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296A - 전기압력밥솥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296A
KR20180021296A KR1020160105012A KR20160105012A KR20180021296A KR 20180021296 A KR20180021296 A KR 20180021296A KR 1020160105012 A KR1020160105012 A KR 1020160105012A KR 20160105012 A KR20160105012 A KR 20160105012A KR 20180021296 A KR20180021296 A KR 20180021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inner pot
base
electric pressure
pressur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황정호
최귀진
권오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60105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1296A/ko
Publication of KR20180021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열을 위한 코일이 설치된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베이스에 수용된 내솥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하면 중앙부에 구비되는 하부코일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코일은 외측코일과 상기 외측코일의 내측에 배치된 내측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코일은 상기 외측코일과 상기 내측코일 중 하나가 개별적으로 통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외측코일과 내측코일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내솥의 하면 중앙부를 가열하거나 외측코일과 내측코일 모두에 의해 내솥의 하면 중앙부를 가열할 수 있는 것에 따라 취사 시 내솥 내부의 대류 방향을 선택적으로 달리할 수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Electric pressure cooker}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코일을 이루는 외측코일과 내측코일 중 어느 하나가 개별적으로 통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외측코일과 내측코일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내솥의 하면 중앙부를 가열하거나 외측코일과 내측코일 모두에 의해 내솥의 하면 중앙부를 가열할 수 있는 것에 따라 취사 시 내솥 내부의 대류 방향을 선택적으로 달리할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밥솥은 전기를 가열원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조리를 수행하는 전기기구로써, 조리물(예를 들면, 대표적으로 쌀 등)이 수용되는 내솥과, 상기 내솥이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장착되어 상기 내솥을 밀폐하는 내솥커버와, 상기 내솥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가열장치 등을 구비하여 쌀과 같은 조리물을 밥과 같이 취식 가능한 형태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일정온도로 보온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압력밥솥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1911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합니다.)에 게재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은,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폐시키기 위한 커버로 크게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내솥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내솥의 외주면에는 내솥을 유도가열시키기 위한 워킹코일이 설치되는 밥솥으로, 상기 내솥과 상기 워킹코일 사이에 내재되어 상기 워킹코일을 지지하는 코일베이스와, 상기 본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내솥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솥의 열을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억제하는 제어부베이스가 일체로 구성되는 발포사출물 재질의 단열부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하지만, '특허문헌 1'에서의 전기압력밥솥은 워킹코일에 의해 내솥이 가열될 때, 워킹코일이 내솥의 측면 하부 측에 집중되어 내솥 내부의 대류 방향이 내솥의 측면 하부와 측면 상부와 중앙 상부와 중앙 하부 순으로 일정하게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의 전기압력밥솥은 일반적인 가정에서 가스레인지를 이용하여 일반밥솥으로 취사하는 것과 동일한 대류 원리만을 구현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4-0081911 A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부코일을 이루는 외측코일과 내측코일 중 어느 하나가 개별적으로 통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외측코일과 내측코일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내솥의 하면 중앙부를 가열하거나 외측코일과 내측코일 모두에 의해 내솥의 하면 중앙부를 가열할 수 있는 것에 따라 취사 시 내솥 내부의 대류 방향을 선택적으로 달리할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압력밥솥은, 가열을 위한 코일이 설치된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베이스에 수용된 내솥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하면 중앙부에 구비되는 하부코일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코일은 