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030A -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 - Google Patents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030A
KR20180034030A KR1020160124027A KR20160124027A KR20180034030A KR 20180034030 A KR20180034030 A KR 20180034030A KR 1020160124027 A KR1020160124027 A KR 1020160124027A KR 20160124027 A KR20160124027 A KR 20160124027A KR 20180034030 A KR20180034030 A KR 20180034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chin
quercetin
weight
absorption enhancer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오
김수경
김정기
김완기
신송석
심순미
이선봉
송지훈
서승범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124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4030A/ko
Priority to US16/336,797 priority patent/US20190223486A1/en
Priority to PCT/KR2017/010295 priority patent/WO2018062752A1/ko
Priority to CN201780073014.8A priority patent/CN109982694A/zh
Publication of KR20180034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테킨의 소장세포 흡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진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카테킨의 소장 상피세포 흡수율이 증진되어 생체 이용률 향상으로 이어지며, 따라서 카테킨의 항산화 효과, 노화 방지 효과, 체지방 분해 효과 및 이외의 다양한 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Agent for improvement of Cathechin absorptance on the intestinal epithelium}
본 발명은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테킨의 소장세포 흡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진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녹차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일으키는 주된 성분은 녹차 잎에 함유되어 있는 카테킨이다. 최근 이러한 카테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항산화 효과, 항바이러스 효과, 항암 효과, 항알러지 효과 등 여러 가지 활성이 보고되어 있으며, 특히 체지방 및 체중 감소 효과가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카테킨은 (+)-카테킨(Catechin, C),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갈로카테킨(Gallocatechin, GC),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카테킨 갈레이트(Catechin gallate, 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allocatechin gallate, GCG),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의 총 8종이 있다.
하지만 카테킨은 소장 상피세포로의 흡수율이 낮고,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대사(Metabolism) 및 분비(Efflux)도 빠르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생체 이용률이 낮아 실제로 유용성이 크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특허 공개공보 제2013-0036631호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한국특허 공개공보 제2014-0072307호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테킨의 소장 상피세포 흡수율을 증진시켜 생체 이용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카테킨 흡수 증진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카테킨 흡수 증진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피세틴(Fisetin), 퀘르세틴(Querceti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Catechin) 흡수 증진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테킨 및 상기 카테킨 흡수 증진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테킨 및 상기 카테킨 흡수 증진제를 포함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와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카테킨의 소장 상피세포 흡수율이 증진되어 생체 이용률 향상으로 이어지며, 따라서 카테킨의 항산화 효과, 노화 방지 효과, 체지방 분해 효과 및 이외의 다양한 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소장 모델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세틴을 포함하는 카테킨 조성물의 소장 모델에서의 카테킨 흡수율 증진 효과 상대비 데이터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퀘르세틴을 포함하는 카테킨 조성물의 소장 모델에서의 카테킨 흡수율 증진 효과 상대비 데이터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세틴 및 퀘르세틴을 포함하는 카테킨 조성물의 소장 모델에서의 카테킨 흡수율 증진 효과 상대비 데이터이다.
일반적으로 카테킨은 장 내에서 섭취량의 2% 미만 정도만 흡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카테킨의 낮은 생체 이용률은 카테킨이 체내 소화액 조건에 민감하고, 소장 세포에 대한 흡수율이 낮으며, 소장에서 대사 및 분비가 빠르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이의 근거로 소화 과정 중 pH가 높고 활성 산소가 존재하는 소장 윗부분에서 주로 카테킨이 분해되며, 카테킨이 P-글리코단백질과 같은 역수송 단백질에 의해 소장 상피세포를 투과하지 못하고 장 내로 역수송되는 현상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카테킨을 포함하는 차 추출물에 설탕과 같은 당 성분을 첨가하는 경우, 소화 기관 내에서 카테킨의 안정성이 증가하고, 소장 상피세포에 카테킨의 축적률이 높아진다는 사실이 알려진 바, 이는 당 성분의 첨가로 인해 카테킨의 체내 흡수율이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설탕과 같은 당 성분은 저영양 및 고열량 성분으로, 일부 사용자들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카테킨의 소장 상피세포 흡수율을 높일 수 있는 대체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피세틴(Fisetin), 퀘르세틴(Querceti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Catechin) 흡수 증진제를 제공한다.
