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600A -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6600A KR20180026600A KR1020160113278A KR20160113278A KR20180026600A KR 20180026600 A KR20180026600 A KR 20180026600A KR 1020160113278 A KR1020160113278 A KR 1020160113278A KR 20160113278 A KR20160113278 A KR 20160113278A KR 20180026600 A KR20180026600 A KR 201800266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member
- stage
- display panel
- unit
- adhesive bel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4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2161 pass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21417 amorph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4205 SiNX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19 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386 diacrylat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25 hole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84 in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6 layers by fun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507 metal hal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309 metal hal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H01L51/5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05—Handling means, e.g. transfer, loading or discharg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32B37/025—Transfer lamin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32B37/1027—Pressing using at least one press ban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 H01L51/0024—
-
- H01L51/5253—
-
- H01L51/5281—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50—Forming devices by joining two substrates together, e.g. lamination techniqu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2035/082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IR radi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29C2035/1658—Cooling using g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09—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09—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 B29C49/6427—Cooling of prefo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5/00—Apparatus for treating processed material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5/00—Apparatus for treating processed material
- G03D15/06—Applying varnish or other co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필름부재가 안착되는 제1 스테이지부와, 상기 제1 스테이지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하는 제2 스테이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필름부재와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점착벨트와, 상기 지지부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점착벨트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장력유지부와, 상기 장력유지부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점착벨트를 상기 제1 스테이지부 또는 상기 제2 스테이지부 측으로 가력하는 가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 기기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동용 전자 기기로는 모바일 폰과 같은 소형 전자 기기 이외에도 최근 들어 태블릿 PC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형 전자 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과 같은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최근, 표시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기타 부품들이 소형화됨에 따라, 표시장치가 전자 기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평평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부릴 수 있는 구조도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자체 만으로는 외력 등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강한 빛에서 시인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어 다양한 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할 수 있다. 이때, 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부착하여야 표시 장치의 불량율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의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시 장치의 제조 시 불량율을 저감시키면서 작업속도를 향상시키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필름부재가 안착되는 제1 스테이지부와, 상기 제1 스테이지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하는 제2 스테이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필름부재와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점착벨트와, 상기 지지부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점착벨트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장력유지부와, 상기 장력유지부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점착벨트를 상기 제1 스테이지부 또는 상기 제2 스테이지부 측으로 가력하는 가력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스테이지 및 상기 제2 스테이지가 선형 운동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장력유지부가 선형 운동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지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스테이지부를 제1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제1 선형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테이지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스테이지부를 제1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제2 선형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지부는, 상기 필름부재가 안착되는 제1 테이블과, 상기 제1 테이블을 회전 또는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테이블얼라인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테이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제2 테이블과, 상기 제2 테이블을 회전 또는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테이블얼라인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벨트는, 상기 장력유지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벨트바디와, 상기 벨트바디에 배치되는 점착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력유지부는, 상기 지지부에 승하강하도록 설치되는 승하강부와, 상기 승하강부에 연결되며, 상기 승하강부의 이동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력유지부는, 상기 승하강부에 배치되어 상기 점착벨트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텐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력부는, 상기 이동부에 배치되어 길이가 가변하는 제1 길이가변부와, 상기 제1 길이가변부와 연결되며, 상기 점착벨트에 접촉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력부는, 상기 제1 길이가변부와 연결되며, 상기 점착벨트를 절곡시키는 절곡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곡롤러와 상기 가압롤러는 상기 점착벨트의 서로 다른 면에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력부는, 상기 가압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점착벨트에 부착된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점착벨트로부터 분리시키는 나이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 스테이지부에 필름부재를 배치하고, 제2 스테이지부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스테이지부가 선형 운동하여 점착벨트에 대응되도록 상기 필름부재를 배치하고, 가력부를 선형 운동시켜 상기 제1 스테이지부의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점착벨트에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스테이지부가 선형 운동하여 상기 필름부재와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배치하고, 상기 가력부로 상기 점착벨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측으로 가력하면서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점착벨트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순차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벨트는 상기 필름부재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기 시작하는 지점에서 절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력부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점착벨트에 부착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벨트는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력부는 상기 점착벨트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는 나이프부로 상기 점착벨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신속하고 간편하게 표시 장치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표시 장치의 제조 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필름부재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정확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필름부재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균일하게 접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로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제1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로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제2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점착벨트, 가압롤러 및 절곡롤러의 