외측코일과 상기 외측코일의 내측에 배치된 내측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코일은 상기 외측코일과 상기 내측코일 중 하나가 개별적으로 통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은 상기 베이스의 측면 하부 둘레에 구비되는 측부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코일과 상기 내측코일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측부코일에 의해 상기 내솥이 가열되는 제1모드 시, 상기 내솥의 하면 중앙부의 온도는 상기 내솥의 측면 하부의 온도보다 낮도록 제어되고, 상기 외측코일과 상기 내측코일과 상기 측부코일에 의해 상기 내솥이 가열되는 제2모드 시, 상기 내솥의 하면 중앙부의 온도는 상기 내솥의 측면 하부의 온도보다 높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모드 시, 상기 내솥 내부에서는 상기 내솥의 측면 하부와 측면 상부와 중앙 상부와 중앙 하부 순으로 대류가 발생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2모드 시, 상기 내솥 내부에서는 상기 내솥의 중앙 하부와 중앙 상부와 측면 상부와 측면 하부 순으로 대류가 발생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상부 둘레에는 링형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링형케이스의 외주면에는 면상발열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외측코일과 내측코일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내솥의 하면 중앙부를 가열하거나 외측코일과 내측코일 모두에 의해 내솥의 하면 중앙부를 가열할 수 있는 것에 따라 취사 시 내솥 내부의 대류 방향을 선택적으로 달리할 수 있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화덕을 이용하여 가마솥으로 취사하는 것과 동일한 대류 원리의 가마솥모드 또는 일반적인 가정에서 가스레인지를 이용하여 일반밥솥으로 취사하는 것과 동일한 대류 원리의 일반밥모드를 기호에 맞게 선택하여 취사를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베이스와 이에 수용된 내솥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제1모드를 통한 취사 시 내솥 내부의 대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제2모드를 통한 취사 시 내솥 내부의 대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베이스와 이에 수용된 내솥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제1모드를 통한 취사 시 내솥 내부의 대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제2모드를 통한 취사 시 내솥 내부의 대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외관을 이루며, 상면이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미도시)와,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공간부의 개방된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 뚜껑(미도시)과, 상기 본체의 공간부 내에 설치되고 상면이 개방된 용기의 형태를 가지며 내솥(100)을 가열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베이스(200)와, 베이스(200) 내에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는 내솥(100)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각종 조작버튼(미도시) 등이 마련된 컨트롤 패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가열을 위한 코일(300)이 설치되고, 코일(300)은,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베이스(200)에 수용된 내솥(100)을 가열하기 위해 베이스(200)의 하면 중앙부에 구비되는 하부코일(310)을 포함하되, 하부코일(310)은 외측코일(311)과 외측코일(311)의 내측에 배치된 내측코일(312)로 이루어지고, 하부코일(310)은 외측코일(311)과 내측코일(312) 중 어느 하나가 개별적으로 통전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베이스(200)는 본체(미도시)의 내부에 설치된다. 베이스(200)는 후술할 코일(300)에 의해 유도가열된 내솥(100)의 열량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열성이 좋은 수지 사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200)의 내부에는 내솥(100)이 수용되어 진다. 베이스(200)의 상부 내측 둘레에는 내솥(100)의 측면 상부를 가열하기 위한 면상발열체(미도시)를 고정시켜 주는 링형케이스(210)가 설치된다. 링형케이스(210)의 외주면에는 면상발열체(미도시)가 구비된다. 면상발열체(미도시)는 링형케이스(210)의 외주면 전둘레를 따라 고정된다. 베이스(200)의 하면에는 베이스(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하부리브(220)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베이스(200)의 측면에는 베이스(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측부리브(230)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하부리브(220)는 베이스(200)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측부리브(230)는 베이스(200)의 측면에서 베이스(20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각의 하부리브(220)의 내측 단부에는 원형 링 형상의 벽부(240)가 일체로 형성된다. 벽부(240)는 베이스(200)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하부리브(220)는 벽부(24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길게 형성된다. 