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212A - 저-e 코팅 및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판유리를 포함하는 판유리 배열체 - Google Patents

저-e 코팅 및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판유리를 포함하는 판유리 배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212A
KR20180033212A KR1020187004012A KR20187004012A KR20180033212A KR 20180033212 A KR20180033212 A KR 20180033212A KR 1020187004012 A KR1020187004012 A KR 1020187004012A KR 20187004012 A KR20187004012 A KR 20187004012A KR 20180033212 A KR20180033212 A KR 20180033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glass
coating
low
p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5948B1 (ko
Inventor
패트릭 베버
스테판 드로스트
클라우스 슈말부흐
파스칼 바우얼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80033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32B17/1004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layer consisting of a glass sheet
    • B32B17/10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layer consisting of a glass sheet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air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74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74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 B32B17/10183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being not continuou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74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 B32B17/10201Dielectric coatings
    • B32B17/10211Doped dielectric layer, electrically conductive, e.g. SnO2: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93Edge features, e.g. inserts or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93Edge features, e.g. inserts or holes
    • B32B17/10302Edge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31Specific parts for the modulation of light incorporated into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67Variable transmission
    • B32B17/10495Variable transmission optoelectronic, i.e. optical valve
    • B32B17/10513Electrochromic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9/00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 B32B2329/06PVB, i.e. polyinylbuty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7Sunglare reduction by coatings, interposed foils in laminar windows, or permanent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7Light path control; means to control r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variable-absorption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15 - G02F1/169
    • G02F1/172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variable-absorption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15 - G02F1/169 based on a suspension of orientable dipolar particles, e.g. suspended particles display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15Constructional details for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55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55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 H03K2217/960765Details of shield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85Capacitive touch switches with illumin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 내측 표면(IV) 및 외측 표면(III)을 갖는 판유리(1), - 판유리(1)의 내측 표면(IV)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 저-E 코팅(6), - 저-E 코팅(6)의 주위 영역(15)으로부터 적어도 1개의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저-E 코팅(6)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무코팅 제1 분할선(7)으로서, 여기서 주위 영역(15)은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을 적어도 섹션으로, 특히 완전히 둘러싸며,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은 접촉 영역(11), 공급선 영역(12) 및 제1 연결 영역(13)을 가지며, 공급선 영역(12)은 접촉 영역(11)을 제1 연결 영역(13)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인, 적어도 1개의 무코팅 제1 분할선(7), - 저-E 코팅(6)의 외측 영역(31)으로부터 주위 영역(15)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저-E 코팅(6)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무코팅 제2 분할선(8)으로서, 여기서 외측 영역(31)은 주위 영역(15)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둘러싸는 것인, 적어도 1개의 무코팅 제2 분할선(8), -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의 제1 연결 영역(13)에, 및 제2 연결 영역(16)을 통해 주위 영역(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용량성 센서 전자 시스템(14)을 포함하는 판유리 배열체(10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E 코팅 및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판유리를 포함하는 판유리 배열체
본 발명은 저-E 코팅 및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판유리를 갖는 판유리 배열체, 뿐만 아니라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터 차량 또는 건물의 내부는 여름철에 높은 주변 온도 및 강렬한 직사 일광 때문에 대단히 뜨겁게 달궈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히 겨울철에 발생하는 경우인 외부 온도가 차량 내부 온도보다 낮을 때는, 차가운 차량 판유리가 히트 싱크로 작용하고, 탑승자는 이것을 불쾌하다고 인지한다. 또한, 차량 판유리를 통한 내부의 과다한 냉각을 방지하기 위해 기후 제어 시스템의 높은 가열 성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열 방사선 반사 코팅, 이른바 "저-E 코팅"은 예를 들어 WO 2013/131667 A1, US 20110146172 A2, EP 1 218 307 B1, EP 2 247 549 A2, WO 2014/127867 A1 및 WO 2014/127868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그러한 저-E 코팅은 햇빛의 상당한 부분을 특히 적외 범위에서 반사하고, 그것은 여름철에 차량 내부가 뜨겁게 달궈지는 것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게다가, 코팅이 차량 내부를 향하는 판유리의 표면 상에 형성될 때는, 코팅이 차량 내부로의 가열된 판유리의 장파장 열 방사선의 방출을 감소시킨다. 게다가, 겨울철에 낮은 외부 온도의 경우, 그러한 저-E 코팅은 내부로부터 외부 주위로의 바깥쪽으로의 열 방출을 감소시킨다.
게다가, 스위칭 영역은 표면 전극에 의해 또는 2개의 커플링된 전극의 배열에 의해 예를 들어 용량성 스위칭 영역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물체가 스위칭 영역에 접근할 때, 지면에 대한 표면 전극의 커패시턴스 또는 2개의 커플링된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가 변한다. 커패시턴스 변화는 회로 배열 또는 센서 전자 시스템에 의해 측정되고, 문턱 값을 초과할 때, 스위칭 신호가 촉발된다. 용량성 스위치의 회로 배열은 예를 들어 DE 20 2006 006 192 U1, EP 0 899 882 A1, US 6,452,514 B1, 및 EP 1 515 211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US 2010/0179725 A1로부터, 예를 들어, 내부 라미네이팅된 용량성 센서를 갖는 복합 판유리가 알려져 있다.
국제 특허 출원 WO 2013/053611 A1 및 WO 2014/135467 A1은 각 경우에서 용량성 스위치를 갖는 저-E 코팅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 판유리에 간단하게 및 경제적으로 통합될 수 있는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개선된 판유리 배열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접촉 센서 또는 근접 센서가 용량성 스위칭 영역과 함께 간단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신호 품질이 선행 기술의 스위칭 영역에 비해 개선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이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독립 청구항 1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양태는 종속항으로부터 드러난다.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는 적어도 하기를 포함한다:
내측 표면(IV) 및 외측 표면(III)을 갖는 판유리.
판유리의 내측 표면(IV)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 저-E 코팅.
저-E 코팅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1개의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저-E 코팅에 의해 형성된 주위 영역으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저-E 코팅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무코팅 제1 분할선. 주위 영역은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적어도 섹션으로, 특히 완전히, 둘러싼다. 용량성 스위칭 영역이 저-E 코팅의 에지까지 줄곧 연장된 경우에는, 주위 영역이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섹션으로만 또는 부분적으로만 둘러싼다. 이 경우, 제1 분할선은 폐쇄되지 않고 자유롭게 저-E 코팅의 에지까지 줄곧 연장되어 끝난다. 그러나, 또한, 주위 영역이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용량성 스위칭 영역이 완전히 저-E 코팅 내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분할선은 폐쇄된다. 용량성 스위칭 영역은 접촉 영역, 공급선 영역, 및 제1 연결 영역을 가지며, 공급선 영역은 접촉 영역을 제1 연결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저-E 코팅에 의해 형성된 외측 영역으로부터 주위 영역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저-E 코팅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무코팅 제2 분할선. 외측 영역은 주위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둘러싼다. 주위 영역이 저-E 코팅의 에지까지 줄곧 연장된 경우에는, 외측 영역이 주위 영역을 섹션으로만 또는 부분적으로만 둘러싼다. 이 경우에는, 제2 분할선이 폐쇄되지 않고 자유롭게 저-E 코팅의 에지까지 줄곧 연장되어 끝난다. 그러나, 또한, 외측 영역이 주위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주위 영역이 저-E 코팅의 에지까지 줄곧 연장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2 분할선이 폐쇄된다.
용량성 스위칭 영역의 제1 연결 영역에 및 제2 연결 영역을 통해 주위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용량성 센서 전자 시스템.
본 발명자들이 입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용량성 스위칭 영역 외부의 저-E 코팅의 영역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제외한 전체 저-E 코팅)보다 작은 주위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신호/잡음 비의 증가 및 따라서, 용량성 스위칭 영역의 스위칭 거동의 개선이 유리하게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의 판유리 또는 창문 판유리는 내부 공간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분리하는 데 적당하다. 창문 판유리는 많은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차량 창문으로서의 창문 판유리의 경우, 그것은 예를 들어 루프 패널, 앞유리창, 뒷 창문, 옆 창문, 또는 차량 내부의 경계를 정하는 또 다른 글레이징일 수 있다. 여기서, "판유리의 외측 표면"은 바깥쪽을 향하는, 즉 차량 내부를 향하지 않는 판유리의 표면을 의미한다. 따라서, "내측 표면"은 차량 내부를 향하는 판유리의 표면을 의미한다.
건축용 판유리로서 또는 구조용 글레이징으로서 창문 판유리의 경우에, 창문 판유리는 예를 들어 파사드 글레이징, 루프 패널, 또는 생활 영역 또는 건물 내부의 경계를 정하는 또 다른 글레이징일 수 있다. 여기서, "판유리의 외측 표면"은 바깥쪽을 향하는, 즉, 내부를 향하지 않는 판유리의 표면을 의미한다. 따라서, "내측 표면"은 내부를 향하는 판유리의 표면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내측 표면은 그 위에 저-E 코팅이 배열된다는 사실에 의해 정해진다. 그러면, 외측 표면은 내측 표면 반대쪽에 있는 판유리의 표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E 코팅은 적어도 1개의 기능성 층 및 임의로, 각 경우에, 1개의 또는 복수의 접착 층, 배리어 층 및/또는 반사방지 층을 포함한다. 저-E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에 적어도 1개의 접착 층, 적어도 1개의 기능성 층, 적어도 1개의 배리어 층, 적어도 1개의 반사방지 층 및 또 다른 배리어 층으로 이루어진 층 시스템이다. 특히 적당한 저-E 코팅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산화물 (TCO), 바람직하게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 플루오린-도핑된 주석 산화물 (SnO2:F), 안티모니-도핑된 주석 산화물 (SnO2:Sb), 알루미늄-도핑된 아연 산화물 (ZnO:Al), 및/또는 갈륨-도핑된 아연 산화물(ZnO:Ga)로 이루어진 기능성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유리한 저-E 코팅은 60% 이하,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특히 20% 이하의 본 발명에 따른 창문 판유리의 내부측 방사율을 갖는다. 여기서, "내부측 방사율"이라는 용어는 판유리가 예를 들어 건물 또는 차량의 내부에서 이상적인 열 방사체(흑체)에 비해 설치된 위치에서 얼마나 많은 열 방사선을 방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측정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방사율"은 표준 EN 12898에 따라 283 K에서의 총 법선 방사율을 의미한다.
유리한 실양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저-E 코팅의 시트 저항이 10 Ω/□ 내지 200 Ω/□, 바람직하게는 10 Ω/□ 내지 100 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Ω/□ 내지 50 Ω/□, 특히 20 Ω/□ 내지 35 Ω/□이다.
가시 스펙트럼 범위의 본 발명에 따른 저-E 코팅의 흡수율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1% 내지 대략 15%, 특히 바람직하게는 대략 1% 내지 대략 7%이다. 코팅의 흡수율은 코팅된 판유리의 흡수율을 측정하고 비코팅된 판유리의 흡수율을 뺌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는 본 발명에 따른 저-E 코팅이 제공된 측으로부터 관찰할 때 반사에서 -15 내지 +5의 색상 값 a* 및 -15 내지 +5의 색상 값 b*을 갖는다. 데이터 a* 및 b*는 측색 모델(L*a*b* - 색 공간)의 색상 좌표를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한 저-E 코팅은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 낮은 흡수율 및 낮은 반사율 및 따라서, 높은 투과율을 갖는다. 따라서, 저-E 코팅은 상당한 투과율 감소가 바람직하지 않은 판유리, 예를 들어 건물의 창문 판유리, 또는 상당한 투과율 감소가 법적으로 금지된 판유리, 예를 들어 모터 차량의 앞유리창 또는 앞쪽 옆면 판유리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E 코팅은 또한 내부식성이다. 따라서, 저-E 코팅은 판유리의 설치된 위치에서 예를 들어 차량 또는 건물의 내부를 향하도록 의도된 판유리의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표면 상에서, 저-E 코팅은 여름철에 판유리로부터 내부로의 열 방사선의 방출 및 겨울철에 외부 환경으로의 열의 바깥쪽으로의 방출을 특히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그러한 저-E 코팅은 루프 글레이징의 경우에 롤업(roll-up) 차양장치의 이용 및 심지어, 설치를 생략할 수 있는 충분한 열 쾌적을 차량 소유자에게 제공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방사율, 시트 저항, 흡수율 및 반사에서의 색상 값에 관해 지시된 바람직한 값을 달성하기 위해, 판유리는 열-복사 반사 코팅의 형성 후 열 처리를 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판유리는 적어도 2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0 ℃의 온도로 가열된다. 그러한 열 처리는 특히 기능성 층의 결정도에 영향을 미치고, 본 발명에 따른 코팅의 개선된 투과율을 초래한다. 또한, 열 처리는 코팅의 시트 저항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방사율을 초래한다.
