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819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819A
KR20180021819A KR1020187002141A KR20187002141A KR20180021819A KR 20180021819 A KR20180021819 A KR 20180021819A KR 1020187002141 A KR1020187002141 A KR 1020187002141A KR 20187002141 A KR20187002141 A KR 20187002141A KR 20180021819 A KR20180021819 A KR 20180021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ongitudinal direction
main body
joint
overl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이요 나카지마
가즈야 후지모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1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2013/49098Othe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of the 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 방향, 횡 방향 및 전후 방향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종 방향에 따른 흡수성 본체; 및 상기 횡 방향에 따른 벨트부 및 상기 종 방향에 따른 한쌍의 다리 개더부를 포함하는 시트 부재를 포함하고, 허리 개구부 및 한쌍의 다리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중첩 영역 및 제2 중첩 영역이 각각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 및 타방측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1 중첩 영역 및 상기 제2 중첩 영역은 각각 상기 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리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다리 개구부 각각을 향해 상기 횡 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 및 각각의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제1 중첩 영역 및 상기 제2 중첩 영역 각각에서 중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첩 영역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 및 각각의 상기 시트 부재가 제1 접합부 각각에서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제2 중첩 영역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 및 각각의 상기 시트 부재가 제2 접합부 각각에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접합부 각각의 선단은 상기 제1 중첩 영역 각각의 선단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팬츠형 1회용 기저귀로서는, 특허문헌 1에 앞 개구부, 가랑이부 및 배측 개구부에 걸쳐 형성된 흡수성 본체, 및 이 흡수성 본체와 접합부에서 연결된 한쌍의 벨트부를 포함하는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팬츠형 1회용 기저귀는 내의처럼 보여질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 흡수성 본체와 벨트부 사이의 접합부를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합하면, 접합 부분의 강성이 높아져서,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드라이 에지(dry edge)라고 불리는, 접착제 등이 도포되지 않은 영역을 각각의 접합부의 선단보다 더 앞에 제공하여, 착용자가 느끼는 위화감을 경감시킨다.
[특허문헌 1]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공개(PCT 출원의 번역문) 평8-507699호
그러나, 이러한 1회용 기저귀에서는, 배측 전면 및 등측 후면의 눈에 띄는 부분에 한쌍의 접합부가 각각 형성되고, 이에 따라 양측의 2군데에서 접합부가 형성되는 통상의 기저귀에 비해 체결부의 수가 증가한다. 이 접합부에 드라이 에지를 제공하면, 접합부가 커져서, 이것이 예컨대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이의 외관에 의해 접합부가 인식되는 등, 내의 같은 외관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의 목적은 내의 같이 보이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이점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양태는, 종 방향, 횡 방향 및 전후 방향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종 방향에 따른 흡수성 본체; 및 상기 횡 방향에 따른 벨트부 및 상기 종 방향에 따른 한쌍의 다리 개더부를 포함하는 시트 부재를 포함하고, 허리 개구부 및 한쌍의 다리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중첩 영역 및 제2 중첩 영역이 각각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 및 타방측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1 중첩 영역 및 상기 제2 중첩 영역은 각각 상기 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리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다리 개구부 각각을 향해 상기 횡 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 및 각각의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제1 중첩 영역 및 상기 제2 중첩 영역 각각에서 중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첩 영역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 및 각각의 상기 시트 부재가 제1 접합부 각각에서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제2 중첩 영역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 및 각각의 상기 시트 부재가 제2 접합부 각각에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접합부 각각의 선단은 상기 제1 중첩 영역 각각의 선단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를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접합부 각각의 선단을 제1 중첩 영역 각각의 선단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접합부를 더 작게 만들 수 있고, 이에 따라 흡수성 물품의 내의 같은 인상이 손상되는 것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기저귀(1)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A는 길이 방향에 따라 신장된 상태의 기저귀(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A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A는 제조 공정의 도중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의 기저귀(1)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전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B-B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기저귀(1)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부분 b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어서의 부분 a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벨트부(30)를 횡방향을 따라 신장시킨 상태의 기저귀(1)의 제1 접합부(WL1)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도 7의 C-C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7의 D-D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부이다. 도 8C는 도 7의 E-E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D는 도 7의 F-F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질 것이다.
종 방향, 횡 방향 및 전후 방향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는데,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종 방향에 따른 흡수성 본체; 및 상기 횡 방향에 따른 벨트부 및 상기 종 방향에 따른 한쌍의 다리 개더부를 포함하는 시트 부재를 포함하고, 허리 개구부 및 한쌍의 다리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중첩 영역 및 제2 중첩 영역이 각각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 및 타방측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1 중첩 영역 및 상기 제2 중첩 영역은 각각 상기 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리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다리 개구부 각각을 향해 상기 횡 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 및 각각의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제1 중첩 영역 및 상기 제2 중첩 영역 각각에서 중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첩 영역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 및 각각의 상기 시트 부재가 제1 접합부 각각에서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제2 중첩 영역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 및 각각의 상기 시트 부재가 제2 접합부 각각에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접합부 각각의 선단은 상기 제1 중첩 영역 각각의 선단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이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제1 접합부 각각의 선단을 제1 중첩 영역 각각의 선단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제1 접합부를 더 작게 만들 수 있고, 흡수성 물품의 내의 같은 인상이 손상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제2 접합부 각각의 선단은 제2 중첩 영역 각각의 선단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제2 접합부 각각의 선단을 제2 중첩 영역 각각의 선단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제1 접합부측 뿐 아니라 제2 접합부측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보았을 때에도, 흡수성 물품의 내의 같은 인상이 손상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 및 시트 부재는 각각 복수의 용착 영역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흡수성 본체 및 시트 부재를 각각 복수의 용착 영역에 의해 접합하고, 이에 따라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의 전체 면을 용착한 경우와 비교하여, 제1 및 제2 접합부를 눈에 덜 띄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접합부의 강성이 증가하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제1 접합부 각각에 있어서의 복수의 용착 영역이 제1 중첩 영역 각각의 선단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용착 영역의 열을 형성하고 있고, 제2 접합부 각각에 있어서의 복수의 용착 영역이 제2 중첩 영역 각각의 선단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용착 영역의 열을 형성하고 있으며, 열은 각각 2 이상 제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중첩 영역의 선단과 평행하게 복수의 용착 영역을 배열한 열을 2 이상 제공하여, 제1 및 제2 접합부의 1열의 용착 영역이 박리하더라도, 다른 열의 용착 영역이 여전히 접합되어 있어서, 흡수성 물품의 접합이 완전히 박리해버릴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시트 부재는 각각 제1 탄성 부재 및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제1 탄성 부재의 단부는 용착 영역과 중첩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제2 탄성 부재의 단부는 서로 인접하는 용착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시트 부재의 제1 탄성 부재의 단부가 용착 영역과 중첩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제2 탄성 부재의 단부가 서로 인접하는 용착 영역 사이에 제공된다. 이것이 탄성 부재로 인한 용착의 저해와 같은 영향을 방지하여, 제1 및 제2 접합부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제1 탄성 부재 및 제2 탄성 부재는 실고무이고, 종 방향에 있어서,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 각각에 있어서의 서로 인접하는 용착 영역 사이의 간격은, 서로 인접하는 실고무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종 방향에 있어서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 각각에 있어서의 서로 인접하는 용착 영역 사이의 간격을 서로 인접하는 실고무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하고, 에 따라 접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킨다.
