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590A -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590A
KR20140065590A KR1020120130452A KR20120130452A KR20140065590A KR 20140065590 A KR20140065590 A KR 20140065590A KR 1020120130452 A KR1020120130452 A KR 1020120130452A KR 20120130452 A KR20120130452 A KR 20120130452A KR 20140065590 A KR20140065590 A KR 20140065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gesture
air conditioner
wind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다미
정원석
김형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0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5590A/ko
Publication of KR20140065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8Recognition of hand or arm movements, e.g. recognition of deaf sign langu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은, 사용자를 촬영하는 단계와,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사용자의 제스쳐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온도, 습도 또는 공기청정도 등을 변화시켜, 그 공기를 공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여,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환경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로 송풍시킨 후 외부로 토출하는 송풍기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의 형상이나 개구 방향이나 개수 등에 따라 실내에 다양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있는 이용자에게 공기를 조화하여 쾌적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 및 조명을 이용하여 심적인 쾌적함을 제공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보다 간소화하고, 직관적으로 사용방법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은, 사용자를 촬영하는 단계와,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사용자의 제스쳐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공기를 조화하는 바람을 토출하는 토출유닛과,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며,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제스쳐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 가능하고, 인식된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하여, 각각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및 오디오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식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정지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공기조화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13b는 도 5의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정지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실내를 공조시키는 입식형 본체(2)와 본체의 하측에 구비되어 본체를 지지하는 베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는 일반적으로 하부에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4, 6)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2)는 상부에 본체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8, 10)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 공기 흡입구(4)와 좌측 공기 토출구(8)는 좌측 도어(12)에 의해 함께 개폐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6)와 우측 공기 토출구(10)는 우측 도어(14)에 의해 함께 개폐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본체(2)는 캐비닛(22)과, 좌측 흡입패널 어셈블리(31)와, 우측 흡입패널 어셈블리(41)와, 토출패널 어셈블리(51)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22)은 본체(2)의 후방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베이스(20)의 후방부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좌측 흡입패널 어셈블리(31)은 캐비닛(22)의 좌측의 전방으로 배치되도록 베이스(20)의 전방부 좌측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좌측 흡입패널 어셈블리(31)은 좌측부과 전방부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측부에 좌측 공기 흡입구(4)가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우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 형성될 수 있다.
우측 흡입패널 어셈블리(41)은 캐비닛(22)의 우측부의 전방으로 배치되도록 베이스(20)의 전방부 우측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우측 흡입패널(41)은 우판부와 전판부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우판부에 우측 공기 흡입구(6)가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우측 전방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토출 패널(51)의 좌측에 화전되게 설치된 좌측 베인(81)과 좌측 베인(81)을 회전시키도록 토출 패널(51)의 우측에 회전되게 회전되게 설치된 우측베인(83)과, 우측 베인(83)을 회전시키도록 토출 패널(51)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 베인 구동기구(84)를 포함한다.
좌측 베인 및 우측 베인은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2) 전방에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90)이 배치된다.
전면 패널(90)은 본체(2)의 전면 전체를 여닫도록 좌우 중 일측으로 회동되게 연결될 수 있다. 전면 패널(90)은 베이스(20) 및 좌측 흡입패널(31)와 우측 흡입패널 어셈블리(41)와 연결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토출 패널(51)은 캐비닛(22)의 상부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 패널(51)은 좌측에 좌측 공기 토출구(8)가 개구 형성되고, 우측에 우측 공기 토출구(10)가 개구 형성될 수 있다.
전면 공기 토출구(96)가 형성된 별도의 토출 유닛(97)은 본체(2)의 내측 상부에서 본체(2)의 위로 상승되고, 본체(2)의 위에서 본체(2)의 내측 상부로 하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토출구가 형성되는 형태는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토출 유닛은 실내의 공기를 조화하는 바람을 토출할 수 있다.
