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645A -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온풍 우산 - Google Patents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온풍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645A
KR20180031645A KR1020180027406A KR20180027406A KR20180031645A KR 20180031645 A KR20180031645 A KR 20180031645A KR 1020180027406 A KR1020180027406 A KR 1020180027406A KR 20180027406 A KR20180027406 A KR 20180027406A KR 20180031645 A KR20180031645 A KR 20180031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air
housing
col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송길
Original Assignee
안송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송길 filed Critical 안송길
Priority to KR1020180027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1645A/ko
Publication of KR20180031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2200/1036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means for promoting air movement, e.g. ventilation holes, fans, ventilators, special shape for ventilation, suc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일면이 개구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외기의 온도를 변화시키도록 형성되는 공기 온도 조절부; 상기 공기 온도 조절부에 의해 온도가 변화된 가변 공기를 상기 개구를 향해 송풍시키도록 형성되는 송풍부; 및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 온도 조절부 및 상기 송풍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온풍 우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온풍 우산{PORTABLE DEVICE FOR GENERATING COLD AND HOT AIR AND UMBRELLA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온풍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비나 눈과 같은 외부 환경에서 사용자의 신체 및 의복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반면, 태양광이 강한 날에는 우산과 대체로 동일한 구조의 양산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차단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우산 및 양산의 경우, 특정 환경 상황에서만 이용되므로 그 쓰임새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산으로 비, 눈, 태양광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해당 기후 환경에 의해 발생되는 기온의 저하 및 상승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에는 기능적인 한계가 있어왔다.
따라서, 우산의 기능을 보다 확대하여 다양한 환경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온 변화 상황에서 사용자의 체온 유지를 도울 수 있는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온풍 우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일면이 개구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외기의 온도를 변화시키도록 형성되는 공기 온도 조절부; 상기 공기 온도 조절부에 의해 온도가 변화된 가변 공기를 상기 개구를 향해 송풍시키도록 형성되는 송풍부; 및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 온도 조절부 및 상기 송풍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통풍홀이 구비되며 상기 개구를 덮도록 형성되는 덮개; 및 일측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일측에서 연장되는 타측은 외부 대상체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하우징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개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가변 공기의 배출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형성되는 방향 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서 중심부를 향해 절개되도록 형성되는 제2 하우징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 결합부는, 외부 대상체를 수용하여 고정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외부 대상체 사이의 거리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송풍부 및 상기 공기 온도 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음향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 및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냉온풍 우산은, 우산천; 상기 우산천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우산살대; 상기 우산살대와 연결되는 우산대; 우산대의 끝단에 결합되는 손잡이; 및 상기 우산대에 결합되어 입력 신호에 따라 온도가 변화된 가변 공기를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냉온풍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우산살대를 따라 결합되는 스크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온풍 우산에 따르면 기온 변화의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온풍 및 냉풍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간략한 구조를 통해 온풍을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우산과의 결합 구조를 간편하게 설계하여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 감지에 따라 동작 제어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우산을 감싸는 스크린막을 설치하여 외부 바람에 의한 사용자의 체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100) 및 이를 이용한 냉온풍 우산(300)의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의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100)의 전기적인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 결합부(120')를 구비한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막(350)을 구비한 냉온풍 우산(3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온풍 우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100) 및 이를 이용한 냉온풍 우산(300)의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의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300)은 비나 눈과 같은 기후 생성물이 사용자의 신체 및 의복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하지만, 우산(300)은 상술한 기후 생성물을 막을 수는 있으나, 그에 의해 동반되는 기온의 변화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없다.
