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953A - 착탈식 손잡이 - Google Patents

착탈식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953A
KR20180025953A KR1020187003462A KR20187003462A KR20180025953A KR 20180025953 A KR20180025953 A KR 20180025953A KR 1020187003462 A KR1020187003462 A KR 1020187003462A KR 20187003462 A KR20187003462 A KR 20187003462A KR 20180025953 A KR20180025953 A KR 20180025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handle
free end
longitudinal direction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4739B1 (ko
Inventor
미셸 몽제라드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80025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유 단부(65)를 포함하는 외향 만곡부(64)에 의해 상향 연장되는 측벽(61)을 갖는 조리용기(60)와 협동하도록 되어 있는 착탈식 손잡이(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착탈식 손잡이(1)는 종방향(3)으로 연장되며, 상기 측벽(61)의 내면(62) 및 외면(63)과 각각 접합하게 되어 있는 내부 압박 부재(12) 및 외부 압박 부재(14), 그리고 상기 만곡부(64)의 자유 단부(65)와 접합하게 되어 있는 상위 압박 부재(15)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손잡이(1)는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병진 이동할 수 있는 볼트(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20)는 볼트의 개방된 위치에서는 상위 압박 부재(15)로부터 분리되게 되어 있고 볼트(20)의 폐쇄된 위치에서는 상위 압박 부재(15)에 대하여 만곡부(64)의 자유 단부(65)를 고정하기 위하여 자유 단부(65)의 하위 에지(67)와 접합하게 되어 있는 고정 벽(21)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착탈식 손잡이
본 발명은 외향 만곡부에 의해 상향 연장되는 측벽을 갖는 냄비 또는 전골냄비 등의 조리용기와 협동하도록 마련된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착탈식 손잡이를 기술하기 위하여 채택한 "수평", "수직", "하위", "상위", "종방향", "횡방향", "상부", "하부" 등의 용어들은, 그 손잡이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수평면 상에 놓인 조리용기의 측벽 상에 장착되었을 때의 손잡이를 기준으로 한다.
특허문헌 JP2014064884를 통하여, 자유 단부를 포함하는 외향 만곡부에 의해 상향 연장되는 측벽이 있는 조리용기와 협동하게 되어 있는 착탈식 손잡이가 공지되어 있다. 그 착탈식 손잡이는 측벽의 내면 및 외면과 각각 접합하게 되어 있는 내부 압박 부재 및 외부 압박 부재와, 만곡부의 자유 단부와 접합하게 되어 있는 상위 압박 부재를 포함한다. 그 손잡이는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병진 이동하는 볼트를 포함한다. 폐쇄된 위치에서, 자유 단부의 상위면은 상위 압박 부재와 접합하고 볼트는 자유 단부의 하위면의 하부에서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볼트의 병진이동을 위하여 볼트와 자유 단부의 하위면 사이에 간극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그러한 손잡이는 조리용기 상에서, 특히 조리용기의 수직축에 해당하는 수직축 방향으로는 완벽하게 고정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그 결과, 사용시에, 그리고 특히 예를 들어 볶음 조리시에, 또는 부침개 등을 뒤집을 때 관련되는 역학적 외력이 착탈식 손잡이에 인가될 때, 착탈식 손잡이와 조리용기 사이에 불필요한 움직임이 발생한다.
게다가, 그러한 손잡이는 측벽 및 특히 자유 단부의 소정의 두께에 대하여만 작동하고, 따라서 측벽의 다양한 두께에, 특히 자유 단부의 다양한 두께에 적용될 수 없다. 소정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일 때, 볼트는 자유 단부의 하위면 하부에서 슬라이딩할 수 없게 되고 자유 단부는 고정될 수 없게 된다. 소정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일 때, 볼트와 자유 단부의 하위면 사이의 간극이 커지고 손잡이는 조리용기 상에서 잘 고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들을 해결하고 사용자가 안전하고 손쉽게 다룰 수 있도록 개선된 유지를 제공하는, 조리용기와 협동하게 되어 있는 착탈식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현하기에 단순하고 경제적인 디자인의 착탈식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이한 수납이 가능한 조리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 목적들은 자유 단부를 포함하는 외향 만곡부에 의해 상향 연장되는 측벽을 갖는 조리용기와 협동하도록 마련된 착탈식 손잡이에 의해 달성되는데, 상기 착탈식 손잡이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측벽의 내면 및 외면과 각각 접합하게 되어 있는 내부 압박 부재 및 외부 압박 부재, 그리고 그 만곡부의 자유 단부와 접합하게 되어 있는 상위 압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손잡이는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병진 이동하는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식 손잡이에서 볼트는, 그 볼트의 개방된 위치에서는 내부 압박 부재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고 그 볼트의 폐쇄된 위치에서는 가압 수단의 작용하에 자유 단부 상으로 힘을 발생하게 되어 있는 고정 벽을 포함하고, 상기 힘은 상위 압박 부재에 대하여 만곡부의 자유 단부를 고정하는 수직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볼트는 3개의 고정된 부재인 내부 압박 부재, 외부 압박 부재 및 상위 압박 부재에 대하여 이동한다.
