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648A -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 - Google Patents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648A
KR20180020648A KR1020160105325A KR20160105325A KR20180020648A KR 20180020648 A KR20180020648 A KR 20180020648A KR 1020160105325 A KR1020160105325 A KR 1020160105325A KR 20160105325 A KR20160105325 A KR 20160105325A KR 20180020648 A KR20180020648 A KR 20180020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opening
bus bar
current sensor
f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1214B1 (ko
Inventor
이치우
김동재
황홍식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05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214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01R15/207Constructional details independent of the type of device us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8Screening arrangem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e.g. against earth's fie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01R15/20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using Hall-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Abstract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가 제공된다. 실드 구조물은,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2 면, 상기 제2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제3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을 연결하고 상기 제2 면과 마주보는 제4 면을 포함하는 제1 실드로, 상기 제1 실드의 내부에 전류계를 고정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1 개구부와 다른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 실드 및 상기 제1 실드를 감싸고, 제3 개구부 및 상기 제3 개구부와 다른 제4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2 실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Shield structure and current sensors}
본 발명은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에 관한 것이다.
전류 측정에 있어서, 피 측정 전류가 만드는 물리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류 측정에 사용되는 전류 센서는,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홀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전류 센서를 이용하여 전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류 센서에 선형적인 전압이 측정되도록 해야한다. 또한, 전류 센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자계를 차폐하고, 피 측정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내부 자계를 전류 센서에 집중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너비와 높이를 갖는 실드가 요구된다.
나아가, 최근 전자 장치가 소형화 됨에 따라, 정확성과 선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가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 측정 시, 실드 내부의 자기포화를 방지할 수 있는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부 자계와 외부 자계를 분리함으로써, 외부 자계에 의한 내부 자계의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은, 제1 면, 제1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2 면, 제2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제1 면과 마주보는 제3 면 및 제1 면과 제3 면을 연결하고 제2 면과 마주보는 제4 면을 포함하는 제1 실드로, 제1 실드의 내부에 전류계를 고정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1 개구부와 다른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 실드 및 제1 실드를 감싸고, 제3 개구부 및 제3 개구부와 다른 제4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2 실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과 상기 제1 실드의 제4 면 중 어느 한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과 상기 제1 실드의 제4 면 중 어느 한 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실드는, 제5 면, 상기 제5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6 면, 상기 제6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5 면과 마주보는 제7 면 및 상기 제5 면과 상기 제7 면을 연결하고, 상기 제6 면과 마주보는 제8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은 상기 제2 실드의 제6 면과 마주보고, 상기 제1 실드의 제4 면은 상기 제2 실드의 제8 면과 마주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개구부는, 상기 제2 실드의 제6 면과 상기 제2 실드의 제8 면 중 어느 한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4 개구부는, 상기 제2 실드의 제6 면과 상기 제2 실드의 제8 면 중 어느 한 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으로부터 상기 제1 실드의 제4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제2 실드의 제6 면으로부터 상기 제2 실드의 제8 면까지의 높이 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실드의 폭은, 상기 제1 실드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전류 센서는,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2 면, 상기 제2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제3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을 연결하고 상기 제2 면과 마주보는 제4 면을 포함하는 제1 실드, 상기 제1 실드를 감싸는 제2 실드 및 상기 제1 실드 내에 배치되는 전류계로, 상기 제1 실드의 제4 면과 마주보는 상면과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과 마주보는 하면을 포함하는 버스 바 및, 상기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회로 기판과 전류 센서 칩을 포함하는 전류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드와 상기 제2 실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전류계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드의 폭은, 상기 버스 바의 폭 보다 크고, 상기 제2 실드의 폭은, 상기 제1 실드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버스 바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부가 연장되는 길이와, 상기 제1 실드 및 상기 제2 실드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실드는, 제5 면, 상기 제5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6 면, 상기 제6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5 면과 마주보는 제7 면 및 상기 제5 면과 상기 제7 면을 연결하고, 상기 제6 면과 마주보는 제8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은 상기 제2 실드의 제6 면과 마주보고, 상기 제1 실드의 제4 면은 상기 제2 실드의 제8 면과 마주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으로부터 상기 제1 실드의 제4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제2 실드의 제6 면으로부터 상기 제2 실드의 제8 면까지의 높이 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실드에 위치하는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실드에 위치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부가 노출시키는 상기 전류계의 영역과, 상기 제2 개구부가 노출시키는 상기 전류계의 영역은 동일한 영역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실드의 제4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2 실드의 제8 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실드의 제1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2 실드의 제5 