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681A - 전자부품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7681A KR20180027681A KR1020160114051A KR20160114051A KR20180027681A KR 20180027681 A KR20180027681 A KR 20180027681A KR 1020160114051 A KR1020160114051 A KR 1020160114051A KR 20160114051 A KR20160114051 A KR 20160114051A KR 20180027681 A KR20180027681 A KR 201800276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component
- lead
- switching
- main body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13—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with orientation of the component while holding it; Drive mechanisms for gripping tools, e.g. lifting, lowering or turning of gripping tool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92—Treatment of the terminal leads as a separat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전자부품을 이송하는 이송부; 마운터가 전자부품을 픽업하기 위한 픽업위치에서 전자부품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픽업위치에 위치한 전자부품의 리드(Lead)를 절단 및 벤딩(Bending)하여 실장상태로 전환하는 전환부; 및 상기 이송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전환부가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전자부품의 리드를 지지하는 이송기구, 및 상기 이송기구에 지지된 전자부품이 상기 마운터를 향하는 제1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측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픽업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기구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운터에 전자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집적회로, 저항기, 스위치, 릴레이 등의 전자부품은 기판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자부품을 표면실장기술(SMT, Surface Mount Technology)을 이용하여 기판에 자동으로 실장하는 장비가 마운터(Mounter)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마운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반적인 마운터(10)는 기판(S)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마운터헤드(11), 및 기판(S)을 운반하는 운반부(12)를 포함한다. 상기 마운터헤드(11)에 의해 기판(S)에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동안, 기판(S)은 실장위치(A)에 위치된다.
상기 마운터(10)에는 전자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테이프피더(20)가 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마운터헤드(11)는 상기 테이프피더(20)에서 전자부품을 픽업하여 상기 실장위치(A)로 이동된 후에, 픽업한 전자부품을 상기 실장위치(A)에 위치된 기판(S)에 실장한다.
상기 테이프피더(20)는 캐리어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마운터헤드(11)가 전자부품을 픽업할 수 있는 픽업위치에 전자부품을 공급한다. 상기 캐리어테이프에는 전자부품들이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서 수납되어 있고, 전자부품들의 상면 측에 커버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 테이프피더(20)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4193호(2008. 05. 30)에 개시되어 있다.
최근에는 전자부품이 다양화되면서, 액셜(Axial) 부품과 같은 전자부품에 대해서도 상기 마운터(10)를 이용하여 기판(S)에 실장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액셜 부품과 같은 전자부품은, 부품 본체의 양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동일 축 상에서 리드(Lead)가 연장되어 나온 것이다. 그러나, 상기 테이프피더(20)는 액셜 부품과 같은 전자부품을 공급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액셜 부품과 같은 전자부품을 마운터에 공급할 수 있는 전자부품 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는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전자부품을 이송하는 이송부; 마운터가 전자부품을 픽업하기 위한 픽업위치에서 전자부품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픽업위치에 위치한 전자부품의 리드(Lead)를 절단 및 벤딩(Bending)하여 실장상태로 전환하는 전환부; 및 상기 이송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전환부가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전자부품의 리드를 지지하는 이송기구, 및 상기 이송기구에 지지된 전자부품이 상기 마운터를 향하는 제1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측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픽업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기구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제1방향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상승시켜서 픽업위치에 위치시키도록 구현됨으로써, 픽업위치에서 전자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구축비용 및 운용비영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제1방향으로 이송하는 공정 및 전자부품을 상승시키는 공정이 병행하여 이루어지도록 구현됨으로써, 전자부품을 마운터가 픽업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여 마운터에 전자부품을 공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전자부품이 실장된 기판에 대한 생산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마운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일반적인 마운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가 공급하는 전자부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가 공급하는 전자부품이 실장상태로 전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이송부, 지지부, 전환부가 본체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이송부가 전자부품을 이송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이송부가 전자부품을 픽업위치로 이송하는 과정을 도 7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전자부품이 삽입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이송기구와 지지부의 배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안착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전환부가 전자부품을 실장상태로 전환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전환부가 전자부품을 실장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전환기구에 대한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전환기구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제1전환부재, 제2전환부재, 및 전환본체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커버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부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마운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가 공급하는 전자부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가 공급하는 전자부품이 실장상태로 전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이송부, 지지부, 전환부가 본체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이송부가 전자부품을 이송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이송부가 전자부품을 픽업위치로 이송하는 과정을 도 7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전자부품이 삽입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이송기구와 지지부의 배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안착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전환부가 전자부품을 실장상태로 전환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전환부가 전자부품을 실장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전환기구에 대한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전환기구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제1전환부재, 제2전환부재, 및 전환본체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커버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부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마운터(200)에 전자부품(100)을 공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마운터(200)가 갖는 지지수단(3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운터(200)는 마운터헤드(미도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로부터 상기 전자부품(100)을 픽업한 후, 픽업한 전자부품(100)을 기판(미도시)에 실장하는 실장작업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지지수단(3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마운터헤드가 상기 전자부품(100)을 픽업할 수 있는 픽업위치(PP, 도 3에 도시됨)로 상기 전자부품(100)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에 대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가 공급하는 전자부품(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자부품(100)은 부품본체(110), 및 상기 부품본체(110)로부터 돌출된 리드(1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전자부품(100)은 액셜(Axial) 부품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상기 부품본체(110)가 원통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부품본체(110)는 종류, 사양 등에 따라 직방체 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리드(120)는 상기 기판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전자부품(100)은 상기 리드(120)가 상기 기판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리드(120)는 상기 부품본체(110)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된 제1리드(121), 및 상기 부품본체(110)로부터 타측으로 돌출된 제2리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품본체(110)는 상기 제1리드(121)와 상기 제2리드(122)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전자부품(100)을 이송상태에서 실장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마운터(200)에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100)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100)이 상기 이송상태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부품(100)은 상기 리드(120)가 상기 부품본체(110)로부터 직선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이송상태의 전자부품(100)을 상기 픽업위치(PP)로 이송한다. 