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997B1 -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및 그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및 그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997B1
KR100923997B1 KR1020090003860A KR20090003860A KR100923997B1 KR 100923997 B1 KR100923997 B1 KR 100923997B1 KR 1020090003860 A KR1020090003860 A KR 1020090003860A KR 20090003860 A KR20090003860 A KR 20090003860A KR 100923997 B1 KR100923997 B1 KR 100923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lor
user
remote sensing
indo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호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03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의 실내 대기 환경 조정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에 따르면, 실내 대기 환경을 센싱한 원격 센싱부가 센싱 결과에 대응되는 컬러를 표시하는 단계, 원격 센싱부를 촬상하는 단계,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원격 센싱부의 컬러를 확인하는 단계 및 원격 센싱부의 컬러에 대응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적절한 실내 대기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실내 대기 환경, 원격 센싱부, 컬러, 촬상

Description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및 그 조정 방법{Indoor ai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및 그 조정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대기 환경을 컬러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면서, 편리하게 실내 대기 환경을 조정할 수 있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및 그 조정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가습기, 에어컨, 히터 등과 같은 생활 가전 기기의 보급이 일반화 되었다. 사용자들은 자신이 위치한 환경에 맞추어 이들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즉, 에어컨을 가동하고 있는 경우라면, 날씨가 덥다고 느껴질 때 에어컨의 온도를 낮추어 냉방 효과를 높이고, 춥다고 느껴지면 에어컨의 온도를 올리거나 끄게 된다. 가습기나, 히터, 공기 청정기 등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사용자가 자신이 처한 환경에 맞게 수동적으로 동작을 조정한다.
이에 따라, 최근의 가전 제품들은 일반적으로 리모콘과 함께 판매된다. 사용자들은 가전 제품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리모콘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리모콘을 이용하더라도, 사용자는 가전 제품의 동작을 일일이 수동으로 제어하여야 만, 적절한 온도, 습도, 공기 청정도 등을 유지할 수 있었다. 특히, 가전 제품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리모콘의 수도 많아져서, 자신이 조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리모콘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실내 대기 환경, 즉, 온도, 습도, 공기 청정도 등을 설정해 두고, 그 설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춘 가전 제품도 출시되고 있으나, 그 실내 대기 환경을 측정하는 센서가 가전 제품 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가전 제품과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사용자가 느끼기에는 적절한 실내 대기 환경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편리한 방식으로 최적의 실내 대기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격된 위치의 실내 대기 환경에 따라 자동적으로 적절한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며, 그 실내 대기 환경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및 그 조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은, 실내 대기 환경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에 대응되는 컬러를 표시하는 원격 센싱부 및 상기 원격 센싱부의 컬러에 대응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촬상부,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수행부 및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원격 센싱부의 컬러를 인식하여, 상기 작업 수행부가 상기 인식된 컬러에 대응되는 방식으로 실내 대기 환경을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촬상부의 촬상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형상, 표정,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상기 작업 수행부가 상기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실내 대기 환경을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 등록된 사용자라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작업 수행부가 상기 사용자의 표정 또는 동작에 따라 상기 실내 대기 환경을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는,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는, 촬상 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원격 센싱부의 컬러를 인식하고, 인식된 컬러에 대응되는 리모콘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장치 및 상기 리모콘 신호에 대응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수행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상 장치는,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촬상 범위 내에 위치한 사 용자의 형상, 표정,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리모콘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작업 수행 본체는 상기 리모콘 신호에 대응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촬상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 등록된 사용자라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의 표정 또는 동작에 대응되는 리모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는, 상기 원격 센싱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싱 결과를 제공받는 인터페이스부,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수행부 및 상기 작업 수행부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공된 센싱 결과에 