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174A -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의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의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174A
KR20180023174A KR1020160108068A KR20160108068A KR20180023174A KR 20180023174 A KR20180023174 A KR 20180023174A KR 1020160108068 A KR1020160108068 A KR 1020160108068A KR 20160108068 A KR20160108068 A KR 20160108068A KR 20180023174 A KR20180023174 A KR 20180023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packaging
extruder
film
tourma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제
서경순
진성우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케이팜영농조합법인
주식회사 에버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케이팜영농조합법인, 주식회사 에버그린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08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3174A/ko
Publication of KR20180023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1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2Packag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4/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way of preparation
    • C08L2314/06Metallocene or single site cataly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토르마린 및 미네랄을 혼합한 후 제조된 펠렛을 압출 가공하여 포장용 필름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성형한 포장용 필름에 팽이버섯을 밀봉 포장한 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의 포장방법, 상기 방법으로 포장된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 및 팽이버섯의 선도유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의 포장방법{Method for packaging Flammulina velutipes for keeping freshness}
본 발명은 (a)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토르마린 및 미네랄을 혼합한 후 제조된 펠렛을 압출 가공하여 포장용 필름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성형한 포장용 필름에 팽이버섯을 밀봉 포장한 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의 포장방법, 상기 방법으로 포장된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 및 팽이버섯의 선도유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버섯은 단백질, 지질, 당질, 무기질, 아미노산 및 비타민을 비롯한 영양성분이 고르게 함유되어 있는 양질의 식품으로 독특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어 전통적으로 식용되어 왔으며, 또한 항산화, 항균, 항종양활성 및 항암효과 등이 규명되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버섯은 저장이나 유통 중에 다양한 변화로 신선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식품이다. 버섯은 다른 채소류나 과일보다 수확 후 호흡과 대사작용이 왕성하여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높고 중량감소가 빠르게 일어나고 외관이 수축되며, 호흡열로 인한 품온(品溫) 상승으로 변색 및 미생물의 번식 등으로 인해 품질이 급속히 저하된다. 현재 시중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단순 진공포장 방법은 압착하여 진공 포장하는 특성상 버섯 외관을 상하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진공포장은 버섯의 호흡을 중지시킴으로써 버섯 갓의 퇴축 등의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섯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냉장 저장, MAP, CA(controlled atmosphere package), 소르비톨 처리, CaCl2 용액 처리 등 버섯의 신선함을 유지하기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버섯의 포장과 저장에 대한 연구는 주로 양송이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고, 팽이버섯의 저장 및 포장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는 미진하다.
포장 재료에는 필요한 기능성을 위해 적절한 투과성을 가진 플라스틱 필름과 함께 세라믹, 고흡수성 고분자, 활성탄, KMnO4 등의 다양한 재료를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지금까지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겨자유 성분을 포함한 다공성 필름의 성능과 효과에 대해 보고하였고, 표면 개질된 제올라이트를 포함한 폴리에틸렌 필름의 선도유지기능에 대해 보고하였으며, 선도유지용 포장필름 개발을 위해 CaCO3, 실리카, 알루미나, 세라믹, AgCl, Cu(NO3)2 등의 무기질 소재를 이용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국내 유통 및 수출을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팽이 포장필름 원단은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팽이버섯 포장필름의 국산화와 팽이버섯의 선도를 장기간 유지하여 수출을 위한 팽이버섯의 포장필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0230577호에는 버섯류의 포장보존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0659354호에는 버섯의 기체치환 포장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의 포장방법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섯의 품질저하를 억제하여 선도유지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포장용 필름을 개발하고, 상기 개발한 포장용 필름에 팽이버섯을 밀봉 포장하여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의 포장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토르마린 및 미네랄을 혼합한 후 제조된 펠렛을 압출 가공하여 포장용 필름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성형한 포장용 필름에 팽이버섯을 밀봉 포장한 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의 포장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포장된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토르마린 및 미네랄을 혼합한 후 제조된 펠렛을 압출 가공하여 포장용 