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221A - 도로변 경계석의 경사와 굴곡에 대응 가능한 수밀형 펜스 - Google Patents

도로변 경계석의 경사와 굴곡에 대응 가능한 수밀형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221A
KR20180027221A KR1020160114550A KR20160114550A KR20180027221A KR 20180027221 A KR20180027221 A KR 20180027221A KR 1020160114550 A KR1020160114550 A KR 1020160114550A KR 20160114550 A KR20160114550 A KR 20160114550A KR 20180027221 A KR20180027221 A KR 20180027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s
groove
shap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7858B1 (ko
Inventor
배동환
Original Assignee
배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동환 filed Critical 배동환
Priority to KR1020160114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85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8Details of element conn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25Combinations of at least two of the barrier member types covered by E01F15/04 - E01F15/08, e.g. rolled steel section or plastic strip backed up by cable, safety kerb topped by rail barri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0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building blocks, e.g. from concrete or st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도로변 경계석의 경사와 굴곡에 대응 가능한 수밀형 펜스에 관한 것으로, 말뚝 사이에 사각막대 형태의 블록들이 경계석의 상면 경사에 따라 서로 높이가 어긋나도록 줄지어 맞물림 결합되고, 어느 한 블록의 돌기를 외력으로 누른 후 인접한 다른 블록의 홈에 삽입시킴으로써 돌기의 복원력에 의해 블록들이 서로 수밀하게 결합되고 동시에, 경계석의 표면굴곡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 실링부재를 블록의 하단에 부착하여 경계석과 블록간 수밀하게 결합됨으로써 도로변으로부터 오수나 화학물이 화단이나 인도로 튀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변 경계석의 경사와 굴곡에 대응 가능한 수밀형 펜스 {Watertight type fence responding to slope and curve of road boundary stone}
화학물이나 오수와 같은 유해물질이 도로변에 설치된 화단이나 인도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단이나 인도 주변으로 설치된 펜스에 관한 것이다.
도로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들이 존재한다. 겨울철 도로에 쌓인 눈을 제거하기 위해 염화칼슘이나 다른 화학물질을 뿌리게 되는데, 눈을 녹인 뒤에도 화학성을 가지면서 액체 상태로 도로상에 남아있게 된다. 또한, 차량으로부터 나오는 배기물질 등이 물과 썩어 오수가 되어 도로변에 남아있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화학물질을 함유한 물이나 차량배기물질이 썩인 오수를 자동차가 밟고 지나면 도로변에 설치된 화단으로 튀게 되어, 결국 화단의 식물이 고사하게 된다. 또한, 인도를 걷는 보행자에게 오물이 튀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단과 도로 사이에 펜스 역할을 하도록 지푸라기를 엮어 심어 놓지만, 완전한 차수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자주 교체가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종래의 기술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169743호의 '가로화단 보호용 펜스'는 차단막을 홈이 형성된 지주에 삽입시킨 울타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의 펜스는 차단막과 경계석 사이에 반드시 틈이 발생하게 되어 완전하게 오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없고, 도로가 경사진 부분에 설치하는 경우 차단막이 삐뚤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전체 차단막 중 일부라도 찢어지는 경우에는 전체 차단막의 교체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경사진 도로변에 설치된 화단이나 인도의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전체 펜스 중 일부에 문제가 되더라도 일부만 교체 및 보수할 수 있고, 경계석이 경사지거나 표면이 울퉁불퉁하더라도 펜스와 경계석 사이의 틈새가 존재하지 않도록 도로변 경계석의 경사와 굴곡에 대응 가능한 수밀 구조를 가지는 펜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된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도로변 경계석의 경사와 굴곡에 대응 가능한 수밀형 펜스는 도로와 화단 또는 도로와 인도 사이에 위치한 경계석의 측면에 접촉하거나 근접하여 상기 경계석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삽입되어 상기 경계석 상에 직립 고정되는 일자형의 복수 개의 말뚝; 각각이 사각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말뚝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 말뚝 사이의 경계석의 상면 상에 줄지어 서 있고, 상기 경계석의 상면의 경사에 따라 서로 높이가 어긋나게 맞물림 결합되는 복수 개의 블록; 및 각각이 상기 각 블록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경계석의 상면에 접촉되며, 상기 각 블록의 하중에 의해 눌려 상기 경계석의 표면의 굴곡에 따라 변형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블록의 하단과 상기 경계석의 표면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복수 개의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 블록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블록의 양측면 중 타측면에는 상기 홈의 횡단면 형상과 다르면서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홈에 삽입 가능한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블록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의 어느 하나의 블록의 일측면의 홈에 다른 하나의 블록의 타측면의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돌기의 형상이 원래형상으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으로 인하여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은 수밀하게 결합된다.
