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789A - 미녹시딜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 Google Patents

미녹시딜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789A
KR20180020789A KR1020160105707A KR20160105707A KR20180020789A KR 20180020789 A KR20180020789 A KR 20180020789A KR 1020160105707 A KR1020160105707 A KR 1020160105707A KR 20160105707 A KR20160105707 A KR 20160105707A KR 20180020789 A KR20180020789 A KR 20180020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present
hair
amino acid
minoxid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8238B1 (ko
Inventor
정용지
김은미
Original Assignee
(주)케어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10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238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케어젠 filed Critical (주)케어젠
Priority to AU2017313589A priority patent/AU2017313589B2/en
Priority to EP17841636.8A priority patent/EP3501545B1/en
Priority to MX2019001921A priority patent/MX2019001921A/es
Priority to PCT/KR2017/008428 priority patent/WO2018034453A1/ko
Priority to CN201780057559.XA priority patent/CN109715217B/zh
Priority to MYPI2019000753A priority patent/MY193527A/en
Priority to US16/326,618 priority patent/US11617796B2/en
Priority to CA3034066A priority patent/CA3034066C/en
Priority to BR112019003077A priority patent/BR112019003077A2/pt
Priority to JP2019510337A priority patent/JP7050052B2/ja
Priority to EA201990526A priority patent/EA038745B1/ru
Priority to ES17841636T priority patent/ES2933848T3/es
Publication of KR20180020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238B1/ko
Priority to CL2019000429A priority patent/CL2019000429A1/es
Priority to PH12019500345A priority patent/PH12019500345A1/en
Priority to ZA2019/01534A priority patent/ZA201901534B/en
Priority to JP2021025068A priority patent/JP2021080273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3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cyto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9/00Hybrid peptides, i.e. peptides covalently bound to nucleic acids, or non-covalently bound protein-protein comple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7Compounds covalently linked to a(n inert) carrier molecule, e.g. conjugates, pro-fragr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녹시딜과 펩타이드가 화학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미녹시딜과 펩타이드가 화학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탈모 개선, 발모 촉진, 세포 성장 촉진 등과 같은 생리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물에서의 안정성이 우수하므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미녹시딜과 펩타이드의 결합체{CONJUGATE OF MINOXIDIL AND PEPTIDE}
본 발명은 미녹시딜과 펩타이드의 결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녹시딜과 펩타이드 각각의 특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각각의 활성이 서로 상승작용을 일으키는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모낭은 포유동물 피부의 독특한 기관으로서, 원시 표피의 하부가 성장하여 보다 깊은 피부 층으로 신장된 기관이다. 모낭의 기부에는 소낭 또는 진피 유두 세포로서 알려진 세포의 플러그가 존재하며, 유두는 모낭의 정상적인 순환 및 모간의 성장에 필수적이다. 모간은 케라틴 필라멘트와 필라멘트 응집 단백질로 충전된 단단하게 밀착된 상피 세포로 제조된 트레드 형상의 구조이다.
인간의 모발은 주기적으로 생장기, 퇴행기, 휴지기를 반복하며 모발이 빠지고 다시 생성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모발의 주기는 호르몬 조절이나 많은 성장인자 등의 조절을 통하여 결정되며, 심한 스트레스나 영양 결핍 등에 의해서 모발은 일찍 퇴행기를 거쳐 휴지기로 접어들어 심한 탈모 증상을 유발한다.
모발이 두피로부터 탈락하는 현상을 탈모라 하며, 탈모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기후, 빛 또는 열에 의한 노출 등의 환경적인 요인과 질병, 출산, 호르몬 분비 및 변화, 약물의 복용, 영양상태 등의 내적인 요인이 있다. 탈모는 효소작용 외에도 영양부족, 두피 건조, 스트레스 등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원인으로 인한 탈모의 경우 충분한 영양공급, 두피관리 및 항산화 물질의 섭취 또는 투여로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할 수 있다.
이런 탈모 현상을 치료하기 위해 지금까지는 의약품으로 여러 가지 물질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가격이 너무 비싸거나 효능에 대한 개인차가 너무 심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 외 화장품 제품에 있어서는 가격은 싸지만 효과가 적은 식물 추출물 등을 이용해 왔지만 그 효과는 미미하였다. 탈모에 사용되는 의약품의 대표적인 예로는 미녹시딜이 있다. 미녹시딜은 미국 FDA에서 허가되었으며, 고유한 칼륨 통로 개방제(Potassium channel opener)로서의 혈관 확장 기능 외에 휴지기의 모발주기에서 성장기로 유도하고, 유도된 성장기 모발주기를 계속 유지시키는 활성이 보고되었다. 하지만, 미녹시딜 사용시 탈모를 지연시킬 수는 있지만, 실제로 새로운 모낭의 재생을 유도하기 위한 용도로는 사용될 수 없었다. 또한, 미녹시딜은 물에 대한 용해성이 낮아 침전되어 사용이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에는 미녹시딜 사용시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모발의 성장 및 퇴화의 과정에는 매우 많은 요인들이 서로 연계되어 있으며, 예컨대 각질 세포 성장 인자의 촉진과, 혈관내피 성장인자의 활성을 촉진, WINT 경로를 촉진하고, BMP 경로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서 모발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일련의 성장인자를 활용한 연구가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성장인자류는 효능이 매우 뛰어난 반면, 자연형의 성장인자를 얻기 위하여 재접힘이라는 추가 공정과 시간이 요구되고, 또한 정제 과정에서 대장균 유래의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복잡한 정제 과정을 필요로 하게 되며, 안정성 및 높은 분자량으로 인한 모발의 보호막을 쉽게 뛰어 넘지 못하는 점 등이 비싼 가격과 맞물려 활용도를 떨어뜨리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 성장인자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 또는 작용을 할 수 있으면서도 천연 성장인자보다 안정성이 우수하고 천연 성장인자의 큰 분자량에 의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펩타이드로서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노킨 펩타이드(특허문헌 2),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케라민2 펩타이드(특허문헌 3) 및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WINT 펩타이드(특허문헌 4)를 개발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는 미녹시딜이나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펩타이드들은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성능의 