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버스 바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와, 상기 버스 바의 하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실드의 제4 면에 위치하는 개구부 및 상기 제2 실드의 제8 면에 위치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에 위치하는 개구부 및 상기 제2 실드의 제6 면에 위치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와, 상기 버스 바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와, 상기 버스 바의 하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3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전류 센서 칩을 비노출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전류 센서 칩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4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내에 전류계가 배치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X-X'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저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드 구조물은, 제1 실드(110), 제2 실드(120) 및 개구부(201 내지 20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은, 전체 실드 구조물의 일부만을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실드의 면(예를 들어, 제1 면 내지 제8 면(111 내지 118)) 각각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일 수 있다. 개구부(201 내지 208)는, 판 형상의 각 실드의 각 면의 일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 제1 실드(110)와 제2 실드(120) 모두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실드(110)와 제2 실드(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드(110)는, 제1 면 내지 제4 면(111 내지 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드(110)의 제1 면(111)은, 예를 들어, 제3 방향(D3)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은, 제1 실드(110)의 제1 면(111)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은, 제1 실드(110)의 제1 면(111)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될 수 있다.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D1)은, 제3 방향(D3)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도면에서,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이, 제1 실드(110)의 제1 면(111)과 직각을 이루며 구부러져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은, 제1 실드(110)의 제1 면(111)으로부터 임의의 각도를 이루며 구부러져 연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실드(110)의 제3 면(113)은, 제2 면(112)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실드(110)의 제3 면(113)은, 제2 면(112)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될 수 있다. 제1 실드(110)의 제3 면(113)은, 제1 면(111)과 마주볼 수 있다. 제1 실드(110)의 제3 면(113)은, 제1 면(111)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드(110)의 제3 면(113)은, 제3 방향(D3)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제1 실드(110)의 제3 면(113)이,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과 직각을 이루며 구부러져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실드(110)의 제3 면(113)은,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으로부터 임의의 각도를 이루며 구부러져 연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은, 예를 들어, 제1 면(111)과 제3 면(113)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은, 제3 면(113)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은, 제3 면(113)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될 수 있다.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은, 제2 면(112)과 마주볼 수 있다.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은, 제2 면(112)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이, 제1 실드(110)의 제3 면(113)과 직각을 이루며 구부러져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은, 제1 실드(110)의 제3 면(113)으로부터 임의의 각도를 이루며 구부러져 연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4 면(114)은, 제1 면(111)과 제3 면(113)을 연결할 수 있다면, 제3 면(113)으로부터 임의의 각도로 구부러져 연장될 수 있다.
제1 실드(110)는, 제1 실드(110)의 제1 면(111)과 제3 면(113)을 제4 면(114)이 연결함에 따라, 닫힌 형태(closed)를 가질 수 있다. 제1 실드(110)의 내부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실드(110)의 내부는, 다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실드(110)는, 제1 실드(110)의 내부에 전류계를 고정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 바(bus-bar)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 센서에 있어서, 제1 실드(110)는, 그 내부에 전류계 및 전류계를 고정하는 버스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실드(110)는, 전류계 및 버스 바를 감쌀 수 있고,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제1 실드(110)는, 제1 개구부(201) 내지 제4 개구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부(201) 내지 제4 개구부(204)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 개구부(201) 내지 제4 개구부(204) 각각은, 예를 들어,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과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 중 어느 한 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개구부(201) 및 제2 개구부(202)는,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개구부(201) 및 제2 개구부(202)는, 서로 다른 개구부로써,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 개구부(201) 및 제2 개구부(202)는, 예를 들어,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을 관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개구부(203) 및 제4 개구부(204)는,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개구부(203) 및 제4 개구부(204)는, 서로 다른 개구부로써,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3 개구부(203) 및 제4 개구부(204)는, 예를 들어,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개구부(201) 내지 제6 개구부(206)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개구부(201) 내지 제6 개구부(206)의 길이는, 실드 구조물(제1 실드(110) 및 제2 실드(120))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는, 제2 방향(D2)으로 측정된 값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개구부(201) 내지 제6 개구부(206)의 길이는, 실드 구조물(제1 실드(110) 및 제2 실드(120))의 길이와 상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드 구조물은, 제1 실드(110)를 감싸는 제2 실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드(120)는, 제1 실드(110)의 외부에, 제1 실드(11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실드(110)는, 제2 실드(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실드(120)는, 제5 면(115) 내지 제8 면(1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드(120)의 제5 면(115)은, 예를 들어, 제3 방향(D3)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실드(120)의 제6 면(116)은, 제2 실드(120)의 제5 면(115)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실드(120)의 제6 면(116)은, 제2 실드(120)의 제5 면(115)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될 수 있다. 