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139A - 과일 수확장치 - Google Patents
과일 수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7139A KR20180027139A KR1020160114347A KR20160114347A KR20180027139A KR 20180027139 A KR20180027139 A KR 20180027139A KR 1020160114347 A KR1020160114347 A KR 1020160114347A KR 20160114347 A KR20160114347 A KR 20160114347A KR 20180027139 A KR20180027139 A KR 201800271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fruit
- frame
- vibration
- eccentr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와 연결 설치되는 프레임의 상·하부에 한 쌍의 상·하부 링크를 설치하고, 트랙터의 PTO축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하부 링크를 통해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과일나무에 진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전해지는 진동을 통해 과일나무에 달려 있는 크기가 작은 과일을 손쉽게 수확할 수 있도록 한 과일 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랙터와 연결 설치되며, 상부 전·후면에 브라켓(11a)(11b)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축공(12)이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일측 단부의 편심캠(21)에 결합되는 편심축(22)이 상기 프레임(10) 하단에 설치되는 축공(12)에 결합되며, 타측 단부가 트랙터의 PTO축과 연결되어 PTO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축(20)과; 상기 회전축(20)에 형성되는 편심캠(21)의 편심축(22)에 하단부가 결합되어 회전축(2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하부링크(30)와; 상기 프레임(10) 전면 상단의 전면 브라켓(11a) 단부에서 상기 하부링크(30)와 연결되어 하부링크(30)의 직선운동을 진동으로 변환하는 상부링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랙터와 연결 설치되며, 상부 전·후면에 브라켓(11a)(11b)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축공(12)이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일측 단부의 편심캠(21)에 결합되는 편심축(22)이 상기 프레임(10) 하단에 설치되는 축공(12)에 결합되며, 타측 단부가 트랙터의 PTO축과 연결되어 PTO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축(20)과; 상기 회전축(20)에 형성되는 편심캠(21)의 편심축(22)에 하단부가 결합되어 회전축(2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하부링크(30)와; 상기 프레임(10) 전면 상단의 전면 브라켓(11a) 단부에서 상기 하부링크(30)와 연결되어 하부링크(30)의 직선운동을 진동으로 변환하는 상부링크(4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과일 수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와 연결 설치되는 프레임의 상·하부에 한 쌍의 상·하부 링크를 설치하고, 트랙터의 PTO축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하부 링크를 통해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과일나무에 진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전해지는 진동을 통해 과일나무에 달려 있는 살구·호두·매실과 같이 작은 크기의 과일 또는 열매를 손쉽게 수확할 수 있도록 한 과일 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 키보다 큰 과일나무로는 열매가 작은 살구·매실·자두 등에서부터 열매가 큰 배·사과·감 등이 있으며, 이 과일들은 수확할 때에는 대부분 손으로 하나하나 따도록 하여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열매가 작은 과일의 경우 많은 과실이 열리게 됨에 따라 작업자가 일일이 손으로 수확하게 되면 신체의 피로도가 크고 수확 속도도 느려 많은 인건비가 소요된다. 이에 따라 일손이 부족한 농촌의 사정상 제때 과일 수확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사태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곳에 열린 과실은 사다리를 이용하여 수확하거나 과일나무를 타고 올라가서 수확할 수밖에 없는데, 이럴 경우 작업능률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낙상의 위험마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과일 꼭지 부분이 걸리는 걸림 홈을 형성하고 그 부분에 칼날을 부착하여 꼭지 부분을 상기 걸림 홈 부분에 끼워 당기게 되면 칼날 부분이 꼭지를 절단하여 과일을 수확하고, 수확된 과일은 회수망을 통해서 수거되도록 한 과일 수확 장대와 장대 끝에 타원 형상의 프레임을 부착하고 주머니를 달아 프레임 안에 부착한 커터로 과일을 절단하여 주머니에 담는 수확기 등이 제안돤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과일 수확 장대 또는 과일 수확기는 과일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커터가 과일에 접촉하여 