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851A -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851A
KR20180024851A KR1020160111798A KR20160111798A KR20180024851A KR 20180024851 A KR20180024851 A KR 20180024851A KR 1020160111798 A KR1020160111798 A KR 1020160111798A KR 20160111798 A KR20160111798 A KR 20160111798A KR 20180024851 A KR20180024851 A KR 20180024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visually impaired
information
reservation
bl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1090B1 (ko
Inventor
박미선
김은진
Original Assignee
박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선 filed Critical 박미선
Priority to KR1020160111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090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8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 H04M1/725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각장애인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를 예약하고 버스의 도착정보를 스마트폰을 통하여 전달받으며, 예약버스 운전자가 예약한 시각장애인을 쉽게 인식하여서 시각장애인의 서있는 위치에 정차하여 시각장애인이 편한하고 용이하며 안전하게 버스를 탑승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와 통신을 통하여 원활하게 탑승할 수 있게 한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을 구비하되, 상기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을 시각장애인이 탑승버스를 예약할 수 있게 한 버스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각 버스에 탑재되어 운전자에게 탑승예약 시각장애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버스단말기, 예약버스의 운전자가 예약 시각장애인을 인지할 수 있게 시각장애인이 휴대하며 스마트폰 및 버스단말기와 통신하여 운전자의 인지를 위한 발광정보를 제공하는 휴대기기 및 상기 스마트폰 및 버스단말기와 통신하는 버스안내서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와 통신을 통하여 원활하게 탑승할 수 있게 한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도착정보를 스마트폰을 통하여 전달받고 예약버스 운전자가 예약한 시각장애인을 쉽게 인식하여서 시각장애인의 서있는 위치에 정차하여 시각장애인이 편한하고 용이하며 안전하게 버스를 탑승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Bus-ride guidance system of Blind people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와 통신을 통하여 원활하게 탑승할 수 있게 한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을 구비하되, 상기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은 시각장애인이 탑승버스를 예약할 수 있게 한 버스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각 버스에 탑재되어 운전자에게 탑승예약 시각장애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버스단말기, 예약버스의 운전자가 예약 시각장애인을 인지할 수 있게 시각장애인이 휴대하며 스마트폰 및 버스단말기와 통신하여 운전자의 인지를 위한 발광정보를 제공하는 휴대기기 및 상기 스마트폰 및 버스단말기와 통신하는 버스안내서버로 구성하여서, 시각장애인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를 예약하고 버스의 도착정보를 스마트폰을 통하여 전달받으며, 예약버스 운전자가 예약한 시각장애인을 쉽게 인식하여서 시각장애인의 서있는 위치에 정차하여 시각장애인이 편한하고 용이하며 안전하게 버스를 탑승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은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 소리 또는 점자와 지팡이를 통하여 정보를 취득하여 활동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시각장애인은 버스를 탑승하고자 할 경우 인도에 설치된 점자블럭을 따라 버스정류장으로 이동한 후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버스도착 알림시스템을 통하여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정보를 인지하고 버스가 도착하면 지팡이를 이용하여 버스를 찾아 탑승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시각장애인이 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도로에 설치된 점자블럭과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버스도착알림시스템에 의존함으로서, 시각장애인이 버스의 도착여부를 쉽게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버스스강장에 버스도착 알림시스템만 설치된 경우 버스운전자는 정차한 버스승강장에 시각장애인의 탑승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버스를 탑승하고자 하는 시각장애인에게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시각장애인은 자신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없고, 버스 운전자는 버스스강장에 시각장애인의 유무를 알 수 없어 시각장애인이 버스승강장에서 버스를 탑승하지 못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06-0086558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시각장애인이 점자블럭과 지팡이 및 버스승강장의 버스알림시스템에 의존하여 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시각장애인이 버스의 도착여부를 쉽게알 수 없는 문제점과 버스 운전자는 버스스강장에 시각장애인의 유무를 알 수 없어 시각장애인이 버스승강장에서 버스를 탑승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와 통신을 통하여 원활하게 탑승할 수 있게 한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은 시각장애인이 탑승버스를 예약할 수 있게 한 버스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각 버스에 탑재되어 운전자에게 탑승예약 시각장애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버스단말기, 예약버스의 운전자가 예약 시각장애인을 인지할 수 있게 시각장애인이 휴대하며 스마트폰 및 버스단말기와 통신하여 운전자의 인지를 위한 발광정보를 제공하는 휴대기기 및 상기 스마트폰 및 버스단말기와 통신하는 버스안내서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와 통신을 통하여 원활하게 탑승할 수 있게 한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도착정보를 스마트폰을 통하여 전달받고 예약버스 운전자가 예약한 시각장애인을 쉽게 인식하여서 시각장애인의 서있는 위치에 정차하여 시각장애인이 편한하고 용이하며 안전하게 버스를 탑승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버승승강장의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실행앱의 예시도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어플의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단말기의 주요구성 예시도.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주요구성 예시도.