이 경우, 상기 이송상태의 전자부품(100)은 상기 리드(120)가 테이프(130)에 부착된 상태로 이송된다. 상기 테이프(130)에는 복수개의 전자부품(100)들이 갖는 리드(120)들이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부품(100)들은 상기 테이프(130)를 통해 동시에 이송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테이프(130)에 부착된 전자부품(100)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송함으로써, 상기 테이프(130)에 부착된 전자부품(100)들 전부를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100)들은 복수개의 테이프(130)를 통해 동시에 이송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테이프(130)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전자부품(100)들이 갖는 제1리드(121)들이 부착되고, 상기 테이프(130)들 중에서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전자부품(100)들이 갖는 제2리드(122)들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100)이 상기 실장상태인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부품(100)은 상기 리드(120)가 휘어진 상태이다. 상기 리드(120)는 상기 부품본체(110)에 결합된 일단 및 상기 일단의 반대쪽인 타단 사이가 휘어진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장상태의 전자부품(100)은, 상기 이송상태의 전자부품(100)과 대비하여 상기 리드(120)가 상대적으로 더 짧은 상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이송상태의 전자부품(100)을 상기 픽업위치(PP)로 이송한 후에,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절단 및 벤딩(Bending)하여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100)을 상기 마운터(200)에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100)은, 상기 리드(120)가 절단됨에 따라 상기 테이프(130)로부터 분리된 상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본체(2), 이송부(3), 지지부(4), 및 전환부(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본체(2)는 상기 이송부(3), 상기 지지부(4), 및 상기 전환부(5)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이송부(3), 상기 지지부(4), 및 상기 전환부(5)는 상기 본체(2)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본체(2)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본체(2)가 상기 마운터(200)가 갖는 지지수단(300)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마운터(200)에 상기 전자부품(100)을 공급할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보관부(21,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관부(21)는 복수개의 전자부품(100)을 보관하는 것이다. 상기 전자부품(100)들은 상기 리드(120)들이 테이프(130)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보관부(21)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100)들은 상기 리드(120)들이 테이프(130)에 부착된 상태로 감겨져서 릴 형태로 상기 보관부(21)에 보관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부품(100)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이송부(3)에 의해 이송됨에 따라, 상기 전자부품(100)들은 릴 형태에서 풀리면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배출홈(22,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홈(22)은 상기 본체(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130)에서 상기 리드(120)가 절단됨에 따라 상기 전자부품(100)으로부터 분리된 부분은, 상기 배출홈(22)을 따라 이동하여서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100)들이 갖는 리드(120)들이 복수개의 테이프(130)에 부착된 경우, 상기 본체(2)에는 상기 배출홈(22)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130)들은 서로 다른 배출홈(22)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이송부(3)는 상기 전자부품(100)을 이송하는 것이다. 상기 이송부(3)는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3)는 상기 보관부(2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3)는 상기 본체(2)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2)의 일측은, 상기 본체(2)에서 상기 마운터(200)를 향하는 쪽이다. 상기 이송부(3)가 상기 전자부품(100)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여 이송하면, 상기 전자부품(100)들은 상기 리드(120)들이 부착된 테이프(13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서 동시에 이송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130)에서 상기 리드(120)가 절단됨에 따라 상기 전자부품(100)으로부터 분리된 부분은, 상기 이송부(3)가 상기 전자부품(100)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여 이송함에 따라 상기 배출홈(22)을 따라 이동하여서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3)는 회전기구(31) 및 이송기구(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31)는 상기 이송기구(32)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회전기구(31)는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31)는 상기 본체(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31)는 상기 이송기구(32)를 회전축(32a, 도 7에 도시됨)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31)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11,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311)는 상기 회전축(32a)에 직접 연결되어서 상기 이송기구(32)를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31)는 동력전달기구(312,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동력전달기구(312)는 일측이 상기 모터(311)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이송기구(32)의 회전축(32a)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311)는 상기 동력전달기구(312)를 통해 상기 이송기구(32)를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기구(312)는 풀리(Pulley) 및 벨트(Bel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이송기구(32)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이송기구(32)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전자부품(1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32)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부품본체(110) 및 상기 리드(120)가 부착된 테이프(130)의 사이에서 상기 리드(12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32)는 상기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32)는 상기 회전기구(31)가 발생시킨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31)는 상기 이송기구(32)를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제1회전방향(R1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방향(R1 화살표 방향)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기구(32)가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기구(31)는 상기 이송기구(32)를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상기 제1회전방향(R1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기구(32)에 지지된 전자부품(100)은 상기 마운터(200)를 향하는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픽업위치(PP)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기구(31)는 상기 이송기구(32)에 지지된 전자부품(100)이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픽업위치(PP)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기구(32)를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기구(32)에 지지된 전자부품(100)은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상기 제1회전방향(R1 화살표 방향)으로 공전(公轉)하여 상기 픽업위치(PP)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이송기구(32)가 상기 전자부품(100)을 상승시키지 않고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만 이송하도록 구현된 비교예의 경우, 상기 마운터(200)가 갖는 마운터헤드가 상기 전자부품(100)을 픽업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별도의 승하강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전자부품(100)을 상승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비교예는 