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2090A -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090A
KR20180032090A KR1020160120826A KR20160120826A KR20180032090A KR 20180032090 A KR20180032090 A KR 20180032090A KR 1020160120826 A KR1020160120826 A KR 1020160120826A KR 20160120826 A KR20160120826 A KR 20160120826A KR 20180032090 A KR20180032090 A KR 20180032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rfactant
cosmetic composition
glucoside
polyglycer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8477B1 (ko
Inventor
황준영
백병열
윤진영
안순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120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477B1/ko
Priority to TW106132236A priority patent/TWI765911B/zh
Priority to PCT/KR2017/010287 priority patent/WO2018056684A1/ko
Priority to CA3051394A priority patent/CA3051394A1/en
Priority to US16/471,626 priority patent/US11318074B2/en
Publication of KR20180032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4Alkylpolyglycosides;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1Emulsions characterized by droplet sizes below 1 micr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도가 높은 액상 타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을 포함하여 보습력 및 유연감이 우수하면서도, 투명 또는 반투명한 외관을 가지며 낮은 점성 및 가벼운 질감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감이 우수하며 고보습력을 갖는 스킨 또는 에센스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OIL-IN-WATER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오일을 조성물 내 3 중량% 이상 포함하여 우수한 보습력 및 유연감을 나타내면서도, 점도가 낮아 질감이 가볍고, 투명도가 높은 액상 타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화 화장료 제품은 유상(oil phase)과 수상(water phase)을 동시에 포함하여 양자의 장점을 모두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장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차별화된 외관으로 소비자의 미감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투명한 외관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투명한 제형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유상과 수상의 굴절률을 비슷하게 조절하는 방법,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높여 마이크로에멀젼을 만드는 방법 등이 보고되었다.
수상과 유상의 굴절율을 조절하여 투명하거나 반투명의 에멀젼을 제조하는 방법은 수상과 유상의 굴절률 차이가 0.005 이하일 때만 투명한 제형이 제조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수상의 주성분인 물과 유상의 주성분인 오일의 굴절율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수상과 유상의 굴절율의 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오일 중에서도 비교적 굴절율이 낮은 오일을 선택하여야 하며, 또 수상에는 비교적 굴절율이 큰 글리세린, 지방산 등을 첨가하여야 한다. 그러나, 수상에 사용한 이들 성분들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화 안정도가 나빠지고, 불투명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높여 마이크로에멀젼을 만드는 방법의 경우 다량의 계면활성제가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스킨케어 제품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피부 도포 시 보습감 및 유연감을 부여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오일을 포함하면서도, 투명도가 우수한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95724호, 투명한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자들은 스킨과 같은 액상 제품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도록 묽은 점도를 가지며, 충분한 보습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오일을 포함하면서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외관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일을 포함하며 투명도가 높고 점도가 낮은 액상 타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가 알코올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에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부가 분산되고,
에멀젼 입자의 평균 크기가 200 nm 이하이며, 점도가 1000 cp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을 포함하여 보습력 및 유연감이 우수하면서도, 투명 또는 반투명한 외관을 가지며 낮은 점성 및 가벼운 질감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감이 우수하며 고보습력을 갖는 스킨 또는 에센스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4의 화장료 조성물의 외관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가 알코올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에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부가 분산되고,
에멀젼 입자의 평균 크기가 200 nm 이하이며, 점도가 1000 cp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고압 유화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이로 인하여 오일이 포함된 에멀젼이 조성물 내에 나노 크기의 미세 입자로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고보습력을 갖는 오일을 3 중량% 이상 포함함에도 투명 또는 반투명한 외관을 나타내며, 점성이 낮고 가벼운 질감을 가져 스킨이나 에센스와 같은 액상 제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1000 cps 이하의 점도를 가지며, 바람직하기로 100 cps 이하, 보다 바람직하기로 50 cps 이하의 점도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저점도로 제조되어, 본 발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시 산뜻하고 가벼운 느낌을 나타내며, 스킨 또는 미용액(에센스)과 같이 가벼운 질감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일을 포함하여, 피부에 도포 시 유연한 감촉을 나타내며 피부 보습 능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오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미네랄 오일, 이소헥사데칸, 이소데칸, 운데칸, 스쿠알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스쿠알란, 세레신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메도우폼씨오일, 해바라기씨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녹차씨오일, 생강 오일, 인삼 오일,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및 동백오일을 포함하는 천연 오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메칠헵틸이소스테아레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터계 오일; 디카프릴릴에테르를 포함하는 에테르계 오일; 및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페닐트리메치콘, 트리실록산 및 메칠트리메치콘을 포함하는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일은 바람직하기로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에스터계 오일, 천연 오일 및 실리콘 오일의 혼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로서 스쿠알란, 에스터계 오일로서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실리콘 오일로서 디메치콘을 4~6:3~5: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오일은 바람직하기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의 3 내지 10 중량% 범위로 포함된다. 