도 7 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과정의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도착정보를 스마트폰을 통하여 전달받고 예약버스 운전자가 예약한 시각장애인을 쉽게 인식하여서 시각장애인의 서있는 위치에 정차하여 시각장애인이 편한하고 용이하며 안전하게 버스를 탑승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10)와 통신을 통하여 원활하게 탑승할 수 있게 한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은 시각장애인이 탑승버스(10)를 예약할 수 있게 한 버스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20)과 각 버스(10)에 탑재되어 운전자에게 탑승예약 시각장애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버스단말기(30), 예약버스(10)의 운전자가 예약 시각장애인을 인지할 수 있게 시각장애인이 휴대하며 스마트폰(20) 및 버스단말기(30)와 통신하여 운전자의 인지를 위한 발광정보를 제공하는 휴대기기(40) 및 상기 스마트폰(20) 및 버스단말기(30)와 통신하는 버스안내서버(50)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버스어플은 스마트폰(20)에 탑재되며 사용자의 검색을 선택할 수 있게 팝업되는 실행앱(21)과 상기 실행앱(21)의 음성실행에 따라 팝업되는 버스어플창(22)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실행앱(21)은 자주이용하는경로선택부(21a), 자주이용하는 정류장선택부(21b), 버스 이동경로를 선택하는 경로선택부(21c) 및 음성으로 버스를 검색하는 음성검색부(21d)로 구성되어 버스어플창(22)을 구동하는 것이다.
상기 버스어플창(22)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가 음성예약할 수 있게 음성정보를 제공하는 음성예약부(22a), 사용자의 음성예약에 따라 예약버스(10)의 위치정보를 알려주는 음성버스위치알림부(22b), 예약버스(10)가 버스승강장에 진입시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알려주고 휴대기기(40)가 발광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탑스 예정 시작장애인을 인식할 수 있게 동작되도록 음성버스도착알림부(22c) 및 버스하차지점도달시 사용자에게 음성 및 사용자의 휴대기기(40)로 하차정보를 전달하는 음성하차알림부(22d)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스단말기(30)는 시각장애인의 버스예약에 따른 정보를 버스안내서버(50)로부터 수신 및 버스(10)의 위치정보를 버스안내서버(50)로 전송하는 버스통신부(31), 시각장애인의 버스예약에 따른 시각장애인의 위치한 버스승강장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예약시각장애인정보제공부(32), 시각장애인이 위치한 버스승강장에서 도착버스(10)가 버스승강구의 도어 개방시 시각장애인의 휴대기기(40)에 도어열림정보를 전송하여서 휴대기기(40)가 도어의 열림정보를 시각장애인에게 전달할 수 있게한 도어열림정보송신부(33) 및 버스단말기(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제어부(34)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휴대기기(40)는 시각장애인이 휴대하거나 지팡이에 일체로 형성 또는 지팡이 부착적용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휴대기기(40)는 스마트폰(20) 및 버스단말기(30)와 통신하는 휴대통신부(41)와 예약버스 운전자에게 탑승예정 시각장애인을 인지할 수 있게 발광정보를 발생하는 휴대발광부(42), 시각장애인에게 탑승 예약버스(10)의 근접 또는 버스승강구의 도어 개방시 진동 또는 소리로 인지시킬 수 있게 한 휴대알림구(43), 버스단말기(30)에서 전송되는 도어열림정보를 수신하는 도어열림정보수신부(44), 휴대기기(40)의 동작을 제어하는 휴대제어부(45) 및 휴대기기(4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휴대전원부(46)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버스안내서버(50)는 버스단말기(30)와의 통신을 통하여 버스(10)운행정보를 제공하며, 시각장애인의 버스예약에 따른 예약정보를 해당버스(10)의 버스단말기(30)에 전송하고, 예약버스(10)의 도착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어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탑승버스(10)를 예약할 수 있게 한 버스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20)과 각 버스(10)에 탑재되어 운전자에게 탑승예약 시각장애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버스단말기(30), 예약버스(10)의 운전자가 예약 시각장애인을 인지할 수 있게 시각장애인이 휴대하며 스마트폰(20) 및 버스단말기(30)와 통신하여 운전자의 인지를 위한 발광정보를 제공하는 휴대기기(40) 및 상기 스마트폰(20) 및 버스단말기(30)와 통신하는 버스안내서버(50)로 구성한 시각장애인 버스(10)승차안내시스템을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10)를 