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제1 접합부 각각의 허리 개구부측의 단부에 있어서, 제1 접합부의 각각의 기단(base end)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거리가, 허리 개구부측에 가까워지면서 더 짧아지고, 제2 접합부 각각의 허리 개구부측의 단부에 있어서, 제2 접합부의 각각의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거리가, 허리 개구부측에 가까워지면서 더 짧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 각각의 허리 개구부측의 단부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접합부의 각각의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각각의 거리가, 허리 개구부측에 가까워지면서 더 짧아지게 하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접합부를 눈에 덜 띄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저귀 착용시에 제1 및 제2 접합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착용자가 느끼는 위화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제1 접합부의 하단 및 제2 접합부의 하단은 다리 개구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접합부의 하단이 다리 개구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어서, 이것이 제1 및 제2 접합부의 하단이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자가 느끼는 위화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벨트부의 상단부는 시트 부재를 접어서 형성되어 있고, 다리 개더부 각각은 종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탄성 시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벨트부의 상단부가 시트 부재를 접어서 형성되고, 다리 개더부가 각각 탄성 시트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허리 개구부 및 다리 개구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직포와 같은 옅은 색의 소재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복수의 부재를 접합함으로 인해 제1 및 제2 접합부의 색조가 다른 부분보다 짙어진다. 그러나, 벨트부의 상단부가 시트 부재를 접어서 형성되고, 다리 개더부 각각이 탄성 시트를 포함하여, 제1 및 제2 접합부의 색조를 눈에 덜 띄게 할 수 있다.
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벨트부가 횡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제1 접합부 각각은, 시트 부재 각각이 흡수성 본체보다 타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제1 접합부 각각이, 시트 부재 각각이 흡수성 본체보다 타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접합부가 눈에 덜 띄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팬츠형 1회용 기저귀(1)(이하, "기저귀(1)"라고도 지칭함)를 설명한다.
도 1은 기저귀(1)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기저귀(1)는 흡수성 본체(10),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를 포함하며, 착용시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팬츠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 기저귀(1)는 도 1의 팬츠형 상태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종 방향", "횡 방향" 및 "전후 방향"을 포함한다. 또한, 기저귀(1)의 종 방향의 상측에 허리 개구부(HB)가 형성되고, 횡 방향의 양측에는 한쌍의 다리 개구부(HL)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저귀(1)의 전후 방향의 앞측은 기저귀(1) 착용시에 착용자의 배측을 덮는 부분이고, 전후 방향의 이의 뒤측은 착용자의 등측을 덮는 부분이다.
도 2A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시킨 상태의 기저귀(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A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A는 제조 공정의 도중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시킨 기저귀(1)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전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B-B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X-X선은 횡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이다,
기저귀(1)는 제조 공정의 최종 단계에 있어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면 상태이다. 기저귀(1)의 제조 공정에 대해서는 도 4를 이용하여 나중에 설명한다. 평면 상태의 기저귀(1)는 서로 직교하는 3 방향으로서 "길이 방향", "횡 방향" 및 "두께 방향"을 포함한다. 평면 상태의 기저귀(1)의 길이 방향은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에 따른 방향이다. 이 길이 방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의 종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이다. 그러나, 팬츠형 상태에서의 종 방향은 기술적으로 평면 상태에서의 길이 방향과는 약간 의미가 상이하므로, 필요한 경우에는 "팬츠형 상태에서의 종 방향", "평면 상태에서의 길이 방향" 등과 같이, 양 방향을 구별하여 취급한다. 도 2A에서, 기저귀(1)를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시킨 상태(즉, 평면 상태)란, 나중에 설명하는 실고무(다리 개더 탄성 부재)(23) 및 벨트 탄성 부재(실고무)(33)에 의한 수축력에 대항하여 기저귀(1)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켰을 때에,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주름 및 개더가 시인되지 않는 정도로 기저귀(1)를 신장시킨 상태를 지칭한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형상은 실고무(23)와 같은 각종 탄성 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발현되지 않은 때에 평탄하게 신장된 기저귀(1)의 형상과 동일하다. 또한, 기저귀(1)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는, 흡수성 본체(10)만을 평면 상태로 한 때의 형상을 기준 상태로 했을 때에, 흡수성 본체(10)의 형상이 기준 상태에 일치하도록, 탄성 부재(33)로 인한 수축력에 대항하여 기저귀(1)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라고도 말할 수 있다.