상기 승하강장치를 구비함에 따른 구축비용 및 운영비용이 추가로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비교예는 상기 전자부품(100)을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하는 공정 및 상기 승하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부품(100)을 상승시키는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상기 전자부품(100)을 상기 마운터(200)가 픽업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이송기구(32)에 지지된 전자부품(100)을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상승시켜서 상기 픽업위치(PP)에 위치시키도록 구현됨으로써,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승하강장치를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구축비용 및 운용비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전자부품(100)을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하는 공정 및 상기 전자부품(100)을 상승시키는 공정이 병행하여 이루어지므로,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전자부품(100)을 상기 마운터(200)가 픽업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마운터(200)에 상기 전자부품(100)을 공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마운터(200)가 상기 실장작업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여 상기 전자부품(100)이 실장된 기판에 대한 생산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32)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에 대해 평행한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기구(32)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전자부품(100)을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는 상기 마운터(200)가 설치된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하도록 눕혀져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기구(32)는 상기 회전축(32a)이 상기 바닥면에 대해 평행하도록 상기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져서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이송기구(32)는 삽입홈(321, 도 10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321)은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홈(321)은 상기 이송기구(32)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32)는 상기 삽입홈(321)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321)들은 상기 제1회전방향(R1 화살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31)는 상기 삽입홈(321)들이 삽입위치(IP) 및 상기 픽업위치(PP)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기구(32)를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위치(IP)는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픽업위치(PP)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픽업위치(PP)는 상기 삽입위치(IP)에 대해 상기 제1회전방향(R1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픽업위치(PP)는 상기 삽입위치(IP)에 대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이면서, 상기 삽입위치(IP)에 비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100)은 상기 삽입홈(321)들 중에서 상기 삽입위치(IP)에 위치한 삽입홈(321)에 상기 리드(120)가 삽입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부품(100)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리드(120)가 상기 삽입위치(IP)에 위치한 삽입홈(32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321)들은 각각 상기 회전축(32a)을 향하는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홈(321)들은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증가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삽입위치(IP)에 위치한 삽입홈(321)에서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가 삽입되기 위한 입구면적을 늘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전자부품(100)들이 순차적으로 상기 삽입위치(IP)에 위치하는 삽입홈(321)에 원활하면서도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부품(100)들은 상기 이송기구(32)가 적어도 하나의 전자부품(100)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회전방향(R1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리드(120)들이 부착된 테이프(130)를 통해 동시에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서 상기 삽입위치(IP)에 위치하는 삽입홈(321)에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이송기구(32)는 지지돌기(322,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322)는 상기 삽입홈(321)에 삽입된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이송기구(32)는 상기 지지돌기(322)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322) 및 상기 삽입홈(321)은 상기 제1회전방향(R1 화살표 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회전방향(R1 화살표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돌기(322), 상기 삽입홈(321), 상기 지지돌기(322), 상기 삽입홈(321)과 같은 순서로 상기 지지돌기(322) 및 상기 삽입홈(321)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322)들은 각각 지지면(322a, 도 10에 도시됨) 및 경사면(322b, 도 10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322a)은 상기 지지돌기(322)에서 상기 제1회전방향(R1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지지면(322a)은 상기 삽입홈(321)에 삽입된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면(322a)에 대해 상기 제1회전방향(R1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 삽입홈(321)에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가 삽입되어서 상기 지지면(322a)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322a)에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기구(31)가 상기 이송기구(32)를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면(322a)은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부품(100)은 상기 지지면(322a)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픽업위치(PP)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22b)은 상기 지지돌기(322)에서 상기 제1회전방향(R1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회전방향(R2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이 경우, 하나의 삽입홈(321)을 기준으로, 상기 제1회전방향(R1 화살표 방향) 쪽에 상기 경사면(322b)이 배치되고, 상기 제2회전방향(R2 화살표 방향) 쪽에 상기 지지면(322a)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22b)은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지지면(322a)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돌기(322)들은 각각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삽입위치(IP)에 위치한 삽입홈(321)에서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가 삽입되기 위한 입구면적을 늘릴 수 있으므로, 상기 전자부품(100)들이 순차적으로 상기 삽입위치(IP)에 위치하는 삽입홈(321)에 원활하면서도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픽업위치(PP)에서 상기 전자부품(100)이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후에 상기 이송기구(32)가 상기 제1회전방향(R1 화살표 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하면,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100)으로부터 분리된 리드(120)가 자중(自重)에 의해 상기 경사면(322b)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삽입홈(321)으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100)으로부터 분리된 리드(120)에는 상기 테이프(130)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테이프(130)에서 상기 리드(120)가 절단됨에 따라 상기 전자부품(100)으로부터 분리된 부분을 상기 본체(2)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2을 참고하면, 상기 이송부(3)는 상기 이송기구(32)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들(32, 32')(도 12에 도시됨)은 제1축방향(X축 방향, 도 12에 도시됨)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에 대해 수직한 축 방향이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송기구(32)들의 사이에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부품본체(110)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품본체(110)의 일측에 위치한 이송기구(32)는 상기 제1리드(121, 도 12에 도시됨)를 지지하고, 상기 부품본체(120)의 타측에 위치한 이송기구(32')는 상기 제2리드(122, 도 12에 도시됨)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들(32, 32')은 각각 상기 제1리드(121) 및 상기 제2리드(122)를 지지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전자부품(100)을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들(32, 32')은 연결수단(미도시)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기구(31)는 상기 이송기구들(32, 32') 중에서 어느 하나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이송기구들(32, 