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848A - 고감성 잠재권축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감성 잠재권축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848A
KR20180027848A KR1020160115019A KR20160115019A KR20180027848A KR 20180027848 A KR20180027848 A KR 20180027848A KR 1020160115019 A KR1020160115019 A KR 1020160115019A KR 20160115019 A KR20160115019 A KR 20160115019A KR 20180027848 A KR20180027848 A KR 20180027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hip
present
resin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7209B1 (ko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5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209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2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8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fibres, filaments, or yarns, having different shrinkag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6Humidity control, or oiling,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03D15/04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7Shapes or effects upon shrinkag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D04B1/20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crimped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감성 잠재권축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지면서도, 적정 보풀수 및 파스텔톤의 색감을 가지는 감성이 높은 잠재권축사를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고감성 잠재권축사 및 이의 제조방법{Latent crimping typed two component conjugated yarn with high sensi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우수한 탄력성, 소프트한 터치감, 파스텔 톤의 색감 등을 가지는 고감성의 잠재권축사 및 이를 높은 양산성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는 1970년대 이형단면기술과 알카리 감량기술 개발을 통하여 기능성 섬유로 활용도가 높아 1980년대 중반까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었다.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일종으로서 잠재권축사는 수축률이 서로 다른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by-side)형 또는 코어-쉘(core-shell)형으로 구성한 섬유로서 일종의 특수 복합한 바이메탈구조의 복합사인데 권축을 발현시킬 때에 안락한 스트레치 기능이 얻어질 뿐만 아니라, 독특한 표면특성, 반발감이 우수하여 최근의 직물 상품에서 특히 중요시되는 반발탄력성(Hari), 강직도(Koshi), 반발성, 촉감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가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잠재권축사는 신축성, 회복력이 좋기 때문에 캐주얼 슈트, 드레스, 블라우스, 니트 등의 제품에 대한 적용되고 있는데, 스판처럼 신축성이나 회복력이 강한 것은 아니지만 화섬원사 자체로서 적당한 신축성과 회복력을 갖고 있는 잠재권축사는 이를 사용한 우븐직물과 니트직물이 패션 트랜드에 맞아 세계적으로 수요가 팽창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잠재권축사의 신축성, 회복력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면, 잠재권축사의 터치감 및 색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바, 기존 잠재권축사의 경우 최근 기능성 고급 의류 소재로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1-0124440호(공개일 2011.11.17)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터치감 및 색감이 우수한 잠재권축사를 제공하고자 하며, 또한, 이를 높은 상업성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감성 잠재권축사는 제1성분 및 제2성분이 사이드-바이-사이드로 결합된 모노 필라멘트가 혼섬된 혼섬사(또는 멀티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제1성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제2성분 개질제로 개질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1성분은 고유점도 0.63 ~ 0.7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제2성분은 고유점도 0.70 ~ 0.8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제1성분 및 제2성분간 고유점도 차이가 0.07 ~ 0.17 dl/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고감성 잠재권축사의 상기 제1성분은 제1성분 전체 중량 중 TiO2 미립자를 1.4 ~ 2.4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고감성 잠재권축사의 상기 제2성분은 제2성분 전체 중량 중 TiO2 미립자를 1.6 ~ 2.4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아디스산(adipic acid), 2-(C1~C3)알킬 프로판 다이올(2-(C1~C3 alkyl)propane diol), 2,2-(C1~C3)다이알킬 프로판 다이올(2-(C1~C3)dialkyl propane diol), 2-(C1~C3)알킬 부테인 다이올(2-(C1~C3 alkyl)butane diol), 2,3-(C1~C3) 다이알킬 부테인 다이올(2-(C1~C3)dialkyl butane diol), 사이클로헥세인다이올(cyclohexane diol) 및 BPA(4,4'-isopropylidenediphenol)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모노 필라멘트의 단면은 이형도 1.4 ~ 1.5를 가지는 땅콩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모노 필라멘트의 단면은 편평비가 1 : 1.20 ~ 1.4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모노 필라멘트의 단면은 외형 원주비가 외형 원주비가 1:0.67 ~ 0.8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고감성 잠재권축사를 구성하는 상기 혼섬사는 35 ~ 60 데니아 및 25 ~ 55 필라멘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모노 필라멘트는 섬도가 0.70 ~ 1.30 데니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고감성 잠재권축사는 평균 발현권축수가 2.5 ~ 5.5/cm 이고, 보풀수가 0.05개/106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고감성 잠재권축사는 미소권축이 2.0 사이클/c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고감성 잠재권축사는 열수축응력이 0.45g/de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고감성 잠재권축사는 강력(tenacity)이 3.5 ~ 5.0 g/d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고감성 잠재권축사는 신도(elongation) 20.0 ~ 3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고감성 잠재권축사는 균일성(eveness)이 1.35 ~ 2.2%이고, 수축율(shrinkage)이 7.5 ~ 17.