상기 복수 개의 블록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의 어느 하나의 블록의 일측면의 홈은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블록의 타측면의 돌기는 횡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돌기가 상기 홈의 내주연을 밀어내는 구조로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은 서로 밀착되어 수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블록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의 어느 하나의 블록의 일측면의 홈은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블록의 타측면의 돌기는 횡단면의 절반 중 상기 돌기와 가까운 일측 절반이 상기 돌기와 먼 타측 절반보다 넓은 비대칭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돌기가 상기 홈의 내주연을 밀어내는 구조로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은 서로 밀착되어 수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말뚝은 사각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각 말뚝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각 블록의 돌기의 횡단면 형상과 다르면서 상기 각 블록의 돌기가 삽입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상기 각 블록의 홈의 횡단면 형상과 다르면서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각 블록의 홈에 삽입 가능한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말뚝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블록의 최좌측 또는 최우측의 블록과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블록의 몸체는 상면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각 블록의 몸체의 내부에는 토사, 콘크리트, 석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각 실링부재는 측면이 안쪽으로 만곡진 형상으로, 상기 각 실링부재는 상기 각 블록의 하중에 의해 눌리면서 상기 각 실링부재의 측면으로 팽창되면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실링부재의 측면끼리는 수밀하게 맞닿게 될 수 있다. 상기 각 블록에는 도로변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블록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어느 한 블록의 돌기를 외력으로 누른 후 단면형상이 다른 블록의 홈에 삽입시킴으로써, 돌기가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려는 복원작용으로 인해 돌기와 홈 간의 틈이 거의 없어지도록 수밀하게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오수와 같은 유해물질이 펜스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 수밀성 또는 차수성을 갖는 펜스를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어느 한 블록의 돌기가 인접한 블록의 홈에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구조로써 블록들 각각이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될 수 있어, 경계석들의 높이가 서로 어긋나거나 화단 또는 인도 자체가 경사진 환경에서도 도로변 경계석의 경사와 굴곡에 대응할 수 있고, 그 결과 다양한 설치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항상 우수한 수밀성을 갖는 펜스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파손이나 하자가 있는 일부 블록에 대해서는 그 부분만 수직하게 뽑을 수 있으므로, 펜스의 일부교체나 보수작업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블록의 하단에 경계석 표면의 굴곡에 따라 변형되는 실링부재를 부착시킴으로써 경계석의 표면이 매끈하지 않고 울퉁불퉁하더라도 오수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블록간의 틈새를 완전하게 밀봉시킬 수 있다.
어느 한 블록의 홈의 단면은 원형이고, 다른 블록의 돌기의 단면은 타원형인 경우 돌기가 타원형으로 돌아가려는 복원작용으로 인해 홈의 내주면 일부분에 복원력이 집중되는 부분이 발생하는 구조로써, 돌기와 홈 사이 틈새를 막는 일부분이 존재하여 오수가 블록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게 완벽하게 막을 수 있다.
어느 한 블록의 홈의 단면은 원형이고, 다른 블록의 돌기의 단면은 절반 중 돌기와 가까운 측 단면이 다른 측 단면보다 넓은 비대칭인 경우 돌기가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려는 복원작용으로 홈의 내주면에 누름힘이 집중되는 부분이 발생하는 구조로써, 돌기와 홈 사이 틈새를 막는 일부분이 존재하여 오수가 블록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게 막을 수 있음과 동시에 돌기의 복원력이 서로 이웃하는 블록들이 서로 밀착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블록사이의 틈새를 더욱 제거함으로써 오수의 통과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말뚝의 일측에 블록과 같은 홈이 형성되어 있고 말뚝의 타측에 블록과 같은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말뚝과 이것에 인접해 있는 블록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호환성을 가진다. 따라서, 말뚝과 블록이 수밀하게 결합되는 구조로서 말뚝 주변의 틈으로 오수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블록은 상면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토사, 콘크리트 또는 석괴들 같은 무거운 부재를 내장할 수 있어, 실링부재를 더욱 눌러 블록과 경계석 사이의 공간을 더욱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블록의 하중이 증가하는 만큼 외력에 의해 블록이 잘 넘어지지 않는 버팀력이 증가할 수 있다.