카테킨은 폴리페놀(Polyphenol)의 일종으로, 카테킨류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이러한 카테킨류의 종류로는 (+)-카테킨(Catechin, C),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갈로카테킨(Gallocatechin, GC),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카테킨 갈레이트(Catechin gallate, 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allocatechin gallate, GCG) 및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가 있다. 본 발명에서 "카테킨"은 상기 열거한 카테킨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카테킨은 녹차 추출물의 형태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녹차 추출물은 추출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기로 30 내지 50 중량% 이상의 카테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로 포함되는 피세틴(Fisetin)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물질이며, CAS NO.가 528-48-3인 화합물로서, 3,7,3',4'-테트라하이드록시플라본(3,7,3',4'-tetrahydroxyflavone)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1
피세틴은 독특한 폴리페놀의 플라보노이드로서 딸기, 사과, 포도, 양파, 망고 및 아카시아 등에서 발견되는 성분으로, 항염증, 항암, 항바이러스 및 강력한 항산화 효과가 연구되어 있으며 특히 높은 수준의 신경 보호 효과와 기억력 향상 효과 등이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에서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로 포함되는 퀘르세틴(Quercetin)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물질이며, CAS NO.가 117-39-5인 화합물로서, 3,3',4',5,7-펜타하이드록시플라본(3,3',4',5,7-pentahydroxyflavone)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2
퀘르세틴은 플라보노이드의 하나로서 적포도주나 양파, 키위, 녹차, 사과, 베리, 배추 속(양배추,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순무 등)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퀘르세틴은 중금속 제거,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고혈압 및 당뇨병 등의 성인병 예방 등 다양한 생리 활성 및 항산화 작용과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퀘르세틴은 항산화 물질로 체내세포를 산화시키는 물질로부터 보호하고, 항염증, 항암에 유효하여 유방암, 대장암, 난소암, 위암, 방광암에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본 발명에서 카테킨, 피세틴 또는 퀘르세틴은 필요한 경우 약학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형태, 이의 수화물(Hydrate) 형태, 또는 프로드럭(Prodrug) 형태가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물질들은 대부분 식물을 원료로 추출되며, 따라서 인체에 저독성의 비자극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는 상기 피세틴과 퀘르세틴을 각각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피세틴과 퀘르세틴의 혼합물로 포함하는 경우가 각각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카테킨의 소장 상피세포에서 흡수율을 더욱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피세틴 및 퀘르세틴의 혼합물의 중량비는 0.1 : 9.9 내지 9.9 : 0.1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 2 내지 2 : 1,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의 비율로 적용한다.
카테킨이 종래 항산화 효과, 항바이러스 효과, 항암 효과, 항알러지 효과 등 다양한 효능이 보고되었으나, 소장 세포에서의 낮은 생체 이용률로 인해 만족스런 효과 및 효능 확보가 어려웠다. 이에 상기 제시한 피세틴 및/또는 퀘르세틴을 포함하는 카테킨 흡수 증진제를 적용할 경우 소장에서의 카테킨의 생체 이용률을 높여 상기 효과 및 효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테킨; 및 피세틴, 퀘르세틴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테킨; 및 피세틴, 퀘르세틴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카테킨 흡수 증진제는 상기 카테킨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카테킨 흡수 증진제가 피세틴 또는 퀘르세틴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경우, 카테킨 흡수 증진제는 상기 카테킨 총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카테킨 흡수 증진제가 피세틴 및 퀘르세틴의 혼합물의 형태로 포함하는 경우, 카테킨 흡수 증진제는 상기 카테킨 총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함량일 경우 본 발명의 의도한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으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이외에도 카테킨의 생체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이외의 성분을 카테킨의 효능을 저해하지 않는 수준의 양에서 추가적으로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당분, 산, 당알코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은 체중 감소, 체지방 감소, 나아가 비만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능을 가지며, 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서는 정제(錠劑), 환제(丸劑), 연질 및 경질 캡슐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顆粒劑), 용액, 유탁제(乳濁濟), 시럽제, 펠렛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법에 따라서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 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또는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치료할 질환 또는 병리 상태,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고, 예를 들어 100 내지 1,000mg,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500 mg의 카테킨을 1일 1 내지 3회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으나,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식품 조성물은 건강 식품, 기능성 식품 및 식품 첨가제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다양한 종류의 부형제 또는 첨가제를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통하여 정제, 환제, 캅셀제, 과립제, 드링크제, 캐러멜, 다이어트바, 티백 등의 여러 제형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조성물에는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성분과 배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카테킨과 피세틴의 혼합 비율을 카테킨 농도 대비 피세틴이 5%, 10%, 20%로 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카테킨은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의 4종을 포함하며, 이들의 함량비는 일반적인 녹차 추출물에서의 4종 카테킨의 비율로서, 각각 200ppm, 600ppm, 150ppm, 850ppm으로 포함한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피세틴 대신 퀘르세틴으로 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피세틴 대신 피세틴과 퀘르세틴의 혼합물으로 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피세틴과 퀘르세틴의 함량비는 1 : 1이 되도록 하였다.
