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657A - 이동형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657A
KR20180027657A KR1020160113712A KR20160113712A KR20180027657A KR 20180027657 A KR20180027657 A KR 20180027657A KR 1020160113712 A KR1020160113712 A KR 1020160113712A KR 20160113712 A KR20160113712 A KR 20160113712A KR 20180027657 A KR20180027657 A KR 20180027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exchanger
cooling
waste
pa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3698B1 (ko
Inventor
이정훈
김재호
한정완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3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6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4Arrangements for por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24F2221/125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mounted on wh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폐열을 처리하기 위한 축열팩들의 축열 한계온도를 각기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난방용 열교환기와 냉방용 열교환기측에서 방출된 폐열을 온도별로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난방용 열교환기와 냉방용 열교환기에서 방출된 폐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냉,난방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조장치 본체와, 난방용 열교환기와, 냉방용 열교환기와, 냉방모드 시에는 난방용 열교환기측에서 발생된 폐온풍을 방출하고 난방모드 시에는 냉방용 열교환기측에서 발생된 폐냉풍을 방출하는 폐열유로와, 난방용 열교환기 또는 냉방용 열교환기측에서 방출된 폐온풍 또는 폐냉풍의 폐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폐열유로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축열팩들을 포함하는 이동형 공조장치에 있어서, 축열팩들은, 각기 다른 축열 한계온도를 갖는 축열재를 내장하고 있어서, 난방용 열교환기 또는 냉방용 열교환기측에서 방출된 폐열을 온도별로 차등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구조이다.

Description

이동형 공조장치{PORTABLE TYPE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이동형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열을 처리하기 위한 축열팩들의 축열 한계온도를 각기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난방용 열교환기와 냉방용 열교환기측에서 방출된 폐열을 온도별로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난방용 열교환기와 냉방용 열교환기에서 방출된 폐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냉,난방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동형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이동형 공조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작동을 실행하는 공조부(1)를 이동가능하게 구성한 것으로, 냉,난방이 필요한 곳에 공조부(1)를 이동시킨 후, 공조부(1)를 실행시켜 냉,온풍을 제공한다. 특히, 공조부(1)의 난방용 열교환기(1a)측에서 방출된 온풍, 또는 냉방용 열교환기(1b)측에서 방출된 냉풍을 제공한다.
따라서, 공조작동이 필요한 곳을 국부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고, 아울러 냉,난방의 사각 지대를 효율좋게 냉,난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이동형 공조장치는, 실내의 공조부하측을 감지하는 감지부(3)와, 공조부(1)를 이동시키는 이동부(5)와, 공조부하측을 향해 공조부(1)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부(5)를 제어하는 제어부(7)를 포함하기도 한다.
특히, 제어부(7)는, 감지부(3)를 통해 공조작동이 요구되는 실내의 공조부하를 감지한 다음, 이동부(5)를 제어하여 감지된 공조부하측으로 공조부(1)를 이동시키고, 공조부하측으로 이동된 공조부(1)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공조작동이 요구되는 실내의 공조부하를 찾아 스스로 이동한 다음, 공조부하측에 냉,온풍을 공급하여 상기 공조부하측을 자동으로 냉,난방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동형 공조장치는, 냉방 또는 난방 상태에 관계없이 공조부(1)의 난방용 열교환기(1a)와 냉방용 열교환기(1b)에서 온기와 냉기가 항상 발생되는 구조이므로, 냉,난방 성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냉방모드 시에는, 냉방모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난방용 열교환기(1a)측의 온풍이 실내측으로 계속해서 방출되므로 냉방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고, 난방모드 시에는, 난방모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냉방용 열교환기(1b)측의 냉풍이 실내측으로 계속해서 방출되므로, 난방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냉,난방모드 시에 난방용 열교환기(1a)와 냉방용 열교환기(1b)에서 발생되는 폐냉풍 및 폐온풍을 처리하는 폐열처리장치(8)가 설치되기도 한다.
폐열처리장치(8)는, 난방용 열교환기(1a)와 냉방용 열교환기(1b)의 폐열을 배출하는 폐열유로(9)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축열팩(8a)들을 포함한다.
