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536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536A
KR20140065536A KR1020120129627A KR20120129627A KR20140065536A KR 20140065536 A KR20140065536 A KR 20140065536A KR 1020120129627 A KR1020120129627 A KR 1020120129627A KR 20120129627 A KR20120129627 A KR 20120129627A KR 20140065536 A KR20140065536 A KR 20140065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image
character
camera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다미
정원석
김형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9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5536A/ko
Publication of KR20140065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조화하는 바람을 토출하는 토출유닛; 원격제어장치에서 출력되는 광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토출유닛이 토출하는 바람의 세기, 방향 또는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광을 감지하고 분석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온도, 습도 또는 공기청정도 등을 변화시켜, 그 공기를 공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여,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환경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로 송풍시킨 후 외부로 토출하는 송풍기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의 형상이나 개구 방향이나 개수 등에 따라 실내에 다양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있는 이용자에게 공기를 조화하여 쾌적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 및 조명을 이용하여 심적인 쾌적함을 제공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보다 간소화하고, 직관적으로 사용방법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리모컨에서 방출하는 신호 또는 각종 통신기기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그로부터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주변에서 광으로 인하여 발생된 이미지를 감지하여 그 속에 포함된 제어정보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서 제어를 수행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조화하는 바람을 토출하는 토출유닛; 원격제어장치에서 출력되는 광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토출유닛이 토출하는 바람의 세기, 방향 또는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은 원격제어장치에서 출력되는 광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운전 지령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운전 지령에 기초하여, 운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리모컨에서 발생된 각종 광 신호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제어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직관적이고 쉬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광 신호가 문자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있는 경우, 그를 이미지로 촬영하고, 상기 이미지로부터 문자를 추출하여 운전지령을 파악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자체적으로 이미지로부터 문자를 추출해내는 로직을 포함하거나, 상황에 따라서는 인터넷 서버로부터 이미지가 포함하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여, 각종 상황에 따른 대처능력이 뛰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텔레비전 또는 컴퓨터 모니터 등에서 출력하는 내용을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문자를 추출하여 실내의 공기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그로부터 효율적인 공기 조화가 가능하도록 운전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다른 공기조화기에 리모컨에서 출사하는 광으로 인하여 형성된 상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 상기 다른 공기조화기와 함께 같은 운전모드로 제어되어, 공기조화기가 복수인 경우 동시제어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의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정지시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5 내지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제1 접촉이 제2 접촉이라고 칭해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 접촉이 제1 접촉이라고 칭해질 수 있고, 상기 제1 접촉 및 제2 접촉은 둘 모두 접촉이지만, 동일한 접촉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에서 이용되는 용어들은 오직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발명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이용될 때, 단수 형태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나타나지 않는 한은 복수 형태도 물론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표시의 사용은 그 용어의 단수 용법 또는 복수 형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나타낼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 및/ 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관련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참조하며 그들을 포괄하는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의 "포함한다 (comprises)" 및 /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이라는 용어는 명시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 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지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컴포넌트 들 및 / 또는 그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음을 더 이해할 것이다.
"~는 경우(if)"라는 용어는 "~할 때(when)" 또는 "~ 시(upon)", 또는 문맥에 따라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determining)" 또는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결정된 경우"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라는 구문은 문맥에 따라, "결정시" 또는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의] 검출 시",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를]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컴퓨팅 장치들, 그러한 장치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및 그러한 장치들을 이용하기 위한 관련 프로세스 들의 실시예들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의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정지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공조시키는 입식형 본체(2)와 본체의 하측에 구비되어 본체를 지지하는 베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는 일반적으로 하부에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4, 6)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2)는 상부에 본체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8, 10)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 공기 흡입구(4)와 좌측 공기 토출구(8)는 좌측 도어(12)에 의해 함께 개폐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6)와 우측 공기 토출구(10)는 우측 도어(14)에 의해 함께 개폐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본체(2)는 캐비닛(22)과, 좌측 흡입패널 어셈블리(31)와, 우측 흡입패널 어셈블리(41)와, 토출패널 어셈블리(51)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22)은 본체(2)의 후방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베이스(20)의 후방부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좌측 흡입패널 어셈블리(31)은 캐비닛(22)의 좌측의 전방으로 배치되도록 베이스(20)의 전방부 좌측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좌측 흡입패널 어셈블리(31)은 좌측부과 전방부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측부에 좌측 공기 흡입구(4)가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우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 형성될 수 있다.