대응되는 방식으로 실내 대기 환경을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여러 실시 예들에서, 상기 원격 센싱부는, 온도, 습도, 공기 청정도 중 하나를 센싱하는 센서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조작부 및 상기 센서부의 센싱 결과 또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컬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센싱부는, 실내 온도, 실내 습도, 공기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은, 냉방 작업, 습도 조정 작업, 난방 작업, 공기 필터링 작업, 배기(排氣) 방향 조정 작업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촬상 장치는, 촬상 작업을 수행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원격 센싱부의 컬러를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컬러에 대응되는 리모콘 신호를 생성하는 촬상 제어부 및 상기 리모콘 신호를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의 조정 방법은, 실내 대기 환경을 센싱한 원격 센싱부가 센싱 결과에 대응되는 컬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원격 센싱부를 촬상하는 단계,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원격 센싱부의 컬러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센싱부의 컬러에 대응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조정 방법은, 상기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촬상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형상, 표정,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촬상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상기 기 등록된 사용자라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의 표정 또는 동작에 따라 상기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은, 실 내 대기 환경을 센싱하는 원격 센싱부 및 상기 원격 센싱부가 배치된 구역을 촬상하여, 촬상 결과에 대응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격 센싱부는, 센싱 결과를 컬러, 텍스트, 기호 중 적어도 하나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실내 대기 환경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실내 대기 환경에 맞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부수적으로, 보안 유지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은, 원격 센싱부(100) 및 본체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내 대기 환경이란 실내의 대기 환경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온도, 습도, 공기 청정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200)는 에어컨, 히터, 가습기, 공기 청정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원격 센싱부(100)는 본체부(200)에 대응하여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공기 오염 감지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체부(200)가 에어컨이나 히터인 경우는 온도 센서로 구현되고, 가습기인 경우에는 습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공기 청정기인 경우에는 공기 오염 감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원격 센싱부(100)는 본체부(200)와 일정 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하며, 주변 환경을 센싱한다. 도 1에서는 원격 센싱부(100)가 하나만 도시되었으나,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원격 센싱부(100)는 그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한 영역내에서의 온도, 습도, 공기 청정도 등을 센싱한다. 각 센서들의 센싱 방식 및 구조들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원격 센싱부(100)는 측정된 실내 대기 환경 상태에 대응되는 컬러를 표시한다. 표시되는 컬러는 제작자나 사용자 임의로 정할 수도 있으나, 통상적으로 레드나 옐로우등을 이용하여 더운 상태, 공기 오염 상태, 습한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고, 블루나 그린 등을 이용하여 시원한 상태, 쾌적한 공기 또는 습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 예를 들어, 온도 센서로 구현된 경우, 기준 온도보다 높으면 원격 센싱부(100)는 레드 컬러를 표시하고, 낮으면 블루 컬러를 표시할 수 있다. 습도 센서로 구현된 경우, 기준 습도보다 높을 때는 원격 센싱부(100)는 옐로우 컬러를 표시하고, 낮을 때는 그린 컬러를 표시할 수 있다. 공기 오염 감지 센서로 구현된 경우에는, 공기가 혼탁할 때는 레드 컬러, 청정한 때는 그린 컬러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온도는 원격 센싱부(100)에서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고, 제품 출시될 때 디폴트로 정해질 수도 있다.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원격 센싱부(100)에 키, 터치 키, 휠 등의 다양한 입력 소자를 마련해 둘 수 도 있다. 즉, 사용자가 업 방향 키를 선택하면 기준 온도나, 기준 습도, 필터링 강도 등을 증대시키고, 다운 방향 키를 선택하면 이들을 감소시키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컬러 표시를 위하여 원격 센싱부(100)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발광 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고, 컬러 램프, 즉, 일반 램프에 색유리 또는 색지를 부착한 컬러 램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원격 센싱부(100)는 현재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컬러의 LED나 램프 등을 점등시켜, 사용자가 그 주변 지역의 온도나 습도, 공기 상태 등을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체부(200)는 원격 센싱부(100)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한다. 즉, 에어컨으로 구현된 경우, 본체부(200)는 원격 센싱부(100)가 배치된 위치가 덥다고 판단되면, 해당 위치로 차가운 공기가 배출되도록 냉방 온도, 풍향이나 풍량, 풍속 들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센싱부(100)의 위치가 춥다고 판단되거나, 현재 상태가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냉방 온도를 올리거나, 현재 상태를 유지하거나, 풍향을 다른 위치로 변경하거나, 풍량 또는 풍속을 줄이거나, 아예 파워-오프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가습기로 구현된 경우, 본체부(200)는 원격 센싱부(100)가 배치된 위치가 습하다고 판단되면, 습기 배출 방향을 다른 위치로 변경하거나, 습기 배출 량을 줄이거나, 아예 파워-오프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건조하다고 판단된 경우, 습기가 해당 위치로 집중적으로 배출되도록 배출 방향이나 배출량을 조정할 수도 있다.