3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부(3)는 상기 회전기구(31)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기구(31)들은 각각 상기 이송기구들(32, 3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부(3)는 상기 이송기구들(32, 3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회전기구(3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4)는 상기 픽업위치(PP)에서 상기 전자부품(100)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4)는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송기구(3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3)가 복수개의 이송기구들(32, 32')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송기구(32, 32')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픽업위치(PP)에서 상기 전자부품(1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부품(100)은 상기 전환부(5)에 의해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되어서 상기 지지부(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마운터(200)는 상기 마운터헤드를 이용하여 상기 픽업위치(PP)에서 상기 지지부(4)에 지지된 전자부품(100)을 픽업한 후에, 픽업한 전자부품을 상기 기판에 실장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는 안착부재(41, 도 1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41)는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100)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안착부재(41)는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1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이송상태의 전자부품(100)이 상기 이송기구(32)에 의해 상기 픽업위치(PP)에 위치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상태의 전자부품(100)이 갖는 리드(120)는 상기 안착부재(41)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전환부(5)가 상기 이송상태의 전자부품(100)이 갖는 리드(120)를 절단하면, 상기 전자부품(100)은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낙하하여서 상기 안착부재(41)에 안착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전환부(5)는 상기 안착부재(41)에 안착된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벤딩함으로써, 상기 전자부품(100)을 실장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픽업위치(PP)는 상기 이송상태의 전자부품(100)이 갖는 리드(120)가 상기 안착부재(41)로부터 이격된 위치, 및 상기 실장상태의 전자부품(100)이 갖는 리드(120)가 상기 안착부재(41)에 지지된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상기 마운터(200)는 상기 픽업위치(PP)에서 상기 리드(120)가 상기 안착부재(41)에 지지된 상태의 전자부품(100)을 픽업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41)는 안착홈(411, 도 1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411)은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전자부품(100)은 상기 리드(120)가 상기 안착홈(41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안착부재(41)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411)은 상기 안착부재(4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41)는 상기 안착홈(411)이 상기 삽입위치(IP)에 비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2)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이송기구(32)가 회전하여 상기 삽입위치(IP)에 위치한 전자부품(100)을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상승시켜서 상기 픽업위치(PP)에 위치시키면, 상기 픽업위치(PP)에 위치한 리드(120) 및 상기 안착홈(411) 간에 이격된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전자부품(100)이 상기 전환부(5)에 의해 리드(120)가 절단됨에 따라 낙하하여서 상기 안착홈(411)에 원활하면서도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전자부품(100)이 상기 안착홈(411)에 삽입되지 못하고 손실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전자부품(100)에 대한 손실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안착홈(411)이 상기 삽입위치(IP)에 비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안착부재(41)를 승하강시키지 않고도 상기 마운터(200)가 상기 마운터헤드를 이용하여 상기 픽업위치(PP)에 위치한 전자부품을 픽업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구축비용 및 운용비영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자부품(100)을 상기 마운터(200)가 픽업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411)은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부재(41)에서 상기 안착홈(411)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낙하하는 전자부품(100)의 리드(120)에 접촉되어서 상기 리드(12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전자부품(100)을 상기 마운터(200)가 픽업할 수 있는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마운터(200)가 상기 전자부품(100)에 대한 픽업을 실패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안착홈(411)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는 상기 안착부재(41)에서 상기 안착홈(411)이 형성된 부분이 삼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안착부재(41)에서 상기 안착홈(411)이 형성된 부분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안착홈(411)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증가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낙하하는 전자부품(100)의 리드(120)가 상기 안착홈(411)에 삽입되기 위한 입구면적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낙하하는 전자부품(100)의 리드(120)가 상기 안착홈(411)에 원활하면서도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41)는 회피홈(412, 도 1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피홈(412)은 상기 이송기구(32)에 지지된 전자부품(100)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피홈(412)은 상기 안착부재(41)에서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이다. 상기 회피홈(412)은 상기 안착부재(41)의 일면 및 상면에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회피홈(412)은 상기 이송기구(32)에 지지된 전자부품(100)이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경로(RC)로부터 상기 안착부재(41)가 이격된 거리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기구(32)에 지지된 전자부품(100)은 상기 회전경로(RC)를 따라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피홈(412)을 통해 상기 안착부재(41)를 회피하여 상기 픽업위치(PP)로 이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회피홈(412)을 통해 상기 삽입위치(IP)에서 상기 픽업위치(PP)로 이송되는 전자부품(100) 및 상기 안착부재(41)가 간섭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전자부품(100)이 상기 안착부재(41)에 충돌하여 손실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전자부품(100)에 대한 손실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안착부재(41)의 크기 증대를 통해 상기 전자부품(100)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마운터(200)가 상기 전자부품(100)을 안정적으로 픽업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부품(1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3에는 상기 안착부재(41)에서 상기 회피홈(412)이 형성된 부분이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안착부재(41)에서 상기 회피홈(412)이 형성된 부분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안착부재(41)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들(41, 41')(도 12에 도시됨)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재들(41, 41')의 사이에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부품본체(110)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품본체(110)의 일측에 위치한 안착부재(41)는 상기 제1리드(121)를 지지하고, 상기 부품본체(110)의 타측에 위치한 안착부재(41')는 상기 제2리드(12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들(41, 41')은 각각 상기 제1리드(121) 및 상기 제2리드(122)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마운터(100)가 상기 전자부품(100)을 안정적으로 픽업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부품(1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들(41, 41')은 상기 부품본체(110)의 크기에 따라 서로 간에 이격된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본체(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다양한 종류, 사양 등을 갖는 전자부품(100)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범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들(41, 41')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들(41, 41')은 제1연동수단(미도시)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착부재들(41, 41')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안착부재들(41, 41') 간에 서로 이격된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본체(2)에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갖는 