만일, 조성물 내 오일이 3 중량% 미만이면 피부 보습 능력이 떨어지게 되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화장료 조성물이 투명한 외관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점도가 증가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서, 오일을 포함하는 에멀젼 입자는 200nm 이하, 바람직하기로 15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기로 110nm 이하의 입도로 조성물 내에 분산되며, 이에 따라 제조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외관을 나타낸다. 이러한 미세 입자는 분산성이 우수하여, 장시간 보관 시에도 입자가 서로 융합되지 않으며 입도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에멀젼 입자를 상기와 같은 나노 크기로 형성시키고, 조성물 내에 보다 안정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기로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이며, 이러한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 알킬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 및 메칠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는 친수부가 커 효과적으로 계면막을 패킹할 수 있고, 상기 알킬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는 HLB 값이 9 ~ 19로 높아 입도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낮춰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칠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는 메칠 글루코사이드, 스테아릭애씨드의 모노에스터 및 디에스터의 혼합물로서, 오일 입자를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1종만 사용하는 것보다는, 서로 다른 종류를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혼합 사용할 경우 유용성 입자를 더 작게 만들 수 있고, 장기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로는 폴리글리세릴-3 메칠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알킬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로는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데실 글루코사이드, 코코-글루코사이드, C12-20 알킬 글루코사이드, C10-16 알킬 글루코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로서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 중 1종, 알킬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 중 1종 및 메칠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릴-3 메칠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및 메칠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 및 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기로 10~15:3~7:1 보다 바람직하기로 11~13:4~6:1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기로 계면활성제를 제외한 유상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된다. 만일,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조성물 내 에멀젼 입자의 안정도가 감소하여 현탁화 되거나,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나 목적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에멀젼 입자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조성물의 투명도를 유지하게 하기 위하여 다가 알코올을 포함한다. 다가 알코올은 분자 내 수산화기(-OH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기로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에 포함된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솔비톨, 글리콜, 글리세린,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3-부틸렌글리콜,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1,2-옥탄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 중 바람직하기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다가 알코올은 상기한 효과를 확보하기 위하여 조성물 총 중량의 3 내지 50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기로 10 내지 30 중량%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화장료 제조 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에탄올, 추출물, 기능성 효능 성분, 색소, 향료, 점증제, 방부제 등의 보조 성분을 적정량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도, 겔화제, 수용성 고분자(동식물계, 미생물계, 합성계),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항균제, 청량제, 보습제, 항염증제, 미백제, 세포 부활제, 거친 피부 개선제, 혈액 순환 촉진제, 피부 수렴제, 자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로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수용성 성분은 수상부에, 유용성 성분은 유상부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오일이 나노 크기로 조성물 내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고압유화법에 의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본 발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다가 알코올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제조한다. 이때, 수상부의 제조는 온도 조절 및 교반이 가능한 진공 유화조에서 수행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교반하거나, 50 내지 80 ℃로 가열하며 진행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제조한다. 유상부의 제조방법은 상기 수상부의 제조방법과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교반 또는 가열을 수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상부에 유상부를 첨가하여 프리에멀젼을 제조한다. 프리에멀젼의 제조는 진공 유화조 내에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2000 내지 4000 rpm 속도로 3 내지 10분간 교반을 수행하여 진행되며, 이로써 입도가 비교적 큰 에멀젼을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프리에멀젼의 온도를 40 내지 60 ℃로 낮추고, 고압유화법에 의하여 나노 크기의 에멀젼을 제조한다.
