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681B1 - 단자접촉구조 - Google Patents

단자접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681B1
KR100533681B1 KR10-2003-0079225A KR20030079225A KR100533681B1 KR 100533681 B1 KR100533681 B1 KR 100533681B1 KR 20030079225 A KR20030079225 A KR 20030079225A KR 100533681 B1 KR100533681 B1 KR 100533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act
lamp holder
lamp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5239A (ko
Inventor
빈옥인
정운구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9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681B1/ko
Publication of KR20050045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1/00One pole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접촉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대되는 단자(t)와 접촉되는 부분으로 상기 상대되는 단자(t)의 반대쪽으로 소정 거리 이동가능한 접촉부(78,88)와, 상기 접촉부(78,88)를 선단에 구비하여 접촉부(78,88)에 소정의 탄성을 제공하는 연결부(76,86)와, 상기 연결부(76,86)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접촉부(78,88)가 상대되는 단자(t)의 반대쪽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단자(70,70',80)가 설치되는 설치물의 일측에 지지되어 연결부(76,86)의 탄성변형을 위한 지지점이 되는 돌출부인 탄성돌기부(77)와 탄성벤딩부(8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보다 확실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단자접촉구조{A terminal contact structure}
본 발명은 단자접촉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대응되는 단자의 접촉이 보다 정확하게 되도록 하는 단자접촉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램프홀더어셈블리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램프홀더어셈블리(1)의 골격을 램프홀더(3)가 형성한다. 상기 램프홀더(3)의 선단에는 원통형의 램프삽입부(5)가 구비된다. 상기 램프삽입부(5)의 선단에는 램프(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된다. 상기 램프삽입부(5)에는 단자(6)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6)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원을 상기 램프로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램프삽입부(5)의 외주면으로 접촉부(6')가 노출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6')는 램프하우징(도시되지 않음) 등에 구비되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램프삽입부(5)의 외주면에는 결합돌기(7)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8)는 램프하우징 등에 구비되는 결합턱과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램프홀더(3)의 후단에는 플랜지(8)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8)는 램프하우징에 형성된 통공의 직경보다 상기 램프홀더(3)의 외주면에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8)의 상기 램프홀더(3)측에는 실링부재(9)가 구비된다. 상기 실링부재(9)는 램프홀더(3)가 램프하우징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램프하우징의 통공 가장자리와 상기 플랜지(8)의 사이에 위치되어 방수 기능을 한다.
상기 램프홀더(3)의 상기 램프삽입부(5) 반대쪽에는 손잡이(10)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10)는 작업자가 상기 램프홀더(3)를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10)는 상기 램프홀더(3)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단자(6)의 접촉부(6')는 상기 램프홀더(3)의 외주면으로 노출되어 램프하우징 쪽의 단자와 접촉된다. 상기 단자(6)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나 상기 램프홀더(3)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탄성의 발휘가 거의 어렵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단자(6)가 램프하우징 쪽의 단자와 접촉할 때, 서로 밀착되려는 접촉력이 부족하여 접촉불량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자사이의 접촉이 보다 확실하게 되는 단자접촉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대되는 단자와 접촉되는 부분으로 상기 상대되는 단자의 반대쪽으로 소정 거리 이동가능한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를 선단에 구비하여 접촉부에 소정의 탄성을 제공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접촉부가 상대되는 단자의 반대쪽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단자가 설치되는 설치물의 일측에 지지되어 연결부의 탄성변형을 위한 지지점이 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촉부를 구비하는 연결부는 소정 크기의 판상으로 되는 본체부의 일측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의 표면에는 상기 상대되는 단자의 방향으로 돌출되게 표면이 곡면으로 되는 접촉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는 램프홀더에 프론트어댑터가 장착됨에 의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단자의 접촉부는 램프홀더의 원통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단자안착단에 위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론트어댑터에 형성된 단자지지레그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구비되는 접촉부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연결부의 부분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연결부의 선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결부에 반구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결부가 'U'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단자접촉구조에 의하면 단자끼리의 접촉이 보다 견고하고 확실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단자접촉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예의 단자접촉구조가 채용된 램프홀더어셈블리는 램프홀더(30)를 구비한다. 상기 램프홀더(30)는 램프홀더어셈블리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원통몸체(31)를 구비한다. 상기 원통몸체(31)의 내부에는 원통몸체(31)의 선단으로 개구되는 장착공간(31')이 형성된다.
상기 원통몸체(31)의 외주면에는 걸이돌기(32)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32)는 램프홀더어셈블리를 램프하우징에 장착할 때 램프하우징 측에 결합을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걸이돌기(32)가 상기 원통몸체(31)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원통몸체(31)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단자슬롯(33)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단자슬롯(33)은 상기 원통몸체(31)의 선단에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단자슬롯(33)의 일측 끝부분에는 단자안착단(34)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단자안착단(34)은 상기 원통몸체(31)의 외주면에서 상대적으로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단자접촉부(78,88)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상기 단자안착단(34)의 표면과 연결단자접촉부(78,88)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c)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슬롯(33)의 단자안착단(34)에 대응되는 원통몸체(31)의 내부에는 단자안착대(3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단자안착대(35)는 아래에서 설명될 단자(70,70',80)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자안착대(35)가 사각판상의 것이 2개 나란히 설치되어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상기 단차안착대(35)중 어느 하나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접지단자(80)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가이드(3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전극단자(70,70')의 설치를 안내하고 고정하기 위해 상기 장착공간(31')의 내부에는 상기 전극단자(70,70')에 대응되는 단자안착대(35)의 사이에 다수개의 설치가이드(37)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가이드(37)는 4각판상의 것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원통몸체(31)의 내부에 상기 장착공간(31')의 입구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설치가이드(37)는 본 실시예에서 3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원통몸체(31)의 내면에는 원통몸체(3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스페이서(39)가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39)는 아래에서 설명될 프론트어댑터(5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39)는 본 실시예에서 3군데에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상기 원통몸체(31)의 내면에는 삽입안내홈(40)이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안내홈(40)은 상기 원통몸체(31)의 선단에서 내부를 향해 소정 길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안내홈(40)의 내측 끝부분을 소정 거리 지난 위치에는 걸이통공(4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통공(42)과 삽입안내홈(40)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이는 원통몸체(31)의 두께를 최소화하면서도, 상기 걸이통공(42)에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후크(54)의 걸이턱(55)이 걸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삽입안내홈(40)이 상기 걸이통공(42)과 연결된다면, 상기 원통몸체(31)의 두께가 상기 삽입안내홈(40)의 깊이만큼 상대적으로 더 두꺼워져야만 걸이후크(54)가 걸이통공(42)에 걸어질 수 있다.