작동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로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제3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점착벨트, 가압롤러 및 절곡롤러의 작동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로 제조된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로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제1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로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제2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점착벨트, 가압롤러 및 절곡롤러의 작동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로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제3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점착벨트, 가압롤러 및 절곡롤러의 작동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로 제조된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는 지지부(110), 제1 스테이지부(120), 제2 스테이지부(130), 점착벨트(140), 장력유지부(150), 가력부(160), 제1 선형구동부(172), 제2 선형구동부(173) 및 비젼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0)는 외부의 구조물 또는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10)는 제1 지지부(111)와 제1 지지부(111)와 일정 각도를 형성하여 연결되는 제2 지지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111)는 지면에 대해서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지지부(112)는 지면에서 대해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테이지부(120)는 제1 지지부(11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스테이지부(120)는 제1 지지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또는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지부(120)는 제1 테이블(121) 및 제1 테이블얼라인구동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테이블(121)은 필름부재(F)가 안착되며, 필름부재(F)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테이블(121)에 필름부재(F)를 고정시키는 방법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테이블(121)은 정전척이나 점착척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테이블(121)에는 흡입홀이 형성되고, 흡입홀에 연결되는 흡입펌프가 구비되어 진공으로 필름부재(F)를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테이블(121)은 흡입홀을 통하여 진공으로 필름부재(F)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필름부재(F)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부재(F)는 편광필름,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기능필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능필름은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필름부재, 내식성을 갖는 필름부재, 강도를 보강하는 필름부재 등과 같이 일정한 기능을 갖는 필름부재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름부재(F)가 편광필름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테이블얼라인구동부(122)는 제1 테이블세타구동부(122a) 및 제1 얼라인구동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테이블세타구동부(122a)는 제1 테이블(121)과 연결되어 제1 테이블(12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테이블세타구동부(122a)는 도 1의 Z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제1 테이블(12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얼라인구동부(122b)는 제1 테이블(121)과 연결되어 제1 테이블(121)을 일 방향(예를 들면, 도 1의 X방향 또는 Y방향 중 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얼라인구동부(122b)는 제1 선형구동부(172)의 작동에 따라 이동하는 제1 스테이지부(120)의 이동 방향과 상이한 방향(예를 들면, 도 1의 X방향 또는 Y방향 중 다른 방향)으로 제1 테이블(12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테이블세타구동부(122a)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테이블세타구동부(122a)는 제1 테이블(121)의 중심에 연결되는 스텝 모터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테이블세타구동부(122a)는 제1 테이블(121)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도록 배치되어 제1 테이블(121)과 연결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와 연결되는 모터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 테이블세타구동부(122a)는 제1 테이블(121)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제1 테이블(121)과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 테이블세타구동부(122a)는 제1 테이블(121)과 편심되도록 연결되는 기어유닛과, 기어유닛과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어유닛은 스퍼기어와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테이블세타구동부(122a)가 제1 테이블(121)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도록 배치되어 제1 테이블(121)과 연결되는 경우 제1 테이블(121)의 중심은 제1 얼라인구동부(122b)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테이블세타구동부(122a)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테이블(121)을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는 모든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테이블세타구동부(122a)는 제1 테이블(121)이 연결되는 스텝모터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1 얼라인구동부(122b)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얼라인구동부(122b)는 제1 테이블세타구동부(122a)와 연결되어 제1 테이블세타구동부(122a)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얼라인구동부(122b)는 제1 테이블세타구동부(122a)와 연결되는 볼 스크류와, 볼 스크류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얼라인구동부(122b)는 제1 테이블세타구동부(122a)와 연결되는 리니어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얼라인구동부(122b)는 제1 테이블세타구동부(122a)와 연결되는 기어유닛과, 기어유닛과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어유닛은 모터에 연결되는 스퍼기어와, 스퍼기어 및 제1 테이블세타구동부(122a)와 연결되는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얼라인구동부(122b)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테이블세타구동부(122a)와 연결되어 제1 테이블(121)을 선형 운동시키는 모든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얼라인구동부(122b)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스테이지부(130)는 디스플레이 패널(D)이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테이지부(130)는 제1 스테이지부(120)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스테지부(130) 및 제1 스테이지부(120)는 제1 지지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특히 제1 스테이지부(120)와 제2 스테이지부(130)는 각각 제1 지지부(111)에 안착됨으로써 하나의 제1 지지부(111)를 따라서 서로 독립적으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제2 스테이지부(130)와 제1 지지부(111) 사이는 제2 선형구동부(173)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테이지부(130)는 제2 테이블(131) 및 제2 테이블얼라인구동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테이블얼라인구동부(132)는 제2 테이블세타구동부(132a) 및 제2 얼라인구동부(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테이블(131) 및 제2 테이블얼라인구동부(132)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테이블(121) 및 제1 테이블얼라인구동부(122)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점착벨트(140)는 장력유지부(15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점착벨트(140)는 필름부재(F)을 부착할 수 있다. 점착벨트(140)는 벨트바디(141)와 점착시트(142)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바디(141)와 점착시트(142)는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벨트바디(141)는 스테인리스 스틸(SUS, stainless steel)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점착시트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점착벨트(140)와 점착시트(142)는 플렉서블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장력유지부(150)는 점착벨트(14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점착벨트(140)에 힘을 가함으로써 점착벨트(140)의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장력유지부(150)는 승하강부(151), 이동부(152), 텐션부(153), 장력유지롤러(154) 및 고정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부(151)는 제2 지지부(112)에 연결되어 승하강할 수 있다. 이때, 승하강부(151)와 제2 지지부(112) 사이에는 별도의 승하강구동부(171)가 구비되어 승하강부(151)를 승하강 운동시킬 수 있다. 승하강구동부(171)는 장력유지부(150)와 연결되는 볼 스크류와, 볼 스크류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승하강구동부(171)는 장력유지부(150)와 연결되는 리니어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승하강구동부(171)는 장력유지부(150)와 연결되는 기어유닛과, 기어유닛과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어유닛은 모터에 연결되는 스퍼기어와, 스퍼기어 및 장력유지부(150)와 연결되는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승하강구동부(171)는 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력유지부(150)와 연결되어 장력유지부(150)를 선형 운동시키는 모든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승하강구동부(171)는 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부(152)는 승하강부(151)에 선형 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152)와 승하강부(151) 사이에는 별도의 구동부가 구비되어 이동부(152)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얼라인구동부(122b) 또는 제2 얼라인구동부(132b)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텐션부(153)는 승하강부(15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텐션부(153)는 점착벨트(140)를 가력함으로써 점착벨트(140)의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텐션부(153)는 점착벨트(140)에 인장력이 가해지도록 힘을 가할 수 있다.