하기 설명에서는, 흡수성 본체(10)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켰을 때, 착용자의 배측에 닿는 측을 길이 방향의 앞측(배측)으로 지칭하고, 착용자의 등측에 닿는 측을 길이 방향의 뒤측(등측)으로 지칭한다. 평면 상태의 기저귀(1)의 횡 방향은 도 1의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의 횡 방향 및 두께 방향과 동일한 개념이다. 평면 상태의 기저귀(1)의 두게 방향은 길이 방향 및 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측을 "피부측"으로 지칭하고, 반대측을 "비피부측"으로 지칭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흡수성 본체(10)의 횡 방향 양측에는 한쌍의 다리 개더부(20)가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10)의 일부 및 다리 개구부(20)와 두께 방향의 피부측에 중첩하도록, 한쌍의 벨트부(30)가 배치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1)에 있어서, 다리 개더부(20) 각각 및 벨트부(30) 각각이 하나의 시트 부재인 사이드 시트(4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시트 부재(40)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접음선(FL)에 있어서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음으로써, 각각의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가 형성된다.
다리 개더부(20)의 각각에는, 횡 방향 외측 단부(20eo)(접음선(FL))에 있어서 다리 개더부(20) 일부가 절단되어 형성된 다리 개더 절단부(25)가 제공된다. 유사하게, 벨트부(30) 각각에는, 횡 방향 외측 단부(30eo)(접음선(FL))에 있어서 벨트부(30) 일부가 절단되어 형성된 벨트 절단부(35)가 제공된다. 이러한 다리 개더 절단부(25) 및 벨트 절단부(35)에 의해 각각의 다리 개구부(HL)가 형성된다.
벨트부(30)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 앞측 단부(10ef)로부터 각각의 다리 개구부(HL)를 향해 경사진 한쌍의 제1 접합부(WL1)에 의해, 흡수성 본체(10)(엄밀히 말하면, 흡수성 본체(10)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탑 시트(13)) 및 다리 개더부(20)에 접합되어 있다. 유사하게, 벨트부(30)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 뒤측 단부(10er)로부터 각각의 다리 개구부(HL)를 향해 경사진 한쌍의 제2 접합부(WL2)에 의해, 흡수성 본체(10) 및 다리 개더부(20)에 접합되어 있다. 제1 접합부 및 제2 접합부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평면 상태의 기저귀(1)의 한쌍의 벨트부(30, 30)에 있어서 횡 방향의 내측 단부(30ei, 30ei)를 횡 방향을 따라 열면서, 흡수성 본체(10)를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CL) 부근에서 둘로 접음으로써, 기저귀(1)는 팬츠형 기저귀(1)로서 착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때,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 앞측 단부(10ef) 및 뒤측 단부(10er) 및 한쌍의 벨트부(30)의 내측 단부(30ei)에 의해 허리 개구부(HB)가 형성된다(도 1 참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장방형의 부재(도 3A 참조)가 제1 접합부(WL1) 및 제2 접합부(WL2)를 따라 절단되고, 길이 방향의 부재의 단부가 각각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V형으로 가늘어지는 식으로 형성된 시트형 부재이다. 흡수성 본체(10)는 흡수체(11), 흡수체(11)를 피부측으로부터 덮도록 제공된 탑 시트(13)(피부측 시트에 상당), 및 흡수체(11)를 비피부측으로부터 덮도록 제공된 백 시트(15)(비피부측 시트에 상당)를 포함한다. 이들 부재(13, 11, 15) 각각은 두께 방향으로 인접하는 부재에,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 있다(도 2B 및 도 3B 참조). 접착제의 도포 패턴으로서는, Ω 패턴, 스파이럴 패턴, 스트라이프 패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나중에 설명되는 다른 접착제에도 적용된다.
흡수체(11)는 소정의 액체 흡수성 소재가 소정 형상(예컨대 위에서 보았을 때 대략 모래 시계 형상)으로 성형되어 형성된 흡수성 코어, 및 흡수성 코어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코어 랩 시트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흡수체(11)는 기저귀(1)의 착용시에 뇨와 같은 배설액을 흡수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액체 흡수성 소재로서는 액체 흡수성 섬유(예컨대 펄프 섬유) 및 고흡수성 폴리머(소위 SAP)와 같은 액체 흡수성 입상물이 예시된다. 코어 랩 시트로서는, 티슈 페이퍼 또는 부직포의 시트와 같은 액투과성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흡수체(11)의 형상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에서 보았을 때 대략 모래 시계 형상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탑 시트(13)는 에어스루 부직포와 같은 액 투과성 시트에 의해 형성되고, 그의 평면 사이즈는 흡수체(11)의 길이 방향의 양측 및 흡수체(11)의 횡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 사이즈이다. 그러나, 탑 시트(13)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 흡수성을 갖는 유연한 시트 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백 시트(15)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누 시트(15f) 및 외장 시트(15n)의 2장의 시트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함께 중첩하여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방누 시트(15f)는 폴리에틸렌(PE) 필름, 폴리프로필렌(PP) 필름 등으로 제조된 액 불투과성 시트 부재이며, 백 시트(15)의 두께 방향의 피부측에 배치된다. 외장 시트(15n)는 부직포 등으로 제조된 시트 부재이며, 백 시트(15)의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에 배치되며, 흡수성 본체(10)의 외장을 구성하는 부재이다. 그러나, 백 시트(15)는 일정한 방누성을 갖는 한, 상기 언급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백 시트(15)도, 시트가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양측 및 흡수체의 횡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 평면 사이즈를 갖는 시트이다. 탑 시트(13) 및 백 시트(15)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대략 V형을 갖는 각각의 양단부가 대략 일치하도록, 두께 방향으로 함께 중첩하고 접합하여, 이에 의해 시트(15)와 시트(15) 사이에 흡수체가 유지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개더부(20)는, 흡수성 본체(10)의 횡방향 양측에 접합된, 길이 방향으로 긴 시트 부재이며, 기저귀(1)를 팬츠형으로 형성할 때에 다리 개구부(HL)를 따라 수축하여 주름형 다리 개더를 형성한다. 다리 개더부(20) 각각은 부직포 등으로 제조된 제1 시트(21) 및 제2 시트(22)를 두께 방향으로 2장 겹쳐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흡수성 본체(10) 및 다리 개더부(20)는 다리 개더부(20)의 횡 방향의 내측 단부가 흡수성 본체(10)의 탑 시트(13)와 백 시트(15) 사이에 각각 낀 상태로, 핫멜트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합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30)는 다리 개더부(20)의 횡 방향 양측에 제공된, 길이 방향으로 긴 시트 부재이며, 기저귀(1)를 팬츠형으로 제조할 때에 허리 벨트를 형성한다(도 1 참조). 벨트부(30) 각각은 부직포 등으로 제조된 제1 시트(31) 및 제2 시트(2)를 두께 방향으로 2장 겹쳐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다리 개더부(20) 및 각각의 벨트부(30)는 하나의 부재인 시트 부재(40)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다리 개더부(20)의 제1 시트(21) 및 벨트부(30)의 제1 시트(31)는 제1 시트(41)로서 구성되고, 다리 개더부(20)의 제2 시트(22) 및 벨트부(30)의 제2 시트(32)도 제2 시트 부재(42)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부재(40)에서, 접음선(FL)보다도 횡 방향 내측에 배치된 부분이 레그 개더부(20)가 되고, 접음선(FL)보다도 횡 방향 외측에 배치된 부분이 벨트부(30)가 된다.