제1장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들(41, 41') 간에 서로 이격된 간격이 조절되면, 상기 안착부재들(41, 41')은 볼트 등과 같은 제1체결수단이 상기 제1장공에 체결됨에 따라 가해지는 가압력으로 상기 본체(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는 지지부재(42, 도 1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2)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0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안착부재(4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42)와 상기 안착부재(41)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00)에서 서로 다른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재(41)와 상기 이송기구(3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재(41)와 상기 이송기구(32)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환부(5)가 상기 전자부품(100)이 갖는 리드(120)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재(42)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에서 상기 안착부재(41)로부터 이격된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42)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가 상기 전환부(5)에 의해 원활하면서도 정확하게 절단되도록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지지부재(42)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들(42, 42')(도 12에 도시됨)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재들(42, 42')의 사이에는 상기 안착부재들(41, 41')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품본체(110)의 일측에 위치한 지지부재(42)는 상기 제1리드(121)를 지지하고, 상기 부품본체(110)의 타측에 위치한 지지부재(42')는 상기 제2리드(12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들(42, 42')은 상기 부품본체(110)의 크기에 따라 서로 간에 이격된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본체(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다양한 종류, 사양 등을 갖는 전자부품(100)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범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들(42, 42')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들(42, 42')은 제2연동수단(미도시)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들(42, 42')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부재들(42, 42') 간에 서로 이격된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본체(2)에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갖는 제2장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들(42, 42') 간에 서로 이격된 간격이 조절되면, 상기 지지부재들(42, 42')은 볼트 등과 같은 제2체결수단이 상기 제2장공에 체결됨에 따라 가해지는 가압력으로 상기 본체(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전환부(5)는 상기 이송상태의 전자부품(100)을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하는 것이다. 상기 전환부(5)는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환부(5)는 상기 픽업위치(PP)에 위치한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절단 및 벤딩함으로써, 상기 이송상태의 전자부품을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환부(5)가 상기 픽업위치(PP)에서 상기 이송상태의 전자부품(100)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환부(5)는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하강함으로써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절단 및 벤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환부(5)는 상기 리드(120)에서 상기 안착부재(41)와 상기 지지부재(42)의 사이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리드(120)를 복수개로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리드(120)들 중에서 상기 부품본체(110)에 부착된 리드(120)는, 상기 테이프(130)로부터 분리됨과 아울러 상기 전환부(5)에 의해 벤딩된다. 분리된 리드(120)들 중에서 상기 부품본체(110)로부터 분리된 리드(120)는, 상기 테이프(130)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됨과 아울러 상기 이송기구(32)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부품본체(110)로부터 분리된 리드(120) 및 테이프(130)는, 상기 이송기구(32)가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서 상기 배출홈(22)을 통해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전환부(5)는 승하강기구(51) 및 전환기구(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기구(51)는 상기 전환기구(52)를 승하강시키는 것이다. 상기 승하강기구(51)는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승하강기구(51)는 상기 전환기구(52)가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절단 및 벤딩하여 실장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전환기구(52)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하강기구(51)는 상기 마운터(200)가 상기 마운터헤드를 이용하여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100)을 픽업하여 이송할 때까지 상기 전환기구(52)를 하강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마운터(200)가 상기 마운터헤드를 이용하여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100)을 픽업하여 이송한 후에, 상기 승하강기구(51)는 상기 전환기구(52)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승하강기구(51)는 상기 전환기구(52)가 상기 지지부(4)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환기구(52)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지지부(4)를 승하강시키지 않고도, 상기 마운터(200)가 상기 전환기구(52)에 방해됨이 없이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100)을 픽업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비교예와 대비할 때, 구축비용 및 운용비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승하강기구(51)가 상기 전자부품(100)을 실장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전환기구(52)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전환기구(52)를 상기 마운터(200)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회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마운터(200)에 상기 전자부품(100)을 공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마운터(200)가 상기 실장작업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여 상기 전자부품(100)이 실장된 기판에 대한 생산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기구(41)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실린더 방식, 모터와 랙기어(Rack Gear)와 피니언기어(Pinion Gear)를 이용한 랙피니언 방식, 모터와 풀리와 벨트를 이용한 벨트 방식, 모터와 볼스크류(Ball Screw)와 볼너트(Ball Nut)를 이용한 볼스크류 방식, 코일(Coil)과 영구자석을 이용한 리니어모터(Linear Motor) 방식 등을 통해 상기 전환기구(52)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하강기구(41)는 상기 전환기구(5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환기구(52)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절단 및 벤딩하는 것이다. 상기 전환기구(52)는 상기 본체(2)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환기구(52)는 상기 승하강기구(41)에 의해 승강하되면서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절단 및 벤딩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환기구(52)가 상기 픽업위치(PP)에서 상기 이송상태의 전자부품(10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하강기구(41)에 의해 상승된 상태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환기구(52)는 상기 승하강기구(41)에 의해 하강함으로써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절단 및 벤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전환기구(52)는 절단부재(521, 도 15에 도시됨) 및 벤딩부재(522, 도 1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재(521)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절단하는 것이다. 상기 절단부재(521)는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벤딩부재(522)에 비해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하강기구(52)가 상기 전환기구(52)를 하강시키면, 상기 절단부재(521)가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전달한 후에 상기 벤딩부재(522)가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벤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하나의 승하강기구(52)가 상기 전환기구(52)를 하강시키는 한번의 동작으로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에 대한 절단 및 벤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복수개의 승하강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에 대한 절단 및 벤딩을 수행하는 것과 대비할 때, 상기 승하강기구(52)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구축비용 및 운영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절단부재(521)는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재(521)는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끝단이 뾰족한 첨단(尖端)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재(522)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벤딩하는 것이다. 