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94045A1 -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94045A1
WO2021194045A1 PCT/KR2020/017550 KR2020017550W WO2021194045A1 WO 2021194045 A1 WO2021194045 A1 WO 2021194045A1 KR 2020017550 W KR2020017550 W KR 2020017550W WO 2021194045 A1 WO2021194045 A1 WO 202119404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ring
module housing
switch device
assembly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755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상진
Original Assignee
(주)상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20200001003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492584Y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4080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6573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상건 filed Critical (주)상건
Priority to US17/910,06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097409A1/en
Publication of WO202119404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9404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3Application domotique, e.g. for house automation, bus connected switches, sensors, loads or intelligent wir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mbler switch device for branching wiring, and more particularly, by configuring so that wiring can be branched from the side of the tumbler switch device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of a vertical wall of a building, easy electric entry and branch connection work is possible tumbler switch device for wiring branching that can improve work efficiency, eliminate the need for equipment such as ladders for electrical wiring work on the ceiling of a building,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for workers due to electrical wiring work on the ceiling is about
  • switches installed on a wall or the like to connect power to an indoor home or office are mostly in a form in which a switch cover is fastened to give an aesthetic feeling to the room while protecting the internal connection part and wires.
  • a tumbler switch installed on a wall and manually operated is widely used as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on/off of lighting equipment installed in a room.
  • a tumbler switch is a type of switch that is often used as an indoor/outdoor lighting switch in homes or offices. is done
  • the tumbler switch includes a housing installed inside a wall, a bracket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a switch cover that closes the front of the bracket, a switch assembly assembled using the bracket, and a knob assembly assembled with the switch assembly It is made in a form including, etc.
  • the knob assembly is assembled on the switch assembly side in a pivot structure to perform a power on/off control function, and a knob bod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knob body to identify ON/OFF It is made in a form including a knob cover that performs a function.
  • the conventional tumbler switch has a problem in that it merely executes the on/off function of the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knob and does not provide any other functions at all.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ring state by a conventional wiring work, in which a wiring pipe 20 is built inside the ceiling cement layer 10 of a building, and the wiring is inserted into the wiring pipe 20 and installed at a luminaire position.
  • a flexible tube 36 having a connector 34 connected at one end from the outlet box 16 to the light fixture 32 was extended to the light fixture 32 , and the connector 34 was connected to the light fixture 32 .
  • connection point is formed in the joint box of the ceiling
  • the electrical wiring construction technician since the connection point is formed in the joint box of the ceiling, the electrical wiring construction technician must climb the A-shaped ladder and connect the power line and the electric light line in the joint box, so it is inconvenient to work in a group of two Ham follow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ing branch and tumbler switch device that can improve work efficiency and simplify necessary equipment to improve worker mobility and work environment.
  •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equipment such as ladders for electrical wiring work in the ceiling of a build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of workers due to electrical wiring work in the ceiling, and the power line drawn out from the distribution box is divided by divis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ing branch and tumbler switch device that can be arranged along the indoor floor.
  • the branch-integrated tumbler switch device includes: a bracket assembly fixed to a switch housing bracket installed on a wall of a building; a switching-branching module coupled to the bracket assembly, to which electric wires of electric devic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control power on/off, and to branch electric wires of the switchboard; and a detachable coupling means configured to removably couple the switching-divergence module to the bracket assembly.
  • the bracket assembly includes a coupling bracket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following switching knob is exposed, and a closing cover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coupling bracket and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following switching knob is exposed.
  • the branching module is provided in a space on one side of the module housing partitioned by a module housing coupled to the bracket assembly, a first partition partition partitioning the module housing into a plurality of partition spaces,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member at least one switching assembly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wire of the electric appliance and control the on/off of the power source; and one or more branching assemblies configured to branch the wires.
  • the switching assembly includes a wire connection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a fixed contact to which an electric wire inserted through the wire connection hole is connected, and a fixed contact provided above the fixed contact according to seesaw motion. and a movable contact for energizing and shorting the fixed contact, and a switching knob rotatably mounted on the movable contact to see-saw the movable contact according to rotation, wherein the wiring branch assembly includes: A second partition partition wall dividing a space partitioned by at least one, and a plurality of wire entry hol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in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second partition partition wall, and the wire entry hole an electrical connection plat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wire, and an elastic support member provided in the module housing and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electrical wire introduced into the wire entry hole toward the electrical connection plate.
  • the electrical connection plate includes a connection plate portion formed on a downward extension of the wire entry hole, and a common plate portion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end of each of the connection plate portions, and the elastic support is reversed. It is formed in an S" shape,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common plate portion, the upper end extends obliquely, and the extended end is provided in elastic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late por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late to connect the incoming wire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plate. is made to make elastic contact to the side, and the wiring branch assembly has an upper part expos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and provided to be prevented from falling off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and the lower par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support to pressurize It further includes a push operation tool.
  • the detachable coupling means comprises: a pair of protruding flang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racket; a hook hook protruding from opposite surfaces of the pair of protruding flanges; and a locking jaw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module housing to be hooked and fixed to the locking hook.
  • the detachable coupling means further includes a guide fixing means for guiding the mounting of the module housing and fixing the module hous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unting direction.
  • the guide fixing means includes a guide groov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engaging hook, and a guide protrusion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ngaging jaw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engaging jaw, and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when mounted. It is made of, and the length of the guide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length such that the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when the clasp is latched and fixed to the hook hook.
  • the detachable coupling means includes: guide rail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racket;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rail; a seating groove formed in a sidewall of the guide rai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mount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and inserted and fixed in the mounting groove; and a seat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module housing to be seated and coupled to the seating groove.
  • the tumbler switch device for wiring branching includes a bracket assembly fixed to a switch housing bracket installed on a wall of a building; at least one switching assembly to which an electric wire of an electric appliance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configured to turn on/off a power source and coupled to the bracket assembly; one or more wiring branch assemblies coupled to the bracket assembly and configured to branch electric wires of the switchboard; and a detachable coupling means configured to detachably couple the switching assembly and the wiring branch assembly to the bracket assembly.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by enabling the electric input and branch connection work at a certain height of the vertical wall of the building.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mobility and work environment of the operator by simplifying the necessary equipment used for the electrical wiring work.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s because it does not require electrical wiring work i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 the power line drawn out from the distribution box is arranged along the indoor floor for each division, the convenience of electrical wiring construction can be improved, and the electric wiring material can be saved by arranging the power line along the indoor side wall.
  •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ring state by a conventional wiring work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ring branch combin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side;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umbler switch device for branching wi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rear side;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ring branch combin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side;
  •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wiring branch combin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bracket member constituting the wiring branch combin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art of a mounting bracket member constituting a wiring branching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tching assembly constituting a tumbler switch device for wiring branc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ing branch assembly constituting a wiring branch an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ing branch assembly constituting a wiring branching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ring branch assembly constituting a wiring branch an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wiring using a tumbler switch device for branching wi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wiring branch an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two-prong tumbler switch device;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nch-integrat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side;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nch-integrat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rear side;
  •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ring branch integrat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rear side;
  • 17 is a side view showing a wiring branch integrat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witching-branching module constituting a branch-integrat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 - "A” of FIG. 15;
  • FIG.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wiring using a branch-integrat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1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wiring branch integrat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umbler switch device for branching wi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side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umbler switch device for branching wi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rear side
  •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tumbler switch device for branching wi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bracket member constituting the wiring branching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wiring branching combin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an enlarged part of the mounting bracket member.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witching assembly constituting a wiring branch an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ing branch assembly constituting a tumbler switch device combined with a wiring bra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ring branch assembly constituting a wiring branch combin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 is a wiring branch combin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the state of wiring using.