상기 접음선(FL)에 걸쳐 연장되도록, 다리 개구부(HL) 각각이 형성되어 있다. 다리 개구부(HL)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리 개더부(20)의 제1 시트(21) 및 제2 시트(22)를 절단하여 형성된 다리 개더 절단부(25), 및 벨트부(30)의 제1 시트(31) 및 제2 시트(32)를 절단하여 형성된 벨트 절단부(35)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리 개더부(20)의 제1 시트(21)와 제2 시트(22) 사이에 실고무 등으로 제조된 다리 개더 탄성 부재(실고무)(23)가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배치되고,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3A에 있어서, 다리 개더 절단부(25)의 횡방향 내측 단부(즉, 다리 개구부(HL)의 횡 방향 내측 단부)보다 더 내측의 위치에 2줄의 실고무(23)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실고무(23)에 의해, 각각의 다리 개더부(20)에 길이 방향의 탄성이 부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저귀(1)를 팬츠형으로 제조시에, 다리 개구부(HL)를 따라 다리 개더부(20)가 수축하여, 주름형 다리 개더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다리 주위의 핏트성(fitting proper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벨트부(30)의 제1 시트(31)와 제2 시트(32) 사이에 실고무 등으로 제조된 벨트 탄성 부재(실고무)(33)가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배치되고,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3A에 있어서는, 벨트 절단부(35)의 횡 방향 외측 단부(즉, 다리 개구부(HL)의 횡 방향 외측 단부)보다 더 외측의 영역에 복수의 실고무(33)가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실고무(33)에 의해, 각각의 벨트부(30)에 길이 방향의 탄성이 부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귀(1)를 팬츠형으로 제조할 때에, 각각의 벨트부(30)의 거의 전체 영역에 걸쳐 허리 개구부(HB)에 따른 수축력이 발현되어, 기저귀(1) 착용시에 허리 부분의 미끄러져 떨어짐이 억제된다.
또한, 제1 시트(41(21, 31))와 제2 시트 부재(42(22, 32))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 탄성 시트(43)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시트(43)는 도 3A의 사선부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 다리 개구부(HL)의 횡 방향의 폭보다 넓은 띠형 탄성 시트 부재이다. 탄성 시트(43)는 또한 각각 다리 개구부(HL)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시트(41, 42)에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다리 개구부(HL)의 주연부(peripheral edge portion)가 그 전체 둘레에 걸쳐 탄성 시트(43)에 의해 보강된다(도 1의 도티드 패턴 부분). 또한, 평면형의 탄성 시트(43)에 의해 발현된 수축력으로 인해, 다리 개구부(HL)의 주연부에 있어서의 핏트성이 더 향상된다. 다리 개구부(HL)의 주연부에 탄성 시트(43)가 제공되지 않고 실고무(23)와 같은 실고무만이 거기에 제공된다고 하면, 실고무 사이에 주름이 형성되기 쉬워져, 기저귀(1)의 착용시에 다리 개구부(HL)가 헐렁해질 수 있고, 실고무의 자국이 착용자의 피부에 남을 수도 있다. 반대로, 다리 개구부(HL)의 주연부에 평면형의 탄성 시트(43)가 배치될 때, 핏트성이 향상될 수 있다. 기저귀(1)는 통상 부직포와 같은 색이 옅은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복수의 부재가 접합된 제1 접합부(WL1)의 색조가 진해진다. 그러나, 탄성 시트(43)가 배치되면, 부재수가 증가하여, 제1 접합부(WL1)의 색조가 눈에 덜 띌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시트(43)의 예로서,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와 같은 대략 탄성을 나타내는 엘라스토머 섬유,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같은 대략 비탄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에 대하여, 소위 기어 연신 가공(gear drawing treatment)을 실시하여 신축성을 발현한 부직포를 예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30)의 횡방향 외측 단부 영역에는, 제1 벨트 단부 접음선(FLb1) 및 제2 벨트 단부 접음선(FLb2)에서 횡 방향의 내측으로 2회 접고,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이 접힌 상태로 접음부(FLB)를 고정시켜, 접음부(FLB)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 제2 벨트 단부 접음선(FLb2) 각각은 도 2A에 있어서 벨트부(30) 각각의 횡 방향 내측 내측 단부(30ei)가 되는 부분, 및허리 개구부(HB)가 되는 부분이다. 허리 개구부(HB)를 이러한 단부 접음 구조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저귀(1)를 착용할 때에, 착용자의 허리 상의 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다리 개구부(HL)의 탄성 시트(43)와 유사하게, 복수 부재가 중첩된 접음부(FLB)에 의해 허리 개구부(HB)는 제1 접합부(WL1)의 색조를 눈에 덜 띄게 할 수가 있어, 내의 같은 인상이 손상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횡 방향 단부 영역은 반드시 상술한 바의 접음 구조를 갖지 않아도 된다.