다수의 축열팩(8a)들은, 축열재를 내장하고 있는 것으로, 폐열유로(9)상에 병렬로 배치되며, 이렇게 배열된 축열팩(8a)들은, 폐열유로(9)를 따라 배출되는 폐냉,온풍의 폐열을 흡수한다.
특히, 냉방모드 시에는, 난방용 열교환기(1a)측에서 방출된 폐온풍의 열을 흡수하고, 난방모드 시에는, 냉방용 열교환기(1b)측에서 방출된 폐냉풍의 냉기를 흡수한다.
따라서, 냉,난방 시에 난방용 열교환기(1a)와 냉방용 열교환기(1b)측에서 발생된 "불필요한 폐열 방출"을 최대한 방지하고, 이로써, "폐열 방출"로 인한 냉,난방성능의 저하현상을 개선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동형 공조장치는, 축열팩(8a)들이 폐열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축열 한계온도"에 도달하는 경우에 있는데, 이러한 경우, 폐열의 흡수 작용을 완전히 멈추면서 난방용 열교환기(1a) 또는 냉방용 열교환기(1b)에서 방출된 폐냉풍, 폐온풍을 처리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모드 시에, 축열팩(8a)들은, "축열 한계온도(40℃)"까지 난방용 열교환기(1a)측의 폐열을 계속해서 흡수하는데, 이러한 축열팩(8a)들은, 축열 한계온도(40℃)에 도달하면 물성이 변화되면서 "폐열흡수작용"을 멈추게 된다.
그 결과, 축열팩(8a)들은, "축열 한계온도(40℃)" 이상의 온도에서는 난방용 열교환기(1a)의 폐열을 처리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난방용 열교환기(1a)측의 폐열이 원래의 온도(50℃)로 상승(A)되면서 외부로 배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동형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로 배열되는 축열팩(8a)들 때문에 통기저항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폐열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폐열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므로, 공조부(1)의 내부로 도입되는 공기량이 현저하게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이 난방용 열교환기(1a)와 냉방용 열교환기(1b)측에서의 냉,온풍 발생량이 현저하게 저감되어 냉,난방 성능이 저하된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 축열팩들의 축열재를 각기 다르게 구성하여 각 축열팩들의 축열 한계온도를 각기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난방용 열교환기와 냉방용 열교환기측에서 방출된 폐열을 온도별로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이동형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난방용 열교환기와 냉방용 열교환기측에서 방출된 폐열을 온도별로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난방용 열교환기와 냉방용 열교환기에서 방출된 폐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냉,난방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동형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축열팩들의 배열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축열팩들로 인한 통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동형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축열팩들로 인한 통기저항을 최소화시킴으로써, 폐열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조부의 공기 도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동형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조부의 공기 도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난방용 열교환기와 냉방용 열교환기측에서의 냉,온풍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형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조장치는, 공조장치 본체와, 난방용 열교환기와, 냉방용 열교환기와, 냉방모드 시에는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측에서 발생된 폐온풍을 방출하고 난방모드 시에는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측에서 발생된 폐냉풍을 방출하는 폐열유로와,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 또는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측에서 방출된 폐온풍 또는 폐냉풍의 폐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폐열유로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축열팩들을 포함하는 이동형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열팩들은, 각기 다른 축열 한계온도를 갖는 축열재를 내장하고 있어서,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 또는 냉방용 열교환기측에서 방출된 폐열을 온도별로 차등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축열팩들에 내장된 각 축열재의 축열 한계온도는, 낮은 온도로부터 높은 온도를 향해 순차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 또는 냉방용 열교환기측에서 방출된 폐열을 온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축열팩들은, 상기 폐열유로상에서 각기 다른 방향을 향해 설치되어, 상기 폐열유로를 따라 방출되는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의 폐온풍 또는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의 폐냉풍을 각각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조장치 본체는, 상기 각 축열팩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폐열배출구들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폐열배출구들은, 상기 각 축열팩들에 의해 처리된 폐온풍 또는 폐냉풍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축열팩들은, 상기 폐열유로를 중앙에 두고 상기 공조장치 본체의 