<실험예 1>
일반적으로 생체 흡수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인체 소장세포인 Caco-2 cell을 사용한다. 세포 배양과 시료 처리시 사용된 배지는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Biotechnics research), 1% 비필수 아미노산(nonessential amino acid, Sigma),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Corning), 0.1% 젠타마이신(Gentamycin, Sigma)을 추가한 둘베코수정이글배지 (Dullbeco's modified eagle media: DMEM, Corning)를 사용하였다.
카테킨의 소장세포 흡수율을 알아보기 위한 인체의 소장과 유사한 In vitro 모델을 적용하기 위하여 12 well-transwell(Collagen coated, Corning)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장 모델을 제조하여, 정단부(Apical part, 20)에 Caco-2 세포(10)를 주입한 뒤 37℃, 5%의 CO2 환경에서 2 ~ 3주간 배양, 배지는 2일 마다 교체하였다. Caco-2 세포를 정단부(Apical part, 20)에 주입한 후 2 ~ 3주가 지난 뒤, TEER 저항값을 측정한 값이 250Ω이 넘는 세포를 선별하여 실험에 사용하고, 상기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3의 시료 조성물을 처리군 별로 Caco-2 세포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40) 막 위에 단일층으로 깔려있는 정단부(Apical part, 20)에 처리한 뒤, 5%의 CO2 환경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한 후, 기저부(Basolateral part, 30)의 배지를 취하여 메탄올(MeOH)과 1:1(v:v) 희석한 뒤 10초간 초음파 처리(Sonication)하고 0.45um 주사기(Syringe)로 여과를 한 후 바로 UPLC-PDA-ESI-MS/MS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도 2는 피세틴을 포함하는 카테킨 조성물(실시예 1)의 소장 모델에서의 카테킨 흡수율 증진 효과 상대비 데이터이다. 무처리 카테킨의 흡수율 100%를 기준으로, 카테킨 조성물의 흡수율은 피세틴을 5 중량% 함유할 때 160%으로 약 1.6배 증가하였으며, 피세틴을 10 중량% 함유할 때 170%으로 약 1.7배 증가하였고, 피세틴을 20 중량% 함유할 때 140%로 약 1.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피세틴을 10 중량% 함유하는 카테킨 조성물의 흡수율이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퀘르세틴 을 포함하는 카테킨 조성물(실시예 2)의 소장 모델에서의 카테킨 흡수율 증진 효과 상대비 데이터이다. 무처리 카테킨의 흡수율 100%를 기준으로, 카테킨 조성물의 흡수율은 퀘르세틴을 5 중량% 함유할 때 135%으로 약 1.35배 증가하였으며, 퀘르세틴을 10 중량% 함유할 때 160%으로 약 1.6배 증가하였고, 퀘르세틴을 20 중량% 함유할 때 145%로 약 1.45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퀘르세틴을 10 중량% 함유하는 카테킨 조성물의 흡수율이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피세틴 및 퀘르세틴을 1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카테킨 조성물(실시예 3)의 소장 모델에서의 카테킨 흡수율 증진 효과 상대비 데이터이다. 무처리 카테킨의 흡수율 100%를 기준으로, 카테킨 조성물의 흡수율은 피세틴/퀘르세틴을 5 중량% 함유할 때 220%로 약 2.2배 증가하였으며, 피세틴/퀘르세틴을 10 중량% 함유할 때 165%로 약 1.65배 증가하였고, 피세틴/퀘르세틴을 20 중량% 함유할 때 145%로 약 1.45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실험의 결과로 피세틴과 퀘르세틴을 각각 첨가하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이들의 함량이 10 중량%로 함유되는 조성물의 카테킨 흡수율이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피세틴과 퀘르세틴의 혼합물으로 첨가하는 실시예 3의 경우에는 함량이 5 중량%로 함유되는 조성물의 카테킨 흡수율이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카테킨 함량 대비 5 중량%로 함유되는 데이터만을 비교했을 때, 피세틴의 경우 약 1.6배, 퀘르세틴의 경우 약 1.35배 증가한 것에 비해, 피세틴과 퀘르세틴의 혼합물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약 2.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세틴과 퀘르세틴을 10 중량%로 첨가하는 경우의 증가량(1.7배, 1.6배)보다, 이들의 혼합물으로 5 중량% 첨가하는 경우의 증가량(2.2배)이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피세틴과 퀘르세틴의 혼합물인 카테킨 흡수 증진제는 각각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카테킨 흡수 증진제에 비해 시너지 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건강 음료
카테킨 10 중량%, 카테킨 흡수 증진제 1 중량%, 효소 처리 스테비아 10 중량%, 자몽 농축액 10 중량% 및 정제수 잔량을 혼합한 다음,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 방법에 따라, 약 1시간 동안 80 ~ 90℃에서 교반 가열하고, 얻은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용기에 취득하고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건강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제형예 2] 환제