향상, 부작용의 감소, 및 물에 대한 용해도 증가라는 측면에서 여전히 개선의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미녹시딜에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펩타이드를 각각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미녹시딜-노킨, 미녹시딜-케라민2, 미녹시딜-WINT 펩타이드를 제작하였고, 상기 화합물들이 모발의 성장에 연계되어 있는 혈관내피 성장인자의 활성을 촉진하고, WINT 경로를 촉진하며, 모발 손실에 주요한 BMP 경로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163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540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832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399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발모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천연 성장인자나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펩타이드, 또는 미녹시딜과 같은 종래 발모제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더 뛰어난 탈모방지 및/또는 발모촉진 기능을 할 수 있으면서도 이들보다 물에 대한 안정성 등의 생리학적 특성이 우수한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녹시딜과 펩타이드가 화학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펩타이드는 2 내지 30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개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펩타이드는 수용성 펩타이드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성 펩타이드는 친수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의 비율이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로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성 펩타이드는 소수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이 5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4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개 이하로 존재하며, 존재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노킨 펩타이드,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케라민2 펩타이드, 또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WINT 펩타이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개시된 어느 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개시된 어느 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파우더,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헤어에어졸, 포마드, 솔젤, 에멀젼, 오일, 왁스, 에어졸과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미녹시딜과 펩타이드가 화학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탈모 개선, 발모 촉진, 세포 성장 촉진 등과 같은 생리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물에서의 안정성 및 피부 투과율이 우수하므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미녹시딜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합물 처리시 인간 제대정맥 혈관내피세포(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HUVEC)에 대한 세포 증식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합물 처리시 인간 모발 진피 유두 세포(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s, HHDPC)에 대한 세포 증식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화합물 처리시 VEGF, TGFβ1의 mRNA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화합물 처리시 VEGF 단백질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8 및 도9는 본 발명의 화합물 처리시 혈관 형성 정도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WINT의 신호 경로인 베타-카테닌의 핵 전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모발 손실의 주요 인자인 BMP 신호 경로를 저해하는지 여부를 phospho-Smad1/5/8 활성화(세포질에서 핵 내로의 이동) 저해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화합물 처리시 모발 생장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녹시딜과 펩타이드가 화학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상기 미녹시딜은 6-아미노-1,2-디히드로-1-히드록시-2-이미노-4-페녹시피리미딘(6-Amino-1,2-dihydro-1-hydroxy-2-imino-4-phenoxypyrimidine)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펩타이드"란 용어는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 아미노산 잔기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선형의 분자를 의미한다. 상기 펩타이드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합성 방법, 특히 고상 합성 기술(solid-phase synthesis techniques)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Merrifield, J. Amer. Chem . Soc ., 85:2149-54(1963); Stewart, et al.,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2nd. ed., Pierce Chem. Co.: Rockford, 111(1984)).
상기 펩타이드는 미녹시딜의 수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수용성 펩타이드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펩타이드는 2 내지 30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개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펩타이드는 친수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의 비율이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로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펩타이드는 소수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의 비율이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로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친수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은 아르기닌(Arg), 히스티딘(His), 리신(Lys), 아스파라긴산(Asp), 글루탐산(Glu), 세린(Ser), 트레오닌(Thr), 아스파라긴(Asn), 글루타민(Gln), 시스테인(Cys), 셀레노시스테인(Sec), 글리신(Gly) 및 프롤린(Pro)을 나타내고, "소수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은 알라닌(Ala), 발린(Val), 이소루이신(Ile), 루이신(Leu), 메티오닌(Met), 페닐알라닌(Phe), 티로신(Tyr) 및 트립토판(Trp)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와 같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아미노산들 이외에도 이들의 변형체 등도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소수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은 상기 펩타이드 내에 5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4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개 이하로 존재하며, 존재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노킨 펩타이드,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케라민2 펩타이드 및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WINT 펩타이드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인간 