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841B1 -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841B1
KR102323841B1 KR1020170081903A KR20170081903A KR102323841B1 KR 102323841 B1 KR102323841 B1 KR 102323841B1 KR 1020170081903 A KR1020170081903 A KR 1020170081903A KR 20170081903 A KR20170081903 A KR 20170081903A KR 102323841 B1 KR102323841 B1 KR 102323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wind direction
direction control
air conditioner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802A (ko
Inventor
문무현
이신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1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8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접풍을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 방향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풍향조절부재, 직접풍 모드를 실행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직접풍 모드를 실행하면 광을 방출하여 마커를 출력하는 광 모듈, 마커의 위치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센서부 및 마커의 위치에 사람이 감지되면 토출되는 공기가 마커를 향하도록 풍향조절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동작 방법{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직접풍이 나오는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탠드형 에어컨의 경우 직접풍이 나오는 위치, 방향 등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빠르게 더위를 식히고 싶거나 바람을 직접 맞고 싶은 경우 등 스탠드형 에어컨의 직접풍이 나오는 영역으로 이동하여 바람을 쐴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천장형 에어컨의 사용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공간 활용, 디자인 등과 같은 목적으로 인하여 스탠드형 에어컨 보다는 천장형 에어컨을 설치 및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다.
천장형 에어컨의 경우 기류가 천장에서 내려오는 형태이다. 천장형 에어컨은 특정 방향으로 기류를 조절하지 않으면 간접풍의 형태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천장형 에어컨은 특정 방향으로 기류를 조절하여 직접풍의 형태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으나, 사용자가 직접풍의 위치를 찾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베인을 조절하여 직접풍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나, 조작이 번거롭고 어려워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직접풍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 방향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풍향조절부재, 직접풍 모드를 실행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직접풍 모드를 실행하면 광을 방출하여 마커를 출력하는 광 모듈, 마커의 위치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센서부 및 마커의 위치에 사람이 감지되면 토출되는 공기가 마커를 향하도록 풍향조절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풍향조절부재가 복수개인 경우 마커의 위치에 사람이 감지되면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 중 제1 풍향조절부재가 토출되는 공기를 마커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 중 제1 풍향조절부재를 제외한 나머지는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지 않도록 출구를 막을 수 있다.
제어부는 풍향조절부재가 복수개인 경우 마커의 위치에 사람이 감지되면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가 토출되는 공기를 마커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토출되는 공기가 마커를 향하도록 풍향조절부재를 제어하는 동안 마커의 위치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는 마커의 위치에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직접풍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제어부는 마커를 출력하는 동안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직접풍 모드를 중단할 수 있다.
센서부는 광 모듈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센서부 및 광 모듈은 풍향조절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가 복수개인 경우 센서부 및 광 모듈은 한 쌍의 풍향조절부재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직접풍이 나오는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흡입된 공기를 하나의 출구로 토출시킴으로써 보다 강한 직접풍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직접풍 모드를 종료하여 불필요하게 직접풍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를 방지하고, 직접풍을 맞고자 하는 사람에게만 직접풍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예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수직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모듈과 센서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출구가 한 개인 경우 광 모듈 및 센서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출구가 복수개인 경우 광 모듈 및 센서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직접풍 모드의 실행에 따라 동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 감지를 통해 직접풍 모드를 실행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마커의 위치에서 사람을 감지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출구가 한 개인 경우 풍향조절부재의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출구가 복수개인 경우 풍향조절부재의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예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수직방향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형 공기조화기(100)는 실내 공간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100)는 천장에서 바람을 송풍하여 실내 공간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100)는 송풍 방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풍향조절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140)는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140)는 송풍 유닛(160)에서 송풍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 안내할 수 있다. 즉, 풍향조절부재(140)는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송풍 유닛(160)은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모터는 하측의 공기를 천장형 공기조화기(100)의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100)에는 외부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공(101)이 형성될 수 있다. 송풍 유닛(160)은 흡입공(101)으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기(102)로 유동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102)를 통과한 공기는 외부로 토출될 수 있고, 토출 공기는 풍향조절부재(140)가 안내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사용자는 천장형 공기조화기(100)에서 토출되는 시원한 바람을 직접적으로 쐬고 싶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천장형 공기조화기(1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 방향을 알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직접풍을 쐬기 위해 토출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나, 풍향조절부재(140)의 각도 조절이 불편하고,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00)는 직접풍이 제공되는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00)는 통신부(110), 카메라(115), 메모리(117), 광 모듈(120), 센서부(130), 풍향조절부재(140), 풍향조절모터(150), 송풍 유닛(16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천장형 공기조화기(100)는 앞에서 나열한 구성 중 일부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
통신부(110)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천장형 공기조화기(100)를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천장형 공기조화기(100)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제어신호, 토출 공기의 방향 또는 세기를 조절하는 풍향제어신호, 공기청정 또는 제습 등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운전제어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천장형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풍향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풍향조절부재(140), 풍향조절모터(150) 및 송풍 유닛(16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토출 공기의 방향 또는 세기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직접풍 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직접풍 모드란 천장형 공기조화기(10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일 방향으로 집중되도록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100)가 직접풍 모드로 동작하면 토출 공기가 집중되는 방향의 온도는 급격히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통신부(110)를 통해 직접풍 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직접풍 모드를 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카메라(115)를 통해 직접풍 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스처를 인식하여 직접풍 모드를 온할 수 있다.
