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445A - 블라스트 가공 장치 및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블라스트 가공 장치 및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445A
KR20180028445A KR1020187000528A KR20187000528A KR20180028445A KR 20180028445 A KR20180028445 A KR 20180028445A KR 1020187000528 A KR1020187000528 A KR 1020187000528A KR 20187000528 A KR20187000528 A KR 20187000528A KR 20180028445 A KR20180028445 A KR 20180028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nozzle
abrasive grains
film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8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4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18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using absorbing layers on the workpiece, e.g. for marking or protect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61Removing material for deburring or mechanical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04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treating only selected parts of a surface, e.g. for carving stone or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2Blast guns, e.g. for generating high velocity abrasive fluid jets for cutt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2Blast guns, e.g. for generating high velocity abrasive fluid jets for cutting materials
    • B24C5/04Nozzles therefor

Abstract

블라스트 가공 장치는, 피가공물상을 이동하면서 상기 피가공물에 대해 연삭 지립(1A)을 분사함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에서의 피가공부에서 블라스트 가공을 행하는 블라스트 가공 장치로서, 상기 연삭 지립을 분사하는 노즐(1)과, 노즐(1)에 마련되고, 슬릿 형상을 갖는 분사구(2)와, 상기 연삭 지립이 분출되는 방향의 축 주위로 상기 노즐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1B)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블라스트 가공 장치 및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블라스트 가공 장치 및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에 사용되고 있는 커버 유리로서, 화학 강화 유리가 사용된다. 이 커버 유리는, 복수매의 커버 유리의 사이즈를 할당된 대형 유리를 절단함에 의해 제조된다. 화학 강화 유리에는, 절단 전에 화학 강화 처리를 행하는 시트 타입과, 절단 후에 화학 강화 처리를 행하는 셀 타입이 있다. 화학 강화한 유리는, 표면에 압축 응력이 걸려 있어서 절단하기 어렵고, 절단 품질이 나쁘고 수율도 나쁘기 때문에, 스마트폰에 사용하는 커버 유리로서, 시트 타입은 일반적으로 좋아하지 않고, 미강화의 상태에서 절단한 셀 타입이 주류이다. 대형 유리의 절단은, CNC 밀링이나 펜 형상 노즐을 사용하는 블라스트 가공법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한, 다이싱 쏘나 다이아몬드 스크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절단되는 경우도 있다.
블라스트 가공법에 의하면, 레이저 가공법에 비하여 장치의 초기 투자액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블라스트 가공법의 가공 효율은, 레이저 가공법보다도 낮다. 블라스트 가공법의 가공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블라스트 가공기에 복수의 펜 형상 노즐을 부착하여 복수매의 강화 유리를 동시에 가공하는 것도 행하여지고 있다.
블라스트 가공에 의해 강화 유리를 절단하는 경우에는, 유리판의 양면에 필름(레지스트 필름)을 부착하고, 가공 라인(유리가 절단되는 절단선)상의 필름을 커터, 노광·현상, 레이저광 등에 의해 제거한 후에 블라스트 가공을 행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10-58325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1-88030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평4-94887호 공보 특허 문헌 4 : 한국 특허 제10-2010-0087565호 공보
블라스트 가공법의 노즐마다의 가공은 레이저 가공에 비하여 느리다. 펜 형상 노즐에 의해 둥근 구멍을 가공하는 경우는, 펜 형상 노즐을 세밀하게 주회(周回)(이동)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펜 형상의 노즐(100)을 이용하여 유리 기판(3)에 대해 외연(3A)와 개구(3B, 3C)를 형성하기 위한 가공을 시행하는 경우, 도 6 중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화살표의 방향으로 노즐을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노즐의 이동 거리가 길기 때문에, 가공 효율은 낮다.
노즐의 분사구와 유리판을 동등한 치수 형상으로 하면, 유리판상에 마련된 복수의 가공부를 동시에 가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펜 형상 노즐에 비하여 가공 범위가 넓기 때문에, 연삭 지립(砥粒)의 분사 압력이 분산되고, 결과로서 가공 속도가 늦어지는 경우가 있다.