우측 흡입패널 어셈블리(41)은 캐비닛(22)의 우측부의 전방으로 배치되도록 베이스(20)의 전방부 우측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우측 흡입패널(41)은 우판부와 전판부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우판부에 우측 공기 흡입구(6)가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우측 전방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토출 패널(51)의 좌측에 화전되게 설치된 좌측 베인(81)과 좌측 베인(81)을 회전시키도록 토출 패널(51)의 우측에 회전되게 회전되게 설치된 우측베인(83)과, 우측 베인(83)을 회전시키도록 토출 패널(51)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 베인 구동기구(84)를 포함한다.
좌측 베인 및 우측 베인은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2) 전방에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90)이 배치된다.
전면 패널(90)은 본체(2)의 전면 전체를 여닫도록 좌우 중 일측으로 회동되게 연결될 수 있다. 전면 패널(90)은 베이스(20) 및 좌측 흡입패널(31)와 우측 흡입패널 어셈블리(41)와 연결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토출 패널(51)은 캐비닛(22)의 상부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 패널(51)은 좌측에 좌측 공기 토출구(8)가 개구 형성되고, 우측에 우측 공기 토출구(10)가 개구 형성될 수 있다.
전면 공기 토출구(96)가 형성된 별도의 토출 유닛(97)은 본체(2)의 내측 상부에서 본체(2)의 위로 상승되고, 본체(2)의 위에서 본체(2)의 내측 상부로 하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토출구가 형성되는 형태는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토출 유닛은 실내의 공기를 조화하는 바람을 토출할 수 있다.
카메라(60)는 전면패널(9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60)는 공기조화기의 전방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60)는 일정한 화각 내에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일정각도를 회전하며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카메라(60)는 외부의 사물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60)는 리모컨이 출사한 광이 사물에 맺힌 영역을 이미지로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6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거나 통신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360)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표시부(360)는 전면패널(9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360)는 공기조화기의 상태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60)는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표시부(360)는 공기조화기가 처리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60)가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상호 레이어 구조를 가지는 터치스크린인 경우, 표시부(360)는 출력의 기능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입력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전반적인 전기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310), 제어부(310)로부터 명령을 받아 카메라(392)를 제어하는 카메라 구동제어부(390), 제어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320) 및 다른 가전제품 또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등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공기조화기를 위해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메모리(320) 내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및/또는 명령어들의 집합들을 실행 또는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카메라(392)를 제어하여, 리모컨이 출사한 빛의 존재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카메라(392)가 촬영한 이미지가 운전지령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카메라(392)가 촬영한 이미지에서 운전지령을 추출하고 그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의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부(310)는 이미지로부터 문자를 식별하여 그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이미지로부터 문자를 추출해내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제어부(310)는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문자가 운전지령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문자로부터 운전지령을 얻은 경우, 그 운전지령에 기초하여 각종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부(310)는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문자의 내용을 인터넷(internet) 서버를 검색하여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80)는 인터넷 서버로부터 이미지가 포함하는 문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운전지령은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지령은 공기조화기가 토출하는 바람의 세기, 온도, 습도,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카메라(392)가 촬영한 이미지에서 리모컨이 출사한 광이 맺힌 상의 크기 또는 리모컨이 출사한 광의 색상을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리모컨이 출사한 광이 맺힌 상의 크기 또는 색상을 각각 제어명령과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리모컨이 출사한 광의 색상에 따라서, 토출 유닛이 토출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촬영된 리모컨이 출사한 광이 맺힌 상의 크기에 따라서 토출유닛이 바람을 토출하는 공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이 출사한 광이 맺힌 상이 일정범위의 공간을 덮고 있는 경우, 제어부(310)는 토출유닛이 그 상이 덮고 있는 공간에 바람을 보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카메라(392)를 제어하여, 특정한 파장의 광이 만들어 내는 이미지를 탐색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예를 들어, 특정한 파장인 레이저 광선이 맺힌 상을 탐색하고, 상기 상과 상기 상의 주변에 분포된 문자들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카메라(392)로 촬영한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촬영된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가 날씨정보인 경우, 그를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분석한 날씨정보에 대응하는 운전모드를 예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씨정보는 날짜, 시간, 또는 지역의 날씨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310)는 날씨정보가 포함하는 날짜 또는 시간의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지역의 날씨정보를 반영하여 운전모드를 예약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특정한 파장의 광이 공기조화기의 표면에 상을 형성하는 경우, 표시부(360)로 현재 공기조화기가 사용가능함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표시부(360)로 시각적 디스플레이 또는 청각적인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310)는 카메라(392)가 특정한 파장의 광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카메라(392)가 촬영한 이미지에 표시된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310)는 특정한 파장의 광이 문자를 포함하는 대상을 비추다 방향을 바꾸어 공기조화기를 비추는 경우, 카메라(392)가 촬영한 이미지에서 운전지령을 파악하고, 그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2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20)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EEP-ROM 은 제어부(310)의 동작 중, 제어부(310)에 의해 정보의 기입 및 소거가 행해질 수 있다. EEP-ROM은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전력 공급이 정지되어도,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는 기억 디바이스일 수 있다.
