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587A - 배터리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587A
KR20180022587A KR1020170105358A KR20170105358A KR20180022587A KR 20180022587 A KR20180022587 A KR 20180022587A KR 1020170105358 A KR1020170105358 A KR 1020170105358A KR 20170105358 A KR20170105358 A KR 20170105358A KR 20180022587 A KR20180022587 A KR 20180022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tate
charge
electrical system
numerical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킬리안 스피엘바우어
도날드 에프. 코미넬리
마이클 피터스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80022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G01R31/36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7Software therefor, e.g. for battery testing using modelling or look-up t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4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means for correcting the measurement for temperature or age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5Detection of state of health [SO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28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using current integ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전기 시스템(2)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26); 배터리 모니터링 디바이스(22)로서, 배터리(26)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초기 수치 값을 설정함으로써; 그리고 반복적으로: 전기 시스템(2)의 전류 가동 상태 및 상기 전류 가동 상태가 활성인 시간 기간(T1 - T10)을 결정함으로써; 배터리(26)의 충전 상태의 변화를 결정된 전기 시스템(2)의 전류 가동 상태 및 상기 전류 가동 상태가 활성인 시간 기간(T1 - T10)의 함수로서 계산함으로써; 그리고 수치 값에/에서 계산된 충전 상태의 변화를 가산 또는 감산함으로써 배터리(26)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 값을 업데이트함으로써, 배터리(26)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 디바이스(2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CHARGING STATE OF A BATTERY}
본 발명은 전기 시스템에서, 특히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경보/구조 시스템에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안전 관련 전기 시스템 이를테면 엘리베이터 경보/구조 시스템들은 정전의 경우에도 특정 시간 기간 동안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그러한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외부 전원 공급 기구가 고장난 경우 엘리베이터 경보/구조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성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단지 배터리가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어떤 승객도 엘리베이터 카 내에 갇히지 않는 안전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배터리가 엘리베이터 경보/구조 시스템의 안전한 작동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전하를 포함하는 한 작동되어야 한다. 전류 안전 표준은 적어도 한 시간 동안 엘리베이터 경보/구조 시스템의 안전한 작동을 보장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저 비용으로 충분한 정확도를 갖고 임의의 시점에 배터리의 충전 상태("전류 충전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시스템에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상기 배터리의 상기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 값을 초기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반복적으로: 상기 전기 시스템의 전류 가동 상태 및 상기 가동 상태가 활성인 시간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반복적으로 상기 충전 상태의 변화를 상기 전기 시스템의 결정된 상기 가동 상태 및 상기 가동 상태가 활성인 상기 시간 기간의 함수로서 계산하는 단계; 및 반복적으로 상기 수치 값에/에서 상기 충전 상태의 계산된 상기 변화를 가산 또는 감산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상기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수치 값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시스템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 배터리 모니터링 디바이스로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 값을 초기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상기 전기 시스템의 전류 가동 상태 및 상기 가동 상태가 활성인 시간 기간을 결정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상기 충전 상태의 변화를 상기 전기 시스템의 결정된 상기 가동 상태 및 상기 가동 상태가 활성인 상기 시간 기간의 함수로서 계산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상기 수치 값에/에서 상기 충전 상태의 계산된 상기 변화를 가산 또는 감산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상기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수치 값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상기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터리의 충전 상태는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동작들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정보로부터 배터리 내 충전 상태를 계산함으로써 평가된다. 특히 시스템은 외부 전원 공급 기구에 연결될 때, 충전 상태에 있고 배터리가 충전되며; 시스템은 어떠한 외부 전원도 공급되지 않을 때 방전 상태에 있고 전기 시스템은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사용하여 작동된다. 추정 전하를 나타내는 수치 값은 충전 상태에서 가산되고 추정 전하를 나타내는 수치 값은 방전 상태에서 감산된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은 이용가능한 전하를 감소시키지 않고 그리고 고 정확도를 갖고, 특히 배터리 전압의 특성 곡선에 기초하는 종래 기술보다 높은 정확도를 갖고 배터리의 전류 충전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은 다음 별첨의 도면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시스템에 따른 전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배터리의 상이한 충전 및 방전 동작들을 예시하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시스템에 따른 전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을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은 인장재(3)에 의해 승강로(4)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걸려 있는 엘리베이터 카(6)를 포함한다. 인장재(3), 예를 들어 로프 또는 벨트는 엘리베이터 드라이브(5)에 연결되며, 이는 상이한 층들 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승장(8) 사이에서 승강로(4)의 높이를 따라 엘리베이터 카(6)를 이동시키기 위해 인장재(3)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각 승장(8)은 승장 도어(10)를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카(6)는 엘리베이터 카(6)가 각각의 승장(8)에 위치될 때 승객들이 승장(8) 및 엘리베이터 카(6)의 내부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12)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카(6)를 걸기 위해 1:1 로핑을 사용한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는 로핑의 유형이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 그리고 로핑의 상이한 유형들, 예를 들어 2:1 로핑이 또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로핑이 전혀 없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은 균형추(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거나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엘리베이터 드라이브(5)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드라이브의 임의의 형태, 예를 들어, 마찰 드라이브, 유압 드라이브 또는 선형 드라이브일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은 기계실을 가질 수 있거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일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은 그것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재(3)를 사용할 수 있거나, 그것은 인장재(3)가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일 수 있다.