상기 벤딩부재(522)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벤딩할 수 있다. 상기 벤딩부재(522)는 상기 리드(120)에서 상기 부품본체(1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벤딩할 수 있다. 상기 벤딩부재(522) 및 상기 절단부재(52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재(522)는 제1벤딩면(522a, 도 17에 도시됨) 및 제2벤딩면(522b, 도 1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벤딩면(522a)은 상기 제2벤딩면(522b)에 대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벤딩부재(522)가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하강시키면, 상기 제1벤딩면(522a)이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에 접촉한 후에 상기 제2벤딩면(522b)이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벤딩면(522a)은 곡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벤딩부재(522)는 상기 제1벤딩면(522a)이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에 먼저 접촉하여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가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벤딩면(522b)은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상기 실장상태에 대응되는 각도로 벤딩할 수 있다. 상기 제2벤딩면(522b)은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에 대해 평행한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벤딩면(522b)은 상기 제1벤딩면(522a)에 대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여 상기 제1벤딩면(522a)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재(522)는 벤딩홈(522c, 도 18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딩홈(522c)은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벤딩홈(522c)은 상기 벤딩부재(522)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벤딩면(522a) 및 상기 제2벤딩면(522b)은 상기 벤딩홈(522c)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벤딩면(522a) 및 상기 제2벤딩면(522b)이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벤딩하는 과정에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벤딩홈(522c)에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가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벤딩부재(522)는 상기 벤딩홈(522c)에 삽입된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벤딩홈(522c)에 삽입된 전자부품(100)의 리드(120)가 유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를 벤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부품(100)이 유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100)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전환기구(52)는 제1전환부재(523, 도 19에 도시됨), 제2전환부재(524, 도 19에 도시됨), 및 전환본체(525, 도 1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환부재(523)는 상기 제1리드(121, 도 19에 도시됨)를 절단 및 벤딩하는 것이다. 상기 제1전환부재(523)는 상기 전환본체(525)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전환부재(523)는 상기 전환본체(525)가 승하강함에 따라 함께 승하강할 수 있다. 상기 제1전환부재(523)에는 상기 절단부재(521) 및 상기 벤딩부재(5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환부재(524)는 상기 제2리드(122, 도 19에 도시됨)를 절단 및 벤딩하는 것이다. 상기 제2전환부재(524)는 상기 전환본체(52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전환부재(524) 및 상기 제1전환부재(52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환본체(525)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전환부재(524) 및 상기 제1전환부재(523)는 상기 전환본체(525)가 승하강함에 따라 함께 승하강하면서 상기 제2리드(122) 및 상기 제2리드(121)를 동시에 절단 및 벤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전자부품(100)을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상기 마운터(200)에 상기 전자부품(100)을 공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전환부재(524)에는 상기 절단부재(521) 및 상기 벤딩부재(5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환부재(524) 및 상기 제1전환부재(52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환본체(525)는 상기 제1전환부재(523) 및 상기 제2전환부재(524)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전환부재(523) 및 상기 제2전환부재(524)는 상기 전환본체(525)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환본체(525)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전환본체(525), 상기 제1전환부재(523), 및 상기 제2전환부재(52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환본체(525)는 상기 승하강기구(5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승하강기구(51)는 상기 전환본체(525)를 승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제1전환부재(523) 및 상기 제2전환부재(524)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하강기구(51)는 상기 제1전환부재(523) 및 상기 제2전환부재(524)가 상기 부품본체(110)에 비해 더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환본체(525)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전환부재(523)는 상기 안착부재(41)와 상기 지지부재(42)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전환부재(524)는 상기 안착부재(41')와 상기 지지부재(42')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감지부(6, 도 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6)는 감지위치(SP, 도 9에 도시됨)에 상기 전자부품(10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감지부(6)는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6)는 상기 이송기구(32)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감지위치(SP)를 향하도록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6)는 상기 감지위치(SP)에 위치한 전자부품(100)을 감지하면, 상기 이송기구(32)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상기 회전기구(31)에 정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감지부(6)를 이용하여 상기 이송기구(32)에 지지된 전자부품(100)을 상기 픽업위치(PP)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감지부(6)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부(6)는 상기 광센서가 상기 감지위치(SP)를 향해 방출한 감지광이 반사되어 수광된 광량, 감지광이 수광될 때까지 걸린 시간 등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위치(SP)에 상기 전자부품(10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6)는 상기 픽업위치(PP)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감지위치(SP)에 상기 전자부품(10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감지부(6)가 정지신호를 상기 회전기구(31)에 전송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 상기 회전기구(31)가 정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송기구(31)를 정지시킬 때까지 걸리는 시간, 상기 이송기구(31)가 관성력 등으로 인해 정지할 때까지 추가로 이동하는 거리 등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이송기구(32)에 지지된 전자부품(100)을 상기 픽업위치(PP)에 더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감지위치(SP)가 상기 픽업위치(PP)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는, 상기 감지부(6)가 정지신호를 상기 회전기구(31)에 전송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 상기 회전기구(31)가 정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송기구(31)를 정지시킬 때까지 걸리는 시간, 상기 이송기구(31)가 관성력 등으로 인해 정지할 때까지 이동하는 거리 등을 고려하여 작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기구(32)에는 상기 삽입홈(321)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삽입홈(321)이 상기 픽업위치(PP)에 위치하면, 다른 하나의 삽입홈(321)이 상기 삽입위치(IP)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홈(32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회전기구(31)가 상기 이송기구(32)를 정지 및 회전시키는 횟수를 줄임으로써, 상기 마운터(200)에 상기 전자부품(100)을 공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더 줄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2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커버부재(7, 도 2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7)는 상기 이송기구(32)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0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7)는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7)는 상기 이송기구(32)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7)는 상기 이송기구(32)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 전자부품(100)들의 리드(120)를 덮도록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기구(32)에 지지된 