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333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39333A KR20220039333A KR1020200122345A KR20200122345A KR20220039333A KR 20220039333 A KR20220039333 A KR 20220039333A KR 1020200122345 A KR1020200122345 A KR 1020200122345A KR 20200122345 A KR20200122345 A KR 20200122345A KR 20220039333 A KR20220039333 A KR 202200393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area
- suction port
- indoor unit
- heat exchang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하우징, 실내의 제1영역의 공기가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흡입포트, 제1흡입포트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1댐퍼,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냉각하도록 마련되는 제1열교환기, 제1열교환기에서 냉각된 공기가 제1영역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제1토출구, 실내의 제2영역의 공기가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마련되는 제2흡입포트, 제2흡입포트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2댐퍼,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냉각하도록 마련되는 제2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에서 냉각된 공기가 제2영역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토출구를 포함하고 제1흡입포트를 통해 제1영역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를 거쳐 냉각된 후 제2토출구를 통해 제2영역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집중 냉방 모드를 수행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실내 일부 영역의 집중 냉방을 위해 유로가 가변 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로서, 실내기 및 실외기 상호간에 냉매를 순환시켜 액체 상태의 냉매가 기화할 때는 주위의 열을 흡수하며 액화할 때는 주위의 열을 방출하는 특성에 의해 냉방 또는 난방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실내기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및 토출구를 포함한다.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내부의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되어 토출구로 토출된다. 토출구는 단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복수로 마련되어 각 토출구와 인접한 영역의 냉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다만, 토출구가 복수 개로 마련되어 실내의 복수의 영역을 냉방 하는 경우 사용 환경 또는 필요에 따라 일부 영역에만 냉방이 집중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실내의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에만 냉방 능력을 집중시키도록 유로를 가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집중 냉방 시 복수의 열교환기의 열교환 능력을 모두 활용하여 신속한 냉방이 이루어지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하우징, 실내의 제1영역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흡입포트, 상기 제1흡입포트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1댐퍼,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냉각하도록 마련되는 제1열교환기,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냉각된 공기가 상기 제1영역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제1토출구, 실내의 제2영역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마련되는 제2흡입포트, 상기 제2흡입포트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2댐퍼,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냉각하도록 마련되는 제2열교환기 및 상기 제2열교환기에서 냉각된 공기가 상기 제2영역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흡입포트를 통해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상기 제2열교환기를 거쳐 냉각된 후 상기 제2토출구를 통해 상기 제2영역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집중 냉방 모드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흡입포트 및 상기 제2흡입포트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제1흡입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제1덕트 및 상기 제2흡입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제2덕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집중 냉방 모드에서 상기 제1댐퍼는 개방되고 상기 제1토출구는 폐쇄되며, 상기 제2댐퍼는 폐쇄되고 상기 제2토출구는 개방되어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제1토출구를 개폐하는 제1블레이드, 상기 제2토출구를 개폐하는 제2블레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중 냉방 모드에서 상기 제1블레이드는 폐쇄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는 개방된다.
또한, 상기 제1흡입포트 및 상기 제2흡입포트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집중 냉방 모드에서 상기 제1토출구로 상기 제1영역의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제2흡입포트로 토출 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제1토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2토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2블레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중 냉방 모드에서 상기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2블레이드와 상기 제1댐퍼 및 상기 제2댐퍼 모두 개방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되는 흡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흡입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중 냉방 모드에서 상기 흡입댐퍼가 상기 흡입구를 폐쇄한다.
또한, 일반 냉방 모드에서 상기 흡입댐퍼는 상기 흡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상기 제2열교환기로 분기되어 각각 냉각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제1토출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팬 및 상기 제2토출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중 냉방 모드에서 상기 제1팬은 구동되지 않고 상기 제2팬은 구동되어 공기 유동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를 제공받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어 상기 집중 냉방 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팬과 상기 제2팬 중 하나만이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1토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2토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2블레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중 냉방 모드 시 상기 제1댐퍼 및 상기 제2블레이드를 개방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집중 냉방 모드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주방 후드의 작동을 감지하는 후드 동작 감지부 및 상기 후드의 작동 상태에 기초하여 집중 냉방 모드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둘러싸도록 연장되고 제1열교환부 내지 제4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상기 제1열교환부와 인접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마련되는 제1토출구, 상기 제2열교환부와 인접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마련되는 제2토출구. 상기 제3열교환부와 인접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마련되는 제3토출구 및 상기 제4열교환부와 인접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마련되는 제4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토출구, 상기 제3토출구, 상기 제4토출구 각각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제2열교환부 내지 상기 제4열교환부에서 각각 1차 냉각되고 상기 제1열교환부에서 2차 냉각되어 상기 제1토출구로 토출되는 집중 냉방 모드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제1토출구 내지 상기 제4토출구와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팬 내지 제4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중 냉방 모드에서 공기 유동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팬은 구동되고 상기 제2팬 내지 상기 제4팬은 구동되지 않는다.
실내의 제1영역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되는 제1토출구 및 상기 제1토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팬과, 실내의 제2영역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되는 제2토출구 및 상기 제2토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팬과, 상기 제1토출구와 상기 제2토출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 각각으로 냉매가 공급되도록 압축기를 구동하고, 집중 냉방 모드 수행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중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을 결정하고, 집중 냉방이 필요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제1팬과 상기 제2팬 중 하나를 구동하고,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으로 토출하도록 상기 제1토출구 또는 상기 제2토출구를 개방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을 결정하는 것은, 사용자로부터 설정 온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중 설정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영역을 상기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을 결정하는 것은, 주방 후드 구동 여부에 관한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주방 후드가 구동되면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중 상기 주방 후드가 설치된 영역을 상기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내기 내부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실내로 냉기를 고르게 분산시키거나 필요 영역에 냉기를 집중시킬 수 있다.
집중 냉방 시 복수의 열교환기를 모두 이용하도록 유로를 형성하여 실내의 냉방이 필요한 영역에 냉방 능력을 집중시킴으로써, 목표 온도에 보다 빠르게 도달할 수 있다.