카테킨 28 중량%, 카테킨 흡수 증진제 2 중량%, 구연산 10 중량%, 자일리톨 10 중량%, 옥수수 전분 10 중량%, 글리세린 20 중량% 및 솔비톨 20 중량%를 혼합하고, 제환기를 사용하여 환을 제조한다.
[제형예 3] 정제
카테킨 37 중량%, 카테킨 흡수 증진제 3 중량%, 아스코르브산 10 중량%, 자일리톨 7.5 중량%, 덱스트린 20 중량% 및 결정 셀룰로오스 20 중량%를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화한 다음에 슈거 에스테르(sugar ester) 2.5 중량%를 첨가하여 타정기로 타정한다.
[제형예 4] 과립제
카테킨 18 중량%, 카테킨 흡수 증진제 2 중량%, 아스코르브산 10 중량%, 자일리톨 10 중량%, 효소 처리 스테비아 5 중량% 및 이소말트 55 중량%를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에 포에 충진한다.
10. Caco-2 세포
20. 정단부(Apical part)
30. 기저부(Basolateral part)
40. PTFE 막

Claims (12)

  1. 피세틴(Fisetin), 퀘르세틴(Querceti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Catechin) 흡수 증진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세틴 및 퀘르세틴의 혼합물의 중량비는 0.1 : 9.9 내지 9.9 :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
  3. 카테킨; 및
    피세틴, 퀘르세틴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킨은 (+)-카테킨(Catechin, C),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갈로카테킨(Gallocatechin, GC),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카테킨 갈레이트(Catechin gallate, 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allocatechin gallate, GCG),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킨 흡수 증진제는 상기 카테킨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킨 흡수 증진제는 피세틴 또는 퀘르세틴을 카테킨 총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킨 흡수 증진제는 피세틴 및 퀘르세틴의 혼합물을 카테킨 총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8. 카테킨; 및
    피세틴, 퀘르세틴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킨은 (+)-카테킨(Catechin, C),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갈로카테킨(Gallocatechin, GC),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카테킨 갈레이트(Catechin gallate, 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allocatechin gallate, GCG),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킨 흡수 증진제는 상기 카테킨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킨 흡수 증진제는 피세틴 또는 퀘르세틴을 카테킨 총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킨 흡수 증진제는 피세틴 및 퀘르세틴의 혼합물을 카테킨 총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160124027A 2016-09-27 2016-09-27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 KR20180034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027A KR20180034030A (ko) 2016-09-27 2016-09-27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
US16/336,797 US20190223486A1 (en) 2016-09-27 2017-09-20 Catechin absorption enhancer for enhancing catechin absorption in small intestinal epithelial cells
PCT/KR2017/010295 WO2018062752A1 (ko) 2016-09-27 2017-09-20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
CN201780073014.8A CN109982694A (zh) 2016-09-27 2017-09-20 增强小肠上皮细胞中儿茶素吸收的儿茶素吸收增强剂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027A KR20180034030A (ko) 2016-09-27 2016-09-27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030A true KR20180034030A (ko) 2018-04-04

Family

ID=6176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027A KR20180034030A (ko) 2016-09-27 2016-09-27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223486A1 (ko)
KR (1) KR20180034030A (ko)
CN (1) CN109982694A (ko)
WO (1) WO20180627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0618A1 (en) * 2019-02-05 2020-08-13 Helium 3 Biotech Pty Ltd An anti-cell-senescence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WO2023222705A1 (en) * 2022-05-17 2023-11-23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Compositions and methods using a combination of fisetin and quercetin for cellular energy