상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주머니에 과일이 쉽게 투입되지 않고 주머니 밖으로 떨어지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확기는 과일을 수확하려면 커터로 과일 꼭지를 절단하여야만 하는데 커터로 과일 꼭지를 절단하는 과정 자체가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이고, 그 과정에서 과일이 상처를 입는 문제점과 커터의 탈부착이 어려워 커터의 마모나 파손으로 인한 교체 시 교체 작업도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터를 당기면서 과일을 수확하게 되므로 중량으로 인한 작업자의 피로감이 누적되고 과일 주변에 잔가지가 많이 있을 경우 간섭을 많이 받게 되어 적절한 사용이 쉽지 않은 점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트랙터와 연결 설치되는 프레임의 상·하부에 한 쌍의 상·하부 링크를 설치하고, 트랙터의 PTO축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하부 링크를 통해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과일나무에 진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전해지는 진동을 통해 과일나무에 달려있는 살구·호두·매실과 같은 작은 크기의 과일을 손쉽게 수확할 수 있도록 한 과일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과일나무에 진동을 전달하는 와이어의 각도를 지면과 수평되게 하여 와이어가 나무와 직각 상태, 즉 와이어가 지면과 수평된 상태에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여 진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과일 수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과일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트랙터와 프레임 사이에 실린더를 설치하여 실린더를 통해 나무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일 수확 작업 시 진동에 의해 변동되는 나무와의 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가 항상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과일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심캠에 편심축을 결합 고정할 수 있는 축공을 복수 개 형성하고 수확하고자 하는 과일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축공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편심축을 결합 고정함으로써, 수확하고자 하는 과일의 크기에 따라 진동의 세기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한 과일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의 단부에 설치되어 벨트의 양 단부를 고정하는 고리의 내부에 벨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걸쇠를 형성함으로써, 와이어의 단부에 설치되어 과일 나무를 감싸게 되는 벨트가 진동에 의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과일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트랙터와 연결 설치되며, 상부 전·후면에 브라켓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축공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일측 단부의 편심캠에 결합되는 편심축이 상기 프레임 하단에 설치되는 축공에 결합되며, 타측 단부가 트랙터의 PTO축과 연결되어 PTO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는 편심캠의 편심축에 하단부가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하부링크와;
상기 프레임 전면 상단의 전면 브라켓 단부에서 상기 하부링크와 연결되어 하부링크의 직선운동을 진동으로 변환하는 상부링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트랙터와 프레임 사이에는 트랙터와 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실린더가 설치되되, 실린더의 타측 단부가 트랙터에 설치되고, 일측 단부가 프레임 후면 상단의 후면 브라켓에 고정핀을 통해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또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상기 하부링크는 상·하부에 브라켓과 축공이 형성되는 로드로 이루어지되, 로드 하단부에 형성되는 축공이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는 편심캠의 편심축에 결합되고, 로드 상부의 브라켓이 상기 상부링크의 회동구에 형성되는 제3핀공에 고정핀을 통해 고정된다.
또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하부링크에서의 직선운동을 진동으로 변환하는 상기 상부링크는 프레임의 전면 브라켓의 단부에서 제1핀공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구와 상기 회동구에 형성되는 제2핀공에 고정핀을 통해 결합되는 회전 브라켓과 상기 회전 브라켓의 상부에 고정되는 와이어 연결핀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링크에서 회전 브라켓 상부에 고정되는 와이어 연결핀에는 상부링크에서의 진동을 나무에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와이어의 타측 단부에는 나무를 감싸는 벨트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가 설치된다.