<기저귀(1)의 제조>
다음으로, 기저귀(1)의 제조 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 4는 기저귀(1)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 기저귀(1)는 재료로서 사용되는 기재 시트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이 기재 시트에 대하여 소정의 가공(S101∼S105)을 실시하는 식으로 제조된다. 이하에서는, 시트 부재의 반송 방향을 "MD 방향"으로 지칭하고, MD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CD 방향"으로 지칭한다. MD 방향은 도 2A의 길이 방향(종 방향)에 따른 방향이고, CD 방향은 도 2A의 횡 방향에 따른 방향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기저귀(1)의 기재 시트가 되는 시트 부재는, 흡수성 본체 연속 시트(10A) 및 사이드 연속 시트(40A)로 구성된다. 흡수성 본체 연속 시트(10A)는, 복수의 흡수성 본체(10)가 길이 방향(종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늘어선 시트 부재이다. 즉, 흡수성 본체 연속 시트(10A)는, 복수의 흡수체(11)가 MD 방향으로 연장되는 탑 시트(13)의 연속 시트와 백 시트(15)의 연속 시트의 두께 방향 사이에 끼인 상태의 시트 부재이다. 유사하게, 사이드 연속 시트(40A)는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를 형성하는 시트 부재(40)가 길이 방향(종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늘어선 시트 부재이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 연속 시트(10A)의 CD 방향(횡 방향) 양측에 사이드 연속 시트(40A)가 접합된 상태의 기재 시트가 MD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반송된다(S101).
다음으로, 반송되는 기재 시트에 대하여, 각각 흡수체(11)의 CD 방향(횡 방향) 양측에서 접음선(FL)에 걸쳐 연장되는 위치에 다리 개구부(HL)인 다리 개더 절단부(25) 및 벨트 절단부(35)를 형성한다(S102). 상기 절단부는 커터 롤러(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도 4의 S102의 공정에서 나타낸 상태는, 도 3A의 전개 상태의 기저귀(1)에 상당하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사이드 연속 시트(40A) 중 벨트부(30)에 상당하는 부분을 각각의 접음선(FL)에서 CD 방향(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어서, 흡수성 본체(10)의 일부, 다리 개더부 및 벨트부(30)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S103).
다음으로,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제1 접합부(WL1) 및 제2 접합부(WL2)를 형성하여, 벨트부(30), 흡수성 본체(10) 및 다리 개더부(20)를 접합한다(S104).
다음으로, 기재 시트의 커팅이 행해진다(S105). 구체적으로는, MD 방향으로 연속하는 기재 시트로부터 기저귀(1) 각각을 분리하고, 제1 접합부(WL1) 및 제2 접합부(WL2)를 따라 장방형의 네 코너를 절단한다. 이 때, 용착 영역(WU)(후술) 상의 기재 시트를 절단하여 제1 접합부의 선단(WLp1) 및 제2 접합부의 선단(WLp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착 영역(WU) 상의 기재 시트를 절단함으로써, 제1 접합부의 선단(WLp1) 및 제2 접합부의 선단(WLp2)으로부터 박리될 우려를 경감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2A에 도시된 평면 상태의 기저귀(1)가 형성된다.
<제1 접합부(WL1) 및 제2 접합부(WL2)>
하기에서, 제1 접합부(WL1) 및 제2 접합부(WL2)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한쌍의 제1 접합부(WL1)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앞측에, 중심선 X-X에 대하여 대칭으로 제공되고, 한쌍의 제2 접합부(WL2)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뒤측에, 중심선 X-X에 대하여 대칭으로 제공되어 있다. 제1 접합부(WL1) 및 제2 접합부(WL2)는 각각 전후 방향에 있어서 유사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이하, 제1 접합부(WL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합부(WL1)는 흡수성 본체(10)의 횡 방향 중앙 부근의 길이 방향 앞측 단부(10ef)로부터 다리 개구부(HL)를 향해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제1 접합부(WL1)는 흡수성 본체(10)와 벨트부(30)를 접합하고, 다리 개더부(20)와 벨트부(30)를 접합하는 부분이다. 이 때, 제1 접합부(WL1) 중 횡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접합부의 선단(WLp1), 및 제1 접합부(WL1) 중 횡 방향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제1 접합부의 기단(WLb1)은 서로 대략 평행하다.
제1 접합부(WL1)의 종 방향의 길이는 허리 개구부(HB)로부터 제1 접합부(WL1)의 하단까지의 길이이며, 벨트부(30)의 횡 방향의 단부의 길이는 허리 개구부(HB)로부터 벨트부(30)의 외측 단부인 벨트부 횡단부(belt portion side end part, 30es) 각각의 하단까지의 길이이다. 이 때, 제1 접합부(WL1)의 종 방향의 길이는 벨트부 횡단부(30es)의 종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즉, 종 방향에 있어서 제1 접합부(WL1)의 하단은 벨트부 횡단부(30es)의 하단보다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벨트부(30)가 실고무(33)에 의해 횡 방향을 따라 신장하여도, 제1 접합부(WL1)의 하측에는 횡 방향으로 신장도 신축도 되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어, 제1 접합부(WL1)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접합부(WL1)의 하단이 다리 개구부(HL)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시트 부재(40)에 의해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제1 접합부(WL1)의 하단을, 다리 개구부(HL)로부터 소정 거리만큼(예컨대 약 2∼10 mm) 떨어지도록 상측에 형성하면,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가 연결된 부분이 형성된다. 도 2에 있어서의 횡 방향 외측 단부(20eo)는 도 1에 도시된 팬츠형으로 형성된 상태로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가 연결되어 있는 부분이다. 이에 의해, 비교적 강성이 높은 제1 접합부(WL1)의 하단이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자가 느끼는 위화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리 개구부(20) 및 벨트부(30)를 접합하고 있는 제1 접합부(WL1)에는, 하나의 시트 부재(40)에 접합 처리를 실시하고 있어서,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접합부의 박리를 경감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부분 b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합부(WL1) 각각에는, 초음파 접합에 의해 접합된 복수의 용착 영역(WU)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접합부(WL1)의 접합에 초음파 접합을 이용하지만, 열 용착과 같은 용착에 의해 또는 핫멜트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의 이용에 의해 접합을 실시할 수 있다.
