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9034A - 조립성을 향상시킨 텀블러 스위치 - Google Patents

조립성을 향상시킨 텀블러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9034A
KR20180019034A KR1020160090909A KR20160090909A KR20180019034A KR 20180019034 A KR20180019034 A KR 20180019034A KR 1020160090909 A KR1020160090909 A KR 1020160090909A KR 20160090909 A KR20160090909 A KR 20160090909A KR 20180019034 A KR20180019034 A KR 20180019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nnection
terminal
wedge
lock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홍
Original Assignee
(주)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 filed Critical (주)대성
Priority to KR1020160090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9034A/ko
Publication of KR20180019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8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01H23/162Driving mechanisms incorporating links interconnecting tumbler and contact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성을 향상시킨 텀블러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치 노브의 좌우 시소운동을 통해 실내 전등 등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텀블러 스위치에 있어서, 스위치 노브가 결합되는 스위치 단자를 종래의 브래킷 후면이 아닌, 브래킷 전면으로 끼워서 원터치로 조립하여 조립성을 향상키실 수 있도록, 스위치 단자의 몸체 좌우 외측면 후단부 및 전단부에 각각 제1, 제2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브래킷의 장착홀 내측면 후단부 및 전단부에 각각 상기 제1, 제2 걸림돌기가 걸림 결합되는 제1, 제2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텀블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성을 향상시킨 텀블러 스위치{TUMBLER SWITCH}
본 발명은 조립성을 향상시킨 텀블러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치 노브의 좌우 시소운동을 통해 실내 전등 등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텀블러 스위치에 있어서, 스위치 노브가 결합되는 스위치 단자를 종래의 브래킷 후면이 아닌, 브래킷 전면으로 끼워서 원터치로 조립하여 조립성을 향상키실 수 있도록, 스위치 단자의 몸체 좌우 외측면 후단부 및 전단부에 각각 제1, 제2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브래킷의 장착홀 내측면 후단부 및 전단부에 각각 상기 제1, 제2 걸림돌기가 걸림 결합되는 제1, 제2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텀블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텀블러 스위치는, 스위치 노브를 좌우 어느 일측으로 눌러서 내부의 스위치 단자에 마련된 접속단자들을 접속시켜 전원을 온시키기고, 반대로 스위치 노브를 좌우 반대방향 타측으로 눌러서 상기 접속단자들을 접속 해제시켜, 전원의 공급을 온오프 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주로 실내 전등 등의 전원 온오프작동에 사용된다.
이러한 텀블러 스위치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벽체 하우징에 마련된 전기 배선과 연결되어 설치된다.
그런데 등록실용신안 제20-0405520호, 공개특허 제10-2016-0003799호, 등록실용신안 제20-0258338호, 실용신안실안 제1994-0007344호와 같이, 현재 설치되는 대부분의 텀블러 스위치는 스위치 단자를 브래킷의 후면으로 끼워서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조립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즉, 스위치 단자의 브래킷 후면 조립 구조로 인하여, 벽체 하우징에 브래킷을 결합하기 전에, 벽체 하우징에 마련된 전기 배선을 스위치 단자에 먼저 연결한 후, 브래킷, 스위치 노브, 외부 커버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설치되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
특히 브래킷과 스위치 단자의 조립이 선행된 상태에서만 브래킷을 벽체 하우징에 결합할 수 있어, 전기 배선의 정리가 불편하고, 경우에 따라 브래킷과 벽체 하우징의 결합 중에 전기 배선이 끼거나 물려서 텀블러 스위치가 고장나거나 텀블러 스위치를 재설치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텀블러 스위치에서 브래킷의 후면으로 스위치 단자가 조립되는 것과 다르게, 브래킷의 전면으로 스위치 단자의 원터치 조립이 가능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 단자의 몸체 좌우 외측면 후단부 및 전단부에 각각 제1, 제2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브래킷의 장착홀 내측면 후단부 및 전단부에 각각 상기 제1, 제2 걸림돌기가 걸림 결합되는 제1, 제2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텀블러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위치 노브와 연동하는 스위치의 좌우 