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고감성 잠재권축사는 오일 픽업성이 0.8 ~ 1.3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앞서 설명한 다양한 형태의 고감성 잠재권축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유점도 0.63 ~ 0.7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제1성분 칩) 및 고유점도 0.70 ~ 0.80인 개질제로 개질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제2성분 칩)을 각각 준비하는 1단계; 제1성분 칩 및 제2성분 칩 각각을 용융시킨 제1성분 수지 및 제2성분 수지를 복합방사구금에 투입 및 복합방사시킨 후, 냉각시켜서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모노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2단계; 상기 모노 필라멘트를 급유처리한 후, 연신시키는 3단계; 연신된 모노 필라멘트를 열고정시키는 4단계; 및 열고정된 다수개의 모노 필라멘트를 혼섬된 멀티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혼섬사를 제조하는 5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고감성 잠재권축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2단계의 제1성분 칩은 제1성분 칩 전체 중량 중 TiO2 미립자를 1.4 ~ 2.4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2단계의 제2성분 칩은 제2성분 칩 전체 중량 중 TiO2 미립자를 1.6 ~ 2.4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2단계의 용융은 제1성분 칩은 280℃ ~ 300℃ 하에서 수행하고, 제2성분 칩은 275℃ ~ 290℃ 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2단계의 복합방사시 제1성분 수지의 토출압력은 100 ~ 160 kg/cm2이고, 제2성분 수지의 토출압력은 110 ~ 180 kg/cm2 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단, 제1성분 수지 보다 제2성분 수지의 토출압력이 더 크도록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2단계의 복합방사는 방사속도 1,000 ~ 2,700 m/min및 방사온도 270℃ ~ 290℃ 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2단계의 복합방사 전 용융된 제1성분 수지 및 제2성분 수지의 용융점도차는 500 ~ 1,000 poise 이상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2단계의 복합방사시 제1성분 수지 및 제2성분 수지의 용융점도차는 50 ~ 200 poise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복합방사구금은 구금면적 114.5Φ 당 홀수가 12 ~ 70홀이며, 복합방사각도가 10° ~ 28°인 방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2단계의 냉각은 냉각온도 10℃ ~ 28℃ 및 냉각속도 0.20 ~ 0.60 m/sec 조건 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3단계의 연신은 80℃ ~ 100℃ 하에서 1,000 ~ 2,000 mpm의 속도로 1차 연신 후, 연속적으로 120℃ ~ 140℃ 하에서 3,000 ~ 5,500 mpm의 속도로 2차 연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3단계의 연신은 2.2 ~ 3.6배의 연신비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열고정은 120℃ ~ 150℃ 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앞서 설명한 고감성 잠재권축사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물 및/또는 편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직물 및/또는 편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의류, 커튼, 스포츠 액세서리 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잠재권축사는 우수한 열수축응력, 강력, 신도, 균일성, 수축율을 가지는 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또한, 높은 발현권축수, 미소권축 사이클 및 적정 보풀수를 가지면서도 파스텔톤의 색감을 가지는 바, 감성이 우수한 잠재권축사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잠재권축사를 편물 및/또는 직물을 제조한 후 이를 셔츠, 자켓, 바지 등의 캐주얼웨어, 여성 슈트, 드레스 등의 포멀웨어, 란제리, 내의류 등의 언더웨어, 양말, 커튼, 스포츠 액세서리 등을 제조함으로써, 고기능성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잠재권축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통해서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을 하겠다.
본 발명의 잠재권축사는 고유점도가 서로 다른 2종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칩인 제1성분 칩 및 제2 성분 칩을 각각 준비하는 1단계; 제1성분 칩 및 제2성분 칩 각각을 용융시킨 제1성분 수지 및 제2성분 수지를 복합방사구금에 투입 및 복합방사시킨 후, 냉각시켜서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모노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2단계; 상기 모노 필라멘트를 급유처리한 후, 연신시키는 3단계; 연신된 모노 필라멘트를 열고정시키는 4단계; 및 열고정된 다수개의 모노 필라멘트를 혼섬된 멀티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혼섬사를 제조하는 5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1단계에서 상기 제1성분 칩과 제2성분 칩의 고유점도차는 0.07 ~ 0.17 dl/g, 바람직하게는 0.085 ~ 0.120 dl/g인 것이, 바람직하게는 0.090 ~ 0.11 dl/g인 것이 좋은데, 이때, 고유점도차가 0.07 dl/g미만이면 권축율이 부족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0.17 dl/g를 초과하면 방사성이 불량하여, 사절이 발생하거나 구금 토출이 불량하여 곡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성분 칩은 고유점도가 높은 PET 칩으로서, 고유점도 0.63 ~ 0.70 dl/g인 것이, 바람직하게는 고유점도가 0.63 ~ 0.68 dl/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0.64 ~ 0.67 dl/g인 것이 좋다. 이때, 높은 고유점도를 가지는 제1성분 칩의 고유점도가 0.70 dl/g을 초과하면 제2성분 칩과의 고유점도 차가 너무 적어서 열수축응력, 수축율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제1성분 칩의 고유점도가 0.63 dl/g 미만이면 제2성분 칩과의 고유점도 차가 너무 커져서 방사구금 곡사에 이한 토출 불량 및 방사성 불량(사절) 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성분 칩은 제1성분 칩 보다 상대적으로 고유점도가 높은 PET 칩으로서, 개질로 개질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한다. 