기저귀(1)는 통상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므로, 부드럽고 촉감이 양호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용착 영역(WU)을 각각의 제1 접합부(WL1)의 전체 영역에 갭 없이 형성하면, 제1 접합부(WL1)가 딱딱해진다. 이러한 이유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삼각형의 복수의 용착 영역(WU)을 형성하여, 각각의 제1 접합부(WL1)의 영역 내에서 접합된 부분 및 접합되지 않은 부분을 제공하여, 제1 접합부(WL1)의 경화를 경감하고 있다.
이 때, 제1 접합부의 선단(WLp1)(후술하는 제1 중첩 영역(LA1))과 평행하게 복수의 용착 영역(WU)을 순서대로 배열하여 용착 영역(WU)의 열을 형성하고, 이 용착 영역(WU)을 제1 접합부의 선단(WLp1)과 평행하게 복수 열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있어서의 화살표 R1의 방향으로 배열된 열이 제1 접합부의 기단(WLb1)측의 열이고, 화살표 R2의 방향으로 배열된 열이 제1 접합부의 선단(WLp1)측 열이다. 예컨대, 기저귀(1) 착용시 등에 제1 접합부(WL1)에 대하여 과잉의 힘이 가해져서, 제1 접합부의 기단(WLb1)측의 용착 영역(WU)의 열 R1이 박리된 경우에도, 제1 접합부의 선단(WLp1)측의 용착 영역(WU)의 열 R2의 접합이 유지된다. 이것이 제1 접합부(WL1)가 완전히 박리될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접합부(WL1)의 선단(WLp1)에, 용착 영역(WU) 및 실고무(33)가 중첩되는 부분, 및 용착 영역(WU) 및 실고무(33)가 중첩되지 않는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착 영역(WU)과 중첩되는 실고무(33)를 제1 탄성 부재(33a)로서 지칭하고, 용착 영역(WU)과 중첩되지 않는 실고무(33)를 제2 탄성 부재(33b)로서 지칭하면, 제1 접합부의 선단(WLp1) 중 제1 탄성 부재(33a)가 제공된 부분에서는, 흡수성 본체(10) 및 시트 부재(40) 뿐 아니라, 제1 탄성 부재(33a)가 중첩되고, 이에 따라 그 위로부터 초음파 접합을 실시하면, 제1 탄성 부재(33a)로 인해 접합 강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제1 접합부의 선단(WLp1)에, 용착 영역(WU)과 중첩되지 않는 제2 탄성 부재(33b)를 제공하고, 인접하는 용착 영역(WU)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탄성 부재(33b)를 제공함으로써, 제1 접합부(WL1)의 접합 강도의 저하가 경감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실고무 사이의 간격(L33)이 인접하는 용착 영역(WU) 사이의 간격(Lwu)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인접하는 실고무(33) 사이의 간격(L33)은 실고무(33)의 중심으로부터 인접하는 실고무(33)의 중심까지의 거리(이하, "피치"라고도 지칭함)이고, 인접하는 용착 영역(WU) 사이의 간격(Lwu)은 용착 영역(WU)의 중력의 중심으로부터 인접하는 용착 영역(WU)의 중력의 중심까지의 거리이다. 각각의 실고무(33)는, 실고무(33)가 제공된 부분에서 횡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탄성력을 갖기는 하지만, 실고무(33)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피치보다 용착 영역(WU)의 피치를 작게 하므로, 제1 접합부(WL1)의 접합 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어서의 부분 a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 접합부의 기단(WLb1)으로부터 제1 접합부의 선단(WLp1)까지의 거리를 L로 정의시, 허리 개구부(HB)에 가까울수록 L을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L1, L2, L3의 순으로 허리 개구부(HB)에 가까운 경우에는, L1<L2<L3으로 한정된다. 각각의 제1 접합부(WL1)는 허리 개구부(HB)측의 제1 접합부(WL1)의 상부의 제1 접합부의 선단(WLp1)으로부터 제1 접합부의 기단(WLb1)을 향해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접합부(WL1)를 눈에 덜 띄게 하고, 또한 기저귀(1)의 착용시에 제1 접합부(WL1)가 착용자의 배에 닿을 때 착용자가 느끼는 위화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7은 벨트부(30)를 횡 방향을 따라 신장시킨 상태의 기저귀(1)의 제1 접합부(WL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1)의 벨트부(30)를 횡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를, 착용자가 기저귀를 착용한 상태에서 벨트부(30)를 횡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라고 지칭한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언급된 상태는, 벨트부(30)의 각각의 실고무(30)가 횡 방향으로 주름 및 개더가 보이지 않을 정도까지 신장한 상태로부터, 벨트부(30)의 각각의 실고무(30)가 48∼78% 수축된 상태(바람직하게는 63% 수축된 상태)를 지칭한다.
도 8A는 도 7의 C-C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7의 D-D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부이다. 도 8C는 도 7의 E-E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D는 도 7의 F-F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A는 제1 접합부(WL1) 중 흡수성 본체(10) 및 벨트부(30)의 접음부(FLB)를 접합한 부분의 단면도이고, 제1 벨트 단부 접음선(FLb1)보다 상측을 나타낸다. 도 8B는 제1 접합부(WL1) 중 접음부(FLB)보다 하측의 벨트부(30) 및 흡수성 본체(10)를 접합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8 및 도 8D는 각각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를 접합한 부분이다.