제2 실드(120)의 제6 면(116)은,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이 연장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드(120)의 제6 면(116)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실드(120)의 제6 면(116)은,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과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도면에서,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과 제2 실드(120)의 제6 면(116)이 서로 평행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실드(120)의 제6 면(116)과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은, 각각 제2 실드(120)의 제5 면(115) 및 제1 실드(110)의 제1 면(111)으로부터 절곡되는 각도에 따라 서로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실드(120)의 제6 면(116)이 제5 면(115)으로부터 절곡되는 각도와, 제1 실드(120)의 제2 면(112)이 제1 면(111)으로부터 절곡되는 각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2 실드(120)의 제7 면(117)은, 제2 실드(120)의 제6 면(116)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실드(120)의 제7 면(117)은, 제2 실드(120)의 제6 면(116)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될 수 있다. 제2 실드(120)의 제7 면(117)은, 제1 실드(110)의 제3 면(113)이 연장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드(120)의 제7 면(117)은, 제3 방향(D3)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실드(120)의 제7 면(117)은, 제1 실드(110)의 제3 면(113)과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도면에서, 제1 실드(110)의 제3 면(113)과 제2 실드(120)의 제4 면(114)이 서로 평행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실드(120)의 제7 면(117)과 제1 실드(110)의 제3 면(113)은, 각각 제2 실드(120)의 제6 면(116) 및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으로부터 절곡되는 각도에 따라 서로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실드(120)의 제7 면(117)이 제6 면(116)으로부터 절곡되는 각도와, 제1 실드(120)의 제3 면(113)이 제2 면(112)으로부터 절곡되는 각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2 실드(120)의 제8 면(118)은, 제2 실드(120)의 제7 면(117)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실드(120)의 제8 면(118)은, 제2 실드(120)의 제7 면(117)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될 수 있다. 제2 실드(120)의 제8 면(118)은,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이 연장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드(120)의 제8 면(118)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실드(120)의 제8 면(118)은, 제5 면(115)과 제7 면(117)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실드(120)의 제8 면(118)은,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과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도면에서,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과 제2 실드(120)의 제8 면(118)이 서로 평행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실드(120)의 제8 면(118)과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은, 각각 제2 실드(120)의 제7 면(117) 및 제1 실드(110)의 제3 면(113)으로부터 절곡되는 각도에 따라 서로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실드(120)의 제8 면(118)이 제7 면(117)으로부터 절곡되는 각도와, 제1 실드(120)의 제4 면(114)이 제3 면(113)으로부터 절곡되는 각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2 실드(120)는, 제2 실드(120)의 제5 면(115)과 제7 면(117)을 제8 면(118)이 연결함에 따라, 닫힌 형태(closed)를 가질 수 있다. 제2 실드(120)의 내부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실드(120)의 내부는, 다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는, 제1 실드(110) 및 제1 실드(110)를 감싸는 제2 실드(120)를 포함함으로써, 내부 자계와 외부 자계를 분리하여, 외부 자계에 의한 내부 자계의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실드(120)는, 제5 개구부(205) 내지 제8 개구부(208)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개구부(205) 내지 제8 개구부(208)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5 개구부(205) 내지 제8 개구부(208) 각각은, 예를 들어, 제2 실드(120)의 제6 면(116)과 제2 실드(120)의 제8 면(118) 중 어느 한 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5 개구부(205) 및 제6 개구부(206)는, 제2 실드(120)의 제8 면(118)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개구부(205) 및 제6 개구부(206)는, 서로 다른 개구부로써,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5 개구부(205) 및 제6 개구부(206)는, 예를 들어, 제2 실드(120)의 제8 면(118)을 관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7 개구부(207) 및 제8 개구부(208)는, 제2 실드(120)의 제6 면(116)에 위치할 수 있다. 제7 개구부(207) 및 제8 개구부(208)는, 서로 다른 개구부로써,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7 개구부(207) 및 제8 개구부(208)는, 예를 들어, 제2 실드(110)의 제6 면(116)을 관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실드(110)에 위치하는 개구부들과, 제2 실드(120)에 위치하는 개구부들의 배열은, 서로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드(110)의 제1 개구부(201)가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에 위치하고, 제2 실드(120)의 제5 개구부(205)가 제1 실드(110)의 제8 면(118)에 위치하는 경우, 제1 개구부(201)와 제5 개구부(205)는 동일 축을 기준으로 정렬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실드(120)의 제5 개구부(205)에서 제1 실드(110) 쪽을 바라보았을 때,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이 보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실드(110)의 제1 개구부(201)가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에 위치하고, 제2 실드(120)의 제5 개구부(205)가 제1 실드(110)의 제8 면(118)에 위치하는 경우, 제1 개구부(201)와 제5 개구부(205)는 서로 다른 축을 기준으로 정렬되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2 실드(120)의 제5 개구부(205)는,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면에서, 개구부가 복수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개구부가, 제1 실드(110)와 제2 실드(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실드(110)의 높이(H1)는, 제2 실드(120)의 높이(H2)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실드(110)의 높이(H1)는,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으로부터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까지 측정한 값일 수 있다. 또한, 제2 실드(120)의 높이(H2)는, 제2 실드(120)의 제6 면(116)으로부터 제2 실드(120)의 제8 면(118)까지 측정한 값일 수 있다.
제1 실드(110)의 높이(H1)는, 예를 들어, 버스 바(bus-bar)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 센서에 있어서, 그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전류계 및 전류계를 고정하는 플레이트를 감쌀 수 있을 정도의 높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드 구조물은, 제2 실드(120)가 제1 실드(110)를 감싸기 때문에, 제1 실드(110)의 폭(W1)은 제2 실드(120)의 폭(W2)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실드(110)의 폭(W1)은, 제1 실드(110)의 제1 면(111)으로부터 제1 실드(110)의 제3 면(113)까지 측정한 값일 수 있다. 제2 실드(120)의 폭(W2)은, 제2 실드(120)의 제5 면(115)으로부터, 제2 실드(120)의 제7 면(117)까지 측정한 값일 수 있다.