그 밖의 기기로 구현된 경우에도, 본체부(200)는 같은 방식으로 다양하게 실내 대기 환경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200) 주변의 대기 환경만 집중적으로 관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방 또는 집 안 전체가 어느 정도 균일한 대기 환경을 갖추도록 관리될 수 있다.
한편, 본체부(200)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원격 센싱부(100)의 감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부(200)는 원격 센싱부(100)를 포함한 주변 영역을 촬상하여, 원격 센싱부(100)의 컬러를 인식하여, 그 위치의 대기 환경을 파악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체부(200)는 촬상부(210), 제어부(220), 작업 수행부(230), 저장부(240)를 포함한다.
촬상부(210)는 본체부(200)에 내장되어 주변 지역을 촬상한다. 구체적으로는, 촬상부(210)는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촬상부(210)에서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원격 센싱부(100)의 컬러를 인식한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컬러 센서를 이용하여 원격 센싱부(100)의 컬러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컬러 센서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드웨어적으로는 촬상부(2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관념적으로 제어부(220)에 포함되 는 구성으로 볼 수도 있다.
컬러 변화 인식 과정의 일 예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컬러 센서는 광을 R, G, B 등의 컬러로 분해하는 컬러 필터와, 컬러 필터의 분해 색 개수만큼 구비되는 포토 다이오드 등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촬상부(210)의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을 컬러 필터에 통과시켜 분해한 후, 각 분해 광이 입사되는 포토 다이오드에서의 입사 량을 비교한다. 이에 따라, R, G, B의 비율을 계산하여, 촬상된 이미지의 컬러를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연속적으로 촬상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간의 색상 변화를 전체적으로 비교하여, 원격 센싱부(100)의 점등 또는 색상 변화 여부를 파악할 수도 있다.
또는,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 대하여, 원격 센싱부(100)에 해당하는 픽셀 블럭 들만을 서로 비교하여 점등 또는 색상 변화 여부를 파악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220)는 색상 변화 감지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하나의 프레임을 복수 개의 블럭으로 분할한 후, 각 블럭의 SAD 값 등을 계산하여 원격 센싱부(100)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럭을 감지하고, 그 감지된 블럭의 픽셀 색상 값의 변화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하고 있던 블럭의 픽셀 값이 변화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20)는 해당 지역의 실내 대기 환경이 변화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원격센싱부(100)의 컬러 변화는 촬상 작업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확인된 환경 변화에 대응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 행하도록 작업 수행부(230)를 제어한다. 작업 수행부(230)란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이 에어컨 시스템인 경우, 작업 수행부(230)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실외기(미도시),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기(미도시), 냉각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기(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20)는 원격 센싱부(100)의 센싱 결과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온도 상태라고 느낄 수 있도록 냉각 정도, 배출 방향, 배출 세기 등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은 가습기 시스템, 히터 시스템, 공기 청정기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작업 수행부(230)의 기능 및 구성도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미 각 장치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내용이므로, 더이상의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한편, 도 2에 따르면, 본체부(200)는 촬상부(210)에서 촬상한 이미지를 저장해두는 저장부(2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200)는 촬상부(210)를 이용하여 CCTV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촬상부(210)는 원격 센싱부(100)만을 촬상하는 것이 아니라, 촬상 범위 내의 피사체들을 모두 촬상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촬상된 이미지를 저장부(240)에 저장해 두어, 보안 또는 치안 유지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본체부(20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또는 저장된 이미지를 외부 기기로 전송해줄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도 2에서만 저장부(240)를 도시하였으나,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저장부가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의 구성에서 제어부(220)는 촬상부(210)에서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촬상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형상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인식된 결과에 따라 작업 수행부가 실내 대기 환경을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20)는 촬상된 이미지의 각 프레임을 MxN 크기의 픽셀로 구성된 블럭 단위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프레임들의 블럭들 각각의 픽셀 특성값을 