블록의 하단에 부착된 실링부재는 측면이 안쪽으로 만곡지게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실링부재가 블록의 하중에 의해 눌려 측면이 팽창되더라도 블록들간의 틈이 벌어지지 않게 다른 블록의 실링부재에 적당하게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재가 팽창되더라도 주변의 다른 구성의 위치에 영향이 미치지 않아 블록간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블록들의 수밀결합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블록의 네 측면 중 도로에 마주하는 측면과 측면에 대면하는 측면을 관통하는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어 도로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바람이 블록에 부딪혀 블록을 밀지 않고 흡입구로 유입되어 배출구로 통과되도록 바람구멍을 만들어 줌으로써 블록을 넘어뜨리는 바람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펜스의 말뚝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펜스의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의 일 실시예에 대한 결합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결합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펜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블록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로 상의 오수 등과 같은 도로의 이물질이 화단이나 인도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게 위해 도로변 경계석의 경사와 굴곡에 대응 가능한 수밀형 펜스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이러한 펜스를 간략하게 "펜스"로 호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펜스의 말뚝(10)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펜스의 블록(20)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는 복수 개의 말뚝(10), 복수 개의 블록(20), 및 복수 개의 실봉부재(3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펜스는 상기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도 마찬가지로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설치장소의 일 예시인 화단 주변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복수 개의 말뚝(10)은 그 각각이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도로와 화단(1) 사이에 위치한 경계석(2)의 측면에 접촉하거나 근접하여 화단(1)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되어 화단(1)과 경계석(2) 상에 직립 고정된다. 즉, 각 말뚝(10)은 도로변을 따라 화단(1)과 경계석(2)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직립하게 설치되며, 도로변에 노출되지 않은 경계석(2)의 외면에 첨예한 하단이 맞닿거나 인접하게 화단(1)에 삽입된다. 말뚝(10)은 필요에 따라 내구성을 위해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등 다양한 재질로도 제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각 말뚝(10)의 하단은 화단(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일부가 쐐기 형상으로 예리하게 돌출된 횡단면 "L"형으로 형성되어 일부는 화단(1)에 삽입되고 계단 형상으로 함몰된 타부는 경계석 상에 안착된다. 말뚝(10)은 블록(20)보다 조금 더 두꺼울 수 있다. 말뚝(10)의 하단의 타부가 경계석 상에 안착된 상태로 그 하단 일부가 화단(1)에 삽입됨으로써 말뚝(10)의 몸체는 경계석(2) 상에 안정적으로 직립되어 있게 되며, 그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에 의해 이것에 인접해 있는 블록(20)과 결합될 수 있다. 말뚝(10)의 하단의 일부는 화단(1)에 매설되어 있고, 매설되지 않은 몸체는 횡단면이 사각형인 직육면체의 기둥 형상으로 일측면에는 후술할 블록(20)의 돌기(21)가 삽입될 수 있는 홈(1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블록(20)의 홈(21)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말뚝(10)을 측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말뚝(10)의 홈(11)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빗금 처리하였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반대편은 말뚝(10)의 돌기(12)가 형성되어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경계석(2) 상에 안착되는 말뚝(10)의 하단 타부의 하면에는 후술할 실링부재(30)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말뚝(10)의 하중에 의해 실링부재(30)가 눌러 경계석(2)의 표면 굴곡에 무관하게 말뚝(10)과 경계석(2) 사이가 수밀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블록(20)은 그 각각이 사각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말뚝(10)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 말뚝(10) 사이의 경계석(2)의 상면 상에 줄지어 서있고, 경계석(2)의 상면의 경사에 따라 서로 높이가 어긋나게 맞물림 결합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블록(20)은 그 각각이 거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화단(1)과 경계석(2) 상에 직립된 상태로 안착되며, 복수 개의 말뚝 중 가장 인접해 위치하는 한 쌍의 말뚝 사이에 일렬로 다수 개가 배치된다.
각 블록(20)은 PP(Polypropylene)와 PE(Polyethylene)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중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를 발포 압출 성형 또는 미발포 압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어느 한 블록(20)의 돌기(22)가 인접한 블록(20)의 홈(21)에 블록(2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블록끼리 맞물림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블록(20)들은 그 각각의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할 수 있는 독립성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경계석(2)들의 높이가 서로 어긋나거나 화단(1) 자체가 경사진 환경에서도 블록(20)들은 그 각각의 하면이 경계석(2)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도로변 경계석의 경사가 심한 환경 등 다양한 도로변 환경에 높은 수밀성을 유지하면서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게다가, 일부 블록(20)이 파손되거나 하자가 있는 경우, 문제가 있는 부분을 수직하게 뽑을 수 있으므로 펜스의 일부교체나 보수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각 블록(20)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의 홈(21)이 형성되어 있고, 각 블록(20)의 양측면 중 타측면에는 홈(21)의 횡단면 형상과 다르면서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홈(21)에 삽입 가능한 형상의 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20)의 일측면에는 일부 개구된 원통형의 홈(2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홈(21)과 다른 형상의 돌기(22)가 외향돌출되어 있다. 