노즐의 분사구와 가공부분이 근접하면, 연삭 지립이 반사한다. 분사구로부터 분사된 연삭 지립과 반사된 연삭 지립이 충돌하기 때문에, 지립의 안정된 분사가 어려워지고, 가공 속도가 저하된다(가공 시간이 증대한다). 또한, 연삭 지립의 회수율(사용한 연삭 지립을 재사용할 수 있는 비율)이 저하된다. 특히, 노즐의 중심축이 유리판에 대해 직각인 경우, 연삭 지립이 반사하는 것에 기인하는 상술한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노즐의 이송 속도를 느리게 하면, 반사된 연삭 지립에 의한 영향이 커진다.
자외∼근적외의 파장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절단선상의 필름에 개구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표리 동시 가공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표리의 위치 어긋남이 없고 커터나 노광·현상에 비하여 가공 시간이 짧다. 그러나, 레이저 가공만으로는 필름의 점착층이 완전하게는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필름의 점착층이 유리 상면에 남고, 남은 점착제가 후처리 공정에서 악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블라스트 가공 장치는, 피가공물상을 이동하면서 상기 피가공물에 대해 연삭 지립을 분사함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에서의 피가공부에서 블라스트 가공을 행하는 블라스트 가공 장치로서, 상기 연삭 지립을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에 마련되고, 슬릿 형상을 갖는 분사구와, 상기 연삭 지립이 분출되는 방향의 축 주위로 상기 노즐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구비한다.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블라스트 가공 장치에서, 상기 슬릿 형상의 긴변 방향을 상기 노즐의 이동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임과 함께, 상기 피가공물에 대한 상기 분사구의 투영(投影)이 상기 피가공부를 내포하도록 상기 노즐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블라스트 가공 장치에서, 상기 피가공부에 제품의 외연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블라스트 가공 장치에서, 상기 피가공부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은, 피가공물상을 이동하면서 상기 피가공물에 대해 연삭 지립을 분사함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에서의 피가공부에서 블라스트 가공을 행하는 제품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연삭 지립이 분출되는 방향의 축 주위로 노즐을 회전시켜서 상기 노즐의 방향을 조정하는 공정과, 상기 노즐에 마련된 슬릿 형상을 갖는 분사구로부터 상기 연삭 지립을 분사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방향을 조정하는 공정은, 상기 슬릿 형상의 긴변 방향을 상기 노즐의 이동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임과 함께, 상기 피가공물에 대한 상기 분사구의 투영이 상기 피가공부를 내포하도록 상기 노즐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로부터 상기 연삭 지립을 분사하는 공정은, 상기 피가공부가 갖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에 대해 순차적으로 블라스트 가공을 행함에 의해,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은 복수의 제품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품 영역을 가지며, 상기 피가공부는 상기 제품 영역의 외연에 대응한다.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은 복수의 제품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품 영역을 가지며, 상기 피가공부는 상기 제품 영역에 포함되는 관통 구멍에 대응한다.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은, 상기 연삭 지립에 대한 내구성을 갖는 레지스트막을 상기 피가공부의 표면에 마련하는 공정과, 상기 레지스트막에 개구를 마련하고, 상기 피가공부를 노출시키는 공정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피가공부를 노출시키는 공정에서는, 상기 레지스트막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그 레지스트막에 상기 개구를 마련하는 것, 또는, 상기 피가공부에서의 상기 피가공부 이외의 부분에 상기 레지스트막을 부착시킴에 의해 상기 피가공부에서 상기 개구를 마련하는 것을 실행한다.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은, 상기 피가공부의 표면에 필름을 마련하는 공정과, 상기 피가공물에 마련된 상기 필름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그 필름에 개구를 마련하고, 상기 피가공부를 노출시키는 공정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필름은 상기 연삭 지립에 대한 내구성을 갖는다.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부의 표면에 상기 필름을 마련하는 공정은, 점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필름을 상기 피가공부상에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는, 상기 레이저광이 흡수되는 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라스트 가공기에 의한 가공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블라스트 가공에 수반하는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패턴에 대해 같은 노즐을 사용하여 블라스트 가공을 행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블라스트 가공 장치에서의 노즐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노즐의 측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블라스트 가공 장치에서의 노즐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노즐의 정면도.