제1 실드(110) 및 제2 실드(120)는 금속 물질 또는 강자성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드(110) 및 제2 실드(120)는, 전류 센서 칩(155)에 가해질 수 있는 외란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상 버스 바인 경우, 어느 하나의 버스 바(예를 들어, 버스 바(151))로부터, 인접하는 상의 나머지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외부 자계를 차폐시킬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버스 바(예를 들어, 버스 바(151))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계가 전류 센서 칩(155)에 집중 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실드(110) 및 제2 실드(120)는, 전류 센서 칩(155)에 선형적인 전압이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실드(110) 및 제2 실드(120)는, 전류 센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내에 전류계가 배치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X-X'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제1 실드(111) 내에, 전류계(150)가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실드(111)는, 전류계(150)를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전류계(150)는, 버스 바(151), 회로 기판(153) 및 전류 센서 칩(155)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버스 바(151) 상에, 회로 기판(153) 및 전류 센서 칩(155)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 바(151)의 상면(151U) 상에 회로 기판(153) 및 전류 센서 칩(155)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회로 기판(153) 및 전류 센서 칩(155)은, 예를 들어, 버스 바(151) 상에, 제3 방향(D3)으로 적층될 수 있다.
버스 바(151)는, 서로 마주보는 상면(151U) 및 하면(151L)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 바(151)의 상면(151U)은,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과 마주볼 수 있다. 버스 바(151)의 하면(151L)은,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과 마주볼 수 있다.
버스 바(151)는, 예를 들어, 버스 바(151)의 하면(151L)과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버스 바(151)는, 예를 들어, 버스 바(151)의 상면(151U)과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버스 바(151)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 및 제3 방향(D3)과 다른 방향으로, 제1 방향(D1) 및 제3 방향(D3)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버스 바(151)의 연장 길이가, 제1 실드(110) 및 제2 실드(120)의 연장 길이(Ls) 보다 긴 경우, 제1 실드(110) 및 제2 실드(120)는, 버스 바(151)의 일부분을 감쌀 수 있다. 즉, 이 경우, 제1 실드(110) 내부에는, 버스 바(151)의 일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 길이는, 제2 방향(D2)으로 측정된 값일 수 있다.
버스 바(151)의 하면(151L)으로부터 버스 바(151)의 상면(151U)까지의 높이는 H3일 수 있다. 버스 바(151)의 높이(H3)는, 제1 실드(110)의 높이(H1) 및 제2 실드(120)의 높이(H2)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실드(110)의 높이(H1)는, 버스 바(151)를 포함하는 전류계(150)가 그 내부에 배치될 수 있을 정도의 높이일 수 있다. 따라서, 버스 바(151)가 제1 실드(110) 내에 배치 되어도, 제1 실드(110) 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빈 공간 내에는, 예를 들어, 후술할 회로 기판(153) 및 전류 센서 칩(155)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버스 바(151)의 폭은, W3일 수 있다. 버스 바(151)의 폭(W3)은, 버스 바(151)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측정한 값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버스 바(151)의 폭(W3)은, 버스 바(151)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 들어, 제1 방향(D1)을 따라 측정한 값일 수 있다.
버스 바(151)의 폭(W3)은, 제1 실드(110)의 폭(W1) 및 제2 실드(110)의 폭(W2) 보다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실드(110)의 폭(W1)은, 버스 바(151)를 포함하는 전류계(150)를 그 내부에 배치시킬 수 있을 정도의 폭일 수 있다.
버스 바(151)는 도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 바(151)는 후술할 전류 센서 칩(155)에 의해 측정될 전류가 흐르는 도체일 수 있다.
회로 기판(153)은, 제1 실드(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버스 바(151)의 연장 길이가 제1 실드(110) 및 제2 실드(120)의 연장 길이 보다 긴 경우, 회로 기판(153)은, 제1 실드(110)에 의해 감싸지는 버스 바(151)의 일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153)은, 예를 들어, 버스 바(151)의 상면(151U)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회로 기판(153)은, 버스 바(151)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로 기판(153)은, 예를 들어, 버스 바(151)의 상면(151U)과 접하도록(directly on)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153)의 폭은, 버스 바(151)의 폭(W3) 보다 작을 수 있다.
회로 기판(15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회로 기판(153)은 후술할 전류 센서 칩(155)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전류 센서 칩(155)은, 피 측정 전류가 흐르는 버스 바(15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류 센서 칩(155)은, 제1 실드(110) 내에, 버스 바(151)의 다른 면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전류 센서 칩(155)은, 버스 바(151)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알맞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 센서 칩(155)은, 예를 들어, 회로 기판(15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류 센서 칩(155)은, 예를 들어,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홀 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 전류 센서 칩(155)은, IMC(Integrated Magnetic Concentrator) 칩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전류 센서 칩(155)은, 홀 센서, 자기 저항 소자, 증폭 기능등을 내장한 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자기 트랜지스터 등 일 수 있다. 여기서 홀 효과란, 자기장이 전류가 흐르는 도체를 쇄교할 때, 그 도체의 양 단에 전위차가 생기는 물리 현상을 가리킨다.
전류 센서 칩(155)은 콘센트레이터(concent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콘센트레이터는, 예를 들어, 아몰퍼스 또는 강자성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콘센트레이터는, 버스 바(151)에 피 측정 전류가 흐르는 경우, 예를 들어, 피 측정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를 전류 센서 칩(155)으로 집중 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회로 기판(153)과 전류 센서 칩(155)은, 버스 바(151)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전류 센서 칩(155)은, 버스 바(151)에 피 측정 전류가 흐르면, 홀 효과로 인한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피 측정 전류는, 발생된 전압을 전류로 환산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제1 실드(110)와 제2 실드(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개구부(201 내지 208)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201 내지 208)는, 버스 바(151)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201 내지 208)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개구부(201 내지 208)가 연장되는 길이(Lo)는, 예를 들어, 제1 실드(110) 및 제2 실드(120)의 길이(Ls)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는, 제2 방향(D2)으로 측정된 값일 수 있다.