외측방향을 향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축열팩들은, 상기 폐열유로를 중앙에 두고 상기 공조장치 본체의 외측 4개 방향을 향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공조장치 본체의 폐열배출구들은, 상기 각 축열팩들에 대응하여, 외측 4개 방향을 향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조장치에 의하면, 각 축열팩들의 축열재를 각기 다르게 구성하여 각 축열팩들의 축열 한계온도를 각기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난방용 열교환기와 냉방용 열교환기측에서 방출된 폐열을 온도별로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난방용 열교환기와 냉방용 열교환기측에서 방출된 폐열을 온도별로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난방용 열교환기와 냉방용 열교환기에서 방출된 폐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냉,난방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축열팩들의 배열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축열팩들로 인한 통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축열팩들로 인한 통기저항을 최소화시키므로, 폐열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조부의 공기 도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조부의 공기 도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난방용 열교환기와 냉방용 열교환기측에서의 냉,온풍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형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이동형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폐열처리장치 축열팩들의 작용예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축열팩들의 축열온도와 폐열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이동형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폐열처리장치의 축열팩 배열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형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폐열처리장치의 축열팩 배열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이동형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폐열처리장치의 축열팩 배열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폐열처리장치 축열팩들의 작용예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축열팩들의 축열온도와 폐열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이동형 공조장치의 기본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이동형 공조장치는, 공조장치 본체(10)를 구비한다. 공조장치 본체(10)는, 대략 사각의 박스체로 구성되며, 감지부(20)와 이동부(30)와 공조부(40)와 제어부(50)를 갖추고 있다.
감지부(20)는, 적외선 센서, 카메라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실내를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실내 중의 사람을 감지한다.
이동부(30)는, 구동륜(32)과 조향륜(34)을 포함하는 것으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면서 공조장치 본체(10)를 특정한 곳으로 이동시킨다.
공조부(40)는, 압축기(40a)와 난방용 열교환기(40b)와 팽창밸브(40c)와 냉방용 열교환기(40d)와 송풍팬(40e)들과 개폐도어(40f)들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압축기(40a)에서 냉매를 압축시킨 다음, 이를 순차적으로 순환시킴으로써, 난방용 열교환기(40b)에서 온기를 발생시키고, 냉방용 열교환기(40d)에서 냉기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난방모드" 시에는, 난방용 열교환기(40b)에서 발생된 온기를 실내에 송풍하여 실내를 난방하고, "냉방모드" 시에는 냉방용 열교환기(40d)에서 발생된 냉기를 실내에 송풍하여 실내를 냉방한다.
여기서, "난방모드" 시에, 냉방용 열교환기(40d)측에서 방출된 폐냉풍은, 폐열유로(42)로 이송되고, 폐열유로(42)로 이송된 폐냉풍은 공조장치 본체(10)의 폐열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냉방모드" 시에, 난방용 열교환기(40b)측에서 방출된 폐온풍은, 폐열유로(42)로 이송되고, 폐열유로(42)로 이송된 폐온풍은 공조장치 본체(10)의 폐열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폐열유로(42)는, 격벽(44)을 사이에 두고 난방용 열교환기(40b)와 냉방용 열교환기(40d)의 하측부분에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난방용 열교환기(40b)와 냉방용 열교환기(40d)의 중력방향 하측부분에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난방용 열교환기(40b)와 냉방용 열교환기(40d)를 통과한 폐냉풍 및 폐온풍은, 중력방향 하측의 폐열유로(42)를 따라 이송되면서 공조장치 본체(10)의 폐열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제어부(5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감지부(20)와 이동부(30)와 공조부(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감지부(20)에서 사람이 인식되면, 사람이 인식된 곳으로 이동부(30)를 제어하여 공조장치 본체(10)를 사람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공조부(40)를 제어하여 사람측으로 냉,온풍이 송풍되게 한다.
그리고 이동형 공조장치는, 폐열유로(42) 상에 설치되는 폐열처리장치(60)를 더 구비한다.
폐열처리장치(60)는, 폐열유로(42)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축열팩(62)들을 포함한다. 축열팩(62)들은, 축열재를 내장하고 있는 것으로, 폐열유로(42)를 따라 배출되는 난방용 열교환기(40b)와 냉방용 열교환기(40d)의 폐냉풍 및 폐온풍의 폐열을 흡수한다.