<카메라>
카메라(115)는 천장형 공기조화기(100)의 주변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메라(115)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메라(115)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 제스처가 직접풍 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스처로 판단되면 직접풍 모드를 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17)는 직접풍 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스처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직접풍 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스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100)의 제작시 디폴트(default)로 메모리(117)에 저장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설정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메모리(117)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메라(115)를 통해 사용자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 제스처가 메모리(117)에 저장된 적접풍 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스처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직접풍 모드를 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어부(180)는 직접풍 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고, 직접풍 모드가 실행되면 광 모듈(120) 및 센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모듈과 센서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모듈(120)과 센서부(130)는 하나의 모듈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광 모듈(120)과 센서부(130)는 각각 별도의 모듈에 구비될 수도 있다.
<광 모듈>
광 모듈(120)은 직접풍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토출 공기가 집중되는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광 모듈(120)은 광원(121)과 렌즈(122)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121)은 LED 광원일 수 있다. 광원(121)은 광을 방출할 수 있고, 렌즈(122)는 광원(121)에서 방출된 광을 모을 수 있다. 따라서, 광원(121)에서 방출된 광은 렌즈(122)에 의해 일 영역으로 집중되어 마커(marker)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마커는 광원(121)에서 방출된 광이 도달하여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마커에는 광이 도달하기 때문에 마커 위치는 인접한 다른 위치보다 밝게 표시될 수 있다.
광 모듈(120)은 마커를 출력할 수 있다. 렌즈(122)의 위치나 각도 등이 변경되면 광원(121)에서 방출된 광이 도달하는 마커의 표시 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00)는 공기가 집중 토출되는 위치에 마커를 출력시킴으로써, 직접풍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센서부>
센서부(130)는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사람의 체온을 감지하거나 얼굴을 촬영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30)는 인체 감지 센서(PIR, Passive Infrared Sensor)일 수 있다.
센서부(130)는 광 모듈(120)이 출력하는 마커의 위치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광 모듈(120)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30)는 광 모듈(120)의 위에 위치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센서부(130)는 광 모듈(120)의 아래 또는 옆에 위치될 수도 있다.
<광 모듈 및 센서부의 위치>
천장형 공기조화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광 모듈(120)과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광 모듈(120)의 개수와 센서부(130)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광 모듈(120)과 센서부(130)는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센서부(130)는 광 모듈(120)이 출력하는 마커의 위치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감지하기 때문이다.
