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763A - 카시트의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카시트의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763A
KR20180029763A KR1020160118270A KR20160118270A KR20180029763A KR 20180029763 A KR20180029763 A KR 20180029763A KR 1020160118270 A KR1020160118270 A KR 1020160118270A KR 20160118270 A KR20160118270 A KR 20160118270A KR 20180029763 A KR20180029763 A KR 20180029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ing link
driving
interlocking
rotation
driv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8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0832B1 (ko
Inventor
정세훈
조현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쁘레베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쁘레베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쁘레베베
Priority to KR1020160118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832B1/ko
Priority to CN201610922103.2A priority patent/CN107813737B/zh
Publication of KR20180029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69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시트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격을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12)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착석부(100)가 조립되어 함께 회전되는 회동어셈블리(2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2)에 설치되고 상기 회동어셈블리(20)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걸어 회동어셈블리(20)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30,30')과, 상기 회전제어수단(30,3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제어수단(30,30')을 조작하는 조작부(32,32')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32,32')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되 둘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상기 회전제어수단(30,30')이 제어된다. 본 발명에서는 카시트 회전장치의 조작부(32,32')가 카시트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둘 중 어느 하나만 조작하면 카시트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에게 가까운 조작부(32,32')를 선택해서 조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시트의 회전장치{Rotating device for car seat}
본 발명은 카시트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시트의 착석부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는 카시트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시트(car seat)는 신생아 또는 유아 등의 연소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차량의 좌석에 장착되는 기구로서, 급제동, 급출발, 충돌 등이 발생할 경우 신생아나 유아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장치이다.
카시트는 유아가 착석한 상태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신생아 등 더욱 어린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에는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것이 더 안전하므로 최근에는 후방보기가 가능한 카시트가 사용되기도 한다. 몸을 가누기 힘든 신생아는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몸이 앞으로 쏠리기 쉽고, 이 경우 머리와 척추를 다칠 수 있어 후방보기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후방보기가 가능한 카시트는 착석부 자체가 회전하면서 전방보기나 후방보기 방식으로 변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착석부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회전잠금상태를 해제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카시트에 설치된 버튼이나 레버와 같은 잠금해제부가 사용된다. 즉, 버튼이나 레버를 조작한 상태로 착석부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비좁은 차량의 내부에서 카시트를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며, 시인성(視認性)에도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잠금해제부는 카시트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므로 조작이 불편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잠금해제부가 차량의 바깥쪽에 가깝게 설치되면, 반대로 차량 내부에서는 잠금해제부가 멀기 때문에 조작이 어려워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잠금해제부가 카시트 중앙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차량의 바깥쪽과 안쪽에서 모두 어느 정도 멀기 때문에 역시 조작이 편하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3858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0417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석부의 회전을 조작하기 위한 잠금해제부를 카시트의 양쪽에 각각 설치하여 차량의 바깥쪽과 안쪽에서 모두 가깝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쌍의 잠금해제부 중 어느 하나만 조작하면 카시트의 회전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골격을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착석부가 조립되어 함께 회전되는 회동어셈블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회동어셈블리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걸어 회동어셈블리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과, 상기 회전제어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제어수단을 조작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되 둘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상기 회전제어수단이 제어되는 한 쌍의 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쌍을 이루어 대칭되게 구비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한쪽 끝이 상기 한 쌍의 조작부에 각각 연결되되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제1연동링크 및 제2연동링크와, 상기 제1연동링크 및 제2연동링크의 반대쪽 끝에 연결되어 상기 제1연동링크 또는 제2연동링크 중 어느 하나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동되면서 상기 회동어셈블리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회전을 방지하는 구동블록과, 상기 제1연동링크, 제2연동링크 또는 구동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이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잠금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탄성부재는 상기 구동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블록이 상기 회동어셈블리의 걸림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한 쌍의 조작부에는 각각 조작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조작부가 상기 제1연동링크 및 제2연동링크를 누른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연동링크 및 제2연동링크에는 상기 구동블록에 구비된 구동돌부가 삽입되는 구동홀이 형성되어 제1연동링크 또는 제2연동링크이 회전되면 상기 구동블록이 직선이동된다.