복수 개의 블록(20)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20)의 어느 하나의 블록(20)의 일측면의 홈(21)에 다른 하나의 블록(20)의 타측면의 돌기(22)가 삽입되어 돌기(22)의 형상이 원래형상으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으로 인하여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20)은 수밀하게 결합된다. 돌기(22)는 홈(21)에 삽입될 때 외력에 의해 눌려 형상이 변한 상태에서 삽입되므로, 돌기(22)가 원래형상으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에 의해 홈(21)의 내주면을 밀어 내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각 블록(20)간의 틈새가 거의 없을 정도로 수밀하게 밀착되게 되어 도로변의 오수가 통과할 수 없는 수밀형 펜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작업자가 어느 한 블록(20)의 돌기(22)를 외력으로 누른 후 단면형상이 다른 인접한 블록(20)의 홈에 삽입시킬 때에 돌기(22)가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려는 복원작용으로 인해 돌기(22)와 홈(21)간의 틈이 거의 없어지도록 수밀하게 결합되는 펜스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펜스는 오수와 같은 유해물질이 펜스를 통과하지 못하는 수밀성 또는 차수성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블록(20)의 돌기(22)에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중공(23)이 형성되어 있어, 각 블록(20)의 돌기(22)는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형태가 변하면서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중공(23)은 돌기(22)의 두께가 일정하도록 돌기(22)와 단면 형상과 닮음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중공(23)의 내부에 토사, 콘크리트, 석괴들 중 적어도 하나(C)를 주입함으로써 중공(23)의 내부를 단단히 채울 수 있다. 따라서, 돌기(22) 부분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휘지 않고 직립되어 버틸 수 있는 저항성을 가지면서, 돌기(22)의 중공(23)에 단단한 물질을 충진시키는 과정에서 돌기가 팽창되어 홈(21)과 더욱 밀착됨으로써 돌기(22)와 홈(21) 간의 틈새를 더욱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블록(20)의 홈(21) 및 돌기(22)와 같이, 말뚝(10)의 양측면에도 홈(11)과 돌기(12)가 형성되어 인접된 블록(20)들과 결합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각 말뚝(10)은 사각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각 말뚝(10)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각 블록(20)의 돌기(22)의 횡단면 형상과 다르면서 각 블록(20)의 돌기(22)가 삽입 가능한 홈(1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각 블록(20)의 홈(21)의 횡단면 형상과 다르면서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각 블록(20)의 홈(21)에 삽입 가능한 형상의 돌기(12)가 형성되어 있고, 복수 개의 말뚝(10) 중 어느 하나는 복수 개의 블록(20)의 최좌측 또는 최우측의 블록(20)과 맞물려 결합된다.
각 블록(20)의 돌기(21)의 횡단면은 말뚝(10)의 홈(11)의 횡단면과 다른 형상으로 작업자는 블록(20)의 돌기(21)를 눌러 변형시킨 뒤 말뚝(10)의 홈(11)에 삽입시킨다. 마찬가지로, 각 말뚝(10)의 돌기(12)의 횡단면은 블록(20)의 홈(21)의 횡단면과 다른 형상으로 작업자는 말뚝(10)의 돌기(12)를 눌러 변형시킨 뒤 블록(20)의 홈(21)에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각 말뚝(10)의 일측에는 블록(20)과 같은 홈(11)이 형성되어 있고 말뚝(10)의 타측에는 블록(20)과 같은 돌기(12)가 형성되어 있어 말뚝(10)은 이것에 인접해 있는 블록(20)과 서로 맞물림 결합될 수 있는 호환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말뚝(10)과 블록(20)은 수밀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말뚝(10) 주변의 틈으로 오수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말뚝(10)의 돌기(12)도 블록(20)의 돌기(22)와 마찬가지로 외력으로 형태를 용이하게 변형시키기 위해, 각 말뚝(10)의 돌기(12)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중공(1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블록(20)과 말뚝(10)을 체결시킨 후, 이 중공(13)의 내부로 토사, 콘크리트, 석괴들 중 적어도 하나(C)를 주입하여 중공(13)의 내부를 단단히 채움으로써 말뚝(10)의 돌기(12)와 블록(20)의 홈(21)간 틈새를 더욱 제거할 수 있고 돌기(12) 부분이 외력에도 견고하게 직립 고정될 수 있는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즉, 말뚝(10)이나 블록(20)의 중공(13, 23)이 있는 돌기(12, 22)가 홈(11, 12)에 삽입되어 체결된 부분은 말뚝(10)이나 블록(20)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화단(1) 방향으로 미는 외력을 버티기에 취약하므로 중공(23)에 단단한 물질을 충진시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실링부재(30)는 각각이 각 블록(20)의 하단에 부착되어 경계석(2)의 상면에 접촉되며, 각 블록(20)의 하중에 의해 눌려 경계석(2)의 표면의 굴곡에 따라 변형됨으로써 복수 개의 블록(20)의 하단과 경계석(2)의 표면 사이의 틈을 밀봉한다. 각 실링부재(30)는 각 블록(20)의 하단에 결합되어 각 블록(20)의 하중에 의해 형태가 변하는 연성 또는 탄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써 실링부재(30)는 스폰지, 섬유재질의 헝겊, 고무, 폴리우레탄 등 발포 성형된 합성수지계열의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2)의 높이가 서로 일치되지 않아 어긋나게 설치되어 있거나 경계석(2)의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또 심지어 일부가 깨져있는 경우에 블록(20)의 하면과 경계석(2)의 상면 사이에는 들뜬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계석(2)의 상면에 실링부재(30)가 변형되어 압착됨으로써 경계석(2)과 블록(20) 사이의 틈은 메워지게 된다. 즉, 블록(20)의 하단에 경계석(2) 표면의 굴곡에 따라 변형될 수 있는 소재의 실링부재(30)를 부착시킴으로써 경계석(2)의 표면이 매끈하지 않고 울퉁불퉁하더라도 오수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블록(20)간의 틈새를 완전하게 밀봉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각 실링부재(30)는 측면이 안쪽으로 만곡진 형상으로, 각 실링부재(30)는 각 블록(20)의 하중에 의해 눌리면서 각 실링부재(30)의 측면으로 팽창되면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실링부재(30)의 측면끼리는 수밀하게 맞닿게 된다. 즉, 각 실링부재(30)는 블록(20)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는 직육면체로써 각 측면이 실링부재(30)의 안쪽으로 오목하게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실링부재(30)의 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각 실링부재(30)가 블록(20)의 하중에 의해 눌려 부풀어 오를 때에 블록(20)들간의 틈이 벌어지지 않게 다른 블록(20)의 실링부재(30)에 적당하게 밀착될 수 있는 정도로만 부풀어 오를 수 있다.