복수의 토출구 측의 실내 온도를 감지하여 실내의 각 영역의 서로 다른 냉방 부하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내기에서, 일반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실내기에서, 제1영역 집중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실내기에서, 제2영역 집중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내기에서, 일반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실내기에서, 제1영역 집중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실내기에서, 제2영역 집중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내기에서, 일반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실내기에서, 제1영역 집중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실내기에서, 제2영역 집중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수평 방향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실내기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실내기의 수직 방향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실내기에서, 제1영역 집중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내기에서, 일반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실내기에서, 제1영역 집중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실내기에서, 제2영역 집중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내기에서, 일반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실내기에서, 제1영역 집중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실내기에서, 제2영역 집중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내기에서, 일반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실내기에서, 제1영역 집중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실내기에서, 제2영역 집중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수평 방향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실내기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실내기의 수직 방향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실내기에서, 제1영역 집중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하 방향",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내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1)의 하우징(10)은 천정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천정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벽걸이나 패키지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와는 달리 천정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천정형 공기조화기를 예시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하우징(10)에 형성되는 흡입구(15) 및 복수의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15)는 하우징(10)의 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구(15)는 하우징(10)의 저면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15)는 후술할 제1열교환기(21)와 제2열교환기(3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15)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구(15)의 양 측 외곽에는 복수의 토출구(13, 14)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구는 제1토출구(13) 및 제2토출구(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토출구(13)는 실내기(1) 내부의 공기를 제1영역(A1)으로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토출구(14)는 실내기(1) 내부의 공기를 제2영역(A2)으로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토출구(13)는 제1영역(A1)과 인접하게 마련되고 제2토출구(14)는 제2영역(A2)과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복수의 흡입포트(11, 1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흡입포트는 제1흡입포트(11) 및 제2흡입포트(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흡입포트(11)와 제2흡입포트(12)는 하우징(10)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흡입포트(11)와 제2흡입포트(12)는 흡입구(15)와는 별개로 형성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흡입포트(11)는 제1영역(A1)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흡입포트(12)는 제2영역(A2)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1흡입포트(11)가 제2영역(A2)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제2흡입포트(12)가 제1영역(A1)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공기가 흡입되는 영역은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할 실내흡입부의 위치에 따라 제1흡입포트(11)와 제2흡입포트(12)로 흡입되는 공기의 영역은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또한, 제1흡입포트(11)와 제2흡입포트(12)의 기능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ERV를 연결하여 외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에서는 제1흡입포트(11)와 제2흡입포트(12)가 실내의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의 공기를 각각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냉각하도록 복수의 열교환기(21, 3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열교환기(21, 31)는 제1열교환기(21) 및 제2열교환기(31)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열교환기(21) 및 제2열교환기(31)는 하우징(1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냉풍으로 열교환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제1열교환기(21)와 제2열교환기(31)로 공급되어 냉방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복수의 팬(22, 3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팬(22, 32)은 제1팬(22)과 제2팬(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팬(22)은 제1토출구(13)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팬(32)은 제2토출구(14)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공기 유동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팬(22)과 제2팬(32)은 각각의 팬이 위치하는 곳으로 공기를 끌어당겨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cross-flow fan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제1블레이드(24) 및 제2블레이드(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블레이드(24)는 제1토출구(13)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블레이드(34)는 제2토출구(14)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블레이드(24)와 제2블레이드(34)는 제1토출구(13)와 제2토출구(1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제1덕트(41) 및 제2덕트(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41)의 일 단은 제1흡입포트(11)와 연결되고 제1덕트(41)의 타 단은 제1흡입부(43)와 연결될 수 있다. 제1흡입부(43)는 실내기(1)가 매립 설치되는 천장에 마련될 수 있다. 제1흡입부(43)는 제1영역(A1)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흡입부(43)는 제2영역(A2)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외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에서는 제1흡입부(43)가 제1영역(A1)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1덕트(41)는 제1흡입포트(11)와 연결되어 제1영역(A1)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덕트(42)의 일 단은 제2흡입포트(12)와 연결되고 제2덕트(42)의 타 단은 제2흡입부(44)와 연결될 수 있다. 제2흡입부(44)는 실내기(1)가 매립 설치되는 천장에 마련될 수 있다. 제2흡입부(44)는 제2영역(A2)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2흡입부(44)는 제1영역(A1)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외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제1댐퍼(23), 제2댐퍼(33) 및 흡입댐퍼(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댐퍼(23)는 제1흡입포트(11)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댐퍼(23)는 공기가 제1흡입부(43)를 통해 제1덕트(41)를 유동하거나 유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댐퍼(23)는 제1덕트(41)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댐퍼(33)는 제2흡입포트(12)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댐퍼(33)는 공기가 제2흡입부(44)를 통해 제2덕트(42)를 유동하거나 유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댐퍼(33)는 제2덕트(42)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댐퍼(35)는 흡입구(15)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댐퍼(35)는 제1열교환기(21)와 제2열교환기(31)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15)가 하우징(10)의 중앙 저면에 형성되므로, 흡입구(15)를 개폐하기 위한 흡입댐퍼(35) 역시 하우징(10)의 중앙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관한 본 발명의 설명의 경우 실내기(1)의 하우징(1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내기(1)의 하우징(10)이 하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마련되어 하우징(10)의 개방부를 덮도록 하단에 천정패널이 별도로 설치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에서 제1영역(A1) 측에는 제1흡입포트(11), 제1토출구(13), 제1블레이드(24), 제1열교환기(21), 제1팬(22), 제1댐퍼(23), 제1덕트(41) 및 제1흡입부(43)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A2) 측에는 제2흡입포트(12), 제2토출구(14), 제2블레이드(34), 제2열교환기(31), 제2팬(32), 제2댐퍼(33), 제2덕트(42) 및 제2흡입부(44)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에서 각 모드마다 유로가 가변됨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실내기에서, 일반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실내기에서, 제1영역 집중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실내기에서, 제2영역 집중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냉방 모드 시 실내의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의 공기는 흡입구(15)를 통해 실내기(1)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일반 냉방 모드에서 흡입댐퍼(35)는 흡입구(15)를 개방한다. 일반 냉방 모드에서 제1댐퍼(23) 및 제2댐퍼(33)는 제1흡입포트(11) 및 제2흡입포트(12)를 폐쇄한다. 또한 제1블레이드(24) 및 제2블레이드(34)는 제1토출구(13) 및 제2토출구(14)를 개방한다.
흡입구(15)를 통해 실내기(1)로 흡입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21) 및 제2열교환기(31) 측으로 각각 분기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흐름은 제1팬(22)과 제2팬(32)을 모두 구동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팬(22)을 구동하여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일부를 제1열교환기(21) 측으로 끌어당기고 제2팬(32)을 구동하여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나머지 일부를 제2열교환기(31) 측으로 끌어당겨 공기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열교환기(21)로 분기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21)에서 냉각될 수 있고 제2열교환기(31)로 분기된 공기는 제2열교환기(31)에서 냉각될 수 있다.
제1열교환기(21)를 통과하여 냉각된 공기는 제1흡입포트(11)가 제1댐퍼(23)에 의해 폐쇄되고 제1토출구(13)가 제1블레이드(24)에 의해 개방됨에 따라 제1토출구(13)로 토출될 수 있다. 제1토출구(13)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제1영역(A1)을 냉방할 수 있다.
제2열교환기(31)를 통과하여 냉각된 공기는 제2흡입포트(12)가 제2댐퍼(33)에 의해 폐쇄되고 제2토출구(14)가 제2블레이드(34)에 의해 개방됨에 따라 제2토출구(14)로 토출될 수 있다. 제2토출구(14)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제2영역(A2)을 냉방할 수 있다.
즉, 일반 냉방 모드 수행 시 유로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구(15) - 제1열교환기(21) - 제1토출구(13)를 지나면서 동시에 흡입구(15) - 제2열교환기(31) - 제2토출구(14)를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일반 냉방 모드라 함은, 후술할 본 발명의 집중 냉방 모드와 배치되는 개념으로써 실내의 공기가 중앙에 형성된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되어 제1열교환기(21) 및 제2열교환기(31)로 각각 분기되고 제1토출구(13) 및 제2토출구(14)로 각각 토출되는 유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냉매의 흐름에 관한 제어 또는 팬의 구동 정도에 관한 제어는 본 일반 냉방 모드에 모두 포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습 모드 또는 파워 냉방 모드 등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가 수행하는 각종 기능은 공기 유동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으로 고르게 분산되도록 형성되는 한 모두 일반 냉방 모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 시 실내의 제2영역(A2)의 공기는 실내기(1)로 흡입되어 제1영역(A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에서 흡입 댐퍼(35)는 흡입구(15)를 폐쇄한다.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에서 제1댐퍼(23)는 제1흡입포트(11)를 폐쇄하고 제2댐퍼(33)는 제2흡입포트(12)를 개방한다. 또한 제1블레이드(24)는 제1토출구(13)를 개방하고 제2블레이드(34)는 제2토출구(14)를 폐쇄한다.
이 때, 제1팬(22)은 구동되고 제2팬(32)은 구동되지 않음으로써 제1팬(22) 측으로 공기를 끌어당기는 유동이 형성된다.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에서 제2흡입부(44)를 통해 실내의 제2영역(A2)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제2댐퍼(33)가 제2흡입포트(12)를 개방함에 따라 제2흡입부(44)로 흡입된 공기는 제2덕트(42)를 유동하여 제2흡입포트(12)를 통해 실내기(1)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제2블레이드(34)가 제2토출구(14)를 폐쇄함에 따라 제2흡입포트(12)로 흡입된 공기는 제2열교환기(31)를 통과하여 냉각될 수 있다. 또한 흡입댐퍼(35)가 흡입구(15)를 폐쇄함에 따라 제2열교환기(31)를 통과한 공기는 제1열교환기(21)를 통과하여 한번 더 냉각될 수 있다. 즉, 공기는 제2열교환기(31)에서 1차로 냉각되고 제1열교환기(21)에서 2차로 냉각될 수 있다. 제1댐퍼(23)가 제1흡입포트(11)를 폐쇄하고 제1블레이드(24)가 제1토출구(13)를 개방함에 따라 제1열교환기(21)를 통과한 공기는 제1토출구(13)로 토출될 수 있다. 이후 제1토출구(13)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제1영역(A1)을 냉방할 수 있다.