상기 제2성분 칩은 고유점도 0.70 ~ 0.80 dl/g인 것이, 바람직하게는 고유점도가 0.730 ~ 0.780 dl/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0.735 ~ 0.770 dl/g인 것이 좋다. 이때, 높은 고유점도를 가지는 제2성분 칩의 고유점도가 0.73 dl/g 미만이면 제1성분 칩과의 고유점도 차가 너무 작아져서 잠재권축사의 열수축응력, 권축율 등의 향상 효과를 볼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제2성분 칩의 고유점도가 0.80 dl/g을 초과하면 제1성분 칩과의 고유점도 차가 너무 커져서 방사구금 곡사에 의한 토출 불량 및 방사성 불량(사절)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성분 칩 및 제2성분 칩은 가공시 소프트 터치(soft touch)를 발현하는 효과를 위하여 TiO2 미립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1성분 칩은 TiO2 미립자를 1.0 ~ 2.8 중량%, 바람직하게는 1.4 ~ 2.4 중량%로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 2.0 중량%로,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 ~ 1.95 중량%로 포함하는데, 이때, 제1성분 칩 내 TiO2 미립자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제조된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잠재권축사의 탄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제1성분 칩 내 TiO2 미립자 함량이 2.8 중량%를 초과하면 복합방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성분 칩은 TiO2 미립자를 1.2 ~ 3.0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1.6 ~ 2.4 중량%로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65 ~ 2.0 중량%로,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1.75 ~ 2.0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좋은데, 제2성분 칩 내 TiO2 미립자 함량이 1.2 중량% 미만이면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잠재권축사의 파스텔 톤 색감 구현이 미비하여 감성이 떨어지는 잠재권축사가 제조될 수 있으며, 제2성분 칩 내 TiO2 미립자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면 복합방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성분 칩 및/또는 제2성분 칩에 함유되어 있는 TiO2 미립자는 평균입경 0.01㎛ ~ 0.3㎛,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 0.05㎛ ~ 0.2㎛인 것이 좋은데, 이때, TiO2 미립자가 평균입경 0.01㎛ 미만이면 응집 발생에 의한 팩(pack) 압력 상승 및 방사 사절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평균입경 0.3㎛을 초과하면 입자 사이즈에 의한 팩 필터에 걸러지는 양이 증가하여 팩 압력 상승의 원인이 있고 분산성이 나빠져 가공지 상에 염색 무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성분 칩은 개질제로 개질시킨 것으로서, 상기 개질제는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아디스산(adipic acid), 2-(C1~C3)알킬 프로판 다이올(2-(C1~C3 alkyl)propane diol), 2,2-(C1~C3)다이알킬 프로판 다이올(2-(C1~C3)dialkyl propane diol), 2-(C1~C3)알킬 부테인 다이올(2-(C1~C3 alkyl)butane diol), 2,3-(C1~C3) 다이알킬 부테인 다이올(2-(C1~C3)dialkyl butane diol), 사이클로헥세인다이올(cyclohexane diol) 및 BPA(4,4'-isopropylidenediphenol)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소프탈산, 아디스산, 2-(C1~C3)알킬 프로판 다이올, 2,2-(C1~C3)다이알킬 프로판 다이올, 사이클로헥세인다이올 및 BPA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소프탈산, 2-(C1~C2)알킬 프로판 다이올, 2,2-(C1~C2)다이알킬 프로판 다이올 또는 BP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개질된 PET는 전체 100 mol% 중 상기 개질제가 8 ~ 12 mol% 정도 개질된, 바람직하게는 9 ~ 11 mol% 정도 개질된 PET이다.
2단계는 복합방사를 위해 제1성분 칩 및 제2성분 칩을 용융시키는데, 이때, 제1성분 칩은 280℃ ~ 300℃, 바람직하게는 290℃ ~ 300℃의 온도를 가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292℃ ~ 298℃의 온도를 가하여 용융시키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제2성분 칩은 275℃ ~ 290℃의 온도를 가하여, 바람직하게는 280℃ ~ 290℃의 온도를 가하여 용융시키는 것이 좋다. 이때, 용융온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제1성분 칩 및/또는 제2성분 칩이 제대로 용융되지 않거나, 토출 압력 헌팅에 의한 중량 편차(데니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용융된 제1성분 수지 및 제2성분 수지의 용융점도차는 500 ~ 1,000 poise, 바람직하게는 550 ~ 900 poise,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 ~ 850 poise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성분 수지 및 제2성분 수지의 수평균분자량은 18,000 ~ 25,000, 바람직하게는 19,500 ~ 23,500이다.
다음으로, 용융된 제1성분 수지 및 제2성분 수지를 복합방사구금을 통해 복합방사를 수행하는데, 이때, 상기 복합방사구금은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복합방사구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 구현예를 들면, 구금면적 114.5Φ 당 홀수가 12 ~ 70홀, 바람직하게는 30 ~ 60홀, 더욱 바람직하게는 구금면적 114.5Φ 당 홀수가 30 ~ 55홀이다. 그리고, 복합방사각도가 10° ~ 25°, 바람직하게는 18° ~ 25°인,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합방사각도가 18° ~ 20°인 방사노즐을 포함하는 복합방사구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복합방사구금이 구금면적 114.5Φ 당 홀수가 12 홀 미만이면 생산성이 떨어지고, 구금면적 114.5Φ 당 홀수가 70 홀을 초과하면 방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복합방사각도가 10° 미만이면 구금토출시 곡사 발생에 의한 토출 불량으로 방사성 불량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5°를 초과하면 구금 제작 홀수가 적어 구금 제작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복합방사구금의 토출 구멍 형태는 사선 형태일 수 있으며, 복합방사구금은 원형의 유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복합방사시, 제1성분 수지의 토출압력은 100 ~ 170 kg/cm2, 바람직하게는 140 ~ 150 kg/cm2이 되도록, 더욱 바람직하게는 142 ~ 148 kg/cm2 로 수행하는 것이 좋은데, 이때, 제1성분 수지의 토출압력이 100 kg/cm2 미만이면 제1성분 및 제2성분간 중량 편차(데니어) 너무 커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제1성분 수지의 토출압력이 170 kg/cm2를 제2성분 수지 보다 상대적으로 점도가 낮은 제1 성분 수지가 너무 많이 토출되어 오히려 중량 편차(데니어) 너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다.