산소의 확산 때문에 열 처리가 기능성 층의 산화를 초래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기능성 층의 산화 정도는 배리어 층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10 nm 내지 40 nm의 배리어 층의 두께의 범위는 저-E 코팅의 가시광 투과율, 시트 저항 및 특히, 가요성 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더 얇은 배리어 층은 열 처리 후 기능성 층의 지나치게 높은 산소 함량을 초래할 수 있다. 더 두꺼운 배리어 층은 열 처리 후 기능성 층의 지나치게 낮은 산소 함량을 초래할 수 있다. 배리어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nm 내지 3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nm 내지 30 nm,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nm 내지 25 nm, 특히 18 nm 내지 22 nm이다. 따라서, 가시광 투과율, 시트 저항 및 가요성 면에서 특히 좋은 결과가 달성된다. 그러나, 배리어 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또한 10 nm 내지 18 nm 또는 12 nm 내지 18 nm일 수 있다.
배리어 층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팅의 내부식성에 영향을 미친다. 더 얇은 배리어 층은 습한 분위기로부터의 부식에 대한 코팅의 더 큰 민감성을 초래한다. 특히, 코팅의 부식은 코팅에 의한 가시광 흡수율의 상당한 증가를 초래한다.
배리어 층은 추가로 열-복사-반사 코팅의 광학적 특성, 특히 광 반사에서의 색상 인상(color impression)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리어 층은 유전성이다. 배리어 층의 물질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층의 물질의 굴절률 이상이다. 배리어 층의 물질의 굴절률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2.3이다. 굴절률에 관해 지시된 값은 550 nm의 파장에서 측정된다.
배리어 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산화물 및/또는 질화물을 포함한다. 산화물 및/또는 질화물은 화학양론적 또는 비-화학양론적 조성을 가질 수 있다. 배리어 층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규소 질화물(Si3N4)을 포함한다. 이것은 기능성 층의 산화 및 판유리의 광학적 특성에 대한 배리어 층의 효과 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규소 질화물은 도핑제, 예를 들어 티타늄, 지르코늄, 붕소, 하프늄 및/또는 알루미늄을 가질 수 있다. 규소 질화물은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도핑되거나(Si3N4:Al) 또는 지르코늄으로 도핑되거나(Si3N4:Zr) 또는 붕소로 도핑된다(Si3N4:B). 이것은 코팅의 광학적 특성, 가요성, 평활성 및 방사율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음극 스퍼터링에 의한 배리어 층 형성 속도 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규소 질화물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규소를 함유하는 표적을 이용한 자기 증진 음극 스퍼터링에 의해 침착된다. 알루미늄-도핑된 규소 질화물을 함유하는 배리어 층의 침착을 위한 표적은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내지 95 중량%의 규소 및 5 중량% 내지 20 중량%의 알루미늄 뿐만 아니라 제조-관련 혼합물을 함유한다. 붕소-도핑된 규소 질화물을 함유하는 배리어 층의 침착을 위한 표적은 바람직하게는 99.9990 중량% 내지 99.9999 중량%의 규소 및 0.0001 중량% 내지 0.001 중량%의 붕소 뿐만 아니라 제조-관련 혼합물을 함유한다. 지르코늄-도핑된 규소 질화물을 함유하는 배리어 층의 침착을 위한 표적은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내지 90 중량%의 규소 및 10 중량% 내지 40 중량%의 지르코늄 뿐만 아니라 제조-관련 혼합물을 함유한다. 규소 질화물의 침착은 바람직하게는 음극 스퍼터링 동안에 반응 기체로서 질소의 첨가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E 코팅의 형성 후 열 처리 동안, 규소 질화물이 부분적으로 산화될 수 있다. Si3N4로 침착된 배리어 층은 열 처리 후 전형적으로 0 원자% 내지 35 원자%의 산소 함량을 갖는 SixNyOz를 함유한다.
그러나, 별법으로, 배리어 층은 또한 예를 들어 적어도 WO3, Nb2O5, Bi2O3, TiO2, Zr3N4 및/또는 AlN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 층은 판유리 상에 접착 층 위에 침착되는 층들의 내구성 있게 안정한 접착을 초래한다. 추가로, 판유리가 유리로 제조된 경우, 접착 층은 경계 영역에서 판유리로부터 기능성 층으로 확산하는 이온, 특히 나트륨 이온의 축적을 방지한다. 그러한 이온은 기능성 층의 부식 및 낮은 접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 층은 기능성 층의 안정성 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접착 층의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판유리의 굴절률의 범위의 굴절률을 갖는다. 접착 층의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층의 물질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다. 접착 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을 함유한다. 접착 층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산화규소(SiO2)를 함유한다. 이것은 판유리 상에 접착 층 위에 침착되는 층들의 접착 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이산화규소는 도핑제, 예를 들어 플루오린, 탄소, 질소, 붕소, 인 및/또는 알루미늄을 가질 수 있다. 이산화규소는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도핑되거나(SiO2:Al), 붕소로 도핑되거나(SiO2:B), 또는 지르코늄으로 도핑된다(SiO2:Zr). 이것은 코팅의 광학적 특성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음극 스퍼터링에 의한 접착 층의 형성 속도 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이산화규소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규소를 함유하는 표적으로 자기 증진 음극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침착된다. 알루미늄-도핑된 이산화규소를 함유하는 접착 층의 침착을 위한 표적은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내지 95 중량%의 규소 및 5 중량% 내지 20 중량%의 알루미늄 뿐만 아니라 제조-관련 혼합물을 함유한다. 붕소-도핑된 이산화규소를 함유하는 접착 층의 침착을 위한 표적은 바람직하게는 99.9990 중량% 내지 99.9999 중량%의 규소 및 0.0001 중량% 내지 0.001 중량%의 붕소 뿐만 아니라 제조-관련 혼합물을 함유한다. 지르코늄-도핑된 이산화규소를 함유하는 접착 층의 침착을 위한 표적은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내지 90 중량%의 규소 및 10 중량% 내지 40 중량%의 지르코늄 뿐만 아니라 제조-관련 혼합물을 함유한다. 이산화규소의 침착은 바람직하게는 음극 스퍼터링 동안에 반응 기체로서 산소 첨가로 수행된다.
접착 층의 도핑은 또한 접착 층 위에 형성된 층들의 평활성을 개선할 수 있다. 층의 높은 평활성은 모터 차량 부문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용도에서 특히 유익하며, 그 이유는 이와 같이 하여 판유리의 불쾌한 거친 감촉을 피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가 옆 창문 판유리일 때, 그것은 밀봉 립을 이용하여 낮은 마찰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접착 층은 또한 다른 물질, 예를 들어 다른 산화물, 예컨대 TiO2, Al2O3, Ta2O5, Y2O3, ZnO 및/또는 ZnSnOx 또는 질화물, 예컨대 AlN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 층은 바람직하게는 10 nm 내지 15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nm 내지 50 nm, 예를 들어 대략 30 nm의 두께를 갖는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의 접착 및 기능성 층 내로 판유리의 이온의 확산의 방지 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2 nm 내지 15 nm의 두께를 갖는 추가의 접착-촉진 층이 접착 층 아래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층은 SiO2를 함유할 수 있고, 추가의 접착-촉진 층은 적어도 산화물, 예컨대 TiO2, Al2O3, Ta2O5, Y2O3, ZnO 및/또는 ZnSnOx 또는 질화물, 예컨대 AlN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의 접착은 유리하게는 접착-촉진 층에 의해 추가로 개선된다. 게다가, 접착-촉진 층은 색상 값 및 투과율 또는 반사율의 개선된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기능성 층은 열 방사선, 특히 적외선에 관해 반사 특성을 갖지만,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는 거의 투명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성 층은 적어도 하나의 투명 전기 전도성 산화물(TCO)을 포함한다. 기능성 층의 물질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2.5이다. 기능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인듐 주석 산화물(ITO)을 함유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코팅의 방사율 및 가요성 면에서 특히 좋은 결과가 달성된다.
인듐 주석 산화물은 바람직하게는 인듐 주석 산화물의 표적을 이용해서 자기 증진 음극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침착된다. 표적은 바람직하게는 75 중량% 내지 95 중량%의 인듐 산화물 및 5 중량% 내지 25 중량%의 주석 산화물 뿐만 아니라 제조-관련 혼합물을 함유한다. 인듐 주석 산화물의 침착은 바람직하게는 보호 기체 분위기, 예를 들어 아르곤 하에서 수행된다. 예를 들어 기능성 층의 균질성을 개선하기 위해, 소량의 산소가 보호 기체에 첨가될 수 있다.
별법으로, 표적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중량% 내지 95 중량%의 인듐 및 5 중량% 내지 25 중량%의 주석을 함유할 수 있다. 인듐 주석 산화물의 침착은 음극 스퍼터링 동안에 반응 기체로서 산소의 첨가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방사율은 기능성 층의 두께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다. 기능성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0 nm 내지 20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nm 내지 150 nm,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nm 내지 130 nm, 예를 들어 대략 120 nm이다. 기능성 층의 두께에 관한 이 범위에서, 방사율에 관한 특히 유리한 값 및 손상 없이 기계적 변형, 예컨대 굽힘 또는 템퍼링을 견뎌내는 기능성 층의 특히 유리한 성능이 얻어진다.
그러나, 기능성 층은 또한 다른 투명한 전기 전도성 산화물, 예를 들어 플루오린-도핑된 주석 산화물(SnO2:F), 안티모니-도핑된 주석 산화물(SnO2:Sb), 인듐-아연 혼합 산화물(IZO), 갈륨-도핑된 또는 알루미늄-도핑된 아연 산화물, 니오븀-도핑된 티타늄 산화물, 카드뮴 스타네이트, 및/또는 아연 스타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방지 층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판유리 상에서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반사방지 층에 의해, 특히,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창문 판유리를 통한 높은 투과율 뿐만 아니라 반사된 및 투과된 광의 중성 색상 인상이 얻어진다. 반사방지 층은 또한 기능성 층의 내부식성을 개선한다. 반사방지 층의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층의 물질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을 갖는다. 반사방지 층의 물질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8 이하이다.
반사방지 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을 함유한다. 반사방지 층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산화규소(SiO2)를 포함한다. 이것은 판유리의 광학적 특성 및 기능성 층의 내부식성 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이산화규소는 도핑제, 예를 들어 플루오린, 탄소, 질소, 붕소, 인 및/또는 알루미늄을 가질 수 있다. 규소 질화물은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도핑되거나(SiO2:Al), 붕소로 도핑되거나(SiO2:B), 또는 지르코늄으로 도핑된다(SiO2:Zr).
그러나, 또한, 반사방지 층은 다른 물질, 예를 들어 다른 산화물, 예컨대 TiO2, Al2O3, Ta2O5, Y2O3, ZnO 및/또는 ZnSnO, 또는 질화물, 예컨대 AlN을 함유할 수 있다.
반사방지 층은 바람직하게는 20 nm 내지 15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nm 내지 100 nm의 두께를 갖는다. 이것은 낮은 가시광 반사율 및 높은 가시광 투과율 뿐만 아니라 판유리의 특정 색상 인상의 조절 및 기능성 층의 내부식성 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양태에서는, 은폐 층이 열 방사선 반사 코팅 위에 배열된다. 은폐 층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을 손상으로부터, 특히 긁힘으로부터 보호한다. 은폐 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티타늄 산화물 (TiOx), ZrO2, HfO2, Nb2O5, Ta2O5, Cr2O3, WO3 및/또는 CeO2를 함유한다. 은폐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nm 내지 5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5 nm 내지 20 nm이다. 따라서, 내긁힘성 면에서 특히 좋은 결과가 얻어진다.