전자부품(100)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부재(7)는 상기 이송기구(32)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 전자부품(100)들의 리드(12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이송기구(32)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 전자부품(100)들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7)를 이용하여 상기 이송기구(32)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 전자부품(100)들이 상승 없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만 이동하여 상기 삽입위치(IP)에 위치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전자부품(100)들을 상기 삽입홈(321)들에 순차적으로 삽입하는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7)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 및 상기 리드(120)가 부착된 테이프(130)를 덮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7)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전자부품(100)들이 갖는 리드(120) 및 상기 리드(120)들이 부착된 테이프(130)를 덮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7)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 및 상기 리드(120)가 부착된 테이프(13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7)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 및 상기 리드(120)가 부착된 테이프(130)를 덮을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커버부재(7)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들(7, 7')(도 20에 도시됨)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부재들(7, 7')의 사이에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부품본체(110)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품본체(110)의 일측에 위치한 커버부재(7)는 상기 제1리드(121)를 덮고, 상기 부품본체(110)의 타측에 위치한 커버부재(7')는 상기 제2리드(122)를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들(7, 7')은 상기 부품본체(110)의 크기에 따라 서로 간에 이격된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본체(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다양한 종류, 사양 등을 갖는 전자부품(100)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범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들(7, 7')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들(7, 7')은 연동수단(미도시)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재들(7, 7')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커버부재들(7, 7') 간에 서로 이격된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본체(2)에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갖는 장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들(7, 7') 간에 서로 이격된 간격이 조절되면, 상기 커버부재들(7, 7')은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 상기 장공에 체결됨에 따라 가해지는 가압력으로 상기 본체(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2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가이드부(8, 도 2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8)는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100)으로부터 분리된 테이프(1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8)는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8)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송기구(3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8)는 상기 이송기구(3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100)으로부터 분리된 테이프(130)를 덮도록 상기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8)는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100)으로부터 분리된 테이프(130)가 상기 배출홈(22, 도 3에 도시됨)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테이프(130)에서 상기 리드(120)가 절단됨에 따라 상기 전자부품(100)으로부터 분리된 부분을 상기 본체(2)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8)는 상기 이송기구(32)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32)에 형성된 삽입홈(321)들에서 상기 회전축(32a)으로부터 최단거리로 이격된 지점들을 연결한 가상원(도 21에 점선으로 도시됨)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부(8)는 상기 가상원에 비해 더 큰 반경(半徑)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100)으로부터 분리된 테이프(130)는 상기 가상원과 상기 가이드부(8)의 내면 사이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배출홈(22)을 통해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8)는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가 상기 삽입홈(321)에 삽입되는 삽입위치(IP)로부터 상기 전자부품(100)의 리드(120)가 상기 삽입홈(321)으로부터 이격되는 배출위치까지 상기 테이프(130)를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8)는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삽입위치(IP)로부터 상기 배출위치까지 연장되는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8)에는 돌출부재(8a, 도 21에 도시됨)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8a)는 상기 가이드부(8)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8a)는 상기 이송기구(32)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 전자부품(100)에 부착된 테이프(130)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기구(32)에 지지된 전자부품(100)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재(8a)는 상기 이송기구(32)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 전자부품(100)에 부착된 테이프(13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이송기구(32)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 전자부품(100)들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돌출부재(8a)를 이용하여 상기 이송기구(32)로부터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 전자부품(100)이 상승 없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만 이동하여 상기 삽입위치(IP)에 위치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전자부품(100)들을 상기 삽입홈(321)들에 순차적으로 삽입하는 작업의 정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1)는 상기 가이드부(8)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들(8, 8')(도 14에 도시됨)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부들(8, 8')의 사이에는 상기 이송기구들(32, 32')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품본체(110)의 일측에 위치한 가이드부(8)는 상기 제1리드(121)에 부착된 테이프(130)를 덮고, 상기 부품본체(110)의 타측에 위치한 가이드부(8')는 상기 제2리드(122)에 부착된 테이프(130)를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전자부품 공급장치
2 : 본체
3 : 이송부 4 : 지지부
5 : 전환부 6 : 감지부
7 : 커버부재 8 : 가이드부
21 : 보관부 22 : 배출홈
31 : 회전기구 32 : 이송기구
41 : 안착부재 42 : 지지부재
51 : 승하강기구 52 : 전환기구
100 : 전자부품 110 : 부품본체
120 : 리드 121 : 제1리드
122 : 제2리드 130 : 테이프
200 : 마운터 300 : 지지수단
3 : 이송부 4 : 지지부
5 : 전환부 6 : 감지부
7 : 커버부재 8 : 가이드부
21 : 보관부 22 : 배출홈
31 : 회전기구 32 : 이송기구
41 : 안착부재 42 : 지지부재
51 : 승하강기구 52 : 전환기구
100 : 전자부품 110 : 부품본체
120 : 리드 121 : 제1리드
122 : 제2리드 130 : 테이프
200 : 마운터 300 : 지지수단
Claims (17)
-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전자부품을 이송하는 이송부;
마운터가 전자부품을 픽업하기 위한 픽업위치에서 전자부품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픽업위치에 위치한 전자부품의 리드(Lead)를 절단 및 벤딩(Bending)하여 실장상태로 전환하는 전환부; 및