즉,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 수행 시 일반 냉방 모드에서와 달리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2열교환기(31)와 제1열교환기(21)를 순차적으로 거쳐 열교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집중 냉방 모드에서 실내의 집중 냉방이 필요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공기를 끌어와 복수의 열교환기(21, 31)의 열교환 능력을 모두 활용하여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A2) 집중 냉방 모드 시 실내의 제1영역(A1)의 공기는 실내기(1)로 흡입되어 제2영역(A2)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2영역(A2) 집중 냉방 모드에서 흡입 댐퍼(35)는 흡입구(15)를 폐쇄한다. 제2영역(A2) 집중 냉방 모드에서 제2댐퍼(33)는 제2흡입포트(12)를 폐쇄하고 제1댐퍼(23)는 제1흡입포트(11)를 개방한다. 또한 제2블레이드(34)는 제2토출구(14)를 개방하고 제1블레이드(24)는 제1토출구(13)를 폐쇄한다.
이 때, 제1팬(22)은 구동되지 않고 제2팬(32)은 구동되어 제2팬(32) 측으로 공기를 끌어당기는 유동이 형성된다.
제2영역(A2) 집중 냉방 모드에서 제1흡입부(43)를 통해 실내의 제1영역(A1)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제1댐퍼(23)가 제1흡입포트(11)를 개방함에 따라 제1흡입부(43)로 흡입된 공기는 제1덕트(41)를 유동하여 제1흡입포트(11)를 통해 실내기(1)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24)가 제1토출구(13)를 폐쇄함에 따라 제1흡입포트(11)로 흡입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21)를 통과하여 냉각될 수 있다. 또한 흡입댐퍼(35)가 흡입구(15)를 폐쇄함에 따라 제1열교환기(21)를 통과한 공기는 제2열교환기(31)를 통과하여 한번 더 냉각될 수 있다. 즉, 공기는 제1열교환기(21)에서 1차로 냉각되고 제2열교환기(31)에서 2차로 냉각될 수 있다. 제2댐퍼(33)가 제2흡입포트(12)를 폐쇄하고 제2블레이드(34)가 제2토출구(14)를 개방함에 따라 제2열교환기(31)를 통과한 공기는 제2토출구(14)로 토출될 수 있다. 이후 제2토출구(14)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제2영역(A2)을 냉방할 수 있다.
즉, 제2영역(A2) 집중 냉방 모드 수행 시 일반 냉방 모드에서와 달리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21)와 제2열교환기(31)를 순차적으로 거쳐 열교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집중 냉방 모드에서 실내의 집중 냉방이 필요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공기를 끌어와 복수의 열교환기(21, 31)의 열교환 능력을 모두 활용하여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 및 제2영역(A2) 집중 냉방 모드에서, 일반 냉방 모드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열교환기(21)와 제2열교환기(31)로 냉매가 모두 공급되어 열교환기 2개로 냉방을 수행하므로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에 대해 보다 빠르게 냉방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내기(1)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을 한 방향으로 집중되도록 형성하여도 구비된 열교환기를 모두 사용함으로써 최대의 열교환 효율을 이용하는 집중 냉방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제1영역(A1) 또는 제2영역(A2)의 집중 냉방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에 관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내기(1a)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a)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1a)의 하우징(10a)은 천정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와 달리, 하우징(10a)의 저면에 제1흡입포트(11a)와 제2흡입포트(1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a)는 하우징(10a)에 형성되는 흡입구(15a) 및 복수의 토출구(13a, 14a)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15a)는 하우징(10a)의 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구(15a)는 하우징(10a)의 저면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15a)는 후술할 제1열교환기(21a)와 제2열교환기(31a)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a)의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15a)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실내기(1a)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구(15a)의 양 측 외곽에는 복수의 토출구(13a, 14a)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구(13a, 14a)는 제1토출구(13a) 및 제2토출구(1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토출구(13a)는 실내기(1a) 내부의 공기를 제1영역(A1)으로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토출구(14a)는 실내기(1a) 내부의 공기를 제2영역(A2)으로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토출구(13a)는 제1영역(A1)과 인접하게 마련되고 제2토출구(14a)는 제2영역(A2)과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a)는 복수의 흡입포트(11a, 12a)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흡입포트는 제1흡입포트(11a) 및 제2흡입포트(12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a)의 제1흡입포트(11a)와 제2흡입포트(12a)는 하우징(10a)의 저면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와 달리 각 흡입포트와 연결되는 별도의 덕트나 별도의 흡입부 없이 보다 단순한 방식으로 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제1흡입포트(11a)와 제2흡입포트(12a)는 흡입구(15a)와는 별개로 하우징(10a)에 형성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흡입포트(11a)는 제1영역(A1)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흡입포트(11a)는 제1토출구(13a)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그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흡입포트(12a)는 제2영역(A2)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2토출구(14a)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그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a)는 하우징(10a) 내부의 공기를 냉각하도록 복수의 열교환기(21a, 31a)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열교환기(21a, 31a)는 제1열교환기(21a) 및 제2열교환기(31a)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열교환기(21a) 및 제2열교환기(31a)는 하우징(10a)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냉풍으로 열교환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a)는 복수의 팬(22a, 32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팬은 제1팬(22a)과 제2팬(3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팬(22a)은 제1토출구(13a) 및 제1흡입포트(11a)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팬(32a)은 제2토출구(14a) 및 제2흡입포트(12a)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공기 유동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팬(22a)과 제2팬(32a)은 각각의 팬이 위치하는 곳으로 공기를 끌어당겨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cross-flow fan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a)는 제1블레이드(24a) 및 제2블레이드(3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블레이드(24a)는 제1토출구(13a)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블레이드(34a)는 제2토출구(14a)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블레이드(24a)와 제2블레이드(34a)는 제1토출구(13a)와 제2토출구(14a)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a)는 제1댐퍼(23a), 제2댐퍼(33a) 및 흡입댐퍼(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댐퍼(23a)는 제1흡입포트(11a)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댐퍼(23a)는 공기가 제1흡입포트(11a)를 통해 유동하거나 유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댐퍼(33a)는 제2흡입포트(12a)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댐퍼(33a)는 공기가 제2흡입포트(12a)를 통해 유동하거나 유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흡입댐퍼(35)는 흡입구(15a)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댐퍼(35)는 제1열교환기(21a)와 제2열교환기(31a)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15a)가 하우징(10a)의 중앙 저면에 형성되므로, 흡입구(15a)를 개폐하기 위한 흡입댐퍼(35) 역시 하우징(10a)의 중앙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a)는 제1흡입포트(11a)와 제1토출구(13a)가 인접하게 마련되고, 제2흡입포트(12a)와 제2토출구(14a)가 인접하게 마련됨에 따라 제1토출구(13a) 및 제2토출구(14a)가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공기의 흐름과 관련한 다음 설명에서 후술한다.
도 6은 도 5의 실내기에서, 일반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실내기에서, 제1영역 집중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실내기에서, 제2영역 집중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냉방 모드 시 실내의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의 공기는 흡입구(15a)를 통해 실내기(1a)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일반 냉방 모드에서 흡입댐퍼(35)는 흡입구(15a)를 개방한다. 일반 냉방 모드에서 제1댐퍼(23a) 및 제2댐퍼(33a)는 제1흡입포트(11a) 및 제2흡입포트(12a)를 폐쇄한다. 또한, 제1블레이드(24a) 및 제2블레이드(34a)는 제1토출구(13a) 및 제2토출구(14a)를 개방한다.
흡입구(15a)를 통해 실내기(1a)로 흡입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21a) 및 제2열교환기(31a) 측으로 각각 분기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흐름은 제1팬(22a)과 제2팬(32a)을 모두 구동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팬(22a)을 구동하여 흡입구(15a)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일부를 제1열교환기(21a) 측으로 끌어당기고 제2팬(32a)을 구동하여 흡입구(15a)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일부를 제2열교환기(31a) 측으로 끌어당겨 공기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열교환기(21a)로 분기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21a)에서 냉각될 수 있고, 제2열교환기(31a)로 분기된 공기는 제2열교환기(31a)에서 냉각될 수 있다.
