템에서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몇몇 형성 램 어셈블리(140)의 형성 다이(154)는 용기의 형상이 용기와 상호 작용하는 제1 기동 터릿(115)에 의해 제1 방식으로 변경되고 제2 기동 터릿(115)에 의해 제2 방식으로 변경되도록 회전가능한 형성 장치(100)에 다른 기동 터릿(115)의 램 어셈블리(140)와 다를 수 있다. 재순환 시스템에서, 형성 램 어셈블리(140)의 형성 다이(154)는 모든 단계마다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제1, 제3, 제5 등의 형성 다이(154)는 동일한 반면에 제2, 제4, 제6 등의 형성 다이는 제1, 제3, 제5 등의 형성 다이와 다를 수 있다. 인-라인과 재순환 시스템 모두에 형성 다이(154)는 우선 용기를 네킹하고 그런 다음에 시스템을 따라 용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
형성 다이(154)와 동축인 녹아웃 툴(152)은 형성 다이(154)가 각각의 용기를 네킹한 이후에 형성 다이(154)로부터 용기의 방출을 돕는다. 녹아웃 툴(152)은 용기가 형성 다이(154)에 의해 네킹되는 동안에 용기의 리딩 엣지를 파지하여 용기가 불규칙한 형상을 갖지 않도록 한다. 형성 다이 내에 녹아웃 툴(152)의 축방향 이동을 발생시키도록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구동 실린더(146)는 형성 다이(154)와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 실린더(146)는 형성 터릿 조립체(104)의 구동 실린더(110)와 평행하게 길이연장된 중공의 구동 실린더 축(160)을 구비한다. 볼트(162)는 형성 다이(154)의 근단부에 개방부 내로 연장되고 구동 실린더 축(160)에 녹아웃 툴(152)을 연결한다. 녹아웃 툴(152)의 근단부는 형성 작업 동안에 용기의 내부면과 접촉한다. 녹아웃 툴 구동 실린더 축(160)은 가이드 실린더 샤프트(164)와 동축으로 길이연장된다. 구동 실린더(146)가 예컨대 공기 유입 덕트(166)를 통해 공기를 수용할 때, 구동 실린더 축(160)은 차압을 야기하는 유입 공기 유동으로 인해 형성 다이(154)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서, 녹아웃 툴(152)을 예컨대 수직방향으로 구동 샤프트(110)을 따라 이동하게 한다. 구동 실린더 공기 축(160)이 공기를 수용하면서, 공기는 형성 다이(154)와 상호 작용하는 용기를 통과하게 되는데, 용기의 형상이 형성 다이(154)로 인해 변경될 때 용기 자체는 구져지지 않는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제시된 형성 램 어셈블리(140)의 녹아웃 및 형성 다이 서브어셈블리(150)을 더욱 상세하게 도해하고 있다. 서브어셈블리(150)는 일반적으로 녹아웃 툴(152), 형성 다이(154), 폴리머 O-링(170), 및 녹아웃 가이드(172)로 구성될 수 있다. 도해된 실례에서, 녹아웃 툴(152)과 형성 다이(154) 모두는 일반적으로 동심적으로 정렬된 중앙 관통 보어(bore)로 한정된 중공 코어를 갖춘 원통형상의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진 단일 구조체로 도해된 형성 다이(154)의 실린더 몸체(161)는 용기의 개방 단부가 수용되는 제1 근접 개방부(163)로부터 실린더 장착 커프(156;도 3) 내에 안착되고 볼트(162)를 통해 수용되는 제1 말단 개방부(165)까지 연장된 윤곽 외경(OD) 면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진 단일 구조체로 도해된 녹아웃 툴(152)의 실린더 몸체(171)는 구동 실린더 샤프트(160)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2 근접 개방부(173)로부터 구동 실린더 샤프트(160)로부터 가압된 공기를 수용하는 제2 말단 개방부(175)까지 연장된 우세적으로 직선의 외경(OD) 면을 갖는다. 또한, 녹아웃 툴(152)와 형성 다이(154)는 도시된 도면과 달리 다른 특징을 갖는 다른 기하학적 구성을 취하는 것으로 구상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실례로서, 녹아웃 툴 몸체와 형성 다이 몸체(161,171)는 다수의 부품 구조일 수 있으며 예컨대 다른 적용에 수용될 수 있게 선택가능한 OD 프로파일을 구비할 수 있다.