WO2023222703A1 (en) * 2022-05-17 2023-11-23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Compositions and methods using a combination of fisetin and quercetin for use in cartilage degen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48371B (en) * 2000-03-14 2001-04-04 Soares Da Silva Patricio Compositions comprising blockers of L-DOPA renal cell transfer for the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AU2003228603A1 (en) * 2002-04-22 2003-11-10 Rtc Research And Development,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moting weight loss, thermogenesis, appetite suppression, lean muscle mass, increasing metabolism and boosting energy levels, and use as a dietary supplement in mammals
JP5128826B2 (ja) * 2007-02-07 2013-01-23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新規なメチル化カテキン及びそれを含む組成
EP2263481A1 (en) * 2009-05-29 2010-12-22 Nestec S.A. Green tea extracts of improved bioavailability
KR20110017599A (ko) * 2009-08-14 2011-02-22 (주)아모레퍼시픽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101286870B1 (ko) * 2009-11-30 2013-07-16 (주)아모레퍼시픽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 촉진 조성물
ES2391211B1 (es) * 2011-05-04 2013-10-02 Select Botanical, S.L. Combinacion sinergica de polifenoles
KR101991746B1 (ko) * 2011-10-04 2019-06-25 (주)아모레퍼시픽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US10722584B2 (en) * 2012-11-29 2020-07-28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Increasing the bioavailability of flavan-3-ols by polyphenols
KR101974442B1 (ko) * 2012-11-30 2019-05-03 (주)아모레퍼시픽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CN103919765B (zh) * 2014-04-24 2016-06-15 无锡艾德美特生物科技有限公司 高车前素在制备儿茶酚药物增效剂中的应用及包含高车前素的药物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2752A1 (ko) 2018-04-05
US20190223486A1 (en) 2019-07-25
CN109982694A (zh)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674B1 (ko)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신규 조성물
US20060188590A1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diabetes or obesity
KR101974442B1 (ko)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CA2342608A1 (en) Bioflavonoid as blood glucose level lowering agent
WO2012121140A1 (ja) 成長ホルモン分泌促進剤
KR20160042017A (ko) 하이드록시티로솔 및 그 유도체의 체내 흡수 촉진제 및 그 이용
KR20180034030A (ko)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
JP2006083151A (ja) 骨粗鬆症予防、改善用組成物
JP2009007313A (ja) 筋萎縮抑制剤
JP6812102B2 (ja) 粉末青汁飲料
KR101809379B1 (ko) 디오스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0132575A (ja) 美白剤およびその利用
US10912809B2 (en) Enhancer for catechin uptake in enterocytes
JP5900896B2 (ja) 血糖値上昇抑制剤
JP6045164B2 (ja) 長命草ポリフェノール並びにビタミンe及び/又はビタミンcを含む組成物
KR101991746B1 (ko)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US20060135446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fluidity
US20060134179A1 (en) Health food product
KR101886802B1 (ko)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JP2012176916A (ja) 新規レスベラトロール誘導体
JP2006151922A (ja) アントシアニン吸収促進剤
EP1688140A1 (en) Lipometabolism improver containing pine bark extract
JP2016093143A (ja) カテキン類の生体吸収及び蓄積改善剤
JP2009107995A (ja) 破骨細胞分化抑制剤
KR101576916B1 (ko) 설퍼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수질환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