상위 압박 부재라 함은, 볼트의 폐쇄된 위치에서, 고정 벽에 의해 발생 되는 힘의 작용 하에 만곡부의 자유 단부가 접합하게 되는 압박 부재를 의미한다.
볼트의 개방된 위치에서, 고정 벽은 내부 압박 부재 및 외부 압박 부재 사이에 측벽이 삽입될 수 있게 하고 자유 단부가 상위 압박 부재와 접합하게 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내부 압박 부재로부터 분리되게 되어 있다. 볼트의 폐쇄된 위치에서는, 고정 벽은 만곡부의 자유 단부를 상위 압박 부재에 대하여 고정하고 따라서 조리용기의 수직축에 해당하는 수직축 방향으로 간극을 제거하기 위하여, 가압 수단의 작용 하에, 자유 단부 상으로 고정을 위한 수직 성분을 포함하는 힘을 발생하게 되어 있다.
그와 같이, 볼트의 폐쇄된 위치에서, 착탈식 손잡이는 만곡부의 자유 단부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2개의 압박 구역 및 측벽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내부 및 외부 압박 부재들로 형성된 2개의 압박 구역을 포함한다.
조리용기를 다룰 때 볼트와 자유 단부의 하위면과의 간극이 없음으로써 인체공학성 및 사용자가 인식하는 품질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볼트는 종방향으로 병진 이동한다.
그 구성은 자유 단부가 이동 방향에 따라 볼트 상으로 발생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실제로, 자유 단부는 착탈식 손잡이의 종축을 따른 볼트의 이동 방향과 거의 수직인 수직축을 따라 고정 벽을 인도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벽은 경사지거나 만곡되고, 종방향을 포함하는 수직 단면 내에서 경사진 고정 벽에 속하는 직선 또는 만곡된 고정 벽의 접선은 종방향과 4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α)를 형성한다.
그 구성에 의해, 종방향을 따라 가압 수단에 의해 발생 된 볼트 폐쇄용 힘으로부터, 상위 압박 부재에 대하여 만곡부의 자유 단부를 고정하는 수직 성분을 갖는 힘을 자유 단부 상으로 발생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간극을 제거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고정 벽은 볼트의 폐쇄된 위치에서 자유 단부의 하위 에지와 협동하게 되어 있다.
자유 단부의 하위 에지라 함은, 측벽의 외면을 연장하는 만곡부의 외면과 벽으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소정의 값으로 어긋난 거의 수직인 면의 교차선을 의미한다.
그 구성에 의해, 볼트가 볼트의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경사진 고정 벽에 의한 자유 단부의 양호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내부 압박 부재는 종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외부 압박 부재의 양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압박 구역을 포함한다.
그와 같이, 볼트의 폐쇄된 위치에서, 제1 및 제2 압박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하위 에지와 협동하게 되어 있는 2개의 압박 구역을 형성한다. 그 구성에 의해, 상위 압박 부재에 대한 만곡부의 자유 단부의 고정을 개선할 수 있고 또한 종방향 둘레의 착탈식 손잡이의 간극을 제거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볼트는 금속판으로부터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압박 부재는 종축에 대해 횡축을 따라 내부 압박 부재의 양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압박 구역을 포함한다.
그와 같이, 볼트의 폐쇄된 위치에서, 제1 및 제2 압박 구역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벽의 내면과 협동하게 되어 있다. 그 구성에 의해, 착탈식 손잡이가 조리용기 상에 조립되어 있을 때, 수평면 내에 포함된 종축에 대한 횡방향으로의 착탈식 손잡이의 유지를 개선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위 압박 부재는 만곡부의 자유 단부의 상위 에지와 협동하게 되어 있는 압박 면을 포함한다.
자유 단부의 상위 에지라 함은, 측벽의 내면을 연장하는 만곡부의 내면과 벽의 외부를 향하여 소정의 값으로 어긋난 거의 수직인 면과의 교차선을 의미한다.
하위 에지 및 상위 에지는 만곡부의 자유 단부의 두께를 한정한다.