도 1c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블라스트 가공 장치에서의 노즐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노즐의 상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블라스트 가공 장치에서의 노즐의 배치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노즐의 각도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1).
도 4는 노즐의 각도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2).
도 5는 피가공물상에 마련되는 필름의 양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블라스트 가공 장치에서의 노즐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의 형태에서, 개수, 양 등에 언급하는 경우, 특히 기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반드시 그 개수, 양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서, 각각의 구성 요소는, 특히 기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에서 반드시 필수의 것은 아니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블라스트 가공 장치는, 유리판 등의 피가공물상을 이동하면서 피가공물에 대해 연삭 지립을 분사함에 의해 블라스트 가공을 행하는 블라스트 가공 장치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블라스트 가공 장치에서의 노즐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연삭 지립(1A)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하는 노즐(1)로부터 분사된다. 노즐(1)은, 직선(선분)형상의 긴구멍 형상(이하, 「슬릿 형상」이라고 한다.)을 갖는 분사구(2)(슬릿 노즐)를 포함한다. 분사구(2)의 긴변쪽 변의 길이(노즐(1)의 폭)는,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w」이다.
회전기구(1B)가 마련되고, 이에 의해, 노즐(1)은, 연삭 지립(1A)이 분출되는 방향의 축 주위(도 1a, 도 1b에서의 상하 방향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피가공부의 형상에 응하여 노즐(1)의 배치 각도가 조정된다.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블라스트 가공 장치에서의 노즐의 배치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예에서는, 노즐(1)을 이용하여 유리 기판(3)에 대해 가공을 시행한다. 유리 기판(3)으로부터는, 4개의 제품에 대응하는 유리판이 절출된다. 즉, 유리 기판(3)에는, 4개의 제품에 대응하는 외연(3A), 및 개구(3B, 3C)가 있다.
도 2에서, 노즐(1)은 X축방향(4개의 제품의 짧은변 방향) 및 Y축방향(4개의 제품의 긴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슬릿 형상의 분사구(2)의 긴변 방향(폭방향)을 노즐(1)의 이동 방향(예를 들면 Y축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θ(0°∼45°))만큼 기울임과 함께, 피가공물에 대한 분사구(2)의 투영이 피가공부를 내포하도록 노즐(1)을 배치한다. 또한, 블라스트 가공 중은 노즐의 각도를 변경하지 않는다.
도 2의 예에서는, 0°≤θ≤45°, 또한, A≤w·cosθ, 또한, B≤w·sinθ의 조건을 충족시킨다. 이것에 의해, 노즐(1)이 X축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이웃하는 제품의 개구(3B, 3C)에 대응하는 부분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노즐(1)이 Y축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이웃하는 제품의 외연(3A)에 대응하는 부분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A」, 「B」의 거리가 도 4에 도시하는 「A'」, 「B'」로 변경된다 경우, 노즐(1)을 회전시킨다(도 4에서는 도 3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또한, 도 2의 예에서는, 제품의 피치(중심 사이 거리)에 맞추어서 복수(2개)의 노즐(1)을 배치하여 각 제품에 상당하는 부분(제품 영역)에 대해 동시에 블라스트 가공을 행한다.
노즐(1)이 행하는 블라스트 가공에 관해서는, 하기 (1)∼(3)을 상정하고 있다.
(1) 하기 (1-1)와 (1-2)을 택일적으로 사용한다.
(1-1) 유리판에서의 복수의 제품에 각각 상당하는 제품 영역끼리의 경계에 따라, 복수(여기서는 2개)의 노즐(1)을, 유리 기판(3)의 단부터 단까지 이동시킨다. 각각의 노즐(1)의 분사구(2)가 평면시(視)에 있어서 피가공부를 포함하도록 각 노즐(1)을 배치한다.
(1-2) 모든 노즐(1)을, 제품 형상의 1주분 이상에 따라 이동시켜서, 유리판을 가공한다.