시소운동을 위한 결합 구조를 간소화하고, 스위치와 몸체의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몸체의 양 축부 내측면에 오목 형성된 쐐기형 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쐐기형 축홈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치의 상하 외측면에 쐐기형 축돌기가 형성되어, 쐐기형 축돌기의 전단 꼭지점이 지지되는 쐐기형 축홈의 전단 꼬기점을 축으로 상기 스위치가 좌우 시소운동하도록 결합되는 텀블러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 단자의 전원 연결수단으로 마련된 제1 접속단자와 제2 접속단자가 상기 스위치의 좌우 시소운동에 연동하여 정확하게 단속(斷續)되며, 제1, 제2 접속단자의 단속 구조가 간소화되면서도 회동하는 제1 접속단자가 구비된 접속판이 끊어지는 등의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접속핀에 마련된 'V'자형 지지부에, 제1 접속단자가 구비된 접속판의 후단이 지지되어, 상기 스위치의 좌우 시소운동에 의해 상기 접속판이 상기 'V'자형 지지부를 축으로 좌우 회동하여 제1 접속단자와 제2 접속단자가 단속되는 텀블러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서로 분리된 형태로 지지되는 접속판과 제1 접속핀의 접촉이 상시적으로 유지되어 전기 접속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스위치의 관체부에 상기 접속판의 전단이 걸림 결합되며, 관체부에 내장된 코일스프링이 상기 접속판을 'V'자형 지지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된 텀블러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 스위치는,
전원의 온오프 동작을 위한 접속단자들이 내장되어 있고, 좌우 각 외측면 후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외측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1 걸림돌기와, 좌우 각 외측면 전단부에서 돌출 형성된 제2 걸림돌기와, 상하 각 외측면 전단부에 형성된 축부를 구비한 몸체,
상기 몸체의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접속단자들이 단속(斷續)되도록 동작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진 스위치 단자;
전후 관통 형성된 장착홀, 상기 장착홀의 내측면 후단부에 형성된 제1 걸림턱, 상기 장착홀의 내측면 전단부에 형성된 제2 걸림턱을 구비한 브래킷; 및
상기 축부를 축으로 좌우 시소운동을 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가 온오프 동작되도록 하는 스위치 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스위치 단자가 상기 장착홀의 전방으로 끼워져, 상기 제1 걸림돌기의 전단이 상기 제1 걸림턱에 접촉하여 걸림 결합되고, 상기 제2 걸림돌기의 후단이 상기 제2 걸림턱에 접촉하여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 스위치에서,
상기 몸체는, 상기 축부의 내측면에 오목 형성된 쐐기형 축홈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하 각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쐐기형 축홈에 수용되는 쐐기형 축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쐐기형 축돌기의 첨단부에 지지되는 상기 쐐기형 축홈의 전단 꼭지점을 축으로, 상기 스위치가 좌우 시소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 스위치에서,
상기 몸체에 마련된 전원 연결수단은,
제1 전기배선이 연결되고, 'V'자 형 지지부를 구비한 제1 접속핀,
제2 전기배선이 연결된 제2 접속핀,
후단이'V'자형 지지부에 지지되어 연결된 접속판,
상기 접속판과 상기 제2 접속핀에 각각 구비되어 있되,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 배치된 제1 접속단자와 제2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스위치의 좌우 시소운동에 의해, 상기 접속판이 상기 'V'자형 지지부를 축으로 좌우 회동하여 상기 제1 접속단자와 상기 제2 접속단자가 단속(斷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 스위치에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접속판의 전단이 걸림 결합되는 관체부와, 상기 관체부에 내장되어 상기 접속판을 상기 'V'자형 지지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 스위치는, 스위치 노브가 시소운동하도록 결합되는 스위치 단자가, 브래킷의 후면이 아닌 전면으로 끼워지면서 쉽게 걸림 결합되어 텀블러 스위치의 조립성을 향상시켜 설치가 쉽고 편하며,
몸체의 쐐기형 축홈과 스위치의 쐐기형 축돌기 지지 구조를 통해 스위치가 좌우 시소운동 하도록 결합되어 구조 설계를 간소화하고, 스위치와 몸체의 결합이 간편하고,
제1 접속핀의 'V'자형 지지부를 축으로 좌우 회동하는 분리형 접속판에 제1 접속단자를 구비하여, 스위치에 의해 제1 접속단자가 제2 접속단자와 단속될 때 접속판의 반복적인 형상 변위에 따라 전기 접속이 끊어지거나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접속판의 전단이 걸림 결합되는 스위치의 관체부에 접속판을 후방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이 내장되어 서로 분리된 접속판과 제1 접속핀의 전기적 연결 구조가 상시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 스위치의 정면도 및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 스위치의 1차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단자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으로 표시한 분해 평면도.