벽부(240)는 하부리브(220)에 비해 베이스(200)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베이스(200)의 측면 상부 둘레에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걸림부(25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걸림부(250)는 베이스(200)의 측면 상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세 개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250)는 후술할 코일브라켓(400)의 상단이 걸리는 부분으로써 후술할 측부코일(320)의 상단보다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00)에는 코일(300)이 설치된다. 코일(300)은 베이스(200)에 수용된 내솥(100)을 유도가열(Induction heating,IH)하기 위해 베이스(200)의 외면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코일(300)은 전류가 공급되면 전자기 유도에 의해 베이스(200) 내부에 수용된 내솥(100)이 가열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코일(300)에 공급되는 전류는 고주파전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코일(300)은 하부코일(310)과 측부코일(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부코일(310)은 베이스(200)에 수용된 내솥(100)의 특히 하면을 가열하기 위해 베이스(200)의 하면 중앙부에 구비되도록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코일(310)은 베이스(20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각각의 하부리브(220)의 하단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하부코일(310)은 전체적으로 도넛형상을 가진다. 하부코일(310)은 코일선이 제1코일감김수만큼 감겨 형성된다. 하부코일(310)의 제1코일감김수는 하부코일(310)을 형성하기 위해 코일선이 감긴 바퀴수이며, 이러한 하부코일(310)의 제1코일감김수는 25바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코일(310)의 내주면, 즉, 하부코일(310)의 내측 둘레면은 베이스(200)의 하면 중앙부에 형성된 벽부(240)의 외주면에 마주하게 배치된다. 즉, 하부코일(310)은 코일선이 벽부(240)의 외주면에서부터 외측으로 25바퀴 감겨져서 형성되어 있고, 벽부(240)의 내주면 내측으로는 하부코일(310)이 설치되지 않는다. 하부코일(310)은 외측코일(311)과 내측코일(312)로 이루어진다.
외측코일(311)은 하부코일(310)의 가장 외측에서부터 내측으로 13바퀴 감겨 있는 코일선이다. 외측코일(311)은 수평거리를 기준으로 베이스(200)의 하면 중심보다 베이스(200)의 하면 외측 둘레 단부에 더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외측코일(311)은 후술할 측부코일(320)과 서로 연결되어 측부코일(320)과 동일한 라인을 통해 전류가 공급되어 진다.
내측코일(312)은 하부코일(310)의 가장 내측에서부터 외측으로 12바퀴 감겨 있는 코일선으로써 외측코일(311)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측코일(311)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내측코일(312)의 외경은 외측코일(311)의 내경과 동일하고, 내측코일(312)의 외주면은 외측코일(311)의 내주면과 서로 접해 있다. 내측코일(312)은 수평거리를 기준으로 베이스(200)의 하면 외측 둘레 단부보다 베이스(200)의 하면 중심에 더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내측코일(312)은 외측코일(311) 및 후술할 측부코일(320)과 연결되어 있지 않고, 외측코일(311) 및 후술할 측부코일(320)과는 다른 별도의 라인을 통해 전류가 공급되어 진다.
외측코일(311)과 내측코일(312) 중 어느 하나는 개별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내측코일(312)이 개별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취사 모드에 따라 내측코일(312)에 전류가 공급되거나 전류가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내측코일(312)이 개별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구성된다는 것은 외측코일(311) 및 후술할 측부코일(320)과 별도의 라인을 통해 내측코일(312)에 전류가 선택적으로 공급된다는 것이다.
측부코일(320)은 베이스(200)에 수용된 내솥(100)의 특히 측면 하부를 가열하기 위해 베이스(200)의 측면 하부 둘레에 구비되도록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부코일(320)은 베이스(200)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각각의 측부리브(230) 외측 단부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측부코일(320)은 전체적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도넛형상을 가진다. 측부코일(320)과 하부코일(310)의 외측코일(311)은 서로 연결되어 취사 등의 작동 시 동일한 라인을 통해 동시에 전류가 공급되어 진다. 측부코일(320)은 코일선이 하부코일(310)의 제1코일감김수보다 적은 제2코일감김수만큼 감겨 형성된다. 측부코일(320)의 제2코일감김수는 측부코일(320)을 형성하기 위해 코일선이 감긴 바퀴수이며, 이러한 측부코일(320)의 제2코일감김수는 15바퀴인 것이 바람직하다. 측부코일(320)의 제2코일감김수가 하부코일(310)의 제1코일감김수보다 적도록 한 이유는 후술할 제2모드에 의해 취사가 시작되어 하부코일(310)의 외측코일(311)과 내측코일(312)과 측부코일(320)에 의해 내솥(100)이 가열될 때, 내솥(100)의 하면 중앙부의 온도를 내솥(100)의 측면 하부의 온도보다 높게 하기 위함이다. 즉, 후술할 제2모드에 의한 취사 시 하부코일(310)의 외측코일(311)과 내측코일(312) 및 측부코일(320)을 포함하는 코일(300)에 의한 내솥(100)의 가열을 보다 내솥(100)의 하면 중앙부 측에 집중하기 위한 것이다. 측부코일(320)은 외측코일(311)에 비해 코일선이 많이 감겨 있고, 내측코일(312)에 비해서도 코일선이 많이 감겨 있으며, 외측코일(311)과 내측코일(312)에 감겨진 코일선의 합, 즉, 하부코일(310)에 비해서는 코일선이 적게 감겨 있다.