텐션부(153)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텐션부(153)는 모터와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작동에 따라서 길이가 가변하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텐션부(153)는 제2 길이가변부(153a)와, 제2 길이가변부(153a)에 연결되는 접촉롤러(15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길이가변부(153a)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길이가변부(161)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텐션부(153)는 제2 길이가변부(153a)와 접촉롤러(153b)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길이가변부(153a)는 일단이 승하강부(151)에 고정될 수 있다. 접촉롤러(153b)는 제2 길이가변부(153a)의 끝단에 배치되어 제2 길이가변부(153a)의 작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접촉롤러(153b)는 점착벨트(140)를 일정 각도 절곡시킴으로써 점착벨트(140)의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특히 필름부재(F)를 디스플레이 패널(D)에 접착하여 표시 장치(미도시)를 제조하는 동안, 점착벨트(140)의 장력이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의 열, 가력부(160)에서 가해지는 힘 등과 같이 외부의 다양한 원인, 탄성력 저하 등의 내부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점착벨트(140)의 장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길이가변부(153a)를 구동시켜 접촉롤러(153b)로 점착벨트(140)를 가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점착벨트(140)에는 힘이 가해짐으로써 인장력이 발생하여 장력이 기존과 동일해질 수 있다.
장력유지롤러(154)는 승하강부(1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장력유지롤러(154)는 텐션부(153)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장력유지롤러(154)는 텐션부(153)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점착벨트(140)를 절곡시킴으로써 점착벨트(140)의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고정부(155)는 승하강부(151)에 설치되어 점착벨트(140)의 양단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부(155)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고정부(155)는 클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고정부(155)는 승하강부(151)에 설치되는 볼트, 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고정부(155)는 별도의 부재에 점착벨트(140)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부(155)가 별도의 부재에 점착벨트(140)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된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력부(160)는 장력유지부(150)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가력부(160)는 이동부(152)에 연결되어 제1 지지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력부(160)는 제1 길이가변부(161), 가압롤러(162) 및 절곡롤러(1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길이가변부(161)는 가압롤러(162) 및 이동부(15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길이가변부(161)는 가압롤러(162)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길이가변부(161)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롤러(162)는 제1 길이가변부(161)에 연결되어 높이가 가변할 수 있다. 이때, 가압롤러(162)의 높이에 따라서 점착벨트(140)의 장력이 상이해질 수 있다.
절곡롤러(163)는 제1 길이가변부(16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절곡롤러(163)는 가압롤러(162)와 브라켓 또는 프레임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절곡롤러(163)는 가압롤러(162)와 함께 승하강하거나 선형 운동할 수 있다.
가압롤러(162)와 절곡롤러(163)는 점착벨트(14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시킬 수 있다. 이때, 절곡롤러(163)는 가압롤러(162)에 접촉하여 절곡된 점착벨트(140) 부분과 디스플레이 패널(D)의 상면 사이의 각도가 20도 이상이 되도록 점착벨트(140)를 절곡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의 각도가 20도 미만인 경우 최초에 점착벨트(140)에 부착된 필름부재(F)를 점착벨트(14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절곡롤러(163)와 가압롤러(162)는 점착벨트(140)의 서로 다른 면에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압롤러(162)는 벨트바디(141)에 접촉할 수 있으며, 절곡롤러(163)는 점착시트(142)에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와 같이 가압롤러(162)에 의하여 점착벨트(140)가 절곡되는 각도를 20도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롤러(162)와 절곡롤러(163)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필름부재(F)과 디스플레이 패널(D)의 접착이 수행되는 부분에서 점착벨트(140)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선형구동부(172) 및 제2 선형구동부(173)는 각각 제1 스테이지부(120)와 제2 스테이지부(13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선형구동부(172) 및 제2 선형구동부(173)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얼라인구동부(122b) 또는 제2 얼라인구동부(132b)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선형구동부(172) 및 제2 선형구동부(173)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 제1 선형구동부(172)와 제2 선형구동부(173)는 일부를 공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선형구동부(172)와 제2 선형구동부(173)는 제1 스테이지부(120)와 제2 스테이지부(130)를 각각 선형 운동할 수 있으며, 제1 테이블(121)과 제2 테이블(131)을 미세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젼부(180)는 지지부(110)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비젼부(180)는 제1 테이블(121)의 필름부재(F)를 촬영하거나 제2 테이블(131)의 디스플레이 패널(D)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촬영된 이미지를 근거로 필름부재(F)의 위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D)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얼라인하기 위하여 제1 테이블얼라인구동부(122) 및 제2 테이블얼라인구동부(132)가 작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를 통하여 상기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로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제1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필름부재(F) 및 디스플레이 패널(D)을 각각 제1 테이블(121) 및 제2 테이블(131)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필름부재(F) 및 디스플레이 패널(D)은 외부에 설치된 로봇암을 통하여 각각 제1 테이블(121) 및 제2 테이블(131)에 공급될 수 있다.