도 5는 도 1의 B-B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단자의 정면도 및 C-C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 스위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스위치 노브(60)가 노출되는 방향을 정면으로 하여, 정면에서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도 3, 도 4의 [B], 도 5, 도 6의 [B]의 단면도와 관련된 설명에서는 도면에서의 상하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특정하여 설명하며,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 스위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정면도이고,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 본 발명의 1차 분해 사시도 및 스위치 노브(60)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에 도시된 A-A 단면도이고,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스위치 단자(ST) 분해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를 전후 수평방향의 단면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B-B 단면도이고,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스위치 단자(ST) 정면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에 도시된 C-C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 전등과 같은 전기 제품의 전원 온오프를 위한 텀블러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크게 벽체 하우징(미도시)에 마련된 전기 배선(미도시)과 연결되는 스위치 단자(ST), 상기 스위치 단자(ST)가 장착되고 벽체 하우징에 결합되는 브래킷(50), 상기 스위치 단자(ST)를 동작시키는 스위치 노브(60), 상기 스위치 노브(60)를 전면 노출시키면서 상기 브래킷(50)을 덮으면서 결합되는 외부 커버(70)를 포함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스위치 단자(ST), 브래킷(50), 스위치 노브(60), 외부 커버(70) 상호간의 조립 구조를 먼저 설명하고, 스위치 단자(ST)에 내장된 전원 연결수단(30)의 세부 구성 및 전기적 연결 구조를 후술한다.
먼저 상기 스위치 단자(ST)는, 전원의 온오프 동작을 위한 접속단자들(32)(33)을 포함한 전원 연결수단(30)이 내장된 몸체(T)와, 상기 몸체(T)의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접속단자들(32)(33)이 단속(斷續)되도록 하는 스위치(S)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T)는, 전면 하우징(10)과, 후면 하우징(20)이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전원 연결수단(30)이 내장된다.
상기 전면 하우징(10) 및 상기 후면 하우징(20)은 각각, 후크 결합을 위한 후크홈(15)과 후크돌기(21)가 각 하우징의 상하 외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전면 하우징(10)은, 좌우 각 외측면 후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1 걸림돌기(11)와, 좌우 각 외측면 전단부에서 돌출 형성된 제2 걸림돌기(12)와, 상하 각 외측면 전단부에 형성된 축부(13)를 구비하고,
전면에 전후 관통 형성된 삽입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걸림돌기(11)는 탄성 지지를 위해 전단이 전면 하우징(10)과 연결된 연결편(11A)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브래킷(50)의 제1 걸림턱(52)에 걸림 결합된다.
상기 제2 걸림돌기(12)는 전면 하우징(10)의 좌우 각 외측면 전단부에서, 상기 제1 걸림돌기(11)와 엇갈리는 위치의 상하부에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브래킷(50)의 제2 걸림턱(53)에 걸림 결합된다.
상기 축부(13)는, 상기 삽입부(14)의 상하측 전단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스위치 노브(60)의 후면에 형성된 축결합부(61)에 끼워져, 스위치 노브(60)가 축부(13)를 축으로 좌우 시소운동을 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축부(13)의 내측면, 즉 상기 삽입부(14)의 상하 각 내측면에는,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쐐기형 축홈(13A)이 형성되어, 스위치(S)의 쐐기형 축돌기(41)가 수용된다.
