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033B1 -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033B1
KR102357033B1 KR1020150175025A KR20150175025A KR102357033B1 KR 102357033 B1 KR102357033 B1 KR 102357033B1 KR 1020150175025 A KR1020150175025 A KR 1020150175025A KR 20150175025 A KR20150175025 A KR 20150175025A KR 102357033 B1 KR102357033 B1 KR 102357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working coil
unit
disposed
heating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8154A (ko
Inventor
황보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to KR1020150175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033B1/ko
Publication of KR20170068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18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arrangements using lights for heating zone state ind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워킹 코일을 포함하여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워킹 코일로부터 분리되게 배치되되 적어도 1회 이상 권선되는 도선과, 상기 도선에 연결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선의 전기에너지는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유도되어, 워킹 코일에 유도가열 출력이 발생할 경우에만 작동되므로 표시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전원이나 가열부에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서 구조가 단순해지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Heater assembly for 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워킹 코일을 포함하여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워킹 코일로부터 분리되게 배치되되 적어도 1회 이상 권선되는 도선과, 상기 도선에 연결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선의 전기에너지는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열 조리기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측에 안착되어 조리물이 담기는 조리용기와, 조리용기에 담긴 조리물이 조리되도록 조리용기의 하부 또는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는 취사히터(또는 유도 코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내부에 담긴 조리물을 담아 조리물을 일정 수준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조리하는 가전제품으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본체 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장으로 인해, 자성체로 구성된 조리용기에 와전류가 발생되도록 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의 유도가열 조리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유도 가열 조리기기 중에서 일 실시예로, 전기압력밥솥(또는 전기압력보온밥솥)은 취사 알고리즘 상의 지정된 제어온도로 취사공정이 진행되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으며, 밥솥에 위치한 센서온도 값을 마이컴에서 판독하여 취사 알고리즘의 각 공정을 제어하여 취사가 진행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전기압력밥솥은 취사 중 일정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압력유지 밸브(예를 들면, 압력추 밸브)와 취사 후에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배출 밸브(예를 들면, Solenoid 밸브)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압력밥솥의 특성상 짧은 시간 내 밥을 짓기 위해서는 많은 열량을 필요로 하므로 고출력(IH열원의 열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수반되는 고전압, 고전류, 고열, 고기압의 압력 등의 위험요소를 수반하게 된다. 이러한 위험요소로부터 고객의 안전확보 차원에서 전기압력밥솥은 10여 가지 이상의 안전장치(기구 및 전기적 안전장치 포함)를 내장하고 출시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밥솥시장의 추세이다.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안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안전 장치(1)는 외부전원(상용교류전원)을 인가받아 공급하는 전원부(11)와, 외부전원을 직류전압으로 정류 및 평활하는 정류부(12)와, 외부 전원의 전원부(11)로의 인가를 차단하는 퓨즈(13)와, 워킹코일(21)을 포함하여 스위칭소자(30)에 의한 직류전압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생성된 공진전압을 공급받아 가열을 수행하는 공진부(20)와, 스위칭소자(30)의 스위칭 동작(온/오프)을 제어하는 구동펄스를 생성하여 인가하는 IGBT 구동부 및 발진부(14)와, IGBT 구동부 및 발진부(14)로부터의 구동펄스에 따라 온/오프하여 직류전압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소자(30)와, IGBT 구동부 및 발진부(14)로 유도가열명령을 전송하여, 유도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MICOM부(40)로 이루어진다.
전원부(11)는 상용교류전원을 외부로부터 인가받아 정류부(12)에 인가한다. 또한, 정류부(12)는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압으로 정류 및 평활하는 소자로서, 다이오드 브리지 형태의 정류회로와, 캐패시터 등으로 구성된 평활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퓨즈(13)는 예를 들면, 내솥 부근에 부착되어, 평상시에는 외부 전원이 전원부(11)에 인가되도록 하나, 이상과열이 야기된 경우, 내부의 회로가 단락되어, 외부 전원 전체가 전기압력밥솥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IGBT 구동부 및 발진부(14)는 MICOM부(40)로부터의 유도가열명령에 따라 기저장된 형태(즉, 기저장된 듀티비를 지닌 파형)의 구동펄스를 스위칭소자(30)에 인가한다. 또한, IGBT 구동부 및 발진부(14)는 취사 공정에 따라 구동펄스의 듀티비를 유지하거나 가변하고, 이에 따른 구동펄스를 스위칭소자(30)에 인가한다.
