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445A - 층간소음 완충재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층간소음 완충재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445A
KR20180020445A KR1020160104732A KR20160104732A KR20180020445A KR 20180020445 A KR20180020445 A KR 20180020445A KR 1020160104732 A KR1020160104732 A KR 1020160104732A KR 20160104732 A KR20160104732 A KR 20160104732A KR 20180020445 A KR20180020445 A KR 20180020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ushioning
film sheet
film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6169B1 (ko
Inventor
노완영
Original Assignee
노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완영 filed Critical 노완영
Priority to KR1020160104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169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04F2290/04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with a bottom layer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소음 완충재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완충시트 일측에 접합되는 필름시트의 형태안정성과 변색을 방지케 함과 동시에, 완충재의 연결부위 기밀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완충시트 일측에 필름시트를 접합하되, 필름시트의 양측 단부가 완충시트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하여 연결부위 상에 위치되게 함으로서, 기밀성이 유지되게 하고, 동시에 완충시트와 필름시트를 접합롤러로 가압하는 과정에서 니들롤러를 이용하여 필름시트에 미세공이 형성되게 함으로서, 접착제 사용으로 인한 산화가스가 배출되게 하여 필름시트의 형태변형 및 변색을 방지케 한 것이다.

Description

층간소음 완충재 및 그 제조장치{Reduction materials of Noise between Floors and its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층간소음 완충재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층간소음 완충재를 구성하는 완충시트 일측에 필름시트를 접합하되, 필름시트의 형태안정성과 변색을 방지케 함과 동시에, 외부충격이나 긁힘에 취약한 완충시트를 보호하고, 또한 층간소음 완충재의 연결부 방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세대주택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건축물에서는 상하층으로 주거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층에서 가해지는 충격소음이 하층에 전달된다.
이러한 층간소음은 상하층 입주자들 간의 생활불편을 느끼게 되며, 급기야는 이웃간에 층간소음으로 인한 많은 분쟁이 야기되고 있다.
특히 주생활공간인 공동주택의 경우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벽체와 바닥 등을 이웃과 공유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견고성이 강한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충격에 의한 진동소음 전달성이 매우 강하여 각종 생활소음이 이웃으로, 특히 아랫층으로 전달되어 문제가 발생되므로 건축물 시공법규상 층간소음을 규제하고 있으며, 건축물 시공시 층간소음 문제해소를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현재 국내에서는 이러한 복층건물의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각층의 바닥슬라브와 마감모르타르 콘크리트층 사이에 탄성EPS(발포폴리스티렌) 등과 같은 완충재를 설치하여 바닥충격음 소음구조층을 형성하고 있다.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완충재와 관련한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실용신안등록 제20-0403182호 '층간소음 방지제'(특허문헌 1)와,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0224호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제'(특허문헌 2)와, 특허 제10-1283869호 '층간차음제 및 이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특허문헌 3) 등이 제시된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서 제시되고 있는 완충재의 구조 역시, 발포폴리스티렌으로 구성되는 완충시트 일측, 혹은 양측에 필름시트를 열융착시키거나 접착제로 접합한 구조이고, 상기 완충시트 일측에 접합되는 필름시트의 크기도 완충시트와 동일한 크기로 접합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완충재 중 완충시트 일측에 접합되는 필름시트를 접착제로 접합시킬 경우, 필름시트와 완충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가 산화되면서 가스공기층이 형성되어 필름시트가 부풀어 올라 형태가 변형될 뿐 아니라, 산화가스에 의해 필름시트가 변색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상품성이 