  • the wiring branch combin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acket assembly 100; switching assembly 200; wiring branch assembly 300; and a detachable coupling means 400 .
  • the tumbler switch device for wiring branching includes a bracket assembly 100 fixed to a switch housing bracket installed on a wall of a building; A switching assembly 200 coupled to the bracket assembly 100,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ic wire of the switchboard and the electric wire of an electric appliance such as a light fixture, and configured to control the on/off of the power; a wiring branch assembly 300 coupled to the bracket assembly 100 and configured to branch the electric wire of the switchboard so that the electric wire is connected to be connected to another electric appliance; and a detachable coupling means 400 configured to detachably couple the switching assembly 200 and the wiring branch assembly 300 to the bracket assembly 100 .
  • the bracket assembly 100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installed inside the wall, and the coupling bracket is formed with an opening 111 in the central part so that the operation knob of the switching assembly 200 to be described below is exposed to the outside.
  • the closing cover 120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110, and the coupling bracket 110 and formed with an opening 121 in the central portion so that the switching knob 220 of the switching assembly 200 to be described below is exposed to the outside. ) can be included.
  • the size of the opening 111 of the coupling bracket 110 is formed to have an opening size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switching knob 220 of the switching assembly 200 .
  • the opening 111 of the coupling bracket 110 is a single switching knob 220 of the switching assembly 200 when a single switching assembly 200 is provided to turn on/off a single light fixture. It is made to cover while exposing.
  • One component of the detachable coupling means 40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s form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coupling bracket 110 .
  • the switching assembly 2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bracket 110 of the bracket assembly 100, and is configured to electrically turn on/off the power line from the switchboard and wires such as a light fixture.
  • the switching assembly 200 includes a housing-type switch housing 210 in which a pair of wire connection holes 211 are formed in plurality, and a fixed contact (not shown) provided in the switch housing 210 to which wires are connected.
  • a movable contact (not shown) and a movable contact (not shown) provided on the top of the fixed contact to energize and short-circuit the fixed contact according to the seesaw movement, and a movable contact (not shown) tha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vable contact (not shown) so that the movable contact is rotated according to the seesaw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witching knob 220 for moving.
  • the switch housing 210 is formed with one component of the detachable coupling means 40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 the switching assembly 200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according to the number of electrical appliances to be switched.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 the wiring branch assembly 300 is coupled to the bracket assembly 100 and is configured to branch the wires of the switchboard so that the wires are connected to be connected to one or more other electric devices.
  • the other electric appliance means an electric appliance other than the electric appliance switched on/off by the switching assembly 200 .
  • the wiring branch assembly 300 is a module housing 310 in the form of an enclosure that is partitioned by one or more partition partition walls 311 to form a plurality of partition spaces therein. And, a pair of wire inlet holes 320 formed in a pluralit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310,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plate 3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s introduced into the wire inlet 320, and the module housing ( It is provided in the 310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 support 3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plate 330 while elastically supporting the wire introduced into the wire lead-in hole 320 .
  • the module housing 310 may include an enclosure-type housing body 312 with one surface (lower surface) open, and a cover plate 313 covering the opening of the housing body 312 .
  • the module housing 310 is formed with one component of the detachable coupling means 40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 a pair of wire lead-in holes 320 are formed in a pluralit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310 , which enables wiring to a plurality of other electrical devices.
  • the electrical connection plate 330 is, for each of the pair of wire entry holes 320, a connection plate portion 331 form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wire entry hole 320, and a lower end of each of the connection plate portion 331.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mmon plate portion 332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odule housing 310 .
  • the elastic support 340 is formed in an inverted "S" shape as a whole,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common plate portion 332 , and the upper end extends obliquely and elastically to the connecting plate portion 331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late 330 . provided in contact with
  • the wire inserted through the wire lead-in hole 320 is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on plate part 331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late 330 and the elastic support 340, and by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support 340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hile being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connection plate part 331 .
  • the wiring branch assembly 300 is provided such that the upper part is expos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300 to prevent falling off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300 , and the lower part presses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support 340 . It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manipulator 350 provided possible.
  • the pressing operation member 350 when the pressing operation member 350 is further configured, when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operation member 350 is pressed,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support member 340 is pressed from the connection plate part 331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late 330 . A gap is formed, and the pressing operation is released after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wire lead-in hole 320 in this state.
  • the reverse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 the pressing operation tool 350 is configured in this way,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electric wire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 the wiring branch assembly 3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bracket 110 of the bracket assembly 100 , it is mounted in parallel with the switching assembly 200 .
  • the detachable coupling means 400 is configured to detachably couple the switching assembly 200 and the wiring branch assembly 300 to the coupling bracket 110 of the bracket assembly 100 .
  • the detachable coupling means 400 includes a pair of protruding flanges 41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racket 110 in an embodiment, and a hooking hook 420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ding flange 410 . ) and a first engaging jaw 430 that is formed to protrude on both sides of the switching housing 210 of the switching assembly 200 and is caught and fixed to the engaging hook 420 when mounted between a pair of protruding flanges 410 .
  • the protruding flange portion 410 is formed opposite to both sides of the open portion 111 in the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racket (410).
  • the engaging hook 420 is formed in a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whose lower surface is the bottom.
  • the detachable coupling means 400 guides the mounting of the switching housing 210 of the switching assembly 200 and the module housing 310 of the branch assembly 300, and a guide for fix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unting direction.
  • a fixing means 450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guide fixing means 450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guide groove 451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engaging hook 420 and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rojections 430 and 440, respectively. It consists of a guide projection 452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451).
  • the length of the guide protrusion 452 is a guide protrusion in the guide groove 451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rotrusions 430 and 440 are respectively latched a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hook 420 .
  • 452 is formed to have a length in which it is inserted.
  • the guide fixing means 450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ding flange 41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ding flange 410, and the switching housing 210 and the wiring of the switching assembly 200 therebetween.
  • Support protrusions 453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both edges of the module housing 310 of the branch assembly 300 may be formed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detachable coupling means 400 includes guide rail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racket 110 ,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rail, and the guide rails.
  • a seating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wall, a lower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switching housing 210 of the switching assembly 200 and a lower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module housing 310 of the wiring branch assembly 300, respectively, are formed to protrude the mounting groove
  • a mounting protrusion inserted and fixed in the switching assembly 200, and a seat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switching housing 210 of the switching assembly 200 and both sides of the module housing 310 of the wiring branch assembly 300 to be seated and coupled to the seating groove can be made with
  • the seating groove and the seating protrusion are formed to be roun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ormation surface.
  • a first concave-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gro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direction, and is continuou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unting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protrusion.
  • a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is formed.
  • the seating groove is form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and the seat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 the detachable coupling means 400 of another embodiment is firmly fixed in position without omission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unting direction by forming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 the power lines P1 and P2 from the distribution box in the building are the switching assembly ( 200) is connected through one wire connection hole 211 of the branch assembly 300 and one wire entry hole 320 of the branch assembly 300, and the light load lines L1 and L2 of the light fixture to be controlled on/off are switched
  • the other wire connection hole 211 of the assembly 200 is connected to the other wire lead-in hole 320 of the wiring branch assembly 300 .
  • the branch wiring lines B1 and B2 connected to other electrical appliances through another wire connection hole 211 of the switching assembly 200 and another wire entry hole 320 of the branch wiring assembly 300 , It becomes possible to implement wiring branching through the tumbler switch device.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umbler switch device for branching wir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 two-prong tumbler switch device, in which two switching assemblies 200 are mounted, and wiring on one side The branch assembly 300 is mounted in parallel.