따라서, 비와 눈은 우산(300)천을 통해 차단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여름과 같이 기온이 상승하거나, 겨울처럼 기온이 하강하는 경우 기온 변화에 의한 사용자의 불편함은 여전히 존재할 수밖에 없다. 또한, 우산(300)의 경우 비나 눈과 같은 특정 기후에서만 이용되고, 평상시에는 이용되지 못하는 문제점 역시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100)를 우산(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냉온풍 발생 장치(100)는, 외부 공기인 외기를 흡입하여 이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로 휴대 가능하며 우산(300)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냉온풍 발생 장치(100)를 우산(300)에 결합하여 구동시키면 우산(300) 내부 공간에 대하여 흡입한 외기를 강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흡입되는 외기는 냉온풍 발생 장치(100) 내부에서 가열 또는 냉각되어, 냉온풍인 가변 공기(A)로 변환되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위치하는 우산(300)천의 하부 영역에는 냉풍 또는 온풍이 순환됨으로써 외부 환경에 의한 기온 변화를 최소화하여 사용자로하여금 외부 활동의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은 냉온풍 발생 장치(100) 및 이를 이용한 우산(300)의 간략한 이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냉온풍 발생 장치(1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100)의 전기적인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풍 발생 장치(100)는 휴대용으로 외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외기를 가공 또는 가공없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냉온풍 발생 장치(100)는, 하우징(110), 제1 하우징 결합부(120), 덮개(130), 방향 전환부(140), 공기 온도 조절부(150), 송풍부(160), 센서부(170), 사용자 입력부(180), 전원 공급부(190), 통신부(210), 스피커부(220), 디스플레이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냉온풍 발생 장치(100)의 본체를 구현하는 구성으로 대체로 플레이트 형상의 원통형, 박스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내부 공간(111) 및 내부 공간(111)과 외부 공간을 연통하는 개구(113)가 일면에 형성되며, 흡입구(115) 및 하우징 손잡이(117)를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115)는,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홀 구조로 하우징(110)의 일측이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내부 공간(111)과 외부 공간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하우징 손잡이(117)는, 하우징(110)의 외면에서 연장되어 사용자의 손에 의해 수용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제1 하우징 결합부(120)는, 하우징(110)과 우산과 같은 외부 대상체(도 4, O 이하생략)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하우징 결합부(120)는 결합대(121) 및 외부 체결구(12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대(121)는 하우징(110)의 일면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대(121)는 하우징(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은 결합대(121)에 대하여 회전되어 냉온풍이 배출되는 개구(113)의 방향을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되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체결구(123)는, 외부 대상체와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외부 대상체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체결구(123)는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자성체가 설치될 수 있다.
덮개(130)는, 개구(113)를 덮기 위한 구성으로 복수의 통풍홀이 형성되는 망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방향 전환부(140)는, 개구(113) 상에 설치되어 개구(113)에서 배출되는 냉온풍인 가변 공기(도 1, A 이하생략)의 배출 방향을 변환시키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방향 전환부(140)는 방향 지지대(141) 및 방향 갓(14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향 전환부(140)가 덮개(130) 상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다시말해, 덮개(130)의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방향 전환부(140)는 해당 관통홀을 통해 공기 온도 조절부(150) 또는 하우징(110) 내부 공간(1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방향 지지대(141)는, 덮개(130) 또는 하우징(110) 내부 공간(1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방향 갓(143)은, 외부를 향하는 방향 지지대(141)의 끝단에 결합되어 너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가변 공기는 방향 갓(143)에 의해 충격되어 배출 방향이 변환될 수 있다. 이때, 방향 갓(143)은 방향 지지대(141)에 대하여 각도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온도 조절부(150)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111)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냉온풍인 가변 공기로 변환시키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다시말해, 이를 위해 공기 온도 조절부(150)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부 및 냉매를 구비하는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부(160)는, 공기 온도 조절부(150)에 의해 가변된 가변 공기를 개구(113)로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부(160)가 프로펠러 구조의 펜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이며, 송풍을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송풍부(160)는 공기 온도 조절부(150) 상에 배치되어 있으나 공기 온도 조절부(150)가 상부에 위치하고 송풍부(160)가 공기 온도 조절부(150)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센서부(170)는, 하우징(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우징(110)과 우산, 사용자와 같은 외부 대상체 사이의 거리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말해, 센서부(170)는, 하우징(110)과 우산천 사이의 거리, 하우징(110)과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거리 등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여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80)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위치, 버튼, 키패드, 마우스, 및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전기적인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탈착 가능한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부(190)는 유무선 방식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예컨데,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폰 보조 배터리와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통신부(210)는,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다시말해, 통신부(210)는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여, 본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거나, 본 장치의 상태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스피커부(220)는, 음향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냉온풍 장치의 상태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음성 정보 및 경고음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냉온풍 발생 장치(100)의 상태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이미지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사용자 입력부(180)와 터치스크린으로 통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상술한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대표적으로 제어부(240)는 장치 구동에 관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어, 해당 입력 신호에 따라 공기 온도 조절부(150) 및 송풍부(160)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장치 구동에 관한 입력 신호는 외부 단말기에서 수신될 수도 있고, 사용자 입력부(180)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240)를 중심으로 냉온풍 발생 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는 우산을 펼친 상태에서 우산대에 제1 하우징 결합부(120)를 결합시켜 냉온풍 발생 장치(100)를 우산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의 개구(113)가 우산 천장을 향하도록 하우징(1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냉온풍 발생 장치(100)가 우산에 설치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80) 또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단말기를 통해 냉온풍 발생 장치(100)의 동작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동작 요청에 관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전원 공급부(190)를 제어하여 송풍부(160) 및 공기 온도 조절부(15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기 온도 조절부(150)는 전원 공급 시, 입력 신호에 따라 발열부 및 냉각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공기 온도 조절부(150)의 구동에 의해 외기의 온도가 변화된 가변 공기가 생성될 수 있다. 송풍부(160)는 가변 공기를 하우징(110)의 개구(113)를 향해 배출되도록 송풍할 수 있다.
