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9411A - 콩 정선기의 복각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콩 정선기의 복각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9411A
KR20180019411A KR1020160103737A KR20160103737A KR20180019411A KR 20180019411 A KR20180019411 A KR 20180019411A KR 1020160103737 A KR1020160103737 A KR 1020160103737A KR 20160103737 A KR20160103737 A KR 20160103737A KR 20180019411 A KR20180019411 A KR 20180019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s
frame
angle
bea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4671B1 (ko
Inventor
김상완
박성훈
Original Assignee
김상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완 filed Critical 김상완
Priority to KR1020160103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671B1/ko
Publication of KR20180019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8Control

Landscapes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진 이송벨트의 마찰력과 콩알의 구름특성을 이용하여 탈곡된 콩을 정선하는 콩 정선기의 복각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선기에 설치되는 쭉정이 제거부에서 정상 콩의 흐름 각과 불량 콩의 이송 각 두 가지 모두를 콩의 종류는 물론이고 크기에 따라 최적의 정선각도(복각)로 조절하여 콩의 정선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이송벨트(34)가 프레임(30a)의 내부에 설치된 쭉정이 제거부(30)와, 상기 프레임(30a)의 일단 저면에 설치되어 프레임(30a)의 일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힌지부(60)와, 상기 프레임(30a)의 타단 저면에 설치되어 프레임(30a)의 타단 전면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힌지부(61)와, 상기 프레임(30a)의 타단 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콩의 이송각(α)을 조절하는 이송각 조절부(70)와, 상기 제2 힌지부(61) 및 이송각 조절부(70)가 상면에 설치되며 콩의 흐름각(β)을 조절하는 흐름각 조절부(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콩 정선기의 복각조절장치{omitted}
본 발명은 경사진 이송벨트의 마찰력과 콩알의 구름특성을 이용하여 탈곡된 콩을 정선하는 콩 정선기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정선기에 설치되는 쭉정이 제거부에서 정상 콩의 흐름 각과 불량 콩의 이송 각 두 가지 모두를 콩의 종류는 물론이고 크기에 따라 최적의 정선각도(복각)로 조절하여 콩의 정선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콩 정선기의 복각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콩은 가을철에 밭으로부터 콩 대를 베어 건조시킨 다음 콩 탈곡기를 이용하거나, 수작업으로 털어 수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잘 건조된 콩 대를 별도의 콩 탈곡기에 차례로 투입하면 콩 대로부터 콩이 자동으로 탈곡되어 배출구로 배출되는데, 이와 같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콩은 그 크기가 각각 다르며 여러 종류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콩 탈곡기로부터 탈곡된 크기가 다르게 혼입된 콩은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크기별로 선별하여야 수매가를 높게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콩 탈곡기로부터 탈곡된 콩에서 이물질을 자동으로 걸러내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탈곡된 콩으로부터 이물질을 일일이 골라내어야 되었으므로 많은 양의 콩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이물질을 걸러내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탈곡된 콩에는 쭉정이는 물론이고 크기가 작은 콩이 섞여 있어 높은 수매가를 받을 수 없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출원인에 의해 새로운 타입의 콩 정선기가 개발되어 실용신안 제427517호(2006.09.21.)