상기 후면 하우징(20)은, 상기 전면 하우징(10)과 후크 결합되는 박스형 부재로, 좌우 각 외측면 전단부에 상기 연결편(11A)의 제1 걸림돌기(11)가 수용되는 안착홈(22)이 형성되어, 제1 걸림돌기(11)에 외압이 가해질 때 연결편(11A)이 내측으로 형상 변위 후 외압이 해제되었을 때 연결편(11A)이 외측으로 원상 복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후면 하우징(20)의 후면에는, 내부의 전원 연결수단(30)과 전기 배선이 결되도록 하는 단자홀(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S)는, 상기 몸체(T)의 삽입부(14)에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상기 전원 연결수단(30)의 접속단자들(32)(33)이 단속되도록 동작하는 것으로,
삽입부(14) 전면으로 노출되는 버튼부(40)와, 상기 버튼부(40)의 후면으로 연장 연결되어 몸체(T) 내부로 삽입되는 관체부(42)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부(40)는 전면에 상기 스위치 노브(60)가 결합되며,
상기 관체부(42)는, 상하 외주면 후단부에 걸림홈(42a)들이 형성되어, 접속판(32A)의 전단에 돌출된 센터돌기(32a)가 상기 관체부(42)로 삽입되면서, 접속판(32A)의 상측단 및 접속판(32A)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32b)가 각 걸림홈(42a)에 걸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관체부(42)에는 걸림 결합되는 접속판(32A)의 센터돌기(32a)가 끼워져 접속판(32A)을 후방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43)이 내장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S)는 버튼부(40)의 상하 각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쐐기형 축돌기(41)를 포함한다.
상기 쐐기형 축돌기(41)는 상기 쐐기형 축홈(13A)의 전단 꼭지점(13a)에 상응하는 형태의 첨단부(41a)를 갖는 것으로,
스위치(S)를 전면 하우징(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부(14)에 끼우면, 상기 쐐기형 축돌기(41)가 상기 쐐기형 축홈(13A)에 수용되면서, 상기 쐐기형 축돌기(41)의 첨단부(41a)가 상기 쐐기형 축홈(13A)의 전단 꼭지점(13a)을 지지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스위치(S)는, 상기 쐐기형 축홈(13A)의 전단 꼭지점(13a)을 축으로 좌우 시소운동을 하여, 관체부(42)에 걸림 결합된 접속판(32A)을 좌우 회동시킨다.
상기 브래킷(50)은, 벽체 하우징에 결합되어 장착되는 스위치 단자(ST)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전후 관통 형성된 장착홀(51), 상기 장착홀(51)의 내측면 후단부에 형성된 제1 걸림턱(52), 상기 장착홀(51)의 내측면 전단부에 형성된 제2 걸림턱(53)을 구비한다.
상기 장착홀(51)은, 상기 스위치 단자(ST)의 몸체(T)가 브래킷(50)의 전면으로 끼워져 장착되는 것으로, 브래킷(50)의 상하측으로 복수개의 장착홀(51)이 형성되어 각 장착홀(51)에 복수개의 스위치 단자(ST)가 개별적으로 장착될 수 있고,
도면에서는 대표적으로 복수개의 장착홀(51) 중 1개의 장착홀(51)에, 스위치 노브(60)가 결합되는 1개의 스위치 단자(ST)가 장착되어, 단일 실내 전등의 전원 온오프가 이루어지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소형 스위치 노브 복수개를, 각 장착홀(51)에 장착된 스위치 단자(ST)에 연결하여 복수개의 실내 전등 전원 온오프가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걸림턱(52)은, 장착홀(51)의 내측면 후단부에서 상기 제1 걸림돌기(11)와 동일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걸림턱은(53)은, 장착홀(51)의 내측면 전단부에서 제1 걸림턱(52)을 사이에 두도록 상기 제2 걸림돌기(12)와 동일 높이에서 한 쌍이 형성된다.
이러한 브래킷(50)은, 벽체 하우징 및 외부 커버(70)의 결합을 위한 각종 나사홀 내지 관통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치 노브(60)는, 상기 축부(13)를 축으로 좌우 시소운동 하도록 상기 스위치(S)에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S)의 온오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후면에, 상기 축부(13)가 끼워지는 축결합부(61)와, 스위치(S)의 버튼부(40)에 결합되는 결합돌기(62)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노브(60)는 상하 각 외측면에 돌출된 지지돌기(63)를 구비하여, 브래킷(50)의 장착홀(51) 상하 각 외측면 전단에 마련된 단턱부(미지칭)에 상기 지지돌기(63)가 걸림 지지되어, 스위치 노브(60)가 좌우 수평방향으로만 시소운동을 하도록 하며, 이러한 지지돌기(63)는, 외부 커버(70)와 브래킷(50)의 단턱부 사이에 걸림 결합되어 스위치 노브(60)의 좌우 시소운동을 위한 축으로써 기능한다.