하부코일(310)과 측부코일(320)은 방사상으로 형성된 코일브라켓(400)에 의해 베이스(200)의 하면 및 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코일브라켓(400)은 베이스(200)에 형성된 걸림부(250)의 개수와 동일하게 세 개가 형성된다. 각각의 코일브라켓(400)은 하부코일(310)의 하부 및 측부코일(320)의 외측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일단이 벽부(240)에 걸리고, 타단이 각각의 코일브라켓(400)에 대응하는 각각의 걸림부(250)에 걸린 채 일측이 베이스(200)에 볼팅으로 고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모드에 따른 내솥(100)의 가열 상태 및 내솥(100)의 가열 상태에 따른 내솥(100) 내부의 대류에 대해 설명한다.
외측코일(311)과 내측코일(312) 중 어느 하나와 측부코일(320), 즉, 본 발명에서는 외측코일(311)과 측부코일(320)에 동일한 라인을 통해 동시에 전류가 공급되어 외측코일(311)과 측부코일(320)에 의해 내솥(100)이 가열되는 제1모드 시, 코일선의 감긴 바퀴수가 많은 측부코일(320)에 의한 발열량이 외측코일(311)에 의한 발열량보다 크므로 내솥(100)의 측면 하부 측에 가열이 집중되어 내솥(100)의 하면 중앙부의 온도가 내솥(100)의 측면 하부의 온도보다 낮도록 제어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100)의 측면 하부에서는 강한 상승류가 크게 형성되고, 이러한 상승류에 의해 내솥(100) 내부에서는 내솥(100)의 측면 하부와 측면 상부와 중앙 상부와 중앙 하부 순으로 대류가 발생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모드에서 발생하는 내솥(100) 내부에서의 대류는 일반적인 가정에서 가스레인지를 이용하여 일반밥솥으로 취사하는 것과 동일한 대류 원리이다. 따라서 제1모드는 일반밥모드로 이용될 수 있고, 제1모드로 취사가 실시될 경우 내솥(100)의 하면 중앙부가 내솥(100)의 측면 하부에 비해 덜 가열되도록 내측코일(312)에는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
외측코일(311)과 측부코일(320)에 동일한 라인을 통해 전류가 공급되고, 내측코일(312)에 외측코일(311)과 측부코일(320)과는 별도의 라인을 통해 전류가 공급되어 외측코일(311)과 내측코일(312)과 측부코일(320)에 의해 내솥(100)이 가열되는 제2모드 시, 코일선의 감긴 바퀴수가 많은 하부코일(310)에 의한 발열량이 측부코일(320)에 의한 발열량보다 크므로 내솥(100)의 하면 중앙부 측에 가열이 집중되어 내솥(100)의 하면 중앙부의 온도가 내솥(100)의 측면 하부의 온도보다 높도록 제어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100)의 하면 중앙부에서는 강한 상승류가 크게 형성되고, 이러한 상승류에 의해 내솥(100) 내부에서는 내솥(100)의 중앙 하부와 중앙 상부와 측면 상부와 측면 하부 순으로 대류가 발생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모드에서 발생하는 내솥(100) 내부에서의 대류는 화덕을 이용하여 가마솥으로 취사하는 것과 동일한 대류 원리이다. 따라서 제2모드는 가마솥모드로 이용될 수 있고, 제2모드에서 외측코일(311)과 측부코일(320)과 내측코일(312)에 공급되는 전류는 동시에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밥모드인 제1모드와 가마솥모드인 제2모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내솥 200 : 베이스
210 : 링형케이스 220 : 하부리브
230 : 측부리브 240 : 벽부
250 : 걸림부 300 : 코일
310 : 하부코일 311 : 외측코일
312 : 내측코일 320 : 측부코일
400 : 코일브라켓

Claims (5)

  1. 가열을 위한 코일이 설치된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베이스에 수용된 내솥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하면 중앙부에 구비되는 하부코일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코일은 외측코일과 상기 외측코일의 내측에 배치된 내측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코일은 상기 외측코일과 상기 내측코일 중 어느 하나가 개별적으로 통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베이스의 측면 하부 둘레에 구비되는 측부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코일과 상기 내측코일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측부코일에 의해 상기 내솥이 가열되는 제1모드 시,