제대정맥 혈관내피세포(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HUVEC) 및 인간 모발 진피 유두 세포(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s, HHDPC)에 대한 세포의 성장 촉진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WNT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시켜는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베타-카테닌을 핵 내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모발 손실의 주요 인자인 BMP 신호 경로를 차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그 자체로도 안정성이 우수하지만, 화합물에 결합된 펩타이드를 구성하는 임의의 아미노산을 변형시킴으로써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펩타이드의 N-말단은 아세틸기, 플루오레닐 메톡시 카르보닐기, 포르밀기, 팔미토일기, 미리스틸기, 스테아릴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호기가 결합되어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펩타이드는 아세틸기, 플루오레닐 메톡시 카르보닐기, 포르밀기, 팔미토일기, 미리스틸기, 스테아릴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호기가 결합되어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은 아미노산의 변형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안정성을 크게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안정성"이란 용어는 "생체내(in vivo)" 안정성 뿐만 아니라 저장 안정성(예컨대, 상온 저장 안정성)과 같은 "시험관내(in vitro)" 안정성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전술한 보호기는 생체내 및 시험관내에서 단백질 절단효소의 공격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을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술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탈모 치료 또는 개선은 발모 촉진 또는 모발 생성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HUVEC 및 HHDPC 세포 성장 촉진 능력을 가지며, WINT 단백질의 대표적인 신호전달 경로인 베타-카테닌 신호전달 경로를 촉진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모발 손실의 주요 인자인 BMP 신호 경로를 차단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실시한 동물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화합물이 모발 성장을 현저하게 촉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의 성장 및 피부 상태의 개선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피부 상태의 개선은 주름개선, 피부탄력 개선, 피부노화 방지, 피부보습 개선, 상처제거 또는 피부재생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술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전술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 유효량; 및 (b)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약학적 유효량"이란 용어는 전술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또는 젤(예컨대, 하이드로젤)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생약 추출물 또는 생약 발효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투약 단위는, 예를 들면 개별 투약량의 1, 2, 3 또는 4배로, 또는 1/2, 1/3 또는 1/4배로 함유할 수 있다. 개별 투약량은 유효 약물이 1회에 투여되는 양을 함유하며, 이는 통상 1일 투여량의 전부, 1/2, 1/3 또는 1/4배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또는 젤(예컨대, 하이드로젤)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전술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화장품학적 유효량(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및 (b)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화장품학적 유효량"이란 용어는 전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 개선 효능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임의의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파우더,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헤어에어졸, 포마드, 젤 등과 같이 용액, 솔젤, 에멀젼, 오일, 왁스, 에어졸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오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헤어샴푸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화합물에 증점제, 계면활성제, 점도 조절제, 보습제, pH 조절제, 방부제, 에션셜 오일 등과 같이 샴푸를 조성하기 위한 베이스 성분들을 혼합한다. 증점제로는 CDE가 사용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LES과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코코베타인, 점도조절제로는 폴리쿼터, 보습제로 글리세린, pH 조절제로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방부제로는 자몽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고, 이외에도 시더우드, 페퍼민트, 로즈마리 등의 에센셜 오일과, 실크아미노산, 펜타올, 비타민 E가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을 100중량부로 할 때 CDE 5∼10 중량부, LES 30∼40 중량부, 코코베타인 10∼20 중량부, 폴리쿼터 0.1∼0.2 중량부, 글리세린 5∼10 중량부, 자몽 추출물 0.1∼1.01 중량부, 실크아미노산 0.5∼1 중량부, 펜타올 0.5∼1 중량부, 비타민 E 0.5∼2중량부, 에션셜 오일로 시더우드, 페퍼민트, 로즈마리 중에서 하나가 0.01∼0.1 중량부 혼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과 담체 성분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 및 용해성 평가
<1-1> 펩타이드의 합성
<1-1-1> 서열번호 3의 펩타이드의 합성
클로로트리틸클로라이드 수지(Chloro trityl chloride resin; CTL resin, Nova biochem [0064] Cat No. 01-64-0021) 700 ㎎을 반응 용기에 넣고 메틸렌클로라이드(MC) 10 ㎖를 가하여 3분간 교반하였다. 용액을 제거하고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10 ㎖를 넣어 3분간 교반한 후 다시 용매를 제거하였다. 반응기에 10 ㎖의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넣고 Fmoc-Cys(trt)-OH (Bachem, Swiss) 200 mmole 및 디이소프로필 에틸아민(DIEA) 400 mmole을 넣은 후 교반하여 잘 녹이고,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후 세척하고 메탄올과 DIEA(2:1)를 DCM(dichloromethane)에 녹여 10분간 반응시키고 과량의 DCM/DMF(1:1)로 세척하였다. 용액을 제거하고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를 10 ㎖ 넣어 3분간 교반한 후 다시 용매를 제거하였다. 탈보호 용액(20%의 피페리딘/DMF) 10 ㎖를 반응 용기에 넣고 10분간 상온에서 교반한 후 용액을 제거하였다. 동량의 탈보호 용액을 넣고 다시 10분간 반응을 유지한 후 용액을 제거하고 각각 3분씩 DMF로 2회, MC로 1회, DMF로 1회 세척하여 Cys(trt)-CTL 수지를 제조하였다.
새로운 반응기에 10 ㎖의 DMF 용액을 넣고 Fmoc-His(trt)-OH(Bachem, Swiss) 200 mmole, HoBt 200 mmole 및 Bop 200 mmole을 넣은 후 교반하여 잘 녹였다. 반응기에 400mmole DIEA를 분획으로 2번에 걸쳐 넣은 후 모든 고체가 녹을 때까지 최소한 5분간 교반하였다. 녹인 아미노산 혼합 용액을 탈보호된 수지가 있는 반응 용기에 넣고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제거하고 DMF 용액으로 3회 5분씩 교반한 후 제거하였다. 반응 수지를 소량 취하여 카이저 테스트(Nihydrin Test)를 이용하여 반응 정도를 점검하였다. 탈보호 용액으로 상기와 같이 동일하게 2번 탈보호 반응시켜 His(trt)-Cys(trt)-CTL 수지를 제조하였다. DMF와 MC로 충분히 세척하고 다시 한 번 카이저 테스트를 수행한 다음 상기와 동일하게 아래의 아미노산 부착 실험을 수행하였다.