상기 외부 커버(70)는, 전후 관통 형성된 노출홀(71)을 구비하여, 상기 스위치 노브(60)가 전면 노출되는 것으로, 브래킷(50)의 전면에 결합되어 텀블러 스위치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구조의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단자(ST)가 상기 장착홀(51)의 전방으로 끼워져, 상기 제1 걸림돌기(11)의 전단이 상기 제1 걸림턱(52)에 접촉하여 걸림 결합되고, 상기 제2 걸림돌기(12)의 후단이 상기 제2 걸림턱(53)에 접촉하여 걸림 결합된다.
즉 스위치 단자(ST)를 장착홀(51)의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밀어서 끼우면,
제1 걸림돌기(11)가 제1 걸림턱(52)의 전단에 접촉하여 연결편(11A)이 안착홈(22) 내측으로 형상 변위되면서 통과된 후, 제2 걸림돌기(12)가 제1 걸림턱(52)을 벗어나면 연결편(11A)이 원상 복귀되면서, 제1 걸림돌기(11)의 전단이 걸림턱의 후단에 접촉하여 걸림 결합되고,
동시에 제2 걸림돌기(12)는 제2 걸림턱(53)에 접촉하여 걸림 결합되어, 스위치 단자(ST)가 브래킷(50)의 장착홀(51)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1 걸림돌기(11)의 후면 및 상기 제2 걸림턱(53)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걸림턱(52)의 전면은 각각,
서로 대응하는 형태로, 후단 내측부에서 전단 외측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사면부(11a)와 제2 사면부(52a)로 이루어져,
스위치 단자(ST)를 장착홀(51)에 밀어서 끼울 때, 제1 걸림돌기(11)의 제1 사면부(11a)가, 제1 걸림턱(52)의 제2 사면부(52a)에 접촉하면서, 자연스럽게 연결편(11A)이 제2 사면부(52a)를 따라 내측으로 가압되어 형상 변위되고,
제1 걸림돌기(11)가 제2 사면부(52a)를 이탈하여 제1 걸림턱(52)을 통과하면, 연결편(11A)이 원상 복귀되면서 제1 걸림돌기(11)의 전단이 제1 걸림턱(52)의 후단에 걸림 결합되어, 스위치 단자(ST)를 브래킷(50)의 장착홀(51)에 쉽게 조립할 수 있다.
특히 이렇게 브래킷(50)의 전면으로 결합되는 스위치 단자(ST)를 구성하게 되면, 브래킷(50)을 벽체 하우징에 먼저 결합한 상태에서, 스위치 노브(60)가 결합된 스위치 단자(ST)를 단순하게 장착홀(51)로 밀어서 끼우는 것만으로 스위치 단자(ST)의 조립이 완료되므로 텀블러 스위치의 설치가 매우 쉽고 빠르며,
스위치 단자(ST)의 장착 후에는, 제1 걸림돌기(11)와 제1 걸림턱(52)의 걸림 구조로 인해, 스위치 단자(ST)가 장착홀(51)에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몸체(T)에 내장되는 전원 연결수단(30)은,
제1 전기배선(미도시)이 연결되고, 'V'자형 지지부(34a)를 구비한 제1 접속핀(34),
제2 전기배선(미도시)이 연결된 제2 접속핀(35),
후단이'V'자형 지지부(34a)에 지지되어 연결된 접속판(32A),
상기 접속판(32A)과 상기 제2 접속핀(35)에 각각 구비되어 있되,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 배치된 제1 접속단자(32)와 제2 접속단자(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속핀(34)은, 지지판(31)의 후면 일측(도면 상 우측)에 구비되어, 후면에, 제1 전기배선이 연결되는 전선 스프링(36)과 접촉하여 통전되고,
상기 제2 접속핀(35)은, 지지판(31)의 후면 타측에 구비되어, 후면에, 제2 전기배선이 연결되는 전선 스프링(37)과 접촉하여 통전된다.
특히 상기 제2 접속핀(35)에는 제2 접속단자(33)가 고정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제1 접속핀(34)은, 제1 접속단자(32)가 고정되어 있는 접속판(32A)의 후단을 지지하도록 'V' 자형 지지부(34a)가 후방측으로 절곡 연결된다.