도 8A, 8B, 8C 및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30)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40)(31, 32)가 흡수성 본체(10)와 중첩된 부분이 제1 중첩 영역(LA1)이고, 이 제1 중첩 영역(LA1)에 용착 영역(WU)이 형성되어 제1 접합부(WL1)를 형성한다. 이 때, 제1 접합부의 선단(WLp1) 및 제1 중첩 영역(LA1)의 선단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제조 공정(S104)에 있어서 제1 중첩 영역(LA1) 내에 제1 접합부(WL1)를 형성함으로써, 그리고 S105에 있어서 제1 중첩 영역(LA1) 및 제1 접합부(WL1)가 중첩되어 있는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제1 접합부의 선단(WLp1) 및 제1 중첩 영역(LA1)의 선단을 동일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제1 접합부(WLp1)를 더욱 작게 만들 수 있고, 접합부가 배측의 앞면에 제공되는 팬츠형 기저귀(1)의 내의 같은 인상이 손상되는 것을 경감할 수도 있다. 한편, 벨트부(30)를 횡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의 기저귀(1)의 제1 접합부의 선단(WLp1) 및 제1 중첩 영역(LA1)의 선단을 동일한 위치에 형성한 상태는, 도 1의 통상의 팬츠형 기저귀(1)에 대해서도 제1 접합부의 선단(WLp1) 및 제1 중첩 영역(LA1)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상태이다.
또한, 도 8A 및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합부(WL1) 중 흡수성 본체(10) 및 벨트부(30)가 접합된 부분에서는, 흡수성 본체(10)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에 위치하고, 시트 부재(40)가 흡수성 본체(10)보다 타방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접합부(WL1)는 벨트부(30)측으로 경사져 있고, 제1 접합부의 선단(WLp1)이 벨트부(30)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비교적 강성이 높은 각각의 제1 접합부(WL1)가, 착용자가 느끼고 있던 울퉁불퉁함과 같은 위화감을 경감시키고, 기저귀 위에 착용한 의복으로부터 돌출된 제1 접합부(WL1)가 보일 수 있는 가능성을 경감시킬 수 있어서, 제1 접합부(WL1)를 눈에 덜 띄게 할 수 있다.
이 때, 흡수성 본체(10)가 횡 방향에 따른 탄성 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벨트부(30)가 실고무와 같은 벨트 탄성 부재(33)를 포함함으로써(도 7), 벨트부(30)를 향해 경사진 제1 접합부(WL1)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접합부(WL1)에는 횡 방향에 따른(벨트부(30)측을 향한) 끌어당기는 힘이 가해지므로, 제1 접합부(WL1)가 벨트부측을 향해 경사져서, 제1 접합부(WL1)를 더욱 눈에 덜 띄게 할 수 있다.
제1 접합부(WL1) 및 인접하는 시트 부재(40)(31)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를 θ로 하면, 도 8A의 접음부(FLB)에 있어서의 제1 접합부(WL1) 및 인접하는 시트 부재(40)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 θ1은 45°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도 8B의 접음부(FLB)보다 하측의 벨트부(30) 및 흡수성 본체(10)를 접합한 제1 접합부(WL1), 및 인접하는 시트 부재(40)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 θ2는 45°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접합부(WL1)를 더욱 눈에 덜 띄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8C의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를 접합한 제1 접합부(WL1) 및 인접하는 시트 부재(40)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 θ3, 및 도 8D의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를 접합한 제1 접합부(WL1) 및 인접하는 시트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 θ4는, 각각 θ1 및 θ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θ3이 45° 이상이고, θ4가 4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합부(WL1) 중, 다리 개더부(20)의 종 방향에 따른 실고무(23) 및 벨트부(30)의 횡 방향에 따른 실고무(33)가 교차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θ3이 거의 수직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것은 종으로 끌어당기는 힘을 갖는 실고무(23) 및 횡으로 끌어당기는 힘을 갖는 실고무(33)의 작용으로부터 유도된다.
또한, 도 7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에 있어서, 제1 접합부(WL1)에 의해 접합된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에는 실고무(23, 33)가 제공되지 않지만, 다리 개더부(20)의 실고무(23)가 벨트부(30)의 실고무(33)에 비해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에 더 까깝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제1 접합부(WL1)는 실고무(23)의 끌어당기는 힘의 영향을 받지 않고, θ4가 θ3보다 커진다.
이에 따라, 벨트부(30)의 실고무(33) 뿐 아니라, 다리 개더부(20)의 실고무(23)도 적절하게 제공함으로써, 제1 접합부(WL1) 및 인접하는 시트 부재(40)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 θ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컴팩트한 제1 접합부(WL1)에 의해 내의 같은 인상을 느끼면서, 기저귀(1)의 착용자는 제1 접합부(WL1)의 경사의 차이로 인해 제1 접합부(WL1)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접합부의 박리와 같은 불안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다리 개더부(20) 및 벨트부(30) 사이의 경계가 용이하게 인식되어, 기저귀의 착용시에 기저귀(1)를 들어올리는 지지 부분으로서 경계부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기에서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변경 및 개량이 이루어질 있으며, 본 발명에는 이의 등가물도 포함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컨대, 이하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용착 영역(WU)을 각각 삼각형으로 형성하였지만,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용착 영역(WU)은 각각 원 및 사각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접합부의 선단(WLp1) 및 제2 접합부의 선단(WLp2)과 평행한 복수의 막대형 용착 용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앞측에 제1 접합부(WL1)를 형성하고, 뒤측에 제2 접합부(WL2)를 형성하였지만, 반드시 뒤측에 제2 접합부(WL2)를 형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종종 눈에 띄는 앞측에 적어도 제1 접합부(WL1)를 제공함으로써, 착용자에게 내의처럼 보이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또한, 뒤측에 제2 접합부(WL2)를 제공함으로써, 착용자에게 앞측 뿐 아니라 뒤측에도 내의처럼 보이는 인상을 줄 수 있다.