메모리(320)는 카메라(392)가 촬영한 이미지 속에 포함된 문자를 추출해내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문자를 추출해내는 프로그램은 유형접합(pattern matching) 또는 획분석법(stroke analysis method)를 사용할 수 있다.
유형접합은 어떤 유형과 다른 유형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같다고 인정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각 카테고리 또는 클러스터를 대표하는 미리 준비된 표준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표준 유형과 입력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가장 가까운 표준 유형으로부터 입력된 이미지가 속하는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획 분석법은 문자를 구성하는 획에 특징을 부여하여, 그 특징적인 획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2진수로 부호화하여 문자를 식별할 수 있다. 위에서 상기 프로그램은 유형접합 또는 획 분석법으로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고 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그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이미지 속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하고, 그를 텍스트로 추출해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310)는 통신부(380)로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이미지 속의 문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문자와 그에 대응하는 운전지령을 포함하는 명령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에서 텍스트로 추출하고, 명령목록과 비교하여, 제어명령을 파악할 수 있다.
팬구동부(330)는 제어부(31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팬구동부(330)는 송풍유닛(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송풍유닛(미도시)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유닛으로 송풍할 수 있다. 팬구동부(330)는 제어부(310)의 신호를 수신하여, 송풍유닛이 포함한 팬의 구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원부(340)의 외부전원을 제어부(310)를 비롯한 공기조화기의 동작과 연관된 구성요소가 필요로 하는 전원으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전원부(340)는 제어부(310)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설정된 기능에 따라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베인구동부(350)는 토출유닛의 좌/우 베인을 구동할 수 있다. 베인구동부(350)는 제어부(31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좌/우 베인을 구동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공간의 공기를 조화할 수 있다.
표시부(360)는 공기조화기의 전방에 위치하여, 각종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380)는 외부의 전자기기 또는 무선 리모컨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380)는 제어부(31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 구동제어부(390)는 제어부(310)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카메라(392)를 구동할 수 있다. 카메라 구동제어부(390)는 카메라(392)를 구동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제어부(310)에 송신할 수 있다.
카메라(392)는 IR(Infrared) 카메라(395)를 포함할 수 있다. IR 카메라(395)는 사람의 눈으로 식별할 수 없는 인비져블 마커를 촬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5 내지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2)는 특정한 파장의 광으로 형성되는 이미지(120)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특정한 파장의 광은 리모컨(110)에서 발생된 것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2)는, 리모컨이 출사한 광이 맺힌 상을 검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는 카메라(60)로 이미지(120)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60)는 촬영위치를 변화시키며 계속적으로 실내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60)로 촬영한 이미지는 카메라 구동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제어부(미도시)로 송신될 수 있다.
제어부는 카메라(60)가 촬영한 이미지를 판단하여 특정한 파장의 빛으로 형성된 상(120)이 상기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카메라(60)가 촬영한 이미지에 특정한 파장의 빛이 맺힌 상(120)이 발견되는 경우, 베인구동부에 신호를 송신하여 이미지(120)가 포함하는 영역에 바람을 토출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에 운전지령이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카메라(60)가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운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리모컨이 출사한 광이 물체의 표면에 맺힌 상의 색상,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 공기조화기(2)가 바람을 토출할 공간의 면적 등 바람의 세기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리모컨이 출사한 광(120)의 색상에 따라서 목표로 하는 실내의 온도인 공기조화기(2)의 목표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이 출사한 광(120)의 색상이 빨간색에 가까운 경우, 목표온도를 올리고, 리모컨이 출사한 광(120)의 색상이 파란색에 가까운 경우, 목표온도를 내릴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리모컨이 출사한 광이 맺힌 상(120)은 광이 조사된 사물의 형태에 대응하여 모양이 변화할 수 있다. 리모컨은 사람의 눈이 식별할 수 없는 인비져블 마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상기 인비져블 마커의 굴절된 형태에 따라서,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에 인체가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인체가 위치한 장소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를 공기조화기(2)의 제어에 반영할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2)는 카메라(60)가 촬영한 이미지가 문자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그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는 특정한 파장의 광이 맺힌 상(120)이 위치하는 영역에 바람을 토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미지가 포함하는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이미지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는 메모리가 저장한 상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통신부(미도시)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카메라(60)가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통신부는 상기 이미지가 포함하는 텍스트의 문자정보를 인터넷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120)가 포함하는 문자정보를 통신부로부터 수신하여 그 텍스트가 의미하는 운전지령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문자와 운전지령을 서로 대응시키는 명령목록을 저장할 수 있고, 제어부는 명령목록을 이용하여 이미지(120)로부터 추출한 문자와 대응하는 운전지령을 파악할 수 있다.