상기 제1연동링크 및 제2연동링크는 각각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한쪽 끝에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에 연결되는 장공의 연동홀이 형성되는 연동부와, 상기 메인몸체의 다른쪽 끝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블록에 연결되는 구동홀이 형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동링크의 구동부 및 제2연동링크의 구동부는 서로 높이을 달리하여 적층된 상태로 상기 구동블록에 함께 연결된다.
상기 제1연동링크 구동홀 및 제2연동링크의 구동홀은 각각 상기 구동블록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연동링크 또는 제2연동링크 중 어느 하나의 회전에 의해 구동블록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나머지 하나는 구동블록의 이동에 연동되지 않는다.
상기 구동부에는 회전축이 연결되어 상기 제1연동링크 및 제2연동링크의 연동부와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쪽 반대편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조작부 중 어느 하나의 직선이동에 의해 상기 제1연동링크 또는 제2연동링크가 회전되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블록을 직선이동시킨다.
상기 회동어셈블리에는 상기 회동어셈블리의 외면을 따라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조작부를 구성하는 제1조작부 및 제2조작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대칭되게 구비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카시트의 회전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카시트 회전장치의 조작부가 카시트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둘 중 어느 하나만 조작하면 카시트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에게 가까운 조작부를 선택해서 조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비좁은 차량 내부에서 카시트를 회전시키는 작업이 더욱 편리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카시트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제어수단은 한 쌍으로 구성되지만 이들은 서로 연동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 쌍의 회전제어수단 중 어느 하나의 회전제어수단을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힘만 가하면 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조작부를 누른 상태에서 카시트를 어느 정도 회전시킨 후에는 조작부를 누른 힘을 제거해도 된다. 카시트가 회전되어 특정한 각도를 이루면 조작부는 다시 원위치로 돌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카시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성이 향상되고, 사용자는 원위치로 복귀한 조작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카시트가 설정된 위치로 회전되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카시트의 회전장치가 적용된 카시트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카시트가 회전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카시트의 회전장치가 잘 드러나도록 카시트 착석부를 생략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회전제어수단과 조작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카시트의 회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동작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카시트의 회전장치는 카시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카시트의 착석부(100)가 차량 전방이나 후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기능과,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모두 갖는다. 기본적으로 카시트의 착석부(100)는 설정된 각도로만 고정될 수 있고, 나머지 상태에서는 고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카시트의 회전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회전장치가 적용된 유아용 카시트(이하 '유아용 카시트'라 함)에 대해 설명하면, 카시트의 골격을 베이스프레임(12)이 형성한다. 베이스프레임(12)에는 리바운드바(15)가 구비되어 등받이 쪽을 지지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체 카시트의 구성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유아가 착석하는 착석부(100) 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베이스프레임(12)에서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부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착석부(100)는 도 1과 같이 리바운드바(15)를 향해 설치되거나 또는 도 2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신생아 등 더욱 어린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에는 착석부(100)가 도 1과 같이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 이러한 착석부(100)의 상태는 회전을 통해 변경되는 것인데, 착석부(100)의 회전과 관련된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2)에는 회동어셈블리(20)가 구비된다. 상기 회동어셈블리(20)는 베이스프레임(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착석부(100)가 조립되어 함께 회전된다. 착석부(100)는 회동어셈블리(20)에 결합됨으로써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회동어셈블리(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2)에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베이스(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동어셈블리(20)는 다수개의 회전플레이트가 적층되어 안정성을 높이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회동어셈블리(20)는 도 3에서 보듯이 대략 원판형태인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회동어셈블리(20)에는 걸림홈(2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22)은 상기 회동어셈블리(20)의 외면에 요입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홈(22)을 이용하여 회동어셈블리(20) 및 착석부(10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걸림홈(2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제어수단(30,30')의 구동블록(38)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회동어셈블리(2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걸림홈(22)은 상기 회동어셈블리(20)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서로 반대방향에 2개가 형성되면 회동어셈블리(20)의 회전상태가 180도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고(도 1 및 도 2의 상태), 90도 간격으로 총 4개가 형성된다면 90도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제어수단(30,30')은 기본적으로 회동어셈블리(20)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회전제어수단(30,30')은 평소에는 회동어셈블리(20)가 회전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조작을 하는 때에만 회동어셈블리(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회전제어수단(30,30')은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편의를 위해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의 회전제어수단(30)과 우측의 회전제어수단(30')에 서로 다른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회전제어수단(30,30')에는 조작부(32,32')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32,32')는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누르게 되는 부분으로, 베이스프레임(12)의 내부 방향으로 눌리거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조작부(32,32')는 하우징에 감싸져 일부만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다.