제1 테이블(121)에 편광필름이 안착되고 제2 테이블(131)에 디스플레이 패널(D)이 안착되면, 제1 선형구동부(172) 및 제2 선형구동부(173)가 작동하여 비젼부(180) 하면에 제1 테이블(121)을 위치시킬 수 있다.
비젼부(180)는 제1 테이블(121)의 상면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제1 테이블(121) 상면에는 별도의 얼라인마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비젼부(180)는 제1 테이블(121)의 얼라인마크와 필름부재(F)를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이미지를 근거로 얼라인마크로부터 필름부재(F)가 이격된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얼라인마크는 2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2개의 얼라인마크와 필름부재(F)의 일변(또는 필름부재의 얼라인마크)과의 거리 등을 산출하여 필름부재(F)가 틀어진 정도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산출된 값을 근거로 필름부재(F)가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1 선형구동부(172), 제1 테이블세타구동부(122a) 및 제1 얼라인구동부(122b)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2 테이블(131)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D)를 얼라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필름부재(F)의 얼라인 방법과 유사하게 비젼부(180)로 촬영된 제2 테이블(131)의 얼라인 마크와 디스플레이 패널(D)을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패널(D)의 틀어짐 정도,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를 근거로 제2 선형구동부(173), 제2 테이블세타구동부(132a) 및 제2 얼라인구동부(132b)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테이블(121) 및 제2 테이블(131)를 조정하여 필름부재(F)와 디스플레이 패널(D)의 얼라인이 완료되면, 제1 테이블(121)과 제2 테이블(131)을 초기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로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제2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얼라인이 완료된 필름부재(F)는 점착벨트(140)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선형구동부(172)가 제1 테이블얼라인구동부(122) 및 제1 테이블(121)을 일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켜 제1 테이블(121)을 점착벨트(140) 하면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후 승하강구동부(171)를 작동시켜 제2 지지부(112)에서 장력유지부(15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장력유지부(150)는 기 설정된 위치로 하강할 수 있다. 특히 제1 지지부(111)에는 별도의 위치감지센서(190)가 구비되어 장력유지부(15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위치감지센서(190)는 레이저 센서, 수광센서 등과 같이 사물의 위치 또는 거리를 측정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장력유지부(150)의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면, 이동부(152)을 이동시켜 가력부(160)를 이동시키면서 점착벨트(140)에 필름부재(F)를 부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길이가변부(161)가 작동하여 가압롤러(162)로 점착벨트(140)를 가력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52)는 일 방향으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152)가 일 방향으로 선형 운동하는 경우 제1 길이가변부(161)는 가압롤러(162)를 점착벨트(14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압롤러(162)는 점착벨트(140)를 필름부재(F)로 가력하고, 필름부재(F)는 점착벨트(14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절곡롤러(163)는 가압롤러(162)와 함께 선형 운동할 수 있다. 특히 필름부재(F)의 일단이 먼저 점착벨트(140)에 접촉하기 시작하여 필름부재(F)의 일단으로부터 필름부재(F)의 타단으로 필름부재(F)는 순차적으로 점착벨트(140)와 접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필름부재(F)가 점착벨트(140)에 접착된 후 제1 선형구동부(172)가 작동하여 제1 테이블(121)을 원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승하강구동부(171)는 장력유지부(150)를 일정 정도 상승시켜 제1 테이블(121)과 필름부재(F)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로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제3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필름부재(F)가 점착벨트(140)에 부착된 후 제2 선형구동부(173)가 작동하여 제2 스테이지부(130)를 필름부재(F) 하면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D)은 필름부재(F)의 하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승하강구동부(171)를 작동시켜 장력유지부(15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필름부재(F)는 디스플레이 패널(D)과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필름부재(F)의 일부는 디스플레이 패널(D)의 일단에 가장 먼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필름부재(F)와 디스플레이 패널(D) 사이에는 접착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부재는 필름부재(F) 및 디스플레이 패널(D)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도포되거나 부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동부(152)는 일 방향으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152)의 선형 운동 방향은 필름부재(F)를 점착벨트(140)에 부착시킬 때 