상기 고압유화법은 마이크로플루다이저(Microfluidizer)와 같은 고압유화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1000 ~ 1500 기압에서 전단(shear)를 가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에멀젼의 평균 입도가 200nm 이하를 만족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한 외관을 나타내며, 저점도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장수, 미용액(에센스), 마사지료, 팩료, 핸드겔, 보디겔 등의 스킨케어용 화장료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1: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이때, 오일(원료 5)로는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에스터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의 혼합물(하이드로카본계 오일(Squalane) : 에스터계 오일(cetyl ethylhexanoate) : 실리콘 오일(dimethicone) = 5:4:1)을 사용하였으며, 다가 알코올(원료 7)로는 글리세린 : 1,3-부틸렌글리콜 = 1:1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순번 성분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폴리글리세릴-3 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1.20 0.66 2.00 1.20 1.20 0.30 3.0 1.20
3 메칠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 0.10 0.06 0.17 0.10 0.10 0.10 0.10 0.10
4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0.50 0.28 0.83 0.50 0.50 0.50 0.50 0.50
5 오일 5.00 5.00 5.00 0.50 15.00 5.00 5.00 5.00
6 방부제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7 다가알코올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8 에탄올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제조 방법 고압 유화 고압 유화 고압 유화 고압 유화 고압 유화 고압 유화 고압 유화 일반 유화
<제조방법>
(1) 일반 유화
상기 표 1의 원료 1 및 6~8을 70 ℃에서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고, 별도의 용기에 원료 2~5를 70 ℃에서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였다. 상기 수상부에 유상부를 첨가하고 호모 믹서로 교반하여 수중유형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2) 고압 유화
상기 일반 유화법에 의하여 제조된 에멀젼을 탈기한 뒤 M-110EH-30 Microfluidizer® Processor(Microfluidics社)를 이용해 1,000bar에서 3 Cycle 이상 압력을 가하여 최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물성 평가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안정도, 입도 등 물성을 하기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점도 측정
점도는 Brookfield Viscometer LVDV-II(Spindle No.2, 12rpm, 2mi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안정도 측정
각 화장료 조성물을 45℃, 4℃, 및 -10℃ 항온조에서 4주간 보관하면서, 성분 분리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3) 입도 측정
Malvern Zen 3600 Zetasizer 를 이용하여 각 화장료 조성물에 분산된 에멀젼 입자의 입도를 측정하였다.
성분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외관 투명 투명 투명 반투명 현탁 현탁 현탁 현탁
점도 <50cps <50cps <50cps <50cps
안정도 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분리)
불안정
(분리)
불안정
(분리)
불안정
(크리밍)
불안정
(분리)
에멀젼입도 60nm 109nm 98nm 149nm >1000nm >1000nm 423nm >1000nm
표 2를 참조하면, 오일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의 10% 이내이고,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계면활성제를 제외한 유상부(오일) 100 중량부에 대해 2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될 때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투명한 외관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의 경우 현탁도(Turbidimeter HI98703)가 120NTU~ 310NTU 범위로 확인되었다.