상기 이송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전환부가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전자부품의 리드를 지지하는 이송기구, 및 상기 이송기구에 지지된 전자부품이 상기 마운터를 향하는 제1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측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픽업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기구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구는 전자부품의 리드에 대해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구는 전자부품의 리드가 삽입되는 삽입홈, 및 전자부품의 리드를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이송기구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삽입홈 및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제1회전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들은 각각 상기 회전축을 향하는 내측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들은 각각 상기 제1회전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지지면, 및 상기 제1회전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회전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경사면이 상기 회전축을 향하는 내측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을 지지하는 안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전자부품의 리드가 삽입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홈은 하측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구는 전자부품의 리드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기구는 전자부품이 상기 이송기구에 삽입되는 삽입위치 및 상기 픽업위치에 상기 삽입홈들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기구를 회전시키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픽업위치에서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을 지지하는 안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전자부품의 리드가 삽입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되, 상기 안착홈이 상기 삽입위치에 비해 상기 상측방향으로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이송기구에 지지된 전자부품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픽업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기구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픽업위치에서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을 지지하는 안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재에는 상기 이송기구에 지지된 전자부품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기구에 지지된 전자부품의 리드를 회피하도록 회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픽업위치에서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의 리드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안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재들은 전자부품의 리드가 결합된 부품본체의 크기에 따라 서로 간에 이격된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착부재들의 외측에서 전자부품의 리드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들은 상기 안착부재들이 서로 이격된 간격에 따라 서로 간에 이격된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위치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이격된 감지위치에 전자부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위치에 위치한 전자부품을 감지하면, 상기 이송기구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상기 회전기구에 정지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구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들은 상기 이송기구로부터 상기 제2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 전자부품들의 리드를 덮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되, 전자부품의 리드가 결합된 부품본체의 크기에 따라 서로 간에 이격된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본체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환기구, 및 상기 전환기구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기구는 상기 전환기구가 전자부품의 리드를 절단 및 벤딩하여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전환기구를 하강시키고, 상기 마운터가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을 픽업하여 이송한 후에 상기 전환기구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본체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환기구, 및 상기 전환기구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기구는 상기 전환기구가 전자부품의 리드를 절단 및 벤딩하여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전환기구를 하강시키며,
상기 전환기구는 전자부품의 리드를 절단하는 절단부재 및 전자부품의 리드를 벤딩하는 벤딩부재를 포함하되, 전자부품의 리드를 절단한 후에 벤딩하도록 하측방향으로 상기 전달부재가 상기 벤딩부재에 비해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재는 전자부품의 리드가 삽입되는 벤딩홈을 포함하되, 상기 벤딩홈에 삽입된 전자부품의 리드가 유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벤딩홈에 삽입된 전자부품의 리드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본체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환기구, 및 상기 전환기구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기구는 전자부품의 부품본체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된 제1리드를 절단 및 벤딩하는 제1전환부재, 전자부품의 부품본체로부터 타측으로 돌출된 제2리드를 절단 및 벤딩하는 제2전환부재, 및 상기 제1전환부재와 상기 제2전환부재가 결합된 전환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기구는 상기 제1리드와 상기 제2리드가 동시에 절단 및 벤딩되도록 상기 전환본체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으로부터 분리된 테이프가 상기 본체에 형성된 배출홈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실장상태로 전환된 전자부품으로부터 분리된 테이프를 덮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4051A KR101879384B1 (ko) | 2016-09-05 | 2016-09-05 | 전자부품 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4051A KR101879384B1 (ko) | 2016-09-05 | 2016-09-05 | 전자부품 공급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7681A true KR20180027681A (ko) | 2018-03-15 |
KR101879384B1 KR101879384B1 (ko) | 2018-08-17 |
Family
ID=6165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4051A KR101879384B1 (ko) | 2016-09-05 | 2016-09-05 | 전자부품 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938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75871A (zh) * | 2019-08-06 | 2022-03-11 | 株式会社富士 | 带式供料器 |
KR102522031B1 (ko) * | 2023-01-02 | 2023-04-14 | 주식회사 에스비알테크놀로지 | 전자 기기의 배터리 셀 리필 공정 자동화 방법 및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16826A (ja) * | 1985-03-22 | 1986-09-26 | Yamamoto Tekkosho Kk | 電子部品のリ−ド線折曲装置 |
JPH07314394A (ja) * | 1994-05-20 | 1995-12-05 | Mitsumi Electric Co Ltd | 電子部品のリード線加工装置 |
KR20150020306A (ko) * | 2013-08-12 | 2015-02-25 |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 전자 부품 공급 장치, 전자 부품 실장 장치 및 전자 부품 실장 방법 |
-
2016
- 2016-09-05 KR KR1020160114051A patent/KR1018793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16826A (ja) * | 1985-03-22 | 1986-09-26 | Yamamoto Tekkosho Kk | 電子部品のリ−ド線折曲装置 |
JPH07314394A (ja) * | 1994-05-20 | 1995-12-05 | Mitsumi Electric Co Ltd | 電子部品のリード線加工装置 |
KR20150020306A (ko) * | 2013-08-12 | 2015-02-25 |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 전자 부품 공급 장치, 전자 부품 실장 장치 및 전자 부품 실장 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75871A (zh) * | 2019-08-06 | 2022-03-11 | 株式会社富士 | 带式供料器 |
EP4013204A4 (en) * | 2019-08-06 | 2022-07-27 | Fuji Corporation | TAPE FEEDER |
US20220295679A1 (en) * | 2019-08-06 | 2022-09-15 | Fuji Corporation | Tape feeder |
CN114175871B (zh) * | 2019-08-06 | 2023-09-26 | 株式会社富士 | 带式供料器 |
KR102522031B1 (ko) * | 2023-01-02 | 2023-04-14 | 주식회사 에스비알테크놀로지 | 전자 기기의 배터리 셀 리필 공정 자동화 방법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9384B1 (ko) | 2018-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41674A (en) | Interchangeable electronic carrier tape feeder adaptable to various surface mount assembly machines | |
EP2760264B1 (en) | Electronic circuit component mounter | |
US20100180435A1 (en) | Electronic component feeder and chip mounter having the same | |
US4908092A (en) | Apparatus for mounting chip device on printed circuit board | |
KR101616772B1 (ko) | 워크 삽입 기구 및 워크 삽입 방법 | |
CN109277808B (zh) | 阀芯全自动装配系统 | |
CN101938894B (zh) | 电子元件用搬送装置 | |
KR101879384B1 (ko) | 전자부품 공급장치 | |
US20170347502A1 (en) | Feeder | |
US20060103151A1 (en) | Mounting head of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 |
JP5568221B2 (ja) | 電子回路部品装着システム | |
CN113905605A (zh) | 具有带可单独启动的操纵装置的两个转子组件的装配头 | |
KR101823926B1 (ko) | 캐리어 테이프의 자동 공급 장치 | |
JP2017092200A (ja) | 部品実装機 | |
JP5186358B2 (ja) | 吸着ヘッドおよび部品移載装置 | |
KR20170023914A (ko) | 트레이 공급 위치 탐지 기능을 가진 트레이 피더 | |
KR102254282B1 (ko) | 승강벨트의 조립 구조를 개선한 호이스트모듈을 구비하는 oht | |
KR101986255B1 (ko) | 칩 캐리어 덮개 자동 결합 장치 | |
KR102243555B1 (ko) | 벨트 타입 조향유닛을 구비하는 oht | |
WO2019102550A1 (ja) | 電子部品装着機及び電子部品装着方法 | |
JP2003023295A (ja) | 電気部品装着システム | |
KR101980100B1 (ko) | Led 하우징 테이핑 및 인서트 장치 | |
JP4722658B2 (ja) | 電子部品装着装置 | |
KR102499833B1 (ko) | 트레이 공급 위치 탐지 기능을 가진 트레이 피더 | |
CN115208143B (zh) | 一种电机的线圈组件、上极板和齿轮板的自动组装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