필름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성형한 포장용 필름에 팽이버섯을 밀봉 포장한 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이버섯의 선도유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토르마린 및 미네랄을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에 팽이버섯을 밀봉함으로써, 팽이버섯의 수분손실과 호흡을 억제하고, 팽이버섯의 품질저하 원인인 변색, 이취가 동시에 억제되며 선도 유지기간이 연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포장필름을 달리한 팽이버섯을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5일 동안 저장한 후 외관변화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2는 포장필름을 달리한 팽이버섯의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5일 동안 저장한 후 중량감소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포장필름을 달리한 팽이버섯의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5일 동안 저장한 후 자루 신장률(%)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3의 Imported films: 수입원단 포장필름, Domestic films: 국내 유통 중인 포장필름, Testing films: 제조예 1의 포장필름으로 각각 밀봉포장된 팽이버섯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토르마린 및 미네랄을 혼합한 후 제조된 펠렛을 압출 가공하여 포장용 필름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성형한 포장용 필름에 팽이버섯을 밀봉 포장한 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의 포장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팽이버섯의 포장방법에서, 상기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은 메탈로센과 같은 단일 활성점의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폴리에틸렌으로, 좁은 분자량 분포를 나타내며 구조가 균일한 특성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필름보다 적은 두께로도 밀봉성(sealing), 투명성,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강성(stiffness) 등이 향상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의 함량은 상기 펠렛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6~34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필름의 연신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상대적으로 토르마린이나 미네랄의 함량이 줄어들어 팽이버섯의 변색이나 이취 억제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팽이버섯의 포장방법에서, 상기 토르마린(Tourmaline)은 6각 주상형의 결정을 갖는 붕규산염으로 육방정계에 속하는 천연광물로, 다른 어떤 광물보다도 원적외선 방사 효과가 뛰어나고, 음이온을 발생시켜 항균, 탈취, 항산화 작용이 뛰어나다. 따라서, 토르마린을 포함하는 필름을 팽이버섯의 포장재로 사용할 경우, 부패균의 활성 및 이취를 억제하여 팽이버섯의 선도유지 기간이 연장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토르마린의 함량은 상기 펠렛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6~34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토르마린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팽이버섯의 선도유지 기간 연장 효과가 떨어질 우려가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필름의 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토르마린의 입도는 600~800 메쉬, 바람직하게는 700 메쉬일 수 있는데, 토르마린의 입도가 상기 범위 내에 속할 경우 최상의 연신성이 확보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팽이버섯의 포장방법에서, 상기 미네랄은 칼슘, 망간, SiO2, CaCO3, 제올라이트(zeolite), 마그네슘(Magnesium) 및 실리카(Silic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포장용 필름에 상기 미네랄을 포함할 경우, 팽이버섯의 장기간 저장 및 수송시 버섯의 호흡작용으로 발생하는 에틸렌가스, 탄산가스 등을 흡착 제거하고, 미생물에 의한 부패 방지 또는 지연, 탈취작용으로 팽이버섯의 신선도를 유지하여 유통 및 보관 기간을 연장하는 효과를 지니고, 팽이버섯 상품의 구매가치를 높이는 향기만 잔존시키게 되므로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할 수 있게 되어 상품성을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미네랄의 함량은 상기 펠렛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35~45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중량%일 수 있다. 미네랄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미네랄 첨가로 인한 효과를 충분히 발현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필름의 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팽이버섯의 포장방법에서, 상기 (a)단계의 포장용 필름은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을 포함하는 상층,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을 포함하는 중층과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토르마린(tourmaline) 및 미네랄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층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팽이버섯의 포장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a) 하층의 제1압출기에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토르마린 및 미네랄을 26~34:26~34:35~45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제조된 펠렛을 투입하고, 중층의 제2압출기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을 투입하고, 상층의 제3압출기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를 투입하고, 상기 제1압출기, 제2압출기 및 제3압출기를 모두 접속시켜 용융 혼련하여,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상층,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중층과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토르마린 및 미네랄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층의 두께가 각각 0.008~0.012 ㎜가 되도록 3층 구조로 이루어진 포장용 필름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성형한 포장용 필름의 하층부분이 팽이버섯에 접촉되도록 밀봉 포장한 후 2~6℃ 또는 12~18℃에서 4~6일 