엘리베이터 드라이브(5)는 상이한 승장들(8)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카(6)를 이동시키기 위해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7)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유닛(7)에 대한 입력은 엘리베이터 카(6) 내부에 제공되는 엘리베이터 카 제어 패널(14)및/또는 승장 제어 패널들(16)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각 승장(8) 상의 승장 도어들(10)에 가깝게 제공된다.
엘리베이터 카 제어 패널(14) 및 승장 제어 패널들(16)은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전기선들에 의해, 특히 전기 버스에 의해, 또는 무선 연결들에 의해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7)에 연결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은 외부 전원 공급 기구의 고장의 경우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비상 전원 공급 기구(20)를 더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의 전기 시스템(2)은 비상 전원 공급 기구(20), 엘리베이터 제어(7) 및 엘리베이터 드라이브(5)를 포함한다.
비상 전원 공급 기구(20)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은 외부 전원 공급 기구가 저해되거나 차단되는 비상 상황에서 승객들이 엘리베이터 카(6)를 떠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6)를 승장들(8) 중 하나로 이동시키기 위한 그리고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 도어(12) 및 승장 도어(10)를 개방시키기 위한, 자동 구조 조치 "ARO" 시 엘리베이터 시스템(1)가 안전한 상태가 되게 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비상 전원 공급 기구(20)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은 적어도 엘리베이터 카(6) 내부에 갇힌 승객들이 엘리베이터 카(6) 외부에 상주하는 서비스 요원과 대화하게 하는 통신 시스템(미도시)을 작동시키기에 충분해야 한다.
비상 전원 공급 기구(20)는 비상 상황들에서, 특히 외부 전원 공급 기구의 저해 또는 고장의 경우에 공급될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24)를 포함한다. 비상 전원 공급 기구(20)는 충전기 회로(26)를 더 포함하며, 이는 외부 전원(28), 예를 들어, 전력 공급 네트워크에 의해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갖고 배터리(24)를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비상 전원 공급 기구(20)는 또한 배터리 모니터링 디바이스(22)를 포함하며, 이는 배터리(24) 및 충전기 회로(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는 배터리(24)의 충전 및 방전을 모니터링하도록 그리고 배터리(24)의 전류 충전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배터리 모니터링 디바이스(22)는 완전히 충전된 배터리(24)가 비상 전원 공급 기구(20)에 부가된 후 배터리(24)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초기 수치 값을 설정하도로 구성된다. 초기 수치 값은 배터리(24) 제조사에 의해 제공될 수 있거나 그것은 예를 들어, 배터리(24)를 갖고 부하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초기 수치 값은 임의의 원하는 시간에, 예를 들어, 유지보수 절차 동안 배터리(24)의 충전 상태를 측정할 때, 설정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의 다음 작동 동안, 초기 수치 값에서 시작하여, 배터리(24)의 전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업데이트된 수치 값은 다음에 의해 이전에 계산된 각각의 수치 값으로부터 반복적으로 계산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2)의 전류 가동 상태 및 상기 결정된 전류 가동 상태가 활성인 시간 기간(T1 - T10)을 결정하는 것;
배터리(24)의 충전 상태의 변화를 전기 시스템(2)의 결정된 전류 가동 상태 및 상기 전류 가동 상태가 활성인 시간 기간(T1 - T10)의 함수로서 계산하는 것; 및
이전에 계산된(또는 초기) 수치 값에/에서 충전 상태의 계산된 변화를 가산 또는 감산함으로써 배터리(24)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이전에 계산된(또는 초기) 수치 값을 업데이트하는 것.