스위칭 소자(30)는 게이트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는 신호(예를 들면, 구동펄스 등)에 의해 온/오프되는 IGBT 소자가 사용되며, 게이트 단자에 유입되는 구동펄스의 안정화를 위하여 게이트 단자와 이미터 단자 사이에 bias안정화를 위한 저항(R)이 장착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전기 압력 조리기는 취반 진행시 LCD 및 FND 등의 표시장치로 현재의 상태를 표시하지만 실질적인 IH출력 발생 여부를 직접적으로 감지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감지하여 표시한다. 이로 인해, 표시의 정확도가 떨어지거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20-045118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워킹 코일에 유도가열 출력이 발생할 경우에만 작동되므로 표시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전원이나 가열부에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서 구조가 단순해지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는, 워킹 코일을 포함하여 내솥을 유도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워킹 코일로부터 분리되게 배치되되 적어도 1회 이상 권선되는 도선과, 상기 도선에 연결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선의 전기에너지는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선은 상기 워킹 코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선은 상기 워킹 코일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발광부와, 상기 도선의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발광부를 구동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경해주는 정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본체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LED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전기에너지에 따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본체의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워킹 코일을 포함하여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워킹 코일로부터 분리되게 배치되되 적어도 1회 이상 권선되는 도선과, 상기 도선에 연결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선의 전기에너지는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유도되어, 워킹 코일에 유도가열 출력이 발생할 경우에만 작동되므로 표시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전원이나 가열부에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서 구조가 단순해진다. 즉, 표시장치가 워킹 코일의 작동에 의해서 작동되어 워킹 코일의 작동을 직접적으로 감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도선은 상기 워킹 코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선은 상기 워킹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선의 전기에너지가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발광부와, 상기 도선의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발광부를 구동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경해주는 정류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유관으로 쉽고 빠르게 가열 조리기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본체 하부에 배치되어, 키가 작은 영유아도 쉽게 가열 조리기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LED로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가 소비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상기 발광부가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전기에너지에 따라 다르게 표시하여, 전기 가열 조리기의 상태를 더욱 세분화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본체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어느 방향에서도 전기 가열 조리기의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안전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조리기의 수평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조리기의 수직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조리기의 부분 분리 사시도.(내솥 수용부 및 가열부 생략)
도 5는 도 4의 저면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다리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스커트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발광부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가 전기 압력 밥솥과 같은 전기 가열 압력조리기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는, 워킹 코일(210)을 포함하여 내솥을 유도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워킹 코일(210)로부터 분리되게 배치되되 적어도 1회 이상 권선되는 도선(400)과, 상기 도선(400)에 연결되는 표시부(410)를 포함하며, 상기 도선(400)의 전기에너지는 상기 워킹 코일(210)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 가열 조리기는 본체(300)와, 상기 본체(300) 내부에 배치되어 내솥(미도시)을 수용하는 내솥 수용부(100)와, 내솥을 개폐하는 뚜껑(미도시)을 포함한다.
본체(300)는 상부본체(310)와, 측부본체(320)와, 바닥본체(330)를 포함한다.
측부본체(320)와, 바닥본체(330)는 일체로 형성된다.
본체(300)의 전방 및 양측은 외측형상이 우리나라의 전통 솥단지와 같이 굴곡지게(반구의 일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주로 보이는 부분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외관이 더욱 미려해진다.
이하에서, 전방은 전기 가열 조리기(밥솥)의 뚜껑 힌지의 반대쪽을 의미하고, 후방은 뚜껑 힌지쪽을 의미하며 의미하고, 상부는 뚜껑쪽을 의미하며, 하부는 바닥본체(330)쪽을 의미한다.