즉, 블록(20)의 하단에 부착된 실링부재(30)는 각 측면이 안쪽으로 만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실링부재(30)가 블록(20)의 하중에 의해 눌려 측면이 팽창되더라도 블록(20)들간의 틈이 벌어지지 않게 다른 블록(20)의 실링부재(30)에 적당하게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재(30)가 팽창되더라도 주변의 다른 구성에 영향이 미치지 않아 블록(20)간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블록(20)들간의 수밀결합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30)의 측면의 오목한 정도는 실링부재(30)가 블록(20)의 하중에 의해 눌려 측향으로 부풀어 오르는 정도와 블록(20)들간의 간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해야 한다.
각 블록(20)의 홈(21), 돌기(22)가 이것에 인접한 다른 블록(20)의 홈(21), 돌기(22)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되거나 탈거될 수 있도록, 블록(20)의 홈(21) 아래 위치한 실링부재(30)의 일측면에는 도 3에 도시된 같이 홈(2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실링부재(30)는 블록(20)의 하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단단히 접착될 수도 있고, 다른 방식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록(20)의 하면에는 아래를 향하여 돌출된 요부가 형성되어, 그 요부가 실링부재(30)의 상면에 형성된 철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기존의 일반적인 펜스나 종래기술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169743호의 '가로화단 보호용펜스'는 넓은 사각판 형태로 시공되기 때문에 경사진 도로에 설치될 경우에 펜스와 도로변의 경계석 상면 사이에는 들뜬 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이 공간을 통하여 도로 상의 오수 등과 같은 도로의 이물질이 화단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실시예는 다수의 블록(20)이 서로간의 측면이 수밀하게 맞물림 결합되어 설치되는 구조로서 각 블록(20)의 높이가 서로 달라질 수 있는 독립성이 있기에 평평한 도로는 물론 펜스와 도로변의 경계석 상면 사이에는 들뜬 공간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화단 측으로의 도로의 이물질 유입이 완벽하게 차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일 지점의 경계석(2)이 불균일한 경우 블록(20)의 높이만 상이하게 설치될 뿐 블록(20)들끼리는 여전히 수밀하게 결합되어 있기에, 도로로부터 튀는 오수가 펜스를 통과할 수 없다. 또한, 다수의 블록(20)이 말뚝(10)과 수직하게 열을 맞추어 배열되어 있어, 어느 일부분의 블록(20)에 파손 등의 문제가 있는 경우에 그 부분의 블록(20)만을 수직방향으로 빼내어 교체할 수 있다. 게다가, 일렬로 배치된 블록(20)들은 하나의 면을 이루어 기업이나 정부기관의 광고나 문구를 부착하여 홍보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펜스는 서로 이웃하는 블록(20)간에 수밀한 구조로 맞물림 결합됨으로써 도로로부터 화단으로 튀는 오수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펜스의 일부분이 파손 등 문제가 있는 부분은 그 부분만 빼내어 교체할 수 있으며, 경사진 도로나 평평하지 않은 지반에도 설치되어 높은 수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블록(20)의 일 실시예에 대한 결합 설명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록(20)의 일 실시예로 복수 개의 블록(20)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20)의 어느 하나의 블록(20a)의 일측면의 홈(21)은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블록(20b)의 타측면의 돌기(22)는 횡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두 블록(20) 중 어느 한 블록(20a)의 원형 홈(21)에 다른 블록(20b)의 돌기(22)를 삽입하기 위해 작업자는 횡단면이 타원형인 다른 블록(20b)의 돌기(22)에 외력을 가하여 원통형으로 만든 후에 어느 한 블록(20a)의 홈(21)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홈(21)의 단면 직경은 돌기(22)가 눌러 원형이 되었을 때의 직경과 거의 같거나 약간 작다.