떨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바닥 상에 완충재를 시공할때 연결부위에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연결부위의 기밀성이 유지되게 하고 있으나, 연결부위 직상부에 접착테이프를 바로 접착하는 구조이므로, 접착불량으로 인한 방습기능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03182호 '층간소음 방지제'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0224호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제' 특허 제10-1283869호 '층간차음제 및 이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본 발명은 층간소음 완충재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완충시트 일측에 접합되는 필름시트의 형태안정성과 변색을 방지케 함과 동시에, 완충재의 연결부위 기밀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완충시트 일측에 필름시트를 접합하되, 필름시트의 양측 단부가 완충시트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하여 연결부위 상에 위치되게 함으로서, 기밀성이 유지되게 하고, 동시에 완충시트와 필름시트를 접합롤러로 가압하는 과정에서 니들롤러를 이용하여 필름시트에 미세공이 형성되게 함으로서, 접착제 사용으로 인한 산화가스가 배출되게 하여 필름시트의 형태변형 및 변색을 방지케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완충시트 일측에 필름시트를 접합하되, 필름시트의 양측 단부가 완충시트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하여 연결부위 상에 위치되게 함으로서, 기밀성이 유지되게 하고, 동시에 완충시트와 필름시트를 접합롤러로 가압하는 과정에서 니들롤러를 이용하여 필름시트에 미세공이 형성되게 함으로서, 접착제 사용으로 인한 산화가스가 배출되게 하여 필름시트의 형태변형 및 변색을 방지케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완충재 제조를 위한 접합장치의 개략구성도
도 2 : 도 1에서 니들롤러부분의 상세도
도 3 : 본 발명 완충재의 사시도
도 4 : 본 발명 완충재의 평면구성도
도 5 : 본 발명 완충재의 단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 완충재의 사용상태도
도 7 : 본 발명 완충재의 접합부 확대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층간소음 완충재 제조를 위한 장치의 개략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상기 장치를 통하여 제조된 층간소음 완충재(80)의 구성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층간소음 완충재 제조장치(10)는 상부에 접착제 도포장치(20)가 구성되고, 그 아랫쪽에 공급컨베이어(30)와 배출컨베이어(40) 및 공급컨베이어(30)와 배출컨베이어(40) 사이에 구성된 필름접합부(50)로 구성된다.
접착제 도포장치(20)에서는 필름시트(12) 일측에 접착제(13)를 도포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장치이기에 상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공급컨베이어(30)와 배출컨베이어(40) 사이에 구성된 필름접합부(50)는 여러 개의 접합롤러(51)와 단일의 니들롤러(60)로 구성되며, 니들롤러(60)는 도 2에서와 같이 니들롤러(60) 표면에 니들(61)이 돌출된 니들고정편(62)을 등간격으로 접합구성한다.
각 니들고정편(62)에 돌출된 니들(61)은 2~3㎝간격으로 돌출구성되나, 상기 간격은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층간소음재 제조장치(10)를 이용한 층간소음재(80)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층간소음재 제조장치(10)를 작동시키면 공급컨베이어(30) 상에 발포폴리스티렌으로 구성된 완충시트(81)를 얹어두면, 공급컨베이어(30)를 따라 완충시트(80)가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하여 필름접합부(50)의 접합롤러(51) 사이로 공급된다.
이때 접착제 도포장치(20)에서는 일측에 접착제(83)를 도포한 필름시트(82)가 가이드롤러(21)를 경유하여 필름접합부(50)에 구성된 접합롤러(51) 사이로 공급되게 하되, 필름시트(82) 일측에 도포된 접착제(83) 부분이 완충시트(81) 표면과 접하게 한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필름시트(82)는 폴리에틸렌필름을 사용하였고, 발포시트(81)의 두께는 3㎝로 하였으나, 필름시트(82)의 종류나 발포시트(81)의 두께는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컨베이어(30)에 의해 공급되어 오는 완충시트(81)와 접착제 도포장치(20)에서 공급되어 오는 필름시트(82)가 필름접합부(50)의 접합롤러(51)에 의해 가압되어 접합되면서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완충시트(81) 일측에 필름시트(82)가 접합된 상태에서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하면 니들롤러(60)를 지나게 되고, 상기 니들롤러(60)에 구성된 니들(61)에 의해 완충시트(81) 일측에 접합된 필름시트(82)에는 등간격으로 미세공(84)이 형성된다.
필름시트(82)에 미세공(84)이 형성된 완충시트(81) 및 필름시트(82)는 배출컨베이어(40)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배출컨베이어(40)로 이동되어온 완충시트(81) 및 필름시트(82)는 절단칼로 연결부(85')를 절단하여 분리되게 함으로서 층간소음 완충재(80)의 제조가 완성된다.