(2) 복수의 제품 영역 사이에 2개 이상의 절단선(외연(3A))이 마련되는 경우에는, 그들 절단선에서 유리 기판(3)을 동시에 가공한다. 원형 형상, 사각형 형상 등을 갖는 개구(3B, 3C)(예를 들면, 스마트폰에서의 스피커용, 버튼용 등)가 외연(3A)의 부근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개구(3B, 3C)를 외연(3A)과 동시에 가공한다.
(3) 유리 기판(3)의 제1면에서의 모든 가공부분의 가공 깊이가 판두께의 2/3 정도가 된 후에, 유리 기판(3)을 표리 반전시키고 유리 기판(3)의 제2면측부터 상기 (1), (2)의 공정을 적절히 행하여, 유리판을 절단한다. 유리 기판(3)의 제1면 또는 제2면의 어느 일방에만 상기 (1), (2)의 공정을 적절히 행하여, 유리판을 절단하여도 좋다.
또한, 노즐(1)에 의한 가공 속도는, 적절히 조정되지만, 긴변 방향과 짧은변 방향에서 다른 것으로 하여도 좋고, 직선부와 모서리부(코너부)에서 다른 것으로 하여도 좋다.
노즐(1)의 분사구(2)의 폭(w)의 최대치는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하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정도이다. 폭(w)의 최소치는, 이웃하는 제품 외형끼리의 거리(예를 들면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θ)는, 바람직하게는 0°이상 45°이하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5°이상 20°이하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7°이상 15°이하 정도이다.
전형적인 예에서는, 장방형상의 제품에서, 이웃하는 제품의 짧은변 방향의 외연을 포함하고, 또한 그 주위에 있는 소형상 가공부를 전부 포함하는 거리를 L1, 이웃하는 제품의 긴변 방향의 외연을 포함하고, 또한 그 주위에 있는 소형상 가공부를 전부 포함하는 거리를 L2로 하였을 때, 분사구(2)의 폭(w)은, w≥(L12+L22)(1/2), 긴변 방향의 외연(3A)과 분사구의 폭방향이 이루어지는 각도는, θ(rad)=arctan(L2/L1)이다.
그런데,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에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리 기판(3)의 피가공부의 표면에 연삭 지립에 대한 내구성을 갖는 필름(30)을 마련하고, 집광 렌즈(20)을 통과시킨 레이저광(10)을 필름(30)에 조사하여 필름(30)에 개구를 마련하고, 노출한 유리 기판(3)에 연삭 지립을 분사함으로써 블라스트 가공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필름(30)은, 점착제(40)을 이용하여 유리 기판(3)상에 부착된다. 점착제(40)는, 상기 레이저광이 흡수되는 색(즉, 자외∼근적외의 파장대에서 흡수성이 높은 색소로 착색(흑색 등))으로 착색되어 있다. 이에 의해, 흡수된 레이저광(10)을 사용하여, 절단선상에서의 필름(30) 및 점착제(40)을 제거하여도 좋다.
상기의 공정의 변형례로서, 스크린 인쇄, 잉크젯을 사용하여 유리 기판(3)의 피가공부 이외에 레지스트 액을 도포하여 건조시킴에 의해, 레지스트막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 레지스트막은, 블라스트 가공에서 사용되는 연삭 지립에 대한 내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 인쇄나 잉크젯에 의해 피가공부 이외에 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경우, 레이저광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레지스트막은 착색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피가공물로서의 유리는 화학 강화 유리라도 좋고, 풍냉(風冷) 강화 유리라도 좋다.
피가공물의 재료로서는, 탄화규소(SiC, 세라믹스), 사파이어(Al2O3), 사파이어 유리, 석영(SiO2, 수정), 석영 유리, 내열 유리, 알루미나 등의 세라믹스 등이 생각된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블라스트 가공 장치의 작용 효과(하기, 3점)에 관해 설명한다.
1. 가공 시간이 단축된다(블라스트 가공 속도가 향상한다).