선정된 아미노산 서열에 의거하여 Fmoc-Cys(trt), Fmoc-Arg, Fmoc-Gln(trt), Fmoc-Val, Fmoc-Arg, Fmoc-Thr, Fmoc-Gln(trt) 및 Fmoc-Arg(pbf) 순으로 연쇄반응을 시켰다. Fmoc-보호기를 탈보호 용액으로 10분씩 2번 반응시킨 후 잘 세척하여 제거하였다. 무수 아세트산과 DIEA, HoBt를 넣어 1시간 동안 아세틸화를 수행한 뒤 제조된 펩티딜 수지를 DMF, MC 및 메탄올로 각각 3번을 세척하고, 질소 공기를 천천히 흘려 건조한 후, P2O5 하에서 진공으로 감압하여 완전히 건조한뒤 탈루 용액[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95%, 증류수 2.5%, 티오아니졸(Thioanisole) 2.5%] 30 ㎖을 넣은 후 상온에서 가끔 흔들어주며 2시간 반응을 유지하였다. 필터링을 하여 수지를 여과하였고, 수지를 소량의 TFA 용액으로 세척한 후 모액과 합하였다. 감압을 이용하여 전체 부피가 절반 정도 남도록 증류하고 50 ㎖의 차가운 에테르를 가하여 침전을 유도한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을 모으고, 2번 더 차가운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모액을 제거하고 질소 하에서 충분히 건조하여 정제 전 NH2-Arg-Gln-Thr-Arg-Val-Gln-Arg-Cys-His-Cys-OH 펩타이드(서열번호 3)를 0.65 g 합성하였다(수율: 92.6%). 분자량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시 분자량 1287.1(이론값 : 1286.5)를 얻을 수 있었다.
<1-1-2>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의 합성
상기 실시예 <1-1-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Glu-Leu-Ile-Glu-His-Gly-Gly-Gly-Arg-Pro-Ala-Asp: ELIEHGGGRPAD) 및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Ac-Tyr-Lys-Ser-Lys-Lys-Gly-Gly-Trp-Thr-His: Ac-YKSKKGGWTH)를 합성하였다.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
분석값(질량분석기)
분석값 이론값
1 ELIEHGGGRPAD 1250.9 1250.35
2 Ac-YKSKKGGWTH 1233.8 1233.4
3 RQTRVERCHC 1287.1 1286.5
<1-2>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
펩타이트 반응기에 펩타이딜 레진 (1 mmol)과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IPEA) 3.9 g (3 mmol, 3.0 equiv.)을 1??메틸-2-피롤리디논 (NMP) 10 mL에 녹인 후, 숙신산 무수물 200 mg (2 mmol, 2.0 equiv.)을 투입하여 상온에서 2시간 반응하였다. 용매를 필터하여 제거하고, 새로운 NMP (5 mL X 2)를 사용하여 세척하여 펩타이딜 레진-숙신산 결합체를 수득하였다.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HOBt) 270 mg (0.2 mmol, 2.0 equiv.)와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리아졸-1-일)우로니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759 mg (0.2 mmol, 2.0 equiv.)를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 10 mL에 녹이고 30분간 반응하였다.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IPEA) 388 mg (0.3 mmol, 3 equiv.), 미녹시딜 유사체(analogue) (41.8)mg (0.2mM.), 및 펩타이딜 레진-숙신산 결합체 (0.1 mmol) 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72시간 동안 반응하고, 여과하여 반응된 펩타이딜 레진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레진을 절단 용액(cleavage solution)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2시간 반응하여 레진 및 보호기를 제거하고 디에틸에테르 10 mL (10 mmol)을 사용하여 결정화하여 미녹시딜 하이브리드 펩타이드를 수득하였다.
[반응식 1] 미녹시딜과 펩타이드의 결합체의 반응식
Figure pat00002
[반응식 2] 미녹시딜-노킨 결합체의 반응식
Figure pat00003
[반응식 3] 미녹시딜-케라민2 결합체의 반응식
Figure pat00004
[반응식 4] 미녹시딜-WINT 결합체의 반응식
Figure pat00005
<1-3> 용해성 평가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미녹시딜-CG-노킨, 미녹시딜-CG-케라민2, 미녹시딜-CG-WINT를 각각 10mg/ml의 농도로 DW에 용해시켰다. 대조군으로는 미녹시딜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미녹시딜의 경우 동일 농도에서 물에 거의 용해되지 않아 불투명한 상태를 나타낸 반면에, 본 발명의 화합물 3종은 모두 물에 완전히 용해됨을 확인하였다(도 1 참조).
본 발명의 화합물 처리시 세포 증식 정도 평가
<2-1> 인간 제대정맥 혈관내피세포(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HUVEC)에 대한 세포 증식 정도 평가
실시예 1에서 합성된 본 발명의 화합물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HUVEC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리하여 증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HUVEC을 96웰 플레이트에 3000개씩 넣고 24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에 무혈청 DMEM 배지로 변경하고, 실시예 1에서 합성된 본 발명의 화합물 3종과 미녹시딜을 각각 0.5uM, 5uM, 50uM 농도로 세포에 처리한 후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배양 상층액을 제거하고 에탄올을 이용하여 세포를 고정한 후,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3회 세척하였다. 세척 용액을 제거한 뒤 비색 SRB 용액으로 처리하고 1% 아세트산으로 충분히 세척을 한 뒤 현미경으로 세포를 관찰하여 생존 세포의 상태를 관찰하였으며, 염색된 세포들에 10mM 트리스마 베이스(pH 10.5) 용액을 가하여 SRB를 용출시킨 후 자외선 56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의 생존 상태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 3종의 경우 낮은 농도에서는 대조군인 미녹시딜과 유사한 세포 증식을 나타냈으나, 농도가 증가할수록 미녹시딜에 비해서 세포 증식 정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2 참조).