상기 조작부(32,32')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조작부(32,32')는 카시트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이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연동링크(34①) 및 제2연동링크(34②)를 각각 회전시켜 회전제어수단(30,30')이 동작되도록 한다. 상기 조작부(32,32')가 한 쌍으로 구성되므로, 사용자는 두 조작부(32,32') 중에서 자신에게 가까운 조작부(32,32')를 선택해서 조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비좁은 차량 내부에서 카시트를 회전시키는 작업이 더욱 편리해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한 쌍의 조작부(32,32')에는 각각 조작탄성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조작탄성부재는 상기 한 쌍의 조작부(32,32')가 제1연동링크(34①) 및 제2연동링크(34②)를 누른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 즉 베이스프레임(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조작부(32,32')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조작부(32,32')는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조작탄성부재는 생략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잠금탄성부재(S)에 의해 조작부(32,32')가 원위치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조작부(32,32')에는 조작몸체(32')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몸체(32')는 상기 조작부(32,32')로부터 더 돌출되어 형성된 것으로, 여기에는 조작돌부(33)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돌부(33)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연동링크(34①) 및 제2연동링크(34②)의 장공의 연동홀(34')에 삽입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서 조작돌부(33)는 조작부(32,32')의 이동과정에서 제1연동링크(34①) 및 제2연동링크(34②)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부(32,32')에는 제1연동링크(34①) 및 제2연동링크(34②)가 연결된다. 상기 제1연동링크(34①) 및 제2연동링크(34②)는 상기 조작부(32,32')의 조작에 의해 연동되는 것으로,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제1연동링크(34①) 및 제2연동링크(34②)는 길게 연장된 평판구조를 갖는데, 일종의 작동 암(arm)형태이다. 제1연동링크(34①) 및 제2연동링크(34②)는 각각 조작부(32,32')에 의해 조작되는 힘을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블록(38)에 전달하여 구동블록(38)이 회동어셈블리(20)의 걸림홈(22)에 끼워지거나 반대방향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1연동링크(34①) 및 제2연동링크(34②)는 각각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제1연동링크(34①) 및 제2연동링크(34②)의 골격은 메인몸체(34b)가 형성하고, 상기 메인몸체(34b)의 양단에는 연동부(34a)와 구동부(34c)가 각각 구비된다. 이들은 일체로 구성되고 얇은 평판구조이다. 상기 메인몸체(34b)에는 회전홀(H)이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홀(H)에는 회전축(X1)이 삽입되어 상기 제1연동링크(34①) 및 제2연동링크(34②)의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연동부(34a)는 상기 메인몸체(34b)의 한쪽 끝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조작부(32,32')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동부(34a)에는 상기 조작부(32,32')의 조작돌부(33)가 삽입되는 연동홀(34')이 형성된다. 상기 연동홀(34')은 상기 연동부(34a)를 관통하거나 요입된 형태를 갖는데, 바람직하게는 장공으로 형성된다. 이는 조작돌부(33)와의 연동과정에서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자연스러운 연동이 가능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메인몸체(34b)의 다른쪽 끝에는 구동부(34c)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34c)는 구동블록(38)에 연결되어 조작부(32,32')의 힘을 구동블록(38)에 전달한다. 결과적으로 조작부(32,32')의 직선운동은 제1연동링크(34①) 또는 제2연동링크(34②)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었다가, 다시 구동블록(38)의 직선운동으로 이어진다. 