(1) 노즐의 가공 범위 내에서, 제품 사이에 2개 이상의 절단선이나 개구가 형성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동시에 가공함에 의해 가공 시간을 단축(예를 들면 1/2 이하 정도로)할 수 있다.
(2) 절단선에 대해 노즐의 폭방향이 경사하게 되는 각도를 설정한다. 더하여, 속도를 올려서 노즐을 이동시킨다. 이들에 의해, 반사된 연삭 지립에 기인하는, 분사구(2)로부터 공급된 연삭 지립의 분쇄와 가공 속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2. COO(Cost Of Ownership)가 저감한다.
(1) 펜 형상 노즐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노즐(1)이 단위 길이만큼 이동함에 의해 가공할 수 있는 영역이 증가한다. 따라서 단위 시간당의 생산량이 향상한다.
(2) 유리판과 동등한 치수 형상을 갖는 분사구를 갖는 노즐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노즐(1)이 단위 길이만큼 이동함에 의해 사용한 연삭 지립의 양이 저감한다. 따라서 같은 면적의 유리판을 가공할 때의 연삭 지립의 소비량이 저감한다.
(3) 연삭 지립의 분쇄가 억제되기 때문에, 연삭 지립의 회수율이 향상한다.
(4) 상기 (1)과 같은 이유로부터, 펜 형상 노즐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같은 범위에 대한 가공 시간이 단축한다. 이에 의해, 노즐(1)의 수명이 향상한다.
3. 같은 노즐(1)을 사용하여, 다른 제품 피치나 절단선 피치를 갖는 유리판을 절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노즐(1)의 각도나, 노즐(1)의 부착 피치를 변경함에 의해, 다른 제품 피치, 다른 절단선 피치, 절단선수의 변경 등에 대해, 같은 노즐(1)로 대응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금회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100 : 노즐 1A : 연삭 지립
1B : 회전기구 2 : 분사구
3 : 유리판 3A : 외연
3B, 3C : 개구 10 : 레이저광
20 : 집광 렌즈 30 : 필름
40 : 점착제

Claims (12)

  1. 피가공물상을 이동하면서 상기 피가공물에 대해 연삭 지립(砥粒)을 분사함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에서의 피가공부에서 블라스트 가공을 행하는 블라스트 가공 장치로서,
    상기 연삭 지립을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에 마련되고, 슬릿 형상을 갖는 분사구와,
    상기 연삭 지립이 분출되는 방향의 축 주위로 상기 노즐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 가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형상의 긴변 방향을 상기 노즐의 이동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임과 함께, 상기 피가공물에 대한 상기 분사구의 투영이 상기 피가공부를 내포하도록 상기 노즐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 가공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부에 제품의 외연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 가공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부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 가공 장치.
  5. 피가공물상을 이동하면서 상기 피가공물에 대해 연삭 지립을 분사함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에서의 피가공부에서 블라스트 가공을 행하는 제품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연삭 지립이 분출되는 방향의 축 주위로 노즐을 회전시켜서 상기 노즐의 방향을 조정하는 공정과,
    상기 노즐에 마련된 슬릿 형상을 갖는 분사구로부터 상기 연삭 지립을 분사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방향을 조정하는 공정은, 상기 슬릿 형상의 긴변 방향을 상기 노즐의 이동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임과 함께, 상기 피가공물에 대한 상기 분사구의 투영이 상기 피가공부를 내포하도록 상기 노즐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로부터 상기 연삭 지립을 분사하는 공정은, 상기 피가공부가 갖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에 대해 순차적으로 블라스트 가공을 행함에 의해,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은 복수의 제품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품 영역을 가지며,
    상기 피가공부는 상기 제품 영역의 외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
  9.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은 복수의 제품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품 영역을 가지며,
    상기 피가공부는 상기 제품 영역에 포함되는 관통 구멍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 지립에 대한 내구성을 갖는 레지스트막을 상기 피가공부의 표면에 마련하는 공정과,