<2-2> 인간 모발 진피 유두 세포(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s, HHDPC )에 대한 세포 증식 평가
HHDPC를 9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3000세포씩 넣고, 24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무혈청 DMEM 배지로 변경한 후에 본 발명의 화합물 3종과 미녹시딜을 각각 0.5uM, 5uM, 50uM 농도로 처리하였고,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후에 상기 실시예 <2-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를 염색하여 SRB를 용출하여 세포 증식 정도를 수치화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 3종은 미녹시딜에 비해서 세포 증식 정도가 높았고,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 증식 정도도 현저히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3 참조).
본 발명의 화합물의 VEGF , TGFβ1 발현에 대한 영향 평가
VEGF는 혈관 생성 및 확장 기능에 역할을 하고, TGFβ1은 탈모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본 발명의 화합물 처리시 VEGF와 TGFβ1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3-1> mRNA 량 평가(전사 수준)
VEGF의 발현은 HUVEC을 이용하였고, TGFβ1 발현은 모낭 모유두 진피 세포(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를 이용하였다. 두 세포를 각각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1×105 세포씩 넣었다. 24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무혈청 DMEM 배지로 변경하였고, 본 발명의 화합물 3종과 미녹시딜을 5uM, 50uM 농도로 세포에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세포를 회수하고, RNA 추출 키트를 이용하여 RNA를 추출한 후 RT-PCR하여 VEGF와 TGFβ1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RT-PCR시에 사용한 프라이머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프라이머 종류 서열 서열 번호
VEGF Forward (5') CCATGAACTTTCTGCTGTCTT (3') 4
VEGF Reverse (5') TCGATCGTTCTGTATCAGTCT (3') 5
TGFβ1 Forward (5') GCCCTGGATACCAACTATTGC (3') 6
TGFβ1 Reverse (5') TCAGCACTTGCAGGAGTAGCG (3') 7
GAPDH Forward (5') GGAGCCAAAAGGGTCATCAT (3') 8
GAPDH Reverse (5') GTGATGGCATGGACTGTGGT (3') 9
그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 3종은 미녹시딜에 비해서 VEGF 발현량이 높게 나타났고, 특히 미녹시딜-노킨과 미녹시딜-케라민2의 경우 미녹시딜보다 VEGF 발현량이 현저히 높았다(도 4 내지 도 6 참조). 또한, TGFβ1 발현 양상은 본 발명의 화합물 3종이 미녹시딜에 비해서 낮았고, 특히 미녹시딜-노킨이 동일 농도에서 미녹시딜보다 TGFβ1 발현량이 현저히 낮았다(도 4 내지 도 6 참조).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 3종이 미녹시딜에 비해서 혈관 생성 및 확장 기능에 역할을 하는 VEGF 발현량이 높고, 탈모에 관여하는 TGFβ1 발현량이 낮기 때문에 본 발명의 화합물 3종을 탈모 방지 또는 개선에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2> 단백질량 평가(번역물 수준)
HUVEC을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1×105 세포씩 넣었다. 24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무혈청 DMEM 배지로 변경한 후 본 발명의 화합물 3종과 미녹시딜을 5uM, 50uM 농도로 세포에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단백질 추출 키트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추출한 후 웨스턴 블랏을 실시하였다. 12% SDS-PAGE를 제조한 후, 제조된 SDS-PAGE 에 15ug의 단백질을 로딩하였으며, PVDF 멤브레인에 트랜스퍼하였다. 상온에서 1시간 동안 5% 탈지 분유 용액으로 블락킹하였다. 1/3000의 농도로 2시간 동안 상온에서 1차 항체(anti-VEGF antibody, anti-alpha tubulin antibody)를 붙였다. PBST로 10분 동안 3회 세척하였고, 1/5000의 농도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2차 항체를 붙였다. BST로 15분 동안 3회 세척한 후에 검출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 3종이 미녹시딜과 유사하거나, 미녹시딜에 비해서 VEGF 발현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도 7 참조). 본 발명의 화합물 3종이 혈관 생성 및 확장 기능에 역할하는 VEGF 발현을 증가시키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탈모 방지 또는 개선에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혈관 형성 정도 평가
24웰 플레이트에 마트리젤을 200㎕씩 첨가하고 1시간 배양하였다. 마트리젤에 HUVEC을 1×105 세포씩 넣었다. 세포가 씨딩된 마트리젤에 본 발명의 화합물 3종과 미녹시딜을 각각 5uM, 50u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VEGF 는 50nM, 100nM 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6시간 후 현미경을 통해 HUVEC의 혈관 형성 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 3종을 처리한 경우 혈관 형성 정도가 우수하였으며, 특히 미녹시딜보다 우수하며, VEGF 처리시와 유사한 정도로 혈관을 형성하였다(도 8 참조). 각 실험군의 혈관 형성 정도를 일정 단위 면적 내에서 완전하게 형성된 혈관 개수로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의 화합물 3종은 미녹시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혈관 형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9 참조).