상기 가열부는 워킹 코일(210)을 포함하여 내솥을 유도가열한다.
워킹 코일(210)은 내솥 수용부(100)의 외측에 설치된다.
내솥 수용부(100)는 측벽과, 바닥을 포함한다.
워킹 코일(210)은 내솥 수용부(100)의 측벽에 감겨지는 제1워킹 코일과 내솥 수용부(100)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2워킹 코일을 포함한다.
내솥 수용부(100)는 본체(300)에 의해 상부 및 하부 및 측부가 둘러싸인다.
내솥 수용부(100)의 상부는 상부본체(310)에 의해 둘러싸이며, 내솥 수용부(100)의 측부는 측부본체(320)에 의해 둘러싸이며, 내솥 수용부(100)의 하부는 바닥본체(330)에 의해 둘러싸인다.
내솥 수용부(100)의 외주면과 본체(300)의 내주면은 이격되게 배치된다.
워킹 코일(210)과 본체(300)의 내주면도 이격된다.
도선(400)은 워킹 코일(210)로부터 분리되게 배치되되 적어도 1회 이상 권선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선(400)은 2회 권선된다.
도선(400)은 워킹 코일(210)의 제1워킹 코일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선(400)은 제1워킹 코일의 외측에 배치된다. 즉, 도선(400)은 워킹 코일(210)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도선(400)은 배치되어 도선(400)의 전기에너지가 워킹 코일(210)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도선(400)은 본체(300)의 측부본체(320)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표시부(410)는 도선(400)의 양단에 연결된다.
표시부(410)는 발광부(430)와, 도선(400)의 전기적인 신호를 발광부(430)를 구동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경해주는 정류부(411)를 포함한다.
이와 다르게, 표시부(410)는 전기 가열 조리기에 연결된 전원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부(410)는 IH출력에 동기화되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부(410)로 인해 사용자가 유관으로 쉽고 빠르게 가열 조리기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410)는 상기 워킹 코일(210)에 의해 유도되는 전기에너지에 따라 다르게 표시하여, 전기 가열 조리기의 상태를 더욱 세분화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발광부(430)는 본체(300) 외측에 설치된다.
표시부(410)의 발광부(430)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본체(300) 하부에 배치되어, 키가 작은 영유아도 쉽게 발광부(430)를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영유아도 가열 조리기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배선구조도 단순해지고, 발광부(430)로 인해 본체(300)의 측벽쪽에 이음새가 발생하지 않아서 이음새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300) 측벽의 세척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발광부(430)는 상기 측부본체(320)와 상기 바닥본체(330)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형상을 단순화하는 동시에 발광부(430)가 사용자의 눈에 쉽게 띄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발광부(430)는 본체(300)의 하부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발광부(430)는 본체(300)의 전방 및 양측 하부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이로 인해, 어느 방향에서도 발광부(430)를 용이하게 볼 수 있다.
측부본체(320)와 바닥본체(330) 사이에는 발광부(430)가 안착되는 발광안착부(332)가 형성된다. 발광안착부(332)는 본체(300)의 전방 및 양측 하부 둘레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발광안착부(332)에는 전방 및 하부가 개방된 발광안착홈이 형성된다. 발광부(430)는 상기 발광안착홈에 안착되어, 발광안착부(332)의 외측에 설치된다. 발광안착부(332)의 양측 또는 일측 끝단에는 인출공(334)이 형성된다. 상기 인출공(334)은 상기 발광안착홈과 본체(300) 내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인출공(334)으로 인해 발광부(430)에 연결된 전선 등을 용이하게 정리하고 연결할 수 있다.
발광안착부(332)에는 본체(300) 내측과 외측에 연통되는 통기공이 형성된다.
또한, 바닥본체(330)의 하부에는 발광안착부(332)의 내측 둘레를 따라 지지돌출부(333)가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지지돌출부(333)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돌출부(333)의 외측벽에는 상하방향으로 통기공이 형성된다.
발광부(430)는 띠형상으로 형성된 발광기판(431)과, 발광기판(431)에 설치되는 발광소자(432)를 포함한다.
