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973B1 -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 서버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 서버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973B1
KR101232973B1 KR1020120087799A KR20120087799A KR101232973B1 KR 101232973 B1 KR101232973 B1 KR 101232973B1 KR 1020120087799 A KR1020120087799 A KR 1020120087799A KR 20120087799 A KR20120087799 A KR 20120087799A KR 101232973 B1 KR101232973 B1 KR 101232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correction coefficient
measurement
measuring
measurem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민
박승호
Original Assignee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7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06Measuring power fa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이나 건물에서 소모되는 여러 종류의 에너지의 소모량을 계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 계측기로부터 수신되는 계측데이터의 계측오차를 보정하여 보다 정확한 계측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 서버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 서버 및 기록매체{THE METHOD, SERVER AND RECORDING MEDIUM FOR MEASURING ENERGY}
본 발명은 산업현장이나 건물에서 소모되는 여러 종류의 에너지의 소모량을 계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 현장이나 건물 내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그에 따라 설비의 가동을 조절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설비에 연결되어 상기 설비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을 계측하는 전력량계 등의 계측기기로부터 계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계측 데이터를 토대로 시스템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계측기기는 계측기기의 동작을 위해 자체 소비되는 전력량이나 계측된 전력량 데이터를 상기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서버로 송신하기 위해 소모되는 전력량, 설비에 전력이 공급되는 과정(전선 등)에서 소모되는 전력량 등에 대해서는 계측하지 못하는데 반해, 수요자는 이와 같이 소모되는 전력량에 대해서도 전력공급회사에서 청구하는 비용을 부담해야 하므로, 실제 전력공급회사에서 수요자에게 비용청구를 위해 통보되는 실 전력 사용량과 상기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산출된 전력 사용량과는 차이가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계측기기 자체에 기술적 또는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한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실 전력 사용량과의 차이는 더욱 커질 수 있다.
즉, 소모전력의 관리를 목적으로 각 계측기기로부터 수신된 계측 데이터를 토대로 에너지 관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활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더라도 상기 계측데이터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 계측 오차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으므로, 계측 데이터의 정확도가 떨어지며, 이에 따른 상기 에너지 관리와 관련된 데이터들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계측기로부터 수신되는 계측데이터와 실제 사용량 간의 계측오차를 보정하여 보다 정확한 계측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 서버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서버가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설비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계측하는 각 계측기로부터 계측데이터를 수신하는 계측데이터 수신단계; 미리 저장된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와 수신된 상기 계측데이터를 토대로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보정계수 산출단계; 및 상기 각 계측데이터에 포함된 계측값에 산출된 상기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상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회사에서 산정하여 통보되는 실제 에너지 사용량과 상기 계측값 간 오차를 보정하는 오차보정단계를 포함하는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각 계측기로부터 고유정보와 계측값이 포함된 계측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계측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를 토대로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보정계수 산출부; 및 산출된 상기 보정계수를 상기 각 계측데이터에 포함된 계측값에 적용하여, 상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회사에서 산정하여 통보되는 실제 에너지 사용량과 상기 계측값 간 오차를 보정하는 계측보정부를 포함하는 에너지를 계측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서버가 원격지의 설비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설비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계측하는 각 계측기로부터 계측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 미리 저장된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와 수신된 상기 계측데이터를 토대로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기능; 및 상기 각 계측데이터에 포함된 계측값에 산출된 상기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상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회사에서 산정하여 통보되는 실제 에너지 사용량과 상기 계측값 간 오차를 보정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계측기로부터 수신된 계측데이터의 오차를 보정함에 따라 종래보다 정확한 계측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보다 효율적이며 신뢰성 높은 에너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 수요자에게 청구되는 에너지 사용량을 기준으로 계측 오차를 보정함에 따라 수요자가 느끼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계측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계측기가 가중영역으로 설정된 경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계측기가 가상으로 설정된 