카메라(190)는 토출 유닛(97)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190)는 공기조화기의 전방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90)는 일정한 화각 내에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일정각도를 회전하며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카메라(190)는 외부의 사물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90)는 빛이 사물에 맺힌 상인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9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거나 통신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360)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디스플레이(180)는 전면패널(9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공기조화기의 상태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공기조화기가 처리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가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상호 레이어 구조를 가지는 터치스크린인 경우, 디스플레이(180)는 출력의 기능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입력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공기조화기의 전반적인 전기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70), 제어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40) 및 다른 가전제품 또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등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공기조화기를 위해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메모리(140) 내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및/또는 명령어들의 집합들을 실행 또는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카메라(19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카메라(190)를 통해, 사용자를 촬영한 촬영 이미지를 입력받ㅇ르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스쳐 동작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100)를 특정 운전 상태로 운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공기조화기가 토출하는 바람의 세기, 온도, 습도,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팬구동부(130)는 제어부(17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팬구동부(130)는 송풍유닛(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송풍유닛(미도시)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유닛으로 송풍할 수 있다. 팬구동부(130)는 제어부(1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송풍유닛이 포함한 팬의 구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2)는, 외부전원을 변환하여, 제어부(170)를 비롯한 공기조화기의 동작과 연관된 구성요소가 필요로 하는 전원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2)는 제어부(170)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설정된 기능에 따라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베인구동부(150)는 토출유닛의 좌/우 베인을 구동할 수 있다. 베인구동부(150)는 제어부(17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좌/우 베인을 구동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공간의 공기를 조화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공기조화기의 전방에 위치하여, 각종 제어정보 또는 동작정보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오디오 입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35)는, 외부의 전자기기 또는 무선 리모컨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35)는 제어부(17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190)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카메라(190)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카메라(190)는 토출 유닛(97)의 일 영역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9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카메라(190)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90) 주변에 발광부(미도시)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발광부(미도시)는, 사용자의 시선을 유도하기 위해, 발광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식이 완료된 후, 발광부(미도시)는 발광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6a 내지 도 13b는 도 5의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조화기(100)의 카메라(190)는, 사용자를 촬영한다(S510). 촬영된 영상은 제어부(170)에 입력된다.
다음, 공기조화기의 제어부(170)는,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식한다(S520). 그리고,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한다(S530).
도 6a 내지 도 6b는 사용자 인식 및 사용자 제스쳐 인식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a는, 사용자(500)가, 공기조화기(100)를 향해서 위치하다가, 오른 손을 올리는 제스쳐를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공기조화기(100)의 카메라(190)는,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다. 도 6b는 카메라(190)를 통해, 촬영된 영상(620)을 예시한다. 특히, 도면에는, 사용자가 오른 손을 올리는 제스쳐를 수행한 순간의 영상(620)을 예시한다.
한편, 카메라(190)는, 연속으로 사용자에 대한 촬영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영상은,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170)에 입력된다.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170)는, 카메라(190)를 통해, 사용자가 오른 손을 올리기 이전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170)는, 별다른 제스쳐가 없는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이때,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얼굴(도 6b의 615)만 인식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 얼굴 인식을 통해, 제어부(170)는,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중, 눈과 눈 사이, 눈과 코 사이, 등 특징점들의 거리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 얼굴 패턴을 메모리(140)에 기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얼굴 패턴과, 촬영되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비교하여, 기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음,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170)는, 카메라(190)를 통해, 도 6b와 같이, 사용자가 오른 손을 올리는 제스쳐를 수행한 순간의 영상(620)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얼굴(도 6b의 615)과, 사용자의 오른 손(605)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D1)가 기준 거리(Dref)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거리(D1)가 기준 거리(Dref) 이하인 경우, 유효한 제스쳐로 인식할 수 있다.
다음, 공기조화기의 제어부(170)는, 감지된 사용자의 제스쳐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540).