움직였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동부(152)가 움직이는 동안 제1 길이가변부(161)는 가압롤러(162)를 디스플레이 패널(D) 측으로 지속적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52)가 움직이는 동안 절곡롤러(163)는 가압롤러(162)와 함께 가압롤러(162)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필름부재(F)와 디스플레이 패널(D)의 접착은 필름부재(F)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필름부재(F)를 점착벨트(140)에 부착시킬 때 이동부(152)의 이동 방향과 필름부재(F)를 디스플레이 패널(D)에 부착시킬 때 이동부(152)의 이동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상기의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제2 테이블(131) 상에는 디스플레이 패널(D)에 필름부재(F)가 접착된 상태인 상기 표시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같이 필름부재(F)와 디스플레이 패널(D)을 부착하는 동안 제1 테이블(121)에는 새로운 필름부재(F)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가 완료되면, 승하강구동부(171)가 작동하여 장력유지부(15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선형구동부(173)가 작동하여 제2 스테이지부(130)를 원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제2 스테이지부(130)가 원 상태로 복귀되면, 디스플레이 패널(D)은 제2 테이블(131)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은 복수번 수행되어 상기 복수개의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필름부재(F)를 디스플레이 패널(D)에 균일하게 접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필름부재(F)를 디스플레이 패널(D)에 신속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필름부재(F)와 디스플레이 패널(D)을 일단에서 타단으로 순차적으로 부착함으로써 상기 표시 장치 제조 시 발생하는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200)는 지지부(210), 제1 스테이지부(220), 제2 스테이지부(230), 점착벨트(240), 장력유지부(250), 가력부(260), 제1 선형구동부(272), 제2 선형구동부(273) 및 비젼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210), 제1 스테이지부(220), 제2 스테이지부(230), 점착벨트(240), 장력유지부(250), 제1 선형구동부(272), 제2 선형구동부(273) 및 비젼부(28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력부(260)는 제1 길이가변부(261), 가압롤러(262), 절곡롤러(263) 및 나이프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길이가변부(261) 및 가압롤러(262)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절곡롤러(263)는 가압롤러(262)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절곡롤러(263)는 점착벨트(240)와 접촉하여 점착벨트(240)를 절곡시킬 수 있다. 또한, 절곡롤러(263)는 가압롤러(262)가 접촉하는 점착벨트(240)의 일면과 동일한 점착벨트(240)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절곡롤러(263)의 중심은 가압롤러(262)의 중심과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절곡롤러(263)의 중심을 가압롤러(262)의 중심보다 지면으로부터 높은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나이프부(264)는 제1 길이가변부(26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나이프부(264)는 가압롤러(262)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나이프부(264)는 가압롤러(262)가 접촉하지 않는 점착벨트(240)의 일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나이프부(264)는 일단이 절곡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나이프부(264)는 점착벨트(240)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이프부(264)의 절곡된 부분은 점착벨트(240)를 가압롤러(262)로 가력할 수 있다. 이때, 점착벨트(240)에 접촉하는 나이프부(264) 부분은 가압롤러(262)의 최하측보다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200)의 작동을 살펴보면, 필름부재(F)와 디스플레이 패널(D)이 각각 제1 테이블(221) 및 제2 테이블(231)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선형구동부(272)와 제2 선형구동부(273)가 작동하여 제1 스테이지부(220) 및 제2 스테이지부(2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스테이지부(220)및 제2 스테이지부(230)가 이동한 후 비젼부(280)는 필름부재(F)와 제1 테이블(221) 및 디스플레이 패널(D)과 제2 테이블(231)을 순차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결과를 근거로 제1 테이블얼라인구동부(222)의 제1 테이블세타구동부(222a) 및 제1 얼라인구동부(222b)를 작동시켜 필름부재(F)를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촬영된 결과를 근거로 제2 테이블얼라인구동부(232)의 제2 테이블세타구동부(232a) 및 제2 얼라인구동부(232b)를 작동시켜 디스플레이 패널(D)을 얼라인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1 스테이지부(220)와 제2 스테이지부(230)를 원상태로 복귀시킨 후 제1 선형구동부(272)가 작동하여 제1 스테이지부(220)를 점착벨트(240)의 하면에 배치할 수 있다. 승하강구동부(271)가 작동하여 장력유지부(250)를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후 이동부(252)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길이가변부(261)가 작동하여 가압롤러(262)로 벨트바디(241)를 필름부재(F) 측으로 가력할 수 있다. 이때, 필름부재(F)는 제1 테이블(221)로부터 분리되어 필름부재(F)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순차적으로 점착시트(242)에 부착될 수 있다.