도면에서, 제1 실드(110) 및 제2 실드(120)의 길이가 Ls로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실드(110)의 길이와 제2 실드(120)의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부(201 내지 208) 중 제1 실드(110)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길이는, 제1 실드(110)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201 내지 208) 중 제2 실드(120)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길이는, 제2 실드(120)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개구부(201 내지 208) 중 제1 실드(110)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길이는, 제1 실드(110)의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개구부(201 내지 208) 중 제2 실드(120)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길이는, 제2 실드(120)의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실드(110)와 제2 실드(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개구부는, 전류계(150)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드(110)의 제1 개구부(201)가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에 위치하는 경우, 제1 개구부(201)는, 버스 바(151)의 상면(151U)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드(110)의 제3 개구부(203)가 제1 실드(110)의 제2 면(112)에 위치하는 경우, 제3 개구부(203)는, 버스 바(151)의 하면(151L)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드(110)의 제2 개구부(202)가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에 위치하는 경우, 제2 개구부(202)는, 회로 기판(153)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에 위치하는 개구부는, 전류 센서 칩(155)을 비노출, 즉,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의 부분(114a)은, 회로 기판(153) 상에 배치되는 전류 센서 칩(155)과 중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4 면의 부분(114a)의 폭(Wa)은, 전류 센서 칩의 폭(Wb) 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폭은, 제1 방향(D1)으로 측정된 값일 수 있다. 특히, 제4 면의 부분(114a)의 폭(Wa)은,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의 제2 개구부(202)에서 제2' 개구부(202')까지 측정한 값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개구부(202) 및 제2' 개구부(202')는, 회로 기판(153)의 일부를 노출할 뿐, 전류 센서 칩(155)은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실드(120)가 전류 센서 칩(155)과 제3 방향(D3)으로 중첩되는 영역에 개구부를 포함한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을 제3 방향(D3)으로 바라보았을 때, 전류 센서 칩(155)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는, 제4 면의 부분(114a)의 폭(Wa)을, 전류 센서 칩(Wb)의 폭 보다 크게 함으로써, 전류 센서 칩(155)의 포화를 막을 수 있다.
또는,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에 위치하는 개구부들 중 일부는, 전류 센서 칩(155)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2 실드(120)의 제5 개구부(205)가 제2 실드(120)의 제8 면(118)에 위치하는 경우, 제5 개구부(205)는, 버스 바(151)의 상면(151U)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드(120)의 제7 개구부(207)가 제2 실드(120)의 제6 면(116)에 위치하는 경우, 제7 개구부(207)는, 버스 바(151)의 하면(151L)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드(120)의 제6 개구부(206)가 제2 실드(120)의 제8 면(118)에 위치하는 경우, 제6 개구부(206)는, 회로 기판(153)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실드(120)의 제8 면(118)에 위치하는 개구부는, 전류 센서 칩(155)을 비노출, 즉,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드(110)의 제4 면의 부분(114a)으로 인해, 제8 면(118)에 위치하는 개구부를 통해 전류 센서 칩(155)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실드(120)의 제8 면(118)에 위치하는 개구부들 중 일부는, 전류 센서 칩(155)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도 있다.
도면에서, 제1 실드(110) 및 제2 실드(120)가 각각 일정 개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실드(110)는, 제1 개구부(201) 내지 제4 개구부(20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실드(110)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개구부의 개수 보다 작거나 큰 개수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드(120)는, 제5 개구부(205) 내지 제8 개구부(20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실드(120)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개구부의 개수 보다 작거나 큰 개수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제1 실드(110)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개수가, 제2 실드(120)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개수 보다 작은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실드(110)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개수는, 제2 실드(120)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개수 보다 크거나 같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 개구부(201)가 노출시키는 영역(Ro)과, 제5 개구부(205)가 노출시키는 영역(Ro)은 같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실드(110)에 위치하는 개구부들과, 제2 실드(120)에 위치하는 개구부들은,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개구부(205)를 통해 보는 경우, 제5 개구부(205)는 제1 개구부(201)와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버스 바(151)의 상면(151U)의 일부 및 회로 기판(153)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개구부(201)가 노출시키는 영역과 제5 개구부(205)가 노출시키는 영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도면에서, 개구부들이 제1 실드(110)의 제4 면(114) 및 제2 면(112)과, 제2 실드(120)의 제6 면(116) 및 제8 면(118)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개구부(201)는, 제1 실드(110)의 제1 면(111)과 제3 면(113)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5 개구부(205)는, 제2 