도 6 의 실시예에서는 리모컨이 출사한 광은 약한 바람이라는 문자(122)를 표시한다. 공기조화기는 카메라(60)로 상기 문자(122)를 촬영하여, 제어부로약한 바람이라는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약한 바람이라는 문자(122)와 명령 목록을 매칭하여, 그에 대응하는 운전지령을 파악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상기 운전지령에 따라 토출하는 바람(a)의 세기를 줄일 수 있다.
도 7 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2)는 리모컨(110)과 통신할 수 있다.
특정한 파장의 광이 공기조화기(2)에 상(120)를 형성하는 경우, 공기조화기(2)는 리모컨(110)과 통신할 수 있다.
상(120)는 문자 또는 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120)은 공기조화기(2)의 제어와 관련된 수치정보(122)를 표시할 수 있다.
상(120)이 수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리모컨(110)은 그 수치의 증감을 표시하는 화살표(124)를 표시할 수 있다. 화살표(124)는 리모컨(110)의 조작에 따라서, 제어에 관련된 수치의 증감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컨(110)으로 실내의 희망습도를 낮추는 경우, 수치가 줄어듦을 나타내는 아랫방향을 가르키는 화살표가 점멸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는 리모컨(110)으로부터 수치정보의 증감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는 리모컨(110)으로부터 수신한 수치정보의 증감여부를 반영하여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점멸되는 상기 화살표(124)의 방향을 감지하여, 공기조화기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 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2)는 리모컨(110)이 출사하는 광이 맺힌 상(120)의 크기에 따라서, 바람을 토출하는 공간의 면적을 제어할 수 있다.
리모컨(110)은 일정한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리모컨(110)은 방출하는 광이 사물에 도달하여 형성하는 상(12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110)은 광을 물체의 표면에 조사하여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빔 프로젝터(beam proj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빔 프로젝터는 각종 영상 기기들의 신호를 입력받아 렌즈를 통해 확대한 영상을 스크린 등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리모컨(110)에 포함하는 빔 프로젝터는 레이저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빔 프로젝터는 적색, 녹색, 청색의 3가지의 광원을 포함하는 PRT 방식, LCD(Liguid Crystal Display) 방식 또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의 프로젝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리모컨(110)은 공기조화기(2)가 집중적으로 공기를 조화할 위치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리모컨(110)은 방출한 광으로 형성된 이미지(12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120)는 그 크기를 조절함에 따라서 점멸하는 크기증감아이콘(124)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 의 실시예에서, 크기증감아이콘(124)은 더하기 기호(+) 및 빼기 기호(-) 형태일 수 있으나, 그 형태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리모컨(110)은 진동여부 및 진동방향 등을 파악하는 가속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110)은 위 또는 아래로 진동이 느껴지는 경우,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수치 또는 출사한 광이 맺힌 상(120)의 크기를 증감시킬 수 있다.