비교하여, 모션 벡터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프레임에 대하여 각 블럭의 픽셀 특성 값을 비교하여, 블럭의 움직임 방향 및 움직임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각 블럭은 피사체의 특정 부위에 해당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어떠한 형상의 사용자가 촬상 범위 내에 있는지, 어떠한 동작을 하고 있는 지 추정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하게는, 촬상부(210)가 실내 전 역을 촬상하고 있다면, 소정 개수 이상의 프레임 동안 아무런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실내에 존재하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추정하고, 절전 효과를 위하여 파워 오프로 동작하거나, 절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사용자의 얼굴 부 분을 감지하고, 입 모양, 눈 모양 등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웃고 있다면 입 꼬리가 올라가거나, 치아가 드러나는 등의 변화가 생기므로, 입 주변의 블럭들의 픽셀 특성값 변화를 이용하여,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찡그리고 있다면, 양 미간이 좁혀지고 눈이 작아지거나, 입이 일자 모양을 유지하는 등의 변화가 생기므로, 눈이나 입 주변의 픽셀 특성 값 변화를 이용하여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웃고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20)는 해당 지역의 온도, 습도, 공기 청정도가 어느 정도 적절하다고 판단하고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업 수행부(230)를 제어해 줄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찡그리고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20)는 그 지역의 온도, 습도, 공기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도록 작업 수행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작업 수행부(2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 또는 팔을 윗방향으로 흔드는 동작을 수행한다면, 온도, 습도, 공기 필터링 정도 등을 높이는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작업 수행부(230)를 제어하고, 아랫방향으로 흔드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감지된다면, 온도, 습도, 공기 필터링 정도 등을 낯추는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작업 수행부(2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20)는, 촬상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 등록된 사용자라고 판단된 경우에만, 작업 수행부(230)가 작동을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 등록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고, 작업 수행부가 그에 따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해 줄 수도 있다.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 인지 여부는 사용자의 키, 얼굴 형태 등의 특징을 기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의 키나 얼굴 형태 등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을 복수 개의 블럭으로 분할하여 파악할 수 있다. 즉, 분할된 블럭들의 필터 특성값을 산출하고, 어느 정도 유사 범위 내의 필터 특성값을 가지는 블럭들끼리를 연결시키면, 피사체의 형상을 알 수 있다. 이에 더불어, 얼굴 색에 해당하는 색상값을 가지는 블럭들을 연결하면, 사용자의 얼굴 윤곽을 검출할 수 있고, 그 얼굴 윤곽 내에서 다시 눈, 코, 입의 위치, 형상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어부(220)는 촬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도 2에 대해서만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며, 이하의 여러 실시 예들 중 촬상 작업을 이용하는 실시 예에서는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본체부(200)는 촬상장치(300) 및 작업 수행 본체(40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서, 촬상 장치(300)는 작업 수행 본체(400)와 독립적인 기기로 구현된 상태를 나타낸다. 즉, 도 3은 기존의 에어컨이나, 가습기, 히터 등의 구성을 변형시키지 않고도,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고안된 실시 예이다.
촬상 장치(300)는 촬상부(310), 촬상 제어부(320), 전송부(330)를 포함한다. 촬상 장치(300)는 작업 수행 본체(400)에 외장형으로 장착되거나, 작업 수행 본체(400)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분리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 수행 본체(400)와 별개로 구현될 수 있어, 기존의 본체, 즉, 에어컨, 히터, 가습기, 공기 청정기 등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원격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른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촬상부(310)는 도 2의 촬상부(21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촬상 제어부(320)는 촬상부(310)에서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원격 센싱부(100)의 컬러를 인식한다. 이에 따라, 촬상 제어부(320)는 인식된 컬러에 대응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작업 수행 본체(4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제어 신호는 전송부(330)를 통해 작업 수행 본체(400)로 전송된다. 이 경우, 제어 신호는 리모콘 신호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전송부(330)는 기 공지된 다양한 유형의 유무선 통신 방식, 예를 들어, 지그비(ZIGBEE)나 블루투스 등에 따라 작업 수행 본체(400)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촬상 제어부(320)는 촬상부(310)에서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촬상 범위 내의 사용자 형태,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 등록된 사용자에 대해서만 제공될 수도 있다.