상위 에지와 협동하게 되어 있는 압박 면이라 함은, 착탈식 손잡이가 조리용기 상에 조립되어 있을 때, 수직 단면 내에서, 압박 면이 상향 수직 성분 및 조리용기의 외부 방사상 수평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따른 상위 에지의 이동을 저지함을 의미한다.
그와 같이, 착탈식 손잡이는 자유 단부의 상위 에지 및 하위 에지를 고정하는 압박 면 및 고정 벽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압박 면은 경사지거나 만곡되며 종방향을 포함하는 수직 단면 내에서, 경사진 압박 면에 속하는 직선 또는 만곡된 압박 면의 접선은 종방향과 5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60°의 각도(β)를 형성한다.
그와 같이, 착탈식 손잡이는 볼트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자유 단부의 상위 에지 및 하위 에지를 고정하는 코너를 형성하는 압박 면 및 고정 벽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압박 면 및/또는 고정 벽은 상위 에지 및/또는 하위 에지의 밀착성을 개선하기 위한 표면 처리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착탈식 손잡이는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조 부품을 포함하고 구조 부품은 외부 압박 부재, 내부 압박 부재 및 상위 압박 부재를 포함한다.
구조 부품이 외부 압박 부재, 내부 압박 부재 및 상위 압박 부재를 포함한다는 것은, 구조 부품, 외부 압박 부재, 내부 압박 부재 및 상위 압박 부재가 하나의 동일한 부품을 형성함을 의미한다. 그 구성에 의해 구현하기에 단순하고 경제적인 디자인의 착탈식 손잡이를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조 부품은 금속판으로부터 형성된다.
그 구성에 의해 내구성 있고 소형인 부품을 수득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가압 수단들은 압축 용수철을 포함한다.
그 구성에 의해 자유 단부의 두께 및 길이에 대하여 볼트의 위치를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볼트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볼트 상으로의 용수철의 가압은 종방향으로 실시된다.
볼트의 고정 벽을 통하여 하위 에지 상으로 용수철에 의해 인가된 힘은 상위 압박 부재에 대하여 상위 에지를 고정하기에 충분한 힘을 생성하고, 따라서 볼트를 폐쇄된 위치로 유지하는 추가 수단, 특히 볼트의 후퇴방지장치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
유리하게는, 착탈식 손잡이는 너클 조인트를 갖는 볼트 조작 수단들을 포함하고, 그 조작 수단들은 레버, 크랭크 및 압축 용수철을 포함한다.
그 구성에 의해, 매우 인체공학적인 볼트 조작 수단들을 수득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손잡이는 내부 압박 부재를 포함하는 레그(leg)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위 압박 부재는 레그의 내면에 의해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볼트는 서로 연결되고 고정된 3개의 부재인 내부 압박 부재, 외부 압박 부재 및 상위 압박 부재에 대하여 이동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위 에지 및 하위 에지를 구비한 자유 단부를 포함하는 외향 만곡부에 의해 상향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용기 및 상술한 바와 같은 착탈식 손잡이로 형성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 양태들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한정적 예시로서 제공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의 이하 개시된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특정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착탈식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III)을 따른 착탈식 손잡이의 구조 부품 및 볼트의 부분도로서, 착탈식 손잡이는 부분적으로 도시된 조리용기에 조립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구조 부품, 볼트 및 조리용기의 상부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단면(V)을 따른 착탈식 손잡이의 단면도로서, 볼트는 폐쇄된 위치에 있다.
도 6은 도 1의 단면(V)을 따른 착탈식 손잡이의 단면도로서, 볼트는 개방된 위치에 있다.
도 7은 도 5의 단면(VII)을 따른 착탈식 손잡이의 단면도로서, 레버는 폐쇄 위치에 있다.
도 8은 도 5의 단면(VII)을 따른 착탈식 손잡이의 단면도로서, 레버는 개시 위치에 있다.
도 9는 도 6의 단면(IX)을 따른 착탈식 손잡이의 단면도로서, 레버는 개방 위치에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특정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의 상부 사시도로서, 착탈식 손잡이는 조리용기 상에 조립되어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착탈식 손잡이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단면(XII)을 따른 착탈식 손잡이의 단면도로서, 조리용기는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착탈식 손잡이(1)는 도 3 및 도 4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바닥 벽 및 그 바닥 벽으로부터 세워진 측벽(61) 및 외향 연장되는 만곡부(64)를 포함하는 조리용기(60)와 협동하도록 되어 있다. 측벽(61)은 내면(62) 및 외면(63)을 포함한다. 만곡부(64)는 측벽(61)을 연장하고 조리용기(60)의 상위 개방부를 한정한다. 만곡부(64)는 상위 에지(66) 및 하위 에지(67)를 구비한 자유 단부(65)를 포함한다. 상위 에지(66) 및 하위 에지(67)는 바람직하게는 수직 평면 내에 중첩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따라, 착탈식 손잡이(1)는 구조 부품(10)이 상부에 배치된 그립 본체(2)를 포함한다. 착탈식 손잡이(1)는 종방향(3)을 따라 연장된다. 구조 부품(10)은 단부에 중앙 레그(13) 및 2개의 측부 레그(11a, 11b)를 포함하는 거의 평면인 금속 부품이다.