또 회전축에서 편심축이 결합되는 편심캠에는 수확하고자 하는 과일의 크기에 따라 진동의 세기를 달리할 수 있도록 편심캠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복수 개의 축공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트랙터와 연결 설치되는 프레임의 상·하부에 한 쌍의 상·하부링크를 설치하고 트랙터의 PTO축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하부 링크를 통해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과일나무에 진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전해지는 진동을 통해 과일나무에 달려있는 살구·호두·매실과 같이 크기가 작은 과일을 손쉽게 수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과일나무에 진동을 전달하는 와이어의 각도를 지면과 수평되게 하여 와이어가 나무와 직각 상태, 즉 와이어가 지면과 수평된 상태에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과일 수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편심캠에 편심축을 결합 고정할 수 있는 축공을 복수 개 형성하고 수확하고자 하는 과일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축공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편심축을 결합 고정함으로써, 수확하고자 하는 과일의 크기에 따라 진동의 세기를 달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트랙터와 프레임 사이에 실린더를 설치하여 실린더를 통해 나무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일 수확 작업 시 진동에 의해 변동되는 나무와의 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가 항상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와이어의 단부에 설치되어 벨트의 양 단부를 고정하는 고리의 내부에 벨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걸쇠를 형성함으로써, 와이어의 단부에 설치되어 과일 나무를 감싸게 되는 벨트가 진동에 의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수확장치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수확장치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수확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수확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수확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일 수확장치를 통해 과일 수확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수확장치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수확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수확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수확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일 수확장치를 통해 과일 수확을 보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수확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부 전·후면에 브라켓(11a)(11b)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축공(12)이 형성되는 프레임(10)을 구비한 다음 트랙터와 연결 설치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은 과일 수확 작업 시 진동에 의해 변동되는 트랙터와 프레임(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실린더(13)를 통해 연결 설치하되, 실린더(13)의 타측 단부를 트랙터에 고정 설치하고, 일측 단부를 프레임(10) 후면 상단의 후면 브라켓(11b)에 고정핀(13')을 통해 고정한다.
이어 상기 프레임(10) 하단에 설치되는 축공(12)에는 타측 단부가 PTO축(도면 미도시)과 연결되고, 일측에 편심캠(21)과 편심축(22)을 갖는 회전축(20)을 축결합하되, 편심캠(21)의 편심축(22)이 축공(12)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회전축(20)에서 편심축(22)이 결합되는 편심캠(21)에는 편심캠(21)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복수 개의 축공(21a)(21b)을 형성하여 수확하고자 하는 과일의 크기에 따라 진동의 세기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상기 프레임(10)의 축공(12)에 결합되는 편심캠(21)의 편심축(22)에는 회전축(2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하부링크(30)를 설치한다.
이때 회전축(2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상기 하부링크(30)는 상·하부에 브라켓(33)과 축공(32)이 형성되는 로드(31)로 이루어지며, 로드(31) 하단부에 형성되는 축공(32)을 상기 회전축(20)에 형성되는 편심캠(21)의 편심축(22)에 결합하고, 로드(31) 상부의 브라켓(33)을 상부링크(40)의 회동구(41)에 형성되는 제3핀공(42c)에 고정핀(42c')을 통해 고정한다.
이어 상기 하부링크(30)의 상부에는 하부링크(30)의 직선운동을 진동으로 변환하는 상부링크(4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상부링크(40)는 프레임(10)의 전면 브라켓(11a) 단부에서 제1핀공(42a)에 결합되는 고정핀(42a')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구(41)와 상기 회동구(41)에 형성되는 제2핀공(42b)에 고정핀(42b')을 통해 결합되는 회전 브라켓(43)과 상기 회전 브라켓(43) 상부에 고정되는 와이어 연결핀(4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링크(40)에서 회전 브라켓(43) 상부에 고정되는 와이어 연결핀(44)에는 상부링크(40)에서의 진동을 나무에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50)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고, 와이어(50)의 타측 단부에는 나무를 감싸는 벨트(52)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51)를 설치한다.