그 결과, 절차는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배터리의 충전 상태, 즉 배터리(24) 내에 저장된 전하량을 나타내는 전류 수치 값을 제공한다.
배터리 모니터링 디바이스(22)는 배터리(24)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전류 수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Th1, Th2)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경보 신호를 발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보 신호는 현장 정비공에게 전기 설비를 확인하고/거나 배터리(24)를 교체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시스템(1)를 방문할 것을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을 작동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경보 신호는 특히 배터리(24) 내에 저장된 전하량이 외부 전원 공급 기구(28)가 고장나는 경우 자동 구조 조치(ARO)를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에 불충분한 경우, 엘리베이터 시스템(1)의 추가 작동을 중단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요청은 배터리(24)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전류 수치 값이 미리 결정된 제1 임계치(Th1)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에 작동될 수 있고, 배터리(24)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전류 수치 값이 제1 임계치(Th1)보다 작은, 미리 결정된 제2 임계치(Th2)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의 임의의 추가 작동이 중단될 수 있다.
승객들이 엘리베이터 카(6) 내에 갇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6)는 승장들(8) 및 승장 도어(10)로 이동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 도어(12)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의 임의의 추가 작동이 중단되기 전 개방될 수 있다.
전기 시스템의 결정된 가동 상태에 따라 배터리(24)의 충전 상태의 변화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함수는 시간의 선형 또는 비-선형 함수일 수 있다.
특히 함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2)의 결정된 가동 상태에 따른 그리고 엘리베이터 시스템(2)의 각각의 결정된 가동 상태가 이전에 결정된 충전 상태 이후로 활성이었던 시간의 기간으로 곱해지는 계수를 포함하는 시간의 선형 함수일 수 있다.
따라서, 각 계수는 특정한 시간당 전력 소비 또는 충전율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각각의 가동 상태에 대한 특성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2)의 가동 상태들을 특히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원 공급 기구(28)로부터 전기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배터리(24)가 충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상태;
배터리(24)에 의해 공급되는 전기 전류를 갖고 전기 시스템(2)을 작동시킴으로써 배터리(24)가 외면적으로 방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전 상태; 및
배터리(24)가 충전 상태도 방전 상태도 아닌, 그러나 배터리(24)가 자체-방전으로 인해 점차 방전되는, 유휴 상태.
유휴 상태에서, 배터리(24)는 자체-방전으로 인해 점차 방전된다. 유휴 상태는 또한 단지 세류 충전 전류가 인가되는 세류 충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상태의 각각에는 일반적으로 상이한 함수/계수가 할당된다. 다른 충전 상태들 및 방전 상태들이 가능하다.
배터리(24)는 특정 배터리(24)의 특성들인 그리고 배터리(24)의 용량에 대응하는 최대 충전 상태를 포함한다. 배터리(24)의 열화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배터리 용량 즉, 배터리(24)의 최대 가능한 충전 상태의 감소를 야기한다. 배터리(24)의 열화는 배터리(24)의 최대 전하를 시간의 함수로서 제한하는 열화 함수를 채용함으로써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열화 함수는 배터리(24)의 제조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열화 함수는 배터리(24)의 제조사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할 수 있거나 그것은 실험적 데이터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4)의 최대 가능한 충전 상태는 유지보수 절차들 동안 측정될 수 있다.
도 2는 그것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채용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시간이 흐름에 따른 배터리(24)의 충전 상태의 변화를 대표적으로 예시한다.
제1 시간 기간(T1)에, 완전히 로딩된 배터리(24)가 충전기 회로(26)에 연결된다. 그 결과, 배터리(24)의 충전 상태는 100%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2 시간 기간(T2) 동안, 엘리베이터 시스템(1)의 자동 구조 운영(ARO)이 수행된다. ARO는 배터리(24)를 방전시켜 대략 70%의 충전 상태를 야기한다. 제3 시간 기간(T3) 동안 뒤따르는 유휴 상태에서, 충전 상태는 대략 65%로 더 떨어진다.