저-E 코팅으로 적당한 범례적 층 시스템 뿐만 아니라 그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WO 2013/131667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의 판유리 또는 창문 판유리에서는, 적어도 1개의 용량성 스위칭 영역이 적어도 1개의 무코팅 제1 분할선에 의해 저-E 코팅으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된다. 제1 분할선은 저-E 코팅에 구현되거나 또는 저-E 코팅에 형성된다. 이것은 제1 분할선에 의해 분리된 영역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격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분할선에 의해 분리된 영역들은 유리하게 서로 간에 갈바닉적으로(galvanically) 격리된다. "서로 간에 갈바닉적으로 격리된"은 영역들 사이에 직류(DC)가 흐를 수 없음을 의미한다.
용량성 스위칭 영역은 접촉 영역, 공급선 영역, 및 연결 영역을 가지며, 공급선 영역은 접촉 영역을 연결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연결 영역은 센서 전자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양태에서는, 공급선 영역의 폭(bZ) 대 길이(lZ)의 비가 1:7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100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공급선 영역이 일정한 폭(bZ)을 갖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그것이 사다리꼴 또는 액적형으로 구현되는 경우, "폭(bZ)"은 공급선 영역의 평균 폭을 의미한다.
공급선 영역의 길이(lZ)는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70 cm,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12 cm, 특히 3 cm 내지 8 cm이다. 공급선 영역의 폭(bZ)은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1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2 mm이다. 공급선 영역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스트립형 또는 선형이다. 공급선 영역은 직선형일 수 있지만, 또한 만곡될 수 있거나, 각진 형상일 수 있거나, L-형일 수 있거나, U-형일 수 있거나, 또는 임의의 요망되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공급선 영역은 간단한 방식으로 판유리의 각각의 상황, 예컨대 저-E 무코팅 구역에 맞출 수 있고, 예를 들어 그것들을 우회하도록 맞출 수 있다.
스위칭 영역의 유리한 실양태에서는, 접촉 영역이 1 ㎠ 내지 2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9 ㎠의 면적을 갖는다. 접촉 영역의 길이(lB)는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14 cm, 특히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3 cm이다. 접촉 영역의 최대 폭(bB)은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14 cm, 특히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3 cm이다. 원리적으로, 접촉 영역은 임의의 요망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적당한 접촉 영역은 원형, 타원형 또는 액적형이다. 별법으로, 각진 형상, 예를 들어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또는 다른 유형의 사각형 또는 더 높은 차수의 다각형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코너가 둥글게 된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스위칭 영역의 모든 영역에, 특히 접촉 영역과 공급선 영역 사이 및/또는 공급선 영역과 연결 영역 사이의 전이 영역에 적용된다. 코너가 적어도 3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 mm의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스위칭 영역의 또 다른 유리한 실양태에서는, 공급선 영역의 폭(bZ) 대 접촉 영역의 최대 폭(bB)의 비가 적어도 1:2, 특히 적어도 1:10이다. 따라서, 특히 좋은 스위칭 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의 유리한 실양태에서는, 분할선의 폭(t1)이 30 ㎛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70 ㎛ 내지 140 ㎛이다. 그러한 가는 분할선은 신뢰할만하고 충분히 높은 전기적 절연을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복합 판유리를 통한 시야를 아주 조금 간섭하거나 또는 전혀 간섭하지 않는다.
스위칭 영역은 용량성 스위칭 영역이고, 다시 말해서, 그것은 용량성 접촉 검출 또는 근접 검출을 위해 특수하게 구현된다. 유리한 실양태에서는, 스위칭 영역이 표면 전극을 형성한다. 표면 전극의 커패시턴스는 외부 용량성 센서 전자 시스템에 의해 측정된다. 적당한 물체(바람직하게는 인체)가 그에 근접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표면 전극의 영역에서 저-E 코팅에 접촉할 때, 표면 전극의 커패시턴스가 지면에 대하여 변화한다. 커패시턴스 변화는 센서 전자 시스템에 의해 측정되고, 문턱 값을 초과할 때, 스위칭 신호가 촉발된다. 스위칭 영역은 표면 전극의 형상 및 크기에 의해 정해진다.
용량성 스위칭 영역 외부에 배열된 전기 전도성 층의 영역은 제2 연결 영역을 통해 센서 전자 시스템에 연결된다. 주위 영역은 용량성 스위칭 영역 외부의 전체 저-E 코팅을 포함하지 않고, 대신에, 적어도 1개의 제2 분할선에 의해 저-E 코팅으로부터 분리되고, 용량성 스위칭 영역, 및 주위 영역을 둘러싸는, 저-E 코팅의 부분 또는 외측 영역으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된다. 제2 분할선은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둘러싼다. 주위 영역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경하고 주위 영역을 나머지 주위 저-E 코팅 (즉, 외측 영역)으로부터 분리하는 제2 분할선은 바람직하게는 인접하는 제1 분할선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0.1 mm 내지 200 cm,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100 mm의 최단 거리, 특히 1 mm 내지 11 mm의 최단 거리를 갖는다. 따라서, 최단 거리는 주위 영역의 폭 u에 상응한다. 주위 영역은 모든 용량성 스위칭 영역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경하거나(그것들이 저-E 코팅의 에지까지 연장되는 경우) 또는 완전히 접경한다 (그것들이 저-E 코팅의 에지까지 연장되지 않는 경우).
그러한 배열에서는, 용량성 스위칭 영역 및 주위 영역이 서로 용량성 커플링되는 2개의 전극을 형성한다.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적당한 물체, 바람직하게는 인체 부위의 접근에 따라 변화한다. 커패시턴스 변화는 센서 전자 시스템에 의해 측정되고, 문턱 값을 초과할 때, 스위칭 신호가 촉발된다. 민감 영역은 전극이 용량성 커플링되는 영역의 형상 및 크기에 의해 정해진다. 따라서, 특히 좋은 신호 품질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량성 스위칭 영역 및 주위 영역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또는 창문 판유리에 통합된다. 따라서, 창문 판유리 상에 장착되어야 하는 별도의 성분으로서 스위치 등이 필요하지 않다. 창문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시야에서 그의 표면 상에 배열되는 다른 성분을 갖지 않는다. 이것은 창문 판유리의 얇은 디자인 뿐만 아니라 창문 판유리를 통한 시야의 아주 적은 방해 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한 실양태는 적어도
- 용량성 스위칭 영역 및 저-E 코팅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의 판유리로 이루어진 1개의 내측 판유리, 및
- 내측 표면(II)을 갖는 1개의 외측 판유리, 및
- 외측 판유리의 내측 표면(II)을 내측 판유리의 외측 표면(III)에 면결합으로(areally) 결합시키는 적어도 1개의 중간 층
을 포함하는 용량성 스위칭 영역 및 저-E 코팅을 갖는 복합 판유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복합 판유리의 내측 표면은 내측 판유리의 내측 표면에 상응하고, 복합 판유리의 외측 표면은 외측 판유리의 외측 표면에 상응한다.
복합 판유리의 경우에는, 내측 판유리 및 외측 판유리가 적어도 1개의 중간 층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중간 층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하다. 중간 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부티랄(PVB),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및/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함유한다. 그러나, 또한, 중간 층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U),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PE),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아세테이트 수지, 캐스팅 수지, 아크릴레이트,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및/또는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그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함유한다. 중간 층은 1개의 필름 또는 쌓아 올려져서 배열된 복수의 필름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여기서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25 mm 내지 1 mm, 전형적으로 0.38 mm 또는 0.76 mm이다. 중간 층은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일 수 있고, 라미네이팅 후 내측 판유리, 외측 판유리 및 가능한 추가의 중간 층들을 서로 접착 결합시킨다.
중간 층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특히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2.9의 상대 유전율을 갖는다. 그러한 상대 유전율로 인해, 복합 판유리의 외측 표면을 통해 접촉 표면에 접촉하는 것과 반대쪽에 있는 내측 표면을 통해 접촉 표면에 접촉하는 것 사이에 좋은 구별을 얻는 것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판유리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 및 제1 연결 영역을 통해 용량성 스위칭 영역에 및 제2 연결 영역을 통해 주위 표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 전자 시스템을 갖는 판유리 배열체를 포함한다. 센서 전자 시스템은 용량성 센서 전자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배열의 유리한 실양태에서, 센서 전자 시스템의 감도는, 접촉 영역이 판유리 또는 복합 판유리의 내측 표면 상에서 사람 손가락에 의해 접촉될 때는 센서 전자 시스템이 스위칭 신호를 방출하고, 접촉 영역이 판유리 또는 외측 판유리의 외측 표면 상에서 접촉될 때에는 스위칭 신호를 방출하지 않거나 또는 상이한 스위칭 신호를 방출하도록 선택된다. 물론, 접촉 영역의 접촉은 또한 다수의 손가락 또는 상이한 인체 부위로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접촉"은 측정 신호, 이 경우에는 커패시턴스의 측정가능한 변화를 초래하는 스위칭 영역과의 임의의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특히, 이것은 외측 표면 상에 접촉 영역의 직교 투영에 의해 얻어지는 구역에서 창문 판유리 또는 복합 판유리의 외측 표면의 접촉이다.
센서 전자 시스템의 감도의 적당한 선택 및 용량성 스위칭 영역의 적당한 치수화로 인해, 접촉 영역에의 접근이 이미 스위칭 신호를 촉발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저-E 코팅이 판유리 또는 내측 판유리의 내측 표면(IV) 상에 배열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는 스위칭 거동에서 특히 유리한 높은 비대칭성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감도는 외측 표면(III 또는 I)에의 접근 또는 접촉보다는 내측 표면(IV)(직접적인 저-E 코팅을 가짐)에의 접근 또는 접촉이 더 높고, 여기서 판유리 또는 내측 판유리, 중간 층, 및 외측 판유리는 여전히 인체와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저-E 코팅 사이에 배열된다.
물론, 센서 전자 시스템의 감도는 또한 표면의 양쪽으로부터 접촉 또는 접근할 때 스위칭 절차가 촉발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접근"은 직접적인 접촉이 일어나지 않고 20 c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cm 이하, 특히 5 cm 이하까지 인체의 접근을 의미한다.
방출되는 스위칭 신호는 요망되는 대로 각각의 용도의 요건에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 신호는 양의 전압, 예를 들어 12 V를 의미할 수 있고, 스위칭 신호를 방출하지 않음은 예를 들어 0 V를 의미할 수 있고, 또 다른 스위칭 신호는 예를 들어 + 6 V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신호는 CAN-Bus에 통례적인 전압 CAN_High 및 CAN_Low에 상응할 수 있고, 그 사이의 전압 값에 의해 변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신호는 펄스화될 수 있고/있거나 디지털 암호화될 수 있다.
센서 전자 시스템의 감도는 간단한 실험의 맥락에서 접촉 구역의 크기의 함수로서 및 판유리 또는 내측 판유리, 중간 층 또는 층들 및 외측 판유리의 두께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러한 판유리의 특별한 이점은 스위칭 신호가 내측 표면들 중 하나로부터 창문 판유리 또는 복합 판유리에 접근 또는 접촉에 의해서만 촉발될 수 있다는 데 있다. 모터 차량 창문에 판유리 배열체의 이용 및 차량 내부 방향에 내측 표면을 갖는 창문 또는 복합 판유리의 설치의 경우, 예를 들어, 통례적인 판유리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경하지 않고도 외부로부터 개개인에 의한 스위칭 절차의 촉발 또는 비 또는 앞유리창 와이퍼의 움직임에 의한 스위칭 절차의 원하지 않는 촉발을 신뢰할만하게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관련 분야 숙련자에게 예상 밖이었고 놀라운 것이었다.