본 발명의 미녹시딜-WINT가 WINT의 신호 경로인 베타-카테닌의 핵 전좌에 관여하는지 확인
모낭 진피 유두 세포(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을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1×105 세포씩 넣었다. 24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무혈청 DMEM 배지로 변경 후 미녹시딜, 미녹시딜-WINT, WINT를 5uM, 50uM 농도로 세포에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단백질 추출 키트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추출(핵/세포질 단백질 각각 추출)하였다. 1차 항체로 항-베타 카테닌 항체, 항-HDAC 항체, 항-알파 튜불린 항체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3-2>의 방법과 동일하게 웨스턴 블랏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농도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인 미녹시딜-WINT는 베타-카테닌의 핵으로의 전좌가 확인된 반면에, 미녹시딜 단독은 베타-카테닌의 핵으로의 전좌를 일으키는 정도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0 참조). 미녹시딜-WINT의 핵으로의 전좌는 미녹시딜 단독에 비해서 최대 2.8배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1 참조).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인 미녹시딜-WINT도 WINT의 신호 경로인 베타-카테닌을 핵 내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고, 미녹시딜보다도 베타-카테닌의 핵 전좌를 일으키는 정도가 높으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녹시딜-노킨이 Nokkin의 신호 경로인 phospho-Smad1/5/8의 핵 전좌에 관여하는지 확인
본 발명의 미녹시딜-노킨이 모발 손실의 주요 인자인 BMP 신호 경로를 저해하는지 여부를 phospho-Smad1/5/8 활성화(세포질에서 핵 내로의 이동) 저해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5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였고, BMP2 존재 하에서 미녹시딜-WINT대신에 미녹시딜-노킨을 처리하고, 1차 항체는 항-P-Smad1/5/8 항체, 항-HDAC1 항체를 사용한 것만 다르게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미녹시딜-노킨 처리시에는 미녹시딜 처리시와 비교해서 P-Smad1/5/8를 핵 내로 전달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녹시딜-노킨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핵 내의 P-Smad1/5/8는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2 및 도 13 참조).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미녹시딜-노킨이 모발 손실에 대한 BMP 신호 경로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미녹시딜-노킨을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처리시 모발 생장 확인
7주령 C57BL 수컷 마우스 6마리에 본 발명의 미녹시딜-노킨을 발라서 모발 생장 정도를 확인하였다. C57BL/6 7주령 마우스의 등털을 제모 크림을 이용하여 모두 제모하였다. PBS에 미녹시딜 및 미녹시딜-노킨을 각각 100ug/ml의 농도로 첨가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매일 하루에 한번씩 마우스의 등 피부에 골고루 발라주었다. 마우스의 등 피부털이 자라나는지 관찰한 후 등 피부색이 검게 변하는 시점으로부터 사진 촬영하여 관찰하였다. 조직학 검사를 위해서 마우스를 도살하고, 마우스의 등피부를 채취하여 4% PFA에 고정한 후 파라핀으로 포매하였다. 포매된 블록을 4um로 섹션하여 H&E 염색한 후 모낭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을 바른 경우에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이나, 미녹시딜을 처리한 군에 비해서 모발 생장 속도가 현저히 빠른 것을 확인하였다(도 14 참조). H&E 검사로 모낭을 확인하였을 때,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리한 군은 대조군이나, 미녹시딜을 처리한 군에 비해서 모낭이 피부 깊숙이 위치하고 있었고, 모낭의 개수가 더 많았으며, 모낭 내의 모근이 길게 성장하여 피부의 표면으로 자라는 형태로 모낭의 성장과 발달이 촉진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15 참조). 위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을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에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형예]
제형예 1: 유연화장수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며, 하기 조성으로 이루어진 유연화장수를 일반적인 화장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화합물 2.5
1,3-부틸렌글리콜 6
글리세린 4
PEG 1500 1
소듐히알루로네이트 1
폴리솔베이트 20 0.5
에탄올 8
방부제, 색소 적량
벤조페논-9 0.05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영양크림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며, 하기 조성으로 이루어진 영양크림을 일반적인 영양크림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화합물 2.5
메도우폼오일 3
세테아릴알콜 1.5
스테아린산 1.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유동 파라핀 10
밀납 2
폴리솔베이트 60 0.6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2.5
스쿠알란 3
1,3-부틸렌글리콜 3
글리세린 5
트리에탄올아민 0.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5
방부제, 색소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영양화장수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며, 하기 조성으로 이루어진 영양화장수를 일반적인 화장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화합물 2.5
1,3-부틸렌글리콜 4
글리세린 4
세테아릴알콜 0.8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트리에탄올아민 0.13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3
유동파라핀 5
스쿠알란 3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
방부제, 색소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에센스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며, 하기 조성으로 이루어진 에센스를 일반적인 에센스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화합물 2.5
글리세린 10
1,3-부틸렌글리콜 5
PEG 1500 2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히알루로네이트 8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세스-16 0.4
에탄올 6
향, 방부제,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헤어세럼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며, 하기 조성으로 이루어진 헤어세럼를 일반적인 헤어세럼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화합물 1
글리세린 10
1,3-부틸렌글리콜 5
PEG 1500 2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히알루로네이트 8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세스-16 0.4
에탄올 6
향, 방부제,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6. 헤어토너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며, 하기 조성으로 이루어진 헤어세럼을 일반적인 헤어세럼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화합물 1
글리세린 2
1,3-부틸렌글리콜 2
PEG 1500 2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소듐히알루로네이트 8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에탄올 10
향, 방부제,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아니하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10> CAREGEN CO., LTD. <120> CONJUGATE OF MINOXIDIL AND PEPTIDE <130> 2016-DPA-1464 <160> 9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WINT peptide <400> 1 Glu Leu Ile Glu His Gly Gly Gly Arg Pro Ala Asp 1 5 10 <210> 2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Keramin2 peptide <400> 2 Tyr Lys Ser Lys Lys Gly Gly Trp Thr His 1 5 10 <210> 3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okkin peptide <400> 3 Arg Gln Thr Arg Val Gln Arg Cys His Cys 1 5 10 <210> 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EGF Forward <400> 4 ccatgaactt tctgctgtct t 21 <210> 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EGF Reverse <400> 5 tcgatcgttc tgtatcagtc t 21 <210> 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GFb1 Forward <400> 6 gccctggata ccaactattg c 21 <210> 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GFb1 Reverse <400> 7 tcagcacttg caggagtagc g 21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Forward <400> 8 ggagccaaaa gggtcatcat 20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Reverse <400> 9 gtgatggcat ggactgtggt 20