광 모듈(120) 및 센서부(130)는 천장형 공기조화기(100)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모듈 및 센서부의 위치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출구가 한 개인 경우 광 모듈 및 센서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출구가 복수개인 경우 광 모듈 및 센서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형 공기조화기(100)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103)가 한 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천장형 공기조화기(100)는 하나의 광 모듈(120)과 하나의 센서부(140)를 포함할 수 있고, 광 모듈(120) 및 센서부(140) 출구(103)의 양 측 영역(501)(502) 중 어느 한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천장형 공기조화기(100)는 두 개 광 모듈(120)과 두 개의 센서부(14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광 모듈 및 제1 센서부는 제1 영역(501)에 위치되고, 제2 광 모듈 및 제2 센서부는 제2 영역(502)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 모듈(120)과 센서부(140)가 복수개인 경우 마커는 복수개 출력되어, 어느 하나의 마커에서 사람이 감지되면 사람이 감지된 마커의 위치로 공기를 집중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형 공기조화기(100)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103)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광 모듈(120) 및 센서부(140)는 복수개의 출구(103) 사이 영역(601)(602)(603)(604)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천장형 공기조화기(100)는 하나의 광 모듈(120)과 하나의 센서부(140)를 포함할 수 있고, 광 모듈(120) 및 센서부(140)는 양 출구의 사이 영역(601)(602)(603)(604)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천장형 공기조화기(100)는 복수개의 광 모듈(120)과 두 개의 센서부(140)를 포함할 수 있고, 양 출구의 사이 영역(601)(602)(603)(604) 중 하나 이상에 광 모듈(120)과 센서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 모듈(120)과 센서부(140)가 출구(103)와 인접하게 위치되면, 토출 공기의 기류 방향과 광 모듈(120)에서 방출되는 광의 이동 방향이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광 모듈(120)는 직접풍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마커로 출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광 모듈(120)과 센서부(140)의 위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기류의 영향을 최소화하며 직접풍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위치에 광 모듈(120)과 센서부(140)가 위치될 수 있다.
센서부(130)가 마커의 위치에서 사람을 감지하면, 제어부(180)는 마커의 위치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풍향조절부재(140)를 제어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
풍향조절부재(140)는 각도가 가변되거나 승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풍향조절부재(140)가 움직임에 따라 출구(103)를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140)는 토출 공기가 마커의 위치를 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140)는 풍향조절모터(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풍향조절모터>
풍향조절모터(150)는 풍향조절부재(140)를 제어할 수 있다. 풍향조절모터(150)는 풍향조절부재(140)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제어하거나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풍향조절모터(150)는 통신부(150)를 통해 토출 공기의 방향을 설정하는 풍향제어신호를 수신하면 풍향조절부재(140)를 제어하여 토출 공기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풍향조절모터(150)는 마커의 위치에서 사람이 감지되면 토출 공기가 마커의 위치를 향하도록 풍향조절부재(140)를 제어할 수 있다.
<송풍 유닛>
송풍 유닛(160)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송풍 유닛(150)은 마커의 위치에서 사람이 감지되면 마커의 위치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켜, 마커의 위치로 공기를 집중시킬 수 있다.
<직접풍 모드의 실행 방법>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직접풍 모드의 실행에 따라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직접풍 모드를 온(On)할 수 있다(S1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110)가 직접풍 모드를 실행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직접풍 모드를 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로 직접풍 모드 실행 버튼을 선택할 수 있고, 원격제어장치는 직접풍 모드 실행 버튼이 선택되면 천장형 공기조화기(100)의 통신부(110)로 직접풍 모드 실행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직접풍 모드 실행 제스처를 감지함에 따라 직접풍 모드를 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접풍 모드 실행 제스처의 감지에 따라 직접풍 모드를 실행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어부(180)는 직접풍 모드 실행 제스처를 설정할 수 있다(S11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시 디폴트로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여 메모리(117)에 저장할 수 있고, 메모리(117)에 저장된 제스처를 직접풍 모드 실행 제스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카메라(115)를 통해 임의로 사용자 제스처를 수신하여 메모리(117)에 저장할 수 있고, 메모리(117)에 저장된 사용자 제스처를 직접풍 모드 실행 제스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시 디폴트로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여 직접풍 모드 실행 제스처로 설정할 수 있고, 이후 카메라(115)를 통해 사용자 제스처를 수신하면 직접풍 모드 실행 제스처가 변경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메라(115)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주변을 촬영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S112).
제어부(180)는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S113).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카메라(115)로 촬영된 영상 전체에서 사용자 제스처가 인식되는지 분석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카메라(115)로 촬영된 영상 중 기 설정된 영역 이내에서 사용자 제스처가 인식되는지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인식된 사용자 제스처와 기 설정된 직접풍 모드 실행 제스처를 비교할 수 있다(S114).