승하강구동부(271)가 작동하여 장력유지부(250)를 승강시키고, 제1 선형구동부(272)가 작동하여 제1 스테이지부(220)를 원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필름부재(F)가 점착벨트(240)에 부착되면, 제2 선형구동부(273)가 작동하여 제2 스테이지부(230)를 필름부재(F) 하측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후 승하강구동부(271)가 작동하여 장력유지부(250)를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부(252)가 필름부재(F)를 점착벨트(240)에 부착시킬 때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길이가변부(253a)가 작동하여 접촉롤러(253b)로 점착벨트(240)에 지속적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부(252)가 이동하면서 제2 길이가변부(253a)가 작동하는 경우 나이프부(264)와 가압롤러(262)는 필름부재(F)를 점착벨트(24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가 가압롤러(262)로 점착벨트(240)를 가압하는 경우 가압롤러(262)와 나이프부(264)에 의해 점착벨트(240)가 절곡될 수 있다. 이때, 필름부재(F)는 점착벨트(240)와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필름부재(F)의 끝단에는 나이프부(264)의 끝단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252)가 이동하는 경우 점착벨트(240)와 필름부재(F) 사이로 나이프부(264)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필름부재(F)는 점착벨트(240)로부터 분리되어 필름부재(F)는 디스플레이 패널(D)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승하강구동부(271)가 작동하여 장력유지부(250)를 승강시키고 제2 선형구동부(273)는 표시 장치(미도시)가 안착된 제2 스테이지부(230)를 원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제2 스테이지부(230)의 상기 표시 장치는 원 상태로 복귀한 뒤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200)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필름부재(F)를 디스플레이 패널(D)에 균일하게 접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200)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필름부재(F)를 디스플레이 패널(D)에 신속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200)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필름부재(F)와 디스플레이 패널(D)을 일단에서 타단으로 순차적으로 부착함으로써 상기 표시 장치 제조 시 발생하는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로 제조된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20)는 기판(21) 상의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외곽에 비표시 영역이 정의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표시부(미표기)가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에는 전원 배선(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표시 영역에는 패드부(C)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D) 및 필름부재(F)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D)은 기판(21), 표시부(미표기) 및 박막 봉지층(E)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 상에 다양한 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판(21)은 플라스틱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SUS, Ti과 같은 금속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판(21)는 폴리이미드(PI, Polyimide)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판(21)이 폴리이미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21) 상에 상기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구비되고, 이들을 덮도록 패시베이션막(27)이 형성되며, 이 패시베이션막(27) 상에 유기 발광 소자(28)가 형성될 수 있다.
기판(21)의 상면에는 유기화합물 및/또는 무기화합물로 이루어진 버퍼층(22)이 더 형성되는 데, SiOx(x≥1), SiNx(x≥1)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버퍼층(22)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된 활성층(23)이 형성된 후, 활성층(23)이 게이트 절연층(24)에 의해 매립된다. 활성층(23)은 소스 영역(23a)과 드레인 영역(23b)을 갖고, 그 사이에 채널 영역(23b)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활성층(23)은 다양한 물질을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층(23)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결정질 실리콘과 같은 무기 반도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활성층(23)은 산화물 반도체를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활성층(23)은 유기 반도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활성층(23)이 비정질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활성층(23)은 버퍼층(22) 상에 비정질 실리콘막을 형성한 후, 이를 결정화하여 다결정질 실리콘막으로 형성하고, 이 다결정질 실리콘막을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23)은 구동 TFT(미도시), 스위칭 TFT(미도시) 등 TFT 종류에 따라, 그 소스 영역(23a) 및 드레인 영역(23b)이 불순물에 의해 도핑된다.
게이트 절연층(24)의 상면에는 활성층(23)과 대응되는 게이트 전극(25)과 이를 매립하는 층간 절연층(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층간 절연층(26)과 게이트 절연층(24)에 콘택홀(H1)을 형성한 후, 층간 절연층(26) 상에 소스 전극(27a) 및 드레인 전극(27b)을 각각 소스 영역(23a) 및 드레인 영역(23b)에 콘택되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부로는 패시베이션막(27)이 형성되고, 이 패시베이션막(27) 상부에 유기 발광 소자(28, OLED)의 화소 전극(28a)이 형성된다. 이 화소 전극(28a)은 패시베이션막(27)에 형성된 비아 홀(H2)에 의해 TFT의 드레인 전극(27b)에 콘택된다. 상기 패시베이션막(27)은 무기물 및/또는 유기물, 단층 또는 2개층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하부 막의 굴곡에 관계없이 상면이 평탄하게 되도록 평탄화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반면, 하부에 위치한 막의 굴곡을 따라 굴곡이 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패시베이션막(27)은, 공진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투명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시베이션막(27) 상에 화소 전극(28a)을 형성한 후에는 이 화소 전극(28a) 및 패시베이션막(27)을 덮도록 화소 정의막(29)이 유기물 및/또는 무기물에 의해 형성되고, 화소 전극(28a)이 노출되도록 개구된다.
그리고, 적어도 상기 화소 전극(28a) 상에 중간층(28b) 및 대향 전극(28c)이 형성된다.
화소 전극(28a)은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대향 전극(28c)은 캐소오드 전극의 기능을 하는 데, 물론, 이들 화소 전극(28a)과 대향 전극(28c)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화소 전극(28a)과 대향 전극(28c)은 상기 중간층(28b)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중간층(28b)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가해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이 이뤄지도록 한다.