조합해서 또는 별법으로, 센서 전자 시스템의 감도는, 사람 손가락에 의해 창문 판유리 또는 복합 판유리의 표면 상의 접촉 영역이 접촉되거나 접근될 때에는 센서 전자 시스템이 스위칭 신호를 방출하고, 창문 판유리 또는 복합 판유리의 표면 상의 공급선 영역에 접촉될 때에는 스위칭 신호를 방출하지 않거나 또는 상이한 스위칭 신호를 방출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센서 전자 시스템의 감도는 간단한 실험의 맥락에서 접촉 영역의 크기의 함수로서 및 공급선 영역의 기하학적 구조 뿐만 아니라 폭과 길이의 종횡비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공급선 영역의 폭이 가능한 한 작게 선택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의 이 실양태의 특별한 이점은 스위칭 신호가 접촉 영역 또는 그의 바로 옆에 있는 주위를 통해 창문 판유리 또는 복합 판유리의 외측 표면에 접촉함으로써만 촉발될 수 있다는 사실에 있고, 따라서, 스위칭 절차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고, 예를 들어, 부주의에 의한 스위칭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의 유리한 개선에서는, 연결 영역이 편평한 도체, 금속 와이어, 특히, 둥근 도체 또는 연선 도체에 연결되고, 판유리 표면으로부터 떨어지게 경로설정된다. 그래서, 통합된 판유리 배열체는 이용 장소에서 전압원 및 신호선에 특별히 간단하게 연결될 수 있고, 이것은 예를 들어 차량에서 CAN-Bus를 통해 센서 회로의 스위칭 신호를 평가한다.
원리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창문 판유리 또는 복합 판유리의 제조 및 이용 조건 하에서 열적으로 및 화학적으로 안정할 뿐만 아니라 치수적으로 안정한 모든 전기 절연 기판이 판유리 또는 내측 판유리 및 외측 판유리로서 적당하다.
판유리 또는 내측 판유리 및 외측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특히 바람직하게는 편평 유리, 플로트 유리, 석영 유리,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소다 석회 유리, 또는 맑은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강직성 맑은 플라스틱,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판유리 또는 내측 판유리 및 외측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차량의 앞유리창 또는 뒷 창문으로서 판유리의 용도 또는 높은 광 투과율이 요망되는 다른 용도를 위해 투명하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투명"은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 70% 초과의 투과율을 갖는 판유리를 의미한다. 그러나, 또한, 운전자의 교통 관련 시야에 위치하지 않는 판유리의 경우, 예를 들어 루프 패널의 경우, 투과율은 훨씬 더 낮을 수 있고, 예를 들어 5% 초과일 수 있다.
판유리 또는 내측 판유리 및 외측 판유리의 두께는 폭넓게 다양할 수 있고, 따라서, 이상적으로 개개의 경우의 요건에 맞출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량 유리용으로는 1.0 mm 내지 25 mm, 바람직하게는 1.4 mm 내지 2.5 mm의 표준 두께가 이용되고, 바람직하게는 가구, 가전제품 및 건물용으로는 4 mm 내지 25 mm의 표준 두께가 이용된다. 창문 판유리 및 복합 판유리의 크기는 폭넓게 다양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용도의 크기에 의해 좌우된다.
창문 판유리 및 복합 판유리는 예를 들어 모터 차량 엔지니어링 및 건축 부문에서 200 ㎠ 내지 20 ㎡의 통례적인 면적을 갖는다.
창문 판유리 또는 복합 판유리는 임의의 3-차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차원 형상은 암영대를 갖지 않고, 이렇게 하여 그것은 예를 들어 음극 스퍼터링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판유리는 평면이거나 또는 한 공간 방향 또는 복수의 공간 방향에서 약간 또는 크게 만곡된다. 특히, 평면 판유리가 이용된다. 판유리는 무색일 수 있거나 또는 착색될 수 있다.
판유리 또는 내측 판유리 및 외측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특히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의 상대 유전율 εr,1/4을 갖는다. 그러한 상대 유전율로 인해, 창문 판유리 또는 복합 판유리의 외측 표면을 통해 접촉 표면에 접촉하는 것과 반대쪽에 있는 내측 표면을 통해 접촉 표면에 접촉하는 것 사이에 특별히 좋은 구별을 얻는 것이 가능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판유리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유리한 실양태에서는, 연결 영역이 판유리의 외측 에지에 배열된다. 외측 에지로부터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0 c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cm 미만이다. 이것은 광학적으로 눈에 띄지 않는 흑색 임프린트 아래에 또는 커버링, 예를 들어 카메라 하우징으로 연결 영역과 예를 들어 호일 도체의 전기적 접촉을 가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기 공급선은 바람직하게는 호일 도체 또는 가요성 호일 도체(편평 도체, 편평 밴드 도체)로서 구현된다. "호일 도체"라는 용어는 폭이 두께보다 분명히 큰 전기 도체를 의미한다. 그러한 호일 도체는 예를 들어 구리, 주석 도금 구리, 알루미늄, 은, 금 또는 그의 합금을 함유하거나 또는 그것으로 제조된 스트립 또는 밴드이다. 호일 도체는 예를 들어 2 mm 내지 16 mm의 폭 및 0.03 mm 내지 0.1 mm의 두께를 갖는다. 호일 도체는 절연 쉬딩(sheathing),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를 기재로 하는 절연 쉬딩을 가질 수 있다. 판유리에서 전기 전도성 코팅의 접촉에 적당한 호일 도체는 예를 들어 불과 0.3 mm의 총 두께를 갖는다. 그러한 얇은 호일 도체는 내측 표면(IV) 상에 간단하게 및 미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붙일 수 있다. 서로 전기적으로 격리된 다수의 전도성 층이 호일 도체 스트립에 위치할 수 있다.
별법으로, 또한, 얇은 금속 와이어가 전기 공급선으로 이용될 수 있다. 금속 와이어는 특히 구리, 텅스텐, 금, 은, 또는 알루미늄 또는 이들 금속 중 적어도 2종의 합금을 함유한다. 또한, 합금은 몰리브데넘, 레늄, 오스뮴, 이리듐, 팔라듐 또는 백금을 함유할 수 있다. 금속 와이어는 둥근 형상으로 또는 편평한 형상으로 또는 임의의 형상으로 배열되는 1개의 또는 복수의 개별 와이어 또는 스트랜드로 제조될 수 있다. 개별 와이어 또는 스트랜드는 멀티-와이어 케이블 내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격리되게 구현될 수 있다.
연결 영역과 전기 공급선 사이의 전기선 연결부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접착제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것은 연결 영역과 공급선 사이의 신뢰할만한 내구성 있는 전기선 연결부를 가능하게 한다. 별법으로, 전기선 연결부는 또한 클램핑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별법으로, 공급선은 예를 들어 소성된 금속-함유, 특히 은-함유 전기 전도성 인쇄 페이스트에 의해 연결 영역 상에 인쇄될 수 있다.
대안적 실양태에서는, 연결 영역과 전기 공급선 사이의 전기선 연결부가 납땜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납땜에 의해 만들어진다. 별법으로, 또 다른 연결 요소, 예를 들어 마운팅 풋(mounting foot), 크림프 요소, 또는 멀티-핀 연결자가 연결 영역과 전기 공급선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전기 공급선은 연결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플러그 또는 커플링을 통해 고정되게 또는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폐쇄된 크림프 요소는 예를 들어 타원 (타원 크림프) 또는 다각형 (예를 들어, 정사각형 크림프, 육각형 크림프, 또는 사다리꼴 크림프)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크림핑 도구의 활성 지점 중 하나는 특징적 크림프 구조를 생성할 수 있고, 크림핑된 구조는 전형적으로 이른바 크림프 베이스 반대쪽에 배열된다. 크림핑의 형상은 전형적으로 특징적 크림프 구조에 따라서 명명된다. 폐쇄된 크림프의 형상은 관련 분야 숙련자에게 예를 들어 W-크림프 또는 만드렐 크림프로 알려져 있다. 개방된 크림프 요소의 경우에는, 연결 케이블 둘레에서 굽힌 연결 요소의 두 옆면 에지가 특징적 크림프 구조로 서로 크림핑되고, 연결 케이블과 크림핑된다. 개방된 크림프의 형상은 관련 분야 숙련자에게 예를 들어 B-크림프(또는 F-크림프), U-크림프 (OVL-크림프/오버랩핑 크림프), 또는 O-크림프로 알려져 있다. 그러한 크림프 요소는 보통 연결 영역 상에 납땜되거나 또는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인다. 이 경우, 편평한 영역, 예를 들어 편평한 크림프 베이스를 갖는 크림프 요소가 특히 유리하다.
창문 판유리 또는 복합 판유리의 유리한 실양태에서는, 접촉 영역이 직접 표시될 수 있거나 또는 활성 광원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발광 다이오드(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백열 전구, 또는 다른 활성 발광체, 예컨대 발광 물질, 바람직하게는 형광 또는 인광 물질에 의해 표시된다.
창문 판유리 또는 복합 판유리의 대안적 실양태에서는, 접촉 영역이 판유리 또는 내측 판유리, 중간 층 또는 커버 판유리 상에 착색된, 바람직하게는 백색 또는 흑색, 임프린트, 예를 들어 스크린프린트에 의해 표시된다. 이것은 접촉 영역이 내구성 있게 및 전압원과 독립적으로 표시된다는 특별한 이점을 갖는다. 임프린트는 또한 발광 물질, 바람직하게는 형광 또는 인광 물질을 함유할 수 있고/있거나 발광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안적 실양태에서는, 창문 판유리 또는 복합 판유리가 광 조사 수단 및 광 편향 수단을 갖는다. 광 조사 수단 및 광 편향 수단은 예를 들어 창문 판유리 상에 또는 복합 판유리 내에 또는 상에 바람직하게는 내측 판유리와 외측 판유리 사이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 조사 수단은 적어도 1개의 광원, 바람직하게는 LED 또는 OLED를 포함한다. 특별한 이점은 작은 치수 및 낮은 전력 소비에 있다.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파장 범위는 예를 들어 실용적 및/또는 미적 고려에 기초하여 가시광 범위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광 조사 수단은 특히 광을 유도하기 위한 광학 소자, 바람직하게는 반사체 및/또는 광 도파로, 예를 들어 유리 섬유 또는 중합체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조사 수단은 판유리 또는 내측 판유리 또는 외측 판유리의 임의의 위치에, 특히 창문 판유리 또는 복합 판유리의 옆면 에지 상에 또는 내측 판유리 및 외측 판유리의 중앙의 작은 함몰부에 배열될 수 있다.
광 편향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입자, 점 격자, 스티커, 침착물, 노치, 절개부, 선 격자, 임프린트, 및/또는 스크린 프린트를 포함하고, 그로부터 판유리 또는 내측 판유리, 중간 층 또는 외측 판유리에서 운반되는 광을 디커플링(decoupling)하기에 적당하다.
광 편향 수단은 판유리 또는 내측 판유리, 중간 층, 또는 외측 층의 수준에서 임의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광 편향 수단이 접촉 영역의 영역에 또는 접촉 영역의 바로 옆에 있는 인근에 배열되고, 따라서 그렇지 않으면 거의 보이지 않는 접촉 영역의 신속한 발견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야간에 또는 어둠 속에서 특히 유리하다.
별법으로, 광은 판유리 또는 내측 판유리, 중간 층, 또는 외측 층 상에 배열된 도광부를 통해 접촉 영역으로 경로설정될 수 있고, 접촉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별법으로 또는 조합하여, 광 조사 수단은 광 편향 수단과 함께 창문 판유리 또는 복합 판유리 상에 정보를 가시화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기적 기능을 켜거나 또는 꺼서 용량성 스위칭 영역의 스위칭 상태를 보고하거나 또는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적어도
판유리의 내측 표면(IV) 상에 저-E 코팅을 형성하고,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적어도 섹션으로, 특히 완전히, 둘러싸는, 저-E 코팅의 주위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1개의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적어도 1개의 제1 분할선을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패터닝을 통해 또는 기계적 또는 화학적 절제(ablation)를 통해 저-E 코팅에 도입하고,
주위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둘러싸는, 저-E 코팅의 외측 영역으로부터 주위 영역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적어도 1개의 제2 분할선을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패터닝을 통해 또는 기계적 또는 화학적 절제를 통해 저-E 코팅에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창문 판유리 또는 판유리를 갖는 그러한 판유리 배열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판유리가 복합 판유리로서 구현되는 경우에는,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판유리의 내측 표면(IV) 상에 저-E 코팅을 형성하고,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적어도 섹션으로, 특히 완전히, 둘러싸는, 저-E 코팅의 주위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1개의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적어도 1개의 제1 분할선을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패터닝을 통해 또는 기계적 또는 화학적 절제를 통해 저-E 코팅에 도입하고, 뿐만 아니라 주위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둘러싸는, 저-E 코팅의 외측 영역으로부터 주위 영역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적어도 1개의 제2 분할선을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패터닝을 통해 또는 기계적 또는 화학적 절제를 통해 저-E 코팅에 도입하는 단계,
내측 판유리, 외측 판유리의 내측 표면(II)과 내측 판유리의 외측 표면(III) 사이에 배열되는 중간 층 및 외측 판유리의 적층 배열물을 생성하고, 적층 배열물을 라미네이팅하여 복합 판유리를 생성하는 단계.