이렇게, 냉온풍 발생 장치(100)에서 배출되는 가변 공기는 개구(113)를 향해 상부를 향해 배출되고, 우산 천장을 향해 이동되던 가변 공기는 방향 전환부(140)의 방향 갓(143)에 충격하여 양 너비 방향으로 진행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냉온풍 발생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가변 공기는 우산의 내부 영역에서 확산됨으로써, 해당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간접적으로 전달되어 체온 유지를 도울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는 센서부(170)를 통해 수신되는 거리 정보가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송풍부(160) 및 공기 온도 조절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및 우산의 일부가 냉온풍 발생 장치(100)에 너무 가깝게 위치하는 경우, 신체 손상 및 우산 손상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자동으로 냉온풍 발생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냉온풍 발생 장치(100)의 동작에 관한 상태 정보는 디스플레이부(230)나 스피커부(220)를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장치 상태를 인지시킬 수 있고, 상태 정보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의 외부 단말기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냉온풍 발생 장치(100)에 의하면 휴대용으로 구성되어 휴대가 용이하며, 우산과 같은 외부 대상체에 편리하게 결합되고, 공기 온도 조절부(150)를 통해 냉온풍을 선택적으로 생성하여 배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온 유지를 쉽게 도모할 수 있다.
이상은 냉온풍 발생 장치(100)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4에서는 외부 대상체와 결합 구조를 변화시킨 냉온풍 발생 장치(도 4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 결합부(120')를 구비한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냉온풍 발생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의 냉온풍 발생 장치(도 1, 100)와 대체로 유사하나, 외부 대상체(O)와 결합하기 위한 수단인 하우징 결합부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냉온풍 발생 장치(100')는 기존 제1 하우징 결합부와는 다른 제2 하우징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결합부(120')는, 외부 대상체(O)를 하우징의 중심축에 위치시켜 결합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하우징 결합부(120')는 절개부(121'), 고정 수용부(123'), 및 고정 자물쇠(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121')는, 하우징의 일측에서 중심축을 향해 형성되는 절개된 공간일 있다. 따라서, 외부 대상체(O)는 절개부(121')를 통해 하우징의 중심축을 향해 끼움될 수 있다.
고정 수용부(123')는, 절개부(121')의 끝단으로 인입되는 외부 대상체(O)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 해당 고정 수용부(123')는 송풍부의 회전축(151')에 대응되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고정 수용부(123')는 자성체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수용되는 외부 대상체(O)가 철제 성분일 경우 자성에 의해 쉽게 결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고정 자물쇠(125')는, 수용되는 외부 대상체(O)에 하우징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탄성체를 구비하여 외부 대상체(O)를 탄성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자물쇠(125')는 외부 대상체(O)를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 결합, 탄성 결합, 조입 결합 등 다양한 결합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하우징 결합부(120')에 의하면, 하우징 일측에서 중심축을 향해 절개된 공간을 통해 외부 대상체(O)를 수용하여 결합됨으로써, 하우징의 결합력 및 가변 공기의 순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절개부(121')의 일측에는 스토퍼(13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130')는, 송풍부가 펜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송풍부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다시말해, 절개부(121')를 통해 외부 대상체(O)가 인입되기 위해서는 송풍부가 해당 절개부(121')에 위치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절개부(121')에 인입된 외부 대상체(O)를 외부로 분리할때 역시 송풍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절개부(121')가 빈 공간이 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스토퍼(130')는 물리적으로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송풍부의 펜과 접촉하여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은, 제2 하우징 결합부(120')를 구비하는 냉온풍 발생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5에서는 냉온풍 발생 장치(100') 및 스크린막을 구비하는 우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막(350)을 구비한 냉온풍 우산(3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풍 우산(300)은 탈착 가능한 구조의 스크린막(350)을 구비할 수 있다.