감지된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각종 운전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7a 내지 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a 내지 도 7b는, 사용자의 손을 흔드는 제스쳐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바람을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7a는 사용자(600)가, 공기조화기(100)를 향해, 오른 손(605)을 흔드는(shaking) 제스쳐를 취하는 것을 예시한다. 제어부(170)는, 카메라(19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사용자 인식 및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 손을 흔드는 제스쳐가,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바람을 출력하는 것으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60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바람을 출력하도록 토출 유닛(97)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손을 흔드는 제스쳐는, 사용자 위치가 가변되더라도, 사용자에 맞춤형으로 바람을 제공하는 제스쳐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b와 같이, 사용자(600)가 자리 이동을 한 경우,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170)는, 바람이 토출되는 방향을 변경하여, 자리 이동한 사용자(600) 위치로, 바람을 출력하도록, 토출 유닛(97)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도 7c는 다른 사용자(700)가 손을 흔드는 제스쳐를 수행하는 것을 예시하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600)가 자리를 비운 사이, 제2 사용자(700)가 손을 흔드는 제스쳐를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카메라(190)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해, 사용자(700) 인식 및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제어 권한을 제1 사용자에서 제2 사용자로 이동 설정하고, 제2 사용자(70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바람을 출력하도록 토출 유닛(97)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7c와 같이, 제2 사용자(700)에게 바람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도 7c와 달리, 복수의 사용자가 함께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제1 사용자(600)가 먼저 손을 흔드는 제스쳐를 취하여, 바람이 제1 사용자(600)를 중심으로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2 사용자(700)가 나타나, 손을 흔드는 제스쳐를 취하는 경우, 제어권의 이동이 가능하다. 즉, 제어부(170)는, 제2 사용자(70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바람을 출력하도록 토출 유닛(97)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제1 사용자(600)와 제2 사용자(700)에게 모두 바람이 출력되도록, 토출 유닛(97)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공기 조화기(100)는, 바람 출력 방향을 나누어, 2 방향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바람 방향을 나누어도 되는 지 여부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인식은, 카메라(190)에서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얼굴 이미지와 기 저장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다른 예로, 사용자 인식은, 카메라(190)에서 촬영된 영상 및, 오디오 입출력부(185)에 입력되는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된 영상,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각각 기 저장된 사용자 이미지, 기저장된 오디오 신호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90)는, 적외선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체온을 간접적으로 유추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600)가 손을 흔드는 제스쳐를 취하여, 바람이 사용자(600)를 중심으로 출력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체온이 소정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제어부(170)는,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적외선 촬영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체온이 소정치 이하로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운전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 바람 운전이 아닌 간접 바람 운전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8a 내지 도 8b는, 사용자의 주먹을 쥐는 제스쳐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가 위치하는 고정된 방향으로, 바람을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8a는 사용자(600)가, 공기조화기(100)를 향해, 오른 손(605) 주먹을 쥐는 제스쳐를 취하는 것을 예시한다. 제어부(170)는, 카메라(19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사용자 인식 및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 주먹을 쥐는 제스쳐가, 사용자가 위치하는 고정된 방향으로, 바람을 출력하는 것으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고정된 방향으로, 바람을 출력하도록 토출 유닛(97)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주먹을 쥐는 제스쳐는, 사용자 위치가 가변되는 경우, 더 이상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바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가 위치하던 고정된 방향에 바람을 제공하는 제스쳐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b와 같이, 사용자가 자리 이동을 한 경우,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170)는, 바람이 토출되는 방향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계속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바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쳐는, 고정된 방향으로 바람을 쐬고 싶은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9a 내지 도 9b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일정 방향을 가리키는 제스쳐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가 지정하는 방향으로, 바람을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9a는 사용자(600)가, 오른 손(605)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오른 방향을 가리키는 제스쳐를 취하는 것을 예시한다. 제어부(170)는, 카메라(19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사용자 인식 및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 오른 방향을 가리키는 제스쳐가, 사용자가 지정하는 오른쪽 방향으로, 바람을 출력하는 것으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오른쪽 방향으로, 바람을 출력하도록 토출 유닛(97)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면과 같이, 사용자의 오른쪽 방향으로 바람이 출력되게 된다.
한편, 도 9b는 사용자(600)가, 오른 손(605)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부 방향을 가리키는 제스쳐를 취하는 것을 예시한다. 제어부(170)는, 카메라(19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사용자 인식 및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 상부 방향을 가리키는 제스쳐가, 사용자가 지정하는 상부 방향으로, 바람을 출력하는 것으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상부 방향으로, 바람을 출력하도록 토출 유닛(97)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면과 같이, 사용자의 상부 방향으로 바람이 출력되게 된다.