다시 말해서, 처음에,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의 판유리가 제조되고, 이것이 제2 단계에서 내측 판유리 (본 발명에 따른 창문 판유리로 이루어짐), 중간 층, 및 외측 판유리의 적층 배열물로부터 라미네이팅되어 복합 판유리를 생성한다.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복합 판유리를 갖는 판유리 배열체를 제조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대안적 실양태에서는, 또한, 공정 단계들을 뒤바꿀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처음에, 내측 판유리, 중간 층, 및 외측 판유리의 적층 배열물로부터 라미네이트를 생성하고, 그 다음에, 저-E 코팅을 내측 판유리의 내측 표면 상에 침착시키고, 이것을 패터닝한다.
저-E 코팅의 형성은 알려진 방법 그 자체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자기 증진 음극 스퍼터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판유리의 간단하고, 빠르고, 경제적이고, 균일한 코팅 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또한, 전기 전도성 층은 예를 들어 증착, 화학 증착(CVD), 플라즈마 증진 화학 증착(PECVD), 또는 습식 화학적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저-E 코팅에서 개별 분할선의 탈코팅은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빔에 의해 수행된다. 얇은 금속 필름을 패터닝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EP 2 200 097 A1 또는 EP 2 139 049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탈코팅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10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200 ㎛, 특히 70 ㎛ 내지 140 ㎛이다. 이 범위에서, 레이저 빔에 의해 특히 깔끔하고 잔류물이 없는 탈코팅이 일어난다. 레이저 빔에 의한 탈코팅은 탈코팅된 선이 광학적으로 매우 눈에 띄지 않고 외관 및 투명성에 아주 조금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레이저 컷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선의 탈코팅은 레이저 빔으로 선의 반복된 마모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공정 기간 및 공정 비용은 선 폭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별법으로, 탈코팅은 기계적 절제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화학적 또는 물리적 에칭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라미네이팅, 즉, 내측 판유리, 중간 층 및 외측 판유리의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열, 진공, 및/또는 압력의 작용 하에서 수행된다. 복합 판유리를 제조하는 알려진 방법 그 자체가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른바 오토클레이브 방법이 대략 10 bar 내지 15 bar의 승압 및 130 ℃ 내지 145 ℃의 온도에서 대략 2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알려진 진공 백 또는 진공 링 방법 그 자체는 예를 들어 대략 200 mbar 및 80 ℃ 내지 110 ℃에서 작동한다.
또한, 내측 판유리, 예를 들어 열가소성 중간 층, 및 외측 판유리가 캘린더에서 적어도 1쌍의 롤러 사이에서 프레싱되어 판유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이 유형의 시스템은 판유리 제조를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보통은 프레싱 설비 전에 상류에 적어도 1개의 가열 터널을 갖는다. 프레싱 절차 동안의 온도는 예를 들어 40℃ 내지 150℃이다. 캘린더 및 오토클레이브 공정의 조합이 특히 그의 가치를 실제로 입증하였다. 별법으로, 진공 라미네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 이것은 1개의 또는 복수의 가열가능한 및 진공화가능한 챔버로 이루어지고, 여기에서 내측 판유리 및 외측 판유리가 0.01 mbar 내지 800 mbar의 감압 및 80℃ 내지 170℃의 온도에서 예를 들어 대략 60 분 이내에 라미네이팅된다.
추가의 공정 단계로서, 저-E 코팅의 갈바닉 접촉은 전기선 연결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갈바닉 접촉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접착제, 납땜, 특히 초음파 납땜으로 붙임으로써 수행된다.
갈바닉 접촉에서는, 처음에 저-E 코팅 상에 전기 전도성 접촉 층을 예를 들어 금속화에 의해 또는 금속-함유 스크린프린팅 페이스트를 이용한 프린팅 및 후속하는 소성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 접촉 층은 저-E 코팅의 전도성 성분과 다른 연결 요소, 예컨대 호일 도체 또는 둥근 도체 사이의 낮은 옴 및 내부식성 접촉을 얻는 데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건물에서, 특히 출입 영역, 창문 영역, 지붕 영역, 또는 파사드 영역에서, 가구 및 가전제품의 빌트인 성분으로서, 육상, 공중 또는 수상 이동용 운반 수단에서, 특히 열차, 선박 및 모터 차량에서, 예를 들어 앞유리창, 뒷 창문, 옆 창문 및/또는 루프 패널로서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창문 판유리 또는 복합 판유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의 용도를 포함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창문 판유리 또는 복합 판유리 내부 또는 외부에서의 기능, 바람직하게는 가열 기능, 조명, 특히 창문 판유리 또는 복합 판유리 상에 또는 내에 배열된 조명 수단, 예컨대 LED, 기능성 중간 층, 특히 부유 입자 장치(SPD) 층 또는 전기변색 중간 층의 광학적 투명성의 변화의 전기적 제어를 위한 창문 판유리 또는 복합 판유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의 용량성 스위칭 영역의 용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도면 및 범례적 실양태와 관련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은 개략적 표현이며, 정확한 척도로 나타낸 것이 아니다. 도면은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a는 창문 판유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의 실양태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절단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세부사항 Z의 확대도이다.
도 1d는 도 1c의 절단선 B-B'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e는 창문 판유리의 대안적 실양태의 도 1a에 따른 세부사항 Z의 확대도이다.
도 1f는 창문 판유리의 또 다른 대안적 실양태의 도 1a에 따른 세부사항 Z의 확대도이다.
도 2a는 복합 판유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의 대안적 실양태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절단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세부사항 Z의 확대도이다.
도 2d는 도 2c의 절단선 B-B'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e는 복합 판유리의 또 다른 대안적 실양태의 도 2c의 절단선 B-B'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f는 복합 판유리의 또 다른 대안적 실양태의 도 2c의 절단선 B-B'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a는 앞유리창의 예를 이용하는 복합 판유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의 또 다른 대안적 실양태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절단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창문 판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양태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도 4b는 복합 판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양태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도 1a는 모터 차량의 루프 패널의 예를 이용하는 창문 판유리(100)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200)의 범례적 실양태의 평면도를 묘사한다.
도 1b는 도 1a의 절단선 A-A'를 따르는 단면도를 묘사한다. 여기서, 창문 판유리(100)는 예를 들어 단일 판유리(1)를 포함한다. 창문 판유리(100)는 예를 들어 차량 창문, 특히 승용차의 루프 패널이다. 창문 판유리(100)의 치수는 예를 들어 0.9 m x 1.5 m이다. 창문 판유리(100)는 예를 들어 설치된 위치에서 차량 내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분리하도록 의도된 판유리(1)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판유리(1)의 내측 표면(IV)은 내부로부터 접근가능하고, 반면에 판유리(1)의 외측 표면(III)은 차량 내부에 대해 바깥쪽을 향한다. 판유리(1)는 예를 들어 소다 석회 유리로 제조되고, 플로트 공정으로 제조되었다. 판유리(1)의 두께 d1은 예를 들어 2.1 mm이다. 원리적으로, 판유리(1)는 또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판유리(1)는 예를 들어 건축용 글레이징으로서 4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판유리(1)는 예를 들어 템퍼링 처리를 받았고, 따라서 단일-판유리 안전 유리이다.
판유리(1)의 내측 표면(IV)은 저-E 코팅(6)으로 코팅된다. 표 1은 예를 들어 ITO로 제조된 기능성 층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저-E 코팅(6)의 3개의 예를 나타낸다. 예 1 - 3의 각 저-E 코팅(6)은 판유리(1)/접착 층/기능성 층/배리어 층/반사방지 층의 층 서열로 이루어진다.
<표 1>
Figure pct00001
도 1a에 묘사된 저-E 코팅(6)은 예를 들어 표 1의 예 1의 층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예에서, 도 1a에 묘사된 저-E 코팅(6)은 표 1의 예 2의 층 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또 다른 예에서는 표 1의 예 3의 층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예 1 - 3의 예로서 언급된 층 시스템을 갖는 창문 판유리(1)는 30% 이하의 내부측 법선 총 방사율 및 20 Ω/□ 내지 30 Ω/□의 시트 저항을 갖는다. 창문 판유리는 저-E 코팅(6)이 제공된 측으로부터 볼 때 반사에서 예를 들어 -3 내지 +4의 색상 값 a* 및 -7 내지 +4의 색상 값 b*을 갖는다. 그러한 창문 판유리(1)는 맑을 수 있고, 예를 들어 가시 범위에서 80% 이상의 투명성을 갖는다. 햇빛으로부터 가시 범위에서 눈부심을 피하기 위해서, 판유리(1)는 또한 고도로 틴팅될 수 있고, 가시 범위에서 20% 이하의 투명성을 가질 뿐이다. 물론, 저-E 코팅(6)은 또한 저방사율을 갖는 상이한 층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창문 판유리(100)의 하부 섹션에서, 저-E 코팅(6)은 예를 들어 2개의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을 갖는다.
도 1c는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을 갖는 도 1a의 창문 판유리(100)의 세부사항 Z의 확대도를 묘사한다. 도 1d는 도 1c의 절단선 B-B'를 따르는 관련 단면도를 묘사한다.
저-E 코팅(6)은 무코팅 제1 분할선(7)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격리된 상이한 영역으로 나뉜다. 이 예에서, "전기적으로 격리된"은 영역들이 서로 갈바닉적으로 분리된다는 것, 다시 말해서 영역들 사이에 직류(DC)가 흐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c에 묘사된 예에서는, 2개의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이 공통 주위 영역(15)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나뉜다. 제1 분할선(7)은 각 경우에서 폐쇄된다. 주위 영역(15)은 2개의 용량성 스위칭 영역(18)을 완전히 둘러싼다. 창문 판유리(100) 또는 판유리(1)의 1개의 판유리 에지(18)(도 1c에서 하부 에지)에서, 주위 영역(15)이 저-E 코팅(6)의 코팅 에지(32)까지 줄곧 연장된다. 본 범례적 실양태에서는 저-E 코팅(6)의 에지가 판유리(1)의 에지까지 줄곧 연장되지만, 마찬가지로 저-E 코팅(6)의 에지가 판유리(1)의 에지에 대해 후퇴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주위 영역(15)은 2개의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저-E 코팅에 형성된 제2 분할선(8)에 의해 주위 영역(15)을 둘러싸는, 저-E 코팅(6)의 (외측) 영역(31)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제2 분할선(8)은 저-E 코팅(6) 내에 형성된다. 제2 분할선(8)은 폐쇄되지 않고, 저-E 코팅(6)의 코팅 에지(32)까지 줄곧 자유롭게 연장되어 끝나고, 그 곳에는 제2 분할선(8)이 존재하지 않고, 여기서는 주위 영역(15)이 코팅 에지(32)까지 줄곧 연장된다. 따라서, 외측 영역(31)이 주위 영역(15)을 완전히 둘러싸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만 둘러싼다. 따라서, 주위 영역(15) 및 외측 영역(31)(즉, 제2 분할선(8)에 의해 서로 분리된 서로 다른 저-E 코팅(6)의 영역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격리된 저-E 코팅(6)의 영역이다. 이것은 주위 영역(15) 및 외측 영역(31)이 서로 갈바닉적으로 분리되고 이렇게 하여 주위 영역(15)과 외측 영역(31) 사이에 직류(DC)가 흐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또한, 주위 영역(15)이 코팅 에지(32)까지 줄곧 연장되지 않는 것이 고려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제2 분할선(8)이 폐쇄되고 주위 영역(15)을 완전히 둘러싼다. 이 경우에는 외측 영역(31)이 주위 영역(15)을 완전히 둘러싼다.