경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계측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계측 시스템은, 산업현장이나 건물에 구비된 여러 설비나 장치에 대해 에너지 소모량을 계측하는 다수의 계측기(10) 및 상기 계측기(10)와 네트워크(N)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계측기(10)로부터 계측값이 포함된 계측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계측값에 대해 산출된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계측 오차를 보정하는 서버(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은 사무실용의 대형 건축구조물이나 은행, 호텔, 학교, 병원, 주거용 건축물은 물론이고 공장이나 사업장 등의 모든 건축물이 해당될 수 있으며, 산업현장은 건물이나 도로 등을 건설하는 건설현장이나 상기 공장이나 사업장등이 집적되어 있는 대단위의 영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는 산업현장이나 건물에 구비되는 조명설비, 공조설비, 배수설비, 전기설비 등에 공급되고 소모되는 자원을 뜻하는 것으로 전력이나 물, 가스, 스팀, 압축공기 등의 계측 가능한 에너지 종류는 모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계측기(10)는 상기 계측기(10)와 연결된 설비 또는 기기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을 계측하는 전력량계 뿐만 아니라 공급된 수량을 계측하는 수량계, 공급된 가스량을 계측하는 유량계 등이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계측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어떠한 에너지 종류의 계측기도 모두 해당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필요한 경우 상기 에너지가 전력에너지로서, 계측기는 전력량을 계측하는 기기이고, 에너지 공급회사는 전력공급회사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계측하고자 하는 에너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계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이 할당된 계층 구조로 설정될 수 있다.
다수의 건물에 대해 전력량을 계측하고자 하는 경우를 예로 하면, 상기 계측기(10)는 전력량을 계측하고자 하는 건물 전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과 연결되어 다수의 건물 전체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각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과 연결되어 건물 전체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을 계측할 수 있으며, 건물 내에서는 각 층이나 실(室) 또는 설비별로 전력 배선과 연결되어 각 층 또는 실(室) 또는 설비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을 계측할 수 있다.
이때, 각 실 또는 설비의 소모 전력량은 해당 층에서의 소모 전력량에 포함되므로, 각 실 또는 설비에서의 소모 전력량을 계측하는 계측기는 각 실 또는 해당 층에서의 소모 전력량을 계측하는 계측기의 하위 레벨이라 할 수 있다. 유사하게, 각 층에서의 소모 전력량은 해당 건물에서의 소모 전력량에 포함되므로, 각 층의 소모 전력량을 계측하는 계측기는 해당 건물의 소모 전력량을 계측하는 계측기의 하위 레벨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건물에 대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적용하여 소모 전력량을 계측하는 경우, 각 실(室) 또는 설비에서의 소모 전력량을 계측하는 계측기를 최하위 레벨(레벨 1, 10c)로 하고, 각 층 또는 각 건물에서의 소모 전력량을 계측하는 계측기를 중간 레벨(레벨 2, 10b)로 하며, 상기 다수의 건물 전체에 대해 소모 전력량을 계측하는 계측기를 상위 레벨(레벨 3, 10a)로 하여 각 계측기(10)에 레벨을 할당할 수 있다.
앞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측기의 레벨이 공간적인 개념에서 할당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생산 공정이나 논리 구조 등 여러 개념을 토대로 레벨을 할당할 수 있으며 계측기의 레벨을 할당하는 데 있어 특정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앞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측기의 레벨이 2 이상인 다층 구조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각 계측기에 대해 하나의 레벨이 할당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각 계측기(10)로부터 계측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계측데이터를 토대로 에너지 사용을 모니터링하거나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해당 설비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100)는 수신된 계측데이터에 포함된 계측값에 대해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적용하여 계측오차를 보정하며, 보정된 계측값을 토대로 상술한 모니터링이나 동작 제어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전술한 서버(1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또는 왑 서버(WAP Server)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도 2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바와 같이, C, C++, Java, PHP, .Net, Python, Ruby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네트워크(N)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을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서버(100)는, 전술한 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서버(100)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 또는 외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서버(100)는 콘텐츠,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서버(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 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Apache, Nginx, Light HTTP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N)는 서버(100)와 각 계측기(10) 등을 연결해주는 망(Network)으로서,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나,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여기서,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계측기(10)로부터 계측데이터를 각각 수신하는 통신부(110)와, 상기 수신된 계측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를 토대로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보정계수 산출부(130)와, 산출된 상기 보정계수를 상기 각 계측데이터에 포함된 계측값에 적용하여, 상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회사에서 산정하여 통보되는 실제 에너지 사용량과 상기 계측값 간 오차를 보정하는 계측보정부(120)와, 상기 서버 각 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계측값에 따라 에너지 관리를 수행하는 서버 