촬상 제어부(320)의 컬러 인식, 사용자 형태 인식, 동작 인식 작업 등은 도 2의 제어부(220)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전송부(330)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는 작업 수행 본체(400)의 인터페이스부(410)를 통해 제어부(420)에 수신된다.
제어부(42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작업 수행부(430)를 제어한다.
작업 수행부(430)는 구현 예에 따라 온도 냉각, 가습, 히팅, 공기 필터링 작업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각 구현 예에서 또한 작업 수행부(430)는 냉기, 온기, 습기, 공기 등의 배기 방향이나, 배기량, 배기 속도 등도 제어 신호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작업 수행부(430)의 작업은 도 2에 대한 부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므로,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원격 센싱부(100)는 사용자 조작부(110), 센서부(120), 표시부(13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원격 센싱부(100) 구성은 도 3에서만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은 도 3의 실시 예에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 예들에서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원격 센싱부(100) 구성 중 일부는 실시 예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구성이 더 추가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편, 촬상 장치(300)는 촬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 저장된 이미지를 작업 수행 본체(400) 또는 기타 외부 장치로 제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센서부(120)는 원격 센싱부(100) 주변 환경을 센싱하는 구성이다. 원 격 센싱부(100)가 온도 센서로 구현된 경우, 센서부(120)는 써미스터와 같은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온도에 대응되는 크기의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130)로 제공된다. 표시부(130)는 센서부(120)의 센싱 결과에 대응되는 LED나 램프를 점등하여 주변 환경의 특성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표시부(130)는 주변이 덥거나, 습하거나, 공기가 탁한 경우에는 레드 컬러의 LED 또는 램프를 점등할 수 있고, 반대의 경우에는 블루 또는 그린 컬러의 LED 또는 램프를 점등할 수 있다.
한편, 원격 센싱부(100)에서 표시부(130)에 구비된 LED나 램프의 개수는 반드시 하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원격 센싱부(100)에서는 센싱된 주변 환경을 반드시 컬러로만 표시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표시부(130)는 LED 등의 발광 소자가 특정한 형태로 배치된 구조로 구현되어, 점등 시에 주변 환경 특성을 알려주는 텍스트 또는 기호(예를 들어, ↑,↓, Good, Bad 등)를 표시하여 줄 수도 있다. 이 경우, 촬상부(310)는 그 표시된 텍스트 또는 기호를 인식하고, 촬상제어부(320)는 그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물론이다.
한편, 필수 적인 것은 아니지만, 원격 센싱부(100)는 사용자 조작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11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조작부(110)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키, 음성으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 시부(130)는 센서부(120)에서 센싱된 결과 뿐만 아니라, 사용자 조작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도, 대응되는 컬러나, 텍스트, 기호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300)는 작업 수행 본체(400)의 배기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외부 배기 조정 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작업 수행 본체(400)의 배기부에 추가로 장착되어, 배기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구성까지 촬상 장치(3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예로는 에어 덕트, 팬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상 장치(300)는 별도의 리모콘 신호를 작업 수행 본체(400)로 전송하여 배기 방향을 조정하도록 하지 않고, 자신에게 구비된 배기 조정 수단을 이용하여 직접 배기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그 밖에, 촬상 장치(300)는 원격 센싱부(100)와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원격 센싱부(100)는 센서부(120), 표시부(130), 센싱제어부(140), 전송부(150)를 포함하며, 본체부(200)는 인터페이스부(510), 제어부(520), 작업 수행부(530)를 포함한다.