또한, 제2성분 수지의 토출압력은 110 ~ 180 kg/cm2이 되도록, 바람직하게는 145 ~ 165 kg/cm2이 되도록, 바람직하게는 145 ~ 160 kg/cm2 로 수행하는 것이 좋은데, 이때, 제2성분 수지의 토출압력이 110 kg/cm2 미만이면 제1 성분 수지 보다 상대적으로 점도가 높은 제2성분 수지가 너무 적게 토출되어 중량 편차(데니어) 발생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중량 편차(데니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이고, 제2성분 수지의 토출압력이 180 kg/cm2를 초과하면 용융기 볼트 체결부 등에서 누설(leak)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만, 제1성분 수지 보다 제2성분 수지의 점도가 높으므로, 상기 제1성분 수지 보다 상기 제2성분 수지의 토출압력이 더 크도록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단계의 복합방사는 방사속도 1,400 ~ 1,650 m/min, 바람직하게는 1,450 ~ 1,600 m/min 및 방사온도 270℃ ~ 280℃ 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방사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때, 방사속도가 1,400 m/min 미만이면 방사작업성은 우수하나 연신 과다로 인한 보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방사속도가 1,650 m/min을 초과하면 B/O수가 너무 증가하고 필라멘트가 사절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O는 방사 사절 중에 전체 가닥 중 일부 몇 가닥만 끊어 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2단계에서 복합방사된 방사물을 냉각시키는데, 상기 냉각은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냉각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냉각은 냉각온도 10℃ ~ 28℃, 바람직하게는 10℃ ~ 22℃ 및 냉각속도 0.20 ~ 0.60 m/sec, 바람직하게는 0.45 ~ 0.5 m/sec 조건으로 수행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냉각온도가 10℃ 미만이면 고화 불량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8℃를 초과하면 고화 불량에 의한 강신도 저하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냉각속도가 0.20 m/sec 미만이면 생산성 측면에서 불리하며 고화 불량에 의한 물성 저하, 냉각속도가 0.60 m/sec를 초과하면 방사성 불량(B/O 발생)이 발생 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복합방사시의 제1성분 수지 및 제2성분 수지의 용융점도차는 50 ~ 200 poise, 바람직하게는 80 ~ 170 poise,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150 poise 일 수 있다.
3단계는 냉각된 모노 필라멘트를 급유 처리한 후, 연신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급유 처리는 후가공 등의 마찰 감소를 위해 수행하는 것으로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오일-롤(oil roll) 및 오일-가이드(oil-guide)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3단계의 연신은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80℃ ~ 100℃ 하에서 1,300 ~ 2,000 mpm의 속도로 1차 연신을 수행한 후, 연속적으로 120℃ ~ 140℃ 하에서 3,000 ~ 5,500 mpm의 속도로 2차 연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3단계의 연신은 2.2 ~ 3.6배의 연신비로 수행할 수 있다.
4단계는 연신된 모노 필라멘트를 열고정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열고정은 연신된 필라멘트를 120℃ ~ 150℃ 하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 145℃ 하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 140℃ 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열고정된 다수개의 모노 필라멘트를 혼섬시켜서 멀티 필라멘트로 구성된 혼섬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잠재권축사를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잠재권축사 제조시, 별도의 가연가공을 하지 않는다.
상기 모노 필라멘트의 단면은 도 1과 같이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및 땅콩형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노 필라멘트는 이형도가 1.4 ~ 1.5를 가진다. 또한, 상기 모노 필라멘트는 편평비가 1 : 1.20 ~ 1.40이며, 외형 원주비가 1:0.67 ~ 0.85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편평비가 1 : 1.25 ~ 1.36이며, 외형 원주비가 1:0.75 ~ 0.83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 필라멘트는 섬도가 0.70 ~ 1.30 데니어, 바람직하게는 0.80 ~ 1.30 데니어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86 ~ 1.25 데니어일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의 잠재권축사는 가연가공을 하지 않은 잠재권축사로서, 제1성분 및 제2성분이 사이드-바이-사이드로 결합된 모노 필라멘트가 혼섬된 혼섬사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잠재권축사는 상기 제1성분 및 제2성분간 고유점도 차이가 0.07 ~ 0.17 dl/g 이고, 제1성분은 TiO2 미립자를 1.0 ~ 2.8 중량%로 포함하고, 제2성분은 TiO2 미립자를 1.2 ~ 3.0 중량%로 포함한다. 제1성분, 제2성분, 모노 필라멘트의 특징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본 발명의 잠재권축사는 35 ~ 60 데니아 및 25 ~ 55 필라멘트인 혼섬사, 바람직하게는 42 ~ 58 데니아 및 40 ~ 52 필라멘트인 혼섬사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 55 데니아 및 46 ~ 50 필라멘트인 혼섬사이다. 이때, 잠재권축사를 구성하는 혼섬사가 35 데니아 미만이면 방사시 작업성 불량(사절 증가 및 구금 HOLE토출성 저하) 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60 데니아를 초과하면 가공지상 소프트한 터치감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잠재권축사를 구성하는 혼섬사가 25 필라멘트 미만이면 가공지상 소프트한 터치감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5 필라멘트를 초과하면 방사시 작업성 불량(사절 증가 및 구금 HOLE토출성 저하) 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잠재권축사는 평균 발현권축수가 2.5 ~ 5.5/cm, 바람직하게는 3.0 ~ 4.5/c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잠재권축사는 보풀수가 0.05개/106m 이하, 바람직하게는 보풀수가 0.0001~ 0.04 개/106m,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풀수가 0.0008 ~ 0.02 개/106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잠재권축사는 미소권축이 2.0 사이클/cm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사이클/c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1.0 사이클/cm일 수 있다. 