예약하고 예약된 버스(10)의 운전자가 예약한 시각장애인을 확인하여 탑승이 이루어지게 제어하되, 시각장애인이 스마트폰(20)에 탑재된 버스어플을 통하여 버스안내서버(50) 접속하여 탑승버스(10)를 검색예약하는 버스예약과정(110)과, 상기 버스예약과정(110)에 따른 시각장애인의 버스예약정보를 버스안내서버(50)가 버스단말기(30)로 전송하여 운전자에게 고지하는 버스예약운전자고지과정(120), 버스예약에 따른 해당버스(10)의 해당 버스승강장 도착 예정시간 정보를 일정주기를 시각장애인의 스마트폰(20)을 통하여 음성제공하는 예약버스위치정보알림과정(130), 예약버스(10)가 해당 버스승강장에 진입시 버스안내서버(50)가 스마트폰(20)을 통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하는 버스승강장도착알림과정(140), 상기 버스승강장도착알림과정(140)에 따라 스마트폰(20)에 제공된 정보를 휴대기기(40)에 전송하여 운전자가 탑승 예약 시각장애인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휴대기기(40)가 발광동작되게 하는 탑승예약시각장애인알림과정(150), 예약버스(10)가 시각장애인 앞에 정차하고 버스승강구 도어가 개방되면 버스단말기(30)가 버스승강구 도어 열림정보를 휴대기기(40)에 전송하여서 휴대기기(40)가 진동 또는 소리를 통하여 버스승강구 도어 열림을 시각장애인에게 인지시켜 안전하게 탑승하게 하는 승가구열림알림과정(160), 시각장애인의 스마트폰(20)이 버스안내서버(50) 또는 버스단말기(30)와 통신하여 하차지점근접시 시각장애인에게 하차지점 정보를 제공하는 하차알림과정(17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버스예약과정(110)은 시각장애인이 자신이 가고자하는 곳으로 운행하는 버스(10)를 검색하여 탑승예약 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20)에 탑재된 버스어플의 실행앱(21)을 음성 실행하여 버스어플창(22)이 팝업되게 하고, 음성예약부(22a)를 음성 실행하여서 자신이 가고자하는 지역으로 운행하는 버스(10)를 검색하여 탑승예약을 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시각장애인의 탑스예약과정에 있어 GPS정보에 따른 위치정보가 함께 전송되어 탑승예약을 한 시각장애인의 위치가 자동으로 확인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스예약운전자고지과정(120)은 탑승 예약버스(10)의 운전자에게 시각장애인의 탑승예약정보를 고지할 수 있도록 탑승 예약버스(10)의 버스단말기(30)가 버스안내서버(50)를 통하여 시각장애인의 탑승예약정보를 수신받아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버스단말기(30)의 예약시각장애인정보제공부(32)를 통하여 시각장애인의 버스예약정보를 고지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버스승강장도착알림과정(140)은 시각장애인에게 탑승 예약버스(10)의 도착 예정시간 및 현재 위치를 알려줄 수 있도록 탑승예약한 버스(10)의 버스승강장 도착 예정시간 및 현재 위치정보를 스마트폰(20)에 탑재된 버스어플의 음성버스위치알림부(22b)를 통하여 전달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버스승강장도착알림과정(140)은 시각장애인에게 탑승 예약버스(10)의 버스승강장 도착을 알려 줄 수 있도록 탑승예약한 버스(10)가 버스승강장에 진입시 스마트폰(20)이 버스안내서버(50)를 통하여 정보를 수신받아 탑재된 버스어플창(20)의 음성버스도착알림부(22c)를 통하여 탑승 예약버스(10)의 버스승강장도착을 알려줄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탑승예약시각장애인알림과정(150)은 탑승 예약버스(10)의 운전자가 버스승강장에 위치한 예약 시각장애인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20)이 버스승강장도착알림과정(140)에 따라 제공된 정보를 휴대기기(40)에 전송하여 휴대기기(40)의 휴대발광부(42)를 발광동작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가구열림알림과정(160)은 시각장애인이 도착한 탑승 예약버스(10)의 승강구 도어가 개방된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버스(10)에 탑재된 버스단말기(30)의 도어열림정보송신부(33)를 통하여 승강구 측으로 적외선과 같은 광신호를 송출하여 휴대기기(40)의 도어열림정보수신부(44)가 광신호를 수신하여 휴대기기(40)의 휴대알림구(43)를 통한 진동 또는 음성을 통하여 알려줄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차알림과정(170)은 시각장애인이 탑승한 버스(10)가 자신이 가고자 하는 위치에 도착시 이를 알려줄 수 있도록 스마트폰(20)에 탑재된 버스어플창(22)의 음성하차알림부(22d)를 통하여 음성으로 알려줄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실시에 따른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각장애인이 탑승버스(10)를 예약할 수 있게 한 버스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20)과 각 버스(10)에 탑재되어 운전자에게 탑승예약 시각장애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버스단말기(30), 