중앙 레그(13)는 하향 연장되고 측벽(61)의 외면(63)과 협동하게 되어 있는 외부 압박 부재(14)를 단부에 포함한다. 종방향(3)을 따라 배향된 수직 단면 내에서, 외부 압박 부재(14)는 거의 수직이다. 중앙 레그(13)는 또한 자유 단부(65)의 상위 에지(66)와 협동하게 되어 있는 압박 면(16)을 포함하는 상위 압박 부재(15)도 포함한다. 압박 면(16)은 종방향(3)에 대하여 경사져있다. 종방향(3)을 따라 배향된 수직 단면 내에서, 경사진 압박 면(16)에 속하는 직선과 종방향(3)은 약 60°의 각도(β)를 형성한다(도 3).
2개의 측부 레그(11a, 11b)는 종방향(3)에 대해 횡방향(4)으로 중앙 레그(13)의 양측에 배치된다. 2개의 측부 레그(11a, 11b)는 하향 연장되고 그것의 각각의 단부에 측벽(61)의 내면(62)과 협동하게 되어 있는 내부 압박 부재(12)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압박 구역(12a, 12b)을 포함한다.
내부 압박 부재(12)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압박 구역(12a, 12b) 및 외부 압박 부재(14)는 조리용기(60) 상에 착탈식 손잡이(1)를 조립할 때 측벽(61) 및 자유 단부(65)를 삽입할 수 있도록 수직축을 따라 서로 어긋나 있다.
착탈식 손잡이(1)는 종방향(3)을 따라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병진 이동하는 볼트(20)에 의해 형성되는 잠금 부재를 포함한다. 볼트(20)는 중앙 레그(13)의 양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압박부(21a, 21b)를 포함하는 고정 벽(21)을 포함한다.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볼트(20)의 개방된 위치에서는, 고정 벽(21)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압박부(21a, 21b)가, 내부 압박 부재(12)와 외부 압박 부재(14) 사이에 측벽(61)을 삽입할 수 있도록, 그리고 자유 단부(65)의 상위 에지(66)가 상위 압박 부재(15)와 접합하게 될 수 있도록, 상위 압박 부재(15)로부터 분리되게 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볼트(20)의 폐쇄된 위치에서는, 고정 벽(21)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압박부(21a, 21b)가, 자유 단부(65)의 하위 에지(67)와 맞닿게 되고 따라서 상위 압박 부재(15)에 대하여 상위 에지(66)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도 3). 종방향(3)을 포함하는 수직 단면 내에서, 고정 벽(21)에 속하는 직선은 종방향과 4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α)를 형성한다.
그립 본체(2)는 볼트(20)의 수용 및 가이딩을 위한 하우징(5)을 포함한다(도 2). 구조 부품(10)은 하우징(5) 상부에 배치되고 나사(29)에 의해 그립 본체(2) 상에 고정된다.
도 5 및 도 6에 따라, 착탈식 손잡이(1)는 볼트(20)로 형성된 잠금 부재의 이동 수단들을 포함한다. 이동 수단들은 종방향(3)과 수직인 횡방향(4)으로 연장되는 피벗 축(34)을 따라 그립 본체(2) 상에서 피벗하도록 장착된 레버(30), 및 그 레버(30)가 피벗할 때 볼트(20)가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크랭크(40)를 포함한다. 크랭크(40)는 제1 단부(41)에 의해 축(43)을 따라 볼트(20)에 피벗식으로 장착되고, 레버(30) 내에 구현된 장방형 개방부(31) 내에 슬라이딩식으로 장착된 축(44)을 따라 제2 단부(42)에 의해 레버(30)에 피벗식으로 장착된다.