잠재권축사의 공정 제조 프로세스상 점도 및 수축 특성이 다른 이종의 폴리머가 배향결정화 과정에 의하여 필라멘트상 꼬임이 발생되는데, 미소권축이 2.0 사이클/cm를 초과하면 후가공 연사(twister) 및 제직 작업성 불량을 크게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잠재권축사는 열수축응력이 0.45g/de 이하, 바람직하게는 0.40g/de 이하일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0 ~ 0.35 g/de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잠재권축사는 강력(tenacity)이 3.5 ~ 5.0 g/de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80 ~ 4.60 g/de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 4.45 g/de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잠재권축사는 신도(longation) 20.0 ~ 35.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2.5% ~ 30.0%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3.5% ~ 28.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고감성 잠재권축사는 수축율이 7.5% ~ 17.0%, 바람직하게는 8.5% ~ 14.5%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잠재권축사는 길이방향으로 섬도 편차의 특성을 나타내는 균일성(eveness)이 1.35 ~ 2.50%, 바람직하게는 1.50 ~ 2.30%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 2.3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잠재권축사는 오일 픽업성이 0.8 ~ 1.35%, 바람직하게는 1.10 ~ 1.35%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5 ~ 1.35%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잠재권축사는 인터밍글(intermingle)이 2.5 ~ 6.5 개/m, 바람직하게는 2.8 ~ 6.0 개/m, 더욱 바람직하게는 2.8 ~ 5.5 개/m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잠재권축사는 우수한 열수축응력, 강력, 신도, 균일성, 수축율을 가지는 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또한, 높은 발현권축수, 미소권축 사이클 및 적정 보풀수를 가지면서도 파스텔톤의 색감을 가지는 바, 감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고감성 잠재권축사를 편물 및/또는 직물을 제조한 후 이를 셔츠, 자켓, 바지 등의 캐주얼웨어, 여성 슈트, 드레스 등의 포멀웨어, 란제리, 내의류 등의 언더웨어, 양말, 커튼, 스포츠 액세서리 등 고기능성, 고감성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실시예 ]
실시예 1 : 잠재권축사의 제조
제1성분으로서, 고유점도 0.65 dl/g의 PET 칩(제조사:도레이케미칼, 상품명:FD) 및 제2성분으로서, NPG(Neo pentyl glycol) 9.5 mol로 개질된 PET(제조사: 도레이케미칼, 상품명:A-2005T, 고유점도 0.75 dl/g)을 각각 준비하였다. 이때, 제1성분 및 제2성분 각각은 평균입경 0.20㎛인 TiO2 미립자를 1.8 중량%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제1성분 칩 및 제2성분 칩 각각을 건조기에서 건조한 후 사일로 호퍼(silo hopper)에 투입한 후, 제1성분 칩은 295℃에서 용융시켜서 제1성분 수지화시키고, 제2성분은 280℃에서 용융시켜서 제2성분 수지화시켰다. 이때, 제1성분 수지 및 제2성분 수지의 점도차이는 700 poise 정도였다.
다음으로, 복합방사각도가 20°인 방사노즐이 구비되어 있고, 구금면적 114.5?당 홀수가 50홀인 복합방사구금을 이용하여 제1성분 수지(수평균 분자량=21,000, 점도 550 poise) 및 제2성분 수지(수평균 분자량= 21,000, 점도 650 poise)를 토출, 복합방사시켰다.
이때, 복합방사구금의 토출 구멍 형태는 사선 형태이며, 복합방사구금은 원형의 유로 형태를 가졌다. 그리고, 제1성분 수지의 대한 토출압력은 145 kg/㎠이고, 제2성분 수지에 대한 토출압력은 145 kg/㎠ 였으며, 복합방사온도는 285℃였고, B/H(bottom heater) 온도는 280℃였으며, 방사속도는 1,500 m/min이였다. 그리고, 제1성분 수지 및 제2성분 수지의 복합방사비는 1:1 중량비였다.
다음으로 토출되는 필라멘트를 15℃~16℃ 하에서 0.47 m/sec, 길이 1,000 mm 조건으로 냉각시켰다.
다음으로, 냉각된 필라멘트를 오일롤(oil roll)에서 급유처리한 다음, 이를 90℃에서 1,500 mpm 속도로 조건으로 1차 연신시킨 후, 130℃에서 4,200 mpm 속도의 조건으로 2차 연신시켜서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신시킨 필라멘트를 130℃에서 열고정을 수행하였다. 이때, 열고정시킨 모노 필라멘트의 섬도는 1.67 데니어였다.
다음으로, 열고정시킨 다수개의 필라멘트를 혼섬시켜서 혼섬사 형태의 고감성 잠재권축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잠재권축사는 48 필라멘트에 50 데니어였다(50 de/48 F). 그리고, 제조한 잠재권축사를 구성하는 모노 필라멘트의 단면이 땅콩형의 사이드-바이-사이드 형태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반 방법으로 잠재권축사를 제조하되, 상기 복합방사구금 대신 복합방사각도가 25°인 방사노즐이 구비되어 있고, 구금면적 114.5?당 홀수가 32홀인 복합방사구금을 사용하여 잠재권축사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잠재권축사의 필라멘트수가 48이였고, 섬도는 50de이였다.
비교예 1 ~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반 방법으로 잠재권축사를 제조하되, 하기 표 1과 같은 스펙(spec)의 복합방사구금을 사용하여 복합방사를 수행하였으며, 이와 함께 방사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방사성은 만관율을 기준으로 측정한 것이다.
좋음: 만관율 90% 이상, 보통 : 만관율 70 ~ 90%, 나쁨 : 만관율 70% 이하
구분 복합방사각도 복합방사구금
H(홀수) / 구금면적(114.5Φ)
방사 작업성
실시예 1 20° 50 H 좋음
실시예 2 25° 32 H 좋음
비교예 1 90 H 나쁨
비교예 2 10° 72 H 나쁨
비교예 3 15° 68 H 보통
비교예 4 30° 18 H 좋음
실시예 1 ~ 2의 경우, 복합방사성이 우수하였으나, 복합방사각도 복합방사각도가 18° 미만인 비교예 1 ~ 4의 경우, 실시예와 비교할 때, 복합방사각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비교예 1 ~ 2의 경우, 구금의 토출불량에 의한 방사 작업성 저조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비교예 4의 경우, 구금 제작 홀수 제약으로 구금 제작 단가상승의 문제가 있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반 방법으로 잠재권축사를 제조하되, 냉각 및 급유처리한 필라멘트를 연신시 연신비를 달리하여 연신을 수행하였고, 이를 열고정시켜서 1.21 de의 모노 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열고정시킨 다수개의 필라멘트를 혼섬시켜서 혼섬사 형태의 고감성 잠재권축사를 제조하였으며, 이때, 잠재권축사의 필라멘트수는 48이였고, 섬도는 58de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반 방법으로 잠재권축사를 제조하되, 냉각 및 급유처리한 필라멘트를 연신시 연신비를 달리하여 연신을 수행하였고, 이를 열고정시켜서 0.875 de의 모노 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열고정시킨 다수개의 필라멘트를 혼섬시켜서 혼섬사 형태의 고감성 잠재권축사를 제조하였으며, 이때, 잠재권축사의 필라멘트수는 48이였고, 섬도는 42de였다.
