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629B1 - 패널 내장용 심재의 부착방법 - Google Patents

패널 내장용 심재의 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629B1
KR101002629B1 KR1020080059155A KR20080059155A KR101002629B1 KR 101002629 B1 KR101002629 B1 KR 101002629B1 KR 1020080059155 A KR1020080059155 A KR 1020080059155A KR 20080059155 A KR20080059155 A KR 20080059155A KR 101002629 B1 KR101002629 B1 KR 101002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aterial
panel
reinforcing member
glass wool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4293A (ko
Inventor
박진오
민병렬
조남욱
강성훈
전준표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에스와이패널 주식회사
(주)에이스지앤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에스와이패널 주식회사, (주)에이스지앤월드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90114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laminated and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12, E04C2/16, E04C2/2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정을 단축시키고 인건비 및 설비비를 줄이면서 패널에 대한 부착력과 압축하중에 대한 강도를 충분히 구현할 수 있는 조립식 패널을 구성하는 패널 내장용 심재의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심재의 양 측면에 보강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부재가 형성된 심재를 한 쌍으로 이루어진 외장부재 사이에 삽입하고; 상기 심재와 보강부재의 표면에 외장부재를 부착하는 패널 내장용 심재의 부착방법을 제공한다.
심재, 글라스울, 조립식 패널, 표면, 부착방법, 보강부재

Description

패널 내장용 심재의 부착방법{ATTACHMENT METHOD OF CORE MATERIAL FOR INTERIAL OF PANEL}
본 발명은 조립식 패널을 구성하는 패널 내장용 심재의 부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공정을 단축시키고 인건비 및 설비비를 줄이면서 패널에 대한 부착력과 압축하중에 대한 강도를 충분히 구현할 수 있는 패널 내장용 심재의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의 지붕이나 벽체 구조물 등에 패널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패널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글라스울 보드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라 글라스울 보드를 이용하여 패널을 제작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a는 글라스울 보드의 절단 방향을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절단한 글라스울을 삽입하여 제작한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에는 조립식 패널을 제작하는 경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글라스울이 수평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글라스울 보드(10)를 패널 두께에 따라 한 방향으로 자른다(도 2a 참조). 이와 같이, 상기 글라스울 보드(10)를 한 방향으로 자른 후, 그 조각들을 각각 90도 회전시킨 후 밀착 정렬시킨 다음에 상기 글라스울 보드(10)의 측면(12)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글라스울 보드(10)의 상하면이 되는 측면(12)에 외장부재(21, 22)를 접착시켜 제작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글라스울 보드(10)의 상하면(11)에 직접 접착제를 도포하는 경우, 접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복잡한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패널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글라스울 보드(10)를 일정 간격으로 자른 후 각각의 조각들을 회전하여 밀착시키는 과정이 요구되므로, 공정상에 있어서 많은 설비 투자와 노동력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글라스울 보드(10)를 절단하는 경우에 분진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갖고 있다. 그리고, 실제 현장에서는 일반적으로 길이방향으로 긴 패널(즉, 직사각형과 같은 패널)이 적용되고 있는데, 운반시 처짐 및 패널의 굽힘 강도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긴 패널을 제작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공정을 단축시키고 인건비 및 설비비를 줄이면서 패널에 대한 부착력과 압축하중에 대한 강도를 충분히 구현할 수 있는 패널 내장용 심재의 부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내장용 심재의 부착방법은 심재의 양 측면에 보강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부재가 형성된 심재를 한 쌍으로 이루어진 외장부재 사이에 삽입하고; 상기 심재와 보강부재의 표면에 외장부재를 부착한다.
상기 심재는 단열, 방풍, 방음 및 내화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심재는 글라스울(glass fiber), 암면, 미네랄울(mineral fiber),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섬유소가 일정한 결을 갖는 판상형의 형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강성 및 접착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내장용 심재의 부착방법은 종래와 같이 자르고 정렬시키는 복잡한 공정을 단축시킴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인건비 및 설비비를 줄여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널 제작시 분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운반시 처짐방지와 패널의 굽힙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전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심재를 이용하여 제작한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패널에서 심재와 보강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내장용 심재의 부착방법은 심재(100)의 양 측면(120)(바람직하게는 심재의 길이방향의 측면)에 보강부재(300)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부재(300)가 형성된 심재(100)를 한 쌍으로 이루어진 외장부재(200) 사이에 삽입하고, 즉 패널의 상판(210)과 패널의 하판(220) 사이에 보강부재(300)가 형성된 심재(100)를 삽입하고, 상기 심재의 표면(110)과 보강부재(300)의 표면에 외장부재(200)를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심재(100)의 양 측면(120)에 보강부재(300)를 구비시킴으로써, 종래에 심재를 절단하고 90도 회전시켜서 외장부재를 부착하는 복잡한 공정이 필요없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보강부재(300)는 강성 및 접착성 이 높은 재료(예를 들면, 목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강성 및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면 다른 임의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로 구성하여 심재(100)와 외장부재(200)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보강부재(300)로 인하여 심재(100)를 절단하고 회전시킬 필요없이 심재(100) 그대로의 표면(110) 및 보강부재(300)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외장부재(200)를 부착시키더라도 전혀 문제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300)로 인하여 운반시에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패널의 굽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심재(100)는 단열, 방풍, 방음 및 내화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심재(100)의 성능을 패널이 갖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심재(100)의 성능에 따라 화재 발생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흡음재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방음효과를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 및 보온효과도 가질 수 있다.
상기 심재(100)는 글라스울(glass fiber), 암면, 미네랄울(mineral fiber),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섬유소가 일정한 결을 갖는 판상형의 형태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글라스울 보드를 절단하고 정렬시키는 과정이 필요하였는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내장용 심재의 부착방법에 의하여 글라스울 보드를 자르고 정렬시키는 복잡한 공정을 단축시킴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인건비 및 설비비를 줄여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래에 글 라스울 보드를 절단하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절단 과정시에 발생하는 분진을 방지할 수 있다.
심재에 대해 더 설명하면, 심재는 샌드위치패널에서 외장부재 사이에 들어간 단열재를 지칭하는 것으로, 샌드위치 패널에 사용되는 심재의 종류는 폴리스틸렌, 난연 EPS(Expandable Polystyrene), 폴리우레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암면, 글라스울, 미네랄울, 허니콤, 목재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다양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심재의 재료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글라스울, 암면, 미네랄울,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이 섬유소로 이루어진 것을 일정한 결을 갖는 판상형의 형태로 적층시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심재의 재료는 세라믹 등과 같은 무기화합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글라스울 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라 글라스울 보드를 이용하여 패널을 제작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a는 글라스울 보드의 절단 방향을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절단한 글라스울을 삽입하여 제작한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심재를 이용하여 제작한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패널에서 심재와 보강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글라스울 보드 110: 글라스울 보드 표면
120: 글라스울 보드 측면 200: 외장부재
210: 패널의 상판 220: 패널의 하판
300: 보강부재