상기 구동부(34c)에는 구동블록(38)과의 연결을 위한 구동홀(34'')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홀(3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블록(38)의 구동돌부(38')가 삽입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연동링크(34①)의 구동부(34c) 및 제2연동링크(34②)의 구동부(34c)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적층된 상태로 구동블록(38)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1연동링크(34①)와 제2연동링크(34②)가 각각 구동블록(38)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제1연동링크(34①)의 구동부(34c) 및 제2연동링크(34②)의 구동부(34c)는 서로 높이를 같게 하여 구동블록(38)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연동링크(34①) 구동홀(34'') 및 제2연동링크(34②)의 구동홀(34'')은 각각 길게 연장되어 구동돌부(38')가 삽입된 상태에서 어느 정도 여유공간이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연동링크(34①) 구동홀(34'') 및 제2연동링크(34②)의 구동홀(34'')은 각각 구동블록(38)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이를 통해서 상기 제1연동링크(34①) 또는 제2연동링크(34②)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여 구동블록(38)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나머지 하나는 구동블록(38)의 이동에 연동되지 않을 수 있다. 만일 구동홀(34'')이 구동돌부(38')의 크기에 대응한다면, 상기 제1연동링크(34①) 또는 제2연동링크(34②)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여 구동블록(38)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나머지 하나도 함께 회전될 수밖에 없고, 이는 조작부(32,32')를 조작하는 힘을 증가시키게 된다.
참고로 도 4에는 상대적으로 우측에 구비된 제2연동링크(34②)는 구동블록(38)의 구동돌부(38')를 아래쪽으로 당기고 있지만, 제1연동링크(34①)는 이와 관계없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홀(34'')은 길게 연장되어 구동돌부(38')가 삽입된 상태에서 어느 정도 여유공간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구동홀(34'')은 대략 역삼각형태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타원형태나 기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연동링크(34①) 및 제2연동링크(34②)의 구동부(34c)는 각각 구동블록(38)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블록(38)은 상기 제1연동링크(34①) 또는 제2연동링크(34②) 중에서 어느 하나에 연동되어 직선이동되고, 그 과정에서 상기 회동어셈블리(20)의 걸림홈(2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회동어셈블리(2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구동블록(38)은 대략 육면체 입체형상을 갖고, 상부에는 구동돌부(38')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돌부(38')는 상기 제1연동링크(34①) 및 제2연동링크(34②)의 구동부(34c)에 각각 구비된 구동홀(34'')에 삽입되는 것으로, 구동블록(38)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구동돌부(38')의 횡단면은 구동홀(34'') 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구동홀(34'')에 끼워진 상태에서 구동홀(34'')에는 여유공간이 생긴다.
상기 구동블록(38)에는 설치홈(38'')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38'')에는 잠금탄성부재(S)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탄성부재(S)는 상기 구동블록(38)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블록(38)이 상기 회동어셈블리(20)의 걸림홈(2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부(32,32')를 조작해서 구동블록(38)을 걸림홈(22)에서 분리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구동블록(38)은 걸림홈(2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잠금탄성부재(S)가 구동블록(38)에 연결되지만, 상기 잠금탄성부재(S)는 제1연동링크(34①)나 제2연동링크(34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경우에는 잠금탄성부재(S)가 제1연동링크(34①)나 제2연동링크(34②)를 회전시키는 힘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연동링크(34①)나 제2연동링크(34②)가 구동블록(38)을 구동홈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구동블록(38)에는 걸림돌부(39)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돌부(39)는 상기 회동어셈블리(20)의 걸림홈(22)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구동블록(38)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걸림돌부(39)는 걸림홈(22)에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카시트의 회전장치가 동작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카시트의 회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동작되는 모습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사용자는 유아를 착석부(100)에 착석시킨 후에 안전벨트를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착석부(100)를 회전시켜 착석부(100)가 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석부(100)가 차량의 후방을 향하게 하거나(도 1참조), 또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도 2참조).