레버(30)는 그립 본체(2)의 하위 면(6) 상에 배치되고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를 통과하여 이동한다. 그 외에, 이동 수단들은 또한 슬라이딩 식으로 장착된 축(44)과 레버(30)의 횡단 벽(32) 사이에 배치된 용수철(47)도 포함한다. 그 압축 용수철(47)은 볼트의 폐쇄된 위치에서 조리용기(60)의 측벽(61) 두께에 맞추어 볼트(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도 5에 따라, 레버(30)의 폐쇄 위치에서, 제2 단부(42)가 둘레로 피벗하는 축(44)은 피벗 축(34)과 축(43)을 통과하는 직선의 상부에 위치한다. 제2 단부(42)는 압축 용수철(47)의 작용하에 구조 부품(10)과 접촉을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착탈식 손잡이(1) 상으로 모종의 힘을 유지하지 않아도 볼트(20)는 자연적으로 볼트의 폐쇄된 위치로 유지된다. 제2 단부(42)가 둘레로 피벗하는 축(44)이 피벗 축(34)과 축(43)을 통과하는 직선 하부로 이동할 때 레버(30)의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에 이른다.
도 7 내지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착탈식 손잡이(1)는 볼트의 폐쇄된 안정된 위치에서 개방된 위치로 그 볼트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개방 수단들을 포함한다. 개방 수단들은 그립 본체(2) 상에서 종축(3)과 평행한 축(51a, 51b)의 둘레로 각각 피벗하도록 장착된 제1 및 제2 버튼(50a, 50b)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버튼(50a, 50b)은 그립 본체(2)의 제1 종방향 측부(7a) 및 제2 종방향 측부(7b) 상에 각각 배치된다. 제1 및 제2 버튼(50a, 50b)은 각각 단 레버 아암(52a)과 장 레버 아암(52b) 및 단 레버 아암(52a)과 장 레버 아암(52b)을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제1 및 제2 날개부(53a, 53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버튼(50a, 50b)은, 제1 및 제2 버튼(50a, 50b)이 레버(30) 상에 아무 영향을 주지 않는 휴식 위치와, 제1 및 제2 버튼(50a, 50b)이 초기에 레버(30)의 폐쇄 위치에 있던 레버(30)를 그것의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 너머로 구동하여, 일단 그 위치를 통과하면, 레버(30)가 자연적으로 그것의 안정된 개방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된 작동 위치 사이에서 피벗한다. 그와 같이, 특히 볼트(20), 크랭크(40) 및 레버(30)를 구동하는 압축 용수철(47)의 작용으로 인하여 볼트(20)는 자연적으로 볼트의 개방된 위치로 전환된다.
제1 및 제2 버튼(50a, 50b)은 레버(3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날개부(53a, 53b)는 그립 본체(2)의 상위 부분에서 제1 및 제2 종방향 측부(7a, 7b)의 외부로 돌출된다. 단 레버 아암(52a) 및 장 레버 아암(52b)은 제1 및 제2 구동 단부(54a, 54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버튼(50a, 50b)이 그것들의 휴식 위치와 그것들의 작동 위치 사이에서 피벗할 때, 단 레버 아암(52a) 및 장 레버 아암(52b)은 레버(30)가 포함하고 있는 수용면(33)과 접합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단 레버 아암(52a)은 레버(30)를 폐쇄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와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 사이에 포함된 개시 위치로 구동하도록 수용면(33)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강도를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장 레버 아암(52b)은 레버(30)를 개시 위치로부터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 너머로 구동하도록 수용면(33)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강도를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레버(30)가 이동함으로써 크랭크(40)를 통하여 볼트(20)는 볼트의 개방된 위치로 구동된다.
작동시에, 조리용기(60)에서 착탈식 손잡이(1)를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그립 본체(2)를 파지하고 단 레버 아암(52a) 및 장 레버 아암(52b)을 그것들의 휴식 위치에서 그것들의 작동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 및 제2 날개부(53a, 53b)를 엄지와 검지로 클램핑한다. 그러면, 제1 구동 단부(54a)가 수용면(33) 상으로 작용하면서 레버(30)를 폐쇄 위치에서 개시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2 구동 단부(54b)가 수용면(33) 상에 작용하면서 레버(30)를 개시 위치에서 개방 위치를 향하여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 너머로 이동시킨다. 레버(30)가 그것의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크랭크(40)를 통하여 볼트의 폐쇄된 위치에서 개방된 위치로의 볼트(20)의 이동이 유발된다.
