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961A -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961A
KR20180033961A KR1020160123837A KR20160123837A KR20180033961A KR 20180033961 A KR20180033961 A KR 20180033961A KR 1020160123837 A KR1020160123837 A KR 1020160123837A KR 20160123837 A KR20160123837 A KR 20160123837A KR 20180033961 A KR20180033961 A KR 20180033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ing data
buffer
topic
data
ser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8377B1 (ko
Inventor
주용재
신진호
노재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60123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377B1/ko
Priority to PCT/KR2016/013395 priority patent/WO2018062614A1/ko
Priority to US16/068,656 priority patent/US11341842B2/en
Publication of KR20180033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16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5/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 G08C25/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by recording transmitted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06F11/0709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a distributed system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tandalone computer nodes, e.g. clusters, client-serve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51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4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 H04L67/1008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based on parameters of servers, e.g. available memory or work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2Brokering proxy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계량데이터를 수집하고 계량데이터에 대응되는 토픽(Topic) 정보와 계량데이터를 가지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계량데이터 전송 모듈과, 서로 다른 토픽이 할당되는 복수의 버퍼를 각각 가지고 메시지를 토픽 정보에 대응되는 버퍼에 각각 저장하는 복수의 버퍼서버와, 복수의 버퍼서버 중 일부로부터 계량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계량데이터를 처리하는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과, 복수의 버퍼서버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버퍼서버 중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의 추출대상이 되는 버퍼서버를 결정하는 브로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Meter data management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o member deterioration}
본 발명은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능형 전력계량 인프라(Advanced Meter Infrastructure, AMI) 구축에 따라 수집되는 계량데이터의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계량데이터는 전기요금 산정, 고객에게 실시간 사용량 및 요금 제공, 수요반응(Demand Response, DR) 분석 등 에너지신산업 창출을 위한 근간 데이터이므로, 계량데이터의 관리에 있어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
종래의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DB) 링크 방식으로 계량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한다. 그러나 계량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계량데이터의 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성능 및 신뢰성은 점차 저하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3357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분산방식 또는 병렬방식으로 계량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여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계량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계량데이터에 대응되는 토픽(Topic) 정보와 상기 계량데이터를 가지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계량데이터 전송 모듈; 서로 다른 토픽이 할당되는 복수의 버퍼를 각각 가지고, 상기 메시지를 상기 토픽 정보에 대응되는 버퍼에 각각 저장하는 복수의 버퍼서버; 상기 복수의 버퍼서버 중 일부로부터 상기 계량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계량데이터를 처리하는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버퍼서버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버퍼서버 중 상기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의 추출대상이 되는 버퍼서버를 결정하는 브로커 서버;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은, 서로 다른 복수의 토픽을 각각 할당받고, 할당받은 토픽과 동일한 토픽이 할당된 버퍼로부터 상기 계량데이터를 추출하여 처리하는 복수의 처리서버; 및 상기 복수의 처리서버 중 일부에서 처리할 계량데이터의 토픽을 결정하고, 결정된 토픽을 상기 복수의 처리서버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처리서버 중 일부에 할당하는 마스터 처리서버;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계량데이터 전송 모듈은, 수집된 계량데이터를 식별하여 상기 토픽 정보를 생성하는 수집서버; 생성된 메시지를 임시저장하는 데이터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에 임시저장된 메시지를 임시저장 순서대로 추출하고, 추출된 메시지에 상기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의 처리에 이용되는 메타 정보를 추가하고, 상기 메타 정보가 추가된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버퍼서버 중 적어도 일부에 전송하는 전송서버;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은 추출된 계량데이터의 오류를 검증하고, 추출된 계량데이터가 가지는 오류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에 의해 검증된 계량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 또는 출력하는 실시간 제공 모듈; 상기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의 검증 결과를 누적저장하고, 누적저장된 검증 결과의 분석에 따른 