예약버스(10)의 운전자가 예약 시각장애인을 인지할 수 있게 시각장애인이 휴대하며 스마트폰(20) 및 버스단말기(30)와 통신하여 운전자의 인지를 위한 발광정보를 제공하는 휴대기기(40) 및 상기 스마트폰(20) 및 버스단말기(30)와 통신하는 버스안내서버(50)로 시각장애인 버스(10)승차안내시스템이 구성되고, 버스예약과정(110)과 버스예약운전자고지과정(120), 예약버스위치정보알림과정(130), 버스승강장도착알림과정(140), 탑승예약시각장애인알림과정(150), 승가구열림알림과정(160), 하차알림과정(170)으로 제어되는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시각장애인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10)의 도착정보를 스마트폰(20)을 통하여 전달받고 예약버스 운전자가 예약한 시각장애인을 쉽게 인식하여서 시각장애인의 서있는 위치에 정차하여 시각장애인이 편한하고 용이하며 안전하게 버스(10)를 탑승하며 자신이 내리고자 하는 위치에서 하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버스어플을 스마트폰(20)에 탑재되어 음성 실행되는 실행앱(21)의 자주이용하는경로선택부(21a), 자주이용하는 정류장선택부(21b), 버스 이동경로를 선택하는 경로선택부(21c) 및 음성으로 버스를 검색하는 음성검색부(21d)를 이용하여 이용하는 장소에 따른 버스 검색 편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버스어플창(22), 음성예약부(22a), 음성버스위치알림부(22b), 음성버스도착알림부(22c) 및 음성하차알림부(22d)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버스어플의 동작 및 실행이 음성으로 이루어져 시각장애인의 사용편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버스단말기(30)를 버스통신부(31)와 예약시각장애인정보제공부(32), 도어열림정보송신부(33) 및 단말제어부(34)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운전자가 예약시각장애니정보제공부를 통하여 예약된 시각장애인의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받고, 도어열림정보송신부(33)를 통하여 시각장애인의 휴대기기(40)에 전송하여 버스승강구의 도어 열림을 시각장애인이 인지하여 안전하게 버스(10)에 탑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휴대기기(40)를 휴대통신부(41)와 휴대발광부(42), 휴대알림구(43), 도어열림정보수신부(44), 휴대제어부(45) 및 휴대전원부(46)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탑승예약시각장애인알림과정(150)을 통하여 휴대발광부(42)가 발광동작되어 탑승 예약버스(10)의 운전자가 버승승강장에 위치한 탑승 예정 시각장애인을 쉽게 인지하여서 시각장애인이 탑승하기 용이하게 버스(10)를 정차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탑승 예약버스(10)가 버스승강장에 도착하여 버스승강구의 도어를 열게 되면, 승가구열림알림과정(160)을 통하여 버스단말기(30)에서 도어가 열린 버스승강구를 통하여 송출된 광신호를 도어열림정보수신부(44)를 통하여 수신하고 휴대알림구(43)를 통하여 소리 또는 진동으로 시각장애인에게 인지시켜 시각장애인이 버스(10)승가구의 도어 열림을 인지한 후 안전하게 버스(10)에 탑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버스
20 : 스마트폰
21 : 실행앱
22 : 버스어플창
22a: 음성예약부 22b: 음성버스위치알림부
22c: 음성버스도착알림부 22d: 음성하차알림부
30 : 버스단말기
31 : 버스통신부
32 : 예약시각장애인정보제공부
33 : 도어열림정보송신부
34 : 단말제어부
40 : 휴대기기
41 : 휴대통신부 42 : 휴대발광부
43 : 휴대알림구 44 : 도어열림정보수신부
45 : 휴대제어부 46 : 휴대전원부
50 : 버스안내서버
110 : 버스예약과정
120 : 버스예약운전자고지과정
130 : 예약버스위치정보알림과정
140 : 버스승강장도착알림과정
150 : 탑승예약시각장애인알림과정
160 : 승가구열림알림과정
170 : 하차알림과정

Claims (3)

  1. 시각장애인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10)와 통신을 통하여 원활하게 탑승할 수 있게 한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을 구비하되;
    상기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은 시각장애인이 탑승버스(10)를 예약할 수 있게 한 버스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20)과 각 버스(10)에 탑재되어 운전자에게 탑승예약 시각장애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버스단말기(30), 예약버스(10)의 운전자가 예약 시각장애인을 인지할 수 있게 시각장애인이 휴대하며 스마트폰(20) 및 버스단말기(30)와 통신하여 운전자의 인지를 위한 발광정보를 제공하는 휴대기기(40) 및 상기 스마트폰(20) 및 버스단말기(30)와 통신하는 버스안내서버(5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어플은 스마트폰(20)에 탑재되며 사용자의 검색을 선택할 수 있게 팝업되는 실행앱(21)과 상기 실행앱(21)의 실행에 따라 팝업되는 버스어플창(22)이 구성되고,