또한, 고압유화법에 의하여 화장료 조성물 제조 시, 상기와 같은 오일 및 계면활성제 함량 범위 내에서 에멀젼의 입도가 200nm 이하로 얻어지며, 이에 따라 제형 안정성 또한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보습력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성인 남성의 전박에 상기 화장료 조성물 각각을 도포하고, 도포 전, 후의 피부의 수분량을 Corneometer CM825 WL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도포 후 6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도포 직후와 비교하여 82% 이상 수분량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반면, 오일의 함량이 적은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량 유지율이 59%로, 실시예 1과 비교하여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낮은 점도의 가벼운 질감으로 구현되면서도 우수한 보습력을 확보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관능 평가
25~35세의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각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성분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유연감 +++ +++ +++ + ++++ ++ ++++ +++
발림성 ++++ ++++ +++ +++ ++ + + ++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감 및 발림성에서 모두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오일의 함량이 적은 비교예 1의 경우는 유연감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2 내지 5의 경우 오일의 입도가 커서 발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3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고압유화법에 의해 제조되어 조성물 내 에멀젼 입자가 200nm 이하의 입도를 나타내는 바, 제형 내 안정성이 우수하며, 투명한 외관 및 저점도를 가지고, 우수한 보습력, 유연감 및 발림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또는 에센스 형태의 제품에 적용되기 적합하다.

Claims (11)

  1. 다가 알코올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에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부가 분산되어 있는 에멀젼 입자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입자는 평균 크기가 200 nm 이하이며, 점도가 1000 cp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미네랄 오일, 이소헥사데칸, 이소데칸, 운데칸, 스쿠알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스쿠알란, 세레신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메도우폼씨오일, 해바라기씨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녹차씨오일, 생강 오일, 인삼 오일,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및 동백오일을 포함하는 천연 오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메칠헵틸이소스테아레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터계 오일; 디카프릴릴에테르를 포함하는 에테르계 오일; 및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페닐트리메치콘, 트리실록산 및 메칠트리메치콘을 포함하는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의 3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로서,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 알킬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 및 메칠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3 메칠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 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는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데실 글루코사이드, 코코-글루코사이드, C12-20 알킬 글루코사이드 및 C10-16 알킬 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3 메칠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 메칠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 및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를 제외한 유상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솔비톨, 글리콜, 글리세린,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3-부틸렌글리콜,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1,2-옥탄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의 3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액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20826A 2016-09-21 2016-09-21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598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826A KR102598477B1 (ko) 2016-09-21 2016-09-21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TW106132236A TWI765911B (zh) 2016-09-21 2017-09-20 水包油化妝品組成物
PCT/KR2017/010287 WO2018056684A1 (ko) 2016-09-21 2017-09-20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A3051394A CA3051394A1 (en) 2016-09-21 2017-09-20 Oil-in-water form cosmetic composition
US16/471,626 US11318074B2 (en) 2016-09-21 2017-09-20 Oil-in-water form cosmetic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826A KR102598477B1 (ko) 2016-09-21 2016-09-21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090A true KR20180032090A (ko) 2018-03-29
KR102598477B1 KR102598477B1 (ko) 2023-11-06

Family

ID=6169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826A KR102598477B1 (ko) 2016-09-21 2016-09-21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18074B2 (ko)
KR (1) KR102598477B1 (ko)
CA (1) CA3051394A1 (ko)
TW (1) TWI765911B (ko)
WO (1) WO201805668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645B1 (ko) * 2019-05-24 2020-06-22 채희주 영양조절능력과 수분조절능력을 갖는 토양개량제
KR20200111493A (ko) 2019-03-19 2020-09-29 (주)아모레퍼시픽 순간유화를 통해 고함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듀얼 화장품
KR102203168B1 (ko) * 2020-08-19 2021-01-15 주식회사 바이오뷰텍 고 에탄올 함유 수중유적형 유화겔크림의 제조방법
KR20210010107A (ko) 2019-07-19 2021-01-27 주식회사 케이씨씨 친환경 실리콘 에멀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20011681A (es) 2018-05-04 2022-10-1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Composiciones de limpieza.
CN115501123A (zh) * 2022-10-20 2022-12-23 上海家化联合股份有限公司 稳态双层型化妆水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2603A (ko) * 2002-10-09 2005-06-23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점착성이 감소된 화장 조성물
KR101295724B1 (ko) 2011-10-17 2013-08-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투명한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6843A (ko) *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4389C2 (nl) 2000-02-15 2001-08-16 Dija Zeist Bv Bruiningspreparaat voor de huid.