제4 시간 기간(T4) 동안, 배터리(24)는 충전기 회로(26)에 의해 충전되어 대략 70%로의 충전 상태의 증가를 야기한다.
제5 시간 기간(T5) 동안 추가 ARO로 인해, 충전 상태는 대략 40%로 떨어진다. 이 뒤에는 대략 35%의 충전 상태를 야기하는 다른 유휴 상태(시간 기간(T6))가 따른다.
뒤따르는 제7 시간 기간(T7) 동안에, 배터리(24)는 다시 대략 75%에 대한 충전 상태까지 충전된다.
그 뒤, 배터리(24)는 두 개의 자동 구조 운영(ARO)(T8 및 T10)에 의해 방전되며 유휴 시간의 단 기간(T9)이 그 사이에 있다.
제10 시간 기간(T10)의 끝(t)에 배터리(24)의 충전 상태는 10% 미만으로 떨어지며, 이는 안전한 ARO를 보장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임계치(Th2)로서 정의된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 시스템(1)의 작동이 중단되고; 배터리(24)가 10% 초과의 충전 상태로 재로딩될 때까지 어떠한 추가 작동도 가능하지 않다.
도 2에 도시된 그래프는 충전 동작들의 그리고 방전 동작들의 선형 모델에 기초하며, 여기서 상이한 상수 계수들이 각각, 상태들의 각각, 즉, 충전 상태에, ARO가 운영되는 방전 상태에, 그리고 유휴 상태에 할당된다.
배터리(24)의 열화의 영향은, 그것이 도 2에 도시된 24h의 비교적 짧은 총 시간 기간에 걸쳐 무시해도 될 정도이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되지 않는다.
다수의 임의적 특징은 이하에서 착수된다. 이들 특징은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단독으로 또는 다른 특징들 중 임의의 특징과 조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반복적으로 수행된 단계들이 주기적으로, 즉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반복적으로 수행된 단계들은 가변적인 시간 간격을 두고, 예를 들어, 전기 시스템의 가동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충전 상태의 변화를 계산하기 위해 채용되는 함수는 결정된 가동 상태 및 대응하는 시간 기간과 연관된 계수의 곱일 수 있다. 충전 상태의 변화가 결정된 가동 상태 및 대응하는 시간 기간과 연관된 계수의 곱인, 선형 모델은 적은 노력으로 충분한 정확도를 갖고 전류 충전 상태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 값이 제1 미리 결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경보 신호를 발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히 경보 신호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 값이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을 초과하는 동안 미리 결정된 제1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발행될 수 있다. 특히 경보 신호는 정비공이 배터리의 완전한 기능 및 용량을 복원하기 위해 배터리를 확인 및/또는 교체하기 위해 현장을 방문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 값이 미리 결정된 제2 임계치 미만인 경우 전기 시스템의 임의의 추가 작동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히 제2 임계치는 제1 임계치보다 낮을 수 있다. 전기 시스템의 임의의 추가 작동을 중단하는 것은 배터리가 정전의 경우에 안전한 작동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전하를 포함하지 않는 상황에서 전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운전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배터리의 최대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 값을 시간의 함수로서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의 용량의 감소를 야기하는 그것의 열화가 고려됨에 따라 배터리의 전류 충전 상태의 훨씬 더 정확한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시스템의 가동 상태들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원 공급 기구로부터 전기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배터리가 충전되는, 충전 상태; 배터리에 의해 공급되는 전기 전류를 갖고 전기 시스템을 작동시킴으로써 배터리가 외면적으로 방전되는, 방전 상태; 및 배터리가 충전 상태도 방전 상태도 아닌, 유휴 상태. 즉, 유휴 상태에서, 배터리는 충전되지 않고 어떠한 부하도 배터리에 연결되지 않는다. 특히, 배터리의 전류 충전 상태의 정확한 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들 상태의 각각에 상이한 계수가 할당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전기 시스템은 세 개보다 많은 상태, 예를 들어, 상이한 충전 전류들에 대응하는 상이한 충전 상태들 및/또는 각각, 전기 시스템의 상이한 가동 상태들에서 기인하는 상이한 방전 전류들에 대응하는 상이한 방전 상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유휴 상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이한 유휴 상태들은 예를 들어, 자체 방전이 배터리의 온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효과를 고려하여 상이한 온도 범위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구조 시스템일 수 있고 방법은 엘리베이터 구조 시스템이 배터리에 의해 공급되는 전기 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방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엘리베이터 구조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전 능력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은 또한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는 배터리가 외부 정전의 경우에 엘리베이터 구동 운영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전하를 포함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시스템가 작동된다는 것이 보장됨에 따라 높은 운전 안전성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그리고 균등물들이 그것의 요소들을 대체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덧붙여,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교시 내용에 특정한 상황 또는 재료를 채택하기 위해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종속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이 의도된다.