1: 기저귀(흡수성 물품, 1회용 기저귀), 10: 흡수성 본체, 10A: 흡수성 본체 연속 시트, 10ef: 길이 방향 앞측 단부, 10er: 길이 방향 뒤측 단부, 11: 흡수체, 13: 탑 시트, 15: 백 시트, 15f: 방누 시트, 15n: 외장 시트, 20: 다리 개더부, 20A: 다리 개더 연속 시트, 20eo: 횡 방향 외측 단부, 21: 제1 시트, 22: 제2 시트, 23: 다리 개더 탄성 부재(실고무), 25: 다리 개더 절단부, 30: 벨트부, 30es: 벨트부 횡단부, 30A: 벨트 연속 시트, 30ei: 횡 방향 내측 단부, 30eo: 횡 방향 외측 단부, 31: 제1 시트, 32: 제2 시트, 33: 벨트 탄성 부재(실고무), 33a: 제1 탄성 부재, 33b: 제2 탄성 부재, 35: 벨트 절단부, 40: 시트 부재, 40A: 사이드 연속 시트, 41: 제1 시트, 42: 제2 시트, 43: 탄성 시트, HB: 허리 개구부, HL: 다리 개구부, CL: 중앙 위치, FL: 접음선, FLB: 접음부, FLb1: 제1 벨트 단부 접음선, FLb2: 제2 벨트 단부 접음선, Lwu: 간격, L33: 간격, LA1: 제1 중첩 영역, WL1: 제1 접합부, WL2: 제2 접합부, WLp1: 제1 접합부의 선단, WLb1: 제1 접합부의 기단, WLp2: 제2 접합부의 선단, WLb2: 제2 접합부의 기단, WU: 용착 영역

Claims (10)

  1. 종 방향, 횡 방향 및 전후 방향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종 방향에 따른 흡수성 본체; 및
    상기 횡 방향에 따른 벨트부 및 상기 종 방향에 따른 한쌍의 다리 개더부를 포함하는 시트 부재
    를 포함하고,
    허리 개구부 및 한쌍의 다리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중첩 영역 및 제2 중첩 영역이 각각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 및 타방측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1 중첩 영역 및 상기 제2 중첩 영역은 각각 상기 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리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다리 개구부 각각을 향해 상기 횡 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 및 각각의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제1 중첩 영역 및 상기 제2 중첩 영역 각각에서 중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첩 영역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 및 각각의 상기 시트 부재가 제1 접합부 각각에서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제2 중첩 영역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흡수성 본체 및 각각의 상기 시트 부재가 제2 접합부 각각에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접합부 각각의 선단은 상기 제1 중첩 영역 각각의 선단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부 각각의 선단은, 상기 제2 중첩 영역 각각의 선단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 및 상기 시트 부재는 각각 복수의 용착 영역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각각에 있어서의 복수의 상기 용착 영역이 상기 제1 중첩 영역 각각의 선단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용착 영역의 열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제2 접합부 각각에 있어서의 복수의 상기 용착 영역이 상기 제2 중첩 영역 각각의 선단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용착 영역의 열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열은 각각 2 이상 제공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각각 제1 탄성 부재 및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단부는 상기 용착 영역과 중첩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단부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용착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실고무이고,
    상기 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및 상기 제2 접합부 각각에 있어서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용착 영역 사이의 간격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실고무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각각의 상기 허리 개구부측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의 각각의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거리가, 상기 허리 개구부측에 가까워지면서 더 짧아지고,
    상기 제2 접합부 각각의 상기 허리 개구부측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부의 각각의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거리가, 상기 허리 개구부측에 가까워지면서 더 짧아지는 흡수성 물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의 하단 및 상기 제2 접합부의 하단은 상기 다리 개구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흡수성 물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의 상단부는 상기 시트 부재를 접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리 개더부 각각은 상기 종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탄성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가 상기 횡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합부 각각은, 상기 시트 부재 각각이 상기 흡수성 본체보다 상기 타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187002141A 2015-06-29 2016-02-24 흡수성 물품 KR201800218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29850 2015-06-29
JP2015129850A JP6558979B2 (ja) 2015-06-29 2015-06-29 吸収性物品
PCT/JP2016/055425 WO2017002392A1 (ja) 2015-06-29 2016-02-24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819A true KR20180021819A (ko) 2018-03-05

Family

ID=57608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141A KR20180021819A (ko) 2015-06-29 2016-02-24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58979B2 (ko)
KR (1) KR20180021819A (ko)
CN (1) CN107735063B (ko)
TW (1) TWI703968B (ko)
WO (1) WO20170023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95674B1 (en) * 2021-06-07 2023-07-05 Unicharm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CN115670799A (zh) * 2021-07-30 2023-02-03 尤妮佳股份有限公司 短裤型吸收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17Y2 (ja) * 1990-02-17 1994-02-23 邦男 鎌田 排泄処理用品
US5204997A (en) * 1990-05-24 1993-04-27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garments of pants type
JP3033833B2 (ja) * 1990-05-24 2000-04-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着用物品
JPH0910261A (ja) * 1995-06-29 1997-01-14 Zuiko:Kk 使い捨て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IT1308186B1 (it) * 1999-02-12 2001-12-07 Davide Viola Pannolino usa-e-getta del tipo a mutandina ed apparechiatura emetodo per la sua fabbricazione.
JP4044452B2 (ja) * 2003-02-06 2008-02-06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ベルト型おむつ
JP5869869B2 (ja) * 2011-12-20 2016-0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35907B2 (ja) * 2014-01-07 2017-11-22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基板貼合装置、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35063B (zh) 2020-10-23
JP2017012281A (ja) 2017-01-19
TWI703968B (zh) 2020-09-11
WO2017002392A1 (ja) 2017-01-05
CN107735063A (zh) 2018-02-23
TW201705925A (zh) 2017-02-16
JP6558979B2 (ja)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7829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TWI584794B (zh) Pants type absorbent articles
JP5225637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体液吸収性着用物品
KR20130094327A (ko) 흡수성 제품 및 흡수성 제품 제조 방법
CN107847369B (zh) 一次性尿布
JP6297438B2 (ja) 使い捨て着用品
US8728050B2 (en) Absorbent article provided with a barrier sheet
KR102538035B1 (ko)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KR20180021819A (ko) 흡수성 물품
KR20180022839A (ko) 흡수성 물품
KR101844207B1 (ko) 흡수성 물품
KR101844208B1 (ko) 흡수성 물품
WO2016104012A1 (ja) 使い捨ておむつ
JP6351544B2 (ja) 吸収性物品
JP6573589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EP3482730B1 (e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ull-up absorbent article
JP6427482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70099943A (ko) 일회용 기저귀
WO2017098750A1 (ja) パンツ型の吸収性物品、及びパンツ型の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