로 등록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콩 탈곡기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콩 탈곡기의 쭉정이 제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 콩 탈곡기의 쭉정이 제거부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1)과, 콩(2)을 이송시키는 제 1, 2 이송부(10)(40), 콩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20), 이물질이 제거된 콩으로부터 쭉정이(3)를 제거하는 쭉정이 제거부(30), 그리고 정선된 콩을 크기별로 분류하는 콩 선별부(5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의 일 측에는 호퍼(11)에 채워진 콩을 상부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이송부의 일 측으로는 쭉정이 제거부(30)에서 쭉정이(3)가 제거된 콩(2)이 중간 호퍼(31)에 담김에 따라 이를 콩 선별부(50)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 2 이송부(4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제 1, 2 이송부(10)(40)는 2개의 풀리 사이에 벨트를 감고 벨트 상에는 일정 간격으로 콩을 퍼 옮기는 버켓을 고정하여 모터의 구동으로 벨트가 이동함에 따라 버켓이 콩을 퍼 상부로 이송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레임(1)의 상부에는 제 1 이송부(10)를 통해 이송된 콩(2)이 공급관(12)을 통해 투입됨에 따라 채의 원리와 같이 흔들어 이송시키면서 콩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하부에는 이물질 제거부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콩이 이송됨에 따라 콩에 포함된 쭉정이(3)를 제거하는 쭉정이 제거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쭉정이 제거부(30)는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판(32)에 형성된 토출공(32a)을 향해 X - Y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모터(33)의 구동에 따라 동시에 동일방향의 궤적을 그리며 회전하는 복수 개의 이송벨트(34)와, 상기 각 이송벨트의 하향 경사면 상에 설치되어 콩의 흐름을 제어하는 물결무늬의 선별판(35)과, 상기 각 이송벨트의 콩 인입부에 설치되어 정상적인 콩의 상향 이동을 억제함과 동시에 쭉정이(3)만을 통과시키는 스토퍼(도시는 생략함)와, 상기 이송벨트의 후단 직하방에 설치되어 이송벨트에 의해 제거된 쭉정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스크류(3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벨트(34)는 한 쌍의 측판(32)에 고정된 축(38)에 감싸져 있는데, 상기 배출 스크류(37)는 커버(39)에 의해 감싸져 있다.
상기 스토퍼는 정상적인 콩(2)이 이송벨트(34)의 이송에 따라 쭉정이(3)와 함께 상향 경사면으로 이송되려고 할 때, 콩의 이송을 억제하여 쭉정이(3)만이 이송되도록 하고 물결무늬의 선별판(35)은 이송벨트(34)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인해 둥그런 콩(2)이 토출공(32a) 측으로 빠르게 굴러가지 않도록 제어하여 보다 오랜 시간 이송벨트(34) 상에 머무르도록 하여 쭉정이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토출공(32a)을 향해 X - Y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이송벨트(34)는 정선하고자 하는 콩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콩의 이송에 걸리는 시간이 각기 다르므로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과 측판(32)에 고정되어 모터(33)가 설치되는 브라켓(24) 사이에 턴버클(23)을 설치하여 이송벨트(34)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지의 콩 탈곡기에서 탈곡되어 각종 이물질(콩 대, 콩깍지, 모래, 자갈 등)이 섞인 콩(2)을 제 1 이송기(10)의 일 측에 위치된 호퍼(11) 내에 넣고 호퍼의 개폐판(도시는 생략함)을 열면 호퍼(11) 내의 콩이 이물질과 함께 자중에 의해 제 1 이송기(10)의 내부로 투입되므로 정선되지 않은 콩이 버켓에 의해 차례로 상승하여 공급관(12)을 통해 이물질 제거부(2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정선되지 않은 콩이 차례로 이물질 제거부(20) 측으로 공급되면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지지체(도시는 생략함)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편심 축에 링크(도시는 생략함)로 연결되어 있어 일정 범위 내에서 흔들리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는 흡입 팬이 회전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콩에 포함된 가벼운 이물질(콩깍지, 먼지 등)이 흡입 팬의 구동으로 송출구(2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모래 등은 하부에 형성된 타공망(도시는 생략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콩에 포함된 이물질이 이물질 제거부(20)에서 제거된 상태로 측판(32)에 형성된 인입공(32b)을 통해 각 이송벨트(34)의 상면으로 공급되면 이물질 제거부에서 제거되지 않은 쭉정이(3) 및 조그만 돌이 제거된다.
즉, 축(38)에 감겨져 모터(33)의 구동에 따라 일 방향(이송벨트의 경사진 상측)으로 회전하는 이송벨트(34)의 상면으로 콩이 유입되면 콩은 이송벨트에 얹혀져 상면으로 이송되려고 하지만 콩은 둥그런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하방으로 굴러 떨어지게 되고, 둥그렇지 않은 쭉정이(3)만이 이송벨트(34)에 얹혀져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정상적인 콩(2)은 이송벨트(34)가 X - Y축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어 토출공(32a)측으로 빠르게 굴러가려고 하지만, 각 이송벨트(34)의 하향 경사면 끝단에는 도 2b와 같이 물결무늬를 갖는 선별판(35)이 설치되어 있어 둥그런 콩이 하방으로 빠르게 굴러가지 않고 선별판(35)의 굴곡면에 의해 토출공 측으로의 하향 이동이 최대한 억제되므로 콩에 포함된 쭉정이(3)를 보다 정확히 걸러내게 된다.