  • the tumbler switch device for branching wi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two-prong tumbler switch device of the example shown in FIG. 13, but also to a tumbler switch device capable of on/off operation beyond that.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nch-integrat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side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nch-integrat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side.
  •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ranch-integrat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rear side
  • FIG. 17 is a side view showing a branch-integrat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tching-branching module constituting a branch-integrat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 - "A” of FIG.
  • FIG.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iring is performed using a branch-integrat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ring branch integrated tumbler switch device includes a bracket assembly 100; switching-branch modules 1400 and 1500; and a detachable coupling means (1600).
  • a branch-integrated tumbler switch device includes, as shown in FIGS. 14 to 20 , a bracket assembly 100 fixed to a switch housing bracket installed on a wall of a building; It is coupled to the bracket assembly 100, electrically connects the wires of the switchboard and the wires of electric devices such as light fixtures, controls the power on/off, and branches the wires of the switchboard to connect the wires to be connected to other electrical devices a switching-branching module configured to be so (1400, 1500); and a detachable coupling means 1600 configured to detachably couple the switching-diverging modules 1400 and 1500 to the bracket assembly 100 .
  • the bracket assembly 100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installed inside the wall, and the coupling bracket is formed with an opening 111 in the central part so that the operation knob of the switching assembly 1400 to be described below is exposed to the outside.
  • the closing cover 120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110 and the coupling bracket 110 and formed with an opening 121 in the central portion so that the switching knob 1420 of the switching assembly 1400 to be described below is exposed to the outside. ) can be included.
  • the size of the opening 111 of the coupling bracket 110 is formed to have an opening size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switching knob 1420 of the switching assembly 1400 .
  • the opening 111 of the coupling bracket 110 is a single switching knob 1420 of the switching assembly 1400 when a single switching assembly 1400 is provided to turn on/off a single light fixture. ) is made to cover while exposing.
  • One component of the detachable coupling means 160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s form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coupling bracket 110 .
  • the switching-diverging modules 1400 and 1500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dule housing 1410 and the module housing 1410, and electrically connect the wires of the switchboard and the wires of electric appliances such as light fixtures.
  • a switching assembly 1400 configured to control the on/off of power
  • a wiring branch assembly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dule housing 1410 and configured to connect the wires to be connected to other electric devices by branching the wires of the switchboard ( 1500)
  • a partition barrier rib not shown
  • a first partition barrier rib partitions the switching assembly 1400 and the wiring branch assembly 1500 .
  • the switching assembly 14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bracket 110 of the bracket assembly 100, and is configured to electrically turn on/off the power line from the switchboard and wires such as a light fixture, and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conventional switching assembly. can be employed
  • the switching assembly 14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artition member in the module housing 1410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member 1400 and includes a fixed contact (not shown) to which an electric wire is connected, and provided above the fixed contact.
  • a movable contact (not shown) that energizes and short-circuits the fixed contact according to the seesaw movement, and a switching knob 1420 tha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vable contact (not shown) and moves the movable contact according to the seesaw movement. can be configured.
  • One component of the detachable coupling means 160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s formed in the module housing 1410 .
  • the switching assembly 1400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according to the number of electrical appliances to be switched.
  • the wiring branch assembly 150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member within the module housing 1410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member so that the wires are connected to branch the electrical wires of the switchboard to be connected to one or more other electrical appliances.
  • the other electric appliance means an electric appliance other than the electric appliance that is switched on/off by the switching assembly 1400 .
  • the wiring branch assembly 1500 includes a partition partition wall (a second partition partition wall 1510 and a partition partition wall 1510) that partitions one or more spaces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member on the other side of the module housing 1410.
  • a wire lead-in hole 152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partition spaces formed by partitioning by, an electrical connection plate 15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 introduced into the wire lead-in hole 1520, and It is provided in the module housing 1410 in the space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 support 15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plate 1530 while elastically supporting the wire introduced into the wire lead-in hole 1520 .
  • a plurality of wire lead-in holes 152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14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ch enables wiring to a plurality of other electrical devices.
  • the electrical connection plate 1530 includes a connection plate portion 1531 formed in an extension line of the wire entry hole 1520 with respect to each of the wire entry holes 1520 , and a lower end of each of the connection plate portions 1531 . I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mmon plate portion 1532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odule housing 1410 .
  • the elastic support 1540 is formed in an inverted "S" shape as a whole,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common plate portion 1532, the upper end extends obliquely and elastically to the connecting plate portion 1531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late 1530. provided in contact with
  • the electric wire inserted through the wire lead-in hole 1520 is located between the connection plate portion 1531 and the elastic support 1540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late 1530, at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support 1540.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hile being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connection plate part 1531 by this.
  • the wiring branch assembly 1500 is provided such that the upper part is expos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1410 and is prevented from falling off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1410 , and the lower portion is pressed against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support member 1540 . It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manipulator 1550 that is possible.
  • the pressing operation member 1550 when the pressing operation member 1550 is further configured, when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operation member 1550 is pressed,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support member 1540 is pressed, and the connection plate portion 1531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late 1530 is pressed. A gap is formed from the , and in this state, the pressing operation is released after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wire lead-in hole 1520 .
  • the reverse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 the detachable coupling means 1600 is configured to detachably couple the switching-diverging modules 1400 and 1500 to the coupling bracket 110 of the bracket assembly 100 .
  • the detachable coupling means 1600 includes a pair of protruding flanges 161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racket 110 in an embodiment, and a hooking hook 1620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ding flange 1610 . ), and a protruding protrusion 163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dule housing 1410 to be caught and fixed to the hooking hook 1620 when mounted between a pair of protruding flanges 1610 .
  • the protruding flange portion 1610 is formed opposite to both sides of the open portion 111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racket 110 .
  • the engaging hook 1620 is formed in a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whose lower surface is the bottom.
  • the detachable coupling means 160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fixing means 1640 for guiding the mounting of the module housing 1410 and fixing the module housing 141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unting direction.
  • the guide fixing means 1640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guide groove 1641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cking hook 1620 and the locking jaw 1630, and a guide protrusion that is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1641 when mounted. (1642).
  • the length of the guide protrusion 1642 is the length at which the guide protrusion 1642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641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1642 is latch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ngaging jaw 163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hook 1620. is formed with
  • the guide fixing means 1640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ding flange 161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ding flange 1610 to contact and support both edges of the module housing 1410 therebetween.
  • the support protrusions 1643 may be formed to protrude at regular intervals.
  • the detachable coupling means 1600 includes a guide rail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bracket 110 in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rail, and the guide A seating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wall of the rail, a mount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1410 and inserted and fixed in the mounting groove, and a protrus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dule housing 1410, respectively. It may be made of a seating protrusion that is seated and coupled to the seating groove.
  • the seating groove and the seating protrusion are formed to be roun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ormation surface.
  • a first concave-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gro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direction, and continuou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protrusion.
  • a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is formed.
  • the seating groove is form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and the seat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 the detachable coupling means 1600 of another embodiment is firmly fixed in position without omission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unting direction by forming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 the power lines P1 and P2 from the distribution box in the building are one of the switching assembly 1400 .
  • the switching assembly 1400 Connected through the wire connection hole 1411 of the wiring branch assembly 1500 and one wire entry hole 1520 of the wiring branch assembly 1500, and the light load lines L1 and L2 of the light fixture to be controlled on/off are the switching assembly 1400 The other wire connection hole 1411 of the and the other wire lead-in hole 1520 of the wiring branch assembly 15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a wiring branch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tumbler switch device.