비교예 5 ~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반 방법으로 잠재권축사를 제조하되, 섬도를 달리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모노 필라멘트를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혼섬사 형태의 고감성 잠재권축사를 제조하였다.
구분 모노 필라멘트 섬도 잠재권축사
(섬도/ 필라멘트수 )
실시예 1 1.04 de 50 de/ 48 F
실시예 3 1.21 de 58 de/ 48 F
실시예 4 0.875 de 42 de/ 48 F
비교예 5 1.35 de 65 de/ 48 F
비교예 6 0.625 de 30 de/ 48 F
실험예 1 : 탄력성, 소프트 터치감 및 방사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3 ~ 4 및 비교예 5 ~ 6에서 제조한 잠재권축사의 탄력성, 소프트 터치감 및 방사상을 측정하였다.
이때, 탄력성과 소프트 터치감은 전문가 평가로 수행하였다.
구분 탄력성 소프트 터치감
실시예 1 9 10
실시예 3 8 10
실시예 4 8 9
비교예 5 10 5
비교예 6 6 10
상기 표 3의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잠재권축사의 필라멘트수가 동일한 경우, 모노 필라멘트의 섬도가 커질수록 탄력성은 우수하나, 소프트함 터치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모노 필라멘트의 섬도가 너무 낮으면 탄력성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7 ~ 비교예 10
상기 실시예 1과 동일반 방법으로 잠재권축사를 제조하되, 복합방사시 방사속도를 하기 표 4와 같이 달리하였으며, 시간당 B/O 발생수 및 방사작업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방사작업성을 권취 만관율을 기준으로 측정한 것이다.
좋음: 만관율 90% 이상, 보통 : 만관율 70 ~ 90%, 나쁨 : 만균율 70% 이하
구분 방사속도
(m/min)
시간당 BO수 방사작업성
실시예 1 1,500 1 우수
비교예 7 1,800 3 나쁨
비교예 8 2,400 40 나쁨
비교예 9 1,300 0 우수
비교예 10 1,000 0 우수
실시예 5 ~ 실시예 6 및 비교예 11 ~ 비교예 1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잠재권축사(50de/48F)를 제조하되, 제1성분 PET칩 및 제2성분 PET 칩 내 TiO2 미립자 함량을 하기 표 5와 같은 것을 사용하여 실시예 5 ~ 6 및 비교예 11 ~ 16을 각각 실시하였다.
구분 제1성분 내
TiO 2 함량( 중량% )
제2성분 내
TiO 2 함량( 중량% )
실시예 1 1.8 1.8
실시예 5 1.95 1.7
실시예 6 1.75 1.95
비교예 11 1.8 0
비교예 12 2.5 0
비교예 13 0 1.8
비교예 14 0 2.5
비교예 15 1.4 1.4
비교예 16 2.5 2.5
그리고, 하기 표 6과 같이 탄력성, 소프트 터치감, 파스텔 톤 정도 및 방사성을 측정하였으며, 이때, 탄력성, 소프트 터치감, 방사성은 앞선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파스텐 톤 정도는 전문가 평가로 수행하였다.
구분 탄력성 소프트 터치감 파스텔 톤 정도 방사성
실시예 1 10 10 9 우수
실시예 5 10 9 9 우수
실시예 6 9 9 8 우수
비교예 11 5 7 3 우수
비교예 12 6 8 4 우수
비교예 13 4 7 7 우수
비교예 14 5 8 8 나쁨
비교예 15 6 9 5 우수
비교예 16 10 10 9 나쁨
상기 표 6의 결과를 살펴보면, 제1성분 PET칩 및/또는 제2성분 PET 칩 내 TiO2 미립자 함량이 2.4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비교예 12, 비교예 16), 방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1성분 PET칩 또는 제2성분 PET 칩 내에 TiO2 미립자가 없는 경우, 방사성은 좋으나, 탄력성, 소프트한 터치감 및 파스텔 톤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제1성분 PET칩 및/또는 제2성분 PET 칩 내 TiO2 미립자 함량이 1.5 중량% 미만인 경우, 탄력성과 파스텔 톤 정도가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비교예 14).
그러나, 실시예 1, 실시예 5 ~ 6의 경우, 전반적으로 우수한 탄력성, 소프트한 터치감, 파스텔 톤 정도가 높았으며, 방사성 또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실험예 1 : 잠재권축사의 물성 측정
실시예 1, 실시예 5 및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잠재권축사의 발현권축수, 보풀수, 미소권축, 열수축응력, 강력, 신도, 균일성, 수축율, 오일픽업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1) 이형도 측정 방법
이형도는 잠재권축사의 단면의 장축길이와 단축길이를 측정한 후, 장축길이를 단축길이를 나누어서 측정하였다.
2) 발현권축수 측정 방법
필라멘트를 비수에 10분간 처리한 후, 냉수 중에 1분간 침지한다. 그리고, 이를 꺼내어 자연 건조한 후 유리판 위에 놀고 1cm 간격에 있는 산과 골을 읽은 후 이 합계를 1/2 한다. 그리고, 단사 10본에 대해서 구하고 그 평균치로 산출하여 측정하였다.