제1열교환기(21a)를 통과하여 냉각된 공기는 제1흡입포트(11a)가 제1댐퍼(23a)에 의해 폐쇄되고 제1토출구(13a)는 제1블레이드(24a)에 의해 개방됨에 따라 제1토출구(13a)로 토출될 수 있다. 제1토출구(13a)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제1영역(A1)을 냉방할 수 있다.
제2열교환기(31a)를 통과하여 냉각된 공기는 제2흡입포트(12a)가 제2댐퍼(33a)에 의해 폐쇄되고 제2토출구(14a)가 제2블레이드(34a)에 의해 개방됨에 따라 제2토출구(14a)로 토출될 수 있다. 제2토출구(14a)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제2영역(A2)을 냉방할 수 있다.
즉, 일반 냉방 모드 수행 시 유로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구(15a) - 제1열교환기(21a) - 제1토출구(13a)를 지나면서 동시에 흡입구(15a) - 제2열교환기(31a) - 제2토출구(14a)를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의 설명과 같이, 일반 냉방 모드라 함은 본 발명의 집중 냉방 모드와 배치되는 개념으로써 실내의 공기가 중앙에 형성된 흡입구(15a)를 통해 흡입되어 제1열교환기(21a) 및 제2열교환기(31a)로 각각 분기되고 제1토출구(13a) 및 제2토출구(14a)로 각각 토출되는 유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냉매의 흐름에 관한 제어 또는 팬의 구동 정도에 관한 제어는 본 일반 냉방 모드에 모두 포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습 모드 또는 파워 냉방 모드 등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a)가 수행하는 각종 기능은 공기 유동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으로 고르게 분산되도록 형성되는 한 모두 일반 냉방 모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 시 실내의 제2영역(A2)의 공기는 실내기(1a)로 흡입되어 제1영역(A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에서 흡입 댐퍼(35a)는 흡입구(15a)를 폐쇄한다.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에서 제1댐퍼(23a)는 제1흡입포트(11a)를 폐쇄하고 제2댐퍼(33a)는 제2흡입포트(12a)를 개방한다. 또한 제1블레이드(24a)는 제1토출구(13a)를 개방하고 제2블레이드(34a)는 제2토출구(14a)를 개방한다.
이 때, 제1팬(22a)은 구동되고 제2팬(32a)은 구동되지 않음으로써 제1팬(22a) 측으로 공기를 끌어당기는 유동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와 달리,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에서 별도의 흡입부나 덕트를 이용하지 않고 제2흡입댐퍼(35)를 통해 제2영역(A2)의 공기가 실내기(1a)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와 달리, 제2흡입댐퍼(35)와 인접한 제2토출구(14a)를 통해서도 제2영역(A2)의 공기가 실내기(1a)로 흡입될 수 있다.
제2흡입포트(12a)와 제2토출구(14a)로 흡입된 공기는 제2열교환기(31a)를 통과하여 냉각될 수 있다. 또한 흡입댐퍼(35)가 흡입구(15a)를 폐쇄함에 따라 제2열교환기(31a)를 통과한 공기는 제1열교환기(21a)를 통과하여 한번 더 냉각될 수 있다. 즉, 공기는 제2열교환기(31a)에서 1차로 냉각되고 제1열교환기(21a)에서 2차로 냉각될 수 있다.
제1댐퍼(23a)가 제1흡입포트(11a)를 폐쇄하고 제1블레이드(24a)가 제1토출구(13a)를 개방함에 따라 제1열교환기(21a)를 통과한 공기는 제1토출구(13a)로 토출될 수 있다. 이후 제1토출구(13a)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제1영역(A1)을 냉방할 수 있다.
즉,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 수행 시 일반 냉방 모드에서와 달리 실내기(1a)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2열교환기(31a)와 제1열교환기(21a)를 순차적으로 거쳐 열교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a)는 집중 냉방 모드에서 실내의 집중 냉방이 필요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공기를 끌어와 복수의 열교환기(21a, 31a)의 열교환 능력을 모두 활용하여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에서 제1댐퍼(23a)가 제1흡입포트(11a)를 폐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댐퍼(23a)는 제1흡입포트(11a)를 개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토출구(13a)를 통해 제1영역(A1)에 냉기가 공급되는 경로 외에도 제1흡입포트(11a)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어 제1영역(A1)에 냉기가 공급될 수도 있다.
다만 제1토출구(13a)만을 개방하는 경우 제1블레이드(24a)를 통한 공기의 토출 방향의 조절이 더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냉기 토출 영역을 보다 넓게 확보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제1흡입포트(11a)를 개방하여 제1영역(A1)의 냉방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A2) 집중 냉방 모드 시 실내의 제1영역(A1)의 공기는 실내기(1a)로 흡입되어 제2영역(A2)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2영역(A2) 집중 냉방 모드에서 흡입 댐퍼(35a)는 흡입구(15a)를 폐쇄한다. 제2영역(A2) 집중 냉방 모드에서 제2댐퍼(33a)는 제2흡입포트(12a)를 폐쇄하고 제1댐퍼(23a)는 제1흡입포트(11a)를 개방한다. 또한 제2블레이드(34a)는 제2토출구(14a)를 개방하고 제1블레이드(24a)는 제1토출구(13a)를 개방한다.
이 때, 제2팬(32a)은 구동되고 제1팬(22a)은 구동되지 않음으로써 제2팬(32a) 측으로 공기를 끌어당기는 유동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a)와 달리, 제2영역(A2) 집중 냉방 모드에서 별도의 흡입부나 덕트를 이용하지 않고 제1흡입댐퍼(35)를 통해 제1영역(A1)의 공기가 실내기(1a)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a)와 달리, 제1흡입댐퍼(35)와 인접한 제1토출구(13a)를 통해서도 제1영역(A1)의 공기가 실내기(1a)로 흡입될 수 있다.
제1흡입포트(11a)와 제1토출구(13a)로 흡입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21a)를 통과하여 냉각될 수 있다. 또한, 흡입댐퍼(35)가 흡입구(15a)를 폐쇄함에 따라 제1열교환기(21a)를 통과한 공기는 제2열교환기(31a)를 통과하여 한번 더 냉각될 수 있다.
즉, 공기는 제1열교환기(21a)에서 1차로 냉각되고 제2열교환기(31a)에서 2차로 냉각될 수 있다.
제2댐퍼(33a)가 제2흡입포트(12a)를 폐쇄하고 제2블레이드(34a)가 제2토출구(14a)를 개방함에 따라 제2열교환기(31a)를 통과한 공기는 제2토출구(14a)로 토출될 수 있다. 이후 제2토출구(14a)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제2영역(A2)을 냉방할 수 있다.
즉, 제2영역(A2) 집중 냉방 모드 수행 시 일반 냉방 모드에서와 달리 실내기(1a)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21a)와 제2열교환기(31a)를 순차적으로 거쳐 열교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a)는 집중 냉방 모드에서 실내의 집중 냉방이 필요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공기를 끌어와 복수의 열교환기(21a, 31a)의 열교환 능력을 모두 활용하여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영역(A2) 집중 냉방 모드에서 제2댐퍼(33a)가 제2흡입포트(12a)를 폐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댐퍼(33a)는 제2흡입포트(12a)를 개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토출구(14a)를 통해 제2영역(A2)에 냉기가 공급되는 경로 외에도 제2흡입포트(12a)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어 제2영역(A2)에 냉기가 공급될 수도 있다.