발광기판(431)은 수평하게 배치된다.
발광기판(431)은 본체(300)의 전방 및 양측 하부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발광소자(432)는 LED로 구비되어, 발광부(430)가 소비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발광부(430)가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발광소자(432)는 복수개 구비되어 발광기판(431)의 하부에 설치된다.
발광기판(431)에는 상하방향으로 제1체결공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공은 두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발광부(430)는 표시부 브라켓(420)에 의해 본체(300)에 설치된다.
표시부 브라켓(420)도 본체(300)의 전방 및 양측 하부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표시부 브라켓(420)은 발광부(430) 상부에 배치된다. 표시부 브라켓(420)은본체(300)와 발광부(430) 사이에 배치된다.
표시부 브라켓(420)은 마운팅부(422)와 제1외벽부(423)를 포함한다.
마운팅부(422)는 수평한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단에 제2체결부(421)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2체결부(421)로 인해 표시부 브라켓(420)은 본체(30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마운팅부(422)의 하부에는 발광기판(431)의 상기 제1체결공에 삽입되는 제1체결돌기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마운팅부(422)의 하부에는 표시부 걸림 후크(424)가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표시부 걸림 후크(424)는 외측단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복수개 형성된다. 표시부 걸림 후크(424)에 발광기판(431)의 내측이 걸려서 고정되게 된다.
제1외벽부(423)는 마운팅부(422)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외벽부(423)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측부본체(320)의 하단에 연속되도록 형성된다. 제1외벽부(423)는 굴곡지게 형성된다.
제1외벽부(423)는 마운팅부(422)의 상면보다 상부로 돌출되고, 하면보다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외벽부(423)의 하부는 발광기판(431)의 외측을 지지한다.
표시부(410)의 발광부(43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300) 하부에 설치되는 스커트부재(440)를 더 포함한다.
스커트부재(440)는 발광부(430)의 하부에 배치되어, 발광부(430)를 덮는 덮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커트부재(440)로 인해 발광부(430)가 손상되지 않고 발광부(430)가 침수되는 것이 방지되며 발광부(43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스커트부재(440)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표시부(410)의 불빛을 외부에서 효과적으로 볼 수 있다.
스커트부재(440)는 본체(300)의 전방 및 양측 하부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스커트부재(440)는 덮개부(441)와, 덮개부(441)의 외측둘레에 형성되는 스커트(442)를 포함한다.
덮개부(441)는 수평하게 배치되며, 내측 둘레를 따라 발광부(430)의 내측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따라서, 스커트부재(440) 상부에는 발광부(430)의 하부가 안착되는 발광부안착홈(443)이 형성된다.
또한, 덮개부(441)의 내측에는 표시부 브라켓(420)의 제2체결부(421)와 체결되는 제3체결부(445)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덮개부(441)의 내측에는 본체(300)에 체결되는 제4체결부(446)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스커트(442)는 표시부(410)의 발광부(430)의 외측 둘레에 배치된다.
스커트(442)의 상단은 덮개부(441)의 상면보다 상부로 돌출되고, 덮개부(441)의 하면보다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스커트(442)의 상부 외측에는 제1외벽부(423)가 안착되는 외벽안착홈이 형성된다.
스커트(442)의 외주면은 제1외벽부(423) 및 측부본체(320)의 하부에 연속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스커트(442)의 하단은 바닥본체(330)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처마 역할을 하게된다. 따라서, 측부본체(320)의 외주면의 이물질이 바닥본체(330)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서 세척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스커트(442)의 후방 끝단에는 본체(300)에 체결되는 제5체결부(444)가 형성될 수 있다.
스커트(442)의 하단은 본체(300)가 놓여지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스커트(442)의 하단 일부는 본체(300)가 놓여지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일부는 본체(300)가 놓여지는 바닥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뚜껑을 열때 본체(300)가 이러한 스커트(442)에 의해 지지되어 전기 가열 조리기가 심하게 덜컹거리는 것이 방지될 수도 있다.
나아가, 스커트부재(440) 하부에는 다리부재(340)가 배치된다.
