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2074A - 중심축 이동형 활차 및 이를 이용한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심축 이동형 활차 및 이를 이용한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32074A KR20180032074A KR1020160120788A KR20160120788A KR20180032074A KR 20180032074 A KR20180032074 A KR 20180032074A KR 1020160120788 A KR1020160120788 A KR 1020160120788A KR 20160120788 A KR20160120788 A KR 20160120788A KR 20180032074 A KR20180032074 A KR 201800320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tension
- wire
- center shaft
- central axis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1481 Pathologic Constri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23 data manag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62 sten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804 ste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06—Power actuated devices operating on ropes, cables, or chains for hauling in a mainly horizontal direc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08—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using fluid mea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연선공사 중 적정 전선장력 유지 여부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도 2는 전선 연선구간을 보인 개략도.
도 3은 연선차를 보인 사진.
도 4는 연선작업시 전선장력 유지 불가로 인한 전선 손상을 보인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도 6은 도 5의 외부기기(스마트폰)에 적용된 전선장력 데이터 관리 전용 어플 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도 5의 작동을 수행하는 중심축 이동형 활차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중심축 이동형 활차의 정면도.
도 9은 도 7의 중심축 이동형 활차의 A-A 단면도.
도 10는 도 7의 중심축 이동형 활차의 축지지 가이드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도 7의 중심축 이동형 활차가 작동하여 전선장력을 검출하고 경보를 발생하는 원리를 보인 도면.
도 12은 도 11에서 축지지 가이드가 이동하여 전선장력 검출부가 동작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3는 도 11에 적용되는 음향 발생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
11: 메인 프레임 13: 이동공
15: 연결공 17: 고정공
19: 고리부 21: 중심축
23: 휠 25: 홈
31: 축지지 가이드 33: 결합공
35: 걸림공 37: 가이드 돌기
39: 안내공 40: 전선장력 검출부(유압기)
41: 피스톤 로드 43: 유압기 본체
50: 전선장력 연산부 51: A/D변환부
53: 저장부 55: 장력 변환부
60: 송출부 70: 외부기기(스마트폰)
80: 전원부 90: 음향 발생부
91: 라쳇트 93: 음향판
94: 결합부 22,95: 너트
Claims (24)
- 전선장력 발생시 중심축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중심축 이동형 활차;
상기 중심축의 하부 방향 이동을 감지하는 전선장력 검출부;및
상기 전선장력 검출부가 감지한 결과를 근거로 전선장력을 산출하는 전선장력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선장력 연산부가 산출한 전선장력을 통신부를 통해 외부기기로 실시간 송출하는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전선장력을 수치 또는 그래프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 이동형 활차는
외주면을 따라 전선이 접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전선 연선작업시 전선의 이동에 따라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된 휠;
상기 중심축이 지지되며 상기 중심축의 하부 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이동공이 형성된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 이동형 활차는
상기 휠과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고 양단이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며 상기 중심축의 하부 방향 이동시 함께 이동하여 상기 중심축의 하부 방향 이동을 상기 전선장력 검출부에 전달하는 'ㄷ' 자 형상의 축지지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 가이드는 양측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고 하부 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연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선장력 검출부는
상기 중심축의 하부 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이동에 따라 내부압력이 상승하는 유압기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선장력 연산부는
상기 유압기 본체 내부압력을 수신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시킨 후, 상기 변환한 디지털 값을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전선장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이 설정치 이상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음향 경보를 발생하는 음향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부는
상기 중심축에 설치되는 라쳇트와,
상기 중심축의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중심축이 설정치 이상 이동하면 상기 라쳇트에 걸려 음향 경보가 발생되는 음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의 하부 방향 이동은 설정치 이상의 전선장력 발생시 수행되고,
상기 설정치는 상기 전선장력 검출부에 세팅된 전선장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 휠에 접하는 전선장력에 의해 상기 휠의 중심축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중심축 이동형 활차; 및
상기 중심축 이동형 활차에 구비되어 상기 중심축 이동을 감지하여 전선장력을 검출하는 전선장력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선장력 검출부는 상기 휠의 중심축 하부 방향 이동에 따라 피스톤 로드가 눌러져 내부압력이 상승하는 유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휠의 중심축 이동이 설정치 이상일 때, 음향 경보를 발생하는 음향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부는
상기 중심축에 설치되는 라쳇트와
상기 라쳇트의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중심축이 설정치 이상 이동하면 상기 라쳇트에 걸려 음향 경보가 발생되는 음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선장력 검출부가 감지한 결과를 근거로 전선장력을 산출하는 전선장력 연산부와
상기 전선장력 연산부가 산출한 전선장력을 통신부를 통해 외부기기로 실시간 송출하는 송출부와,
상기 송출부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된 전선장력을 수치 또는 그래프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 철탑에 고정하기 위한 고리부가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중심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전선이 접하는 홈이 형성되어 전선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휠;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을 지지하며 상기 휠에 전선장력 제공시 상기 중심축의 하부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공; 및