다만, 제2토출구(14a)만을 개방하는 경우 제2블레이드(34a)를 통한 공기의 토출 방향의 조절이 더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냉기 토출 영역을 보다 넓게 확보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제2흡입포트(12a)를 개방하여 제2영역(A2)의 냉방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a)의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 및 제2영역(A2) 집중 냉방 모드에서, 제1열교환기(21a)와 제2열교환기(31a)로 냉매가 모두 공급되어 열교환기 2개로 냉방을 수행하므로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에 대해 보다 빠르게 냉방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a)의 제1토출구(13a)와 제2토출구(14a)를 통해 공기가 토출될 수도 있고 공기가 흡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집중 냉방 모드 수행 시 실내기(1a)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어 흡입 시 발생 가능한 소음 또는 유동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실내기(1a) 밖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도 있어 토출 시 발생 가능한 소음 또는 유동 저항이 감소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내기(1b)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b)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1b)의 하우징(10b)은 천정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 1a)와 달리, 별도의 흡입포트나 이를 개폐하는 댐퍼 없이 마련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b)의 제1토출구(13b)와 제2토출구(14b)를 통해 실내공기의 토출 및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b)는 하우징(10b)에 형성되는 흡입구(15b) 및 복수의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15b)는 하우징(10b)의 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구(15b)는 하우징(10b)의 저면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15b)는 후술할 제1열교환기(21b)와 제2열교환기(31b)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b)의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15b)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실내기(1b)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구(15b)의 양 측 외곽에는 복수의 토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구는 제1토출구(13b) 및 제2토출구(1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토출구(13b)는 실내기(1b) 내부의 공기를 제1영역(A1)으로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토출구(14b)는 실내기(1b) 내부의 공기를 제2영역(A2)으로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토출구(13b)는 제1영역(A1)과 인접하게 마련되고 제2토출구(14b)는 제2영역(A2)과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b)는 하우징(10b) 내부의 공기를 냉각하도록 복수의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열교환기는 제1열교환기(21b) 및 제2열교환기(31b)로 마련될 수 잇다. 제1열교환기(21b) 및 제2열교환기(31b)는 하우징(10b)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냉풍으로 열교환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b)는 복수의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팬은 제1팬(22b)과 제2팬(3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팬(22b)은 제1토출구(13b)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팬(32b)은 제2토출구(14b)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공기 유동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팬(22b)과 제2팬(32b)은 각각의 팬이 위치하는 곳으로 공기를 끌어당겨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cross-flow fan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b)는 제1블레이드(24b) 및 제2블레이드(3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블레이드(24b)는 제1토출구(13b)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블레이드(34b)는 제2토출구(14b)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블레이드(24b)와 제2블레이드(34b)는 제1토출구(13b)와 제2토출구(14b)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b)는 흡입댐퍼(35b)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댐퍼(35b)는 흡입구(15b)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댐퍼(35b)는 제1열교환기(21b)와 제2열교환기(31b)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15b)가 하우징(10b)의 중앙 저면에 형성되므로, 흡입구(15b)를 개폐하기 위한 흡입댐퍼(35b) 역시 하우징(10b)의 중앙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 1a)와 달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b)는 별도의 흡입포트 없이 제1토출구(13b) 및 제2토출구(14b)가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공기의 흐름과 관련한 다음 설명에서 후술한다.
도 10은 도 9의 실내기에서, 일반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실내기에서, 제1영역 집중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실내기에서, 제2영역 집중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냉방 모드 시 실내의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의 공기는 흡입구(15b)를 통해 실내기(1b)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일반 냉방 모드에서 흡입댐퍼(35b)는 흡입구(15b)를 개방한다. 일반 냉방 모드에서 제1블레이드(24b)와 제2블레이드(34b)는 제1토출구(13b)와 제2토출구(14b)를 모두 개방한다.
흡입구(15b)를 통해 실내기(1b)로 흡입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21b) 및 제2열교환기(31b) 측으로 각각 분기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흐름은 제1팬(22b)과 제2팬(32b)을 모두 구동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팬(22b)을 구동하여 흡입구(15b)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일부를 제1열교환기(21b) 측으로 끌어당기고 제2팬(32b)을 구동하여 흡입구(15b)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일부를 제2열교환기(31b) 측으로 끌어당겨 공기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열교환기(21b)로 분기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21b)에서 냉각될 수 있고, 제2열교환기(31b)로 분기된 공기는 제2열교환기(31b)에서 냉각될 수 있다.
제1열교환기(21b)를 통과하여 냉각된 공기는 제1토출구(13b)가 제1블레이드(24b)에 의해 개방됨에 따라 제1토출구(13b)로 토출될 수 있다. 제1토출구(13b)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제1영역(A1)을 냉방할 수 있다.
제2열교환기(31b)를 통과하여 냉각된 공기는 제2토출구(14b)가 제2블레이드(34b)에 의해 개방됨에 따라 제2토출구(14b)로 토출될 수 있다. 제2토출구(14b)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제2영역(A2)을 냉방할 수 있다.
즉, 일반 냉방 모드 수행 시 유로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구(15b) - 제1열교환기(21b) - 제1토출구(13b)를 지나면서 동시에 흡입구(15b) - 제2열교환기(31b) - 제2토출구(14b)를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b)의 설명과 같이, 일반 냉방 모드라 함은 본 발명의 집중 냉방 모드와 배치되는 개념으로써 실내의 공기가 중앙에 형성된 흡입구(15b)를 통해 흡입되어 제1열교환기(21b) 및 제2열교환기(31b)로 각각 분기되고 제1토출구(13b) 및 제2토출구(14b)로 각각 토출되는 유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냉매의 흐름에 관한 제어 또는 팬의 구동 정도에 관한 제어는 본 일반 냉방 모드에 모두 포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습 모드 또는 파워 냉방 모드 등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b)가 수행하는 각종 기능은 공기 유동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으로 고르게 분산되도록 형성되는 한 모두 일반 냉방 모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 시 실내의 제2영역(A2)의 공기는 실내기(1b)로 흡입되어 제1영역(A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에서 흡입 댐퍼는 흡입구(15b)를 폐쇄한다.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에서 제1블레이드(24b)는 제1토출구(13b)를 개방하고 제2블레이드(34b)는 제2토출구(14b)를 개방한다.
이 때, 제1팬(22b)은 구동되고 제2팬(32b)은 구동되지 않음으로써 제1팬(22b) 측으로 공기를 끌어당기는 유동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b)와 달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b)는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에서 별도의 흡입부나 덕트를 이용하지 않고 별도의 흡입포트를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b)는 제2토출구(14b)를 통해 제2영역(A2)의 공기를 실내기(1b)로 흡입할 수 있다.
제2토출구(14b)로 흡입된 공기는 제2열교환기(31b)를 통과하여 냉각될 수 있다. 또한 흡입댐퍼(35b)가 흡입구(15b)를 폐쇄함에 따라 제2열교환기(31b)를 통과한 공기는 제1열교환기(21b)를 통과하여 한번 더 냉각될 수 있다. 즉, 공기는 제2열교환기(31b)에서 1차로 냉각되고 제1열교환기(21b)에서 2차로 냉각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24b)가 제1토출구(13b)를 개방함에 따라 제1열교환기(21b)를 통과한 공기는 제1토출구(13b)로 토출될 수 있다. 이후 제1토출구(13b)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제1영역(A1)을 냉방할 수 있다.
즉,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 수행 시 일반 냉방 모드에서와 달리 실내기(1b)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2열교환기(31b)와 제1열교환기(21b)를 순차적으로 거쳐 열교환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b)는 집중 냉방 모드에서 실내의 집중 냉방이 필요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공기를 끌어와 복수의 열교환기의 열교환 능력을 모두 활용하여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A2) 집중 냉방 모드 시 실내의 제1영역(A1)의 공기는 실내기(1b)로 흡입되어 제2영역(A2)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2영역(A2) 집중 냉방 모드에서 흡입 댐퍼는 흡입구(15b)를 폐쇄한다. 또한 제2블레이드(34b)는 제2토출구(14b)를 개방하고 제1블레이드(24b)는 제1토출구(13b)를 개방한다.
이 때, 제2팬(32b)은 구동되고 제1팬(22b)은 구동되지 않음으로써 제2팬(32b) 측으로 공기를 끌어 당기는 유동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b)와 달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b)는 제2영역(A2) 집중 냉방 모드에서 별도의 흡입부나 덕트를 이용하지 않고 별도의 흡입포트를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b)는 제1토출구(13b)를 통해 제1영역(A1)의 공기가 실내기(1b)로 흡입될 수 있다.
제1토출구(13b)로 흡입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21b)를 통과하여 냉각될 수 있다. 또한, 흡입댐퍼(35b)가 흡입구(15b)를 폐쇄함에 따라 제1열교환기(21b)를 통과한 공기는 제2열교환기(31b)를 통과하여 한번 더 냉각될 수 있다.