상기 이송벨트(34)에 얹혀져 이송벨트(34)의 후단으로 이송된 쭉정이(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떨어진 다음 배출 스크류(37)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선별판(35)을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쭉정이(3)가 제거된 양질의 콩(2)은 반대편 측판(32)에 형성된 토출공(32a)을 통해 배출되어 제 2 이송기(40)의 일 측에 설치된 중간 호퍼(31)에 담기게 되므로 제 2 이송기(40) 및 연결관(25)을 통해 콩 선별기(50)의 내부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콩의 크기에 따라 선별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27517(2006.09.21.등록)
그러나 농촌에서 생산되는 여러 종류의 메주콩, 검정콩, 팥 등의 두류를 수확하여 탈곡을 하면 탈곡한 결과물에는 두류뿐만 아니라 흙, 콩대, 콩깍지, 모래 등의 이물질이 함께 섞여있어 종래의 정선기를 이용하여 정선을 실시할 때, 메주콩은 구형에 가깝고, 검정콩은 타원형의 럭비공 형태이고, 팥은 직사각 6면체에 모서리가 둥근 형상으로 이루어졌지만, 정선작업시 흐름 각으로 이동되는 속도에 영향을 주고 벨트이송 속도에 영향을 받게 되므로 정선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작용되었다.
즉, 두류가 이송벨트의 경사각에 의해 흘러가기만 한다면 두 회전축이 일정하여 정선의 품질이 떨어져 정상적인 정선이 불가능하므로 선별판을 설치하여 두류가 흘러가는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정선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있지만, 콩의 종자에 따라 크기와 형상, 무게 등에 차이가 있고 이송벨트의 정상 콩의 이송 각만을 조절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정선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미세조정을 위해서는 이송벨트의 속도를 바꾸기 위해 동력부의 조합을 바꾼다거나 불량 콩의 이송 각을 조성하는 부분의 부품을 바꾸는 등의 기계적 세팅을 재조정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복수 개의 이송벨트가 설치되는 쭉정이 제거부의 전체를 X - Y축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정상 콩의 흐름 각과 불량 콩의 이송 각 두 가지 모두를 콩의 종류는 물론이고 크기에 따라 최적의 정선각도로 조절함으로써 콩의 정선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복수 개의 이송벨트가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쭉정이 제거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단 저면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일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힌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타단 저면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타단 전면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힌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타단 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콩의 이송각(α)을 조절하는 이송각 조절부와, 상기 제2 힌지부 및 이송각 조절부가 상면에 설치되며 콩의 흐름각(β)을 조절하는 흐름각 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정선기의 복각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정산기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콩의 이송각은 물론이고 흐름각을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구성하여 콩의 이송각 및 흐름각을 정선기의 일측에서 핸들로 조절하게 되므로 정선되는 콩의 종류 변경에 따른 종자 전용세팅 또는 전용기계를 추가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고, 이에 따라 영세한 농가에서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둘째, 동일 종류의 콩이라 하더라도 재배하는 지역과 날씨에 따라 해마다 수확되는 콩의 품질상태가 달라지지만, 콩의 이송각 및 흐름각을 조절하여 정선품질을 향상시키므로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 쭉정이 제거부에서 콩의 정선조절에 필요한 3가지 변수인 이송벨트의 이송속도, 이송각 흐름각 중 2가지 변수의 조절이 용이하므로 정선기능의 폭을 극대화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콩 탈곡기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콩 탈곡기의 쭉정이 제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콩 탈곡기의 쭉정이 제거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이송벨트 및 배출 스크류의 구동원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a는 이송각 및 흐름각이 최소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b는 이송각 및 흐름각을 크게 조절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쭉정이 제거부에서 콩의 흐름 및 이송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이송각 및 흐름각의 조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써, 본 발명에서 종래의 정선기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쭉정이 제거부(30)를 구성하는 프레임(30a)의 내부에 복수 개의 이송벨트(3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30a)의 일단 저면에는 프레임(30a)의 