각 스위칭 영역(10)은 접촉 영역(11)을 포함하고, 접촉 영역(11)은 대략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스트립형 공급선 영역(12)으로 전이된다. 접촉 영역(11)의 폭(bB) 및 길이(lB)는 각 경우에 예를 들어 40 mm이다. 공급선 영역(12)의 폭(bZ)은 예를 들어 1 mm이다. 따라서, 비 bZ:bB는 대략 1:40이다. 공급선 영역(12)은 제1 연결 영역(13)에 연결된다. 제1 연결 영역(13)은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예를 들어 12 mm의 에지 길이 bA를 갖는다. 공급선 영역의 길이(lZ)는 대략 48 mm이다. 역시, 주위 영역(15)은 제1 분할선(7)에 의해 나머지 저-E 코팅(6)으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서, 주위 영역(15)은 직사각형 디자인이고, 두 용량성 스위칭 영역(10) 모두를 포함한다. 주위 영역(15)은 또 다른 또는 제2 연결 영역(16)을 갖는다. 제2 연결 영역(16)은 주위 영역(15) 내에 어느 곳에라도 배열될 수 있다. 묘사된 예에서는, 그것이 판유리(1)의 하부 에지에서 주위 영역(15)의 하부 에지 상에 배열된다. 따라서, 그것은 시각적으로 방해받지 않고, 판유리를 통한 시야를 거의 손상하지 않는다.
제1 분할선(7)은 예를 들어 단지 100 ㎛의 폭(t1)을 가지며, 예를 들어 레이저 패터닝을 통해 저-E 코팅(6)에 도입된다. 제2 분할선(8)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러한 낮은 폭을 갖는 분할선(7, 8)은 시각적으로 좀처럼 인지할 수 없고, 판유리(100)를 통한 시야를 거의 방해하지 않고, 이것은 특히 미적이고, 특히 모터 차량의 시야에서 이용되는 경우, 운전 안전을 위해 특별히 중요하다.
제1 연결 영역(13)은 호일 도체(17)에 전기선 연결부(20)를 통해 전기 전도성 연결된다. 여기서, 신뢰할만한 전기 전도성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달성된다. 호일 도체(17)는 예를 들어 50-㎛ 두께 구리 호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층으로 제1 연결 영역(13) 외부에서 격리된다. 따라서, 호일 도체(17)는 전기 단락 없이 창문 판유리(100)의 하부 에지를 통해 주위 영역(15)을 넘어 경로설정될 수 있다. 물론, 제2 연결 영역(16)의 전기선 연결부는 절연 와이어를 통해 또는 주위 영역의 저-E 코팅이 중단되는 영역을 통해 바깥쪽으로 경로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호일 도체(17)는 예를 들어 창문 판유리(100) 외부에서 용량성 센서 전자 시스템(14)에 연결된다. 게다가, 주위 영역(15)은 마찬가지로 제2 연결 영역(16)을 통해 센서 전자 시스템(14)에 연결된다. 센서 전자 시스템(14)은 주위 영역(15)에 대해 스위칭 영역(10)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스위칭 신호를 예를 들어 차량의 CAN-bus에 문턱 값의 함수로서 전달하는 데 적합하다. 스위칭 신호를 통해 차량에서 임의의 기능이 스위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문 판유리(100) 내의 또는 창문 판유리(100) 상의 조명이 켜질 수 있거나 또는 꺼질 수 있다.
창문 판유리(100)가 예를 들어 모터 차량에서 루프 패널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공급선 영역(12)의 길이가 차량의 운전자, 앞좌석 탑승자, 또는 뒷좌석 탑승자가 스위칭 영역(10)의 접촉 영역(11)에 편리하게 도달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묘사된 범례적 실양태에서는,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의 접촉 영역(11)을 통해 판유리(1)의 내측 표면(IV)에 접촉할 때 스위칭 신호가 촉발되고 반면에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을 통해 판유리(1)의 외측 표면(III)에 접촉할 때 스위칭 신호가 촉발되지 않도록 센서 전자 시스템(14)의 구조 및 파인-튜닝(fine-tuning)이 조율된다.
게다가, 이 예에서는, 접촉 영역(11)을 통해 판유리(1)의 내측 표면(IV)에 (즉, 표면(IV) 상에 접촉 영역(11)의 직교 투영으로부터 얻는 표면(IV)의 영역에) 접촉할 때만 스위칭 신호가 방출되고 공급선 영역(12)을 통해 표면(IV)에 접촉할 때는 스위칭 신호가 방출되지 않도록 접촉 영역(11)의 면적, 특히 그의 폭(bB)이 공급선 영역(12)의 폭(bZ)과 조율된다.
도 1e는 창문 판유리(100)의 대안적 실양태의 도 1a의 세부사항 Z의 확대도를 묘사한다. 묘사된 범례적 실양태는 도 1a의 창문 판유리(100)의 구조에 실질적으로 상응하고, 이렇게 하여 이하에서는 각각의 차이점만 다룬다. 이 예에서, 저-E 코팅(6)은 무코팅 영역(30)을 가지며, 무코팅 영역(30)은 예를 들어 통신창으로서 역할하고 전자기 방사선, 예를 들어 GSP 수신 또는 이동 전화에 투명하다. 따라서, 여기에 묘사된 범례적 실양태에서는, 공급선 영역(12)이 직선형으로 구성되지 않고, 무코팅 영역(30) 둘레로 경로설정된다. 도 1e에서 왼쪽에 배열된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에 속하는 공급선 영역(12)에서는, 공급선 영역(12)이 예를 들어 2개의 직각을 갖는 스트립형 영역(이중-L-구조)으로 구현된다.
도 1e에서 오른쪽에 배열된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에 속하는 공급선 영역(12)에서는, 공급선 영역(12)이 예를 들어 호형 영역으로서 구현된다. 물론, 공급선 영역(12)의 임의의 다른 적당한 경로도 또한 가능하다.
이 예에서는, 주위 영역(15)이 제2 분할선(8)에 의해 주위 저-E 코팅으로부터 분리되고, 이렇게 하여 전체 주위 저-E 코팅(6)이 주위 영역(15)으로 작용할 수 없다. 여기서, 저-E 코팅(6)의 주위 영역(15)은 제2 연결 영역(16)에 의해 용량성 센서 전자 시스템(14)에 연결된다.
게다가, 이 범례적 실양태에서는, 제1 연결 영역(13) 또는 제2 연결 영역(16)이 플라스틱으로 절연된 둥근 도체(19) 형태의 금속성 와이어에 전기 전도성 연결된다. 연결 영역(13, 19)과 둥근 도체(19) 사이의 전기선 연결부(20)은 둥근 도체(19)의 한 단부 상에 크림핑되는 크림프 요소를 통해 달성되고, 크림프 요소는 초음파 납땜에 의해 연결 영역(13, 19)에 전기 전도성 연결된다.
도 1f는 창문 판유리(100)의 또 다른 대안적 실양태의 도 1a의 세부사항 Z의 확대도를 묘사한다. 묘사된 범례적 실양태는 도 1a의 창문 판유리(100)의 구조에 실질적으로 상응하고, 이렇게 하여 이하에서는 각각의 차이점만 다룬다.
이 예에서는, 주위 영역(15) 또는 제2 분할선(8)이 용량성 스위칭 영역(10) 둘레에, 따라서 접촉 영역(11), 공급선 영역(12) 및 연결 영역(13) 둘레에 프레임 형태로 구현된다. 용량성 스위칭 영역(10) 또는 제1 분할선(8)으로부터 바로 옆에 있는 주위 영역(15)을 분리하는 제2 분할선(8)은 접촉 영역(11)으로부터, 공급선 영역(12)으로부터, 및 섹션으로 연결 영역(13)으로부터 5 mm 내지 10 mm의 (최단) 거리 u를 가지며, 따라서 주위 영역(15)의 폭을 정한다. 그 거리 및 따라서, 주위 영역(15)의 폭 u는 연결 영역(13, 16)에서만 더 크게 설계되고, 이렇게 하여 주위 영역(15)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추가의 연결 요소(16)를 위해 충분한 공간이 이용가능하다.
주위 영역(15)의 그러한 프레임 형상의 디자인이 특히 유리한데, 그 이유는 그에 의해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의 특히 좋은 신호 품질이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특히 주위 영역(15)의 프레임 형상의 디자인으로, 외측 영역(31)으로부터 주위 영역(15)의 분리는 유리하게 저-E 코팅에 추가의 전기 장치의 도입을 가능하게 한다.
도 2a는 복합 판유리(101)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201)의 대안적인 범례적 실양태의 평면도를 묘사한다.
도 2b는 도 2a의 절단선 A-A'를 따르는 단면도를 묘사한다. 여기서, 복합 판유리(101)는 예를 들어 중간 층(2)을 통해 서로 결합된 내측 판유리(1) 및 외측 판유리(4)를 포함한다. 내측 판유리(1)의 기능은 도 1a의 판유리(1)에 상응한다. 복합 판유리(101)는 예를 들어 파사드 글레이징의 일부 및 예를 들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건물의 내부를 분리하는 창문이다. 그러한 복합 판유리(100)를 또한 차량 글레이징으로서 및 특히 승용차의 루프 패널로서 구현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복합 판유리(101)의 치수는 예를 들어 1.2 m x 1.2 m이다. 내측 판유리(1)는 예를 들어 설치된 위치에서 내부 쪽으로 향하도록 의도된다. 다시 말해서, 내측 판유리(1)의 내측 표면(IV)은 내부로부터 접근가능하고, 반면에 외측 판유리(4)의 외측 표면(I)은 바깥쪽을 향한다. 내측 판유리(1) 및 외측 판유리(4)는 예를 들어 플로트 공정으로 제조된 소다 석회 유리로 제조된다. 내측 판유리(1) 및 외측 판유리(4)는 비템퍼링될 수 있거나 또는 템퍼링될 수 있다. 내측 판유리(1)의 두께 d1은 예를 들어 2.1 mm이고, 외측 판유리(4)의 두께 d4는 예를 들어 마찬가지로 2.1 mm이다. 중간 층(2)은 열가소성 중간 층이고, 예를 들어 폴리비닐 부티랄(PVB)로 제조된다. 그것은 예를 들어 0.76 mm의 두께 d2를 갖는다.
내측 판유리(1)의 내측 표면(IV)은 저-E 코팅(6)으로 코팅된다. 도 2a에 묘사된 저-E 코팅(6)은 예를 들어 표 1의 예 1의 층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예에서는, 도 2a에 묘사된 저-E 코팅(6)은 표 1의 예 2의 층 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또 다른 예에서는 표 1의 예 3의 층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복합 판유리(101)의 중심 하부 섹션에서, 저-E 코팅(6)은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을 갖는다. 물론,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은 또한 복합 판유리(101)의 임의의 다른 섹션에도 배열될 수 있다.
도 2c는 도 2a의 세부사항 Z의 확대도를 묘사한다. 도 2d는 도 2c의 절단선 B-B'를 따르는 관련된 단면도를 묘사한다.
저-E 코팅(6)은 무코팅 제1 분할선(7)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격리된 상이한 영역으로 나뉜다. 도 2c에 묘사된 예에서는, 4개의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이 공통 주위 영역(15)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나뉜다. 각 스위칭 영역(10)은 접촉 영역(11)을 포함하고, 접촉 영역(11)은 대략 액적형으로 구현되고 스트립형 공급선 영역(12)으로 전이된다. 접촉 영역(11)의 폭(bB) 및 길이(lB)는 각 경우에서 예를 들어 40 mm이다. 공급선 영역(12)의 폭(bZ)은 예를 들어 1 mm이다. 따라서, bZ:bB 비는 대략 1:40이다. 공급선 영역(12)은 연결 영역(13)에 연결된다. 연결 영역(13)은 라운딩된 코너 및 예를 들어 12 mm의 변 길이 bA를 갖는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공급선 영역의 길이(lZ)는 대략 48 mm이다.