실드(120)의 제5 면(115)과 제7 면(117)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개구부들은, 실드 구조물의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는, 개구부들은 실드 구조물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하나와,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의 개구부들은, 서로 다른 축을 기준으로 정렬되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드(110)의 제1 개구부(201)는, 영역(R1)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2 실드(120)의 제5 개구부(205)는, 영역(R2)을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영역(R1)과 영역(R2)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드 구조물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3 방향(D3)으로 보았을 때, 제5 개구부(205)를 통해 제1 실드(11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에 위치하는 개구부들은, 전류 센서 칩(155)을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드(110)는, 전류 센서 칩(155)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201) 및 버스 바(151)의 하면(151L)을 노출시키는 제3 개구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실드(120)는, 전류 센서 칩(155)을 노출시키는 제5 개구부(205) 및 버스 바(151)의 하면(151L)을 노출시키는 제7 개구부(207)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각 실드는, 두 개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개구부의 폭은, 예를 들어, 앞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개구부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각각은, 네 개의 개구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네 개의 개구부들의 폭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개구부의 폭 보다는 크지만,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개구부의 폭 보다는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는, 다양한 폭, 배열 및 개수를 갖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실드(110) 및 제2 실드(120) 각각의 형상은, 도 3,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드 구조물 각각의 형상을 조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실드(110)의 형상은 도 3의 제1 실드(110)의 형상이고, 제2 실드(110)의 형상은 도 9의 제2 실드(120)의 형상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도 3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는, 제1 버스 바(151-1)와 제1 방향(D1)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버스 바(151-2) 및 제3 버스 바(15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드 구조물(110-1 및 120-1)은, 제1 버스 바(151-1), 제1 회로 기판(153-1) 및 제1 전류 센서 칩(155-1)을 감쌀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153-1) 및 제1 전류 센서 칩(155-1)은, 제1 버스 바(151-1)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실드 구조물(110-2 및 120-2)은, 제2 버스 바(151-2), 제2 회로 기판(153-2) 및 제2 전류 센서 칩(155-2)을 감쌀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153-2) 및 제2 전류 센서 칩(155-2)은, 제2 버스 바(151-2)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제3 실드 구조물(110-3 및 120-3)은, 제3 버스 바(151-3), 제3 회로 기판(153-3) 및 제3 전류 센서 칩(155-3)을 감쌀 수 있다. 제3 회로 기판(153-3) 및 제3 전류 센서 칩(155-3)은, 제3 버스 바(151-3)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실드 구조물의 내측 실드(110-1, 110-2 및 110-3)는, 도 3의 제1 실드(110)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실드 구조물의 외측 실드(120-1, 120-2 및 120-3)는, 도 3의 제2 실드(120)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개구부(201-1, 201-2, 201-3)는, 제1 내지 제3 버스 바(151-1 내지 151-3)의 상면(151-1U 내지 151-3U)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5 개구부(205-1 내지 205-3)는, 예를 들어, 제1 개구부(201-1, 201-2, 201-3)와 정렬되어, 제1 내지 제3 버스 바(151-1 내지 151-3)의 상면(151-1U 내지 151-3U)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3 개구부(203-1 내지 203-3)는, 제1 내지 제3 버스 바(151-1 내지 151-3)의 하면(151-1L 내지 151-3L)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7 개구부(207-1 내지 207-3)는, 예를 들어, 제3 개구부(203-1 내지 203-3)와 정렬되어, 제1 내지 제3 버스 바(151-1 내지 151-3)의 하면(151-1L 내지 151-3L)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회로 기판(153-1, 153-2 및 153-3)은, 도 3의 회로 기판(153)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전류 센서 칩(155-1, 155-2 및 155-3)은, 도 3의 전류 센서 칩(155)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버스 바(151-1, 151-2 및 151-3)는, 도 3의 버스 바(151)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버스 바(151-1 내지 151-3)에는, 예를 들어, 위상이 서로 120도씩 차이나는 전류가 각각 흐를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버스 바(151-1 내지 151-3)는, 예를 들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버스 바(151-1 내지 151-3)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버스 바(151-1 내지 151-3)는,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버스 바(151-1 내지 151-3)의 하면(151-1L 내지 151-3L) 각각은, 내측 실드(110-1, 내지 110-3)의 제2 면(112-1 내지 112-3) 각각과 접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에서, 제2 내측 실드(110-2)의 제2 면(112-2)은, 제1 및 제3 내측 실드(110-1, 110-3)의 제2 면(112-1, 112-3) 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실드 구조물(110-2, 120-2)에서, 제2 버스 바(151-2)의 하면(151-2L)은, 제2 내측 실드(110-2)의 제4 면(114-2)과 접할 수 있다. 제1 및 제3 실드 구조물(110-1과 120-1 및 110-3과 120-3)에서, 제1 및 제3 버스 바(151-1, 151-3)의 하면(151-1L, 151-3L)은, 제1 및 제3 내측 실드(110-1, 110-3)의 제2 면(112-1, 112-3)과 접할 수 있다.