따라서, 냉,난방 시에 난방용 열교환기(40b)와 냉방용 열교환기(40d)측에서 발생된 "불필요한 폐열 방출"을 최대한 방지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형 공조장치는, 폐열유로(42)상에 설치되는 폐열처리장치(60)의 축열팩(62)들을 구비하되, 상기 축열팩(62)들은, 폐열유로(42)상에서 각기 다른 방향을 향해 각각 독립적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갖는다.
특히, 축열팩(62)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 공간으로 구성된 폐열유로(42)의 각 내측벽면을 향해 각각 독립적으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열팩(62)들은, 3개로 구성되고, 이렇게 구성된 3개의 축열팩(62)들은, 폐열유로(42)의 내측벽면 중, 3면에 각각 대응되게 배열되며, 이렇게 구성된 축열팩(62)들은, 폐열유로(42)의 내측벽면 중, 3면을 향해 각각 배열되면서 공조장치 본체(10)의 외측을 향한다.
이러한 배열구조의 축열팩(62)들은, 각기 다른 방향을 향해 독립적으로 배열되므로, 병렬식으로 배열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통기저항"을 현저하게 저감시켜 준다.
따라서, 축열팩(62)들로 인한 "통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폐열유로(42)를 따라 이송되는 폐열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공조부(40)로 도입되는 공기의 도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공조부(40)로의 공기 도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난방용 열교환기(40b)와 냉방용 열교환기(40d)측에서의 냉,온풍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축열팩(62)들이 설치된 폐열유로(42)의 내측벽면에는 배기구멍(42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기구멍(42a)들에 대응되는 공조장치 본체(10) 부분에는, 폐열배출구(1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축열팩(62)들을 통과한 폐열은, 폐열유로(42)의 배기구멍(42a)과, 공조장치 본체(10)의 폐열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도 5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조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변형예의 이동형 공조장치는, 폐열처리장치(60)의 축열팩(62)이, 4개로 구성되고, 이러한 4개의 축열팩(62)들이, 폐열유로(42)의 내측벽면 중, 4면 모두에 각각 대응되게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열팩(62)들이, 폐열유로(42)의 4개 내측벽면 모두를 향해 각각 배열되어 있되, 폐열유로(42)의 입구부(42b)를 중앙에 두고 폐열유로(42)의 사방 4개 내측벽면에 각각 배열되도록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축열팩(62)들은, 공조장치 본체(10)의 외측 "사면 방향"을 향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폐열유로(42)의 입구부(42b)로 유입된 폐열을 사방으로 분산시키면서 상기 축열팩(62)들에 의해 각각 열처리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이로써, 폐열처리 효율을 높이면서 동시에, 통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축열팩(62)들이 설치된 폐열유로(42)의 사방 4개 내측벽면에는 배기구멍(42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기구멍(42a)들에 대응되는 공조장치 본체(10) 부분에는, 폐열배출구(1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축열팩(62)들을 통과한 폐열은, 폐열유로(42)의 사방 4개 내측벽면에 형성된 배기구멍(42a)들과, 공조장치 본체(10)의 사방 4개면 부분에 형성된 폐열배출구(12)들을 통해 수월하게 배출된다.
다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형 공조장치는, 폐열처리장치(60)의 축열팩(62)들을 구비하되, 상기 축열팩(62)들은, 각기 다른 "축열 한계온도"를 갖는 축열재를 내장하고 있다.
예를 들면, 축열팩(62)이 3개일 경우, 어느 하나의 축열팩(62)은, "축열 한계온도"가 40℃인 축열재를 내장하고 있고, 다른 하나의 축열팩(62)은, 50℃의 "축열 한계온도"를 갖는 축열재를 내장하고 있으며, 나머지 다른 하나의 축열팩(62)은 60℃의 "축열 한계온도"를 갖는 축열재를 내장하고 있다.