중간층(28b)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인 다른 예로서, 중간층(28b)은 유기 발광층(organic emission layer)을 구비하고, 그 외에 정공 주입층(HIL: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중간층(28b)이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고, 기타 다양한 기능층(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단위 화소는 복수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데, 복수의 부화소는 다양한 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부화소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부화소를 구비할 수 있고,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의 빛을 방출하는 부화소(미표기)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박막 봉지층(E)은 복수의 무기막들을 포함하거나, 무기막 및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의 상기 유기막은 고분자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라카보네이트, 에폭시, 폴리에틸렌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막은 폴리아크릴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디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트리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조성물이 고분자화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조성물에 모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머 조성물에 TPO와 같은 공지의 광개시제가 더욱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박막 봉지층(E)의 상기 무기막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을 포함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막은 SiNx, Al2O3, SiO2, TiO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 중 외부로 노출된 최상층은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한 투습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무기막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유기막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무기막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 및 적어도 2개의 유기막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박막 봉지층(E)은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무기막, 제1 유기막, 제2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무기막, 제1 유기막, 제2 무기막, 제2 유기막, 제3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무기막, 제1 유기막, 제2 무기막, 상기 제2 유기막, 제3 무기막, 제3 유기막, 제4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와 제1 무기막 사이에 LiF를 포함하는 할로겐화 금속층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할로겐화 금속층은 제1 무기막을 스퍼터링 방식으로 형성할 때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유기막은 제2 무기막 보다 면적이 좁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유기막도 제3 무기막 보다 면적이 좁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D)은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사용자의 접촉에 따라 신호가 발생하는 터치층(미도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터치층은 박막 봉지층(E)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D)이 상기 터치층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필름부재(F)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부재(F)는 편광필름, 터치 스크린 패널 및 다양한 기능필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능필름은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필름부재, 내식성을 갖는 필름부재, 강도를 보강하는 필름부재 등과 같이 일정한 기능을 갖는 필름부재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필름부재(F)는 플렉서블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필름부재(F)와 디스플레이 패널(D) 사이에는 별도의 접착부재(O)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O)는 액체 형태, 젤 형태 또는 필름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110,210: 지지부
120,220: 제1 스테이지부
130,230: 제2 스테이지부
140,240: 점착벨트
150,250: 장력유지부
160,260: 가력부
171,271: 승하강구동부
172,272: 제1 선형구동부
173,273: 제2 선형구동부
180,280: 비젼부
190: 위치감지센서
110,210: 지지부
120,220: 제1 스테이지부
130,230: 제2 스테이지부
140,240: 점착벨트
150,250: 장력유지부
160,260: 가력부
171,271: 승하강구동부
172,272: 제1 선형구동부
173,273: 제2 선형구동부
180,280: 비젼부
190: 위치감지센서
Claims (20)
-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필름부재가 안착되는 제1 스테이지부;
상기 제1 스테이지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하는 제2 스테이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필름부재와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점착벨트;
상기 지지부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점착벨트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장력유지부; 및
상기 장력유지부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점착벨트를 상기 제1 스테이지부 또는 상기 제2 스테이지부 측으로 가력하는 가력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스테이지 및 상기 제2 스테이지가 선형 운동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장력유지부가 선형 운동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지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스테이지부를 제1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제1 선형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테이지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스테이지부를 제1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제2 선형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지부는,
상기 필름부재가 안착되는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1 테이블을 회전 또는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테이블얼라인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테이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제2 테이블; 및
상기 제2 테이블을 회전 또는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테이블얼라인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벨트는,
상기 장력유지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벨트바디; 및
상기 벨트바디에 배치되는 점착시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유지부는,
상기 지지부에 승하강하도록 설치되는 승하강부; 및
상기 승하강부에 연결되며, 상기 승하강부의 이동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유지부는,
상기 승하강부에 배치되어 상기 점착벨트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텐션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력부는,
상기 이동부에 배치되어 길이가 가변하는 제1 길이가변부; 및
상기 제1 길이가변부와 연결되며, 상기 점착벨트에 접촉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력부는,
상기 제1 길이가변부와 연결되며, 상기 점착벨트를 절곡시키는 절곡롤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롤러와 상기 가압롤러는 상기 점착벨트의 서로 다른 면에 접촉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력부는,