제2 실드 구조물(110-2, 120-2)에서 제2 회로 기판(153-2) 및 제2 전류 센서 칩(155-2)이 적층되는 방향은, 제1 및 제3 실드 구조물(110-1과 120-1 및 110-3과 120-3)에서 제1 및 제3 회로 기판(153-1, 153-3)과 제1 및 제3 전류 센서 칩(155-1 및 155-3)이 적층되는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제2 실드 구조물(110-2, 120-2)에서, 제1 개구부(201-2) 및 제5 개구부(205-2)는, 제2 버스 바(151-2)의 하면(151-2L)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제2 실드 구조물(110-2, 120-2)에서, 제3 개구부(203-2) 및 제7 개구부(207-2)는, 제2 버스 바(151-2)의 상면(151-2U)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에서, 제2 버스 바(151-2)는, 제1 및 제3 버스 바(151-1, 151-3) 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내측 실드(110-2)의 제2 면(112-2)은, 제1 및 제3 내측 실드(110-1, 110-3)의 제2 면(112-1, 112-3)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에서, 제2 내측 실드(110-2)의 제2 면(112-2)은, 제1 및 제3 내측 실드(110-1, 110-3)의 제2 면(112-1, 112-3) 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3 실드 구조물(110-1과 120-1 및 110-3과 120-3)에서, 제1 및 제3 버스 바(151-1, 151-3)의 하면(151-1L, 151-3L)은, 제1 및 제3 내측 실드(110-1, 110-3)의 제4 면(114-1, 114-3)과 접할 수 있다. 제2 실드 구조물(110-2, 120-2)에서, 제2 버스 바(151-2)의 하면(151-2L)은, 제2 내측 실드(110-2)의 제2 면(112-2)과 접할 수 있다.
제1 및 제3 실드 구조물(110-1과 120-1 및 110-3과 120-3)에서, 제1 개구부(201-1, 201-3) 및 제5 개구부(205-1, 205-3)는, 제2 버스 바(151-2)의 하면(151-2L)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3 실드 구조물(110-1과 120-1 및 110-3과 120-3)에서, 제3 개구부(203-1, 203-3) 및 제7 개구부(207-1, 207-3)는, 제2 버스 바(151-2)의 상면(151-2U)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에서, 제2 버스 바(151-2)는, 제1 및 제3 버스 바(151-1, 151-3) 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내측 실드(110-2)의 제2 면(112-2)은, 제1 및 제3 내측 실드(110-1, 110-3)의 제2 면(112-1, 112-3)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한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5는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와 자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종래의 실드 구조물의 자기 포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의 자기 포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버스 바에 전류(I)가 흐르면, 버스 바 주위로 자계가 형성될 수 있다. 3상 시스템에서, 3상 버스 바의 전류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도 9에서와 같이, 실드 내부의 자계(internal field)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상의 버스 바로부터 발생하는 외부 자계(external field)의 영향도 받을 수 있다.
실드는, 외부 자계의 차폐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실드는, 피 측정 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자계를, 실드 내부로 집중시켜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드(110)의 내부에는 내부 자계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는, 실드를 이중구조로 배치함으로써, 내부 자계와 외부 자계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외부 자계가 내부 자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류계(1000)에서, 종래의 실드(1010)는, 제1 면(1011), 제1 면(1011)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2 면(1012) 및 제2 면(1012)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3 면(1013)을 포함한다. 종래 실드(1010) 내부에 배치되는 버스 바(1510)의 일측면 전부는 노출될 수 있다.
종래 실드(1010) 내부의 버스 바(1510)에, 예를 들어, 600A의 전류가 흐를 경우, 제2 면(1012)에 약 1.25T의 자속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종래 실드(1010)의 자기 포화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6b를 참조하면, 도 16a의 종래 실드(1010)의 제2 면(1012)에 대응되는 부분이 붉은 색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는, 버스 바(1510)에, 예를 들어, 600A의 전류가 흐를 때, 종래 실드(1010)의 제2 면(1012)에 약 1.25T 이상의 자속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됨을 의미한다.
도 3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드 구조물은, 예를 들어, 600A의 전류가 흐를 경우, 어느 면에도 약 0.9T 이상의 자속이 집중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는, 각 면에 개구부를 포함시킴으로써, 실드 구조물 내부의 자기 포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제1 실드 120: 제2 실드
151: 버스 바

Claims (19)

  1.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2 면, 상기 제2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제3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을 연결하고 상기 제2 면과 마주보는 제4 면을 포함하는 제1 실드로, 상기 제1 실드의 내부에 전류계를 고정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1 개구부와 다른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 실드; 및
    상기 제1 실드를 감싸고, 제3 개구부 및 상기 제3 개구부와 다른 제4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2 실드를 포함하는 실드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과 상기 제1 실드의 제4 면 중 어느 한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과 상기 제1 실드의 제4 면 중 어느 한 면에 위치하는 실드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드는,
    제5 면, 상기 제5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6 면, 상기 제6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5 면과 마주보는 제7 면 및 상기 제5 면과 상기 제7 면을 연결하고, 상기 제6 면과 마주보는 제8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은 상기 제2 실드의 제6 면과 마주보고,
    상기 제1 실드의 제4 면은 상기 제2 실드의 제8 면과 마주보는 실드 구조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개구부는, 상기 제2 실드의 제6 면과 상기 제2 실드의 제8 면 중 어느 한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4 개구부는, 상기 제2 실드의 제6 면과 상기 제2 실드의 제8 면 중 어느 한 면에 위치하는 실드 구조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으로부터 상기 제1 실드의 제4 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제2 실드의 제6 면으로부터 상기 제2 실드의 제8 면까지의 높이 보다 작은 실드 구조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드의 폭은, 상기 제1 실드의 폭 보다 큰 실드 구조물.