이와 같이 착석부(100)의 회전을 위해서는 착석부(100)에 연결된 회동어셈블리(20)의 잠금상태를 해제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회동어셈블리(20)는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전제어수단(30,30')이 회동어셈블리(20)의 회전을 막고 있기 때문이다. 즉, 회전제어수단(30,30')의 구동블록(38)이 회동어셈블리(20)의 걸림홈(22)에 삽입되어 회동어셈블리(20)하 회전될 수 없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착석부(100)의 회전을 위해서는 이와 같은 잠금상태를 해제해야 한다. 사용자가 조작부(32,32')를 누르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데, 여기서 한 쌍의 조작부(32,32') 중 어느 하나만 누르면 된다. 왜냐하면, 한 쌍의 조작부(32,32') 중 어느 하나만을 조작해도 회전제어수단(30,30')이 작동하여 회동어셈블리(2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때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조작부(32,32') 중에서 우측의 조작부(32')를 도 5의 화살표① 방향으로 누르면, 제2연동링크(34②)가 화살표②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연동링크(34②)의 회전에 의해 구동블록(38)이 화살표③방향으로 직선이동하여 회동어셈블리(20)의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조작부(32')가 눌리면, 조작부(32')의 조작돌부(33)가 상기 제2연동링크(34②)의 연동부(34a)를 가압한다. 이는 조작돌부(33)가 연동홀(34')에 끼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동시에 이루어진다.
상기 제2연동링크(34②)가 회전축(X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연동부(34a)의 반대편에 있는 구동부(34c)는 구동블록(38)을 이동시킨다. 구동부(34c)의 구동홀(34'')에 구동블록(38)의 구동돌부(38')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구동홀(34'') 가장자리에 걸린 구동돌부(38')가 당겨지면서 구동블록(38)이 이동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도 6과 같은 상태가 된다.
도 6에서 보듯이, 제2연동링크(34②)는 회전하여 구동블록(38)을 작동시켰지만, 제1연동링크(34①)는 회전되지 않는다. 이는, 앞서 설명한대로, 제1연동링크(34①) 및 제2연동링크(34②)의 구동홀(34'')은 각각 길게 연장되어 구동돌부(38')가 삽입된 상태에서 어느 정도 여유공간이 있어서 제1연동링크(34①) 및 제2연동링크(34②)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서 상기 제1연동링크(34①) 또는 제2연동링크(34②)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여 구동블록(38)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나머지 하나는 구동블록(38)의 이동에 연동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한 쌍의 회전제어수단(30,3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제어수단(30,30')을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힘만 가하면 되므로 조작력이 작아질 수 있다.
한편, 도 6과 같이 구동블록(38)의 걸림돌부(39)가 걸림홈(22)에서 빠져나오면, 사용자는 착석부(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착석부(100) 및 착석부(100)에 결합된 회동어셈블리(20)는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회전가능하고, 사용자가 이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는 사용자가 조작부(32')를 누르던 힘을 제거해도 된다. 왜냐하면 상기 구동블록(38)의 걸림돌부(39)가 회동어셈블리(20)의 외주면에 닿아 걸림홈(22)에 삽입되지 않기 때문이다.