  • FIG. 21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branch-integrated tumbl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applied to a tumbler switch device with two or more balls, and a tumbler switch device capable of on/off operation more than that can be applied to
  • the branching assemblies 1500 constituting the switching-branching modules 1400 and 150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witching assembly 1400 , respectively.
  • the module housing 1410 is partitioned by two partition wall members
  • the switching assembly 1400 is configured in the central portion thereof
  • the wiring branch assembly 1500 is configured on both side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member.
  • the branching assembly may be used for a neutral wiring, and the other branching assembly may be used for a ground wiring.
  • the wiring branch-integrated tumbler switch devic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by enabling the electric input and branch connection work at a certain height of the vertical wall of the building, and is used for the electric wiring work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mobility and work environment of workers by simplifying the necessary equipment,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s because it does not require electrical wiring work i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 the power line drawn out from the distribution box is arranged along the indoor floor for each division, the convenience of electrical wiring construction can be improved, and the electric wiring material is provided by arranging the power line along the indoor side wall. There are benefits to sav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스위치 하우징 브라켓에 고정되는 브라켓 어셈블리;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에 결합되고, 전기 기구의 전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원을 온/오프 단속하며, 배전반의 전선을 분기시키도록 구성되는 스위칭-배선분기 모듈; 및 상기 스위칭-배선분기 모듈을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착탈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본 발명은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수직벽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는 텀블러 스위치 장치 측에서 배선을 분기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용이한 전기 입선 및 분기 접속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건물 천장부에서의 전기 배선 작업을 위한 사다리 등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천장부에서의 전기 배선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벽면 등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스위치는 내부의 접속 부분과 전선을 보호하면서, 실내의 미감을 주기 위하여 스위치 커버를 체결한 형태가 대부분이다.
보통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기기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는 벽에 설치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텀블러 스위치(Tumbler Switch)가 많이 이용된다.
텀블러 스위치는 스위치의 일종으로,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실내외 조명 스위치로 많이 사용되는 형태의 스위치로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조명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개폐시킴으로써 조명기기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텀블러 스위치는,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이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브라켓, 이 브라켓의 전면을 마감하는 스위치 커버, 상기 브라켓을 이용하여 조립되는 스위치 어셈블리, 이 스위치 어셈블리와 조립되는 노브 어셈블리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노브 어셈블리는 스위치 어셈블리 측에 피봇 구조로 조립되어 전원 온/오프(ON/OFF) 단속기능을 수행하는 노브 몸체와, 이 노브 몸체의 전면에 결합되어 온/오프(ON/OFF) 식별 기능을 수행하는 노브 커버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텀블러 스위치는 단순히 노브의 조작에 따른 스위치 어셈블리의 온/오프 기능만을 실행할 뿐 기타 다른 기능은 전혀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의 전등 및 전열 배선은 각층의 분전반으로부터 스틸 파이프 또는 PVC파이프를 시멘트에 매설하고 각각의 전등 위치에 아웃렛 박스(outlet box)를 설치한 후, 플렉서블관을 등기구나 콘센트에 연장하여 접속하는 방법으로 배선작업을 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배선 작업에 의한 배선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건물의 천장 시멘트층(10) 내부에 배선용 배관(20)을 내설하고, 상기 배선용 배관(20)에 배선을 입선하여 등기구 위치에 설치된 아웃렛 박스(16)에서 등기구(32)까지 일단에 커넥터(34)가 연결된 플렉서블관(36)을 등기구(32)까지 연장하여 상기 등기구(32)에 커넥터(34)를 연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선방법은 각 등기구(32)와 전열 콘센트로 연결되는 베선용 배관이 시멘트층(10)에 매설되므로 건물의 용도와 구조 변경에 따라 배선 작업을 다시 할 경우에 건물의 개/보수비가 증가하고 배선의 입선 작업과 분기 접속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천장에서 배선의 입선 작업과 분기 접속 작업을 행할 경우, 사다리 등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다리 등의 작업 장비를 필요로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며, 낙상 등의 작업자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 전기 배선 시공 방법에 따르면, 천장의 조인트박스에 접속점이 형성되므로, 전기 배선 시공 기술자는 A자형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조인트박스 내 전원선과 전등선을 접속시켜야 하므로 2인 1조로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그리고 접속불량이나 누전으로 인한 유지 보수의 경우에도 콘크리트 아래에 설치된 실내 천장 중앙부 주위의 석고 보드를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종래에는 분전함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원선이 구획별 실내 천장 중앙부를 따라 배열되어야 하므로 전원선 자재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수직벽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는 텀블러 스위치 장치 측에서 배선을 분기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용이한 전기 입선 및 분기 접속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필요 장비를 간소화하여 작업자의 이동성과 작업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천장부에서의 전기 배선 작업을 위한 사다리 등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아 천장부에서의 전기 배선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분전함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원선이 구획별 실내 바닥부를 따라 배열시킬 수 있는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의 제1 발명에 따른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스위치 하우징 브라켓에 고정되는 브라켓 어셈블리;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에 결합되고, 전기 기구의 전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원을 온/오프 단속하며, 배전반의 전선을 분기시키도록 구성되는 스위칭-배선분기 모듈; 및 상기 스위칭-배선분기 모듈을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착탈 결합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는, 하기 스위칭 노브가 노출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결합 브라켓, 및 상기 결합 브라켓의 전면에 결합되고, 하기 스위칭 노브가 노출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마감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배선분기 모듈은,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모듈 하우징과, 상기 모듈 하우징을 복수의 구획 공간으로 구획하는 제1 구획 격벽과, 상기 제1 격벽 부재에 의해 구획된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측 공간에 구비되어 전기 기구의 전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원을 온/오프(on/off) 단속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격벽 부재에 의해 구획된 상기 모듈 하우징의 타측 공간에 구비되어 배전반의 전선을 분기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선분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는, 상기 모듈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는 전선 접속구멍과, 상기 전선 접속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고정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의 상부에 구비되어 시이소 운동에 따라 상기 고정 접점을 통전 및 단락시키는 가동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가동 접점을 시이소 운동시키는 스위칭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는, 상기 제1 구획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하나 이상으로 구획하는 제2 구획 격벽과, 상기 제2 구획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서의 상기 모듈 하우징의 상면에 복수 형성되는 전선 인입구멍과, 상기 전선 입입구멍으로 인입되는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접속 플레이트, 및 상기 모듈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 인입구멍으로 인입된 전선을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 측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지지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는, 상기 전선 인입구멍의 하방 연장 선상으로 형성되는 접속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접속 플레이트부 각각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공통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구는 역 "S"자 형태로 형성되되, 하단부는 상기 공통 플레이트부에 고정되며, 상단부는 경사지게 연장되며 연장단부가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의 접속 플레이트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게 구비되어 인입되는 전선을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 측으로 탄성 접촉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는, 상단 일부가 상기 모듈 하우징의 상면 측으로 노출되되 그 모듈 하우징의 상면 측으로 탈락 방지되게 구비되고, 하부는 상기 탄성 지지구의 상단부를 누름 가능하게 접촉하는 누름 조작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탈 결합 수단은, 상기 결합 브라켓의 