제1 분할선(7)은 예를 들어 불과 100 ㎛의 폭을 가지며, 예를 들어 레이저 패터닝을 통해 저-E 코팅(6)에 도입된다. 그러한 낮은 폭을 갖는 분할선(7)은 좀처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고 복합 판유리(101)를 통한 시야를 거의 방해하지 않고, 이것은 특히 건물의 창문으로서 또는 차량에서 루프 패널로서의 용도를 위해 특히 미적이다. 또한, 제2 분할선(8)도 묘사되고, 제2 분할선(8)은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을 완전히 둘러싸고, 주위 영역(15)을 저-E 코팅(6)의 외측 영역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완전히 분리한다.
제1 연결 영역(13)은 전기선 연결부(20)를 통해 호일 도체(17)에 전기 전도성 연결된다. 여기서, 신뢰할만한 전기 전도성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달성된다. 호일 도체(17)는 예를 들어 50-㎛ 두께 구리 호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층으로 제1 연결 영역(13) 외부에서 격리된다. 따라서, 호일 도체(17)는 전기 단락 없이 창문 판유리(101)의 하부 에지를 통해 주위 영역(15)을 넘어 경로설정될 수 있다. 물론, 제1 연결 영역(13)의 전기 연결은 절연된 와이어를 통해, 또는 주위 영역(15)의 저-E 코팅(6)이 중단되는 영역을 통해 바깥쪽으로 경로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호일 도체(17)는 예를 들어 복합 판유리(101) 외부에서 용량성 센서 전자 시스템(14)에 연결된다. 게다가, 주위 영역(15)은 마찬가지로 제2 연결 영역(16)을 통해 센서 전자 시스템(14)에 연결된다. 센서 전자 시스템(14)은 주위 영역(15)에 대해 스위칭 영역(10)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스위칭 신호를 예를 들어 차량의 CAN-bus에 문턱 값의 함수로서 전달하는 데 적합하다. 차량에서 스위칭 신호를 통해 임의의 기능이 스위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판유리(101)는 부유 입자 장치(SPD) 층, 전기변색 층, 또는 스위칭 신호에 의해 그의 광학적 투명성이 여기서는 예를 들어 4개의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통해 각각 선택될 수 있는 4가지 투명성 수준으로 변할 수 있는 광학적 투명성을 제어하기 위한 상이한 유형의 층 또는 필름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별법으로 또는 추가로, 다른 전기적 기능, 예컨대 전기적 가열 또는 전기적 조명이 제어될 수 있다. 광학적 투명성, 전기적 가열, 또는 전기적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그러한 기능성 층 또는 성분은 복합 판유리(101) 상에 또는 복합 판유리(101) 내에 임의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복합 판유리(101)의 내부에 1개의 또는 복수의 중간 층을 통해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
도 2e는 4개의 발광 다이오드(LED)(21)가 복합 판유리(101) 안에 내측 판유리(1)와 외측 판유리(4) 사이에 라미네이팅된 대안적 실양태를 묘사한다. 마찬가지로, 복합 판유리(101)의 에지 상의 1개의 또는 복수의 LED 또는 광 조사 수단이 광을 예를 들어 내측 판유리(1)에 커플링시킬 수 있다. 그 다음, 광은 광 편향 수단, 예컨대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의 영역에서 내측 판유리(1)의 외측 표면(III)의 조면화(roughening)를 통해 커플링 아웃(coupling out)될 수 있고, 그것을 광학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2f는 기능성 중간 층(22)이 내측 판유리(1)와 외측 판유리(4) 사이에서 복합 판유리(101) 내에 라미네이팅된 또 다른 대안적 실양태를 묘사한다. 여기서, 기능성 중간 층(22)은 내측 판유리(1) 및 외측 판유리(4)에 예를 들어 PVB 필름으로 제조된 2개의 열가소성 중간 층(2)을 통해 연결된다. 기능성 중간 층(22)은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광학적 투명성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부유 입자 장치(SPD) 층 또는 전기변색 중간 층을 포함한다.
복합 판유리(101)가 예를 들어 모터 차량에서 루프 패널로서 이용되는 경우, 공급선 영역(12)의 길이는 차량의 운전자, 앞좌석 탑승자 또는 뒷좌석 탑승자가 스위칭 영역(10)의 접촉 영역(11)에 편리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복합 판유리(100)에 복수의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이 예를 들어 각 차량 탑승자당 1개씩 배열될 수 있다.
묘사된 예에서는,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의 접촉 영역(11)을 통해 판유리(1)의 내측 판유리 표면(IV)에 접촉할 때 스위칭 신호가 촉발되고 반면에 외측 판유리(4)의 외측 표면(I)에 접촉할 때 스위칭 신호가 촉발되지 않도록 센서 전자 시스템(14)의 구조 및 파인-튜닝이 조율된다. 이것은 차량 외부로부터 복합 판유리(101)의 의도적 또는 우발적 접촉에 의해 스위칭 신호가 촉발될 수 없다는 특별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예를 들어 비 또는 세차에 의해 스위칭 신호의 우발적 촉발이 방지된다.
게다가, 이 예에서는, 접촉 영역(11)을 통해 판유리(1)의 내측 표면(IV)에 (즉, 내측 표면(IV) 상에 접촉 영역(11)의 직교 투영으로부터 얻는 내측 표면(IV)의 영역에) 접촉할 때만 스위칭 신호가 방출되고 공급선 영역(12)을 통해 내측 판유리(1)의 내측 표면(IV)에 접촉할 때는 스위칭 신호가 방출되지 않도록 접촉 영역(11)의 면적, 특히 그의 폭(bB)이 공급선 영역(12)의 폭(bZ)과 조율된다.
도 3a는 내측 판유리(1)의 내측 표면(IV)을 항하여, 즉, 차량 탑승자의 위치로부터 바깥쪽으로 볼 때 앞유리창의 예를 이용하는 복합 판유리(101)의 또 다른 실양태를 묘사한다.
도 3b는 도 3a의 절단선 A-A'에 따르는 단면도를 묘사한다. 도 3a의 복합 판유리(101)의 구조는 예를 들어 도 2a의 복합 판유리(101)의 구조에 상응하고, 여기서는 복합 판유리(101)의 치수가 앞유리창으로서 설치하기 위해 구성될 뿐이다.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은 차량 운전자의 더 좋은 도달성을 위해 중심 시야 외부에서 하부 왼쪽 에지에 배열되었다.
도 4a는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을 갖는 창문 판유리(100)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200)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범례적 실양태의 흐름도를 묘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I. 판유리(1)의 내측 표면(IV) 상에 저-E 코팅(6)을 형성하는 단계,
II. 저-E 코팅(6)을 적어도 1개의 용량성 스위칭 영역(10) 및 적어도 1개의 주위 영역(15)으로 전기적으로 나누는 적어도 1개의 제1 분할선(7)을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패터닝을 통해 또는 기계적 또는 화학적 절제를 통해 도입하는 단계,
III. 저-E 코팅(6)의 주위 영역(15) 및 외측 영역을 전기적으로 나누는 적어도 1개의 제2 분할선(8)을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패터닝을 통해 또는 기계적 또는 화학적 절제를 통해 저-E 코팅(6)에 도입하는 단계.
도 4b는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을 갖는 복합 판유리(101)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범례적 실양태의 흐름도를 묘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I. 판유리(1)의 내측 표면(IV)에 저-E 코팅(6)을 형성하는 단계,
II. 저-E 층(6)을 저-E 코팅(6)의 적어도 1개의 용량성 스위칭 영역(10) 및 적어도 1개의 주위 영역(15)으로 전기적으로 나누는 적어도 1개의 제1 분할선(7)을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패터닝을 통해 또는 기계적 또는 화학적 절제를 통해 도입하는 단계,
III. 저-E 코팅(6)의 주위 영역(15) 및 외측 영역을 전기적으로 나누는 적어도 1개의 제2 분할선(8)을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패터닝을 통해 또는 기계적 또는 화학적 절제를 통해 저-E 코팅(6)에 도입하는 단계,
IV. 판유리(1), 중간 층(2) 및 외측 판유리(4)의 적층 배열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V. 적층 배열물을 라미네이팅하여 복합 판유리(100)를 생성하는 단계.
도 1의 창문 판유리(100) 및 도 2 및 3의 복합 판유리(102)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는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을 가지며, 이것은 예를 들어 용량성 센서 전자 시스템(14)에 연결가능하다. 게다가, 분할선(7)의 낮은 폭 때문에, 창문 판유리 또는 복합 판유리를 통한 조망이 최소한으로만 손상되고, 예를 들어 모터 차량 글레이징의 요건을 충족시킨다.
특히 유리하게 및 놀랍게도, 창문 판유리(100)를 갖는 판유리 배열체(200) 또는 복합 판유리(101)를 갖는 판유리 배열체(201)는 스위칭 절차의 선택적 촉발이 창문 판유리(100) 또는 복합 판유리(101)의 내측 표면(IV)으로부터만 가능하도록 센서 전자 시스템(14)의 감도가 조율되는 것이다.
1: 판유리, 내측 판유리
2: 중간 층
4: 외측 판유리
6: 저-E 코팅
7: 제1 분할선
8: 제2 분할선
10: 용량성 스위칭 영역
11: 접촉 영역
12: 공급선 영역
13: 제1 연결 영역
14: 용량성 센서 전자 시스템
15: 주위 영역
16: 제2 연결 영역
17: 호일 도체
18: 판유리 에지
19: 둥근 도체, 연선 도체
20: 전기선 연결부
21: 발광 다이오드(LED)
22: 기능성 중간 층
30: 무코팅 영역
31: 외측 영역
32: 코팅 에지
100: 창문 판유리
101: 복합 판유리
200, 201: 판유리 배열체
A: 접촉 영역(11)의 면적
bA: 연결 영역(13)의 폭
bB: 접촉 영역(11)의 폭
bZ: 공급선 영역(12)의 폭
d1, d2, d4, d6: 두께
ε0: 전기장 상수
εr,1r,2r,4 : 상대 유전율
u: 주위 영역(15)의 폭,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의 분할선(7)으로부터 주위 영역(15)의 분할선(7)의 거리
lA: 연결 영역(13)의 길이
lB: 접촉 영역(11)의 길이
lZ: 공급선 영역(12)의 길이
t1: 분할선(7)의 폭
A-A': 절단선
B-B': 절단선
Z: 세부사항
I: 외측 판유리(4)의 외측 표면
II: 외측 판유리(4)의 내측 표면
III: 판유리(1) 또는 내측 판유리(1)의 외측 표면
IV: 판유리(1) 또는 내측 판유리(1)의 내측 표면

Claims (15)

  1. - 내측 표면(IV) 및 외측 표면(III)을 갖는 판유리(1),
    - 판유리(1)의 내측 표면(IV)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 저-E 코팅(6),
    - 저-E 코팅(6)의 주위 영역(15)으로부터 적어도 1개의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저-E 코팅(6)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무코팅 제1 분할선(7)으로서, 여기서 주위 영역(15)은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을 적어도 섹션으로, 특히 완전히 둘러싸고,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은 접촉 영역(11), 공급선 영역(12) 및 제1 연결 영역(13)을 가지며, 여기서 공급선 영역(12)은 접촉 영역(11)을 제1 연결 영역(13)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인, 적어도 1개의 무코팅 제1 분할선(7),
    - 저-E 코팅(6)의 외측 영역(31)으로부터 주위 영역(15)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저-E 코팅(6)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무코팅 제2 분할선(8)으로서, 여기서 외측 영역(31)은 주위 영역(15)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둘러싸는 것인, 적어도 1개의 무코팅 제2 분할선(8),
    -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의 제1 연결 영역(13)에, 및 제2 연결 영역(16)을 통해 주위 영역(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용량성 센서 전자 시스템(14)
    을 포함하는 판유리 배열체(101).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분할선(7)과 제2 분할선(8) 사이의 최단 거리가 0.1 mm 내지 200 c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100 mm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11 mm의 범위인 판유리 배열체(10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분할선(7)과 제2 분할선(8) 사이의 최단 거리가 접촉 영역(11) 및/또는 공급선 영역(12) 및/또는 연결 영역(13)을 둘러싸는 제2 분할선(8)의 섹션에서 불변하는 것인 판유리 배열체(10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분할선(8)이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을 프레임 형태로 둘러싸는 것인 판유리 배열체(10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급선 영역(12)의 길이(lZ)가 1 cm 내지 70 c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12 cm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3 cm 내지 8 cm의 범위이고, 길이(lZ)에 수직으로 측정되는 공급선 영역(12)의 폭(bZ)이 0.5 mm 내지 10 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2 mm의 범위이고, 공급선 영역(12)의 폭(bZ) 대 길이(lZ)의 비가 1:7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100 이하인 판유리 배열체(10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영역(11)이 1 cm 내지 14 c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3 cm의 범위의 길이(lB)를 가지며, 길이(lB)에 수직으로 측정되는 접촉 영역의 최대 폭(bB)이 1 cm 내지 14 c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3 cm의 범위인 판유리 배열체(101).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공급선 영역(12)의 폭(bZ) 대 접촉 영역(11)의 최대 폭(bB)의 비가 적어도 1: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0인 판유리 배열체(10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급선 영역(12)이 직사각형, 스트립형 또는 선형인 판유리 배열체(10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영역(11)이 원형, 타원형 또는 액적형인 판유리 배열체(101).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영역(11)이, 바람직하게는 라운딩된 코너를 갖는 각진 형상을 가지며, 코너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 mm의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인 판유리 배열체(10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영역(11)이 1 ㎠ 내지 200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9 ㎠의 범위의 면적을 갖는 것인 판유리 배열체(10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분할선(7)의 폭(t1) 및/또는 제2 분할선(8)의 폭이 30 ㎛ 내지 200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70 ㎛ 내지 140 ㎛의 범위인 판유리 배열체(10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유리(1)가 복합 판유리(110)의 내측 판유리(1)이고, 여기서 복합 판유리(110)는, 외측 표면(I) 및 내측 표면(II)을 갖는 외측 판유리(2) 및 상기 외측 판유리(2)의 내측 표면(II)을 내측 판유리(1)의 외측 표면(III)에 면결합으로 결합시키는 적어도 1개의 중간 층(2)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판유리 배열체(101).