KR101342072B1 (ko) 2007-03-19 2013-12-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퍼프 사용에 적합한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그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EP2167023A2 (de) * 2007-06-19 2010-03-31 Cognis IP Management GmbH Kohlenwasserstoff gemische und ihre verwendung
KR101259452B1 (ko) 2010-10-18 2013-04-29 (주) 바이오앤텍 나노에멀젼 유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81566B1 (ko) 2010-10-25 2017-09-27 (주)아모레퍼시픽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를 단독 유화제로 사용한 나노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90713B1 (ko) 2010-12-21 2015-02-06 (주)아모레퍼시픽 제형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저점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30011800A (ko) * 2011-07-22 2013-01-30 코웨이 주식회사 피부 유사 지질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753466B2 (ja) 2011-09-14 2015-07-22 株式会社 資生堂 液状化粧料
KR20130051705A (ko) 2011-11-10 2013-05-21 코웨이 주식회사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나노 에멀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998B1 (ko) 2012-10-12 2019-08-27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유화제를 사용하는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6655A (ko) 2014-04-08 2015-10-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난용성 기능성 성분을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98806B1 (ko) * 2015-03-31 2021-09-07 (주)아모레퍼시픽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2603A (ko) * 2002-10-09 2005-06-23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점착성이 감소된 화장 조성물
KR101295724B1 (ko) 2011-10-17 2013-08-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투명한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6843A (ko) *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493A (ko) 2019-03-19 2020-09-29 (주)아모레퍼시픽 순간유화를 통해 고함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듀얼 화장품
KR102125645B1 (ko) * 2019-05-24 2020-06-22 채희주 영양조절능력과 수분조절능력을 갖는 토양개량제
KR20210010107A (ko) 2019-07-19 2021-01-27 주식회사 케이씨씨 친환경 실리콘 에멀젼
KR102203168B1 (ko) * 2020-08-19 2021-01-15 주식회사 바이오뷰텍 고 에탄올 함유 수중유적형 유화겔크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65911B (zh) 2022-06-01
US20190365613A1 (en) 2019-12-05
CA3051394A1 (en) 2018-03-29
US11318074B2 (en) 2022-05-03
KR102598477B1 (ko) 2023-11-06
WO2018056684A1 (ko) 2018-03-29
TW201813621A (zh) 201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8074B2 (en) Oil-in-water form cosmetic composition
KR102237462B1 (ko)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3863111B2 (ja) 半透明のナノエマルジョン、その製造方法及び、化粧品、皮膚科、及び/または眼科におけるその使用
KR102298806B1 (ko)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689639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101507090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젤 타입의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
EP2617410B1 (en) Oil-in-water type cosmetic
KR20120039863A (ko) 나노에멀젼 유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22677B1 (ko) 고내상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6842A (ko) 점증제 없이 점도 및 경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US20210220234A1 (en) Nano-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In Which High Content Oils Are Stabilized
KR102625672B1 (ko)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3954B1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620294B1 (ko) 실온 충진이 가능한 고경도 화장료 조성물
JP2001303020A (ja) 透明液状組成物
KR102309639B1 (ko) 고함량 오일을 함유하는 안정한 수중유형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6778A (ko) 고함량 오일을 안정화시킨 반투명 수중유형(o/w)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9116452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エアゾル化粧料
CN106102698B (zh) 包含表面活性剂和亲水性活性成分的组合物
KR101952582B1 (ko)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4666955B2 (ja) 美白用乳化化粧料
JP6571001B2 (ja) 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81622B1 (ko) 쌀겨왁스의 안정화 방법 및 고 함량의 쌀겨왁스를 안정화한 나노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685692B2 (ja) 皮膚外用剤
WO2023118915A1 (en) Oil-in-water emul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