제1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분석 모듈; 및 상기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에 의해 검증된 계량데이터를 누적저장하고, 누적저장된 계량데이터의 분석에 따른 제2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분석 모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분석 모듈은 누적저장된 검증 결과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의 검증에 이용되는 메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계량데이터 전송 모듈은 상기 메시지에 상기 메타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토픽 정보는 상기 계량데이터의 전압구분, 지역구분 및 품질구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제1 버퍼와 제2 버퍼를 가지는 제1 버퍼서버; 상기 제2 버퍼와 제3 버퍼를 가지는 제2 버퍼서버; 상기 제3 버퍼와 상기 제1 버퍼를 가지는 제3 버퍼서버; 제1, 제2 및 제3 계량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제1 계량데이터와 제1 토픽(Topic) 정보를 가지는 제1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버퍼에 전달하고, 상기 제2 계량데이터와 제2 토픽 정보를 가지는 제2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버퍼에 전달하고, 상기 제3 계량데이터와 제3 토픽 정보를 가지는 제3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3 버퍼에 전달하는 계량데이터 전송 모듈; 처리할 계량데이터의 토픽을 결정하고, 결정된 토픽이 상기 제1 토픽 정보에 대응될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버퍼서버 중 하나로부터 상기 제1 계량데이터를 추출하고, 결정된 토픽이 상기 제2 토픽 정보에 대응될 경우에 상기 제2 및 제3 버퍼서버 중 하나로부터 상기 제2 계량데이터를 추출하고, 결정된 토픽이 상기 제3 토픽 정보에 대응될 경우에 상기 제3 및 제1 버퍼서버 중 하나로부터 상기 제3 계량데이터를 추출하는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 및 상기 제1, 제2 및 제3 버퍼서버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2 및 제3 버퍼서버 중 상기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의 추출대상이 되는 버퍼서버를 결정하는 브로커 서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계량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계량데이터를 식별하여 상기 계량데이터에 대응되는 토픽(Topic)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계량데이터와 상기 토픽 정보를 가지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서로 다른 토픽이 할당되는 복수의 버퍼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버퍼서버 중 상기 토픽 정보에 대응되는 버퍼서버로 상기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처리할 계량데이터의 토픽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토픽을 복수의 처리서버 중 일부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버퍼서버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버퍼서버 중 상기 복수의 처리서버 중 일부에 계량데이터를 전달할 버퍼서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이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량데이터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성능 및 신뢰성 저하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계량데이터의 용량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확장 또는 축소되어 계량데이터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일부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데이터의 유실 및 데이터 관리의 중단을 예방하여 계량데이터 관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생성하는 메시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수집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전송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처리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처리서버의 계량데이터 검증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계량데이터 전송 모듈(100), 복수의 버퍼서버(211, 212, 213), 브로커 서버(250) 및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계량데이터 전송 모듈(100)은 계량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계량데이터에 대응되는 토픽(Topic) 정보와 상기 계량데이터를 가지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계량데이터는 LP(Load Profile) 데이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SOAP, SCP, Polling 등과 같은 프로토콜을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픽 정보는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계량데이터를 분산방식 또는 병렬방식으로 처리하기 위한 매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토픽은 계량데이터의 전압구분, 지역구분 및 품질구분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다수의 집합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토픽에 대응되는 계량데이터를 검침한 계기 타입은 표준형이고, 제2 토픽에 대응되는 계량데이터를 검침한 계기 타입은 E-Type이고, 제3 토픽에 대응되는 계량데이터를 검침한 계기 타입은 G-Type이고, 제4 토픽에 대응되는 계량데이터를 검침한 계기 타입은 EA-Typ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계량데이터 전송 모듈(100)은 제1, 제2 및 제3 계량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제1 계량데이터와 제1 토픽 정보를 가지는 제1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 버퍼(221a, 221b)에 전달하고, 상기 제2 계량데이터와 제2 토픽 정보를 가지는 제2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2 버퍼(222a, 222b)에 전달하고, 상기 제3 계량데이터와 제3 토픽 정보를 가지는 제3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3 버퍼(223a, 223b)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계량데이터 전송 모듈(100)은 토픽 정보에 따라 수집된 계량데이터를 서로 다른 대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계량데이터 전송 모듈(100)은 수집서버(110), 데이터 채널(120) 및 전송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서버(110)는 수집된 계량데이터를 식별하여 토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계량데이터를 식별하는 것은 계량데이터에 포함된 일부 데이터를 부호화 또는 복호화하는 것일 수 있고, 계량데이터의 패턴을 확인하는 것일 수도 있다.