다음, 도 10a 내지 도 10d는, 사용자의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원 모양을 형성하는 제스쳐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가 지정하는 방향으로, 바람을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0a는 사용자(600)가, 공기조화기(100)를 향해, 오른 손(605)을 흔드는(shaking) 제스쳐를 취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사용자(60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바람을 출력하도록 토출 유닛(97)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10b는 사용자(600)가, 오른 손(605) 중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원 모양을 형성하는 제스쳐를 취하는 것을 예시한다. 제어부(170)는, 카메라(19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사용자 인식 및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 사용자의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원 모양을 형성하는 제스쳐가, 현재 동작되고 있는 운전 조건을 저장하는 것으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현재 동작되고 있는 운전 조건을 그대로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면과 같이, 사용자(60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바람을 출력하는 운전 조건이 저장되게 된다.
다음, 도 10c는 사용자(600)가 자리를 비운 것을 예시한다. 공기조화기(100)가 더 이상, 사용자(600)를 쫓아, 바람을 출력할 수 없으므로, 별다른 동작 없이, 일시 정지할 수 있다.
다음, 도 10d는 사용자(600)가 다시 자리로 돌아온 것을 예시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사용자를 촬영한 영상을 통해, 사용자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지난, 도 10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된 운전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면과 같이, 제어부(170)는, 사용자(60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바람을 출력하도록 토출 유닛(97)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1a 내지 도 11b는 복수의 사용자가 손을 흔드는 제스쳐를 취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먼저, 도 11a는, 복수의 사용자(600a,600b,600c)가 각각 오른 손(605a,605b,605c)을 흔드는 제스쳐를 취하는 경우, 공기조화기(100)와 가장 가까운, 사용자(600b)의 위치에 대응하여, 바람을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11b는, 복수의 사용자(600a,600b,600c)가 손을 흔드는 제스쳐를 취하는 경우, 바람의 출력방향을 분리하여, 각각의 사용자(600a,600b,600c)에게 모두 바람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복수의 사용자가 손을 흔드는 제스쳐를 취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모든 사용자에게 바람이 도달하도록, 전체로 기류를 제공하는 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 도 12a 내지 도 12b는 사용자가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먼저, 도 12a는 사용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박수를 치는 경우를 예시한다. 제어부(170)는, 오디오 입출력부(185)를 통해 입력되는 박수 소리(1202)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와, 사용자를 촬영한 촬영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적합한 운전 조건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운전할 수 있다.
다음, 도 12b는 사용자(600)가, 공기조화기(100)를 향해, 오른 손(605)을 흔드는(shaking) 제스쳐를 취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사용자(60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바람을 출력하도록 토출 유닛(97)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바람은, 도 12a에서 인식된 사용자를 위한, 운전에 의해 수행된 바람일 수 있다.
다음, 도 13a 내지 도 13b는 사용자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사용자의 손을 일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스쳐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일단, 사용자의 손을 위, 아래, 오른쪽, 왼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이러한 제스쳐는, 공기조화기에서 출력되는 바람의 온도, 출력 시간, 세기 중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제스쳐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을 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온도를 올리거나, 출력 시간을 증가시키거나, 세기를 증가시키는 제스쳐일 수 있다. 이 중 온도, 출력 시간, 세기의 구분은,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다.
도 13a는, 사용자(60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바람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사용자(600), "추워"라는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공기조화기의 오디오 입출력부(185)는 이를 입력받고,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제어부(170)는, 내부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또는, 외부의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온도 관련 정보라는 것을 인식한다.