후면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 플랜지; 상기 한 쌍의 돌출 플랜지의 대향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 후크; 및 상기 모듈 하우징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 후크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탈 결합 수단은, 상기 모듈 하우징의 장착을 가이드하고,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고정 수단은, 상기 걸림 후크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걸림턱의 중앙부에서 그 걸림턱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장착 시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돌기의 길이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 후크에 걸림 고정될 때 상기 가이드 홈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된 상태가 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탈 결합 수단은, 상기 결합 브라켓의 후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장착홈;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벽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안착홈; 상기 모듈 하우징의 양측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에 삽입 고정되는 장착 돌기; 및 상기 모듈 하우징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 결합되는 안착 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제2 발명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는, 건물 벽면에 설치된 스위치 하우징 브라켓에 고정되는 브라켓 어셈블리; 전기 기구의 전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원을 온/오프(on/off) 단속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어셈블리;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에 결합되며, 배전반의 전선을 분기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선분기 어셈블리; 및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와 배선분기 어셈블리를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착탈 결합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건물의 수직벽의 일정 높이에서 전기 입선 및 분기 접속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전기 배선 작업에 이용되는 필요 장비를 간소화하여 작업자의 이동성과 작업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건물 천장부에서의 전기 배선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낙상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분전함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원선이 구획별 실내 바닥부를 따라 배열시키고, 전기 배선 시공의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원선을 실내 측벽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전기 배선 자재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선 작업에 의한 배선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정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후방 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장착 브라켓 부재의 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장착 브라켓 부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스위칭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배선분기 어셈블리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배선분기 어셈블리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배선분기 어셈블리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이용하여 배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가 2구 텀블러 스위치 장치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후방 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스위칭-배선분기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도 1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이용하여 배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정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후방 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장착 브라켓 부재의 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장착 브라켓 부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스위칭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배선분기 어셈블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배선분기 어셈블리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배선분기 어셈블리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이용하여 배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는, 도 2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브라켓 어셈블리(100); 스위칭 어셈블리(200); 배선분기 어셈블리(300); 및 착탈 결합 수단(4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는, 도 2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스위치 하우징 브라켓에 고정되는 브라켓 어셈블리(100); 브라켓 어셈블리(100)에 결합되고, 배전반의 전선과 전등 기구 등의 전기 기구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며, 전원을 온/오프 단속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 어셈블리(200); 브라켓 어셈블리(100)에 결합되며, 배전반의 전선을 분기시켜 다른 전기 기구에 연결되게 전선이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배선분기 어셈블리(300); 및 스위칭 어셈블리(200)와 배선분기 어셈블리(300)를 브라켓 어셈블리(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착탈 결합 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라켓 어셈블리(100)는,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 설치되며, 중앙부에 아래 설명될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조작 노브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부(111)를 갖고 형성되는 결합 브라켓(110), 및 결합 브라켓(110)의 전면에 결합되고, 아래 설명될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스위칭 노브(2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중앙부에 개방부(121)를 갖고 형성되는 마감 커버(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 브라켓(110)의 개방부(111)의 사이즈는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스위칭 노브(220)의 사이즈를 고려한 개구 사이즈를 갖고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결합 브라켓(110)의 개방부(111)는 단일의 전등 기구를 온/오프 조작하기 위하여 하나의 스위칭 어셈블리(200)가 구비되는 경우 그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단일 스위칭 노브(220)를 노출시키면서 커버하도록 이루어진다.
결합 브라켓(110)의 후면부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착탈 결합 수단(400)의 일 구성부가 형성된다.
스위칭 어셈블리(200)는 브라켓 어셈블리(100)의 결합 브라켓(110)에 결합되고, 배전반으로부터의 전원선과 전등 기구 등의 전선이 전기적으로 온/오프 단속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어셈블리(200)는, 한 쌍의 전선 접속구멍(211)이 복수 형성되는 함체형의 스위치 하우징(210)과, 스위치 하우징(210) 내에 구비되어 전선이 연결되는 고정 접점(미도시)과, 고정 접점의 상부에 구비되어 시이소 운동에 따라 고정 접점을 통전 및 단락시키는 가동 접점(미도시), 및 가동 접점(미도시)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에 따라 가동 접점을 시이소 운동시키는 스위칭 노브(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 하우징(210)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착탈 결합 수단(400)의 일 구성부가 형성된다.
스위칭 어셈블리(200)는 스위칭할 전기 기구의 개수에 상응하여 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배선분기 어셈블리(300)는, 브라켓 어셈블리(100)에 결합되며 배전반의 전선을 분기시켜 하나 이상의 다른 전기 기구에 연결되게 전선이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다른 전기 기구는 스위칭 어셈블리(200)에 의해 온/오프 전환되는 전기 기구 이외의 전기 기구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배선분기 어셈블리(300)는, 도 10 및 도 11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구획 격벽(311)에 의해 구획되어 내부에 복수의 구획 공간을 형성하는 함체 형태의 모듈 하우징(310)과, 모듈 하우징(310)의 상면에 복수 형성되는 한 쌍의 전선 인입구멍(320)과, 전선 입입구멍(320)으로 인입되는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접속 플레이트(330), 및 모듈 하우징(310) 내에 구비되어 전선 인입구멍(320)으로 인입된 전선을 탄성 지지하면서 전기접속 플레이트(330)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탄성 지지구(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듈 하우징(310)은 일면(하면) 개방된 함체형의 하우징 바디(312), 및 하우징 바디(312)의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3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듈 하우징(310)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착탈 결합 수단(400)의 일 구성부가 형성된다.
한 쌍의 전선 인입구멍(320)은, 모듈 하우징(310)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복수 형성되며, 이는 복수의 다른 전기 기구에 대한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전기접속 플레이트(330)는, 한 쌍의 전선 인입구멍(320) 각각에 대하여 그 전선 인입구멍(320)의 연장 선상으로 형성되는 접속 플레이트부(331), 및 접속 플레이트부(331) 각각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모듈 하우징(310)의 바닥에 구비되는 공통 플레이트부(3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탄성 지지구(340)는 전체적으로 역 "S"자 형태로 형성되되 하단부는 공통 플레이트부(332)에 고정되며, 상단부는 경사지게 연장되며 전기접속 플레이트(330)의 접속 플레이트부(331)에 탄성적으로 접촉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전선 인입구멍(320)을 통해 삽입되는 전선은 전기접속 플레이트(330)의 접속 플레이트부(331)와 탄성 지지구(340) 사이에 위치되되, 탄성 지지구(340)의 상단부에 의해 접속 플레이트부(331)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또한, 배선분기 어셈블리(300)는, 상단 일부가 모듈 하우징(300)의 상면 측으로 노출되되 그 모듈 하우징(300)의 상면 측으로 탈락 방지되게 구비되고, 하부는 탄성 지지구(340)의 상단부를 누름 가능하게 구비되는 누름 조작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누름 조작구(350)가 더 구성되는 경우, 누름 조작구(350)의 상단을 누르게 되면, 탄성지지구(340)의 상단부가 눌려져 전기접속 플레이트(330)의 접속 플레이트부(331)로부터 간극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전선 인입구멍(320)으로 전선을 삽입한 후 누름 조작을 해제하게 된다. 반대의 동작은 역 순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누름 조작구(350)가 구성됨으로써 전선의 접속 및 접속해제를 보다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배선분기 어셈블리(300)는 브라켓 어셈블리(100)의 결합 브라켓(110)에 결합됨에 있어 스위칭 어셈블리(200)와 평행하게 장착되게 된다.