동시에 상기 조작탄성부재가 조작부(32')를 원위치시킨다. 즉 조작탄성부재가 조작부(32')를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밀게 되고, 이 과정에서 조작부(32')가 제2연동링크(34②)를 누른 상태도 해제되어, 제2연동링크(34②)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상기 조작탄성부재가 없더라도 잠금탄성부재(S)에 의해 조작부(32')가 원위치될 수도 있다.
한편, 회동어셈블리(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구동블록(38)이 다른 걸림홈(22)을 마주하게 되면, 잠금탄성부재(S)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구동블록(38)이 이동하면서 걸림돌부(39)가 걸림홈(22)에 삽입되어 도 5와 같은 잠금상태로 돌아간다. 즉, 사용자가 조작부(32,32')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잠금탄성부재(S)의 탄성력에 의해 다음 잠금상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리, 즉 걸림돌부(39)가 걸림홈(2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리에 의해 사용자는 회동어셈블리(20)가 잠금상태가 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잠금상태의 해제과정은, 도면에서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한 조작부(32)를 조작해도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신에게 가까운 조작부(32,32')를 선택해서 조작할 수 있고, 비좁은 차량 내부에서 카시트를 회전시키는 작업이 편리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례에서는 잠금탄성부재(S)와 조작탄성부재가 각각 구비된 것을 예로 들었지만, 둘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연동링크(34①)와 제2연동링크(34②)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 제1연동링크(34①)와 제2연동링크(34②)는 서로 연동하여 함께 회전될 수도 있다.
12: 베이스프레임 15: 리바운드바
20: 회동어셈블리 22: 걸림홈
30,30': 회전제어수단 32: 조작부
33: 조작돌부 34①: 제1연동링크
34②: 제2연동링크 34a: 연동부
34b: 메인몸체 34c: 구동부
38: 구동블록 39: 걸림돌부
S: 잠금탄성부재

Claims (10)

  1. 골격을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착석부가 조립되어 함께 회전되는 회동어셈블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회동어셈블리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걸어 회동어셈블리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과,
    상기 회전제어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제어수단을 조작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되 둘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상기 회전제어수단이 제어되는 한 쌍의 조작부를 포함하는 카시트의 회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쌍을 이루어 대칭되게 구비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한쪽 끝이 상기 한 쌍의 조작부에 각각 연결되되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제1연동링크 및 제2연동링크와,
    상기 제1연동링크 및 제2연동링크의 반대쪽 끝에 연결되어 상기 제1연동링크 또는 제2연동링크 중 어느 하나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동되면서 상기 회동어셈블리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회전을 방지하는 구동블록과,
    상기 제1연동링크, 제2연동링크 또는 구동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이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잠금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카시트의 회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탄성부재는 상기 구동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블록이 상기 회동어셈블리의 걸림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카시트의 회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조작부에는 각각 조작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조작부가 상기 제1연동링크 및 제2연동링크를 누른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카시트의 회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동링크 및 제2연동링크에는 상기 구동블록에 구비된 구동돌부가 삽입되는 구동홀이 형성되어 제1연동링크 또는 제2연동링크이 회전되면 상기 구동블록이 직선이동되는 카시트의 회전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동링크 및 제2연동링크는 각각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한쪽 끝에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에 연결되는 장공의 연동홀이 형성되는 연동부와,
    상기 메인몸체의 다른쪽 끝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블록에 연결되는 구동홀이 형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동링크의 구동부 및 제2연동링크의 구동부는 서로 높이을 달리하여 적층된 상태로 상기 구동블록에 함께 연결되는 카시트의 회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동링크 구동홀 및 제2연동링크의 구동홀은 각각 상기 구동블록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연동링크 또는 제2연동링크 중 어느 하나의 회전에 의해 구동블록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나머지 하나는 구동블록의 이동에 연동되지 않는 카시트의 회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회전축이 연결되어 상기 제1연동링크 및 제2연동링크의 연동부와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쪽 반대편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조작부 중 어느 하나의 직선이동에 의해 상기 제1연동링크 또는 제2연동링크가 회전되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블록을 직선이동시키는 카시트의 회전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어셈블리에는 상기 회동어셈블리의 외면을 따라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카시트의 회전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조작부를 구성하는 제1조작부 및 제2조작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카시트의 회전장치.