상기 가압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점착벨트에 부착된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점착벨트로부터 분리시키는 나이프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 제1 스테이지부에 필름부재를 배치하고, 제2 스테이지부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테이지부가 선형 운동하여 점착벨트에 대응되도록 상기 필름부재를 배치하고, 가력부를 선형 운동시켜 상기 제1 스테이지부의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점착벨트에 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스테이지부가 선형 운동하여 상기 필름부재와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배치하고, 상기 가력부로 상기 점착벨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측으로 가력하면서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점착벨트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순차적으로 부착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벨트는 상기 필름부재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기 시작하는 지점에서 절곡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력부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점착벨트에 부착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벨트는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인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력부는 상기 점착벨트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시키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는 나이프부로 상기 점착벨트로부터 분리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3278A KR102544982B1 (ko) | 2016-09-02 | 2016-09-02 |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US15/693,224 US10457029B2 (en) | 2016-09-02 | 2017-08-31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
CN201710778190.3A CN107799669B (zh) | 2016-09-02 | 2017-09-01 | 用于制造显示装置的装置 |
US16/589,994 US10960653B2 (en) | 2016-09-02 | 2019-10-01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3278A KR102544982B1 (ko) | 2016-09-02 | 2016-09-02 |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6600A true KR20180026600A (ko) | 2018-03-13 |
KR102544982B1 KR102544982B1 (ko) | 2023-06-20 |
Family
ID=61281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3278A KR102544982B1 (ko) | 2016-09-02 | 2016-09-02 |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2) | US10457029B2 (ko) |
KR (1) | KR102544982B1 (ko) |
CN (1) | CN107799669B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9508A (ko) * | 2019-06-04 | 2020-12-14 |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 필름 부착장치 및 필름 부착방법 |
KR102373665B1 (ko) * | 2021-07-07 | 2022-03-14 | 윤정한 | 목재판 장식필름 접착장치 |
WO2022203109A1 (ko) * | 2021-03-24 | 2022-09-29 | 삼성디스플레이주식회사 |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779579B2 (ja) * | 2017-01-31 | 2020-11-04 | 株式会社ディスコ | 判定方法、測定装置、及び粘着テープ貼着装置 |
KR102567096B1 (ko) | 2018-04-03 | 2023-08-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CN109448552B (zh) * | 2018-11-21 | 2020-12-04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在柔性显示装置上贴合支撑膜的方法 |
KR20200093099A (ko) * | 2019-01-25 | 2020-08-0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제조용 스테이지 얼라인먼트 장치 및 방법 |
CN110238547B (zh) * | 2019-05-09 | 2020-12-18 | 西安理工大学 | 一种用于测量大功率激光焦点位置的系统及测量方法 |
CN114454472B (zh) * | 2022-01-21 | 2023-12-08 |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 适用于曲面显示模组的贴合装置及贴合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8742B1 (ko) * | 2013-01-30 | 2013-11-11 | 주식회사 와이엠케이 | 편광필름 부착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01561A (ko) | 2004-06-30 | 2006-01-06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KR100682321B1 (ko) * | 2004-07-19 | 2007-02-15 | 김대건 | 폐기물 압출성형장치 |
KR100804819B1 (ko) | 2004-12-24 | 2008-02-2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광학 필터의 적층 방법 및그에 의해 제조된 광학 필터 |
KR100882210B1 (ko) * | 2007-05-04 | 2009-02-06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편광판 부착장치 |
KR101376625B1 (ko) | 2012-09-14 | 2014-04-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패널 제조장치 및 영상표시패널의 제조방법 |
JP5744819B2 (ja) * | 2012-11-09 | 2015-07-08 | 日東電工株式会社 | 光学表示パネルの連続製造方法および光学表示パネルの連続製造システム |
JP6404606B2 (ja) * | 2014-06-16 | 2018-10-10 | 平田機工株式会社 | 塗布方法、塗布装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JP5911029B2 (ja) * | 2014-08-01 | 2016-04-27 | 日東電工株式会社 | 可撓性薄膜構造の表示セルに光学機能フィルムを貼り合わせる方法 |
CN105204203A (zh) * | 2015-11-08 | 2015-12-30 | 温州智信机电科技有限公司 | 液晶屏偏光片自动贴合机 |
-
2016
- 2016-09-02 KR KR1020160113278A patent/KR10254498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8-31 US US15/693,224 patent/US10457029B2/en active Active
- 2017-09-01 CN CN201710778190.3A patent/CN107799669B/zh active Active
-
2019
- 2019-10-01 US US16/589,994 patent/US10960653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8742B1 (ko) * | 2013-01-30 | 2013-11-11 | 주식회사 와이엠케이 | 편광필름 부착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9508A (ko) * | 2019-06-04 | 2020-12-14 |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 필름 부착장치 및 필름 부착방법 |
WO2022203109A1 (ko) * | 2021-03-24 | 2022-09-29 | 삼성디스플레이주식회사 |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KR20220133378A (ko) * | 2021-03-24 | 2022-10-0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KR102373665B1 (ko) * | 2021-07-07 | 2022-03-14 | 윤정한 | 목재판 장식필름 접착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960653B2 (en) | 2021-03-30 |
US10457029B2 (en) | 2019-10-29 |
US20200031109A1 (en) | 2020-01-30 |
CN107799669A (zh) | 2018-03-13 |
US20180065352A1 (en) | 2018-03-08 |
CN107799669B (zh) | 2021-08-06 |
KR102544982B1 (ko) | 2023-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26600A (ko) |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
KR102577002B1 (ko) |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
KR102223675B1 (ko) |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 | |
KR101701247B1 (ko) |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법 | |
US10741789B2 (en) | Flexible display device | |
KR20140002470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 | |
KR102512728B1 (ko) |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
KR102117613B1 (ko) |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 | |
KR102562895B1 (ko) |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
KR20160006334A (ko) |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
KR20140053604A (ko) | 접착 필름 적층 장치 및 방법 | |
KR102190249B1 (ko) |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 | |
KR102241849B1 (ko) |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
KR20190121556A (ko) |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필름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 | |
US1138743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 |
KR102642197B1 (ko) |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
KR102116498B1 (ko) | 패널부재 고정장치 | |
US20230008950A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EP4120378A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CN117062710A (zh) | 用于制造显示装置的设备和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