이렇게 각기 다른 "축열 한계온도"의 축열재를 내장하고 있는 축열팩(62)들은, 난방용 열교환기(40b)와 냉방용 열교환기(40d)측에서 방출된 폐열을 온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모드 시에, 제 1 내지 제 3축열팩(62)들은 모두 난방용 열교환기(40b)측의 폐열을 흡수하는데, 이때, "축열 한계온도" 40℃의 축열재를 내장하고 있는 제 1축열팩(62)이, "40℃"의 "축열 한계온도"까지 난방용 열교환기(40b)측의 폐열을 흡수하고, 폐열의 흡수 작용을 멈춘다.
이후, 제 1축열팩(62)의 폐열 처리작용이 멈추더라도, "축열 한계온도" 50℃의 축열재를 내장하고 있는 제 2축열팩(62)이, "50℃"의 "축열 한계온도"까지 난방용 열교환기(40b)측의 폐열을 계속 흡수한다.
그리고 나서, 제 2축열팩(62)의 폐열 처리작용이 멈추더라도, "축열 한계온도" 60℃의 축열재를 내장하고 있는 제 3축열팩(62)이, 계속해서 난방용 열교환기(40b)측의 폐열을 흡수한다.
결과적으로, 각기 다른 "축열 한계온도"의 축열재를 내장하고 있는 제 1 내지 제 3축열팩(62)들은, 난방용 열교환기(40b)에서 방출된 폐열을 온도별로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 1 내지 제 3축열팩(62)들의 단계별 폐열 처리 과정에서, 난방용 열교환기(40b)측의 폐열은, 일정온도 이하, 예를 들면, 제 2축열팩(62)의 "축열 한계온도(50℃)" 이하의 온도를 일정시간동안 유지하면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 결과, 난방용 열교환기(40b)측에서 온풍이 방출됨에도 불구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낮은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써, "온기 방출"로 인한 냉방성능의 저하현상이 개선된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각기 다른 "축열 한계온도"의 축열재를 내장하고 있는 각 축열팩(62)들이, 폐열유로(42)상에서 각기 다른 방향을 향해 설치되는 경우를 일례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기 다른 "축열 한계온도"의 축열재를 내장하고 있는 각 축열팩(62)들이, 폐열유로(42)상에서 병렬로 중첩 배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축열팩(62)들의 축열재를 각기 다르게 구성하여 각 축열팩(62)들의 축열 한계온도를 각기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난방용 열교환기(40b)와 냉방용 열교환기(40d)측에서 방출된 폐열을 온도별로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난방용 열교환기(40b)와 냉방용 열교환기(40d)측에서 방출된 폐열을 온도별로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난방용 열교환기(40b)와 냉방용 열교환기(40d)에서 방출된 폐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냉,난방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축열팩(62)들의 배열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축열팩(62)들로 인한 통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축열팩(62)들로 인한 통기저항을 최소화시키므로, 폐열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조부(40)의 공기 도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공조부(40)의 공기 도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난방용 열교환기(40b)와 냉방용 열교환기(40d)측에서의 냉,온풍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공조장치 본체 12: 폐열배출구
20: 감지부 30: 이동부
40: 공조부 40a: 압축기
40b: 난방용 열교환기 40c: 팽창밸브(Valve)
40d: 냉방용 열교환기 40e: 송풍팬(Fan)
40f: 개폐도어(Door) 42: 폐열유로
42a: 배기구멍 42b: 입구부
44: 격벽 50: 제어부
60: 폐열처리장치 62: 축열팩(Pack)

Claims (6)

  1. 공조장치 본체(10)와, 난방용 열교환기(40b)와, 냉방용 열교환기(40d)와, 냉방모드 시에는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40b)측에서 발생된 폐온풍을 방출하고 난방모드 시에는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40d)측에서 발생된 폐냉풍을 방출하는 폐열유로(42)와,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40b) 또는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40d)측에서 방출된 폐온풍 또는 폐냉풍의 폐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폐열유로(42)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축열팩(62)들을 포함하는 이동형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열팩(62)들은,
    각기 다른 축열 한계온도를 갖는 축열재를 내장하고 있어서,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40b) 또는 냉방용 열교환기(40d)측에서 방출된 폐열을 온도별로 차등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축열팩(62)들에 내장된 각 축열재의 축열 한계온도는, 낮은 온도로부터 높은 온도를 향해 순차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40b) 또는 냉방용 열교환기(40d)측에서 방출된 폐열을 온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팩(62)들은,
    상기 폐열유로(42)상에서 각기 다른 방향을 향해 설치되어, 상기 폐열유로(42)를 따라 방출되는 상기 난방용 열교환기(40b)의 폐온풍 또는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40d)의 폐냉풍을 각각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 본체(10)는,
    상기 각 축열팩(62)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폐열배출구(12)들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폐열배출구(12)들은, 상기 각 축열팩(62)들에 의해 처리된 폐온풍 또는 폐냉풍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축열팩(62)들은,
    상기 폐열유로(42)를 중앙에 두고 상기 공조장치 본체(10)의 외측방향을 향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축열팩(62)들은,
    상기 폐열유로(42)를 중앙에 두고 상기 공조장치 본체(10)의 외측 4개 방향을 향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공조장치 본체(10)의 폐열배출구(12)들은,
    상기 각 축열팩(62)들에 대응하여, 외측 4개 방향을 향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조장치.