착탈 결합 수단(400)은, 스위칭 어셈블리(200)와 배선분기 어셈블리(300)를 브라켓 어셈블리(100)의 결합 브라켓(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착탈 결합 수단(400)은 일 실시 예로 결합 브라켓(110)의 후면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 플랜지(410)와, 돌출 플랜지(410)의 내면 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 후크(420)와,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스위칭 하우징(210)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한 쌍의 돌출 플랜지(410) 사이에 장착될 때 상기 걸림 후크(420)에 걸림 고정되는 제1 걸림턱(430), 및 배선분기 어셈블리(300)의 모듈 하우징(310)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한 쌍의 돌출 플랜지(410) 사이에 장착될 때 걸림 후크(420)에 걸림 고정되는 제2 걸림턱(4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 플랜지부(410)는 결합 브라켓(410)의 후면에서 개방부(111)의 양측에 대향하여 형성된다.
걸림 후크(420)는 하면이 밑면이 되는 삼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착탈 결합 수단(400)은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스위칭 하우징(210)과 배선분기 어셈블리(300)의 모듈 하우징(310)의 장착을 가이드하고,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고정 수단(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고정 수단(450)은 걸림 후크(4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451)과, 제1 걸림턱(430)과 제2 걸림턱(440) 각각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장착 시 가이드 홈(451)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돌기(45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이드 돌기(452)의 길이는 걸림 후크(420)의 하면에 제1 걸림턱(430)과 제2 걸림턱(440) 각각의 상면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 홈(451)에 가이드 돌기(452)가 삽입된 상태가 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고정 수단(450)은 돌출 플랜지(410)의 내면에 그 돌출 플랜지(4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그 사이에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스위칭 하우징(210)과 배선분기 어셈블리(300)의 모듈 하우징(310)의 양 가장자리를 접촉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453)가 일정 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착탈 결합 수단(400)은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결합 브라켓(110)의 후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장착홈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벽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안착홈과,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스위칭 하우징(210)의 양측 하면과 배선분기 어셈블리(300)의 모듈 하우징(310)의 양측 하면 각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에 삽입 고정되는 장착 돌기, 및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스위칭 하우징(210)의 양측면과 배선분기 어셈블리(300)의 모듈 하우징(310)의 양측면 각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 결합되는 안착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착홈과 안착 돌기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각각 그 형성면에서 하부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실시 예의 착탈 결합 수단(400)은 상기 안착홈의 상부 측에 장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하는 제1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 돌기의 상부 측에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하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의 상기 제1 요철부의 요부의 연장선상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기는 상기 제2 요철부의 요부에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착탈 결합 수단(400)은, 상기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형성됨으로써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빠짐없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에서 배선 분기 예를 설명하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 내 분전함으로부터의 전원선(P1, P2)은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하나의 전선 연결구멍(211)과 배선분기 어셈블리(300)의 하나의 전선 인입구멍(320)을 통해 접속시키고, 온/오프 제어할 전등 기구의 전등 부하선(L1, L2)은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다른 전선 연결구멍(211)과 배선분기 어셈블리(300)의 다른 전선 인입구멍(320)을 통해 접속시킨다. 또한, 다른 전기 기구에 연결되는 배선 분기선(B1, B2) 또한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또 다른 전선 연결구멍(211)과 배선분기 어셈블리(300)의 또 다른 전선 인입구멍(320)을 통해 접속시킴으로써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통해 배선 분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가 2구 텀블러 스위치 장치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스위칭 어셈블리(200)가 두 개로 장착되고, 그 일측에 배선분기 어셈블리(300)가 평행하게 장착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는, 도 13에 나타낸 예시의 2구 텀블러 스위치 장치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온/오프 조작이 가능한 텀블러 스위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후방 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스위칭-배선분기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이용하여 배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는, 도 14 내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브라켓 어셈블리(100); 스위칭-배선분기 모듈(1400, 1500); 및 착탈 결합 수단(16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는, 도 14 내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스위치 하우징 브라켓에 고정되는 브라켓 어셈블리(100); 브라켓 어셈블리(100)에 결합되고, 배전반의 전선과 전등 기구 등의 전기 기구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전원을 온/오프 단속하며, 배전반의 전선을 분기시켜 다른 전기 기구에 연결되게 전선이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배선분기 모듈(1400, 1500); 및 스위칭-배선분기 모듈(1400, 1500)을 브라켓 어셈블리(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착탈 결합 수단(1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라켓 어셈블리(100)는,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 설치되며, 중앙부에 아래 설명될 스위칭 어셈블리(1400)의 조작 노브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부(111)를 갖고 형성되는 결합 브라켓(110), 및 결합 브라켓(110)의 전면에 결합되고, 아래 설명될 스위칭 어셈블리(1400)의 스위칭 노브(14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중앙부에 개방부(121)를 갖고 형성되는 마감 커버(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 브라켓(110)의 개방부(111)의 사이즈는 스위칭 어셈블리(1400)의 스위칭 노브(1420)의 사이즈를 고려한 개구 사이즈를 갖고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결합 브라켓(110)의 개방부(111)는 단일의 전등 기구를 온/오프 조작하기 위위하여 하나의 스위칭 어셈블리(1400)가 구비되는 경우 그 스위칭 어셈블리(1400)의 단일 스위칭 노브(1420)를 노출시키면서 커버하도록 이루어진다.
결합 브라켓(110)의 후면부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착탈 결합 수단(1600)의 일 구성부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스위칭-배선분기 모듈(1400, 1500)은, 모듈 하우징(1410)과, 모듈 하우징(1410)의 일측에 구비되고, 배전반의 전선과 전등 기구 등의 전기 기구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며, 전원을 온/오프 단속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 어셈블리(1400)와, 모듈 하우징(1410)의 타측에 구비되고, 배전반의 전선을 분기시켜 다른 전기 기구에 연결되게 전선이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배선분기 어셈블리(1500), 및 스위칭 어셈블리(1400)와 배선분기 어셈블리(1500)를 구획하는 구획 격벽(미도시)(제1 구획 격벽)을 포함한다.