Claims (15)

  1. 미녹시딜과 펩타이드가 화학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 화합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2 내지 30개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화합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8 내지 15개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화합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수용성 펩타이드인 화합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펩타이드는 친수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의 비율이 50% 이상인 화합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펩타이드는 친수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의 비율이 70% 이상인 화합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펩타이드는 친수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의 비율이 90% 이상인 화합물.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은 아르기닌(Arg), 히스티딘(His), 리신(Lys), 아스파라긴산(Asp), 글루탐산(Glu), 세린(Ser), 트레오닌(Thr), 아스파라긴(Asn), 글루타민(Gln), 시스테인(Cys), 셀레노시스테인(Sec), 글리신(Gly) 및 프롤린(Pro)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펩타이드는 소수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이 5개 이하인 화합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펩타이드는 소수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이 3개 이하인 화합물.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은 알라닌(Ala), 발린(Val), 이소루이신(Ile), 루이신(Leu), 메티오닌(Met), 페닐알라닌(Phe), 티로신(Tyr) 및 트립토판(Tr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노킨 펩타이드,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케라민2 펩타이드 및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WINT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파우더,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헤어에어졸, 포마드, 솔젤, 에멀젼, 오일, 왁스 및 에어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05707A 2016-08-19 2016-08-19 미녹시딜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KR101948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707A KR101948238B1 (ko) 2016-08-19 2016-08-19 미녹시딜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JP2019510337A JP7050052B2 (ja) 2016-08-19 2017-08-04 ミノキシジルとペプチドの結合体
MX2019001921A MX2019001921A (es) 2016-08-19 2017-08-04 Conjugado de minoxidil y peptido.
PCT/KR2017/008428 WO2018034453A1 (ko) 2016-08-19 2017-08-04 미녹시딜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CN201780057559.XA CN109715217B (zh) 2016-08-19 2017-08-04 米诺地尔和肽的结合物
MYPI2019000753A MY193527A (en) 2016-08-19 2017-08-04 Conjugate of minoxidil and peptide
US16/326,618 US11617796B2 (en) 2016-08-19 2017-08-04 Conjugate of minoxidil and peptide
CA3034066A CA3034066C (en) 2016-08-19 2017-08-04 Conjugate of minoxidil and peptide
AU2017313589A AU2017313589B2 (en) 2016-08-19 2017-08-04 Conjugate of minoxidil and peptide
EP17841636.8A EP3501545B1 (en) 2016-08-19 2017-08-04 Conjugate of minoxidil and peptide
EA201990526A EA038745B1 (ru) 2016-08-19 2017-08-04 Конъюгат миноксидила и пептида
ES17841636T ES2933848T3 (es) 2016-08-19 2017-08-04 Conjugado de minoxidil y péptido
BR112019003077A BR112019003077A2 (pt) 2016-08-19 2017-08-04 conjugado de minoxidil e peptídeo
CL2019000429A CL2019000429A1 (es) 2016-08-19 2019-02-15 Conjugado de minoxidil y peptidos.
PH12019500345A PH12019500345A1 (en) 2016-08-19 2019-02-18 Conjugate of minoxidil and peptide
ZA2019/01534A ZA201901534B (en) 2016-08-19 2019-03-12 Conjugate of minoxidil and peptide
JP2021025068A JP2021080273A (ja) 2016-08-19 2021-02-19 ミノキシジルとペプチドの結合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707A KR101948238B1 (ko) 2016-08-19 2016-08-19 미녹시딜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700A Division KR102160566B1 (ko) 2019-01-16 2019-01-16 미녹시딜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789A true KR20180020789A (ko) 2018-02-28
KR101948238B1 KR101948238B1 (ko) 2019-02-14

Family

ID=61196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707A KR101948238B1 (ko) 2016-08-19 2016-08-19 미녹시딜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11617796B2 (ko)
EP (1) EP3501545B1 (ko)
JP (2) JP7050052B2 (ko)
KR (1) KR101948238B1 (ko)
CN (1) CN109715217B (ko)
AU (1) AU2017313589B2 (ko)
BR (1) BR112019003077A2 (ko)
CA (1) CA3034066C (ko)
CL (1) CL2019000429A1 (ko)
EA (1) EA038745B1 (ko)
ES (1) ES2933848T3 (ko)
MX (1) MX2019001921A (ko)
MY (1) MY193527A (ko)
PH (1) PH12019500345A1 (ko)
WO (1) WO2018034453A1 (ko)
ZA (1) ZA20190153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754B1 (ko) * 2018-11-09 2020-03-17 주식회사 바이오셀트란 피부투과성이 개선된 탈모 억제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00128919A (ko) * 2019-05-07 2020-11-17 (주)케어젠 트롤록스-펩타이드 결합체 및 그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5286A (zh) * 2019-11-18 2020-02-07 童婧 一种有助于生发的发际线填充组合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4633A1 (en) * 2003-07-18 2007-01-04 Anne-Marie Pinel Use of peptidic conjugates for preparing compositions for alopecia preventive and curative treatment
KR20130015530A (ko) * 2011-08-04 2013-02-14 (주)케어젠 Wnt 계열 유래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17319A (en) * 1988-04-19 1989-10-25 Synpharm Ltd Racemic and optically active fatty amino acids, their homo- abd hetero-oligomers and conjugates, the process of their production, their pharmaceutical composi
AU729411B2 (en) * 1997-01-23 2001-02-01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Sustained release hair growth preparation
TR200302077T4 (tr) 1999-11-29 2004-01-21 F. Hoffmann-La Roche Ag 2-(3,5-Bis-Trifluorometil-fenil)-N-metil-N- (6-morfonil-4-il-4-O-tolil-piridin-3-il)- izobütiramit
FR2826262B1 (fr) 2001-06-26 2005-02-25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comprenant une association entre un compose de la famille des n-acylaminoamides et au moins un compose agissant sur la chute ou la repousse des cheveux
US20040142853A1 (en) * 2002-11-07 2004-07-22 Procyte Corporation Stimulation of hair growth by compositions containing peptide copper complexes and minoxidil
JP4506203B2 (ja) 2004-02-27 2010-07-21 株式会社デンソー 樹脂部材の継手構造、レーザ溶着方法及び電気機器の樹脂筐体
ES2355571T3 (es) * 2004-03-26 2011-03-29 Dsm Ip Assets B.V. Conjugados de ácidos arilalquílicos con aminoácidos y péptidos para usos cosméticos.