즉, 공기는 제1열교환기(21b)에서 1차로 냉각되고 제2열교환기(31b)에서 2차로 냉각될 수 있다.
제2블레이드(34b)가 제2토출구(14b)를 개방함에 따라 제2열교환기(31b)를 통과한 공기는 제2토출구(14b)로 토출될 수 있다. 이후 제2토출구(14b)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제2영역(A2)을 냉방할 수 있다.
즉, 제2영역(A2) 집중 냉방 모드 수행 시 일반 냉방 모드에서와 달리 실내기(1b)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21b)와 제2열교환기(31b)를 순차적으로 거쳐 열교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b)는 집중 냉방 모드에서 실내의 집중 냉방이 필요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공기를 끌어와 복수의 열교환기의 열교환 능력을 모두 활용하여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b)의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 및 제2영역(A2) 집중 냉방 모드에서, 제1열교환기(21b)와 제2열교환기(31b)로 냉매가 모두 공급되어 열교환기 2개로 냉방을 수행하므로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에 대해 보다 빠르게 냉방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b)는 별도의 흡입포트 및 이를 개폐하는 댐퍼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보다 단순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수평 방향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실내기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실내기의 수직 방향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는 하우징(5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50)은 천장 내 매립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는 사방으로 마련되는 4개의 토출구를 갖는 4-way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는 하우징(50)의 중심을 둘러싸도록 연장되는 열교환기(60)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60)는 제1열교환부(61) 내지 제4열교환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열교환기(6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에서는 열교환기(60)가 하나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열교환기(60)는 사방으로 배치되어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는 열교환기(60)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팬은 제1팬(71), 제2팬(72), 제3팬(63) 및 제4팬(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팬(71)은 제1토출구(51)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팬(72)은 제2토출구(5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팬(63)은 제3토출구(53)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4팬(64)은 제4토출구(54)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팬(71)은 제1열교환부(6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팬(72)은 제2열교환부(6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팬(63)은 제3열교환부(63)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팬(64)은 제4열교환부(64)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팬은 공기 유동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팬은 각각의 팬이 위치하는 곳으로 공기를 끌어당겨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cross-flow fan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는 하우징(50)에 형성되는 흡입구(55) 및 복수의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55)는 하우징(50)의 중앙 저면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55)는 후술할 열교환기(6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50)의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55)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실내기(2)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제1토출구(51)는 제1열교환부(61)와 인접하고 하우징(50)의 저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토출구(51)는 실내기(2) 내부의 공기를 제1영역(A1)으로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토출구(52)는 제2열교환부(62)와 인접하고 하우징(50)의 저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토출구(52)는 실내기(2) 내부의 공기를 제2영역(A2)으로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토출구(53)는 제3열교환부(63)와 인접하고 하우징(50)의 저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3토출구(53)는 실내기(2) 내부의 공기를 제3영역(A3)으로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토출구(54)는 제4열교환부(64)와 인접하고 하우징(50)의 저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4토출구(54)는 실내기(2) 내부의 공기를 제4영역(A4)으로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는 제1블레이드(81), 제2블레이드(82), 제3블레이드(83) 및 제4블레이드(8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블레이드(81)는 제1토출구(51)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블레이드(82)는 제2토출구(52)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블레이드(83)는 제3토출구(53)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블레이드(84)는 제4토출구(54)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81) 내지 제4블레이드(84)는 제1토출구(51) 내지 제4토출구(5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각각 조절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는 흡입댐퍼(65)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댐퍼(65)는 흡입구(55)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댐퍼(65)는 열교환기(6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55)가 하우징(50)의 중앙 저면에 형성되므로, 흡입구(55)를 개폐하기 위한 흡입댐퍼(65) 역시 하우징(50)의 중앙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3의 실내기에서, 제1영역 집중 냉방 모드 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에서 흡입댐퍼(65)는 흡입구(55)를 폐쇄한다.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에서 제1블레이드(81) 내지 제4블레이드(84)는 제1토출구(51) 내지 제4토출구(54)를 개방한다.
이 때, 제1팬(71)은 구동되고 제2팬(72) 내지 제4팬(64)은 구동되지 않음으로써 제1팬(71) 측으로 공기를 끌어당기는 유동이 형성된다.
제2토출구(52) 내지 제4토출구(54)로 흡입된 공기는 제2열교환부(62) 내지 제4열교환부(64)를 각각 통과하여 냉각될 수 있다. 또한, 흡입댐퍼(65)가 흡입구(55)를 폐쇄함에 따라 제2열교환부(62) 내지 제4열교환부(64)를 통과한 공기는 제1열교환부(61)를 통과하여 한번 더 냉각될 수 있다.
즉, 실내기(2)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2열교환부(62) 내지 제4열교환부(64)에서 1차로 냉각되고 제1열교환부(61)에서 2차로 냉각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81)가 제1토출구(51)를 개방함에 따라 제1열교환부(61)를 통과한 공기는 제1토출구(51)로 토출될 수 있다. 이후 제1토출구(51)로 토출된 공기는 제1영역(A1)을 냉방할 수 있다.
즉,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 수행 시 실내기(2)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2열교환부(62) 내지 제4열교환부(64)를 통과하고, 제1열교환부(61)를 통과하여 순차적으로 열교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는 집중 냉방 모드에서 실내의 집중 냉방이 필요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공기를 끌어와 복수의 열교환기(60)의 열교환 능력을 모두 활용하여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4-way구조 역시 2-way구조와 동일하게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 측의 팬 만을 구동하여 공기 유동을 형성하여 집중 냉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4-way 구조의 일반 냉방 모드 역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2-way와 동일하게 흡입댐퍼(65)가 흡입구(55)를 개방하여 실내 공기가 하우징(50)의 중앙으로 흡입되고, 제1열교환부(61) 내지 제4열교환부(64)로 각각 분기되어 냉각된 공기가 제1토출구(51) 내지 제4토출구(54)로 토출되는 방식이다. 이 때, 제1팬(71) 내지 제4팬(64)은 모두 구동되어 각각의 공기 유동을 형성한다.
또한,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2영역(A2) 내지 제4영역(A4) 집중 냉방 모드 역시 이와 동일한 원리로 작동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는 별도의 흡입포트나 이를 개폐하는 댐퍼 없이 간소화된 구조로써 집중 냉방을 수행하고자 하는 영역에 따라 실내기(2) 내부 유로를 가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앞서 설명한 2 way구조의 다양한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흡입포트와 이를 개폐하는 댐퍼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별도의 덕트와 흡입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온도센서(100), 입력부(110) 및 후드동작감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100)는 실내의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온도센서(100)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온도센서(100)는 단일로 마련되어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온도를 함께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로 마련되어 각각의 영역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온도센서(100)로부터 감지된 제1영역(A1)의 온도와 제2영역(A2)의 온도에 관한 정보는 제어부(200)로 전달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2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푸시스위치, 터치스위치, 다이얼, 슬라이드 스위치, 토글 스위치 등 다양한 입력 수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후드동작감지부(120)는 주방후드의 작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후드동작감지부(120)는 주방후드의 작동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후드동작감지부(120)는 주방후드의 전원과 전기 회로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방식으로 주방후드의 전원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온도센서(100)에 의해 검출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입력부(110)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후드동작감지부(120)로부터 후드의 작동 상태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온도센서(100) 또는 입력부(110) 또는 후드동작감지부(120)를 통해 집중 냉방 모드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복수의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복수의 구동부를 각각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팬구동부(130)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팬구동부(130)를 작동시켜 제1팬(2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1팬구동부(130)는 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2팬구동부(140)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2팬구동부(140)를 작동시켜 제2팬(3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팬구동부(140)는 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블레이드구동부(150)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블레이드구동부(150)를 제어하여 제1블레이드(24)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제1블레이드(24)가 제1토출구를 개폐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1블레이드(24)의 토출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2블레이드구동부(160)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2블레이드구동부(160)를 제어하여 제2블레이드(34)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제2블레이드(34)가 제2토출구를 개폐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2블레이드(34)의 토출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댐퍼구동부(170)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댐퍼구동부(170)를 제어하여 제1댐퍼(2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제1댐퍼(23)가 제1흡입포트(13)를 개폐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2댐퍼구동부(180)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2댐퍼구동부(180)를 제어하여 제2댐퍼(3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제2댐퍼(33)가 제2흡입포트(14)를 개폐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집중 냉방 모드에서, 제어부(200)는 제1팬(22) 또는 제2팬(32) 중 하나만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200)는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에서 제어부(200)는 제2팬(32)만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2영역(A2) 집중 냉방 모드에서 제1팬(22)만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200)는 한쪽 영역으로 공기를 끌어와 단방향 공기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일반 냉방 모드에서, 제어부(200)는 제1팬(22)과 제2팬(32) 모두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200)는 공기를 제1팬(22)과 제2팬(32) 측으로 끌어와 양방향 공기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구조에 따라, 제어부(200)는 제1댐퍼(23) 및 제2댐퍼(33)를 제어하거나 제1블레이드(24) 및 제2블레이드(34)를 제어하여 유로를 변경함으로써 집중 냉방 모드를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7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가 2way 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4way구조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도 13 내지 도 16 참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제1블레이드구동부 내지 제4블레이드구동부를 제어하여 제1블레이드(81) 내지 제4블레이드(84)가 제1토출구(51) 내지 제4토출구(54)를 개폐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1팬구동부 내지 제4팬구동부를 제어하여 제1팬(71) 내지 제4팬(74)이 구동되거나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가 작동될 때 제어부(200)는 복수의 열교환기(21, 31)로 냉매가 공급되도록 압축기를 구동할 수 있다(1001).