도 4에서 원격 센싱부(100)의 센서부(120)는 주변 환경을 센싱한다. 센싱 제어부(140)는 센싱 결과를 확인하여 그에 대응되는 컬러, 텍스트,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한편, 센싱 제어부(140)는 센싱 결과를 전송부(150)를 통해 본체부(200)로 제공해 줄 수도 있다.
본체부(200)의 인터페이스부(510)는 원격 센싱부(100)에서 제공되는 센싱 결과를 수신하여, 제어부(5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송부(150)는 유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센싱 결과를 본체부(200)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예로, 지그비나 블루투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520)는 제공된 센싱 결과에 대응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작업 수행부(530)를 제어한다.
한편, 원격 센싱부(100)의 센싱 제어부(140)는 센싱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 즉, 리모콘 신호를 생성하여 본체부(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도 4에서는 원격 센싱부(100) 자체가 본체부(200)로 센싱 결과를 알려 주어, 별도의 촬상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자동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이 에어컨으로 구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따르면, 촬상부(210)가 본체부(200)에 내장되어, 주변 환경을 촬상한다. 촬상부(210)의 촬상 범위는 고정적일 수도 있으며, 가변될 수도 있다. 촬상 범위 내에 위치한 원격 센싱부(100)에서는 그 주변 온도를 센싱한다. 이에 따라, 기준 온도 보다 낮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원격 센싱부(100)는 통상적으로 시원한 상태를 의미하는 블루 컬러를 표시하고, 기준 온도 이상이라면 통상적으로 더운 상태를 의미하는 레드 컬러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기준 온도 미만일 때는 어떠한 컬러도 표시하지 않고 있다가,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레더 컬러를 표시하는 형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본체부(200)는 레더 컬러가 감지되면, 설정 온도 자체를 낮추어 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본체부(200)는 촬상 장치(300) 및 작업 수행 본체(400)로 구분될 수 있다.
촬상 장치(300)는 외부의 원격 센싱부(100-1, 100-2)를 촬상하여 그 주변 온도를 감지한다. 도 6에서와 같이 제1 원격 센싱부(100-1)는 레드 컬러(R)를 표시하고, 제2 원격 센싱부(100-2)는 블루 컬러(B)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라면, 촬상 장치(300)는 배출팬(410)의 방향이 제1 원격 센싱부(100-1) 측을 향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외부의 원격 센싱부(100-1, 100-2)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설정 온도 뿐만 아니라 배기 방향이나, 배기 량, 배기 속도 등도 함께 제어하여, 전 지역이 빠른 시간 내에 균일한 대기 환경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촬상 범위 내에 사용자가 위치하고 사용자가 온도를 올리라는 손짓을 하게 되면, 촬상부(210)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를 확인한 본체부(200)가 그에 따라 설정 온도를 올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원격 센싱부(100-1, 100-2)의 센싱 결과도 함께 참고할 수 있으나, 센싱 결과와 사용자의 동작이 반대되는 경우에는 기 설정된 우선 순위 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즉, 센싱 결과를 우선 적으로 반영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사용자의 동작이 있더라도 센싱 결과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동작을 우선적으로 반영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센싱 결과가 저온이라고 판단되더라도 사용자가 온도를 낮추도록 지시하면 온도를 낮추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원격 센싱부(100-1, 100-2)가 파워-오프된 상태이거나, 원격 센싱부(100-1, 100-2)가 장애물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동작에 따라 우선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가 별다른 몸짓을 하지 않거나, 촬상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원격 센싱부(100-1, 100-2)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실시 예들에서, 본체부 및 원격 센싱부는 슬립 모드, 액티브 모드 등으로 자동 전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부가 슬립 모드(또는 스탠바이 모드)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센싱부를 턴-온하거나, 원격 센싱부를 터치하면 원격 센싱부가 그에 대응되는 컬러를 표시하거나 액티브 모드 전환 신호 등을 생성하여 본체부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본체부는 원격 센싱부의 컬러가 감지되거나, 액티브 모드 전환 신호 등이 수신되면, 슬립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만약 촬상 장치를 통해 원격 센싱부의 컬러를 감지하는 경우라면, 원격 센싱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본체부에 내장 또는 외장된 촬상 장치가 액티브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반면, 제어 신호 전송이 가능한 경우라면, 즉, 액티브 모드 전환 신호를 전송하여 주는 경우라면, 촬상 장치가 항상 액티브 상태를 유지할 필요는 없다.