돌기(22)는 다시 타원형으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으로 인해 홈(21)의 내주연을 외측방향으로 밀게 된다. 도 4의 점선으로 표시된 'A'와 같은 부분에 압착력이 특히 집중되어 틈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블록(20)들 사이로 오수가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실시예는 어느 한 블록(20)의 홈(21)의 단면은 원형이고, 다른 블록(20)의 돌기(22)의 단면은 타원형으로써 돌기(22)가 타원형으로 돌아가려는 복원작용으로 인해 홈(21)의 내주면 일부분에 복원력이 집중되는 부분(A)이 발생하는 구조로서, 돌기(22)와 홈(21) 사이의 틈새를 막는 일부분이 반드시 존재하여 도로로부터 튀어 오르는 오수가 블록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상술한 블록(20)의 돌기(22) 및 홈(21)의 형상은 말뚝(10)의 돌기(12) 및 홈(11)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결합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블록(20)의 다른 실시예로 복수 개의 블록(20)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20)의 어느 하나의 블록(20a)의 일측면의 홈(21)은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블록(20b)의 타측면의 돌기(22)는 횡단면의 절반 중 돌기(22)와 가까운 일측 절반이 돌기(22)와 먼 타측 절반보다 넓은 비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두 블록(20) 중 어느 한 블록(20a)의 원형 홈(21)에 다른 블록(20b)의 돌기(22)를 삽입하기 위해 작업자가 횡단면이 비대칭형인 다른 블록(20b)의 돌기(22)에 외력을 가하여 원통형으로 만든 후에 어느 한 블록(20a)의 홈(21)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홈(21)의 단면 직경은 돌기(22)가 눌러 원형이 되었을 때의 직경과 거의 같거나 약간 작다.
돌기(22)는 다시 비대칭형으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으로 인해 홈(21)의 내주연을 외측방향으로 밀게 된다. 도 5의 점선으로 표시된 'B'와 같은 부분에 압착력이 특히 집중되어 틈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블록(20)들 사이로 오수가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실시예는 어느 한 블록(20a)의 홈(21)의 단면은 원형이고, 다른 블록(20b)의 돌기(22)의 단면은 절반 중 돌기(22)와 가까운 측 단면이 다른 측 단면보다 넓은 비대칭인 경우 돌기(22)가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려는 복원작용으로 홈(21)의 내주면에 누름힘이 집중되는 부분(B)이 발생하는 구조로서, 돌기(22)와 홈(21) 사이 틈새를 막는 일부분이 존재하여 도로로부터 튀어 오르는 오수가 블록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돌기(22)의 단면 형상이 돌기(22)와 연결된 블록(20b) 쪽으로 갈수록 더 확장되는 비대칭 형상이기 때문에 돌기(22)의 복원력은 이것에 인접해 있는 블록(20)을 끌어 당기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블록(20) 사이의 틈새를 더욱 제거함으로써 블록(20) 사이를 통한 오수의 유입이 완벽하게 차단될 수 있다. 상술한 블록(20)의 돌기(22) 및 홈(21)의 형상은 말뚝(10)의 돌기(12) 및 홈(11)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스는 복수 개의 말뚝(10), 복수 개의 블록(20), 및 복수 개의 실링부재(30)로 구성되고, 각 블록(20)의 몸체는 상면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각 블록(20)의 몸체의 내부에 토사, 콘크리트, 석괴들 중 적어도 하나(C)가 채워질 수 있다. 말뚝(10), 블록(20), 실링부재(30)는 도 1-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 설명으로 갈음하며,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뚝(10)이나 블록(20)은 상면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그 내부 공간에는 콘크리트나 바위, 자갈, 모래, 흙과 같이 자연에서 구하기 쉬운 물질을 충진시킬 수 있다. 펜스의 일부의 말뚝(10)이나 블록(20)에만 다른 물질을 충진시킬 수도 있고, 펜스의 모든 말뚝(10)이나 블록(20)에 다른 물질을 내장시킬 수 있으며, 위 예시한 물질 이외에 말뚝(10)이나 블록(20)의 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다른 것들도 적절하게 선택하여 충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말뚝(10)이나 블록(20)의 하중을 증가시킴으로써 바람에도 흔들리지 않고 말뚝(10)이나 블록(20)이 안정적으로 경계석(2)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동시에 실링부재(30)가 경계석(2) 측으로 더 강하게 눌림에 따라 블록(20)와 경계석(2) 사이의 틈이 더욱 확실하게 밀봉될 수 있다. 즉, 전체적인 펜스의 직립 고정됨을 강화하여 임계 이상의 외부 충격에도 넘어지지 않을 수 있다. 도로변으로부터 오수 뿐 아니라 돌이나 나뭇가지 등 다른 물건이 화단(1)으로 튀어 큰 충격이 오더라도 무거운 펜스가 넘어지지 않고 버틸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재(30)의 밀봉성을 더욱 강화하여 오수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른 물체와의 충돌로 인한 충격으로부터 화단(1)을 보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블록(20)은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콘크리트나 돌 같은 무거운 물질을 내장시킬 수 있어, 실링부재(30)를 더욱 눌러 블록(20)과 경계석(2) 사이의 틈새를 더욱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블록(20)의 하중이 증가하는 만큼 외력에 의해 블록(20)이 잘 넘어지지 않는 버팀력이 증가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펜스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뚝(10)의 측면 중 도로변을 바라보는 측면에 별도의 광고판이 부착되어 상업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화살표가 부착되어 차선의 주행방향을 안내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말뚝(10)의 중공(13)에 식생토를 가득 채우고 꽃을 다량 심을 수 있다. 