상기 휠의 하부로 배치되고 상기 중심축의 하부 방향 이동시 하부 방향으로 눌러져 전선장력을 감지하고 상기 전선장력이 제거되면 상기 휠을 밀어올려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전선장력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 이동형 활차.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전선장력 검출부는
상기 중심축의 하부 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이동에 따라 내부압력이 상승하는 유압기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 이동형 활차.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휠과 메인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며 하부면이 상기 피스톤 로드와 고정되어 상기 중심축의 하부 방향 이동시 함께 이동하여 상기 중심축의 하부 방향 이동을 상기 유압기에 전달하는 'ㄷ' 자 형상의 축지지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 이동형 활차.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 가이드는 양측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고 하부 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연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 이동형 활차.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이 설정치 이상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음향 경보를 발생하는 음향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 이동형 활차. -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부는
상기 중심축에 설치되는 라쳇트와,
상기 라쳇트의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중심축이 설정치 이상 이동하면 상기 라쳇트에 걸려 음향 경보가 발생되는 음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 이동형 활차.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전선장력 검출부가 감지한 결과를 근거로 전선장력을 산출하는 전선장력 연산부와,
상기 전선장력 연산부가 산출한 전선장력을 통신부를 통해 외부기기로 실시간 송출하는 송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 이동형 활차.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의 하부 방향 이동은 설정치 이상의 전선장력 발생시 수행되고,
상기 설정치는 상기 전선장력 검출부에 세팅된 전선장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 이동형 활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0788A KR101871051B1 (ko) | 2016-09-21 | 2016-09-21 | 중심축 이동형 활차 및 이를 이용한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0788A KR101871051B1 (ko) | 2016-09-21 | 2016-09-21 | 중심축 이동형 활차 및 이를 이용한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2074A true KR20180032074A (ko) | 2018-03-29 |
KR101871051B1 KR101871051B1 (ko) | 2018-06-25 |
Family
ID=61907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0788A Active KR101871051B1 (ko) | 2016-09-21 | 2016-09-21 | 중심축 이동형 활차 및 이를 이용한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105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8306B1 (ko) | 2019-10-08 | 2021-03-17 | 한국전력공사 | 철탑간 전선 설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KR20210154456A (ko) * | 2020-06-12 | 2021-12-21 | 한국전력공사 | 가공송전선로용 활차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29789A (ja) * | 1996-02-21 | 1997-09-05 | Nippon Koei Co Ltd | 滑車における張力測定方法および装置 |
JPH10309011A (ja) * | 1997-05-06 | 1998-11-17 | Chiyuuden Koji Kk | 延線張力監視装置 |
KR20110064513A (ko) * | 2009-12-08 | 2011-06-15 | 이병준 | 가공송전선로용 활차를 이용한 가공송전선로 전력선 연선 공법 |
KR101311453B1 (ko) * | 2013-06-20 | 2013-09-25 | (주) 창흥전력 | 가선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선교체방법 |
JP5990157B2 (ja) * | 2013-12-25 | 2016-09-07 | 株式会社永木精機 | 張線装置の制御装置 |
KR101558162B1 (ko) * | 2015-06-11 | 2015-10-08 | 이영주 | 활차유닛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무대장치 |
-
2016
- 2016-09-21 KR KR1020160120788A patent/KR101871051B1/ko active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8306B1 (ko) | 2019-10-08 | 2021-03-17 | 한국전력공사 | 철탑간 전선 설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KR20210154456A (ko) * | 2020-06-12 | 2021-12-21 | 한국전력공사 | 가공송전선로용 활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1051B1 (ko) | 2018-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59706B2 (en) | Work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afety belt unit for high-place work | |
US10421647B2 (en) | Device for monitoring operating data and/or determining the replacement state of wear of a cable during use on lifting apparatuses | |
KR101871051B1 (ko) | 중심축 이동형 활차 및 이를 이용한 전선장력 모니터링 시스템 | |
US20150075295A1 (en) | Guide wire tension loss sensor | |
KR101391262B1 (ko) | 이동식 유압윈치를 이용한 긴선장치 및 그 긴선공법 | |
WO2010118116A3 (en) | High tension cable measurement system and assembly | |
JP4049468B2 (ja) | ケーブル送り装置およびケーブル敷設工法 | |
CN204186057U (zh) | 液压顶升自动报警物料平台 | |
KR20090001864U (ko) | 무인 기상관측장비용 관측탑 | |
JP5143168B2 (ja) | ケーブル弛み防止装置およびケーブル弛み防止架線工法 | |
JP2010098873A (ja) | 吊架螺旋状体ハンガーの延線装置及びその方法 | |
CN216207183U (zh) | 张力测量装置及牵引导线和钢丝绳张力报警系统 | |
CN218968734U (zh) | 张力智能调节系统 | |
CN209740542U (zh) | 一种起重机 | |
CN117392794A (zh) | 一种张力索控制装置、入侵探测系统及方法 | |
KR101660253B1 (ko) | 과부하와 하중의 불균형을 확인할 수 있는 바튼 시스템. | |
EP3109959B1 (en) | Reverse-retreat preventing apparatus | |
CN222748576U (zh) | 一种钢丝绳检测装置用牵引装置 | |
CN212462602U (zh) | 一种基于物联网设备的电力铁塔架线装置 | |
CN201334287Y (zh) | 一种安装轮辐式负荷传感器的钢丝绳测控装置 | |
CN103956676B (zh) | 防跑磨装置 | |
CN210092753U (zh) | 一种电缆线固定装置 | |
CN105762697B (zh) | 输电线路施工中的防跑磨装置 | |
KR101121689B1 (ko) | 크레인 하중센서 | |
CN221420328U (zh) | 一种罐笼乘员超载监测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