제어부(180)는 인식된 사용자 제스처와 기 설정된 직접풍 모드 실행 제스처의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동작 모습, 동작 순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사용자 제스처와 기 설정된 직접풍 모드 실행 제스처의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인식된 사용자 제스처와 기 설정된 직접풍 모드 실행 제스처의 유사도가 소정 기준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115).
제어부(180)는 인식된 사용자 제스처와 기 설정된 직접풍 모드 실행 제스처의 유사도가 소정 기준에 미달하면 다시 카메라(115)가 주변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인식된 사용자 제스처와 기 설정된 직접풍 모드 실행 제스처의 유사도가 소정 기준 이상이면 직접풍 모드를 온시킬 수 있다(S116).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직접풍 모드를 온시키는 소정 기준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시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직접풍 모드를 온시키는 소정 기준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의도치 않은 동작으로 인해 직접풍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를 감소시키거나, 제스처를 취함에도 직접풍 모드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을 통해 설명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직접풍 모드 실행 제스처로 설정된 제스처를 취함으로써 용이하게 직접풍 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다시, 도 7을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스처를 인식하여 직접풍 모드를 온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직접풍 모드가 오프인 경우 광 모듈(120)과 센서부(130)를 오프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직접풍 모드가 온되면 광 모듈(120)과 센서부(130)를 온시킬 수 있다.
광 모듈(120)은 마커를 출력할 수 있다(S13).
제어부(180)는 직접풍 모드가 온되면 광 모듈(120)이 마커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서는 천장형 공기조화기(100)가 하나의 광 모듈(120)과 하나의 센서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나, 광 모듈(120)과 센서부(130)의 개수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모듈(120)은 마커(200)를 출력할 수 있다. 즉, 광 모듈(120)의 광원은 광을 방출하여 마커(200)를 형성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15).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마커의 위치에서 사람을 감지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센서부(130)는 마커(200)의 위치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커(200)가 형성된 영역 이내에 사람(900)이 존재하면 센서부(130)는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센서부(130)의 감지 결과를 통해 사람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7).
제어부(180)는 마커(200)의 위치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계속해서 마커(200)를 출력하고, 사람이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사람이 감지되지 않은 채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마커(200)가 출력되면 직접풍 모드를 오프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마커(200)의 위치에 사람이 존재하면 기류 방향이 마커(200)의 위치를 향하도록 풍향조절부재(140)를 조절할 수 있다(S21).
제어부(180)는 마커(200)의 위치에 사람이 존재하면 마커(200)의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직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출구를 통과한 공기가 마커(200) 위치로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3).
<풍향조절부재의 동작 모습>
다음으로,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출구가 한 개인 경우 풍향조절부재의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출구가 복수개인 경우 풍향조절부재의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가 한 개인 천장형 공기조화기(100)는 마커(200)의 위치에서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이 때, 도 11(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은 공기가 마커(200)의 위치를 향하지 않음을 나타내기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다.
제어부(180)는 마커(200)의 위치에서 사람(900)이 감지되면 풍향조절부재(140)를 제어하여 공기의 토출 방향을 마커(200)의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공기의 토출 방향이 도 11(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마커(200)를 향하도록 풍향조절부재(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마커(200)를 통해 직접풍을 받을 수 있는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하고, 직접풍을 맞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가 복수개인 천장형 공기조화기(100)도 마커(200)의 위치에서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화상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마커(200)의 위치와 관계없이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마커(200)의 위치에서 사람(900)이 감지되면 마커(200)의 위치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풍향조절부재(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커(200)의 위치로 공기를 안내하는 풍향조절부재(140a)를 제외한 나머지 풍향조절부재(140b)는 인접하게 위치한 공기의 출구를 막을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마커(200)와 인접하게 위치한 풍향조절부재(140a)는 토출 공기가 마커(200)를 향하도록 제어하고, 나머지 풍향조절부재(140b)는 출구를 막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천장형 공기조화기(100)는 흡입된 공기를 모두 마커(200)의 위치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다 강력한 직접풍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140)가 모두 토출 공기를 마커(200) 위치로 안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마커(200)의 위치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동안 마커(200)의 위치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센서부(130)가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5).