온도센서(100) 또는 입력부(110) 또는 후드동작감지부(120)를 통해 제어부(200)로 집중 냉방 모드 수행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1002). 이러한 집중 냉방 모드 수행을 결정하는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이후 제어부(200)는 제1영역(A1)이 집중 냉방 영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1003).
만약 제1영역(A1)이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일 경우, 제어부(200)는 제2영역(A2)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제1팬(22)을 구동할 수 있다(1004).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의 제어부(200)는 제2영역으로부터 실내기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제2댐퍼(33)를 제어하여 제2흡입포트(12)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흡입포트(12)를 통해 제2영역(A2)의 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a)의 제어부(200)는 제2댐퍼(33a) 및 제2블레이드(34a)를 모두 제어하여 제2흡입포트(12a) 및 제2토출구(14a)를 모두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흡입포트(12a) 및 제2토출구(14a)를 통해 제2영역의 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b)의 제어부(200)는 제2블레이드(34b)를 제어하여 제2토출구(14b)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토출구(14b)를 통해 제2영역(A2)의 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00)는 제1토출구(13)를 개방하여 제1영역(A1)으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1005).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200)는 제1블레이드(24)를 제어하여 제1토출구(13)를 개방할 수 있다.
제어부(200)가 제1팬(22)을 구동함으로써 제2영역(A2)으로부터 제1영역(A1)을 향하는 공기 유동이 형성되고, 실내기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2열교환기(31)와 제1열교환기(2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냉각된다. 이를 통해 제1영역(A1)의 집중 냉방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제2영역(A2)이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일 경우, 제어부(200)는 제1영역(A1)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제2팬(32)을 구동할 수 있다(1006).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의 제어부(200)는 제1영역(A1)으로부터 실내기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제1댐퍼(23)를 제어하여 제1흡입포트(11)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흡입포트(11)를 통해 제1영역(A1)의 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a)의 제어부(200)는 제1댐퍼(23a) 및 제1블레이드(24a)를 모두 제어하여 제1흡입포트(11a) 및 제1토출구(13a)를 모두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흡입포트(11a) 및 제1토출구(13a)를 통해 제1영역(A1)의 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b)의 제어부(200)는 제1블레이드(24b)를 제어하여 제1토출구(13b)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토출구(13b)를 통해 제1영역(A1)의 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00)는 제2토출구(14)를 개방하여 제2영역(A2)으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1007).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200)는 제2블레이드(34)를 제어하여 제2토출구(14)를 개방할 수 있다.
제어부(200)가 제2팬(32)을 구동함으로써 제1영역(A1)으로부터 제2영역(A2)을 향하는 공기 유동이 형성되고, 실내기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1열교환기(21)와 제2열교환기(3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냉각된다. 이를 통해 제2영역(A2)의 집중 냉방을 수행할 수 있다.
2-way 구조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다양한 실시예 역시 별도로 기재하지 않은 바에 관하여는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 18은 2-way 구조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기준으로 집중 냉방 모드 수행 방법을 나타내었으나, 4-way 구조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역 집중 냉방이 필요한 경우 4-way 구조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의 제어부(200)는 제1팬(71)을 구동하여 공기 유동을 형성하고, 제1블레이드(81) 내지 제4블레이드(84)가 제1토출구(51) 내지 제4토출구(54)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2토출구(52) 내지 제4토출구(54)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어 열교환기(60)에서 냉각된 후 제1토출구(51)로 토출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여, 도 18의 제어부(200)로 집중 냉방 모드 수행 신호가 수신(1002)되는 것과 관련하여 온도센서(100)를 통해 제어부(200)가 집중 냉방 모드의 수행을 결정하는 것에 대해 서술한다.
실내기 가동 시 사용자는 냉방에 필요한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실내 설정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1100).
온도센서(100)는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100)를 통해 제어부(200)는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의 온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1101).
이후 제어부(200)는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중 설정 온도보다 작거나 같은 온도를 갖는 영역이 있는 지 판단할 수 있다(1102).
만일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중 설정 온도보다 작거나 같은 온도를 갖는 영역이 없다면, 제어부(200)는 다시 설정온도와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비교할 수 있다. 즉, 이는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모두 설정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여서 한 영역으로의 집중 냉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이다.
만일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중 설정 온도보다 작거나 같은 온도를 갖는 영역이 있다면, 제어부(200)는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중 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영역이 있는 지 판단할 수 있다(1103).
만일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중 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영역이 있다면, 제어부(200)는 집중 냉방 모드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1104). 이 때 집중 냉방 되는 영역은 설정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영역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200)는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중 설정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영역(설정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영역)을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일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중 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영역이 없다면, 제어부(200)는 다시 설정온도와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비교할 수 있다. 즉, 이는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모두 설정 온도에 도달한 경우여서 한 영역으로의 집중 냉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이다.
도 19에 도시된 순서도는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중 한쪽 영역이 설정 온도에 도달하거나 그보다 낮은 온도이면서 다른 쪽 영역은 설정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집중 냉방 모드의 수행을 결정하는 제어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의 냉방 부하의 차이에 따라 집중 냉방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모두 설정 온도보다 높거나 모두 설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라 하더라도 제어부(200)로 수신되는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의 온도 차이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나게 되는 경우, 제어부(200)는 상대적으로 저온의 영역의 공기를 흡입하여 고온의 영역으로 토출하는 집중 냉방 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온도센서(100)에 의해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온도를 감지하여 집중 냉방 모드를 수행하는 방법은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의 냉방 부하에 차이가 나는 경우라면 상술한 방법 외에도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온도센서(100)에 의해 검출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집중 냉방 모드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여, 도 18의 제어부(200)로 집중 냉방 모드 수행 신호가 수신(1002)되는 것과 관련하여 입력부(110)를 통해 제어부(200)가 집중 냉방 모드의 수행을 결정하는 것에 대해 서술한다.
제어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집중 냉방 모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1200).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될 수 있고 입력부(110)는 제어부(200)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시 제1영역(A1) 집중 냉방 모드를 수행 할 것 인지 제2영역(A2) 집중 냉방 모드를 수행 할 것 인지를 결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00)는 집중 냉방 모드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여, 도 18의 제어부(200)로 집중 냉방 모드 수행 신호가 수신(1002)되는 것과 관련하여 후드동작감지부(120)를 통해 제어부(200)가 집중 냉방 모드의 수행을 결정하는 것에 대해 서술한다.