  7.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2 면, 상기 제2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제3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을 연결하고 상기 제2 면과 마주보는 제4 면을 포함하는 제1 실드;
    상기 제1 실드를 감싸는 제2 실드; 및
    상기 제1 실드 내에 배치되는 전류계로, 상기 제1 실드의 제4 면과 마주보는 상면과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과 마주보는 하면을 포함하는 버스 바 및, 상기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회로 기판과 전류 센서 칩을 포함하는 전류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드와 상기 제2 실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전류계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류 센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드의 폭은, 상기 버스 바의 폭 보다 크고,
    상기 제2 실드의 폭은, 상기 제1 실드의 폭 보다 큰 전류 센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버스 바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부가 연장되는 길이와, 상기 제1 실드 및 상기 제2 실드의 길이는 동일한 전류 센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드는,
    제5 면, 상기 제5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6 면, 상기 제6 면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제5 면과 마주보는 제7 면 및 상기 제5 면과 상기 제7 면을 연결하고, 상기 제6 면과 마주보는 제8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은 상기 제2 실드의 제6 면과 마주보고,
    상기 제1 실드의 제4 면은 상기 제2 실드의 제8 면과 마주보는 전류 센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으로부터 상기 제1 실드의 제4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제2 실드의 제6 면으로부터 상기 제2 실드의 제8 면까지의 높이 보다 작은 전류 센서.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실드에 위치하는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실드에 위치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부가 노출시키는 상기 전류계의 영역과, 상기 제2 개구부가 노출시키는 상기 전류계의 영역은 동일한 영역인 전류 센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실드의 제4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2 실드의 제8 면에 위치하는 전류 센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실드의 제1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2 실드의 제5 면에 위치하는 전류 센서.
  15.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버스 바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와, 상기 버스 바의 하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류 센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실드의 제4 면에 위치하는 개구부 및 상기 제2 실드의 제8 면에 위치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실드의 제2 면에 위치하는 개구부 및 상기 제2 실드의 제6 면에 위치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류 센서.
  17.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와, 상기 버스 바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와, 상기 버스 바의 하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3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류 센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전류 센서 칩을 비노출시키는 전류 센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전류 센서 칩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4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류 센서.
KR1020160105325A 2016-08-19 2016-08-19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 KR101871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325A KR101871214B1 (ko) 2016-08-19 2016-08-19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325A KR101871214B1 (ko) 2016-08-19 2016-08-19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648A true KR20180020648A (ko) 2018-02-28
KR101871214B1 KR101871214B1 (ko) 2018-06-27

Family

ID=6140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325A KR101871214B1 (ko) 2016-08-19 2016-08-19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2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14164A3 (en) * 2018-08-24 2020-03-04 Magnetic Shields Limited Magnetic shield for use with magnetomet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2277A (ja) * 2008-06-19 2010-01-07 Tdk Corp 電流センサ
JP2015135288A (ja) * 2014-01-17 2015-07-2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流センサ
JP5900402B2 (ja) * 2013-04-01 2016-04-0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流センサ用の磁気シールド体
WO2016098511A1 (ja) * 2014-12-15 2016-06-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流セ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2277A (ja) * 2008-06-19 2010-01-07 Tdk Corp 電流センサ
JP5900402B2 (ja) * 2013-04-01 2016-04-0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流センサ用の磁気シールド体
JP2015135288A (ja) * 2014-01-17 2015-07-2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流センサ
WO2016098511A1 (ja) * 2014-12-15 2016-06-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流セン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14164A3 (en) * 2018-08-24 2020-03-04 Magnetic Shields Limited Magnetic shield for use with magnetometers
CN110907870A (zh) * 2018-08-24 2020-03-24 磁盾有限公司 磁屏蔽设备
CN110907870B (zh) * 2018-08-24 2022-08-12 磁盾有限公司 磁屏蔽设备
US11782099B2 (en) 2018-08-24 2023-10-10 Magnetic Shields Limited Magnetic shiel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214B1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8294B2 (en) Current detection device
JP6149885B2 (ja) 電流センサ
EP2775311B1 (de) Stromsensor
US7307410B2 (en) Alternating current detection coil
EP2437072B1 (de) Stromsensor
US6769166B1 (en) Method of making an electrical current sensor
CN102737840B (zh) 贯通型层叠电容器
JP6524877B2 (ja) 電流センサ
CN104979072A (zh) 线圈部件
US20180180649A1 (en) Integrated current sensor device and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KR102385508B1 (ko)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CN105074847B (zh) 磁芯通量传感器
JP2011185914A (ja) 電流センサ
CN104142416A (zh) 用于电流测量的设备
JP2011145273A (ja) 電流センサ
JP2013205387A (ja) 電流センサ
WO2018051575A1 (ja) 電流センサ
KR101871214B1 (ko) 실드 구조물 및 전류 센서
ES2963513T3 (es) Sensores de corriente y sistemas de medición asociados
JP2010078537A (ja) 電流センサ
KR101817957B1 (ko) 전류 센서
JP6237525B2 (ja) 電流センサ
JP5057245B2 (ja) 電流センサ
JP7242887B2 (ja) 電流検出装置
JP2020148733A (ja) 電流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