제어부(180)는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계속해서 마커(200)의 위치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직접풍 모드를 오프시킬 수 있다(S27).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마커(200) 위치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직접풍 모드를 오프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직접풍 모드가 오프되면 광 모듈(120) 및 센서부(13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즉, 광 모듈(120)의 마커(200)를 출력하지 않고, 센서부(130)는 사람의 감지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직접풍 모드 종료 제스처를 인식하여 직접풍 모드를 오프시킬 수 있다. 메모리(117)는 직접풍 모드 종료 제스처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제어부(180)는 카메라(115)를 통해 직접풍 모드 종료 제스처가 인식되면 직접풍 모드를 오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마커(200) 위치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거나 직접풍 모드 종료 제스처가 인식되면 직접풍 모드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직접풍 모드는 자동적으로 종료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종료될 수 있어 불필요하게 직접풍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마커(200)의 위치를 벗어나면 자동으로 직접풍 모드를 종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하게 직접풍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를 방지하고, 직접풍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만 직접풍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 방향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풍향조절부재;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 제스처가 직접풍 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스처이면. 직접풍 모드를 실행하는 제어부;
    상기 직접풍 모드를 실행하면 광을 방출하여 마커를 출력하는 광 모듈; 및
    상기 마커의 위치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커의 위치에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토출되는 공기가 마커를 향하도록 상기 풍향조절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커를 출력하는 동안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마커의 위치에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직접풍 모드를 중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향조절부재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마커의 위치에 사람이 감지되면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 중 제1 풍향조절부재가 상기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마커 방향으로 안내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 중 상기 제1 풍향조절부재를 제외한 나머지는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지 않도록 출구를 막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향조절부재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마커의 위치에 사람이 감지되면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가 상기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마커 방향으로 안내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되는 공기가 마커를 향하도록 풍향조절부재를 제어하는 동안 상기 마커의 위치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광 모듈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및 광 모듈은 상기 풍향조절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부재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센서부 및 광 모듈은 한 쌍의 풍향조절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170081903A 2017-06-28 2017-06-28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23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903A KR102323841B1 (ko) 2017-06-28 2017-06-28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903A KR102323841B1 (ko) 2017-06-28 2017-06-28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802A KR20190001802A (ko) 2019-01-07
KR102323841B1 true KR102323841B1 (ko) 2021-11-09

Family

ID=65016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903A KR102323841B1 (ko) 2017-06-28 2017-06-28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8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5446B (zh) * 2019-03-11 2021-10-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
KR20220039333A (ko) * 2020-09-22 2022-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의 제어방법
WO2023095502A1 (ja) * 2021-11-26 2023-06-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気流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334B1 (ko) 2013-07-26 2014-12-05 스타시스코리아(주) 송풍장치
KR101471727B1 (ko) 2009-10-30 2014-12-10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컨트롤러 및 공기 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916B2 (ja) * 1986-07-16 1994-09-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1936635B1 (ko) * 2012-02-14 2019-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727B1 (ko) 2009-10-30 2014-12-10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컨트롤러 및 공기 조화기
KR101460334B1 (ko) 2013-07-26 2014-12-05 스타시스코리아(주) 송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802A (ko) 201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841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79811B1 (ko)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US9625195B2 (en) Indoor unit
KR200491496Y1 (ko) 자동 청결 감시 카메라
JP2015025564A (ja) 空気調和機
JP6285166B2 (ja) 空気調和機
AU20122031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ielding an IR detecting diode
KR10153680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2011058720A (ja) 空気調和機
JP2014020670A5 (ko)
KR101936635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2014006559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7377333B2 (ja) 空気調和機
CN104048357B (zh) 空调机
KR100923997B1 (ko) 실내 대기 환경 조정 시스템 및 그 조정 방법
JP2015025574A (ja) 空気調和機
JP2015025575A (ja) 空気調和機
JP6933013B2 (ja) 空気調和装置用コントローラー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KR10204312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2016111544A (ja) 電子機器の遠隔制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662675B1 (ko) 연기 감지기
KR102398452B1 (ko) 공기조화기 제어 시스템
JP2015218963A (ja) 環境制御システム
JP2016070649A (ja) 空調機およびこれを制御する方法
JP6692134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