제어부(170)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 제어부(170)는 에너지 관리를 위해 각 계측기(10)로부터 수신되는 계측값을 분석하여 각 설비별 현재 에너지 사용량을 산출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와 각 계측데이터에 포함된 계측값, 상기 계측보정부(120)를 통해 보정된 계측값을 토대로 에너지가 누수되고 있는 계측지점이 있는지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각 계측기(1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계측데이터는 해당 계측기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정보 및 계측값을 포함하며, 해당 계측기에 할당된 레벨정보 또는 해당 계측기가 에너지 사용량을 계측하도록 연결된 설비의 관련정보, 부하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는 에너지 공급회사로부터 통보되거나 과금을 위해 해당 건물 또는 현장에 설치된 별도의 계측기기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토대로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서버(100)는, 상기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된 계측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계측데이터 수집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계측데이터 수집부(140)는 수신된 계측데이터를 판독하여 계측기의 고유정보나 계측값 등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수신된 계측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계측데이터 수집부(140)는 상기 계측데이터가 수신된 날짜나 시간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시간이나 일정 기간동안 수신된 계측데이터 또는 해당 계측데이터에 포함된 계측값을 분류할 수 있으며, 레벨정보를 토대로 동일 레벨에 속하는 계측기로부터 수신된 계측데이터 또는 해당 계측데이터에 포함된 계측값을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제어부(170)는 상기 계측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전달받은 계측값을 토대로 일정 시간동안 각 계측기에서 계측된 에너지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전력 계측기의 경우, 누적된 전력 사용량 값을 계측데이터에 포함하여 송신한 데 기인하는 것으로, 계측데이터를 송신하는 시간 간격 내에서 계측된 사용량이 계측값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서버 제어부(170)의 동작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보정계수 산출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계측데이터로부터 추출된 각 계측기의 계측값을 토대로 보정계수를 산출한다. 상기 보정계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계측시스템이 적용된 산업현장이나 건물 단지 등에 있어서, 소모된 에너지량에 해당하는 비용을 해당 에너지 공급회사에 지불해야 하는 수요자가 상기 에너지 공급회사로부터 비용과 함께 통보받는 사용된 에너지량을 기준값으로 한다.
따라서,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계측 시스템에 있어서, 전력에너지의 경우 상기 서버 제어부(170)는 에너지 공급회사(300)로부터 통보되거나 과금을 위해 해당 건물 또는 현장에 설치된 별도의 계측기기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토대로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를 도출할 수 있으며, 상기 보정계수 산출부(130)는 상기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와 각 계측기로부터 수신된 계측값을 토대로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 방법에 대해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수학식을 적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보정계수 = Dmain/∑Di
Dmail: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
Di: 동일 레벨에 속하는 계측기로부터 수신되는 계측값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상기 보정계수는 레벨별로 각각 산출되며, 동일 레벨에 속하는 계측기의 계측값을 토대로 산출된다. 예를 들어 최하위레벨을 레벨 1이라 하고 최상위레벨을 레벨 3이라 가정하면, 보정계수 산출부(130)는 계측데이터 수집부(140)로부터 레벨정보가 1인 계측데이터의 계측값을 전달받고, 상기 서버 제어부(170)로부터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전달받은 레벨정보가 1인 계측데이터의 계측값의 합과 상기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를 상기 수학식 1에 적용하여 레벨 1의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유사하게, 계측데이터 수집부(140)로부터 레벨정보가 2인 계측데이터의 계측값을 전달받은 경우에는 전달받은 레벨정보가 2인 계측데이터의 계측값의 합과 상기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를 상기 수학식 1에 적용함으로써 레벨 2의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보정계수 산출부(130)는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각 레벨에 해당하는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오차 보정의 대상이 되는 계측기로부터 계측데이터가 모두 수신되는 시점에서 보정계수를 산출하거나, 상기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가 갱신되는 시점에서 보정계수가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계수 산출부(130)는 이전에 산출된 보정계수 값을 토대로 보정계수를 산출하여 갱신할 수 있는데,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 뿐만 아니라 오차 보정을 위해 이전에 산출된 보정계수를 반영하여 현재 계측값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으므로 계측값의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전력사용량 등의 에너지 사용량의 경우, 계절별로 사용량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매년 동분기 또는 동월의 에너지 사용량은 비슷한 값을 갖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보정계수 산출부(130)는 보정계수의 산출이력데이터에 전년도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전년 동월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의 기간동안 최종 산출된 보정계수를 추출하여 평균을 산출하여 기저장된 보정계수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계수 산출부(130)는 상기 산출이력데이터에 대하여 전월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의 기간동안 산출된 보정계수를 추출하여 평균을 산출하는 것으로 현재의 각 레벨별 자가 보정계수를 산출하여 갱신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학식 1은 보정계수를 산출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본질이 상기 수학식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따라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다.