상기 접속판(32A)은 전단 상측에 상기 제2 접속단자(33)와 통전 가능한 제1 접속단자(32)를 구비하고, 전단 중앙 부위에 상기 센터돌기(32a)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하측 수직방향으로 상기 끼움돌기(32b)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센터돌기(32a)가 상기 관체부(42)에 내장된 코일스프링(43)의 후단부로 삽입되면서, 접속판(32A)의 상측단과 끼움돌기(32b)가 각각 관체부(42)의 걸림홈(42a)들에 끼워지면서, 접속판(32A)의 후단이 상기 'V'자형 지지부(34a)로 삽입되어, 관체부(42)와 제1 접속핀(34) 사이에 접속판(32A)이 입설된다.
이러한 접속판(32A)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코일스프링(43)에 의해 후방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접속판(32A)과 V'자형 지지부(34a)가 접촉되면서 통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위치 노브(60)를 전원이 온 되는 우측 후방으로 누르면, 이에 연동하여 버튼부(40) 역시 쐐기형 축홈(13A)의 전단 꼭지점(13a)을 기준으로 우측 후방으로 기울어지고,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관체부(42)가 좌측 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시소 운동함에 따라,
관체부(42)에 걸림 결합된 접속판(32A)이 'V'자형 지지부(34a)를 축으로 좌측으로 회동하면서 제1 접속단자(32)가 제2 접속단자(33)에 접촉하여, 제1, 제2 접속핀(34)(35)의 통전이 이루어져 전원이 인가되고,
반대로 스위치 노브(60)를 전원이 오프 되는 좌측 후방으로 누르면, 이에 연동하여 버튼부(40)가 좌측 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관체부(42)가 우측 전방으로 기울어져 시소 운동하여,
관체부(42)에 걸림 결합된 접속판(32A)이 우측으로 회동하면서 제2 접속단자(33)에 접촉된 제1 접속단자(32)를 우측으로 회동시켜 접속단자들의 접촉이 해제되어, 제1, 제2 접속핀(34)(35)이 전기적 연결이 끊어져 전원이 차단된다.
이렇게 관체부(42)에 의해 회동하는 제1 접속단자(32)를 제1 접속핀(34)과 일체로 연결하지 않고, 제1 접속핀(34)과 분리된 별도의 접속판(32A)에 구비한 이유는,
만약 본 발명과 다르게, 제1 접속단자(32)가 제1 접속핀(34)에 구비되어, 관체부(42)에 의해 제1 접속핀(34)이 회동하도록 연결되면, 텀블러 스위치의 장기간 사용에 따라 제1 접속핀(34)이 좌우 회동이 반복되면서 절곡부의 강도가 약해져 끊어지거나 파손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도 3에 도시된 미설명 도면부호 L은, 전원 인가 시 스위치 노브(60)의 점등부가 점등되도록 하는 광원으로, 이러한 광원(L)은, 제1, 제2 접속핀(34)(35)의 통전이 이루어는 경우에만 발광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미설명 도면부호 23은, 상기 스위치(S)에 의해 좌우 회동하는 접속판(32A)을 안내하는 안내홈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텀블러 스위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T : 스위치 단자 T : 몸체
S : 스위치
10 : 전면하우징 11 : 제1 걸림돌기
11a : 제1 사면부 11A : 연결편
12 : 제2 걸림돌기 13 : 축부
13A : 쐐기형 축홈 13a : 전단 꼭지점
14 : 삽입부 15 : 후크홈
20 : 후면 하우징 21 : 후크돌기
22 : 안착홈 23 : 안내홈
30 : 전원 연결수단 31 : 지지판
32 : 제1 접속단자 32A : 접속판
32a : 센터돌기 32b : 끼움돌기
33 : 제2 접속단자 34 : 제1 접속핀
34a : 'V' 자형 지지부 35 : 제2 접속핀
36, 37 : 전선 스프링 40 : 버튼부
41 : 쐐기형 축돌기 41a : 첨단부
42 : 관체부 42a : 걸림홈
43 : 코일스프링 50 : 브래킷
51 : 장착홀 52 : 제1 걸림턱
52a: 제2 사면부 53 : 제2 걸림턱
60 : 스위치 노브 61 : 축결합부
62 : 결합돌기 63 : 지지돌기
70 : 위부 커버 71 : 노출홀

Claims (4)

  1. 전원의 온오프 동작을 위한 접속단자들이 내장되어 있고, 좌우 각 외측면 후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외측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1 걸림돌기와, 좌우 각 외측면 전단부에서 돌출 형성된 제2 걸림돌기와, 상하 각 외측면 전단부에 형성된 축부를 구비한 몸체,
    상기 몸체의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접속단자들이 단속(斷續)되도록 동작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진 스위치 단자;
    전후 관통 형성된 장착홀, 상기 장착홀의 내측면 후단부에 형성된 제1 걸림턱, 상기 장착홀의 내측면 전단부에 형성된 제2 걸림턱을 구비한 브래킷; 및
    상기 축부를 축으로 좌우 시소운동을 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가 온오프 동작되도록 하는 스위치 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스위치 단자가 상기 장착홀의 전방으로 끼워져, 상기 제1 걸림돌기의 전단이 상기 제1 걸림턱에 접촉하여 걸림 결합되고, 상기 제2 걸림돌기의 후단이 상기 제2 걸림턱에 접촉하여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축부의 내측면에 오목 형성된 쐐기형 축홈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하 각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쐐기형 축홈에 수용되는 쐐기형 축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쐐기형 축돌기의 첨단부에 지지되는 상기 쐐기형 축홈의 전단 꼭지점을 축으로, 상기 스위치가 좌우 시소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마련된 전원 연결수단은,