    상기 실행앱(21)은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검색선택을 할 수 있게 자주이용하는경로선택부(21a), 자주이용하는 정류장선택부(21b), 버스 이동경로를 선택하는 경로선택부(21c) 및 음성으로 버스를 검색하는 음성검색부(21d)로 구성되어 버스어플창(22)을 구동하며,
    버스어플창(22)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가 음성예약할 수 있게 음성정보를 제공하는 음성예약부(22a), 사용자의 음성예약에 따라 예약버스(10)의 위치정보를 알려주는 음성버스위치알림부(22b), 예약버스(10)가 버스승강장에 진입시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알려주고 휴대기기(40)가 발광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탑스 예정 시작장애인을 인식할 수 있게 동작되도록 음성버스도착알림부(22c) 및 버스하차지점도달시 사용자에게 음성 및 사용자의 휴대기기(40)로 하차정보를 전달하는 음성하차알림부(22d)로 구성하고,
    상기 버스단말기(30)는 시각장애인의 버스예약에 따른 정보를 버스안내서버(50)로부터 수신 및 버스(10)의 위치정보를 버스안내서버(50)로 전송하는 버스통신부(31), 시각장애인의 버스예약에 따른 시각장애인의 위치한 버스승강장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예약시각장애인정보제공부(32), 시각장애인이 위치한 버스승강장에서 도착버스(10)가 버스승강구의 도어 개방시 시각장애인의 휴대기기(40)에 도어열림정보를 전송하여서 휴대기기(40)가 도어의 열림정보를 시각장애인에게 전달할 수 있게한 도어열림정보송신부(33) 및 버스단말기(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제어부(34)로 구성하며,
    상기 휴대기기(40)는 스마트폰(20) 및 버스단말기(30)와 통신하는 휴대통신부(41)와 예약버스 운전자에게 탑승예정 시각장애인을 인지할 수 있게 발광정보를 발생하는 휴대발광부(42), 시각장애인에게 탑승 예약버스(10)의 근접 또는 버스승강구의 도어 개방시 진동 또는 소리로 인지시킬 수 있게 한 휴대알림구(43), 버스단말기(30)에서 전송되는 도어열림정보를 수신하는 도어열림정보수신부(44), 휴대기기(40)의 동작을 제어하는 휴대제어부(45) 및 휴대기기(4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휴대전원부(4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

  3. 시각장애인이 탑승버스(10)를 예약할 수 있게 한 버스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20)과 각 버스(10)에 탑재되어 운전자에게 탑승예약 시각장애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버스단말기(30), 예약버스(10)의 운전자가 예약 시각장애인을 인지할 수 있게 시각장애인이 휴대하며 스마트폰(20) 및 버스단말기(30)와 통신하여 운전자의 인지를 위한 발광정보를 제공하는 휴대기기(40) 및 상기 스마트폰(20) 및 버스단말기(30)와 통신하는 버스안내서버(50)로 구성한 시각장애인 버스(10)승차안내시스템을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10)를 예약하고 예약된 버스(10)의 운전자가 예약한 시각장애인을 확인하여 탑승이 이루어지게 제어하되, 시각장애인이 스마트폰(20)에 탑재된 버스어플을 통하여 버스안내서버(50) 접속하여 탑승버스(10)를 검색예약하는 버스예약과정(110)과, 상기 버스예약과정(110)에 따른 시각장애인의 버스예약정보를 버스안내서버(50)가 버스단말기(30)로 전송하여 운전자에게 고지하는 버스예약운전자고지과정(120), 버스예약에 따른 해당버스(10)의 해당 버스승강장 도착 예정시간 정보를 일정주기를 시각장애인의 스마트폰(20)을 통하여 음성제공하는 예약버스위치정보알림과정(130), 예약버스(10)가 해당 버스승강장에 진입시 버스안내서버(50)가 스마트폰(20)을 통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하는 버스승강장도착알림과정(140), 상기 버스승강장도착알림과정(140)에 따라 스마트폰(20)에 제공된 정보를 휴대기기(40)에 전송하여 운전자가 탑승 예약 시각장애인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휴대기기(40)가 발광동작되게 하는 탑승예약시각장애인알림과정(150), 예약버스(10)가 시각장애인 앞에 정차하고 버스승강구 도어가 개방되면 버스단말기(30)가 버스승강구 도어 열림정보를 휴대기기(40)에 전송하여서 휴대기기(40)가 진동 또는 소리를 통하여 버스승강구 도어 열림을 시각장애인에게 인지시켜 안전하게 탑승하게 하는 승가구열림알림과정(160), 시각장애인의 스마트폰(20)이 버스안내서버(50) 또는 버스단말기(30)와 통신하여 하차지점근접시 시각장애인에게 하차지점 정보를 제공하는 하차알림과정(1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60111798A 2016-08-31 2016-08-31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61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798A KR101861090B1 (ko) 2016-08-31 2016-08-31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798A KR101861090B1 (ko) 2016-08-31 2016-08-31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851A true KR20180024851A (ko) 2018-03-08