KR1020160118270A 2016-09-13 2016-09-13 카시트의 회전장치 KR101850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270A KR101850832B1 (ko) 2016-09-13 2016-09-13 카시트의 회전장치
CN201610922103.2A CN107813737B (zh) 2016-09-13 2016-10-21 安全座椅的旋转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270A KR101850832B1 (ko) 2016-09-13 2016-09-13 카시트의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763A true KR20180029763A (ko) 2018-03-21
KR101850832B1 KR101850832B1 (ko) 2018-04-20

Family

ID=61601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8270A KR101850832B1 (ko) 2016-09-13 2016-09-13 카시트의 회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0832B1 (ko)
CN (1) CN10781373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4249A1 (en) * 2020-08-04 2022-03-30 Maxi Miliaan B.V. Rotation base and carsea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5221A (zh) * 2019-02-22 2019-06-04 麦克英孚(宁波)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旋转式儿童安全座椅电控系统及其操作方法
CN113119820B (zh) * 2019-12-30 2023-09-08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CN113119821A (zh) * 2019-12-30 2021-07-16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角度调整结构及婴儿载具
KR20210089009A (ko) 2020-01-07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 방법
EP4308413A1 (en) * 2021-03-14 2024-01-24 Tetro Ltd. Car safety seat
CN113276740B (zh) * 2021-05-24 2022-08-02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汽车安全座椅
CN114162004B (zh) * 2021-11-23 2023-09-05 浙江迈嘉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分键联动控制的儿童座椅
CN117621954A (zh) * 2022-08-11 2024-03-01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23933C1 (nl) * 2003-07-16 2005-01-18 Mullen Holding B V V D Kindervoertuigstoel.
KR20050036555A (ko) * 2003-10-16 2005-04-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JP5667807B2 (ja) * 2010-07-28 2015-02-12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車両用チャイルドシート
KR101162122B1 (ko) * 2010-10-13 2012-07-04 한일내장(주) 차량용 회전시트 및 그의 구동방법
CN203046934U (zh) * 2012-12-31 2013-07-10 浙江天成自控股份有限公司 车辆座椅调节装置
CN105398354B (zh) * 2015-12-14 2019-05-24 长春富维—江森自控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闸线控制的汽车座椅侧翼调节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4249A1 (en) * 2020-08-04 2022-03-30 Maxi Miliaan B.V. Rotation base and car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13737A (zh) 2018-03-20
CN107813737B (zh) 2020-03-10
KR101850832B1 (ko) 2018-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832B1 (ko) 카시트의 회전장치
JP7146945B2 (ja) チャイルドキャリアによってトリガされる折畳機構を有するベビーカー
US8201846B2 (en) Backrest recline adjustment device for a stroller
TW201716265A (zh) 兒童安全座椅
US8632128B2 (en) Vehicle seat
EP1749693A2 (en) Seat for vehicle
JP5667807B2 (ja) 車両用チャイルドシート
US20070040428A1 (en) Child seat
US8905476B2 (en) Adjustment mechanism for juvenile product
CN106256598B (zh) 斜躺式儿童安全座椅
CA3061634A1 (en) Child safety seat
TW202306808A (zh) 用於兒童安全座椅之座椅本體之底座結構
JP2006014943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791106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JP4989118B2 (ja) キャスタ
KR20120005086A (ko)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
JP6950974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用の固定ユニット
KR101861847B1 (ko) 스태빌리티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유아용 카시트
JP3201636U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5485531B2 (ja) 椅子
KR101095299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JP2016188060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7397188B2 (ja) ロック機構及び子供用品
JP2024504311A (ja) 回転誤用防止装置及びシート
JP2018134985A (ja) シート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