스위칭 어셈블리(1400)는 브라켓 어셈블리(100)의 결합 브라켓(110)에 결합되고, 배전반으로부터의 전원선과 전등 기구 등의 전선이 전기적으로 온/오프 단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통상의 스위칭 어셈블리와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칭 어셈블리(1400)는, 상기 격벽 부재를 기준으로 모듈 하우징(1410) 내에서 상기 격벽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선이 연결되는 고정 접점(미도시)과, 고정 접점의 상부에 구비되어 시이소 운동에 따라 고정 접점을 통전 및 단락시키는 가동 접점(미도시), 및 가동 접점(미도시)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에 따라 가동 접점을 시이소 운동시키는 스위칭 노브(1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듈 하우징(1410)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착탈 결합 수단(1600)의 일 구성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위칭 어셈블리(1400)는 스위칭할 전기 기구의 개수에 상응하여 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배선분기 어셈블리(1500)는, 상기 격벽 부재를 기준으로 모듈 하우징(1410) 내에서 상기 격벽 부재의 타측에 구비되어 배전반의 전선을 분기시켜 하나 이상의 다른 전기 기구에 연결되게 전선이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다른 전기 기구는 스위칭 어셈블리(1400)에 의해 온/오프 전환되는 전기 기구 이외의 전기 기구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배선분기 어셈블리(1500)는, 모듈 하우징(1410)의 타측에서 격벽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하나 이상으로 구획하는 구획 격벽(제2 구획 격벽(1510)과, 구획 격벽(1510)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구획 공간 각각의 상면에 형성되는 전선 인입구멍(1520)과, 전선 인입구멍(1520)으로 인입되는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접속 플레이트(1530), 및 상기 격벽 부재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서의 모듈 하우징(1410) 내에 구비되어 전선 인입구멍(1520)으로 인입된 전선을 탄성 지지하면서 전기접속 플레이트(1530)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탄성 지지구(1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선 인입구멍(1520)은, 모듈 하우징(1410)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복수 형성되며, 이는 복수의 다른 전기 기구에 대한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전기접속 플레이트(1530)는, 전선 인입구멍(1520) 각각에 대하여 그 전선 인입구멍(1520)의 연장 선상으로 형성되는 접속 플레이트부(1531), 및 접속 플레이트부(1531) 각각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모듈 하우징(1410)의 바닥에 구비되는 공통 플레이트부(15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탄성 지지구(1540)는 전체적으로 역 "S"자 형태로 형성되되 하단부는 공통 플레이트부(1532)에 고정되며, 상단부는 경사지게 연장되며 전기접속 플레이트(1530)의 접속 플레이트부(1531)에 탄성적으로 접촉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전선 인입구멍(1520)을 통해 삽입되는 전선은 전기접속 플레이트(1530)의 접속 플레이트부(1531)와 탄성 지지구(1540)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탄성 지지구(1540)의 상단부에 의해 접속 플레이트부(1531)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또한, 배선분기 어셈블리(1500)는, 상단 일부가 모듈 하우징(1410)의 상면 측으로 노출되되 그 모듈 하우징(1410)의 상면 측으로 탈락 방지되게 구비되고, 하부는 탄성 지지구(1540)의 상단부를 누름 가능하게 구비되는 누름 조작구(1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누름 조작구(1550)가 더 구성되는 경우, 이 누름 조작구(1550)의 상단을 누르게 되면, 탄성지지구(1540)의 상단부가 눌려져 전기접속 플레이트(1530)의 접속 플레이트부(1531)로부터 간극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전선 인입구멍(1520)으로 전선을 삽입한 후 누름 조작을 해제하게 된다. 반대의 동작은 역 순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누름 조작구(1550)가 구성됨으로써 전선의 접속 및 접속해제를 보다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착탈 결합 수단(1600)은, 스위칭-배선분기 모듈(1400, 1500)을 브라켓 어셈블리(100)의 결합 브라켓(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착탈 결합 수단(1600)은 일 실시 예로 결합 브라켓(110)의 후면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 플랜지(1610)와, 돌출 플랜지(1610)의 내면 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 후크(1620), 및 모듈 하우징(1410)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한 쌍의 돌출 플랜지(1610) 사이에 장착될 때 걸림 후크(1620)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16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 플랜지부(1610)는 결합 브라켓(110)의 후면에서 개방부(111)의 양측에 대향하여 형성된다.
걸림 후크(1620)는 하면이 밑면이 되는 삼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착탈 결합 수단(1600)은 모듈 하우징(1410)의 장착을 가이드하고,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고정 수단(1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고정 수단(1640)은 걸림 후크(16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641)과, 걸림턱(163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장착 시 가이드 홈(1641)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돌기(164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이드 돌기(1642)의 길이는 걸림 후크(1620)의 하면에 걸림턱(1630)의 상면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 홈(1641)에 가이드 돌기(1642)가 삽입된 상태가 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고정 수단(1640)은 돌출 플랜지(1610)의 내면에 그 돌출 플랜지(16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그 사이에 모듈 하우징(1410)의 양 가장자리를 접촉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1643)가 일정 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착탈 결합 수단(1600)은 다른 실시 예로 결합 브라켓(110)의 후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장착홈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벽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안착홈과, 모듈 하우징(1410)의 양측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에 삽입 고정되는 장착 돌기, 및 모듈 하우징(1410)의 양측면각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 결합되는 안착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착홈과 안착 돌기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각각 그 형성면에서 하부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실시 예의 착탈 결합 수단(1600)은 상기 안착홈의 상부 측에 장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하는 제1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 돌기의 상부 측에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하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의 상기 제1 요철부의 요부의 연장선상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기는 상기 제2 요철부의 요부에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착탈 결합 수단(1600)은, 상기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형성됨으로써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빠짐없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에서 배선분기 예를 설명하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 내 분전함으로부터의 전원선(P1, P2)은 스위칭 어셈블리(1400)의 하나의 전선 연결구멍(1411)과 배선분기 어셈블리(1500)의 하나의 전선 인입구멍(1520)을 통해 접속시키고, 온/오프 제어할 전등 기구의 전등 부하선(L1, L2)은 스위칭 어셈블리(1400)의 다른 전선 연결구멍(1411)과 배선분기 어셈블리(1500)의 다른 전선 인입구멍(1520)을 통해 접속시킨다. 또한, 다른 전기 기구에 연결되는 배선분기선(B1, B2) 또한 스위칭 어셈블리(1400)의 또 다른 전선 연결구멍(1411)과 배선분기 어셈블리(1500)의 또 다른 전선 인입구멍(1520)을 통해 접속시킴으로써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통해 배선분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2구 이상의 텀블러 스위치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이상의 온/오프 조작이 가능한 텀블러 스위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칭-배선분기 모듈(1400, 1500)을 구성하는 배선분기 어셈블리(1500)가 스위칭 어셈블리(14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모듈 하우징(1410)이 두 개의 격벽 부재에 의해 구획되고, 그 중앙부에 스위칭 어셈블리(1400)가 구성되고, 격벽 부재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양측에는 배선분기 어셈블리(15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배선분기 어셈블리가 구성되는 경우, 뉴트럴 배선을 위하여 이용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배선분기 어셈블리는 그라운드 배선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건물의 수직벽의 일정 높이에서 전기 입선 및 분기 접속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기 배선 작업에 이용되는 필요 장비를 간소화하여 작업자의 이동성과 작업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건물 천장부에서의 전기 배선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낙상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분전함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원선이 구획별 실내 바닥부를 따라 배열시키고, 전기 배선 시공의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원선을 실내 측벽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전기 배선 자재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4)

  1.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스위치 하우징 브라켓에 고정되는 브라켓 어셈블리;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에 결합되고, 전기 기구의 전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원을 온/오프 단속하며, 배전반의 전선을 분기시키도록 구성되는 스위칭-배선분기 모듈; 및
    상기 스위칭-배선분기 모듈을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착탈 결합 수단
    을 포함하는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는, 하기 스위칭 노브가 노출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결합 브라켓, 및 상기 결합 브라켓의 전면에 결합되고, 하기 스위칭 노브가 노출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마감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배선분기 모듈은,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모듈 하우징과, 상기 모듈 하우징을 복수의 구획 공간으로 구획하는 제1 구획 격벽과, 상기 제1 격벽 부재에 의해 구획된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측 공간에 구비되어 전기 기구의 전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원을 온/오프(on/off) 단속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격벽 부재에 의해 구획된 상기 모듈 하우징의 타측 공간에 구비되어 배전반의 전선을 분기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선분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는, 상기 모듈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는 전선 접속구멍과, 상기 전선 접속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고정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의 상부에 구비되어 시이소 운동에 따라 상기 고정 접점을 통전 및 단락시키는 가동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가동 접점을 시이소 운동시키는 스위칭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는, 상기 제1 구획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하나 이상으로 구획하는 제2 구획 격벽과, 상기 제2 구획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서의 상기 모듈 하우징의 상면에 복수 형성되는 전선 인입구멍과, 상기 전선 입입구멍으로 인입되는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접속 플레이트, 및 상기 모듈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 인입구멍으로 인입된 전선을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 측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지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는, 상기 전선 인입구멍의 하방 연장 선상으로 형성되는 접속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접속 플레이트부 각각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공통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구는 역 "S"자 형태로 형성되되, 하단부는 상기 공통 플레이트부에 고정되며, 상단부는 경사지게 연장되며 연장단부가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의 접속 플레이트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게 구비되어 인입되는 전선을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 측으로 탄성 접촉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는, 상단 일부가 상기 모듈 하우징의 상면 측으로 노출되되 그 모듈 하우징의 상면 측으로 탈락 방지되게 구비되고, 하부는 상기 탄성 지지구의 상단부를 누름 가능하게 접촉하는 누름 조작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결합 수단은