상기 제조과정에서 완충시트(81) 일측에 접합되는 필름시트(82)는 도 4에서와 같이 양측 단부가 완충시트(81)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돌출부(86)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 돌출부(86)의 길이는 대략 3~6㎝ 정도로 돌출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로 제조된 층간소음 완충재(80)는 완충시트(81) 일측에 필름시트(82)를 접착제(83)로 접합하되, 필름시트(82) 상에 등간격으로 미세공(84)이 형성되어 있고, 필름시트(82)의 양측 단부는 완충시트(81) 양측으로 돌출부(8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조된 층간소음 완충재(80)는 필름시트(82)에 미세공(84)이 뚫려 있어, 필름시트(82)와 완충시트(81)를 접합하는 접착제(83)가 산화되면서 가스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미세공(8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므로 필름시트(82)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게 되며, 미세공(84)을 통하여 산화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필름시트(82)의 변색이 방지된다.
또한 완충시트(81)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86)는 층간소음 완충재(80)를 도 6에서와 같이 바닥 상에 설치할때 완충시트(81)와 완충시트(81)의 연결부(85)를 돌출부(86)가 덮어 차단하게 되고, 돌출부(86)가 연결부(85)를 덮어 차단되게 한 상태에서 접착테이프(87)로 돌출부(86)의 단부를 접합하여 연결부(85)가 차단되게 함으로서 연결부(85)의 기밀성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층간소음 완충재(80)의 필름시트(82)에 뚫린 미세공(84)은 완충시트(81)와 접합되는 부분에만 뚫려 있고, 돌출부(86)에는 미세공(84)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연결부(85)의 기밀성 유지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10)--층간소음재 제조장치 (20)--접착제 도포장치
(30)--공급컨베이어 (40)--배출컨베이어
(50)--필름접합부 (51)--접합롤러
(60)--니들롤러 (61)--니들
(62)--니들고정편 (80)--층간소음 완충재
(81)--완충시트 (82)--필름시트
(83)--접착제 (84)--미세공
(85)--연결부 (86)--돌출부
(87)--접착테이프

Claims (2)

  1. 완충시트(81) 일측에 접착제(83)를 이용하여 필름시트(82)가 접합되게 한 층간소음 완충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완충시트(81) 일측에 접합된 필름시트(82)에 미세공(84)을 뚫어 구성하되, 상기 미세공(84)은 완충시트(81)와 접합된 부분에만 형성되게 하여, 접착제(83)에 의해 발생하는 산화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서, 필름시트(82)의 형태안정성과 변색이 방지되게 하고, 필름시트(82)의 양측 단부는 완충시트(81)보다 외부로 돌출되게 한 돌출부(86)를 형성하여 연결부(85)의 기밀성이 유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완충재.
  2. 완충시트(81) 일측에 접착제(83)를 이용하여 필름시트(82)가 접합되게 한 층간소음 완충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부에 접착제 도포장치(20)가 구성되고, 접착제 도포장치(20) 하단에 공급컨베이어(30)와, 필름접합부(50) 및 배출컨베이어(40)를 차례로 설치하되, 필름접합부(50)는 다수개의 접합롤러(51)와 단일의 니들롤러(60)로 구성되게 하되, 니들롤러(60)는 표면에 등간격으로 니들(61)이 형성되게 하고, 공급컨베이어(30)에 완충시트(81)를 얹어두면 공급컨베이어(30)에 의해 필름접합부(50)의 접합롤러(51) 사이로 공급되고, 동시에 접착제 도포장치(20)에서 접착제(83)가 도포된 필름시트(82)가 접합롤러(51) 사이로 공급되어 완충시트(81) 일측에 접합되게 하되, 필름시트(82) 양측 단부가 완충시트(81) 양측으로 돌출되게 하여 돌출부(80)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완충시트(81) 및 필름시트(82)가 니들롤러(60)를 지나면서 니들(61)에 의해 완충시트(81)와 접합된 필름시트(82)에만 미세공(84)이 뚫려지게 하고, 상기 완충시트(81) 및 필름시트(82)가 배출컨베이어(40)로 이송되어 오면 연결부(85')의 필름시트(82)를 절단칼로 절단하여 제조함을 특지응로 하는 층간소음 완충재의 제조장치.