데이터 채널(120)은 생성된 메시지를 임시저장할 수 있으며, 수집서버(110) 및 전송서버(130)에 접속될 수 있다.
전송서버(130)는 데이터 채널(120)에 임시저장된 메시지를 임시저장 순서대로 추출하고, 추출된 메시지에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300)의 처리에 이용되는 메타 정보를 추가하고, 상기 메타 정보가 추가된 메시지를 복수의 버퍼서버(211, 212, 213) 중 적어도 일부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버퍼서버(211, 212, 213)는 서로 다른 토픽이 할당되는 복수의 버퍼(221a, 221b, 222a, 222b, 223a, 223b) 중 적어도 일부를 각각 가지고, 전달받은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가 가지는 토픽 정보에 대응되는 버퍼에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퍼서버(211)가 제1 버퍼(221a)와 제2 버퍼(222a)를 가질 경우, 제1 토픽에 대응되는 토픽 정보를 가지는 메시지는 제1 버퍼(221a)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2 토픽에 대응되는 토픽 정보를 가지는 메시지는 제2 버퍼(222a)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버퍼서버(212)가 제2 버퍼(222b)와 제3 버퍼(223a)를 가질 경우, 제2 토픽에 대응되는 토픽 정보를 가지는 메시지는 제2 버퍼(222b)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3 토픽에 대응되는 토픽 정보를 가지는 메시지는 제3 버퍼(223a)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버퍼서버(213)가 제3 버퍼(223b)와 제1 버퍼(221b)를 가질 경우, 제3 토픽에 대응되는 토픽 정보를 가지는 메시지는 제3 버퍼(223b)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1 토픽에 대응되는 토픽 정보를 가지는 메시지는 제1 버퍼(221b)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토픽에 대응되는 토픽 정보를 가지는 메시지는 제1 버퍼서버(211)에 포함되는 제1 버퍼(221a)와 제3 버퍼서버(213)에 포함되는 제1 버퍼(221b)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토픽에 대응되는 토픽 정보를 가지는 메시지는 제1 버퍼서버(211)에 포함되는 제2 버퍼(222a)와 제2 버퍼서버(212)에 포함되는 제2 버퍼(222b)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3 토픽에 대응되는 토픽 정보를 가지는 메시지는 제2 버퍼서버(212)에 포함되는 제3 버퍼(223a)와 제3 버퍼서버(213)에 포함되는 제3 버퍼(223b)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버퍼서버(211, 212, 213)는 분산방식 또는 병렬방식으로 메시지를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버퍼서버(211, 212, 213)는 균형적으로 메시지를 저장하고 전달받고 전달할 수 있다.
브로커 서버(250)는 복수의 버퍼서버(211, 212, 213)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버퍼서버(211, 212, 213) 중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300)의 추출대상이 되는 버퍼서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각 버퍼서버의 CPU 부하, 메모리 저장공간, 디스크 공간 및 장애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대상이 되는 버퍼서버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브로커 서버(250)는 복수의 버퍼서버(211, 212, 213) 각각의 네트워크 주소, 토픽 할당 정보 및/또는 버퍼별 저장 메시지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만약 제2 버퍼서버(212)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브로커 서버(250)는 제2 버퍼서버(212) 대신 제3 버퍼서버(213)로부터 제3 계량데이터를 전달받아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브로커 서버(250)는 제3 버퍼서버(213) 대신 제1 버퍼서버(211)로부터 제1 계량데이터를 전달받아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30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브로커 서버(250)는 일부 버퍼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원활하게 계량데이터를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3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복수의 버퍼서버(211, 212, 213)가 분산방식 또는 병렬방식으로 계량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전달하도록 복수의 버퍼서버(211, 212, 213)를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300)은 복수의 버퍼서버(211, 212, 213) 중 일부로부터 계량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계량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계량데이터의 처리는 계량데이터에 대한 검증, 추정, 수정(Validation, Estimation, Editing, VE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300)은 추출된 계량데이터의 오류를 검증하고 추출된 계량데이터가 가지는 오류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300)은 복수의 처리서버(311, 312) 및 마스터 처리서버(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처리서버(311, 312)는 서로 다른 복수의 토픽을 각각 할당받고, 할당받은 토픽과 동일한 토픽이 할당된 버퍼로부터 계량데이터를 추출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처리서버(311, 312) 각각은 데이터의 추출 및 적재를 처리하는 유닛과 데이터를 검증하고 확정짓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처리서버(350)는 복수의 처리서버(311, 312) 중 일부에서 처리할 계량데이터의 토픽을 결정하고, 결정된 토픽을 복수의 처리서버(311, 312)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처리서버(311, 312) 중 일부에 할당할 수 있다. 