계측보정부(120)는 상기 보정계수 산출부(130)로부터 각 레벨에 해당하는 보정계수를 전달받아 동일 레벨에 속하는 계측기의 계측값에 적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의 수학식 1과 같은 방식으로 레벨 1의 계측기에 대해 보정계수를 산출한 경우, 상기 계측보정부(120)는 레벨 1의 계측기로부터 수신된 각 계측값에 대해 산출된 보정계수를 더하는 것으로 해당 계측기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계측 오차를 보정할 수 있으며, 상기 보정계수 산출부(130)의 경우와 유사하게, 상기 계측보정부(120) 역시 상기 보정계수와 각 계측값을 토대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계측보정부(120)는 상기 보정계수 산출부(130)로부터 보정계수가 전달된 시점에 해당 계측값에 전달된 보정계수를 적용할 수 있으며, 오차 보정의 대상이 되는 각 계측데이터가 모두 수신된 시점에서 상기 보정계수 산출부에서 산출되어 저장된 보정계수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정계수 산출부(130)에서 기 산출된 보정계수가 갱신된 경우에도 갱신된 보정계수를 해당 계측값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계측값은 해당 계측기에서 실측된 값이므로 하위레벨에서의 계측값이나 상위레벨에서의 계측값에 따라 다른 레벨의 계측값이 달라지지 않으므로 상기 계측보정부(120)는 각 레벨별로 보정계수의 적용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보정계수 산출부(130) 및 계측보정부(120)에서의 계측값은 전력에너지의 경우,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가 도출 또는 갱신되는 시간 간격에 따라 해당 간격동안 각 계측기에서 사용된 것으로 계측된 전력사용량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계측값이 각 계측기에서 계측된 누적 전력사용량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상기 계측값이 일정 시간동안 사용된 것으로 계측된 전력사용량인지, 누적 전력사용량인지에 따라 상기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방식이나 보정계수를 적용하는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계수 산출부(130)는, 일정 기간에 대해 상기 에너지 공급회사로부터 실제 에너지 사용량이 통보되면, 동일 기간동안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고 보정된 각 계측값과 상기 통보된 실제 에너지 사용량을 토대로 실측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계측보정부(120)는, 상기 보정된 각 계측값에 산출된 상기 실측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상기 보정된 각 계측값을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지속적으로 보정계수를 산출 또는 갱신하고 이를 계측값에 적용하여 에너지 관리에 필요한 계측값의 정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보정계수 산출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시간간격마다 보정계수를 산출(1단계)할 수 있다.