착탈식 손잡이(1)를 조리용기(60) 상에 조립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그립 본체(2)를 파지하고 전술한 바와 동일한 작동 모드에 따라 볼트(20)를 그 개방된 위치가 되게 한다. 사용자는 측벽(61)의 내면(62)을 내부 압박 부재(12)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압박 구역(12a, 12b)과 맞닿게 하고 외면(63)을 외부 압박 부재(14)와 맞닿게 하며, 또한 상위 에지(66)를 압박 면(16)과 맞닿게 하기 위하여, 만곡부(64)의 자유 단부(65)를 2개의 측부 레그(11a, 11b)와 중앙 레그(13) 사이에 삽입한다. 그 후 사용자는 레버(30)를 그것의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고, 따라서 볼트의 개방된 위치로부터, 고정 벽(21)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압박부(21a, 21b)가 자유 단부(65)의 하위 에지(67)와 맞닿고 따라서 압박 면(16)에 대하여 상위 에지(66)를 고정하는, 볼트의 폐쇄된 위치로, 볼트(20)를 구동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일 변형 실시예에서, 착탈식 손잡이(1)는 수평 바닥 벽, 그 바닥 벽으로부터 세워진 측벽(61) 및 외향 연장되는 만곡부(64)를 포함하는 조리용기(60)와 협동하게 되어 있다. 측벽(61)은 내면(62) 및 외면(63)을 포함한다. 만곡부(64)는 측벽(61)을 연장하고 조리용기(60)의 상위 개방부를 한정한다. 만곡부(64)는 자유 단부(65)를 포함한다. 자유 단부라 함은 만곡부(64)의 말단부를 의미한다.
그 실시예에서, 만곡부(64)는 측벽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상향 연장되는 일부분을 포함하고, 자유 단부(65)는 수직 상향 연장되는 제1 부분(68) 및 방사상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2 부분(69) 및 수직 하향 연장되는 제3 부분(70)을 연속적으로 포함한다.
착탈식 손잡이(1)는 종방향(3)으로 연장되는 그립 본체(2)를 포함한다. 손잡이는 2개의 측부 레그(11a, 11b)로 분리되는 레그(11)를 포함한다. 2개의 측부 레그(11a, 11b)는 하향 연장되고 측벽(61)의 내면(62)과, 특히 제1 부분(68)과 협동하게 되어 있는 내부 압박 부재(12)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압박 구역(12a, 12b)을 각각의 단부에 포함한다. 상위 압박 부재는 레그(11)의 내면(15)에 의해 형성된다.
손잡이는 측벽(61)의 외면(63)과 협동하게 되어 있는 외부 압박 부재(14)를 포함한다.
착탈식 손잡이(1)는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종방향(3)으로 병진 이동하는 볼트(20)로 형성되는 잠금 부재를 포함한다. 볼트(20)는 고정 벽(21)을 포함한다.
볼트(20)의 폐쇄된 위치에서, 고정 벽(21)은 가압 수단(47)의 작용하에 자유 단부(65), 특히 자유 단부(65)의 단편과 맞닿게 되어 있고 그 자유 단부(65)의 단편 상에 힘을 발생하게 되어 있으며, 그 힘은 상위 압박 부재(15)에 대하여 자유 단부(65)를 고정하는 수직 성분을 포함한다. 상위 압박 부재는 레그(11)의 내면(17), 특히 레그(11)의 만곡 단부의 내면(17)에 의해 형성된다. 압박 부재(15)는 만곡부(64)의 상향 방사상 측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과 자유 단부(65)의 제1 부분(68)과의 접합부와 협동한다.
일 변형 실시예에서, 압박 부재(15)는 자유 단부(65)의 제1 부분(68)과 제2 부분(69)과의 접합부와 협동한다.
그 실시예의 볼트(20)로 형성된 잠금 부재의 이동 수단들은, 그 실시예에서는 개방 수단들을 위하여 하나의 버튼만을 구현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이동 수단들과 거의 동일하다.
물론, 본 발명은 예시로서만 제공된, 상술 되고 도시된 실시예에 절대로 한정되지 않는다. 변형이 가능하며, 특히 여러 다른 요소의 구성의 관점에서 또는 동일한 기술로 대체함으로써,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다.
일 변형 실시예에서, 볼트는 종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축을 따라 종방향을 포함하는 수직 단면 내에서 병진 이동할 수 있다.