토픽에 대한 결정 및/또는 할당을 위해, 상기 마스터 처리서버(350)는 복수의 처리서버(311, 312)의 수행 작업(Task)을 분배 및 취합(Map/Reduce)하고, 상기 작업의 스케줄을 관리하고, 복수의 처리서버(311, 312)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작업을 복수의 처리서버(311, 312)에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마스터 처리서버(350)가 첫번째로 처리할 계량데이터의 토픽을 제3 토픽에 대응되는 토픽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마스터 처리서버(350)는 제1 처리서버(311)와 제2 처리서버(312) 중 바쁘지 않은 처리서버가 어떤 처리서버인지 확인할 수 있다. 제1 처리서버(311)가 상대적으로 덜 바쁠 경우, 상기 마스터 처리서버(350)는 제3 토픽을 제1 처리서버(311)에 할당할 수 있다.
이후, 제1 처리서버(311)는 브로커 서버(250) 또는 제3 버퍼(223b)로부터 제3 계량데이터를 전달받아 처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마스터 처리서버(350)는 두번째로 처리할 계량데이터의 토픽을 제1 토픽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마스터 처리서버(350)는 제1 토픽을 제2 처리서버(312)에 할당할 수 있다. 이후, 제2 처리서버(312)는 브로커 서버(250) 또는 제1 버퍼(221a)로부터 제1 계량데이터를 전달받아 처리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터 처리서버(350)는 복수의 처리서버(311, 312)가 분산방식 또는 병렬방식으로 계량데이터들을 전달받아 처리하도록 복수의 처리서버(311, 312)를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버 장애 또는 데이터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수집서버(110), 데이터 채널(120) 및 전송서버(130), 브로커 서버(250) 및/또는 마스터 처리서버(350)는 이중화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실시간 제공 모듈(400), 제1 분석 모듈(500), 제2 분석 모듈(600), 시스템 관리 서버(700) 및 연계 서버(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중화된 통합서버(10) 및/또는 이중화된 지역사업소(21, 22, 23, 24)에서 발생된 계량데이터는 변환부(30)에 의해 LP(Load Profile)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변환된 계량데이터는 네트워크 연결부(40)를 통해 SOAP, SCP, Polling 등과 같은 프로토콜에 맞춰서 계량데이터 전송 모듈(100)로 전송될 수 있다.
실시간 제공 모듈(400)은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300)에 의해 검증된 계량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외부에 전송 또는 출력할 수 있다.
제1 분석 모듈(500)은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300)의 검증 결과를 누적저장하고, 누적저장된 검증 결과의 분석에 따른 제1 분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분석 모듈(500)은 누적저장된 검증 결과의 분석에 기초하여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300)의 검증에 이용되는 메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메타 정보는 계량데이터 전송 모듈(100)에서 이후에 생성되는 메시지에 추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분석 모듈(500)은 제1 분석 모듈(500)의 분석 결과가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300)에 반영되도록 메타 정보를 생성하고 계량데이터 전송 모듈(100)로 피드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분석 모듈(500)은 공통데이터 클러스터, 계량데이터 클러스터 및 마스터 분석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검증, 구간값 산출, 확정을 위한 기준 정보(예: 고객정보, 계약정보, 계기정보 등) 및 데이터파일 수집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수집메타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분석 모듈(500)은 실시간 제공 모듈(400)의 계량데이터 제공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분산방식 또는 병렬방식으로 계량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산방식 또는 병렬방식으로 계량데이터를 실시간 제공 모듈(4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계량데이터 클러스터는 토픽 정보 또는 메타 정보를 활용하여 분산방식 또는 병렬방식으로 계량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 분석서버는 상기 계량데이터 클러스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계량데이터 클러스터의 저장 및 전송을 관리할 수 있다.