일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힌지부(6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30a)의 타단 저면에는 프레임(30a)의 타단 전면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힌지부(62)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힌지부(60)는 베이스(도시는 생략함)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0a)의 타단 후면에 콩의 이송각(α)을 조절하는 이송각 조절부(7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힌지부(61) 및 이송각 조절부(70)의 저면에는 콩의 흐름각(β)을 조절하는 흐름각 조절부(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각 조절부(70)는, 도 5 내지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흐름각 조절부(80)에 힌지 결합되게 설치된 하판(71)과, 상기 하판(71)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제1 링크(72)와, 상기 제1 링크(72)의 상부에 설치되어 프레임(30a)의 후면 저부에 힌지 결합된 상판(73)과, 상기 제1 링크(72)의 후단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링크(72)의 전단에는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제1 링크(72)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제1 리드스크류(74)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흐름각 조절부(80)는, 정선기의 베이스(도시는 생략함)에 고정 설치된 지지판(81)과, 상기 지지판(81)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제2 링크(82)와, 상기 제2 링크(82)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각 조절부(70)가 설치되도록 하는 승강부재(83)과, 상기 제2 링크(82)의 후단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링크(82)의 전단에는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제2 링크(82)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제2 리드스크류(84)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이송각 조절부(70) 및 흐름각 조절부(80)의 제1, 2 리드스크류(74)(84)는 핸들(90)에 고정된 로드(91)를 선택적으로 맞물려 회전시킴에 따라 콩의 이송각(α) 및 흐름각(β)이 조절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제1, 2 리드스크류(74)(84)를 이용하지 않고 공압 또는 유압 등을 이용한 리프트수단을 이용하여 상판(73) 또는 승강부재(83)를 승, 하강시킬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한 설명은,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소의 이송각(α) 및 흐름각(β)으로 조절되어 있는 상태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송각(α) 및 흐름각(β)이 최소인 상태에서 콩의 정선작업을 실시하면 둥그런 상태의 콩은 정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만, 타원형의 럭비공 형태인 검정콩이나, 직사각 6면체에 모서리가 둥그런 팥은 정선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 정선 속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송각(α)을 크게 설정하기 위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90)이 일체로 형성된 로드(91)를 제1 리드스크류(74)에 결합한 상태에서 핸들(9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리드스크류(74)의 일단은 한 쌍의 제1 링크(72) 후단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단은 한 쌍의 제1 링크(72) 전단에 나사 결합되어 있어 도 7b와 같이 제1 링크(72)의 높이가 높아져 프레임(30a)의 후단을 들어올리게 되므로 콩의 이송각(β)이 커지게 된다.
즉, 제2 이송부(40)를 통해 이송벨트(34)로 공급된 콩(2)으로부터 쭉정이(3)를 선별시 콩의 이송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이와는 달리 콩의 흐름각(β)이 커지도록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는 달리 도 5에 위치하는 핸들(90)을 제1 리드스크류(74)에서 분리하여 제2 리드스크류(84)에 결합한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9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리드스크류(84)의 일단은 한 쌍의 제2 링크(82) 후단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단은 한 쌍의 제2 링크(82) 전단에 나사 결합되어 있어 도 7b와 같이 제2 링크(82)의 높이가 높아져 이송각 조절부(70)의 전체가 동일하게 제1 힌지부(60)를 중심으로 상승하므로 선별된 쭉정이(3)가 양질의 콩(2)에 혼입되지 않고 이송벨트(34)에 얹혀진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고, 이에 따라, 정상 콩의 흐름 각과 불량 콩의 이송 각을 콩의 종류는 물론이고 크기에 따라 최적의 정선각도로 조절함으로써 콩의 정선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0 : 쭉정이 제거부 30a : 프레임
34 : 이송벨트 60 : 제1 힌지부
61 : 제2 힌지부 70 : 이송각 조절부
71 : 하판 72 : 제1 링크
73 : 상판 74 : 제1 리드스크류
80 : 흐름각 조절부 81 : 지지판
82 : 제2 링크 83 : 승강부재
84 : 제2 리드스크류 90 : 핸들
91 : 로드 α : 이송각
β : 흐름각

Claims (3)