Claims (4)

  1. 글라스울, 암면, 미네랄울,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섬유소가 일정한 결을 갖는 판상형의 형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심재의 양 측면에 보강부재를 형성하고;
    양 측면에 상기 보강부재가 형성된 상기 심재를 한 쌍으로 이루어진 외장부재 사이에 삽입하고;
    상기 심재와 보강부재의 표면에 외장부재를 부착하는
    패널 내장용 심재의 부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단열, 방풍, 방음 및 내화성을 구비한
    패널 내장용 심재의 부착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강성 및 접착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패널 내장용 심재의 부착방법.
KR1020080059155A 2008-04-29 2008-06-23 패널 내장용 심재의 부착방법 KR101002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120 2008-04-29
KR20080040120 2008-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293A KR20090114293A (ko) 2009-11-03
KR101002629B1 true KR101002629B1 (ko) 2010-12-21

Family

ID=4155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155A KR101002629B1 (ko) 2008-04-29 2008-06-23 패널 내장용 심재의 부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6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4281A (ja) * 1996-07-31 1998-02-17 Mitsui Petrochem Ind Ltd 複合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45453A (ja) 1998-07-24 2000-02-15 Nippon Light Metal Co Ltd サンドイッチパネル
KR200332976Y1 (ko) 2003-08-08 2003-11-12 주식회사 대하가구산업 가구용 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4281A (ja) * 1996-07-31 1998-02-17 Mitsui Petrochem Ind Ltd 複合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45453A (ja) 1998-07-24 2000-02-15 Nippon Light Metal Co Ltd サンドイッチパネル
KR200332976Y1 (ko) 2003-08-08 2003-11-12 주식회사 대하가구산업 가구용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293A (ko) 200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25289A2 (en) Straight joint for sandwich panels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MXPA01012664A (es) Elemento de aislamiento de sonido emparedado.
WO2012001399A1 (en) Improved insulation panel
RU2656260C2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здания с улучшенной теплоизоляцией и здание, построенное при помощи этого способа
JP4361863B2 (ja) マット状無機繊維製断熱材およびその梱包体
EP2256265B1 (en) Insulated multilayer sandwich panel
JP2017101402A (ja)
JP2017193951A (ja) 二重構造材
CN102066672A (zh) 用于建筑结构的隔离建筑系统
KR101002629B1 (ko) 패널 내장용 심재의 부착방법
KR101375028B1 (ko) 구조용 목재가 포함된 단열복합패널 및 그 단열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KR102368685B1 (ko) 건축용 복합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5991229B2 (ja) 建物壁部の耐火構造
KR102383307B1 (ko)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40175255A1 (en) Composite framing member comprising elements that provide a thermal break
KR200371935Y1 (ko) 휨강도가 향상된 조립식 패널
JP3243101U (ja) 層間塞ぎ材
WO2012053285A1 (ja) 断熱部材及び断熱パネル取付構造
JP7152788B2 (ja) 耐火構造物の施工方法
JP4309899B2 (ja) 鉄骨柱等の外側目地用断熱材及びそれを用いた断熱構造
EP3385464B1 (en) Insulating panel and method for fixing thereof
JP2018514669A (ja) 建築部材及び関連補強デバイス
JP4317775B2 (ja) 既存外装壁の耐震改修方法
KR101421903B1 (ko) 목조 건축물의 벽면구조체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벽면구조체
KR20070095515A (ko) 단열형 스틸 스터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