제2 분석 모듈(600)은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300)에 의해 검증된 계량데이터를 누적저장하고, 누적저장된 계량데이터의 분석에 따른 제2 분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분석 모듈(600)은 장기적으로 빅데이터 분석 작업을 하여 수요반응(Demand Response, DR) 분석 등의 많은 연산을 요구하는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분석 모듈(600)은 계량데이터에 대한 다차원 분석, 시계열 패턴분석, 위약/도전방지 등의 비교적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고급 통계분석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분석결과를 실시간 제공 모듈(4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분석 동작을 이원화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계량데이터를 분석하고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 관리 서버(7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연계 서버(800)는 서버들간의 연계 동작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계량데이터의 관리뿐만 아니라 발전소의 통합 감시 또는 진단에 응용될 수 있다. 발전소가 온도, 습도, 압력, 진동 등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 및 다수의 발전기 운전정보를 포함하므로, 상기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계량데이터를 발전소에 포함되는 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운전정보로 대체하여 분산방식 또는 병렬방식으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생성하는 메시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토픽 정보는 계량데이터의 전압구분, 지역구분 및 품질구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계량데이터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파일 시작 정보와 및 파일 끝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일 시작 정보는 파일의 시작임을 알리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상기 파일 시작 정보의 문자열은 [S,CN_FEP_000001_LE_20151117_1830_184457,L,SU,1950,L]일 수 있으며, 상기 문자열은 하기의 표 1로 정리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예를 들어, 상기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수집서버는 상기 파일 시작 정보를 데이터 채널에 저장하고, 다수의 계량데이터 문자열을 순차적으로 데이터 채널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문자열 각각은 데이터파일의 실제 하나의 라인에 대한 파싱 결과 문자열에 파일명이 추가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파일 끝 정보는 상기 다수의 계량데이터가 데이터 채널에 모두 저장됨을 알리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상기 파일 끝 정보의 문자열은 [E,CN_FEP_000001_LE_20151117_1830_184457,28940,28940,0,1950]일 수 있으며, 상기 문자열은 하기의 표 2로 정리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수집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집서버는 수신 폴더 내 계량데이터 파일의 존재 여부를 확인(S111, S112)하고, 상기 파일이 존재할 경우에 상기 파일을 오픈(S113)하고, 파일 시작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시작 메시지를 생성하여 데이터 채널에 추가로 저장(S114)하고, 파일의 문자열을 라인별로 순차적으로 읽고(S115), 계량데이터 메시지를 생성하고 데이터채널에 추가로 저장(S116)하고, 파일이 끝나는지 확인(S117)하고, 파일이 끝난 경우에 파일 끝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끝 메시지를 생성하고 데이터 채널에 추가로 저장(S118)하고, 파일을 닫고 저장 폴더로 이동(S119)할 수 있다. 전술한 S111 내지 S119 단계는 하나의 독립적인 쓰레드(thread)로 처리될 수 있으며, 수집서버 내에서 동시에 여러 개의 쓰레드로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전송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송서버는 데이터 채널 내 메시지의 존재 여부를 확인(S131, S132)하고, 메시지가 존재할 경우에 데이터 채널 내 메시지 중 가장 먼저 저장된 메시지를 읽어 변수에 저장(S133)하고, 메시지의 토픽 정보를 확인하여 메시지에 데이터 수집 메타정보를 추가(S134)하고, 브로커 서버로 메시지를 전송(S135)하고 데이터 채널에 존재하는 해당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
전술한 S131 내지 S135 단계는 하나의 독립적인 쓰레드로 처리될 수 있으며, 전송서버 내에서 동시에 여러 개의 쓰레드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메타 정보는 표 3으로 정리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처리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의 담당 토픽 버퍼에서 메시지 1건을 추출(S210)하고, 추출된 메시지에 메타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S220)하고, 메타정보가 존재할 경우에 제1 분석 모듈의 메타정보 클러스터 저장소에서 해당 메타정보를 업데이트(S230)하고, 메타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제1 분석 모듈의 메타정보 클러스터 저장소에서 신규 메타정보를 생성(S240)하고, 메시지 유형이 계량데이터인지 확인(S250)하고, 계량데이터일 경우에 제1 분석 모듈의 계량데이터 클러스터에 계량데이터를 적재(S260)할 수 있다.