1 : 엘리베이터 시스템
2 : 전기 시스템
3 : 인장재
4 : 승강로
5: 드라이브
6 : 엘리베이터 카
7 :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8 : 승장
9 : 엘리베이터 카의 천장
10 : 승장 도어
12 : 엘리베이터 카 도어
14 : 엘리베이터 카 제어 패널
16 : 승장 제어 패널
20 : 비상 전원 공급 기구
22 : 배터리 모니터링 디바이스
24 : 배터리
26 : 충전기 회로
28 : 외부 전원 공급 기구

Claims (15)

  1. 전기 시스템(2)에서 배터리(26)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배터리(26)의 상기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 값을 초기 수치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반복적으로:
    상기 전기 시스템(2)의 전류 가동 상태 및 상기 전류 가동 상태가 활성인 시간 기간(T1 - T10)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충전 상태의 변화를 상기 전기 시스템(2)의 결정된 상기 전류 가동 상태 및 상기 전류 가동 상태가 활성인 상기 시간 기간(T1 - T10)의 함수로서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치 값에/에서 상기 충전 상태의 계산된 상기 변화를 가산 또는 감산함으로써 상기 배터리(26)의 상기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수치 값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의 상기 변화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함수는 결정된 상기 전류 가동 상태 및 대응하는 상기 시간 기간(T1 - T10)과 연관된 계수의 곱인, 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26)의 상기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수치 값이 미리 결정된 제1 임계치(Th1) 미만인 경우 경보 신호를 발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26)의 상기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수치 값이 미리 결정된 제2 임계치(Th2)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 시스템(2)의 추가 작동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26)의 최대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값을 시간의 함수로서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시스템(2)의 상기 전류 가동 상태는:
    외부 전원 공급 기구(28)로부터 전기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배터리(26)가 충전되는, 충전 상태;
    상기 배터리(26)에 의해 공급되는 전기 전류를 사용하여 상기 전기 시스템(2)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26)가 외면적으로 방전되는, 방전 상태; 및
    상기 배터리(26)가 상기 충전 상태도 상기 방전 상태도 아닌, 유휴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시스템(2)은 엘리베이터 구조 시스템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엘리베이터 구조 시스템이 상기 배터리(26)에 의해 공급되는 전기 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방전 상태를 포함하는, 방법.
  8.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26);
    배터리 모니터링 디바이스(22)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 디바이스(22)는,
    상기 배터리(26)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 값을 초기 수치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그리고 반복적으로:
    상기 전기 시스템(2)의 전류 가동 상태 및 상기 전류 가동 상태가 활성인 시간 기간(T1 - T10)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배터리(26)의 상기 충전 상태의 변화를 결정된 상기 전기 시스템(2)의 전류 가동 상태 및 상기 전류 가동 상태가 활성인 상기 시간 기간(T1 - T10)의 함수로서 계산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수치 값에/에서 상기 충전 상태의 계산된 상기 변화를 가산 또는 감산함으로써 상기 배터리(26)의 상기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수치 값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상기 배터리(26)의 상기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시스템(2).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의 상기 변화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함수는 결정된 상기 전류 가동 상태 및 대응하는 상기 시간 기간(T1 - T10)과 연관된 계수의 곱인, 전기 시스템(2).
  10. 청구항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 디바이스(22)는 상기 배터리(26)의 전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수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Th1, Th2) 미만인 경우 경보 신호를 발행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시스템(2).
  11. 청구항 8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니터링 디바이스(22)는 상기 배터리(26)의 상기 전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최대값을 시간의 함수로서 제한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기 시스템(2).