다리부재(340)도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리부재(340)는 스커트(442) 내측에 배치된다.
다리부재(340)는 지지부(341)와, 지지부(341)의 둘레에 형성되는 측벽부(342)를 포함한다.
지지부(341)는 수평하게 배치되며, 스커트부재(440) 및 본체(30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부가 형성된다.
지지부(341)는 바닥본체(330)의 지지돌출부(333)의 하부에 배치된다.
지지부(341)의 하부에는 아래로 돌출되어 다리(343)가 형성된다.
지지부(341)에는 통기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지지부(341)에 형성된 통기공은 지지돌출부(333)에 형성된 통기공에 연통된다.
측벽부(342)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으로 인해 발광부(430)의 빛의 확산이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바닥본체(330)에는 다리부재(340) 내측에 배치되도록 통기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IH가열 출력이 발생하면 워킹 코일(210)은 유도가열을 통해 밥솥을 가열한다. 이와 같이 워킹 코일(210)이 작동되게 되면, 워킹 코일(210)에 의해 도선(400)의 전기에너지가 유도되어 표시부(410)의 발광부(430)가 작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워킹 코일(210)에 유도가열 출력이 발생할 경우에만 작동되므로 표시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표시부(410)를 전원이나 가열부에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서 구조가 단순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내솥 수용부 210 : 워킹 코일
300 : 본체 400 : 도선
410 : 표시부 411 : 정류부
430 : 발광부

Claims (7)

  1. 워킹 코일을 포함하여, 내솥을 유도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워킹 코일로부터 분리되게 배치되되 적어도 1회 이상 권선되는 도선;
    상기 도선에 연결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선의 전기에너지는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유도되되,
    상기 발광부는 상기 내솥을 수용하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본체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발광부는 상기 본체에 포함되는 측부본체와 바닥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은 상기 워킹 코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선은 상기 워킹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도선의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발광부를 구동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경해주는 정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LED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전기에너지에 따라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본체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KR1020150175025A 2015-12-09 2015-12-09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KR102357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025A KR102357033B1 (ko) 2015-12-09 2015-12-09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025A KR102357033B1 (ko) 2015-12-09 2015-12-09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154A KR20170068154A (ko) 2017-06-19
KR102357033B1 true KR102357033B1 (ko) 2022-01-28

Family

ID=5927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025A KR102357033B1 (ko) 2015-12-09 2015-12-09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0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4776A (ko) * 2021-08-12 2023-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전력전송을 이용하는 기기에서 다중 수신 코일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6843A (ja) * 2013-03-22 2014-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186Y1 (ko) 2008-04-04 2010-12-02 쿠쿠전자주식회사 가열 조리기기의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6843A (ja) * 2013-03-22 2014-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154A (ko) 201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4455B2 (en) Food steamer
US20070080158A1 (en) Heat cooking apparatus, cooking tool and heat cooking system
CN201814427U (zh) 用于在液体中烹饪食品的厨房用具
KR102357033B1 (ko)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KR102355705B1 (ko)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KR20170067008A (ko) 전기 가열 조리기
KR20190106992A (ko) 밥솥
JP4910441B2 (ja) 電気炊飯器
JP5888389B2 (ja) 炊飯器
KR101825876B1 (ko) 무선 전기 용기를 구비한 전기레인지
JP3082689B2 (ja) 電気炊飯器
KR100497907B1 (ko) 조립식 가열 조리기
JP3187320B2 (ja) 電気炊飯器
JPH10290749A (ja) 電気圧力鍋
JP2009178362A (ja) 調理器具
JP3063611B2 (ja) 電気炊飯器
JP2015016385A (ja) 炊飯器
JP3102363B2 (ja) 電気炊飯器
JP5854109B2 (ja) 炊飯器
CN209951006U (zh) 用于烹饪器具的发热组件及烹饪器具
JPH09252947A (ja) 電気炊飯器
KR101822521B1 (ko) 전기냄비
JP5359065B2 (ja) 電気炊飯器
KR100565596B1 (ko) 다기능 전자 레인지
KR101822512B1 (ko) 전기압력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