녹아웃 툴 몸체(171)의 리딩 엣지는 전방을 향한 경사면(175)으로 이어지는 만곡형상의 노즈(177;nose)를 구비한다. 만곡형상의 노즈(177)는 녹아웃 툴(152)의 근접 개방부(173) 둘레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형성 작업 도중에 용기와 맞물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말단 개방부(175) 둘레에서 녹아웃 툴(152)의 OD 면 상에 형성된 녹아웃 툴 몸체(171)의 후단부에는 O-링(170)과 녹아웃 가이드(172)에 정합되는 단차형 세그먼트(179)가 존재한다. 단차형 세그먼트(179)는 연속 플랜지 벽(183)과 수직되는 환형 림(181)으로 한정된다. O-링(170)은 림(181) 내에 오목하게 형성된 녹아웃 툴(152)의 단차형 세그먼트(179)로 한정된 상보적인 채널(185) 내에 안착된다. 상보적인 채널(185)은 녹아웃 툴 몸체(171)의 OD 면 둘레에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이어서, 녹아웃 가이드(17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O-링(170)을 덮고 부수적으로 압축하는 녹아웃 툴(152)의 단차형 세그먼트(179) 상에 안착된다. 도 4 내지 도 6의 O-링(170)은 원형 단면을 갖는 탄성체의 환형 연결부로서; 전술된 방식으로 압축될 때, O-링(170)은 O-링과 가이드의 계면에서 유체 밀봉을 생성하는 기계적 개스킷으로 작용한다.
도시된 실례에 따르면, 녹아웃 가이드(172)는 녹아웃 툴(152)의 단차형 세그먼트(179) 주변 둘레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고리형의 단일 부품 몸체(187)이다. 적어도 몇몇 실시예에서, 녹아웃 가이드(172)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불소중합체 화합물 또는 다른 내마모성, 저마찰 폴리머 물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면도에서, 녹아웃 가이드(172)는 도 6에서 가장잘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제1 및 제2 측면을 갖춘 다각형 구조를 갖는다. 실례를 통해, 녹아웃 가이드(172)의 외경(OD) 면은 형성 다이(154)의 내경(ID) 면에 대해 예컨대 대략 45도로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는 전방을 향한 경사 리딩 엣지(189)를 구비한다. 녹아웃 가이드(172)의 원주 둘레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사 리딩 엣지(189)는 녹아웃 가이드(173)가 다이(154)의 ID 완화면과 일정한 접촉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비교하면, 녹아웃 가이드(172)의 OD 트레이딩(trailing) 엣지는 트레이딩 OD 모따기 모서리(191)를 구비한다. 다른 선택적인 특징은 녹아웃 가이드(172)의 내경(ID) 면 상에 각각의 리딩 및 트레이딩 모따기 모서리(193,195)를 구비한다. 이러한 선택적인 모따기 모서리(193,195)는 녹아웃 가이드(172)의 내부 주변 둘레를 연속적으로 연장하고, 녹아웃 툴(152) 상에 녹아웃 가이드(172)의 장착을 단순화시키도록 돕는다. 또한, 녹아웃 가이드(172)는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형상과 단면을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다수의 세그먼트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구상될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녹아웃 가이드(172)는 O-링(170)과 형성 다이(154)의 ID 면 사이에서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녹아웃 가이드(172)는 구동 실린더 샤프트(160)의 제1 (전)면, 플랜지 벽(183)의 제2 (후)면, 및 녹아웃 툴(152)의 림(181)의 제3 (외부)면 사이에 장착된다. 녹아웃 가이드(172)는 녹아웃 툴(154)의 단차형 세그먼트(179) 상에 압입된다. 이러한 배열에서는 선택적이지만 기계적 패스너와 접착제가 녹아웃 가이드(172)의 위치선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지 않는다. 도해된 실례에서, 녹아웃 가이드(172)는 녹아웃 툴(152)와 형성 다이(154) 사이에 위치되고 일반적으로 유체 밀봉한다. 이는 압축공기 손실을 최소화하고 툴 세트의 후미를 통해 오염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적어도 몇몇 실시예에서, 녹아웃 가이드(172)는 또한 다이에 대해 녹아웃의 왕복 운동을 위한 동적 마모 성분으로 작용한다. 녹아웃 가이드(172)는 O-링(170)을 대체하여 O-링(170)이 툴 어셈블리로부터 제거되는 것으로 구상될 수도 있다. 몇몇 다른 구성에서, 녹아웃 가이드(172) 및/또는 O-링(170)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정확한 구성과 조성에 국한되지 않고, 전술된 내용으로부터 명백해지는 임의의 모든 수정, 변경, 변형은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와 범주 내에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개념은 전술한 특징과 양상의 임의의 모든 조합과 부조합을 명시적으로 포함한다.