냉온풍 우산(300)은, 기본적인 우산과 동일하게 우산천(310), 우산천(310)을 지지하는 우산살대(320), 우산살대(320)와 연결되어 이를 지지하는 우산대(330), 우산대(330)의 끝단에 결합되는 손잡이(3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우산(300)은 스크린막(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막(350)은, 우산천(310) 또는 우산살대(320)와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됨으로써 우산(300)의 내부 공간의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크린막(350)은 막 결합부(351) 및 막(353)을 포함할 수 있다.
막 결합부(351)는, 우산천(310) 또는 우산살대(320)와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리 구조, 자성체 구조, 슬라이딩 구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구조는, 막 결합부(351)가 우산천(310) 또는 우산살대(320)에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각 연결 부위에는 가이드 라인이 설치되어 후술하는 막이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막(353)은, 비닐이나 합성 섬유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스크린막(350)이 우산의 전체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경우에도, 스크린막(350) 내부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스크린막(350) 외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크린막(350)에 의하면, 우산(300) 둘레를 따라 하부로 연장되어 이에 따른 내부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해당 내부 공간에서 냉온풍 발생 장치(100)에 의해 가변 공기가 생성되는 경우, 해당 가변 공기의 기온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온풍 우산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100: 냉온풍 발생 장치 210: 통신부
110: 하우징 220: 스피커부
120: 제1 하우징 결합부 230: 디스플레이부
130: 덮개 240: 제어부
140: 방향 전환부 300: 우산
150: 공기 온도 조절부 310: 우산천
160: 송풍부 320: 우산살대
170: 센서부 330: 우산대
180: 사용자 입력부 340: 우산 손잡이
190: 전원 공급부 350: 스크린막

Claims (8)

  1.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일면이 개구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외기의 온도를 변화시키도록 형성되는 공기 온도 조절부;
    상기 공기 온도 조절부에 의해 온도가 변화된 가변 공기를 상기 개구를 향해 송풍시키도록 형성되는 송풍부; 및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 온도 조절부 및 상기 송풍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통풍홀이 구비되며 상기 개구를 덮도록 형성되는 덮개; 및
    일측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일측에서 연장되는 타측은 외부 대상체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하우징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개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가변 공기의 배출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형성되는 방향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서 중심부를 향해 절개되도록 형성되는 제2 하우징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 결합부는,
    외부 대상체를 수용하여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외부 대상체 사이의 거리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송풍부 및 상기 공기 온도 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음향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 및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
  7. 우산천;
    상기 우산천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우산살대;
    상기 우산살대와 연결되는 우산대;
    우산대의 끝단에 결합되는 손잡이; 및
    상기 우산대에 결합되어 입력 신호에 따라 온도가 변화된 가변 공기를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냉온풍 우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살대를 따라 결합되는 스크린막을 더 포함하는, 냉온풍 우산.
KR1020180027406A 2018-03-08 2018-03-08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온풍 우산 KR20180031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406A KR20180031645A (ko) 2018-03-08 2018-03-08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온풍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406A KR20180031645A (ko) 2018-03-08 2018-03-08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온풍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645A true KR20180031645A (ko) 2018-03-28

Family

ID=61901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406A KR20180031645A (ko) 2018-03-08 2018-03-08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온풍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16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463A (ko) 2019-02-08 2020-08-19 김성준 스마트 파라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463A (ko) 2019-02-08 2020-08-19 김성준 스마트 파라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2208B1 (en) Umbrella and cooling apparatus combination
US20190003480A1 (en) Programmable Fan
EP2463595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89209B2 (en) Fan
US10239381B2 (en) Vehicle roof fan
KR101585761B1 (ko) 분전함
KR20170140585A (ko)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15224603A (ja) 扇風機
JP2016176481A (ja) 扇風機
KR20180031645A (ko) 휴대용 냉온풍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온풍 우산
CN107120808A (zh) 空调器及其室内机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H11182487A (ja) 携帯型人体熱交換装置
CN114046564A (zh) 空调室内机、空调器及空调室内机的送风控制方法
JP2018017481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20140306636A1 (en) Fan control system
CN208749634U (zh) 网络智能居家监控风扇
KR100923997B1 (ko)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및 그 조정 방법
KR102016255B1 (ko) 휴대용 공기정화기
KR102063160B1 (ko) 기능부가모듈이 장착된 로봇청소기
CN209881953U (zh) 一种用于工地施工监控的手持终端
KR20190081157A (ko) 송풍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KR102620935B1 (ko) 송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송풍 시스템
AU2016346538A1 (en) Air conditioner
CN106482220A (zh) 空调、散热系统、空调的控制方法和装置
KR101454327B1 (ko)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