3) 보풀수 , 미소권축 측정 방법
보풀수는 단위 길이당(106m) 단사섬도가 끊어져 있는 개수를 세어서 측정하였다. 그리고, 미소권축은 무장력 하에서 잠재권축사 1cm당 권축수를 세어서 측정하였다.
3) 강력(tenacity), 신도(elongation) 측정 방법
강력 및 신도는 STATIMAT M 강신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 균일성( eveness ), 수축율 (shrinkage) 및 오일픽업성 (Oil-pick up) 측정 방법
균일성은 유스터 테스터기(USTER TESTER) 측정하였고, 이는 단위길이 정하여 단면적 및 중량 변동을 수치화한 것이다.
5) 오일픽업성 (Oil-pick up) 측정 방법
오일픽업성은 3개의 샘플을 2g 감은 다음 전자저울 가운데 올려 순서대로 처음 무게를 잰다. 다음으로, 각각의 샘플에 올릴 트레이 무게를 순서대로 잰다. 다음으로 무게를 잰 트레이를 올리고 샘플(2g)을 넣은 후 알코올을 주입하고 2분 지정한다. 다음으로, 알람 후 뚜껑을 열고 알코올이 빠지면 에어(Air)를 가해 준 다음 10분 지정한다. 다음으로, 10분 후 실의 헝클림을 풀어주고, 다시 알코올을 주입한 다음 1분 지정한다. 다음으로, 알람 후 뚜껑을 열고 알코올이 빠지면 에어(Air)를 가해주고, 2번 반복해서 유제가 다 빠지도록 한다(중간에 실의 헝클림을 풀어준다). 다음으로, 알람을 15분 지정해서 트레이에 남아 있는 알코올이 다 증발되면 트레이를 내린다. 다음으로, 트레이를 내린 후 2분 지정해서 식힌 후 유제가 묻은 트레이 나중 무게를 잰다. 다음으로,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오일픽업성(%)을 계산한다.
[수학식 1]
오일픽업성 = (트레이 나중무게 - 트레이 처음무게) / 시료무게 * 100
6) 인터밍글 (intermingle, ea /m)
인터밍글은 시료를 1m 길이로 자른 후, 양쪽에서 시료를 잡고 I/L 수조(WATER BATH)에 띄운 다음 매듭(Knot) 수를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5 실시예 6
이형도 1.4 ~ 1.5 1.4 ~ 1.5 1.4 ~ 1.5
발현권축수
(산/cm)
4 4.5 4.5
보풀수
(개/106m)
0.004 0.010 0.08
미소권축
(사이클/cm)
0.4 0.8 1.0
열수축응력
(g/de)
0.3041 0.3120 0.3100
강력(g/de) 4.23 4.40 4.48
신도( % ) 26.19 28.4 24.3
균일성( % ) 1.87 2.0 2.24
수축율 ( % ) 11.56 12.4 10.8
오일 픽업성 ( % ) 1.29 1.28 1.29
인터밍글
(intermingle, 개/m)
5.0 3 3
제조예 1 ~ 제조예 4
상기 실시예 1의 잠재권축사를 2 for 1 연사기에서 연사시켜서 연사작업성, 무연환편작업성 및 무연제직위사작업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또한, 미소권축이 1.8 사이클/cm, 2.8 사이클/cm 및 4.3 사이클/cm로 잠재권축사를 각각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동일하게 연사작업성, 무연환편작업성 및 무연제직위사작업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이때, 연사작업성, 무연환편작업성 및 무연제직위사작업성 각각은 연사기및 제직기 정대율을 기준으로 역산하여 측정한 값이다(가동시간/24시간*100%).
구분 미소권축
(사이클/cm)
연사작업성
(%)
무연환편작업성
(%)
무연제직위사작업성
(%)
제조예 1 0.6 100 100 100
제조예 2 1.8 95 90 90
제조예 3 2.8 90 75 80
제조예 4 4.3 80 70 70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잠재권축사가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지면서도, 적정 보풀수 및 파스텔톤의 색감을 가지는 감성이 높은 잠재권축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잠재권축사를 편물 및/또는 직물을 제조한 후 이를 셔츠, 자켓, 바지 등의 캐주얼웨어, 여성 슈트, 드레스 등의 포멀웨어, 란제리, 내의류 등의 언더웨어, 양말, 커튼, 스포츠 액세서리 등을 제조함으로써, 소프트한 터치감이 매우 우수한 고기능성 제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4)

  1. 제1성분 및 제2성분이 사이드-바이-사이드로 결합된 모노 필라멘트가 혼섬된 혼섬사를 포함하고,
    제1성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제2성분은 개질제로 개질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며,
    제1성분 및 제2성분간 고유점도 차이가 0.07 ~ 0.17 dl/g이고,
    제1성분은 제1성분 전체 중량 중 TiO2 미립자를 1.4 ~ 2.4 중량%로 포함하고,
    제2성분은 제2성분 전체 중량 중 TiO2 미립자를 1.6 ~ 2.4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성 잠재권축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은 고유점도 0.63 ~ 0.7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제2성분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고유점도 0.70 ~ 0.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성 잠재권축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필라멘트의 단면은 이형도 1.4 ~ 1.5를 가지는 땅콩형이고, 편평비가 1:1.20 ~ 1.40이며, 외형 원주비가 1:0.67 ~ 0.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성 잠재권축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섬사는 35 ~ 60 데니아 및 25 ~ 55 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성 잠재권축사.
  5. 제1항에 있어서, 평균 발현권축수가 2.5 ~ 5.5/cm이고, 보풀수가 0.05개/106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성 잠재권축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소권축이 2.0 사이클/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성 잠재권축사.