전술한 S210 내지 S260 단계는 하나의 독립적인 쓰레드로 처리될 수 있으며, 처리서버 내에서 동시에 여러 개의 쓰레드로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처리서버의 계량데이터 검증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처리서버는 제1 문석 모듈의 메타정보 클러스터 저장소에 있는 메타정보 중 완료처리 안된 대상을 추출(S310)하고, 계량데이터 수집 건수와 전송 건수를 비교(S320)하고, 계량데이터의 수집이 완료된 경우에 메타정보를 업데이트(S330)하고, 계량데이터를 1차적으로 검증(S340)하고, 계량데이터의 구간사용량을 산출(S350)하고, 계량데이터를 2차적으로 검증(S360)하고, 필요시에 계량데이터를 추정(S370)하고, 실시간 제공모듈 및 제2 분석 모듈로 계량데이터를 복제 전송(S380)할 수 있으며, 계량데이터의 수집이 미완료인 상태에서 수집 경과 시간이 기준을 초과하는지 확인(S390)하고, 계량데이터 전송 모듈로 해당 파일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S400)하고, 해당파일의 재전송을 수행(S410)할 수 있다.
여기서, 계량데이터를 추정(S370)하는 단계는 1차적으로 자동추정을 수행하고, 자동추정 불가인 경우에 2차적으로 통계적 방법에 의한 추정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S310 내지 S410 단계는 하나의 독립적인 쓰레드로 처리될 수 있으며, 처리서버 내에서 동시에 여러 개의 쓰레드로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방법은, 계량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10), 토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0),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S30), 메시지를 복수의 버퍼서버로 전달하는 단계(S40), 처리 토픽을 결정하는 단계(S50), 결정된 토픽을 처리서버에 할당하는 단계(S60) 및 할당된 서버가 해당 버퍼서버로부터 계량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도 9에 예시된 컴퓨팅 환경의 스토리지를 통해 판독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환경은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시스템 관리 서버 및/또는 연계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네트워크(1200)을 통하여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계량데이터 전송 모듈
110: 수집서버
120: 데이터 채널
130: 전송서버
210: 복수의 버퍼서버
220: 복수의 버퍼
250: 브로커 서버
300: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
310: 복수의 처리서버
350: 마스터 처리서버
400: 실시간 제공 모듈
500: 제1 분석 모듈
600: 제2 분석 모듈

Claims (9)

  1. 계량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계량데이터에 대응되는 토픽(Topic) 정보와 상기 계량데이터를 가지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계량데이터 전송 모듈;
    서로 다른 토픽이 할당되는 복수의 버퍼를 각각 가지고, 상기 메시지를 상기 토픽 정보에 대응되는 버퍼에 각각 저장하는 복수의 버퍼서버;
    상기 복수의 버퍼서버 중 일부로부터 상기 계량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계량데이터를 처리하는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버퍼서버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버퍼서버 중 상기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의 추출대상이 되는 버퍼서버를 결정하는 브로커 서버; 를 포함하는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은,
    서로 다른 복수의 토픽을 각각 할당받고, 할당받은 토픽과 동일한 토픽이 할당된 버퍼로부터 상기 계량데이터를 추출하여 처리하는 복수의 처리서버; 및
    상기 복수의 처리서버 중 일부에서 처리할 계량데이터의 토픽을 결정하고, 결정된 토픽을 상기 복수의 처리서버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처리서버 중 일부에 할당하는 마스터 처리서버; 를 포함하는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데이터 전송 모듈은,
    수집된 계량데이터를 식별하여 상기 토픽 정보를 생성하는 수집서버;
    생성된 메시지를 임시저장하는 데이터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에 임시저장된 메시지를 임시저장 순서대로 추출하고, 추출된 메시지에 상기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의 처리에 이용되는 메타 정보를 추가하고, 상기 메타 정보가 추가된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버퍼서버 중 적어도 일부에 전송하는 전송서버; 를 포함하는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은 추출된 계량데이터의 오류를 검증하고, 추출된 계량데이터가 가지는 오류를 추정하는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에 의해 검증된 계량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 또는 출력하는 실시간 제공 모듈;
    상기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의 검증 결과를 누적저장하고, 누적저장된 검증 결과의 분석에 따른 제1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분석 모듈; 및
    상기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에 의해 검증된 계량데이터를 누적저장하고, 누적저장된 계량데이터의 분석에 따른 제2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분석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석 모듈은 누적저장된 검증 결과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의 검증에 이용되는 메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계량데이터 전송 모듈은 상기 메시지에 상기 메타 정보를 추가하는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픽 정보는 상기 계량데이터의 전압구분, 지역구분 및 품질구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