Claims (17)

  1. 자유 단부(65)를 포함하는 외향 만곡부(64)에 의해 상향 연장되는 측벽(61)을 갖는 조리용기(60)와 협동하게 되어 있는 착탈식 손잡이(1)로서, 상기 착탈식 손잡이(1)는 종방향(3)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벽(61)의 내면(62) 및 외면(63)과 각각 접합하게 되어 있는 내부 압박 부재(12) 및 외부 압박 부재(14), 그리고 상기 만곡부(64)의 자유 단부(65)와 접합하게 되어 있는 상위 압박 부재(15)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손잡이(1)는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병진 이동하는 볼트(20)를 포함하는, 착탈식 손잡이(1)에 있어서,
    상기 볼트(20)는, 상기 볼트의 개방된 위치에서는 상기 내부 압박 부재(12)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볼트(20)의 폐쇄된 위치에서는 가압 수단(47)의 작용하에 상기 자유 단부(65) 상으로 힘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는 고정 벽(21)을 포함하며, 상기 힘은 상기 상위 압박 부재(15)에 대하여 상기 만곡부(64)의 자유 단부(65)를 고정하는 수직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2. 제1항에서, 상기 볼트(20)는 상기 종방향(3)으로 병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고정 벽(21)은 경사지거나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종방향(3)을 포함하는 수직 단면 내에서, 상기 경사진 고정 벽(21)에 속하는 직선 또는 상기 만곡된 고정 벽(21)의 접선은 상기 종방향과 4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α)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고정 벽(21)은 상기 볼트(20)의 폐쇄된 위치에서 상기 자유 단부(65)의 하위 에지(67)와 협동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고정 벽(21)은 상기 종방향(3)에 대하여 횡방향(4)으로 상기 내부 압박 부재(12)의 양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압박부(21a, 2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내부 압박 부재(12)는 상기 종방향(3)에 대하여 횡방향(4)으로 상기 외부 압박 부재(14)의 양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압박 구역(12a, 1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상위 압박 부재(15)는 상기 만곡부(64)의 자유 단부(65)의 상위 에지(66)와 협동하게 되어 있는 압박 면(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8. 제7항에서, 상기 압박 면(16)은 경사지거나 만곡되고, 상기 종방향(3)을 포함하는 수직 단면 내에서, 상기 경사진 압박 면(16)에 속하는 직선 또는 상기 만곡된 압박 면(16)의 접선은 상기 종방향(3)과 5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60°의 각도(β)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착탈식 손잡이(1)는 상기 종방향(3)을 따라 연장되는 구조 부품(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조 부품(10)은 외부 압박 부재(14), 내부 압박 부재(12) 및 상위 압박 부재(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10. 제9항에서, 상기 구조 부품(10)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가압 수단들은 압축 용수철(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12. 제11항에서, 상기 용수철(47)의 상기 볼트(20) 상으로의 가압은 상기 볼트(20)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종방향(3)을 따라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서, 상기 착탈식 손잡이(1)는 너클 조인트를 갖는 상기 볼트(20)의 조작용 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용 수단들은 레버(30), 크랭크(40) 및 상기 압축 용수철(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내부 압박 부재(12)를 포함하는 레그(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15. 제14항에서, 상기 상위 압박 부재(15)는 상기 레그(11)의 내면(17)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볼트(20)는 서로 연결되고 고정된 3개의 부재인 상기 내부 압박 부재(12), 상기 외부 압박 부재(14) 및 상기 상위 압박 부재(15)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17. 상위 에지(66) 및 하위 에지(67)를 구비한 자유 단부(65)를 포함하는 외향 만곡부(64)에 의해 상향 연장되는 측벽(61)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용기(60) 및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1)로 형성된 어셈블리.
KR1020187003462A 2015-07-08 2016-07-04 착탈식 손잡이 KR1024747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56467A FR3038505B1 (fr) 2015-07-08 2015-07-08 Poignee amovible
FR1556467 2015-07-08
PCT/FR2016/051690 WO2017006040A1 (fr) 2015-07-08 2016-07-04 Poignee amovi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953A true KR20180025953A (ko) 2018-03-09
KR102474739B1 KR102474739B1 (ko) 2022-12-07

Family

ID=5406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462A KR102474739B1 (ko) 2015-07-08 2016-07-04 착탈식 손잡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3319497B1 (ko)