각 말뚝(10)의 상면에 꽃을 심을 수 있어 펜스가 화분역할을 수행하며 도로변을 따라 줄지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시의 조경 환경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꽃에 준 물이 말뚝(10)의 하단으로 투수되도록 말뚝(10)의 중공(13)은 말뚝(10)의 바닥면까지 뚫려있을 수 있다. 물은 꽃을 적시고 중공(13)에 채워진 식생토를 통과한 뒤 스폰지와 같은 실링부재(30)를 적시면서 외부로 천천히 배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스는 복수 개의 말뚝(10), 복수 개의 블록(20), 및 복수 개의 실링부재(30)로 구성되고, 각 블록(20)은 도로변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각 블록(2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통풍구(24)가 형성될 수 있다. 말뚝(10), 블록(20), 실링부재(30)는 일 실시예와 상술한 설명으로 갈음하며,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말뚝(10)이나 블록(20)의 네 측면 중 도로변과 마주보는 면에 바람이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된 통풍구(24)가 형성되어 있다. 도로로 자동차가 지나면서 강한 바람이 펜스로 불며, 바람이 강한 경우에 펜스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일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통풍구(24)는 불어오는 바람을 통과시킴으로써 풍압을 감쇄시킨다. 즉, 말뚝(10)이나 블록(20)에 통풍구(24)를 형성하여 도로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바람이 블록(20)에 부딪혀 블록(20)을 밀지 않고 통풍구(24)로 통과될 수 있도록 바람 통과구를 만들어 줌으로써 블록(20)을 넘어뜨리는 바람의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통풍구(2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20)의 상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통풍구(24)는 필요에 따라 두 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통풍구의 입구와 출구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흡입구보다 배출구가 더 높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도로로부터 튄 오수가 통풍구로 들어오더라도 경사진 통로로 인해 펜스를 통과하지 않게 된다. 또한, 통풍구(24)는 관으로 흡입구가 배출구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즐구조로 인해 좁은 직경의 흡입구내로 유입된 바람은 넓은 직경의 배출구를 통과하면서 급격히 속도가 떨어지게 되어 펜스의 화단(1)부분에 위치한 식물들에게 바람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말뚝
20 : 블록
11, 21 : 홈
12, 22 : 돌기
13, 23 : 중공
24 : 통풍구
30 : 실링부재

Claims (7)

  1. 도로변 경계석의 경사와 굴곡에 대응 가능한 수밀형 펜스에 있어서,
    도로와 화단(1) 또는 도로와 인도 사이에 위치한 경계석(2)의 측면에 접촉하거나 근접하여 상기 경계석(2)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삽입되어 상기 경계석(2) 상에 직립 고정되는 일자형의 복수 개의 말뚝(10);
    각각이 사각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말뚝(10)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 말뚝(10) 사이의 경계석(2)의 상면 상에 줄지어 서 있고, 상기 경계석(2)의 상면의 경사에 따라 서로 높이가 어긋나게 맞물림 결합되는 복수 개의 블록(20); 및
    각각이 상기 각 블록(20)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경계석(2)의 상면에 접촉되며, 상기 각 블록(20)의 하중에 의해 눌려 상기 경계석(2)의 표면의 굴곡에 따라 변형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블록(20)의 하단과 상기 경계석(2)의 표면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복수 개의 실링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각 블록(20)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의 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블록(20)의 양측면 중 타측면에는 상기 홈(21)의 횡단면 형상과 다르면서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홈(21)에 삽입 가능한 형상의 돌기(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블록(20)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20a, 20b)의 어느 하나의 블록(20a)의 일측면의 홈(21)에 다른 하나의 블록(20b)의 타측면의 돌기(22)가 삽입되어 상기 돌기(22)의 형상이 원래형상으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으로 인하여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20a, 20b)은 수밀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블록(20)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20a, 20b)의 어느 하나의 블록(20a)의 일측면의 홈(21)은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블록(20b)의 타측면의 돌기(22)는 횡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기(22)가 상기 홈(21)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돌기(22)가 상기 홈(21)의 내주연을 밀어내는 구조로 상기 돌기(22)와 상기 홈(21)은 서로 밀착되어 수밀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블록(20)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20a, 20b)의 어느 하나의 블록(20a)의 일측면의 홈(21)은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블록(20b)의 타측면의 돌기(22)는 횡단면의 절반 중 상기 돌기(22)와 