    상기 레지스트막에 개구를 마련하고, 상기 피가공부를 노출시키는 공정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피가공부를 노출시키는 공정에서는, 상기 레지스트막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그 레지스트막에 상기 개구를 마련하는 것, 또는, 상기 피가공부에서의 상기 피가공부 이외의 부분에 상기 레지스트막을 부착시킴에 의해 상기 피가공부에서 상기 개구를 마련하는 것의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
  11.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부의 표면에 필름을 마련하는 공정과,
    상기 피가공물에 마련된 상기 필름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그 필름에 개구를 마련하고, 상기 피가공부를 노출시키는 공정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필름은 상기 연삭 지립에 대한 내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부의 표면에 상기 필름을 마련하는 공정은, 점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필름을 상기 피가공부상에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는, 상기 레이저광이 흡수되는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
KR1020187000528A 2015-07-09 2016-06-07 블라스트 가공 장치 및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 KR201800284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37747A JP2017019036A (ja) 2015-07-09 2015-07-09 ブラスト加工装置およびブラスト加工による製品製造方法
JPJP-P-2015-137747 2015-07-09
PCT/JP2016/066854 WO2017006683A1 (ja) 2015-07-09 2016-06-07 ブラスト加工装置およびブラスト加工による製品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445A true KR20180028445A (ko) 2018-03-16

Family

ID=57685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528A KR20180028445A (ko) 2015-07-09 2016-06-07 블라스트 가공 장치 및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7019036A (ko)
KR (1) KR20180028445A (ko)
WO (1) WO2017006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02005A1 (en) * 2016-04-28 2019-07-04 Zeon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CN108436787A (zh) * 2018-04-11 2018-08-24 佛山市穗远恒科建材有限公司 一种花纹玻璃喷砂成形的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7869A (ja) * 1987-03-26 1988-10-04 Fuji Seiki Seizosho:Kk 噴射ガン
US5942037A (en) * 1996-12-23 1999-08-24 Fsi International, Inc. Rotatable and translatable spray nozzle
JP2003249740A (ja) * 2002-02-22 2003-09-05 Sumitomo Heavy Ind Ltd レーザ加工方法及び有孔部材
JP5254733B2 (ja) * 2008-10-02 2013-08-07 株式会社ディスコ ウォータジェット加工方法
JP5564339B2 (ja) * 2010-06-16 2014-07-30 江川製作所株式会社 サンドブラストによる刻印用メタルマスク
JP5528262B2 (ja) * 2010-08-25 2014-06-25 株式会社不二製作所 サンドブラストによる切削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06683A1 (ja) 2017-01-12
JP2017019036A (ja)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523B1 (ko) 샌드블라스팅에 의한 절삭 방법
US9649775B2 (en) Workpiece dividing method
KR102210945B1 (ko) 웨이퍼의 가공 방법
JP5881464B2 (ja) ウェーハのレーザー加工方法
KR101939685B1 (ko) 경질 취성 기판의 절취 방법 및 절취 장치
KR20180028445A (ko) 블라스트 가공 장치 및 블라스트 가공에 의한 제품 제조 방법
TWI471908B (zh) Film forming method and thin film forming apparatus
JP2013054128A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KR20180054442A (ko) 기판의 가공방법
KR102286476B1 (ko) 유리 기판 절단 방법 및 도광판 제조 방법
JP2011093080A (ja) 加工基板にライン形状のパターン切削を行うためのサンドブラスト加工方法及び装置
JP6103895B2 (ja) 切削装置
CN102922385A (zh) 多重分离自动薄板玻璃加工装置及其制造钢化玻璃的方法
CN109249285B (zh) 修整板和修整方法
WO20200724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multi-section displays
JP2014054713A (ja) ウェーハの加工方法
JP4617150B2 (ja) ウエハのダイシング方法
JP2018122413A (ja) 切削ブレード及び切削方法
JP2013225612A (ja) ウェーハの加工方法
KR20220023019A (ko) 반도체 기판 및 반도체 기판의 소잉 방법
KR100509396B1 (ko) 포토마스크 재생 방법
JP6415299B2 (ja) 切削装置
JP7333499B2 (ja) テープ付きウェーハの加工装置及びその加工方法
JP2019016651A (ja) ウェーハの加工方法
JP5239843B2 (ja) 切削工具再研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