JP (1) JP6694052B2 (ko)
KR (1) KR102474739B1 (ko)
CN (2) CN106333617B (ko)
ES (1) ES2730696T3 (ko)
FR (1) FR3038505B1 (ko)
PT (1) PT3319497T (ko)
TR (1) TR201908614T4 (ko)
WO (1) WO20170060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8505B1 (fr) * 2015-07-08 2017-07-07 Seb Sa Poignee amovible
FR3061645B1 (fr) * 2017-01-06 2019-05-17 Seb S.A. Poignee amovible munie d'un systeme d'ouverture avec un bouton pivotant
CN106983404A (zh) * 2017-04-20 2017-07-28 招蕴琪 可拆卸手柄
CN108451389A (zh) * 2018-03-20 2018-08-28 安庆三维电器有限公司 一种可快拆的炸篮手柄及炸篮手柄与炸篮的连接结构
CN108542286B (zh) * 2018-06-06 2023-09-19 浙江福腾宝家居用品有限公司 手柄和烹饪器具
FR3108487B1 (fr) * 2020-03-30 2022-02-18 Seb Sa Poignee amovible munie d’un verrou mobile
FR3118570B1 (fr) * 2021-01-07 2023-06-02 Seb Sa Poignée amovible munie d’un organe d’appui renforcé
FR3118569B1 (fr) * 2021-01-07 2023-01-06 Seb Sa Poignée amovible présentant un assemblage optimisé
DE202021105095U1 (de) 2021-09-22 2021-10-04 Stefan Laibold Lösbarer Handgreifer zum einhändigen Aufnehmen und sicheren Verschwenken eines Kochgefäßes
FR3134703B1 (fr) * 2022-04-25 2024-04-05 Seb Sa Poignée amovible comportant un verrou mobile muni d’un dispositif anti-recu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7932A1 (fr) * 2011-07-13 2013-01-17 Seb Sa Poignee amovible rechargeable
JP2014064884A (ja) * 2012-09-07 2014-04-17 Katsuko Kobayashi 調理用鍋の着脱把手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38255Y (zh) * 2002-05-20 2003-03-05 广州南沙澳美发金属塑料制品有限公司 快卸结构的手柄
CN200954059Y (zh) * 2006-09-29 2007-10-03 广东凌丰集团有限公司 可拆卸的锅手柄
CN201088480Y (zh) * 2007-10-23 2008-07-23 常熟卡斯玛因厨具有限公司 一种可拆卸的烹饪用具手柄
CN201445424U (zh) * 2009-08-28 2010-05-05 常熟卡斯玛因厨具有限公司 可脱卸的锅手柄
CN201602669U (zh) * 2010-01-22 2010-10-13 常熟卡斯玛因厨具有限公司 旋转式可脱卸的锅手柄
FR2988989B1 (fr) * 2012-04-04 2015-12-04 Seb Sa Poignee amovible cooperant avec une anse
FR3038505B1 (fr) * 2015-07-08 2017-07-07 Seb Sa Poignee amovib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7932A1 (fr) * 2011-07-13 2013-01-17 Seb Sa Poignee amovible rechargeable
JP2014064884A (ja) * 2012-09-07 2014-04-17 Katsuko Kobayashi 調理用鍋の着脱把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01908614T4 (tr) 2019-07-22
CN106333617A (zh) 2017-01-18
FR3038505B1 (fr) 2017-07-07
EP3319497B1 (fr) 2019-05-08
JP6694052B2 (ja) 2020-05-13
CN106333617B (zh) 2020-10-27
FR3038505A1 (fr) 2017-01-13
JP2018519940A (ja) 2018-07-26
WO2017006040A1 (fr) 2017-01-12
CN206183103U (zh) 2017-05-24
PT3319497T (pt) 2019-06-25
KR102474739B1 (ko) 2022-12-07
EP3319497A1 (fr) 2018-05-16
ES2730696T3 (es)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5953A (ko) 착탈식 손잡이
KR101098131B1 (ko) 물림 부재의 개방 수단을 포함하는 착탈식 손잡이 장치
KR102474736B1 (ko) 2개의 피벗식 버튼이 있는 개방 시스템을 구비한 착탈식 손잡이
US8297467B2 (en) Slow cooker
US20150366402A1 (en) Cooking device
US9387595B2 (en) Folding knife with locking mechanism
KR101191925B1 (ko) 푸쉬타입의 레버형 도어록
KR200484244Y1 (ko) 기밀 효과를 높인 창호용 잠금장치
KR101839867B1 (ko) 탈부착 손잡이
KR101918592B1 (ko) 창호용 무락핸들
JP2016068227A (ja) 観音開き工具箱
KR102440050B1 (ko) 피벗식 버튼이 있는 개방 시스템을 구비한 착탈식 손잡이
EP3009055A1 (en) Two-handed attachable-and-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US20110005405A1 (en) Sliding grill fixing apparatus
KR20150109814A (ko) 의류처리장치
KR101324568B1 (ko) 조리기구용 핸들
JP2022106686A (ja) 最適化された組立体を有する脱着可能なハンドル
CA2844299A1 (en) Handle locking and release mechanism for a food processor
JP5912401B2 (ja) 扉体の施解錠装置
KR101254449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착탈구조물
JP7039368B2 (ja) 浴槽用手摺り
KR200429646Y1 (ko) 양면 프라이팬
KR10220174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489277Y1 (ko) 미닫이문용 잠금장치
KR20170123969A (ko) 음식 제조기의 분리형 탑 커버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