그러나, 산출된 보정계수가 적용되어 보정된 계측값의 경우에도 실제 전력공급회사에서 통보하는 전력사용량과는 오차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오차는 통보되는 전력사용량의 사용 기간이 1개월 이상의 장기간임에 따라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정도의 큰 값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계수 산출부(130)는 추후 전력공급회사에서 일정 기간(비용산정기간)에 대한 전력사용량 정보가 통보되면, 통보된 상기 전력사용량 정보(실측 계측값)와 상기 비용산정기간에 속하는 계측값(1단계의 보정이 적용된 계측값)을 토대로 다시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계측보정부(120)는 산출된 보정계수를 각 계측값(1단계의 보정이 적용된 계측값)에 적용함으로써 각 계측값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전에 산출된 보정계수가 저장된 산출이력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보정계수를 다시 산출하여 갱신할 수 있으며, 계측보정부(120)는 갱신된 보정계수를 보정이 적용된 각 계측값에 적용하여 계측값의 정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를 토대로 산출된 보정계수는 자가 보정계수, 전력공급회사로부터 통보된 사용량을 기준으로 산출된 보정계수는 실측 보정계수로 지칭하여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상기 동일 레벨에 속하는 것으로 파악된 계측기 중 상기 보정계수 산출부(130) 및 계측보정부(120)에서 가중치를 반영하여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오차가 보정되도록 하는 일부 계측기를 설정하는 가중영역 설정부(150)와, 원격지의 설비에 대해 상기 계측데이터의 수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가상의 계측기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가상의 계측기에서 계측된 것으로 추정하기 위한 계측값을 산출하여 상기 가상의 계측기에 할당하는 가상계측 설정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중영역 설정부(150)와 가상계측 설정부(16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4 및 도5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은, 도3을 참조하면, 설비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계측하는 각 계측기로부터 계측데이터를 수신하는 계측데이터 수신단계(S110)와, 미리 저장된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와 수신된 상기 계측데이터를 토대로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보정계수 산출단계(S120)와, 상기 각 계측데이터에 포함된 계측값에 산출된 상기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상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회사에서 산정하여 통보되는 실제 에너지 사용량과 상기 계측값 간 오차를 보정하는 오차보정단계(S130)를 포함한다.
또한, 오차가 보정된 계측값에 대해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제어단계(S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측데이터 수신단계(S110) 전, 가중치를 반영하여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오차가 보정되도록 일부 계측기에 대해 가중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설정하거나, 계측이 필요한 설비에 대해 상기 계측 데이터의 수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가상의 계측기를 설정하는 계측기 설정단계(S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계측기 설정단계(S100)는 상기 계측데이터 수신단계(S110) 이전뿐만 아니라 상기 보정계수 산출단계(S120) 전이라면 어느 단계에서든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보정계수 산출단계(S120)는, 미리 저장된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와, 동일 레벨에 속하는 각 계측기로부터 수신된 계측값을 토대로 각 레벨별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이 도3에서와 같은 절차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본질적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현 방식에 따라 각 단계의 수행 절차가 바뀌거나 둘 이상의 단계가 통합되거나 하나의 단계가 둘 이상의 단계로 분리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동일 레벨에 속하는 계측기의 경우에도 계측기와 연결된 설비의 부하 크기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부하 크기를 무시하고 일괄적으로 동일 레벨에 속하는 계측기의 계측값을 보정하게 되면 오히려 계측 오차가 더 발생하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계측기가 가중영역으로 설정된 경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가중영역 설정부(150)는 계측데이터 수집부(140)로부터 동일 레벨의 계측기의 부하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각 계측기의 부하정보를 토대로 비슷한 부하를 갖는 계측기(10b1, 10b2)를 그룹화(Z1)할 수 있다.
상기 보정계수 산출부(130)는 그룹별로 계측기간 부하 차이를 고려하여 부하가 큰 계측기 그룹은 보정계수가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갖도록, 부하가 적은 계측기 그룹은 보정계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값을 갖도록 보정계수를 각각 산출할 수 있으며, 계측보정부는 그룹별로 산출된 보정계수를 해당 그룹에 속하는 계측기의 계측값에 적용하여 동일 레벨이라도 부하 크기에 따라 다른 보정계수가 적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계측기가 가상으로 설정된 경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가상계측 설정부(150)는 설비가 설치되어 있거나 에너지를 소비하여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계측데이터의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해당 설비 또는 해당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간주할 가상의 계측기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계측 시스템에 있어서, 각 계측기(10a1, 10a2, 10b1 내지 10b3, 10c1 내지 10c9)는 계층 구조로 레벨이 할당된다. 따라서, 다수의 계층으로 계측기가 구성된 경우, 어느 하나의 계측기는 자신과 계층적으로 연결되는 상위 레벨의 계측기나 하위 레벨의 계측기가 존재한다.