동안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a) 하층의 제1압출기에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토르마린 및 미네랄을 30:30:40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제조된 펠렛을 투입하고, 중층의 제2압출기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을 투입하고, 상층의 제3압출기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를 투입하고, 상기 제1압출기, 제2압출기 및 제3압출기를 모두 접속시켜 용융 혼련하여,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상층,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중층과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토르마린 및 미네랄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층의 두께가 각각 0.01 ㎜가 되도록 3층 구조로 이루어진 포장용 필름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성형한 포장용 필름의 하층부분이 팽이버섯에 접촉되도록 밀봉 포장한 후 4℃ 또는 15℃에서 5일 동안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포장된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하층의 제1압출기에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토르마린 및 미네랄을 26~34:26~34:35~45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제조된 펠렛을 투입하고, 중층의 제2압출기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을 투입하고, 상층의 제3압출기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를 투입하고, 상기 제1압출기, 제2압출기 및 제3압출기를 모두 접속시켜 용융 혼련하여,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상층,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중층과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토르마린 및 미네랄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층의 두께가 각각 0.008~0.012 ㎜가 되도록 3층 구조로 이루어진 포장용 필름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성형한 포장용 필름의 하층부분이 팽이버섯에 접촉되도록 밀봉 포장한 후 2~6℃ 또는 12~18℃에서 4~6일 동안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이버섯의 선도유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팽이버섯의 선도유지 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a) 하층의 제1압출기에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토르마린 및 미네랄을 30:30:40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제조된 펠렛을 투입하고, 중층의 제2압출기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을 투입하고, 상층의 제3압출기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를 투입하고, 상기 제1압출기, 제2압출기 및 제3압출기를 모두 접속시켜 용융 혼련하여,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상층,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중층과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토르마린 및 미네랄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층의 두께가 각각 0.01 ㎜가 되도록 3층 구조로 이루어진 포장용 필름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성형한 포장용 필름의 하층부분이 팽이버섯에 접촉되도록 밀봉 포장한 후 4℃ 또는 15℃에서 5일 동안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팽이버섯 포장필름 제조
토르마린(tourmaline)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700 mesh로 분쇄하고, 상기 분쇄된 토르마린 30중량%,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 EP-2001(대림석유화학, 밀도: 0.920 g/cm3, 융융지수(MFR): 1.0 g/10분) 30중량% 및 미네랄(에스알그린) 40중량%를 반죽기(용량 75 L)에 투입하여 약 15~30분가량 반죽하여, 그 반죽된 혼합물을 다시 압출기(세원엠텍 제품 90 mm)에 투입하여 펠렛으로 제조하였다.
이후, 3 Layer Type 필름기(DY-65*65*65, 득영기계)를 사용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제1압출기(하층)에 상기 펠렛을 투입하였고, 제2압출기(중층)에는 한화케미칼(주)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5305(밀도 0.921 g/cc, 용융지수 3.0 g/10분)를 투입하였으며, 제3압출기(상층)에는 SK종합화학 FN400 선형저밀도 폴라에틸렌(L-LDPE, 밀도 0.919 g/cc, 용융지수 1.0 g/10분)을 투입하였다.
상기 제1~3 압출기를 모두 접속시키고 용융 혼련한 후 다이에 밀어내, 상층, 중층 및 하층의 두께가 각각 0.01 mm가 되도록 인플레이션법(tubular film process)으로 3층 공압출 성형하여 두께가 0.03 mm의 포장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방법
(1) 재료
본 실험에 사용된 팽이버섯은 전남 소재 농가에서 생산하여 당일 배송된 제품 중 균일한 것을 장흥군 소재 하나로 마트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포장필름은 3가지로 제조예 1의 필름(Testing films)의 하층부가 팽이버섯에 접촉되도록 밀봉 포장하였고, 국내 유통 중인 포장필름(Domestic films)은 마트에 파는 포장된 제품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수입원단 포장필름(Imported films)은 케이팜으로부터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2) 시약
실험에 사용한 추출 및 크로마토그래피용 용매 및 시약(Sigma-Aldrich Co., USA)은 일급 또는 특급시약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3) 포장방법 및 저장조건
팽이버섯은 구입 후 바로 4℃ 냉장고에 보관 후 각각의 포장필름에 145±25 g씩 담고 자동접착기로 포장지를 접착하여 밀봉 포장하였다. 포장 후 4℃, 15℃, 25℃, 35℃ 인큐베이터에 각각 5일간 보관 후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도 1).
(4) 중량감소율
중량감소율은 저장 중인 팽이버섯의 초기중량과 5일간 저장 후 측정된 시료의 중량 차이를 초기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5) 자루 신장률
팽이버섯 자루의 신장률은 저장 중에 증가한 자루 길이를 측정하고, 초기 자루 길이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6) pH
팽이버섯을 균질기(T25 digital ULTRA-TURRAX, IKA, Germany)로 마쇄하고 3,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시료로 사용하여 pH 미터(Mettler toledo, Seven Multi S-40K, Ohio, USA)로 측정하였다.