가까운 일측 절반이 상기 돌기(22)와 먼 타측 절반보다 넓은 비대칭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기(22)가 상기 홈(21)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돌기(22)가 상기 홈(21)의 내주연을 밀어내는 구조로 상기 돌기(22)와 상기 홈(21)은 서로 밀착되어 수밀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말뚝(10)은 사각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각 말뚝(10)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각 블록(20)의 돌기(22)의 횡단면 형상과 다르면서 상기 각 블록(20)의 돌기(22)가 삽입 가능한 홈(1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상기 각 블록(20)의 홈(21)의 횡단면 형상과 다르면서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각 블록(20)의 홈(21)에 삽입 가능한 형상의 돌기(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말뚝(1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블록(20)의 최좌측 또는 최우측의 블록과 맞물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20)의 몸체는 상면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각 블록의 몸체의 내부에는 토사, 콘크리트, 석괴들 중 적어도 하나(C)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실링부재(30)는 측면이 안쪽으로 만곡진 형상으로, 상기 각 실링부재(30)는 상기 각 블록(20)의 하중에 의해 눌리면서 상기 각 실링부재(30)의 측면으로 팽창되면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실링부재(30)의 측면끼리는 수밀하게 맞닿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20)에는 도로변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블록(2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통풍구(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KR1020160114550A 2016-09-06 2016-09-06 도로변 경계석의 경사와 굴곡에 대응 가능한 수밀형 펜스 KR101877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550A KR101877858B1 (ko) 2016-09-06 2016-09-06 도로변 경계석의 경사와 굴곡에 대응 가능한 수밀형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550A KR101877858B1 (ko) 2016-09-06 2016-09-06 도로변 경계석의 경사와 굴곡에 대응 가능한 수밀형 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221A true KR20180027221A (ko) 2018-03-14
KR101877858B1 KR101877858B1 (ko) 2018-07-12

Family

ID=6166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550A KR101877858B1 (ko) 2016-09-06 2016-09-06 도로변 경계석의 경사와 굴곡에 대응 가능한 수밀형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8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8703A (zh) * 2021-06-04 2021-09-03 北京华体体育场馆施工有限责任公司 一种卡丁车赛道冰面界墙
KR102621103B1 (ko) * 2023-10-11 2024-01-04 대한한옥개발 주식회사 재활용 플라스틱 화단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2041A (ja) * 1999-06-11 2000-12-19 Yoshida Kikai Seisakusho:Kk 仕切り用ブロック及びその連結体
KR200327796Y1 (ko) * 2003-07-07 2003-09-22 김정웅 도로경계블록
KR101213075B1 (ko) * 2010-10-06 2012-12-18 (주)로드키네마틱스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8703A (zh) * 2021-06-04 2021-09-03 北京华体体育场馆施工有限责任公司 一种卡丁车赛道冰面界墙
KR102621103B1 (ko) * 2023-10-11 2024-01-04 대한한옥개발 주식회사 재활용 플라스틱 화단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858B1 (ko)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334B1 (ko) L형 측구를 활용한 다기능 배수관
KR20140122782A (ko) 옹벽용 배수로에서 배수 촉진장치
KR101877858B1 (ko) 도로변 경계석의 경사와 굴곡에 대응 가능한 수밀형 펜스
KR20140041029A (ko) 교량용 녹화 및 우수 정화 구조체
KR100868986B1 (ko)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KR100707718B1 (ko)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
KR101673421B1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043662B1 (ko) 배수용 측구 조립체
KR102175809B1 (ko) 우수 침투 저류 보도블록
KR20080092520A (ko) 가로수 보호용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689761B1 (ko) 식생블럭 조립체
KR100659768B1 (ko) 탄성 포장재의 배수 장치
KR200406094Y1 (ko) 포장도로의 빗물배수구조
KR102219062B1 (ko)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KR101913602B1 (ko) 투수블록
KR101127629B1 (ko) 도로 횡단 방지 조경물
JP2005042500A (ja) コンクリート成型品、及びアスファルト舗装方法
KR102235676B1 (ko) 다용도 모듈형 블록틀
KR20210030196A (ko) 우수 침투 저류 보도블록
KR20160061284A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KR20120025085A (ko) 보도블록용 배수부재
KR101294664B1 (ko) 투수성 호안블록
KR200194038Y1 (ko) 수로관
KR100905972B1 (ko) 합성수지 재질의 가로수 보호덮개의 시공방법
KR101913751B1 (ko) 배수용 도로경계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