  14. 제13항에 있어서, 센서 전자 시스템(14)의 감도는, 사람 손가락에 의해 내측 판유리(1)의 내측 표면(IV) 및/또는 외측 판유리(2)의 외측 표면(I) 상에서 접촉 영역(11)이 접촉될 때는 센서 전자 시스템이 스위칭 신호를 방출하고, 내측 판유리(1)의 내측 표면(IV) 및/또는 외측 판유리(2)의 외측 표면(I) 상에서 공급선 영역(12)이 접촉될 때는 센서 전자 시스템이 스위칭 신호를 방출하지 않거나 또는 상이한 스위칭 신호를 방출하도록 선택되는 것인 판유리 배열체(101).
  15. (a) 판유리(1)의 내측 표면(IV)에 저-E 코팅(6)을 형성하는 단계,
    (b) 저-E 코팅(6)을 적어도 1개의 용량성 스위칭 영역(10) 및 적어도 1개의 주위 영역(15)으로 전기적으로 나누는 적어도 1개의 제1 분할선(7)을,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패터닝을 통해 또는 기계적 또는 화학적 절제를 통해 저-E 코팅(6)에 도입하는 단계,
    (c) 저-E 코팅(6)의 주위 영역(15) 및 외측 영역(31)을 전기적으로 나누는 적어도 1개의 제2 분할선(8)을,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패터닝을 통해 또는 기계적 또는 화학적 절제를 통해 저-E 코팅(6)에 도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101)의 제조 방법.
KR1020187004012A 2015-08-18 2016-08-18 저-e 코팅 및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판유리를 포함하는 판유리 배열체 KR102035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81324.3 2015-08-18
EP15181324 2015-08-18
PCT/EP2016/069660 WO2017029384A1 (de) 2015-08-18 2016-08-18 Scheibenanordnung mit scheibe mit low-e-beschichtung und kapazitivem schaltberei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212A true KR20180033212A (ko) 2018-04-02
KR102035948B1 KR102035948B1 (ko) 2019-11-08

Family

ID=5407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012A KR102035948B1 (ko) 2015-08-18 2016-08-18 저-e 코팅 및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판유리를 포함하는 판유리 배열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523201B2 (ko)
EP (1) EP3338367B1 (ko)
JP (1) JP6682618B2 (ko)
KR (1) KR102035948B1 (ko)
CN (1) CN106664089B (ko)
CA (1) CA2993741A1 (ko)
ES (1) ES2837118T3 (ko)
HU (1) HUE052105T2 (ko)
MX (1) MX2018001949A (ko)
PL (1) PL3338367T3 (ko)
RU (1) RU2702509C2 (ko)
WO (1) WO20170293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E052105T2 (hu) 2015-08-18 2021-04-28 Saint Gobain Ablaktábla-kialakítás kapacitív tartománnyal és low-E réteggel rendelkezõ ablaktáblával
EP3264241A1 (en) * 2016-06-29 2018-01-03 Saint-Gobain Glass France Lighting laminated glazing with a capacitive touch sensitive device and a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manufacturing
US10919473B2 (en) 2017-09-13 2021-02-16 Corning Incorporated Sensing system and glass material for vehicles
US10901543B1 (en) * 2017-09-29 2021-01-26 Apple Inc. Touch screen with transparent electrode structure
EP3917773A1 (de) 2019-01-30 2021-12-08 Saint-Gobain Glass France Verbundscheibe mit elektrisch steuerbaren optischen eigenschaften und verbundscheibenanordnung
EP3922392A4 (en) * 2019-02-08 2022-12-07 Nippon Sheet Glass Company, Limited GLASS PLATE MODULE
TR201911792A2 (tr) * 2019-08-02 2021-02-22 Mustafa Aydeskin Low-e cam ile aydınlatma ve anahtarlama yapılması
CN115643818A (zh) 2020-02-07 2023-01-24 法国圣戈班玻璃厂 具有电容性开关区域的玻璃板装置
CN115643801A (zh) 2020-02-07 2023-01-24 法国圣戈班玻璃厂 具有电容性开关区域的玻璃板装置
CN117136137A (zh) 2022-03-14 2023-11-28 法国圣戈班玻璃厂 具有集成光源的交通工具天窗玻璃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2453A (ko) * 2009-12-11 2012-10-11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가열가능한 통신창을 구비한 코팅된 디스크
WO2013053611A1 (de) * 2011-10-10 2013-04-18 Saint-Gobain Glass France Elektrochrome isolierverglasung mit sensorschaltfläche
US20150227229A1 (en) * 2013-10-18 2015-08-13 Synaptics Incorporated Sensor matrix pad for performing multiple capacitive sensing technique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7220C2 (de) 1997-06-26 1999-08-26 Captron Elect Gmbh Schaltungsanordnung für einen kapazitiven Schalter
US6452514B1 (en) 1999-01-26 2002-09-17 Harald Philipp Capacitive sensor and array
FR2799005B1 (fr) 1999-09-23 2003-01-17 Saint Gobain Vitrage Vitrage muni d'un empilement de couches minces agissant sur le rayonnement solaire
FR2859525B1 (fr) 2003-09-09 2006-06-02 Delphi Tech Inc Commutateur capacitif glissant
JP2006196802A (ja) * 2005-01-17 2006-07-27 Sony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BE1016680A3 (fr) * 2005-07-13 2007-04-03 Glaverbel Vitrage comportant un detecteur de pluie capacitif.
DE202006006192U1 (de) 2006-04-18 2006-07-27 Captron Electronic Gmbh Türbetätigungstaster
CN201060480Y (zh) * 2007-03-09 2008-05-14 洋华光电股份有限公司 复合式触控感应装置
GB0705120D0 (en) * 2007-03-16 2007-04-25 Pilkington Group Ltd Vehicle glazing
GB0712826D0 (en) * 2007-07-03 2007-08-08 Pilkington Group Ltd RF interference reduction for functional glazings
GB0721682D0 (en) * 2007-11-05 2007-12-19 Pilkington Automotive D Gmbh Wired glazing
FR2927897B1 (fr) 2008-02-27 2011-04-01 Saint Gobain Vitrage antisolaire presentant un coefficient de transmission lumineuse ameliore.
FR2931147B1 (fr) 2008-05-19 2010-11-19 Saint Gobain Vitrage muni d'un empilement de couches minces
ES2374685T3 (es) 2008-06-25 2012-02-21 Atec Holding Ag Dispositivo de estructuración de un módulo solar.
EP2200097A1 (en) 2008-12-16 2010-06-23 Saint-Gobain Glass France S.A.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voltaic device and system for patterning an object
DE202009017952U1 (de) 2009-09-25 2010-09-23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erglasung mit integrierter Schaltvorrichtung
EP2405708A1 (de) 2010-07-07 2012-01-11 Saint-Gobain Glass France Transparente Scheibe mit heizbarer Beschichtung
KR101676233B1 (ko) 2012-03-05 2016-11-14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열 복사선을 반사하는 코팅을 갖는 시트
RU2507563C1 (ru) * 2012-08-21 2014-02-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Промышленная группа "Метран" Конструкция емкостной кнопки
ES2717014T3 (es) 2012-12-06 2019-06-18 Saint Gobain Acristalamiento con propiedades ópticas conmutables eléctricamente
KR101728620B1 (ko) 2013-02-20 2017-04-19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열 복사선 반사 코팅을 갖는 판유리
HUE054328T2 (hu) 2013-02-20 2021-09-28 Saint Gobain Üveglap hõsugárzást visszaverõ bevonattal
BE1024023B1 (fr) 2013-03-04 2017-10-30 Agc Glass Europe Toit de véhicule
BE1021369B1 (fr) * 2013-12-13 2015-11-09 Agc Glass Europe Toit de vehicule vitre
KR101986031B1 (ko) * 2015-01-20 2019-06-04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복합 판유리
US10484278B2 (en) 2015-03-18 2019-11-19 Fortinet, Inc. Application-based network packet forwarding
HUE052105T2 (hu) 2015-08-18 2021-04-28 Saint Gobain Ablaktábla-kialakítás kapacitív tartománnyal és low-E réteggel rendelkezõ ablaktábláv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2453A (ko) * 2009-12-11 2012-10-11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가열가능한 통신창을 구비한 코팅된 디스크
WO2013053611A1 (de) * 2011-10-10 2013-04-18 Saint-Gobain Glass France Elektrochrome isolierverglasung mit sensorschaltfläche
US20150227229A1 (en) * 2013-10-18 2015-08-13 Synaptics Incorporated Sensor matrix pad for performing multiple capacitive sensing techn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52105T2 (hu) 2021-04-28
JP2018537697A (ja) 2018-12-20
JP6682618B2 (ja) 2020-04-15
CA2993741A1 (en) 2017-02-23
CN106664089B (zh) 2021-06-22
KR102035948B1 (ko) 2019-11-08
US20180175857A1 (en) 2018-06-21
RU2018109370A3 (ko) 2019-09-19
RU2702509C2 (ru) 2019-10-08
CN106664089A (zh) 2017-05-10
WO2017029384A1 (de) 2017-02-23
ES2837118T3 (es) 2021-06-29
US10523201B2 (en) 2019-12-31
RU2018109370A (ru) 2019-09-19
PL3338367T3 (pl) 2021-04-19
EP3338367A1 (de) 2018-06-27
EP3338367B1 (de) 2020-09-23
MX2018001949A (es) 201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5948B1 (ko) 저-e 코팅 및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판유리를 포함하는 판유리 배열체
KR102179326B1 (ko)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가열가능한 복합 판유리를 갖는 판유리 어셈블리
US10525673B2 (en) Composite pane with a capacitive switching zone
JP6717956B2 (ja) 容量性スイッチ領域を有している電気的に加熱可能な複合ペイン
US11214042B2 (en) Pane arrangement comprising a composite pane having an extended capacitive switching region
US11648753B2 (en) Window pane having a capacitive switching region for contactlessly controlling a function
KR20140099548A (ko) 도전성 코팅을 갖는 투명한 창유리
CA3015171A1 (en) Laminated glass pane having a sensor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d glass pane having a sens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