US20070224150A1 (en) * 2005-03-24 2007-09-27 Yongji Chung Growth factor for hair and skin treatment
US20090081145A1 (en) 2005-12-23 2009-03-26 Aplagen Gmbh Process for forming disulphide bridges
EP1998809B1 (en) * 2006-03-30 2014-06-25 Drais Pharmaceuticals, Inc. Camptothecin-cell penetrating peptide conjugat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IL186598A0 (en) * 2007-10-11 2008-11-03 Mohammad Abdulrazik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glaucoma and ocular hypertension
KR101021197B1 (ko) * 2008-04-11 2011-03-11 (주)케어젠 성장인자―미미킹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US20110293526A1 (en) 2008-11-20 2011-12-01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ompositions and methods to modulate hair growth
KR101163171B1 (ko) * 2009-01-20 2012-07-19 (주)케어젠 노긴?유래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KR101198918B1 (ko) 2009-09-01 2012-11-07 (주)케어젠 Wnt10?유래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US20110306546A1 (en) * 2010-06-10 2011-12-15 Alvi Armani Genomics Inc. Compositions for increasing hair growth and decreasing hair loss
KR20120011632A (ko) 2010-07-29 2012-02-08 애경산업(주) 미녹시딜을 함유한 모발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547282A (zh) * 2011-01-21 2014-01-29 Igisu株式会社 秃头症治疗剂
EP3345613B1 (en) 2015-09-01 2023-05-10 Il Dong Pharmaceutical Co., Ltd. Composition for use in treating cancer or an angiogenesis-related disease comprising a fusion protein of a tumor-penetrating peptide and an anti-vegf agent
KR102160566B1 (ko) 2019-01-16 2020-09-28 (주)케어젠 미녹시딜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4633A1 (en) * 2003-07-18 2007-01-04 Anne-Marie Pinel Use of peptidic conjugates for preparing compositions for alopecia preventive and curative treatment
US7507719B2 (en) * 2003-07-18 2009-03-24 Institut European De Biologie Cellulaire Use of peptidic conjugates for preparing compositions for alopecia preventive and curative treatment
KR20130015530A (ko) * 2011-08-04 2013-02-14 (주)케어젠 Wnt 계열 유래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754B1 (ko) * 2018-11-09 2020-03-17 주식회사 바이오셀트란 피부투과성이 개선된 탈모 억제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00128919A (ko) * 2019-05-07 2020-11-17 (주)케어젠 트롤록스-펩타이드 결합체 및 그의 용도
WO2020226419A3 (ko) * 2019-05-07 2021-01-21 (주)케어젠 트롤록스-펩타이드 결합체 및 그의 용도
JP2022531684A (ja) * 2019-05-07 2022-07-08 ケアジェン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トロロックス-ペプチド結合体およびそ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238B1 (ko) 2019-02-14
CN109715217B (zh) 2022-07-29
JP2021080273A (ja) 2021-05-27
CA3034066C (en) 2021-02-16
MY193527A (en) 2022-10-18
ES2933848T3 (es) 2023-02-14
EA201990526A1 (ru) 2019-07-31
WO2018034453A1 (ko) 2018-02-22
EP3501545A1 (en) 2019-06-26
EP3501545A4 (en) 2019-07-17
US11617796B2 (en) 2023-04-04
AU2017313589B2 (en) 2020-01-30
MX2019001921A (es) 2019-07-08
US20190192677A1 (en) 2019-06-27
EA038745B1 (ru) 2021-10-13
AU2017313589A1 (en) 2019-03-07
CA3034066A1 (en) 2018-02-22
CL2019000429A1 (es) 2019-04-26
ZA201901534B (en) 2022-05-25
BR112019003077A2 (pt) 2019-07-16
JP2019528289A (ja) 2019-10-10
CN109715217A (zh) 2019-05-03
EP3501545B1 (en) 2022-10-26
JP7050052B2 (ja) 2022-04-07
PH12019500345A1 (en) 201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080273A (ja) ミノキシジルとペプチドの結合体
JP2021011507A (ja) フィナステリドとペプチドの結合体
KR102160566B1 (ko) 미녹시딜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AU2017399481B2 (en) Conjugate of salicylic acid and peptide
CN114007579B (zh) Trolox-肽缀合物及其用途
JP7016886B2 (ja) イソトレチノインとペプチドの結合体
KR102016658B1 (ko) 살리실산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OA19189A (en) Conjugate of Minoxidil and Peptide.
EA041180B1 (ru) Конъюгат салициловой кислоты и пептида
KR20180125419A (ko) 이소트레티노인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OA19296A (en) Conjugate of salicylic acid and pept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