또 와이어(50)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벨트(52)의 양 단부를 고정하는 연결고리(51)에 걸쇠(도면 미도시)를 형성하게 되면, 와이어의 단부에 설치되어 과일 나무를 감싸게 되는 벨트(52)가 진동에 의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링크(40)에서 회전 브라켓(43) 상부에 고정되는 와이어 연결핀(44)에 설치되어 진동을 나무에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50)는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과일 나무에 진동을 전달하는 와이어(50)의 각도를 항상 지면과 수평 즉 나무와 직각 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수확장치는 살구·호두·매실과 같이 열매가 작고 많은 양의 열매를 수확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먼저 상부링크(40)의 회전 브라켓(43) 상부에 고정되는 와이어 연결핀(44)에 와이어(50)의 일측 단부를 연결한다. 이어 벨트(52)를 열매를 수확하고자 하는 나무를 감싸도록 위치시킨 다음, 벨트(52)의 양 단부를 와이어(5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연결고리(51)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때 연결고리(51)에 걸쇠를 설치하게 되면 나무를 감싸는 벨트(52)가 진동에 의해 연결고리(5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트랙터를 작동하여 PTO축을 회전시키게 되면, 하부링크(30)가 작동하면서 PTO축과 회전축(2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게 된다.
즉 PTO축이 회전됨에 따라 타측 단부가 PTO축과 연결되는 회전축(20)이 PTO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며, 이와 동시에 회전축(20)의 일측 단부의 편심캠(21)에 결합되는 편심축(22)이 상기 프레임(10) 하단에 설치되는 축공(12)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편심캠(21)의 편심축(22)에 하부의 축공(32)이 축결합된 로드(31)가 편심축(22)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회전축(20)에서 편심축(22)이 결합되는 편심캠(21)에는 편심캠(21)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복수 개의 축공(21a)(21b)을 형성함에 따라 수확하고자 하는 과일의 크기에 따라 진동의 세기를 달리할 수 있게 된다.
즉 매실·호두와 같이 크기가 작은 과일을 수확할 때에는 강한 진동으로 인해 나무가 부러질 수 있어 약한 진동이 필요한 것으로, 이때에는 편심캠(21)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축공(21a)(21b)에서 편심캠(21)의 중심으로부터 가까이 형성되는 축공(21a)을 선택하여 편심축(22)을 삽입 결합하게 되면, 편심축(22)의 작은 회전반경으로 인해 작은 진동이 발생하게 되어 나무에 무리를 주지 않고 크기가 작은 과일을 수확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크기가 큰 과일을 수확할 때에는 작은 과일을 수확할 때에 비해 큰 진동이 필요하고 이때에는 편심캠(21)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축공(21a)(21b)에서 편심캠(21)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형성되는 축공(21b)을 선택하여 편심축(22)을 삽입결합하게 되면, 편심축(22)의 큰 회전반경으로 인해 큰 진동을 발생하게 되어 크기가 큰 과일을 수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링크(30)의 작동을 통해 회전축(20)의 회전운동이 상·하방향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면, 하부링크(3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링크(40)가 작동하여 하부링크(30)의 직선운동을 진동으로 변환하게 된다.