KR101861090B1 KR101861090B1 (ko) 2018-05-28

Family

ID=6172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798A KR101861090B1 (ko) 2016-08-31 2016-08-31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0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265B1 (ko) * 2018-06-19 2019-02-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을 위한 대중교통 탑승 예약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22385A (ko) * 2019-08-20 2021-03-03 주식회사 리퓨터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950A (ko) 2018-11-26 2020-06-03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 탑승을 용이하게 하는 버스 탑승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61949A (ko) 2018-11-26 2020-06-03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 알림을 위한 버스 탑승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233B1 (ko) * 2005-04-13 2007-03-22 김주현 시각 장애인을 위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265B1 (ko) * 2018-06-19 2019-02-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을 위한 대중교통 탑승 예약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22385A (ko) * 2019-08-20 2021-03-03 주식회사 리퓨터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090B1 (ko) 201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090B1 (ko)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50099291A1 (en) System for guiding visually impaired pedestrian using auditory cues
ES2456353T3 (es) Dispositivo de entrada de llamadas de una instalación de ascensor
US10441494B2 (en) Route guid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ly impaired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nside subway station
KR101492913B1 (ko) 시각장애인용 횡단보도 안내시스템
KR101315816B1 (ko) 장애인 엘리베이터 우선 탑승시스템
KR101935001B1 (ko) 버스정류소 교통약자 승차 예약 시스템
KR20170066942A (ko)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20180053797A (ko) 장애인 탑승 사전 알림 기능을 갖춘 버스 안내 시스템
WO2018179600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04282144B (zh) 交互式公共交通系统
JP2002348055A (ja) エレベータの利用客誘導装置
CN113226930A (zh) 乘客定位平台
JP2015020853A (ja) 昇降装置及び昇降装置の携帯端末器
KR20160058295A (ko) 대중교통 운용장치, 대중교통 운용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57005B1 (ko) 원격제어리모컨을 이용한 교통약자를 위한 버스안내시스템
WO2019159605A1 (ja) 運行管理装置、運行管理方法および運行管理システム
KR10153046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80091429A (ko) 교통약자의 버스 이용을 지원하는 차량단말장치 및 방법
KR20210076789A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KR100770011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 및 진행 방향 안내 시스템 및 그방법
JP2004250228A (ja) 音や音声によるエスカレータやマンコンベアの昇降案内方法
KR102285501B1 (ko)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
TW201002912A (en) A system integrating traffic signs to guide visually impaired people to pass zebra marking and a guide method
KR20140029881A (ko) 이동 수단에서의 승객의 하차 정보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