    상기 내솥의 하면 중앙부의 온도는 상기 내솥의 측면 하부의 온도보다 낮도록 제어되고,
    상기 외측코일과 상기 내측코일과 상기 측부코일에 의해 상기 내솥이 가열되는 제2모드 시,
    상기 내솥의 하면 중앙부의 온도는 상기 내솥의 측면 하부의 온도보다 높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 시,
    상기 내솥 내부에서는 상기 내솥의 측면 하부와 측면 상부와 중앙 상부와 중앙 하부 순으로 대류가 발생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2모드 시,
    상기 내솥 내부에서는 상기 내솥의 중앙 하부와 중앙 상부와 측면 상부와 측면 하부 순으로 대류가 발생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 둘레에는 링형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링형케이스의 외주면에는 면상발열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KR1020160105012A 2016-08-18 2016-08-18 전기압력밥솥 KR20180021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012A KR20180021296A (ko) 2016-08-18 2016-08-18 전기압력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012A KR20180021296A (ko) 2016-08-18 2016-08-18 전기압력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296A true KR20180021296A (ko) 2018-03-02

Family

ID=6172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012A KR20180021296A (ko) 2016-08-18 2016-08-18 전기압력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12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781A (ko) * 2020-11-30 2022-06-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교반 활성화부를 구비하는 다단식 취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781A (ko) * 2020-11-30 2022-06-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교반 활성화부를 구비하는 다단식 취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7401B1 (en) Cooking apparatus and heating device including working coils thereof
EP2312910A1 (en) Heating device usable with cooking applian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oking appliance
JP6921232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326007B1 (ko) 전기조리기
KR20180021296A (ko) 전기압력밥솥
KR101822512B1 (ko) 전기압력밥솥
KR101822511B1 (ko) 전기압력밥솥
JP5254273B2 (ja) 加熱調理器
KR20160025171A (ko) 인덕션 렌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CN108135381B (zh) 烧饭机
JP2007075506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用容器
JP4910441B2 (ja) 電気炊飯器
JP2013192661A (ja) 蒸し器および蒸し器を備えた電気炊飯器
US11219101B2 (en) Induction cooking appliance having multiple heating coils
JP2017174531A (ja) 誘導加熱調理器
CN220192735U (zh) 煲体及烹饪器具
US10088169B2 (en) Cooktop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on
JP2009178362A (ja) 調理器具
KR102405053B1 (ko) 전기압력밥솥
JP5359065B2 (ja) 電気炊飯器
KR102357033B1 (ko)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JP7336642B2 (ja) 加熱調理器
JP7246261B2 (ja) 調理器
JP4162558B2 (ja) 加熱調理器
CN219962593U (zh) 煲体和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