KR1020160104732A 2016-08-18 2016-08-18 층간소음 완충재 및 그 제조장치 KR101886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732A KR101886169B1 (ko) 2016-08-18 2016-08-18 층간소음 완충재 및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732A KR101886169B1 (ko) 2016-08-18 2016-08-18 층간소음 완충재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445A true KR20180020445A (ko) 2018-02-28
KR101886169B1 KR101886169B1 (ko) 2018-08-07

Family

ID=6140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732A KR101886169B1 (ko) 2016-08-18 2016-08-18 층간소음 완충재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1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020A (ko) * 2021-07-05 2023-01-12 이진영 엠보싱 알루미늄 호일시트를 이용한 건식난방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6740B1 (ko) 2021-06-29 2022-12-14 평택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구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182Y1 (ko) 2005-05-18 2005-12-09 주식회사 토일론 층간소음 방지재
KR20060017574A (ko) * 2005-10-07 2006-02-24 김지윤 메쉬형 유리섬유시트와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JP2009228417A (ja) * 2008-02-28 2009-10-08 Mitsuboshi Belting Ltd 断熱防水工法
KR100933333B1 (ko) * 2007-10-04 2009-12-22 신용순 단열흡음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0224U (ko) 2008-06-30 2010-01-07 주식회사 삼양수지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JP2010196421A (ja) * 2009-02-27 2010-09-09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吸音装飾シート
KR101283869B1 (ko) 2008-05-21 2013-07-08 (주)엘지하우시스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182Y1 (ko) 2005-05-18 2005-12-09 주식회사 토일론 층간소음 방지재
KR20060017574A (ko) * 2005-10-07 2006-02-24 김지윤 메쉬형 유리섬유시트와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KR100933333B1 (ko) * 2007-10-04 2009-12-22 신용순 단열흡음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9228417A (ja) * 2008-02-28 2009-10-08 Mitsuboshi Belting Ltd 断熱防水工法
KR101283869B1 (ko) 2008-05-21 2013-07-08 (주)엘지하우시스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20100000224U (ko) 2008-06-30 2010-01-07 주식회사 삼양수지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JP2010196421A (ja) * 2009-02-27 2010-09-09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吸音装飾シ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020A (ko) * 2021-07-05 2023-01-12 이진영 엠보싱 알루미늄 호일시트를 이용한 건식난방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169B1 (ko) 201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69086A (zh) 声学板
KR101886169B1 (ko) 층간소음 완충재 및 그 제조장치
TW201938888A (zh) 隔間壁構造及其施工方法
KR101465410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방지구조 및 층간소음방지구조용 기체충진에어캡매트
JP5663119B2 (ja) 間仕切壁の目透し目地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6342565A (ja) 防音内装材
KR101479167B1 (ko)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US20030172600A1 (en) Sound insulating device for buildings
KR101070306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MX2022009680A (es) Paneles de construccion de atenuacion de sonido.
RU2726747C2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потолочной системы
JP2009167672A (ja) 防音床下地材
JP2009215787A (ja) 防音室および防音壁
KR20140113108A (ko) 흡음 마감 부재 및 그의 시공방법
JP2597837Y2 (ja) 床構造
KR101542244B1 (ko) 층간소음차단을 위한 시공방법 및 방지구조
KR102584647B1 (ko) 층간 소음 방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46796B1 (ko) 기포층을 가진 건물의 층간 진동소음 차단판 성형방법
KR200431427Y1 (ko)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JP7144226B2 (ja) 床遮音方法
KR100729871B1 (ko) 건물의 층간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7009406A (ja) 床構造
KR101242144B1 (ko) 벽체용 복합 단열재의 시공 방법
JP2023131306A (ja) 遮音構造及び遮音構造の施工方法
KR200343896Y1 (ko) 층간 소음 방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