상기 가상계측 설정부(150)는 이러한 점을 착안하여, 하위레벨과 연결되는 상위 레벨의 계측기가 존재하지 않거나 계측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하위레벨의 계측기와 연결되는 상위 레벨의 계측기를 가상으로 설정하고, 가상으로 설정된 계측기와 연결되는 하위 레벨의 계측기로부터 수신된 계측값을 토대로 상기 가상으로 설정된 계측기의 계측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계측값을 할당할 수 있다.
도1과 함께 상술한 건물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각 실(室)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량을 계측하는 계측기(10c1 내지 10c9)와 각 층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량을 계측하는 계측기(10b1 내지 10b3) 및 해당 건물 전체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량을 계측하는 계측기(10a1, 10a2)에 대해 레벨을 할당하여 계층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어느 층에는 계측기가 설치되어 있으나, 어느 층에는 계측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가상계측 설정부(150)는 해당 층에 대응하는 가상의 계측기(10'b1)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가상의 계측기(10'b1)의 계측값은 해당 층의 각 실(室)과 연결된 계측기(10c1, 10c2, 10c3)로부터 수신된 계측값을 합산한 것으로 할당된다.
유사하게, 어느 층에 있는 각 실(室) 중 일부 실(室)에는 소모되는 에너지량을 계측하는 계측기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가상계측 설정부(150)는 계측기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해당 실에 대해 가상의 계측기(10'c8)를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층에 대응하는 상위레벨의 계측기(10b3)와 주변의 나머지 각 실(10c7, 10c9)에 대응하는 동일 레벨의 계측기로부터 수신되는 계측값을 토대로 상기 가상의 계측기(10'c8)로부터의 계측값을 할당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은, 서버(100)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에 포함되거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되거나 호환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또한, 관리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서버(100)의 운영체제와 호환 가능하고 단말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은 서버나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서버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은, 설비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계측하는 각 계측기로부터 계측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과, 미리 저장된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와 수신된 상기 계측데이터를 토대로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각 계측데이터에 포함된 계측값에 산출된 상기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상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회사에서 산정하여 통보되는 실제 에너지 사용량과 상기 계측값 간 오차를 보정하는 기능 등을 실행한다. 이뿐만 아니라,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에 대응되는 모든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Web Server)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으며, 프로그램을 기록한 다른 컴퓨터 또는 그 저장매체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서버가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설비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계측하는 각 계측기로부터 계측데이터를 수신하는 계측데이터 수신단계;
    상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와, 상기 계측데이터 수신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계측데이터를 토대로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보정계수 산출단계; 및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를 상기 수신된 계측데이터에 포함된 계측값에 적용하여, 상기 에너지 공급회사에서 산정하여 통보되는 실제 에너지 사용량과 상기 계측값 간 오차를 보정하는 오차보정단계
    를 포함하는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계수 산출단계는,
    상기 수신된 계측데이터에 포함된 해당 계측기의 레벨 정보를 토대로 상기 레벨정보가 나타내는 레벨과 동일 레벨에 속하는 계측기의 계측값을 파악하고, 상기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와 상기 동일 레벨에 속하는 각 계측기로부터 수신된 계측값을 토대로 각 레벨별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계수 산출단계는,
    상기 각 레벨별 보정계수의 산출이력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보정계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
  4. 설비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계측하는 각 계측기로부터 계측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수신된 계측데이터를 토대로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보정계수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상기 보정계수를 상기 수신된 각 계측데이터에 포함된 계측값에 적용하여, 상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회사에서 산정하여 통보되는 실제 에너지 사용량과 상기 계측값 간 오차를 보정하는 계측보정부
    를 포함하는 에너지를 계측하는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계수 산출부는, 일정 기간에 대한 상기 실제 에너지 사용량이 입력되면, 동일 기간동안 보정된 각 계측값과 상기 실제 에너지 사용량을 토대로 실측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계측보정부는, 상기 보정된 각 계측값에 산출된 상기 실측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상기 보정된 각 계측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를 계측하는 서버.