(7) 색도
팽이버섯의 색도는 색차계(Super Color sp-80, Tokyo Denshoku, Japan)를 이용하여 Hunter의 L(lightness) 값 및 b(yellowness/blueness) 값으로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8) 유기산 분석
유기산은 시료 5 g에 증류수를 가하여 100 mL로 정용하여 추출시킨 다음 원심분리(3,000 rpm, 30분)하여 상징액을 취하여 여과(Whatman No.2)한 후, 0.45 ㎛ 멤브레인 필터(Millipore Co., U.S.A)로 여과한 여액을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전 처리된 시료의 분석은 HPLC 시스템(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Germany)으로 수행하였으며, 컬럼은 Agilent Zorbax SB-Aq(4.6 mm × 150 mm, 5 ㎛, USA)을 사용하였고, 컬럼 온도는 30℃, 이동상은 20 mM NaHPO4:ACN(99:1, v/v)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유속은 분당 1.0 mL였으며, 검출기파장은 210 nm, 시료 주입량은 5 ㎕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1: 팽이버섯의 중량감소율
각 포장재 원단으로 포장된 팽이버섯을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5일 동안 저장한 후 중량 감소율을 측정하여 선도유지를 평가한 결과는 도 2와 같다. 4℃에 보관한 팽이버섯은 모든 포장필름에서 중량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4℃ 및 15℃ 저장의 경우 수입 포장필름과 국내 유통중인 포장필름으로 포장한 팽이버섯에 비해 제조예 1의 필름으로 포장한 팽이버섯이 더 낮은 중량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유통조건 중 상온인 15℃에서 중량변화로 미루어 볼 때, 제조예 1의 포장필름은 팽이버섯의 유통 중 중량감소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팽이버섯의 자루 신장률
각각의 포장필름으로 포장된 팽이버섯에 대해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5일 동안 저장한 후 자루 신장률을 측정한 결과는 도 3과 같다. 15℃에서 저장 시 수입 포장필름, 제조예 1의 포장필름, 국내 유통 중인 포장필름 순으로 팽이버섯 자루 신장률 변화가 크게 측정되었으나, 나머지 온도조건에서는 세 가지 포장 조건 모두 자루 신장률 변화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본 실험에 사용된 제조예 1의 포장필름은 기존 사용되고 있는 수입필름보다 조금 더 낮은 수준의 팽이버섯 자루의 신장률을 나타내어, 상대습도와 같은 외부조건을 차단이 가능한 포장필름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3: 팽이버섯의 pH 변화
각각의 포장필름으로 포장된 팽이버섯에 대해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5일 동안 저장한 후 pH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그 결과, pH의 변화는 저장온도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포장필름 종류별로 살펴보면 4℃와 15℃ 저장에서는 세 가지 포장조건 모두 같은 값을 나타냈고, 25℃ 저장에서는 수입 포장필름, 국내유통 포장필름, 제조예 1의 포장필름 순으로 pH가 낮게 나타났다. 35℃ 저장에서는 국내 유통중인 포장필름이 pH 4.3으로 가장 낮은 pH 값을 나타내었다.
버섯의 pH 변화는 일반적인 세포변질이 원인이 되는 수분감소가 원인이다. 버섯류는 식물과 달리 표피가 얇고 다공성 구조를 띄고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쉽게 탈수(dehydration)가 발생하여 품질 손상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5℃ 저장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제조예 1의 포장필름은 다른 포장필름에 비해 탈수(dehydration)를 막을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포장필름에 따른 팽이버섯의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저장한 후 pH 변화
저장
0일
저장 5일 후
수입 포장필름
(Imported films)
국내유통 포장필름
(Domestic films)
제조예 1 포장필름
(Testing films)
6.6 4℃ 15℃ 25℃ 35℃ 4℃ 15℃ 25℃ 35℃ 4℃ 15℃ 25℃ 35℃
6.5 6.6 6.2 4.4 6.5 6.6 6.4 4.3 6.5 6.6 6.5 4.4
실시예 4: 팽이버섯의 색도 변화
각각의 포장필름으로 포장된 팽이버섯에 대해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5일 동안 저장한 후 색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저장 전 팽이버섯은 L(명도)값 71.33, b(황색도)값 15.56으로 나타났다. 저장 온도 4~25℃에서 저장한 시료는 저장 기간 동안 명도가 약간 낮아졌으나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35℃에 저장한 시료는 명도가 37.79~53.24로 저장 전보다 크게 낮아졌다. 황색도는 25℃까지는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약간씩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팽이버섯의 색도는 저장 온도에 따라서는 변화를 나타내었지만, 포장 필름의 종류는 팽이버섯 색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에서는 포장필름보다 저장온도에 따른 색도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나, 실험에 사용된 모든 필름 종류에 따른 팽이버섯 색도 변화는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포장필름에 따른 팽이버섯의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저장한 후 색도 변화
처리 4℃ 15℃ 25℃ 35℃
L b L b L b L b
저장0일 71.33±0.22 15.56±0.10 71.33±0.22 15.56±0.10 71.33±0.22 15.56±0.10 71.33±0.22 15.56±0.10
수입 포장필름 72.23±0.12 17.01±0.13 70.68±1.02 17.70±0.11 67.89±0.80 19.37±0.12 37.79±0.03 11.95±0.15