  8. 제1 버퍼와 제2 버퍼를 가지는 제1 버퍼서버;
    상기 제2 버퍼와 제3 버퍼를 가지는 제2 버퍼서버;
    상기 제3 버퍼와 상기 제1 버퍼를 가지는 제3 버퍼서버;
    제1, 제2 및 제3 계량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제1 계량데이터와 제1 토픽(Topic) 정보를 가지는 제1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버퍼에 전달하고, 상기 제2 계량데이터와 제2 토픽 정보를 가지는 제2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버퍼에 전달하고, 상기 제3 계량데이터와 제3 토픽 정보를 가지는 제3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3 버퍼에 전달하는 계량데이터 전송 모듈;
    처리할 계량데이터의 토픽을 결정하고, 결정된 토픽이 상기 제1 토픽 정보에 대응될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버퍼서버 중 하나로부터 상기 제1 계량데이터를 추출하고, 결정된 토픽이 상기 제2 토픽 정보에 대응될 경우에 상기 제2 및 제3 버퍼서버 중 하나로부터 상기 제2 계량데이터를 추출하고, 결정된 토픽이 상기 제3 토픽 정보에 대응될 경우에 상기 제3 및 제1 버퍼서버 중 하나로부터 상기 제3 계량데이터를 추출하는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 및
    상기 제1, 제2 및 제3 버퍼서버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2 및 제3 버퍼서버 중 상기 계량데이터 처리 모듈의 추출대상이 되는 버퍼서버를 결정하는 브로커 서버; 를 포함하는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
  9. 계량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계량데이터를 식별하여 상기 계량데이터에 대응되는 토픽(Topic)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계량데이터와 상기 토픽 정보를 가지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서로 다른 토픽이 할당되는 복수의 버퍼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버퍼서버 중 상기 토픽 정보에 대응되는 버퍼서버로 상기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처리할 계량데이터의 토픽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토픽을 복수의 처리서버 중 일부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버퍼서버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버퍼서버 중 상기 복수의 처리서버 중 일부에 계량데이터를 전달할 버퍼서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160123837A 2016-09-27 2016-09-27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1908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837A KR101908377B1 (ko) 2016-09-27 2016-09-27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PCT/KR2016/013395 WO2018062614A1 (ko) 2016-09-27 2016-11-21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16/068,656 US11341842B2 (en) 2016-09-27 2016-11-21 Metering data management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837A KR101908377B1 (ko) 2016-09-27 2016-09-27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961A true KR20180033961A (ko) 2018-04-04
KR101908377B1 KR101908377B1 (ko) 2018-10-17

Family

ID=6175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837A KR101908377B1 (ko) 2016-09-27 2016-09-27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41842B2 (ko)
KR (1) KR101908377B1 (ko)
WO (1) WO201806261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251B1 (ko) * 2018-05-29 2019-11-28 (주)넥스챌 데이터 수집을 위한 마이크로 그리드 게이트웨이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00063847A (ko) * 2018-11-28 2020-06-05 (주)유엠로직스 지상제어장치에서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47946A (ko) * 2020-05-29 2021-12-07 청두 치엔지아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온라인 미터기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조기 경보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3592A (zh) * 2018-12-22 2019-05-14 汤新红 一种基于大数据的信息流存储系统及其存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318B1 (ko) 1999-04-21 2001-12-22 김영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셀 제조방법
KR20010035031A (ko) * 2000-11-10 2001-05-07 박광준 온라인상 컨텐츠의 브로커링 장치 및 그 방법
JP4416361B2 (ja) * 2001-09-14 2010-0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ルチフォーマットトランスポートストリームデコーダ
JP2003141217A (ja) * 2001-11-07 2003-05-16 Toshiba Corp ビル管理装置
JP2003141277A (ja) * 2001-11-07 2003-05-16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フォーム提供システム及び電子フォーム処理プログラム