  6. 서버가 원격지의 설비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설비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계측하는 각 계측기로부터 계측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회사의 사용량 계측정보와, 상기 계측데이터 수신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계측데이터를 토대로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기능; 및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를 상기 수신된 계측데이터에 포함된 계측값에 적용하여, 상기 에너지 공급회사에서 산정하여 통보되는 실제 에너지 사용량과 상기 계측값 간 오차를 보정하는 기능
    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087799A 2012-08-10 2012-08-10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 서버 및 기록매체 KR101232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799A KR101232973B1 (ko) 2012-08-10 2012-08-10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 서버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799A KR101232973B1 (ko) 2012-08-10 2012-08-10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 서버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2973B1 true KR101232973B1 (ko) 2013-02-13

Family

ID=4789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799A KR101232973B1 (ko) 2012-08-10 2012-08-10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 서버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9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50191A (ko) 2015-06-19 2016-12-29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전력 사용량 측정 미터간 보정 방법
WO2018062614A1 (ko) * 2016-09-27 2018-04-05 한국전력공사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200083120A (ko)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원격검침 및 수동검침을 이용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5986A1 (en) 2004-10-18 2008-05-29 Electro Industries/Gauge Tech.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potential and current transformers in energy meters
JP2010068604A (ja) 2008-09-09 2010-03-25 Hitachi Ltd 配電系統状態推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82505B1 (ko) * 2011-04-22 2011-11-11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계통 연계형 원격 계량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5986A1 (en) 2004-10-18 2008-05-29 Electro Industries/Gauge Tech.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potential and current transformers in energy meters
JP2010068604A (ja) 2008-09-09 2010-03-25 Hitachi Ltd 配電系統状態推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82505B1 (ko) * 2011-04-22 2011-11-11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계통 연계형 원격 계량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50191A (ko) 2015-06-19 2016-12-29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전력 사용량 측정 미터간 보정 방법
WO2018062614A1 (ko) * 2016-09-27 2018-04-05 한국전력공사 계량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11341842B2 (en) 2016-09-27 2022-05-24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Metering data management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200083120A (ko)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원격검침 및 수동검침을 이용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137338B1 (ko) * 2018-12-31 2020-07-23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원격검침 및 수동검침을 이용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03832B (zh) 用于改进能量使用基准化的时间成本和精确度的方法和系统
US6996508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retrofit identification of energy consumption systems and components
US11429075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management, for usage by consumers of energy from electric utility service providers, and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same
US20230162123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ost management and risk mitigation in power distribution systems
US20150355246A1 (en) Apparatus,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measuring
US10380706B2 (en)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US201900864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resource utilization improvements
US10816950B2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evaluating physical potential of demand response for feeder line
Tang et al. A load control method for small data centers participating in demand response programs
CN110019098A (zh) 基于Hadoop框架的电能计量大数据分析系统
KR101232973B1 (ko) 에너지를 계측하는 방법, 서버 및 기록매체
US2014021446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utility consumption
US108176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buildings
Hong et al. Advanced real-time pollutant monitoring systems for automatic environmental management of construction projects focusing on field applicability
Manvell Utilising the strengths of different sound sensor networks in smart city noise management
CN105492986A (zh) 用于表示电力系统信息的系统及方法
US20160179159A1 (en) Energy services recommendation engine
Suciu et al. Cloud-Based platform for enhancing energy consumption awareness and substantiating the adoption of energy efficiency measures within SMEs
Popa et al. Smart metering for monitoring domestic utilities
Leal Case study of a simplified building energy modeling for performance simulation
CN103620420B (zh) 用于确定公共设施成本节省的系统和方法
Utami et al. Energy monitoring system for existing buildings in indonesia
Murguzur et al. Multi-perspective process variability: A case for smart green buildings (short paper)
Ledva et al. Disaggregating load by type from distribution system measurements in real time
JP2019175109A (ja) 予測制御装置、予測制御システムおよび予測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