  12. 청구항 8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시스템(2)의 상기 전류 가동 상태들은:
    외부 전원 공급 기구(28)로부터 전기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배터리(26)가 충전되는, 충전 상태;
    상기 배터리(26)에 의해 공급되는 전기 전류를 사용하여 상기 전기 시스템(2)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26)가 외면적으로 방전되는, 방전 상태; 및
    상기 배터리(26)가 상기 충전 상태도 상기 방전 상태도 아닌, 유휴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기 시스템(2).
  13. 청구항 8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시스템(2)은 엘리베이터 구조 시스템이 상기 배터리에 의해 공급되는 전기 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방전 상태를 포함하는 상기 엘리베이터 구조 시스템인, 전기 시스템(2).
  14. 복수의 승장(8) 사이에서 승강로(4)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6); 및
    청구항 13에 따른 전기 시스템(2)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배터리(26)의 결정된 충전 상태가 미리 결정된 제1 임계치(Th1) 미만인 경우 유지보수 통지를 발행하도록 그리고/또는 상기 배터리(26)의 상기 결정된 충전 상태가 미리 결정된 제2 임계치(Th2) 미만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6)를 상기 승장들(8) 중 하나로 이동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6)의 임의의 도어들(10, 12)을 개방시키며,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1)의 임의의 추가 작동을 중단시키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
KR1020170105358A 2016-08-24 2017-08-21 배터리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225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85499.7 2016-08-24
EP16185499.7A EP3288145A1 (en) 2016-08-24 2016-08-24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charging state of a batt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587A true KR20180022587A (ko) 2018-03-06

Family

ID=5680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358A KR20180022587A (ko) 2016-08-24 2017-08-21 배터리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059189A1 (ko)
EP (1) EP3288145A1 (ko)
JP (1) JP2018030720A (ko)
KR (1) KR20180022587A (ko)
CN (1) CN1077856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90375B1 (en) * 2016-08-29 2019-06-26 KONE Corporation Elevator
EP3653557B1 (en) * 2018-11-14 2022-04-2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alarm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7182B2 (en) * 2001-10-17 2004-12-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controller
JP2008295172A (ja) * 2007-05-23 2008-12-04 Canon Inc バッテリーパック、充電装置、及び電子機器
JP4983818B2 (ja) * 2009-02-12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容量計算方法
JP4852672B2 (ja) * 2010-03-05 2012-01-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満充電容量値補正回路、電池パック、及び充電システム
US9002531B2 (en) * 2012-09-28 2015-04-0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ve peak load management via integrated load management
CN105264396B (zh) * 2013-06-18 2019-06-07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二次电池状态检测装置以及二次电池状态检测方法
JP6199999B2 (ja) * 2013-07-04 2017-09-2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電池のsoc推定方法及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30720A (ja) 2018-03-01
EP3288145A1 (en) 2018-02-28
US20180059189A1 (en) 2018-03-01
CN107785627A (zh)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1693B2 (en) Method for performing an elevator rescue run
JP2018536604A (ja) エレベータエネルギー方式
US20200195040A1 (en) UPS Traction Elevator Li-Ion Battery Back-up System
KR20180022587A (ko) 배터리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5674062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5554751B2 (ja) エレベータ装置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03193129B (zh) 电梯的控制装置
JP6543210B2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KR101374415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CN102358543A (zh) 电梯停电应急平层装置及其停电应急平层方法
JP2018167920A (ja) エレベーター停電時着床運転装置
CN103171939A (zh) 电梯信息处理装置
EP3653557B1 (en) Elevator alarm systems
CN111017657B (zh) 电梯运行控制方法、装置、系统、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2014114105A (ja) 昇降機を備えた建物の電力システム
CN103204414B (zh) 电梯系统以及电梯控制方法
JP5595295B2 (ja) エレベーターの蓄電制御装置
KR101735345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어 기능을 갖는 전원 공급 시스템
JP2014139098A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EP3957586A1 (en) A method for lifetime estimation of an electromechanical device in an elevator or an escalator or a moving walkway
CN113727929B (zh) 电梯装置
JP5902040B2 (ja) エレベータの省電力システム
WO2013015797A1 (en) Elevator system battery discharge control
JP2017186101A (ja) エレベーター、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バッテリー検査方法
WO2020208782A1 (ja) エレベータの非常時救出運転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