제어부(200)는 주방후드 작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1300). 보다 상세하게는, 후드동작감지부(120)를 통해 주방후드의 구동에 관한 신호가 제어부(2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00)는 집중 냉방 모드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1301). 따라서, 주방후드를 작동하는 경우 주방후드가 설치된 영역에 대한 집중 냉방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200)는 주방 후드가 설치된 영역을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후드의 작동 상태에 기초하여 집중 냉방 모드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1a, 1b, 2; 실내기
10, 10a, 10b, 50; 하우징
11, 11a; 제1흡입포트
12, 12a; 제2흡입포트
13, 13a, 13b; 제1토출구
14, 14a, 14b; 제2토출구
15, 15a, 15b, 55; 흡입구
21, 21a, 21b; 제1열교환기
31, 31a, 31b; 제2열교환기
22, 22a, 22b; 제1팬
32, 32a, 32b; 제2팬
23, 23a; 제1댐퍼
33, 33a; 제2댐퍼
35, 35a, 35b, 65; 흡입댐퍼
24, 24a, 24b; 제1블레이드
34, 34a, 34b; 제2블레이드
41, 42; 제1덕트, 제2덕트
51, 52, 53, 54; 제1토출구, 제2토출구, 제3토출구, 제4토출구
61, 62, 63, 64; 제1열교환부, 제2열교환부, 제3열교환부, 제4열교환부
10, 10a, 10b, 50; 하우징
11, 11a; 제1흡입포트
12, 12a; 제2흡입포트
13, 13a, 13b; 제1토출구
14, 14a, 14b; 제2토출구
15, 15a, 15b, 55; 흡입구
21, 21a, 21b; 제1열교환기
31, 31a, 31b; 제2열교환기
22, 22a, 22b; 제1팬
32, 32a, 32b; 제2팬
23, 23a; 제1댐퍼
33, 33a; 제2댐퍼
35, 35a, 35b, 65; 흡입댐퍼
24, 24a, 24b; 제1블레이드
34, 34a, 34b; 제2블레이드
41, 42; 제1덕트, 제2덕트
51, 52, 53, 54; 제1토출구, 제2토출구, 제3토출구, 제4토출구
61, 62, 63, 64; 제1열교환부, 제2열교환부, 제3열교환부, 제4열교환부
Claims (20)
- 하우징;
실내의 제1영역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흡입포트;
상기 제1흡입포트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1댐퍼;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냉각하도록 마련되는 제1열교환기;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냉각된 공기가 상기 제1영역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제1토출구;
실내의 제2영역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마련되는 제2흡입포트;
상기 제2흡입포트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2댐퍼;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냉각하도록 마련되는 제2열교환기; 및
상기 제2열교환기에서 냉각된 공기가 상기 제2영역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흡입포트를 통해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상기 제2열교환기를 거쳐 냉각된 후 상기 제2토출구를 통해 상기 제2영역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집중 냉방 모드를 수행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포트 및 상기 제2흡입포트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제1덕트; 및
상기 제2흡입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제2덕트;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 냉방 모드에서 상기 제1댐퍼는 개방되고 상기 제1토출구는 폐쇄되며, 상기 제2댐퍼는 폐쇄되고 상기 제2토출구는 개방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구를 개폐하는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2토출구를 개폐하는 제2블레이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중 냉방 모드에서 상기 제1블레이드는 폐쇄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는 개방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포트 및 상기 제2흡입포트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 냉방 모드에서 상기 제1토출구로 상기 제1영역의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제2흡입포트로 토출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1블레이드;및
상기 제2토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2블레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중 냉방 모드에서 상기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2블레이드와 상기 제1댐퍼 및 상기 제2댐퍼 모두 개방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되는 흡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흡입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중 냉방 모드에서 상기 흡입댐퍼가 상기 흡입구를 폐쇄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9항에 있어서,
일반 냉방 모드에서 상기 흡입댐퍼는 상기 흡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상기 제2열교환기로 분기되어 각각 냉각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팬; 및
상기 제2토출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팬;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중 냉방 모드에서 상기 제1팬은 구동되지 않고 상기 제2팬은 구동되어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를 제공받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어 상기 집중 냉방 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팬과 상기 제2팬 중 하나만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2토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2블레이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중 냉방 모드 시 상기 제1댐퍼 및 상기 제2블레이드를 개방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집중 냉방 모드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1항에 있어서,
주방 후드의 작동을 감지하는 후드 동작 감지부; 및
상기 후드의 작동 상태에 기초하여 집중 냉방 모드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둘러싸도록 연장되고 제1열교환부 내지 제4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상기 제1열교환부와 인접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마련되는 제1토출구;
상기 제2열교환부와 인접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마련되는 제2토출구;
상기 제3열교환부와 인접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마련되는 제3토출구; 및
상기 제4열교환부와 인접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마련되는 제4토출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토출구, 상기 제3토출구, 상기 제4토출구 각각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제2열교환부 내지 상기 제4열교환부에서 각각 1차 냉각되고 상기 제1열교환부에서 2차 냉각되어 상기 제1토출구로 토출되는 집중 냉방 모드를 수행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구 내지 상기 제4토출구와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팬 내지 제4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중 냉방 모드에서 공기 유동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팬은 구동되고 상기 제2팬 내지 상기 제4팬은 구동되지 않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실내의 제1영역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되는 제1토출구 및 상기 제1토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팬과, 실내의 제2영역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되는 제2토출구 및 상기 제2토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팬과, 상기 제1토출구와 상기 제2토출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 각각으로 냉매가 공급되도록 압축기를 구동하고;
집중 냉방 모드 수행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중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을 결정하고;
집중 냉방이 필요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제1팬과 상기 제2팬 중 하나를 구동하고;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으로 토출하도록 상기 제1토출구 또는 상기 제2토출구를 개방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을 결정하는 것은,
사용자로부터 설정 온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중 설정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영역을 상기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을 결정하는 것은,
주방 후드 구동 여부에 관한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주방 후드가 구동되면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중 상기 주방 후드가 설치된 영역을 상기 집중 냉방이 필요한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2345A KR20220039333A (ko) | 2020-09-22 | 2020-09-22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의 제어방법 |
PCT/KR2021/009751 WO2022065660A1 (ko) | 2020-09-22 | 2021-07-28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의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2345A KR20220039333A (ko) | 2020-09-22 | 2020-09-22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9333A true KR20220039333A (ko) | 2022-03-29 |
Family
ID=80844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2345A KR20220039333A (ko) | 2020-09-22 | 2020-09-22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39333A (ko) |
WO (1) | WO2022065660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57702B2 (ja) * | 1990-02-09 | 2000-07-04 |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KR100577206B1 (ko) * | 2004-05-21 | 2006-05-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환기시스템 |
KR20080062890A (ko) * | 2006-12-29 | 2008-07-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조화기 |
CN205014478U (zh) * | 2015-08-10 | 2016-02-03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风管机 |
KR102323841B1 (ko) * | 2017-06-28 | 2021-11-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동작 방법 |
-
2020
- 2020-09-22 KR KR1020200122345A patent/KR20220039333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
- 2021-07-28 WO PCT/KR2021/009751 patent/WO202206566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065660A1 (ko) | 2022-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372907B1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AU2020259881B2 (en) | Fan unit, fan unit system, and air treatment system | |
CN107076447B (zh) | 空调装置的室内机组 | |
EP3406982B1 (en) | Air-conditioning device | |
JP6734624B2 (ja) |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 |
US20120042662A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6832760B2 (ja) |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建物 | |
JP2014163563A (ja) | 室内機及び空気調和装置 | |
US10941954B2 (en) | Air-conditioning system | |
KR20220039333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의 제어방법 | |
JP5082639B2 (ja) | 空気調和装置 | |
US10371404B2 (en) | Receiver and air-conditioning device equipped with same | |
AU2015334400B2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JP6592884B2 (ja) |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 |
CN108474582B (zh) | 空调系统 | |
KR20090132994A (ko) | 환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050104674A (ko) | 에어커튼 기능이 구비되는 공조기 | |
JPH0422198Y2 (ko) | ||
JPWO2017138110A1 (ja) | 空気調和装置 | |
KR20100053331A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 |
JPH0682119A (ja) | 空気調和機 | |
KR20080065177A (ko) | 공간 공조 능력을 향상시킨 공기조화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