국내유통 포장필름 69.47±0.01 16.15±0.11 67.89±0.80 17.94±0.10 66.03±0.68 19.65±0.14 42.74±0.01 19.16±0.12
제조예 1 포장필름 68.07±1.44 15.88±0.11 69.66±0.00 19.78±0.11 64.09±0.68 20.57±0.12 53.24±0.08 13.59±0.12
실시예 5: 팽이버섯의 유기산 분석
각각의 포장필름으로 포장된 팽이버섯에 대해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5일 동안 저장한 후 유기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총 6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종류는 수산(oxalic acid), 젖산(lactic acid), 사과산(mal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초산(acetic acid) 및 호박산(succinic acid)으로 나타났다. 팽이버섯의 유기산 총 함량은 저장 전 5.58%, 4℃에서 저장 후 4.70~5.32%, 15℃에서 저장 후 4.51~5.43%, 25℃에서 저장 후 5.52~6.07%, 35℃에서 저장 후 5.73~8.34%로 나타났다. 팽이버섯의 주요 유기산은 수산(1.11~4.28%)과 사과산(0.48~1.96%)으로 나타났다. 저장 온도에 따라서는 4~25℃에서 저장한 시험구는 유기산 함량의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35℃에서 저장한 시험구는 사과산의 함량이 낮아짐과 동시에 초산의 함량이 높아져 저장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나 유통이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과적으로, 4~25℃ 저장 시 기존의 국내 유통 포장필름에 비해 제조예 1의 포장필름이 초산 함량이 낮고, 유기산 함량 변화가 적어, 제조예 1의 포장필름이 기존의 포장필름에 비해 품질변화가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장필름에 따른 팽이버섯의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저장한 후 유기산 변화(%)
유기산 수산 젖산 사과산 구연산 초산 호박산 합계
저장 전 2.45±0.62 0.24±0.31 1.12±0.29 0.22±0.57 0.96±0.21 0.59±0.28 5.58±0.49

4℃
수입 포장필름 1.16±0.24 0.32±0.08 1.96±0.16 1.14±0.20 0.73±0.25 - 5.32±0.54
국내유통 포장필름 1.25±0.31 0.32±0.27 1.63±0.40 0.91±0.22 0.58±0.29 - 4.70±0.43
제조예 1 포장필름 1.88±0.42 0.31±0.12 1.57±0.30 0.96±0.25 0.55±0.36 - 5.27±0.51

15℃
수입 포장필름 1.11±0.35 0.33±0.10 1.58±0.62 0.99±0.27 0.50±0.11 - 4.51±0.49
국내유통 포장필름 1.33±0.33 0.34±0.11 1.95±0.36 1.07±0.20 0.74±0.16 - 5.43±0.57
제조예 1 포장필름 1.42±0.46 0.36±0.05 1.63±0.31 1.05±0.28 0.72±0.16 - 5.18±0.48

25℃
수입 포장필름 1.64±0.42 0.24±0.14 1.58±0.30 1.02±0.28 1.13±0.22 - 5.61±0.62
국내유통 포장필름 1.71±0.13 0.20±0.04 1.61±0.29 0.90±0.27 1.36±0.46 0.29±0.12 6.07±0.52
제조예 1 포장필름 1.83±0.47 0.25±0.08 1.46±0.37 0.87±0.20 1.11±0.34 - 5.52±0.68

35℃
수입 포장필름 1.94±0.01 - 0.56±0.03 0.82±0.02 2.05±0.03 0.36±0.01 5.73±0.02
국내유통 포장필름 4.28±0.03 - 0.48±0.01 0.78±0.01 2.00±0.01 0.80±0.01 8.34±0.01
제조예 1 포장필름 3.93±0.02 - 0.69±0.01 0.78±0.01 1.65±0.02 0.48±0.01 7.53±0.01

Claims (6)

  1. (a)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토르마린 및 미네랄을 혼합한 후 제조된 펠렛을 압출 가공하여 포장용 필름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성형한 포장용 필름에 팽이버섯을 밀봉 포장한 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의 포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은 칼슘, 망간, SiO2, CaCO3, 제올라이트(zeolite), 마그네슘(Magnesium) 및 실리카(Silic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의 포장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 필름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을 포함하는 상층,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을 포함하는 중층과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토르마린(tourmaline) 및 미네랄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층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진 포장용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의 포장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a) 하층의 제1압출기에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토르마린 및 미네랄을 26~34:26~34:35~45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제조된 펠렛을 투입하고, 중층의 제2압출기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을 투입하고, 상층의 제3압출기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를 투입하고, 상기 제1압출기, 제2압출기 및 제3압출기를 모두 접속시켜 용융 혼련하여,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상층,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중층과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토르마린 및 미네랄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층의 두께가 각각 0.008~0.012 ㎜가 되도록 3층 구조로 이루어진 포장용 필름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성형한 포장용 필름의 하층부분이 팽이버섯에 접촉되도록 밀봉 포장한 후 2~6℃ 또는 12~18℃에서 4~6일 동안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의 포장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포장된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