Claims (20)

  1.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를 갖춘 프레임과;
    상기 제1 베이스에서 상기 제2 베이스까지 길이연장하는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와 동축으로 장착되고 용기를 수용 및 이동하도록 구성된 터릿 스타휠;
    상기 구동 샤프트와 동축으로 장착되고 길이연장된 캠 레일을 구비하는 터릿 어셈블리; 및
    상기 터릿 어셈블리에 연결된 형성 램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형성 램 어셈블리는,
    상기 길이연장된 캠 레일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게 안착된 캠 팔로워와;
    상기 캠 팔로워에 연결되어, 상기 캠 팔로워가 상기 길이연장된 캠 레일을 가로지를 때에 왕복 방식으로 이동하는 형성 다이;
    상기 형성 다이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단차형 세그먼트를 갖춘 외부면을 구비한 녹아웃 툴;
    상기 녹아웃 툴에 연결되고 상기 형성 다이에 대해 왕복 방식으로 상기 녹아웃 툴을 이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실린더;
    상기 녹아웃 툴의 상기 단차형 세그먼트로 한정된 상보적인 채널 내부에 안착된 O-링; 및
    상기 O-링과 상기 형성 다이에 인접하게 상기 녹아웃 툴의 상기 단차형 세그먼트 상에 안착된 녹아웃 가이드;를 구비하는, 용기의 형상을 변경하는 형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 가이드는 상기 녹아웃 툴의 원주 둘레를 연속적으로 연장하여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성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 가이드는 상기 녹아웃 툴의 상기 단차형 세그먼트 상에 압입되는, 형성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 가이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재질로 제작되는, 형성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 가이드는 단일 부품의 폴리머 구조체로 구성되어 있는, 형성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 가이드는 전방을 향해 경사져 있는 리딩 엣지를 갖춘 외부면을 구비하는, 형성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 가이드는 고리형상이고, 상기 경사져 있는 리딩 엣지는 상기 녹아웃 가이드의 원주 둘레를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형성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 가이드는 모따기된 리딩 및 트레이딩 모서리를 갖춘 내부면을 구비하는, 형성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 가이드는 고리형상이고, 상기 모따기된 모서리들은 상기 녹아웃 가이드의 내주 둘레를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형성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 가이드는 상기 O-링과 상기 형성 다이 사이에 위치되고 유체 밀봉하는, 형성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 툴은 원통형이고, 상기 단차형 세그먼트는 상기 녹아웃 툴의 원주 둘레를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형성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 가이드는 상기 구동 실린더의 전면과 상기 녹아웃 툴의 후면 사이에 장착되는, 형성 장치.