한편, 본체부가 동작을 하고 있는 가운데, 원격 센싱부의 파워가 오프되거나, 더 이상의 본체부 동작이 불필요한 경우(임계 온도 조건, 임계 습도 조건 등을 만족하는 경우), 촬상 범위 내에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 등에는 본체부는 자동으로 슬립 모드로 전환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따르면, 본체부와 일정 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한 원격 센싱부에서 주변 환경, 구체적으로는, 온도나, 습도, 공기 청정도 등을 센싱한 후, 그 센싱 결과에 따라 컬러를 표시한다(S810).
한편, 본체부는 내장 또는 외장된 촬상 장치를 통해 원격 센싱부의 컬러를 촬상하고(S820), 그 컬러를 확인한다(S830).
그리고 나서, 확인된 컬러에 대응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한다(S840).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의 종류, 컬러 확인 방법 등은 상술한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8의 실내 대기 환경 조정 방법에 도 9의 단계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원격 센싱부의 컬러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것과 별개로, 촬상 범위 내에서 촬상된 이미지를 확인하여(S910), 그 이미지 내에 기 등록된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920). 확인 결과, 기 등록된 사용자가 존재한다면, 그 사용자의 동작 등의 변화 여부를 감지하여(S930), 변화된 동작에 따라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기 등록된 사용자의 동작 변화에 따른 제어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촬상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따라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동작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정밀하게 판독하기 어려운 경우라면, 동작 변화가 있다는 것이 감지되는 것만으로, 그 시점의 계절, 시간 대, 기기 특성 등을 반영하여 기 설정된 패턴으로 실내 대기 환경을 조정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의 본체부가 에어컨이고, 현재 시간이 낮 시간대인 경우라면, 사용자의 동작 변화가 감지될 때 자동적으로 설정 온도를 낮추어 주도록 프로그래밍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그 위치의 온도나 습도, 공기 청정도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사용자가 적절한 대기 환경이라고 느낄 수 있도록, 냉난방, 가습, 공기 청정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8은 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의 조정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9는 본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의 조정 방법에 추가될 수 있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원격 센싱부 200 : 본체부
210 : 촬상부 220 : 제어부
230 : 작업 수행부 240 : 저장부
300 : 촬상장치 250 : 인터페이스부
110 : 사용자조작부 120 : 센서부
130 : 표시부

Claims (19)

  1.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에 있어서,
    실내 대기 환경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에 따라 변화되는 컬러를 표시하는 원격 센싱부; 및,
    상기 원격 센싱부의 컬러를 촬상하여, 상기 촬상된 컬러의 변화에 따라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촬상부;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수행부; 및,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원격 센싱부의 컬러를 인식하여, 상기 작업 수행부가 상기 인식된 컬러에 대응되는 방식으로 실내 대기 환경을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촬상부의 촬상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형상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상기 작업 수행부가 상기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실내 대기 환경을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 등록된 사용자라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작업 수행부가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실내 대기 환경을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촬상 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원격 센싱부의 컬러를 인식하고, 인식된 컬러에 대응되는 리모콘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장치; 및,
    상기 리모콘 신호에 대응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수행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촬상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형상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리모콘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작업 수행 본체는 상기 리모콘 신호에 대응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촬상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 등록된 사용자라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되는 리모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9. 삭제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센싱부는,
    온도, 습도, 공기 청정도 중 하나를 센싱하는 센서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조작부; 및,
    상기 센서부의 센싱 결과 또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컬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센싱부는,
    실내 온도, 실내 습도, 공기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은,
    냉방 작업, 습도 조정 작업, 난방 작업, 공기 필터링 작업, 배기(排氣) 방향 조정 작업, 배기(排氣)량 조정 작업, 배기(排氣) 속도 조정 작업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13. 실내 대기 환경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에 따라 변화되는 컬러를 표시하는 원격 센싱부에 대한 촬상 작업을 수행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원격 센싱부의 컬러를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컬러의 변화에 대응되는 리모콘 신호를 생성하는 촬상 제어부; 및,
    상기 리모콘 신호를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5.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의 조정 방법에 있어서,
    실내 대기 환경을 센싱한 원격 센싱부가 센싱 결과에 따라 변화되는 컬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원격 센싱부를 촬상하는 단계;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원격 센싱부의 컬러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센싱부의 컬러 변화에 대응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의 조정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촬상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형상 및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의 조정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상기 기 등록된 사용자라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의 조정 방법.