리모컨(110)는 복수개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110)은 레이저를 방출하는 빔 프로젝터와 사람의 눈으로 식별불가능한 인비져블 마커를 방출하는 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비져블 마커는 적외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리모컨(110)는 서로 다른 파장인 두 개의 광을 방출하여, 두 개의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공기조화기는 사람의 눈으로 식별불가능한 광으로 형성된 인비져블 마커의 굴곡정도나 크기를 통하여 상기 이미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공기조화기(2)는 카메라(60)로 이미지(120)를 촬영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리모컨이 출사한 광이 맺힌 상(120)의 크기를 파악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상(120)의 위치 및 그 크기를 파악하여, 바람을 토출할 공간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 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2)는 이미지가 포함하는 문자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이 출사한 광이 맺힌 상(120)이 날씨정보(130)를 표시하는 전자기기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2)는 카메라(60)로 상(120)이 형성된 영역 또는 상(120)과 인접한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는 촬영한 이미지에서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는 카메라(60)가 촬영한 이미지에서 추출한 문자가 날씨정보인 경우, 그를 반영하여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는 날씨정보를 파악한 경우, 작동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날씨정보를 반영한 운전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씨정보를 가르키던 광의 방향이 공기조화기로 이동한 경우, 공기조화기는 날씨정보를 반영한 운전을 시작할 수 있으나, 그 작동신호를 받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날씨정보를 반영하여 운전을 예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씨정보(130)가 '내일부터 열대야 10일 지속'인 경우, 공기조화기(2)는 내일부터 10일 동안, 저녁 10시부터 다음날 새벽 2시까지 실내온도를 20도로 유지하도록 운전을 예약할 수 있으나, 그 예약 내용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공기조화기(2)는 날씨정보를 반영하여 운전을 예약한 경우, 그를 표시부(360)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60)는 운전이 예약되었음을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360)는 '10일간 열대야 모드를 예약하였습니다'라는 문자를 표시하거나, 이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으나, 그 방법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0 을 참조하면, 리모컨(110)이 출사한 광이 공기조화기(2)의 몸체에 위치한 경우, 공기조화기(2)는 작동이 가능함을 표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는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자신이 리모컨(110)의 광으로 포인팅되고 있음을 수신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는 자신의 몸체가 리모컨(110)으로부터 광을 받는 경우, 그 사실을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는 다른 공기조화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0 의 실시예에서, 공기조화기(2, 이하 제1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실내에는 다른 공기조화기(200, 이하 제2 공기조화기)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공기조화기(2)의 통신부(미도시)와 제2 공기조화기(200)의 통신부(미도시)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공기조화기(200)는 카메라(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기조화기(200)는 리모컨(110)에서 광을 방출하여 형성된 이미지를 탐색할 수 있다. 제1 공기조화기(2)가 리모컨(110)으로부터 광을 받는 경우, 제2 공기조화기(200)는 제1 공기조화기(2)에 리모컨(110)으로부터 광을 받고 있음을 통보할 수 있다.
제1 공기조화기(2)는 리모컨(110)으로부터 광을 받는 경우, 작동이 가능함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기조화기(2)는 작동이 가능함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1 공기조화기(20)는 외부 전자기기로부터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공기조화기(20)는 제2 이미지가 제1 공기조화기의 본체를 포함하는 경우, 표시부로 동작가능함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 을 참조하면, 광이 도달하여 형성되는 이미지가 공기조화기(2, 이하 제1 공기조화기)에 위치한 이후, 외부 전자기기(200, 이하 제2 공기조화기)로 이동하는 경우, 공기조화기(2)는 외부 전자기기와 신호를 받아 함께 제어될 수 있다.
제1 공기조화기(2)와 제2 공기조화기(200)는 리모컨(110)의 한번의 조작으로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기조화기 및 제2 공기조화기는 바람의 세기, 방향 또는 온도의 조절을 위한 운전지령을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 제1 공기조화기(2)의 제어부는 바람의 세기, 방향 또는 온도의 조절을 위한 운전지령을 제2 공기조화기로 전송하거나, 제2 공기조화기(200)로부터 바람의 세기, 방향 또는 온도의 조절을 위한 운전지령을 수신할 수 있다.
리모컨(110)에서 방출된 광이 맺힌 상이 제1 공기조화기(2)에 위치하다가 제2 공기조화기로 이동한 경우, 제1 공기조화기(2)는 제2 공기조화기(200)에 이미지의 위치를 통보할 수 있다. 제2 공기조화기(200)는 이미지가 자기 쪽으로 이동하였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동작이 가능함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공기조화기(2)와 제2 공기조화기(200)는 리모컨(110)의 한번의 동작에 함께 동작할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 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에서 출력되는 광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S410), 촬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운전 지령을 추출하는 단계(S420) 및 추출된 운전 지령에 기초하여, 운전하는 단계(S430)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내를 촬영할 수 있다(S410). 공기조화기는 카메라가 계속적으로 촬영하는 이미지에 광으로 형성된 상인 이미지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계속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촬영된 이미지가 운전지령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S420). 예를 들어, 리모컨이 출사한 광이 맺힌 상은 크기, 색상, 모양으로 운전지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는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는 빔 프로젝터로 조사된 광이 형성된 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에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리모컨이 조사한 광이 맺힌 상이 위치하는 부분뿐만 아니라, 상이 위치하는 주변에 문자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이미지가 문자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이미지가 포함하는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이미지가 포함하는 문자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추출한 문자로부터 운전지령를 검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자체적으로 이미지로부터 문자를 추출하거나, 인터넷을 검색하여 이미지가 포함하는 문자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문자가 운전지령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문자의 내용이 운전지령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그 운전지령에 기초하여, 토출하는 바람의 세기, 방향 또는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S430).