즉 하부링크(30)의 작동을 통해 상부의 브라켓(33)이 상기 상부링크(40)의 회동구(41)에 형성되는 제3핀공(42c)에 고정핀(42c')을 통해 고정된 상태의 로드(31)가 상·하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면, 프레임(10)의 전면 브라켓(11a) 단부에서 제1핀공(42a)에 결합되는 고정핀(42a')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의 회동구(41)가 로드(31)의 상·하 방향의 직선운동에 따라 제1핀공(42a)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작동으로 회동구(41)가 제1핀공(42a)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회동구(41)에 형성되는 제2핀공(42b)에 고정핀(42b')을 통해 결합되는 회전 브라켓(43)이 회동구(41)의 왕복운동에 따라 같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되면서 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작동으로 발생된 진동은 상기 회전 브라켓(43) 상부의 와이어 연결핀(44)에 일측 단부가 고정된 와이어(50) 및 와이어(50)와 연결고리(51)로 연결되어 나무를 감싸고 있는 벨트(52)를 통해 나무에 진동이 전달되게 되고, 전달되는 진동을 통해 과일나무에서 살구·매실·호두 등과 같이 열매가 바닥으로 떨어지면서 과일을 수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링크(40)에서 회전 브라켓(43) 상부에 고정되는 와이어 연결핀(44)에 설치되어 나무에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50)의 각도가 하향 또는 상향 경사지게 되면 와이어(50)가 느슨해지면서 진동이 나무에 제대로 전해지지 않아 수확에 어려움이 발생 되는바, 이때에는 과일나무에 진동을 전달하는 와이어(50)의 각도를 항상 지면과 수평 즉 나무와 직각 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진동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 계속되는 진동으로 인해 프레임(10)과 나무와의 간격에 변동이 발생하여 와이어(50)가 느슨해지게 되는데, 이때에는 트랙터와 프레임(10)의 후면 브라켓(11b) 사이에 설치되는 실린더(13)의 신축작동을 통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프레임(10)과 나무 사이에 설치되는 와이어(50)가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0 : 프레임 11a, 11b : 전·후면 브라켓
12 : 축공 13 : 실린더
13' : 고정핀 20 : 회전축
21 : 편심캠 21a, 21b : 축공
22 : 편심축 30 : 하부링크
31 : 로드 32 : 축공
33 : 브라켓 40 : 상부링크
41 : 회동구 42a, 42b, 42c: 제1. 2, 3핀공
42a', 42b', 42c' : 고정핀 43 : 회전 브라켓
44 : 와이어 연결핀 50 : 와이어
51 : 연결고리 52 : 벨트
12 : 축공 13 : 실린더
13' : 고정핀 20 : 회전축
21 : 편심캠 21a, 21b : 축공
22 : 편심축 30 : 하부링크
31 : 로드 32 : 축공
33 : 브라켓 40 : 상부링크
41 : 회동구 42a, 42b, 42c: 제1. 2, 3핀공
42a', 42b', 42c' : 고정핀 43 : 회전 브라켓
44 : 와이어 연결핀 50 : 와이어
51 : 연결고리 52 : 벨트
Claims (8)
- 트랙터와 연결 설치되며, 상부 전·후면에 브라켓(11a)(11b)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축공(12)이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일측 단부의 편심캠(21)에 결합되는 편심축(22)이 상기 프레임(10) 하단에 설치되는 축공(12)에 결합되며, 타측 단부가 트랙터의 PTO축과 연결되어 PTO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축(20)과;
상기 회전축(20)에 형성되는 편심캠(21)의 편심축(22)에 하단부가 결합되어 회전축(2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하부링크(30)와;
상기 프레임(10) 전면 상단의 전면 브라켓(11a) 단부에서 상기 하부링크(30)와 연결되어 하부링크(30)의 직선운동을 진동으로 변환하는 상부링크(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수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트랙터와 프레임(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실린더(13)를 통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13)는 타측 단부가 트랙터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 단부가 프레임(10) 후면 상단의 후면 브라켓(11b)에 고정핀(13')을 통해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수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2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상기 하부링크(30)는 상·하부에 브라켓(33)과 축공(32)이 형성되는 로드(31)로 이루어지되,