  18.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에 있어서,
    실내 대기 환경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에 따라 변화되는 컬러, 텍스트,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원격 센싱부; 및,
    상기 원격 센싱부가 배치된 구역을 촬상하여, 상기 컬러, 텍스트, 기호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상태를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에 따라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작업을 수행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19. 삭제
KR1020090003860A 2009-01-16 2009-01-16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및 그 조정 방법 KR100923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860A KR100923997B1 (ko) 2009-01-16 2009-01-16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및 그 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860A KR100923997B1 (ko) 2009-01-16 2009-01-16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및 그 조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997B1 true KR100923997B1 (ko) 2009-10-29

Family

ID=4156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860A KR100923997B1 (ko) 2009-01-16 2009-01-16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및 그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9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913B1 (ko) 2010-09-07 2017-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2413828A (zh) * 2020-12-09 2021-02-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设备的显示画面调节方法和装置
CN112747434A (zh) * 2020-12-31 2021-05-04 上海尚雍电子技术工程有限公司 室内温度控制方法、系统、设备及计算可读机存储介质
US20220016446A1 (en) * 2020-07-14 2022-01-20 X Development Llc Delivering an Airflow to a Us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2288A (ja) * 2003-12-09 2005-06-30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制御システム
JP2007233619A (ja) * 2006-02-28 2007-09-13 Mitsumi Electric Co Ltd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2288A (ja) * 2003-12-09 2005-06-30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制御システム
JP2007233619A (ja) * 2006-02-28 2007-09-13 Mitsumi Electric Co Ltd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913B1 (ko) 2010-09-07 2017-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20016446A1 (en) * 2020-07-14 2022-01-20 X Development Llc Delivering an Airflow to a User
CN112413828A (zh) * 2020-12-09 2021-02-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设备的显示画面调节方法和装置
CN112747434A (zh) * 2020-12-31 2021-05-04 上海尚雍电子技术工程有限公司 室内温度控制方法、系统、设备及计算可读机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50080B (zh) 响应于占用者和/或移动设备的位置的负载控制系统
CN112019815B (zh) 传感器以及方法
US10359747B2 (en) Controlling device, controll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for indoor apparatus
CN101191652B (zh) 空调器和控制该空调器的气流的方法
CN113487673A (zh) 被配置用于眩光检测和控制机动窗帘的可见光传感器
JP5836145B2 (ja) ネットワーク空調制御システム
US20140244043A1 (en) Combination controller
KR20140094585A (ko)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컴퓨터-판독 가능한 레코딩 매체
KR100923997B1 (ko)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및 그 조정 방법
KR20140031081A (ko) 공기 조화기
US20160146492A1 (en) Remote controller
CN107178881A (zh) 一种智能空调、空调运行方法和空调控制系统
US9668319B2 (en)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1137589A (ja) 空気調和機、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2015232421A (ja) 空気調和機
JP7377333B2 (ja) 空気調和機
CN205717771U (zh) 空调控制装置、空调控制系统及空调器
KR101352539B1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조명제어장치
JP5787842B2 (ja) 空調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ー、室内機、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KR102337958B1 (ko) 이동형 공조장치
KR20150117404A (ko) 공기조화기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323841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동작 방법
JP6933013B2 (ja) 空気調和装置用コントローラー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60094733A (ko) 영상 저장 및 감시 기능을 갖는 천장형 시스템 에어컨
KR10209422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