  6. (a) 하층의 제1압출기에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토르마린 및 미네랄을 26~34:26~34:35~45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제조된 펠렛을 투입하고, 중층의 제2압출기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을 투입하고, 상층의 제3압출기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를 투입하고, 상기 제1압출기, 제2압출기 및 제3압출기를 모두 접속시켜 용융 혼련하여,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상층,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중층과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토르마린 및 미네랄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층의 두께가 각각 0.008~0.012 ㎜가 되도록 3층 구조로 이루어진 포장용 필름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성형한 포장용 필름의 하층부분이 팽이버섯에 접촉되도록 밀봉 포장한 후 2~6℃ 또는 12~18℃에서 4~6일 동안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이버섯의 선도유지 방법.
KR1020160108068A 2016-08-25 2016-08-25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의 포장방법 KR201800231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068A KR20180023174A (ko) 2016-08-25 2016-08-25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의 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068A KR20180023174A (ko) 2016-08-25 2016-08-25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의 포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174A true KR20180023174A (ko) 2018-03-07

Family

ID=6168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068A KR20180023174A (ko) 2016-08-25 2016-08-25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의 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31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316A (ko) * 2019-09-05 2021-03-16 주식회사 후레쉬메이트 선도 유지 기능성 포장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316A (ko) * 2019-09-05 2021-03-16 주식회사 후레쉬메이트 선도 유지 기능성 포장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63685B (zh) 一种番茄保鲜包装材料
TWI698337B (zh) 一種蔬果保鮮膜及其製法
WO2017106984A1 (es) Pelicula de empaque degradable para frutas y hortalizas
CN101311074B (zh) 绿茶保鲜纳米包装材料及其应用
CN101948584B (zh) 一种适合食用菌保鲜的纳米包装材料及其应用
CN104151691A (zh) 一种防止食用菌品质劣变的纳米保鲜膜及其应用
EP2685835B1 (en) Process for obtaining a film that comprises the incorporation of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in a polymeric structure
CN104262744A (zh) 一种果蔬保鲜包装薄膜
CN107857919B (zh) 一种具有缓释性能的食品抗菌保鲜包装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80023174A (ko) 선도유지를 위한 팽이버섯의 포장방법
KR101537597B1 (ko) 농산물의 선도유지용 필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의 제조방법
JP2018016403A (ja) 青果物の鮮度保持用に好適なガス透過性、防曇性に優れた包装袋、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CN107857921A (zh) 一种香菇的保鲜方法
KR20170005266A (ko) 필름 형성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포장용 필름 및 상기 필름의 제조방법
KR100600492B1 (ko) 나노 수산화알루미늄이 함유된 식품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43077B1 (ko) 항균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7521191B (zh) 高阻隔食品保鲜袋膜
KR101572551B1 (ko) 점토광물이 함유된 주방용 비닐
TWI803699B (zh) 蔬果保鮮用的膜狀材料
JP7255969B2 (ja) 枝豆を含む青果物用包装体及び当該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Barmanray et al. Application of Natural Biopolymer Films as Edible Coatings on Cut Fruits and Vegetables
KR20180023175A (ko) 포장용 필름을 이용한 팽이버섯의 베타글루칸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0968679B1 (ko) 황토 함유 농산물 저장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2943B1 (ko) 항균성이 향상된 기능성 선도 유지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11500B1 (ko) 원예작물 포장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