KR1020160113712A 2016-09-05 2016-09-05 이동형 공조장치 KR102483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712A KR102483698B1 (ko) 2016-09-05 2016-09-05 이동형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712A KR102483698B1 (ko) 2016-09-05 2016-09-05 이동형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657A true KR20180027657A (ko) 2018-03-15
KR102483698B1 KR102483698B1 (ko) 2023-01-03

Family

ID=6165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712A KR102483698B1 (ko) 2016-09-05 2016-09-05 이동형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6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64410A (zh) * 2018-08-27 2020-03-06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计算机可读存储介质、移动空调及其控制方法与控制装置
CN111174289A (zh) * 2018-10-24 2020-05-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可移动的空调及其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9270A (ja) * 2002-05-08 2003-11-19 Panahome Corp 調温換気方法および装置
JP2005195279A (ja) * 2004-01-08 2005-07-21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装置
WO2009101398A1 (en) * 2008-02-11 2009-08-20 Artica Technologies Limited Pcm modules/packs/pcm arrangemen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9270A (ja) * 2002-05-08 2003-11-19 Panahome Corp 調温換気方法および装置
JP2005195279A (ja) * 2004-01-08 2005-07-21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装置
WO2009101398A1 (en) * 2008-02-11 2009-08-20 Artica Technologies Limited Pcm modules/packs/pcm arrangement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64410A (zh) * 2018-08-27 2020-03-06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计算机可读存储介质、移动空调及其控制方法与控制装置
CN110864410B (zh) * 2018-08-27 2021-05-07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计算机可读存储介质、移动空调及其控制方法与控制装置
CN111174289A (zh) * 2018-10-24 2020-05-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可移动的空调及其控制方法
CN111174289B (zh) * 2018-10-24 2022-06-1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可移动的空调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698B1 (ko)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7381B1 (ko) 환기겸용 공기조화시스템
EP3492843B1 (en) Refrigerator
KR100665999B1 (ko) 환기겸용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1628530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JP6958222B2 (ja) 車両用空調装置
CN109764410B (zh) 强制空气调节系统
KR20120045920A (ko) 전기자동차의 냉난방장치
US10160284B2 (en) Air conditioner of vehicle
KR2018011594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90068356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20180027657A (ko) 이동형 공조장치
JP7260256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791919B1 (ko) 환기와 냉난방 및 제습기능을 갖는 욕실용 건조장치
EP3136022B1 (en) Hybrid heat pump apparatus
KR102643526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US20100071888A1 (en)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JP2015195169A (ja) 温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007302B1 (ko) 공기조화장치
KR101094846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0440722Y1 (ko) 천장형 에어컨의 토출장치
KR102421080B1 (ko) 로봇 공조장치
KR102438066B1 (ko) 로봇 공조장치
KR101169346B1 (ko) 공기순환 예열 및 내부절환 제상방식의 공기조화시스템
CN114390980B (zh) 车辆的热交换系统
KR20130142512A (ko)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