리모컨이 출사한 광이 맺힌 상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 공기조화기는 바람을 토출하는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리모컨이 출사한 광의 색상에 따라서, 토출하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나,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복수의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공기조화기
310 : 제어부
320 : 메모리
330 : 팬구동부
340 : 전원부
350 : 베인구동부
360 : 표시부
380 : 통신부
390 : 카메라 구동제어부
392 : 카메라
395 : IR 카메라

Claims (14)

  1. 실내의 공기를 조화하는 바람을 토출하는 토출유닛;
    리모컨에서 출력되는 광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토출유닛이 토출하는 바람의 세기, 방향 또는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가 문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로부터 상기 문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문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토출유닛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가 문자를 포함하는 경우, 서버로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문자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문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토출유닛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컨에서 출사되는 광의 색상에 따라서, 목표로 하는 실내의 온도인 목표온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컨에서 출사되는 광이 맺힌 상의 크기에 따라, 상기 토출유닛이 바람을 토출하는 공간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컨에서 출사되는 광이 맺힌 위치 또는 그 위치의 주변에 문자가 있는 경우, 상기 이미지로부터 문자를 추출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가 날씨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날씨정보를 반영하는 운전을 예약하는 공기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외부 전자기기로부터,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가, 상기 공기조화기의 본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는, 동작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에 인접한 제2 공기조화기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람의 세기, 방향 또는 온도의 조절을 위한 운전 지령을 상기 제2 공기조화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제2 공기조화기로부터, 상기 바람의 세기, 방향 또는 온도의 조절을 위한 운전 지령을 수신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 내에, 인비져블 마커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마커의 굴곡정도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의 위치, 또는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공기조화기.
  12. 원격제어장치에서 출력되는 광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운전 지령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운전 지령에 기초하여, 운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지령 추출단계에서,
    상기 이미지가 문자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문자를 추출하여 상기 운전 지령을 얻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인터넷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가 포함하는 문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문자정보에서 운전 지령을 추출하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KR1020120129627A 2012-11-15 2012-11-15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65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627A KR20140065536A (ko) 2012-11-15 2012-11-15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627A KR20140065536A (ko) 2012-11-15 2012-11-15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536A true KR20140065536A (ko) 2014-05-30

Family

ID=5089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627A KR20140065536A (ko) 2012-11-15 2012-11-15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55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40715A (zh) * 2018-07-12 2019-01-04 四川虹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空调售卖系统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40715A (zh) * 2018-07-12 2019-01-04 四川虹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空调售卖系统及方法
CN109140715B (zh) * 2018-07-12 2020-10-23 四川虹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空调售卖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6650B2 (en) Range hoo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ange hood
EP3258316B1 (en) Air conditioner
KR102121785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지시된 위치로 풍향을 제어하는 에어컨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US113465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ir conditioning
US20150022996A1 (en) Air conditioner
EP2846105A1 (en)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60210B2 (en) Air conditio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0503948A (ja) 照明設定を選択及び制御するシステム
EP3070412A1 (en) Remote controller
KR2014006559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2015025564A (ja) 空気調和機
CN106352483A (zh) 基于空调的手势控制方法和空调器
JP2017187180A (ja) 空気調和機
US20210123627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thereof
JP2015055384A (ja) 空気調和機
CN105020866A (zh) 空气调节机
JP2016023833A (ja) 空気調和機
CN110715422A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
JP6285815B2 (ja) 空気調和機又は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4006553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0410971A (zh) 空气调节设备的开关机控制方法、装置和空气调节设备
CN117561409A (zh) 空调及其控制方法
WO2022009338A1 (ja) 情報処理端末、遠隔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017687A (ja) 空気調和機
KR102469013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