  7. 고유점도 0.63 ~ 0.7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제1성분 칩) 및 고유점도 0.70 ~ 0.80인 개질제로 개질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제2성분 칩)을 각각 준비하는 1단계;
    제1성분 칩 및 제2성분 칩 각각을 용융시킨 제1성분 수지 및 제2성분 수지를 복합방사구금에 투입 및 복합방사시킨 후, 냉각시켜서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모노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2단계;
    상기 모노 필라멘트를 급유처리한 후, 연신시키는 3단계;
    연신된 모노 필라멘트를 열고정시키는 4단계; 및
    열고정된 다수개의 모노 필라멘트를 혼섬된 멀티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혼섬사를 제조하는 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성 잠재권축사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2단계의 용융은 제1성분 칩은 280℃ ~ 300℃ 하에서 수행하고, 제2성분 칩은 275℃ ~ 290℃ 하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고감성 잠재권축사의 제조방법.
    ?
  9. 제7항에 있어서, 2단계의 복합방사시 제1성분 수지의 토출압력은 100 ~ 160 kg/cm2이고, 제2성분 수지의 토출압력은 110 ~ 180kg/cm2 하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성 잠재권축사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2단계의 복합방사 전 용융된 제1성분 수지 및 제2성분 수지의 용융점도차는 500 ~ 1000 poise이고, 복합방사시 제1성분 수지 및 제2성분 수지의 용융점도차는 50 ~ 200 poi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성 잠재권축사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1단계의 제1성분은 제1성분 전체 중량 중 TiO2 미립자를 1.4 ~ 2.4 중량%로 포함하고, 제2성분은 제2성분 전체 중량 중 TiO2 미립자를 1.6 ~ 2.4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성 잠재권축사의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방사구금은 구금면적 114.5Φ당 홀수가 12 ~ 70홀이며, 복합방사각도가 10° ~ 28°인 방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성 잠재권축사의 제조방법.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고감성 잠재권축사를 포함하는 직물.
  14. 제1항 내지 제6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고감성 잠재권축사를 포함하는 편물.
KR1020160115019A 2016-09-07 2016-09-07 고감성 잠재권축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7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019A KR101857209B1 (ko) 2016-09-07 2016-09-07 고감성 잠재권축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019A KR101857209B1 (ko) 2016-09-07 2016-09-07 고감성 잠재권축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848A true KR20180027848A (ko) 2018-03-15
KR101857209B1 KR101857209B1 (ko) 2018-06-20

Family

ID=61660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019A KR101857209B1 (ko) 2016-09-07 2016-09-07 고감성 잠재권축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2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121A (ko)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메이스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 블랜드 잠재권축성 이형단면사의 제조방법 및 그 이형단면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4440A (ko) 2010-05-11 2011-11-17 신화섬유공업 (주) 자발고권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3088A (ko) * 2011-05-30 2012-12-1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해중합에 의한 재생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65516A (ko) * 2013-12-05 2015-06-15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제조방법
KR101543113B1 (ko) * 2013-12-17 2015-08-07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가공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216B1 (ko) * 2001-09-11 2006-01-24 주식회사 효성 자발고권축성 폴리에스터 복합섬유
KR100519128B1 (ko) * 2003-12-17 2005-10-04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양방향 신축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KR101103379B1 (ko) * 2008-12-17 2012-01-06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염색성이 개선된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4773B1 (ko) * 2012-09-28 2018-09-0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카페트용 기포지
KR101423209B1 (ko) * 2013-09-13 2014-07-25 주식회사 휴비스 광택 및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복합 혼섬사와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4440A (ko) 2010-05-11 2011-11-17 신화섬유공업 (주) 자발고권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3088A (ko) * 2011-05-30 2012-12-1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해중합에 의한 재생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65516A (ko) * 2013-12-05 2015-06-15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제조방법
KR101543113B1 (ko) * 2013-12-17 2015-08-07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가공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121A (ko)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메이스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 블랜드 잠재권축성 이형단면사의 제조방법 및 그 이형단면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209B1 (ko)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3079B2 (ja) 吸湿性に優れた海島型複合繊維、仮撚糸および繊維構造体
JP6068470B2 (ja) 芯鞘複合繊維
WO2017114313A1 (zh) 芯鞘型复合纤维、假捻丝和纤维构造体
JP2007204864A (ja) 布帛およびそれを用いたインナーウエア、ストッキング
KR102240789B1 (ko) 카치온 가염형 폴리에스테르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24440A (ko) 자발고권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4832709B2 (ja) 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4チャネル断面ステープルファイバ
JP2019112745A (ja) 吸湿性に優れた繊維構造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衣料
TWI761538B (zh) 聚胺基甲酸酯.尼龍6偏心芯鞘複合纖維、使用其之編織物及襪子
KR101857209B1 (ko) 고감성 잠재권축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30952A (ko) 이용성 복합중공섬유 및 복합중공사
KR101788631B1 (ko) 고감성 잠재권축사 및 이의 제조방법
JP6939102B2 (ja) 吸湿性に優れた芯鞘型複合繊維、仮撚糸および繊維構造体
CN110067040B (zh) 一种高强度弹性纤维及其制备方法和织物
KR102557960B1 (ko) 카치온염료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30953A (ko) 이용성 복합중공사 제조방법
KR100622204B1 (ko)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2021098907A (ja) 紡績糸および繊維構造物
US3343241A (en) Crimping process
JP2005048309A (ja) ポリアミド繊維、ポリアミド織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繊維製品
JP4635534B2 (ja) 芯鞘複合フィラメント糸、それを用いた布帛、中空繊維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76231B1 (ko) 심색성이 우수한 단독방사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이를 통해 제조된 단독방사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7268365B2 (ja) 吸湿性芯鞘型複合繊維および繊維構造体
WO2020262511A1 (ja) 芯鞘複合糸及び布帛
KR100517739B1 (ko)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성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