    상기 결합 브라켓의 후면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 플랜지;
    상기 한 쌍의 돌출 플랜지의 대향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 후크; 및
    상기 모듈 하우징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 후크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결합 수단은,
    상기 모듈 하우징의 장착을 가이드하고,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고정 수단은, 상기 걸림 후크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걸림턱의 중앙부에서 그 걸림턱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장착 시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돌기의 길이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 후크에 걸림 고정될 때 상기 가이드 홈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된 상태가 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결합 수단은,
    상기 결합 브라켓의 후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장착홈;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벽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안착홈;
    상기 모듈 하우징의 양측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에 삽입 고정되는 장착 돌기; 및
    상기 모듈 하우징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 결합되는 안착 돌기;를 포함하는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
  9. 건물 벽면에 설치된 스위치 하우징 브라켓에 고정되는 브라켓 어셈블리;
    전기 기구의 전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원을 온/오프(on/off) 단속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어셈블리;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에 결합되며, 배전반의 전선을 분기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선분기 어셈블리; 및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와 배선분기 어셈블리를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착탈 결합 수단
    을 포함하는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는, 하기 스위칭 노브가 노출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결합 브라켓, 및 상기 결합 브라켓의 전면에 결합되고, 하기 스위칭 노브가 노출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마감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는, 한 쌍의 전선 접속구멍이 복수 형성되는 함체형의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 접속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고정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의 상부에 구비되어 시이소 운동에 따라 상기 고정 접점을 통전 및 단락시키는 가동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가동 접점을 시이소 운동시키는 스위칭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구획 격벽에 의해 복수의 구획 공간을 형성하는 함체 형태의 모듈 하우징과, 상기 모듈 하우징의 상면에 복수 형성되는 한 쌍의 전선 인입구멍과, 상기 전선 입입구멍으로 인입되는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접속 플레이트, 및 상기 모듈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 인입구멍으로 인입된 전선을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 측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지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전선 인입구멍 각각의 하방 연장 선상으로 형성되는 접속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접속 플레이트부 각각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공통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구는 역 "S"자 형태로 형성되되 하단부는 상기 공통 플레이트부에 고정되며, 상단부는 경사지게 연장되며 연장단부가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의 접속 플레이트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게 구비되어 인입되는 전선을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 측으로 탄성 접촉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는, 상단 일부가 상기 모듈 하우징의 상면 측으로 노출되되 그 모듈 하우징의 상면 측으로 탈락 방지되게 구비되고, 하부는 상기 탄성 지지구의 상단부를 누름 가능하게 접촉하는 누름 조작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결합 수단은,
    상기 결합 브라켓의 후면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 플랜지;
    상기 한 쌍의 돌출 플랜지의 대향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 후크;
    상기 스위칭 하우징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 후크에 걸림 고정되는 제1 걸림턱; 및
    상기 모듈 하우징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 후크에 걸림 고정되는 제2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결합 수단은 상기 스위칭 하우징과 상기 모듈 하우징의 장착을 가이드하고,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결합 수단은,
    상기 결합 브라켓의 후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장착홈;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벽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안착홈;
    상기 스위칭 하우징의 양측 하면과 상기 모듈 하우징의 양측 하면 각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에 삽입 고정되는 장착 돌기; 및
    상기 스위칭 하우징의 양측면과 상기 모듈 하우징의 양측면 각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 결합되는 안착 돌기;를 포함하는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PCT/KR2020/017550 2020-03-24 2020-12-03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WO202119404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910,068 US20230097409A1 (en) 2020-03-24 2020-12-03 Wire distributor-combined tumbler switch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003U KR200492584Y1 (ko) 2020-03-24 2020-03-24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KR20-2020-0001003 2020-03-24
KR10-2020-0140804 2020-10-28
KR1020200140804A KR102465739B1 (ko) 2020-10-28 2020-10-28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94045A1 true WO2021194045A1 (ko) 2021-09-30

Family

ID=77892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7550 WO2021194045A1 (ko) 2020-03-24 2020-12-03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097409A1 (ko)
WO (1) WO2021194045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717A (ja) * 1993-10-12 1995-04-25 Sekisui Chem Co Ltd 屋内配線器具
KR200364974Y1 (ko) * 2004-08-03 2004-10-15 김형기 램프 기능의 매입및 노출형 텀블러스위치
JP2005216548A (ja) * 2004-01-27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器具
KR101810213B1 (ko) * 2017-08-21 2017-12-18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다중 스위치
KR20180019034A (ko) * 2016-07-18 2018-02-23 (주)대성 조립성을 향상시킨 텀블러 스위치
KR200492584Y1 (ko) * 2020-03-24 2020-11-06 (주)상건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58186B (zh) * 2011-11-02 2014-10-21 Wen Yung Liao 模組化的牆壁插座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717A (ja) * 1993-10-12 1995-04-25 Sekisui Chem Co Ltd 屋内配線器具
JP2005216548A (ja) * 2004-01-27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器具
KR200364974Y1 (ko) * 2004-08-03 2004-10-15 김형기 램프 기능의 매입및 노출형 텀블러스위치
KR20180019034A (ko) * 2016-07-18 2018-02-23 (주)대성 조립성을 향상시킨 텀블러 스위치
KR101810213B1 (ko) * 2017-08-21 2017-12-18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다중 스위치
KR200492584Y1 (ko) * 2020-03-24 2020-11-06 (주)상건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97409A1 (en)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37143A1 (ko) 천장 매립형 라인 타입 조명장치
WO2014137142A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WO2013054996A1 (ko)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US20020003702A1 (en) Lighting strip system and a method of mounting a lighting strip system
WO2017204453A1 (ko) 인테리어용 조립식 벽체 및 그 시공 방법
JPS6362974B2 (ko)
WO2021010556A1 (ko) 태양광 모듈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WO2013125875A1 (ko) 임의배광이 가능한 등기구
WO2021242031A1 (ko) 원터치 조립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101182565B1 (ko) 어셈블리 키트
BG63355B1 (bg) Съединителна, разделителна или монтажна лайсна
WO2020071609A1 (ko) 전극 레일에 삽입 가능한 모듈 디바이스
WO2020158993A1 (ko) 용이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분전반
WO2017171402A1 (ko) 확장형 케이블 분배장치 및 확장형 케이블 분배장치 제조방법
WO2021194045A1 (ko)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WO2021045357A1 (ko)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전력선로용 기기
WO2021149972A1 (en) Arrangement for plug-connecting electrical connections, and device for driving a compressor with the arrangement
WO2015088122A1 (ko) 설치가 용이한 반자동식 체결 구조체
WO2019164116A1 (ko) 조명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WO2020060061A1 (ko) 전원 공급 장치
KR200492584Y1 (ko)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WO2022203156A1 (ko) 전동기 구동 장치
WO2021112339A1 (ko) 회전형 셔터 구조를 갖는 배전반
WO2023003270A1 (ko) 부스덕트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
JP3299307B2 (ja) 引掛シー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270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270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