로드(31) 하단부에 형성되는 축공(32)이 상기 회전축(20)에 형성되는 편심캠(21)의 편심축(22)에 결합되고, 로드(31) 상부의 브라켓(33)이 상기 상부링크(40)의 회동구(41)에 형성되는 제3핀공(42c)에 고정핀(42c')을 통해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수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0)에서 편심축(22)이 결합되는 편심캠(21)에는 수확하고자 하는 과일의 크기에 따라 진동의 세기를 달리할 수 있도록 편심캠(21)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축공(21a)(21b)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편심축(22)이 결합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수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크(40)는 프레임(10)의 전면 브라켓(11a) 단부에서 제1핀공(42a)에 결합되는 고정핀(42a')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구(41)와, 상기 회동구(41)에 형성되는 제2핀공(42b)에 고정핀(42b')을 통해 결합되는 회전 브라켓(43)과, 상기 회전 브라켓(43) 상부에 고정되는 와이어 연결핀(4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수확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크(40)의 상기 회전 브라켓(43)에는 상부링크(40)에서의 진동을 나무에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50)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와이어(50)의 타측 단부에는 나무를 감싸는 벨트(52)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51)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수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과일나무에 진동을 전달하는 상기 와이어(50)의 설치 각도는 와이어(50)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여 진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지면과 수평된 상태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수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50)의 타측 단부에는 과일나무를 감싸게 되는 벨트(52)가 진동에 의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벨트(52)의 양 단부를 고정하는 연결고리(51)에 걸쇠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수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4347A KR20180027139A (ko) | 2016-09-06 | 2016-09-06 | 과일 수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4347A KR20180027139A (ko) | 2016-09-06 | 2016-09-06 | 과일 수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7139A true KR20180027139A (ko) | 2018-03-14 |
Family
ID=61660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4347A KR20180027139A (ko) | 2016-09-06 | 2016-09-06 | 과일 수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27139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41806A (zh) * | 2018-09-28 | 2018-12-21 | 张朝书 | 核桃振摇采收装置 |
CN109258101A (zh) * | 2018-11-05 | 2019-01-25 | 汕头大学 | 一种多用激振式水果采摘装置 |
CN113575129A (zh) * | 2021-08-27 | 2021-11-02 | 新疆理工学院 | 一种应用于配套农业拖拉机上的核桃震落装置 |
-
2016
- 2016-09-06 KR KR1020160114347A patent/KR2018002713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41806A (zh) * | 2018-09-28 | 2018-12-21 | 张朝书 | 核桃振摇采收装置 |
CN109258101A (zh) * | 2018-11-05 | 2019-01-25 | 汕头大学 | 一种多用激振式水果采摘装置 |
CN109258101B (zh) * | 2018-11-05 | 2024-03-19 | 汕头大学 | 一种多用激振式水果采摘装置 |
CN113575129A (zh) * | 2021-08-27 | 2021-11-02 | 新疆理工学院 | 一种应用于配套农业拖拉机上的核桃震落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2925B1 (ko) | 마늘 수확기 | |
KR20180027139A (ko) | 과일 수확장치 | |
CN103460904B (zh) | 多向振动便携式小浆果采摘机 | |
KR101587220B1 (ko) | 2중 진동형 구근작물 수확기 | |
CN106576603B (zh) | 一种组合振动梳式水果采摘装置 | |
CN108124592A (zh) | 一种用于果树高枝的果实采摘装置 | |
KR20140000593A (ko) | 열매 떨이용 길이 조절작업대 | |
CN102656999A (zh) | 振动式果树采收装置 | |
CN104838783A (zh) | 一种果园穴施肥作业装置 | |
KR101315830B1 (ko) | 과일 수확장치 | |
CN105325123A (zh) | 一种振幅可连续调节的振动式收获机传动机构 | |
KR100803689B1 (ko) | 진동 기능을 갖는 집게장치 | |
KR101106962B1 (ko) | 유실수용 진동식 수확기 | |
CN103477738B (zh) | 链传动除草松土机 | |
FR2855366B1 (fr) | Dispositif de recolte avec biellettes flexibles pour machine a recolter des fruits, baies et similaires | |
CN109729830A (zh) | 一种背负式水果采摘装置 | |
KR102034242B1 (ko) | 농작물 수확기 | |
CN207948314U (zh) | 可升降黄瓜爬藤架 | |
KR101373361B1 (ko) | 과일 수확기 | |
CN104770140A (zh) | 摘果杆 | |
KR20180099409A (ko) | 과일수확기에 사용되는 스톱퍼 | |
KR102502217B1 (ko) | 예초기 핸들링 장치 | |
CN210580080U (zh) | 一种摇树机 | |
CN210695006U (zh) | 一种果树摇树机 | |
KR200362582Y1 (ko) | 과일수확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