  13. 형성 램 어셈블리를 용기 형성 장치의 터릿 어셈블리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장착 레일과;
    상기 장착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터릿 어셈블리의 캠 레일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게 안착되도록 구성된 캠 팔로워;
    상기 캠 팔로워에 연결되어, 상기 캠 팔로워가 상기 캠 레일을 가로지르는 동안에 왕복 방식으로 이동하는 형성 다이;
    상기 형성 다이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단차형 세그먼트를 갖춘 외경(OD) 면을 구비한 녹아웃 툴;
    상기 녹아웃 툴에 연결되고 상기 형성 다이 내에서 왕복 방식으로 상기 녹아웃 툴을 이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실린더;
    상기 녹아웃 툴의 상기 단차형 세그먼트로 한정된 상보적인 채널 내부에 안착된 O-링; 및
    상기 녹아웃 툴의 상기 단차형 세그먼트 상에 안착되어, 상기 O-링과 상기 형성 다이 사이에서 인접하게 위치된 환형상의 녹아웃 가이드;로 이루어지는데, 캠 레일을 갖춘 터릿 어셈블리를 구비한 용기 형성 기계용 형성 램 어셈블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 가이드는 상기 녹아웃 툴의 상기 OD 면 둘레를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상기 단차형 세그먼트 상에 압입되는, 형성 램 어셈블리.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 가이드는 단일 부품의 폴리머 구조체로 제작되는, 형성 램 어셈블리.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 가이드는 상기 녹아웃 가이드의 원주 둘레를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전방을 향해 경사져 있는 리딩 엣지를 갖춘 외경(OD) 면을 구비하는, 형성 램 어셈블리.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 가이드는 모따기된 리딩 및 트레이딩 모서리를 갖춘 내경(ID) 면을 구비하고, 상기 모따기된 리딩 및 트레이딩 모서리는 상기 녹아웃 가이드의 내주 둘레를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형성 램 어셈블리.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단차형 세그먼트는 상기 녹아웃 툴의 원주 둘레를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형성 램 어셈블리.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 가이드는 상기 구동 실린더의 전면과 상기 녹아웃 툴의 후면 사이에 장착되는, 형성 램 어셈블리.
  20. 캠 레일에 대해서 롤링가능하게 안착되고 캠 레일을 가로질러 형성 다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캠 팔로워에 형성 다이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 다이 내에 녹아웃 툴을 활주가능하게 장착하는 단계;
    상기 형성 다이 내에서 상기 녹아웃 툴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실린더를 상기 녹아웃 툴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녹아웃 툴 상에 O-링을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녹아웃 가이드가 상기 O-링과 상기 형성 다이에 대해서 가압하도록 상기 녹아웃 툴의 단차형 세그먼트 상에 녹아웃 가이드를 안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캠 레일을 갖춘 터릿 어셈블리를 구비한 용기 형성 기계용 형성 램 어셈블리의 조립 방법.
KR1020187005269A 2015-07-30 2016-07-12 네킹 가공기계용 무윤활 실링장치 KR201800345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98915P 2015-07-30 2015-07-30
US62/198,915 2015-07-30
PCT/US2016/041868 WO2017019291A1 (en) 2015-07-30 2016-07-12 Lubrication-free sealing device for necking machin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535A true KR20180034535A (ko) 2018-04-04

Family

ID=5649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269A KR20180034535A (ko) 2015-07-30 2016-07-12 네킹 가공기계용 무윤활 실링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751783B2 (ko)
EP (1) EP3328571B1 (ko)
JP (1) JP2018523580A (ko)
KR (1) KR20180034535A (ko)
CN (1) CN107848010B (ko)
AU (1) AU2016298046A1 (ko)
ES (1) ES2734138T3 (ko)
PL (1) PL3328571T3 (ko)
WO (1) WO20170192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20022970A2 (pt) 2018-05-11 2021-02-02 Stolle Machinery Company, Llc recursos de mudança rápida de conjunto de alimentação
JP7319300B2 (ja) 2018-05-11 2023-08-01 ストール マシーナリ 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プロセスシャフトツーリングアセンブリ