다음, 도 13b와 같이, 사용자(600)가 오른 손(605)을 위로 올리는 제스쳐를 취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온도, 출력 시간, 세기 중 온도를 위로 올리는 제스쳐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바람의 온도를 높이는 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은,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4)

  1. 사용자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제스쳐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스쳐 감지 단계는,
    상기 촬영된 영상 내의 상기 사용자 얼굴과 사용자 손 사이의 거리가 소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손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수행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손을 흔드는 제스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바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수행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주먹을 쥐는 제스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고정된 방향으로 바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수행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원 모양을 형성하는 제스쳐가 감지되는 경우, 동작 중인 운전 조건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수행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일정 방향을 가리키는 제스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지정한 방향으로 바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전 수행 단계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바람의 온도, 출력 시간, 세기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을 일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스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해, 해당 제스쳐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식 단계는,
    상기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수행 단계는,
    복수의 사용자가 손을 흔드는 제스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바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수행 단계는,
    제1 사용자의 손을 흔드는 제스쳐가 감지되어,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바람을 출력하다가, 제2 사용자의 손을 흔드는 제스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바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11.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공기를 조화하는 바람을 토출하는 토출유닛;
    상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며,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제스쳐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오디오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바람의 온도, 출력 시간, 세기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을 일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스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해, 해당 제스쳐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오디오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사용자의 손을 흔드는 제스쳐가 감지되어,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바람을 출력하다가, 제2 사용자의 손을 흔드는 제스쳐가 감지되는 경우, 계쏙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바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20130452A 2012-11-16 2012-11-16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65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452A KR20140065590A (ko) 2012-11-16 2012-11-16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452A KR20140065590A (ko) 2012-11-16 2012-11-16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590A true KR20140065590A (ko) 2014-05-30

Family

ID=5089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452A KR20140065590A (ko) 2012-11-16 2012-11-16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559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6207A1 (zh) * 2016-07-02 2018-01-11 李珂悦 智能空调
KR101939721B1 (ko) * 2017-08-31 2019-01-1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얼굴 및 제스처 인식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선풍기
CN109539486A (zh) * 2018-07-16 2019-03-29 珠海磐磊智能科技有限公司 调控系统的控制方法及系统
KR20190097902A (ko) * 2018-02-13 201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지시된 위치로 풍향을 제어하는 에어컨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N110173860A (zh) * 2019-05-29 2019-08-2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空调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641517B2 (en) 2017-07-18 2020-05-05 Myung Eun SONG Electric fan capable of controlling rotation ran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2556125A (zh) * 2020-12-14 2021-03-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导风板角度控制方法和控制系统
EP4024332A4 (en) * 2019-08-26 2022-10-19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ING AND METHODS OF DELIVERING INFORMATION US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6207A1 (zh) * 2016-07-02 2018-01-11 李珂悦 智能空调
US10641517B2 (en) 2017-07-18 2020-05-05 Myung Eun SONG Electric fan capable of controlling rotation ran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39721B1 (ko) * 2017-08-31 2019-01-1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얼굴 및 제스처 인식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선풍기
KR20190097902A (ko) * 2018-02-13 201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지시된 위치로 풍향을 제어하는 에어컨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N109539486A (zh) * 2018-07-16 2019-03-29 珠海磐磊智能科技有限公司 调控系统的控制方法及系统
CN110173860A (zh) * 2019-05-29 2019-08-2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空调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4024332A4 (en) * 2019-08-26 2022-10-19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ING AND METHODS OF DELIVERING INFORMATION US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CN112556125A (zh) * 2020-12-14 2021-03-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导风板角度控制方法和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559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4487809B2 (ja) 空気調和装置
EP2719964B1 (en) Display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KR101244031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7156B1 (ko) 공기 조화기
KR2009011558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2009139010A (ja) 空気調和機
KR2009008191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5025564A (ja) 空気調和機
KR20190097902A (ko)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지시된 위치로 풍향을 제어하는 에어컨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2016156507A (ja) 空気調和機
JP2017187180A (ja) 空気調和機
JP5713938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90116299A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KR101949363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047324A (ko) 공기 조화기
KR20190004849A (ko) 이동형 공조장치
JP2015025575A (ja) 空気調和機
KR20090084477A (ko) 공기조화기의 보안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08357B1 (ko) 공기조화기
KR20120007871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19825B1 (ko) 공기조화기
KR2019009298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69013B1 (ko) 공기조화기
KR2014006553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