KR100714683B1 (ko) * 2004-12-24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를 글로벌로 공유하고 거래하는 방법 및시스템
JP2009253823A (ja) * 2008-04-09 2009-10-29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計量システム
JP2012048576A (ja) * 2010-08-27 2012-03-08 Toshiba Corp データ送信処理装置及びデータ送信プログラム
KR101231708B1 (ko) * 2011-09-08 2013-02-0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자식 전력량계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방법
JP5701730B2 (ja) * 2011-09-30 2015-04-15 株式会社東芝 充放電判定装置、充放電判定方法、及び充放電判定プログラム
KR101232973B1 (ko) * 2012-08-10 2013-02-13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 서버 및 기록매체
JP6100133B2 (ja) * 2013-09-20 2017-03-22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管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22746B2 (ja) * 2013-09-20 2017-04-26 株式会社東芝 電力変換装置、装置検出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9148845B2 (en) * 2013-09-23 2015-09-29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for discovering neighboring nodes in wireless networks
JP2016178544A (ja) * 2015-03-20 2016-10-06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デバイス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6045769B1 (ja) * 2016-05-24 2016-12-14 三菱電機株式会社 発電量推定装置、配電系統システムおよび発電量推定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251B1 (ko) * 2018-05-29 2019-11-28 (주)넥스챌 데이터 수집을 위한 마이크로 그리드 게이트웨이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00063847A (ko) * 2018-11-28 2020-06-05 (주)유엠로직스 지상제어장치에서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47946A (ko) * 2020-05-29 2021-12-07 청두 치엔지아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온라인 미터기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조기 경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2614A1 (ko) 2018-04-05
KR101908377B1 (ko) 2018-10-17
US20200394904A1 (en) 2020-12-17
US11341842B2 (en)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18355B (zh) 负载均衡引擎,客户端,分布式计算系统以及负载均衡方法
CN108776934B (zh) 分布式数据计算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1908377B1 (ko)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N110806954B (zh) 评估云主机资源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4466615B2 (ja) 運用管理システム、監視装置、被監視装置、運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045911B (zh) 性能测试方法、性能测试装置、存储介质与电子设备
JP6972796B2 (ja) ソフトウェアサービス実行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11294736B2 (en)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distributed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8809848A (zh) 负载均衡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147470B (zh) 一种跨机房数据比对系统及方法
CN112328688B (zh) 数据存储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9815405B (zh) 灰度分流方法与系统
CN115269108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设备
JP5024453B2 (ja) 業務フロー分散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EP387262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0737655A (zh) 用于上报数据的方法和装置
CN116662022A (zh) 分布式消息处理方法、系统、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4039878B (zh) 一种网络请求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50331917A1 (en) Recording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transmission order determination program, transmission order determination device, and transmission order determination method
US20100017401A1 (en) Recording medium storing system analyzing program, system analyzing apparatus, and system analyzing method
CN108763291B (zh) 一种数据管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50277858A1 (en) Performance evaluation device, method, and medium for information system
US2018028516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12054926A (zh) 集群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4528273B2 (ja) 制御ノード装置及びデータ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