EP3790684A4 (en) 2018-05-11 2022-02-09 Stolle Machinery Company, LLC QUICK CHANGE TOOLING SET
CN112118921B (zh) * 2018-05-11 2023-04-18 斯多里机械有限责任公司 旋转歧管
US11370015B2 (en) 2018-05-11 2022-06-28 Stolle Machinery Company, Llc Drive assembly
CN114772256B (zh) 2018-05-11 2024-05-17 斯多里机械有限责任公司 快速更换式真空星轮组件和缩颈机
JP7186799B2 (ja) 2018-05-11 2022-12-09 ストール マシーナリ 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インフィードアセンブリのフル検査アセンブリ
US11420242B2 (en) 2019-08-16 2022-08-23 Stolle Machinery Company, Llc Reformer assembly
WO2021183507A1 (en) * 2020-03-09 2021-09-16 Ball Corporation Die guide for a container necker
CN118055813A (zh) * 2021-08-05 2024-05-17 贝瓦克生产机械有限公司 用于加工容器的冲压系统和脱模冲压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0353A (en) 1979-06-25 1981-07-28 Ball Corporation Machine with pneumatic stripping
US4519232A (en) 1982-12-27 1985-05-28 National Ca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ecking containers
JP2617968B2 (ja) 1988-02-17 1997-06-11 北海製罐株式会社 ネックイン缶の製造方法
JPH084863B2 (ja) 1991-11-27 1996-01-24 アメリカン ナショナル カン カンパニー 容器にネックを形成する方法
JPH09327737A (ja) 1996-06-10 1997-12-22 Mitsubishi Materials Corp ネックイン缶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5775161A (en) 1996-11-05 1998-07-07 American National Can Co. Staggered die method and apparatus for necking containers
US7201031B2 (en) * 2004-02-06 2007-04-10 Belvac Production Machinery, Inc. Flanging process improvement for reducing variation in can body flange width
JP4637555B2 (ja) 2004-11-30 2011-02-23 ユニバーサル製缶株式会社 缶体の製造装置および缶体の製造方法
CN201572836U (zh) 2009-11-30 2010-09-08 盛鑫实业股份有限公司 罐胴的缩颈模块
CZ306624B6 (cs) * 2011-11-09 2017-04-05 Belvac Production Machinery, Inc. Rotační tvarovací zařízení pro úpravu tvaru nádoby a způsob úpravy tvaru nádoby
CN202893985U (zh) 2012-09-27 2013-04-24 奥瑞金包装股份有限公司 罐体缩颈模具
CN204486618U (zh) 2015-02-04 2015-07-22 浙江龙文机械有限责任公司 动态模具的薄壁焊接圆筒的缩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34138T3 (es) 2019-12-04
CN107848010B (zh) 2019-09-06
JP2018523580A (ja) 2018-08-23
WO2017019291A1 (en) 2017-02-02
EP3328571B1 (en) 2019-06-05
PL3328571T3 (pl) 2020-03-31
US10751783B2 (en) 2020-08-25
AU2016298046A1 (en) 2018-02-22
US20180207705A1 (en) 2018-07-26
EP3328571A1 (en) 2018-06-06
CN107848010A (zh) 201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4535A (ko) 네킹 가공기계용 무윤활 실링장치
US20190084030A1 (en) Forming apparatus
US5282375A (en) Spin flow necking apparatus and method of handling cans therein
US45192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cking containers
EP2401096B1 (en) Self compensating sliding air valve mechanism
US5467628A (en) Can bottom reprofiler
US6167743B1 (en) Single cam container necking apparatus and method
US8161784B2 (en) Ram for metal can shaper
EP2001616B1 (en) Apparatus for can expansion
US4678425A (en) Resilient skirted spindle nose and pallet with reciprocatable spindle combined therewith
US20230182196A1 (en) Ram assembly with removable punch mounting assembly
CN113909399A (zh) 一种用于易拉罐的多站式颈部成型设备
JPS60261631A (ja) 容器にネック及びフランジを形成する装置
JP6906412B2 (ja) 缶成形装置
JP2023101964A (ja) ツールホルダ及び缶製造装置
JP2023083312A (ja) 容器をトリミング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18099729A (ja) 缶の製造方法
CA2096303A1 (en) Spin flow necking apparatus and method of handling cans there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