    제1 전기배선이 연결되고, 'V'자 형 지지부를 구비한 제1 접속핀,
    제2 전기배선이 연결된 제2 접속핀,
    후단이'V'자형 지지부에 지지되어 연결된 접속판,
    상기 접속판과 상기 제2 접속핀에 각각 구비되어 있되,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 배치된 제1 접속단자와 제2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스위치의 좌우 시소운동에 의해, 상기 접속판이 상기 'V'자형 지지부를 축으로 좌우 회동하여 상기 제1 접속단자와 상기 제2 접속단자가 단속(斷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접속판의 전단이 걸림 결합되는 관체부와, 상기 관체부에 내장되어 상기 접속판을 상기 'V'자형 지지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스위치.
KR1020160090909A 2016-07-18 2016-07-18 조립성을 향상시킨 텀블러 스위치 KR20180019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909A KR20180019034A (ko) 2016-07-18 2016-07-18 조립성을 향상시킨 텀블러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909A KR20180019034A (ko) 2016-07-18 2016-07-18 조립성을 향상시킨 텀블러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034A true KR20180019034A (ko) 2018-02-23

Family

ID=61387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909A KR20180019034A (ko) 2016-07-18 2016-07-18 조립성을 향상시킨 텀블러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90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269A (ko) * 2019-07-10 2021-01-20 주식회사 위너스 대기 전력 차단 전자제품용 리턴스위치
KR102269302B1 (ko) * 2019-12-26 2021-06-28 진흥전기 주식회사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
WO2021194045A1 (ko) * 2020-03-24 2021-09-30 (주)상건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269A (ko) * 2019-07-10 2021-01-20 주식회사 위너스 대기 전력 차단 전자제품용 리턴스위치
KR102269302B1 (ko) * 2019-12-26 2021-06-28 진흥전기 주식회사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
WO2021194045A1 (ko) * 2020-03-24 2021-09-30 (주)상건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2752B2 (en)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lamp
KR20180019034A (ko) 조립성을 향상시킨 텀블러 스위치
BRPI0406587B1 (pt) conector elétrico e método para garantir uma posição de um conector elétrico em em conector de encaixe
JP5336549B2 (ja) ダクトレール
KR101839388B1 (ko) 레버타입 커넥터
KR20110109444A (ko) 커넥터
JP2021012893A (ja) 配線器具及び配線器具システム
GB2359202A (en) Socket with decorative cover
JP7122668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及び配線器具システム
CN101393810A (zh) 独立按压式控制开关
US20230420200A1 (en) Module for Generating Opening Signals
KR20150056974A (ko) 슬림형 스위치구조의 콘센트
JP4966047B2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WO2014129277A1 (ja) 室内照明灯
KR200461085Y1 (ko) 로커 스위치
KR200417540Y1 (ko) 전원 스위치장치
JP5293962B2 (ja) スイッチ装置
JP5118561B2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JP5060271B2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JPH0614359Y2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H0620268Y2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6803544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及び配線器具システム
KR100533681B1 (ko) 단자접촉구조
CN116705533A (zh) 电子开关
CN117175249A (zh) 电源安装座及具有其的电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74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220

Effective date: 2019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