  1. 복수 개의 이송벨트(34)가 프레임(30a)의 내부에 설치된 쭉정이 제거부(30)와, 상기 프레임(30a)의 일단 저면에 설치되어 프레임(30a)의 일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힌지부(60)와, 상기 프레임(30a)의 타단 저면에 설치되어 프레임(30a)의 타단 전면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힌지부(61)와, 상기 프레임(30a)의 타단 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콩의 이송각(α)을 조절하는 이송각 조절부(70)와, 상기 제2 힌지부(61) 및 이송각 조절부(70)가 상면에 설치되며 콩의 흐름각(β)을 조절하는 흐름각 조절부(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정선기의 복각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각 조절부(70)는, 흐름각 조절부(80)에 힌지 결합되게 설치된 하판(71)과, 상기 하판(71)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제1 링크(72)와, 상기 제1 링크(72)의 상부에 설치되어 프레임(30a)의 후면 저부에 힌지 결합된 상판(73)과, 상기 제1 링크(72)의 후단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링크(72)의 전단에는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제1 링크(72)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제1 리드스크류(7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정선기의 복각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흐름각 조절부(80)는, 정선기의 베이스에 고정 설치된 지지판(81)과, 상기 지지판(81)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제2 링크(82)와, 상기 제2 링크(82)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각 조절부(70)가 설치되도록 하는 승강부재(83)과, 상기 제2 링크(82)의 후단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링크(82)의 전단에는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제2 링크(82)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제2 리드스크류(8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정선기의 복각조절장치.
KR1020160103737A 2016-08-16 2016-08-16 콩 정선기의 복각조절장치 KR101844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737A KR101844671B1 (ko) 2016-08-16 2016-08-16 콩 정선기의 복각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737A KR101844671B1 (ko) 2016-08-16 2016-08-16 콩 정선기의 복각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411A true KR20180019411A (ko) 2018-02-26
KR101844671B1 KR101844671B1 (ko) 2018-04-02

Family

ID=6153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737A KR101844671B1 (ko) 2016-08-16 2016-08-16 콩 정선기의 복각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6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4651A (zh) * 2019-04-01 2019-07-02 马强 一种大豆加工预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3645A (en) * 1982-12-02 1986-04-22 Shoichi Yamamoto Vibratory grain separating apparatus used with rice-hulling apparatus
JP4389481B2 (ja) * 2003-05-30 2009-12-24 井関農機株式会社 ベルト選別装置
KR100642077B1 (ko) * 2006-01-06 2006-11-13 김윤호 회전롤러 선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4651A (zh) * 2019-04-01 2019-07-02 马强 一种大豆加工预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671B1 (ko) 201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7017U (ja) 穀物用選別機
US6976591B2 (en) Food-stuff physical characteristic sor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844671B1 (ko) 콩 정선기의 복각조절장치
US20060113224A1 (en) Adjustable size sorting apparatus for small produce
US5810175A (en) Adjustable size sorting apparatus for round produce
JP4678168B2 (ja) 脱ぷ機における摺り出し米の均分装置
KR101448432B1 (ko) 선별기용 공급장치
CN113475591A (zh) 一种绿茶生产工艺
KR101539062B1 (ko) 콩 선별장치
US20090090255A1 (en) Agricultural product peeling apparatus
JPS62778Y2 (ko)
KR102458453B1 (ko)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JPS5854235Y2 (ja) 揺動選別装置における穀粒取出口補助調節板
CN209810663U (zh) 一种谷物清选装置
KR19990046143A (ko) 통마늘의분리·박피및선별장치
JP3649250B2 (ja) 籾摺選別機
JP3555897B2 (ja) 脱穀選別装置
KR200309458Y1 (ko) 콩 탈곡장치
JPH0664778U (ja) 籾粗選用選別機
KR930001709Y1 (ko) 건어멸치의 선별장치
US897271A (en) Grain-cleaner for wild peas and cockle.
US392713A (en) Fanning-mill
CN113475592A (zh) 一种连续生产绿茶的系统
US2315385A (en) Threshing machine
JP2003080175A (ja) 選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