상기 원통몸체(31)의 후단에는 플랜지(45)가 상기 원통몸체(31)의 원심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45)는 상기 원통몸체(31)의 외주면을 둘러 형성된다.
상기 원통몸체(31)의 후단에는 손잡이(47)가 형성된다. 즉, 상기 플랜지(45)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원통몸체(3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손잡이(47)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47)는 램프홀더어셈블리를 램프하우징에 장착하고 분해하기 위한 힘을 가하기 위해 작업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상기 램프홀더(30)의 원통몸체(31) 선단에는 프론트어댑터(50)가 장착된다. 상기 프론트어댑터(50)는 램프홀더어셈블리에 장착되는 램프의 종류에 따라 다른 것이 사용된다.
상기 프론트어댑터(50)는 그 선단에 헤드부(51)를 구비한다. 상기 헤드부(51)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램프홀더(30)의 원통몸체(31) 선단에 노출되게 장착된다. 상기 프론트어댐터(50)의 헤드부(51)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삽입경사면(51c)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경사면(51c)은 램프홀더어셈블리를 램프하우징의 통공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헤드부(51)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통공(51')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51')을 관통하여 램프가 삽입된다. 상기 헤드부(51)의 후방으로는 원통부(52)가 소정 길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51')은 상기 원통부(52)의 내부까지 연통되어 프론트어댑터(50)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다.
상기 헤드부(51)의 후면 가장자리에는 후방으로 연장되게 걸이후크(54)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54)는 상기 삽입안내홈(4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걸이후크(54)가 헤드부(51)의 후면 가장자리에 180°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54)의 끝부분에는 걸이턱(55)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55)은 상기 걸이통공(42)에 걸어진다. 상기 걸이후크(54)는 소정의 탄성을 가진다.
상기 헤드부(51)의 후단에서 연장되어 원통부(52)의 외주면을 따라 길게 단자리브(56)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리브(56)는 상기 단자슬롯(3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단자리브(56)와 단자슬롯(33)은 램프홀더어셈블리에 구비되는 단자의 숫자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하지만,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종류중에서 가장 많은 단자를 가지는 것에 맞추어 형성하고 필요없는 것에는 단자를 설치하지 않도록 하면 램프홀더(30)의 공용화가 가능하다. 상기 단자리브(56)는 상기 단자슬롯(33)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자리브(56)의 선단에 해당되는 상기 원통부(52)의 후단 외주면에는 각각 단자지지레그(57,57')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지지레그(57,57')는 아래에서 설명될 단자(70,70',80)를 가이드하면서 일측을 지지하여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자지지레그(57,57')는 가이드되는 단자(70,70',80)의 종류에 따라 구성이 달리 된다. 예를 들어 단자지지레그(57)는 프론트어댑터(50)를 후방에서 볼 때, 'T'자 형상으로 된다. 그리고 단자지지레그(57')는 선단중앙을 따라 삽입슬롯(57s)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된다. 상기 단자지지레그(57')에 대응되는 원통부(52)의 내면을 따라서는 단자삽입홈(58)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단자리브(56)중 일부에는 걸이돌기(59)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59)는 상기 램프홀더(30)의 걸이돌기(32)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단자리브(56)에 형성되어 프론트어댑터(50)가 램프홀더(30)에 장착되면 램프홀더(30)의 원통몸체(31) 외주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프론트어댑터(50)의 원통부(52) 내주면에는 서로 마주보게 스톱퍼(60)가 형성된다. 상기 스톱퍼(60)는 램프가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스톱퍼(60)에 의해 램프가 삽입되는 정도가 규제되어 전극단자(70)의 소성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프론트어댑터(50)의 내주면에는 프론트어댑터(50)의 길이방향으로 램프삽입가이드(62)가 형성된다. 상기 램프삽입가이드(62)는 상기 프론트어댑터(50)에 끼워지는 램프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램프삽입가이드(62)는 상기 프론트어댑터(50)의 선단에서부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전극단자(70,7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전극단자(70,70')는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동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전극단자(70,70')는 금속판을 소정 형상으로 잘라 다수회 절곡한 것으로, 소정 면적의 판상으로 본체부(71)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71)에는 상기 램프홀더(30)의 설치가이드(37)가 삽입되는 설치가이드슬롯(71')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가이드슬롯(71')는 적어도 한개가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총 3개의 설치가이드(3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전극단자(70,70')에 한개 반의 설치가이드슬롯(71')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71)의 일측에는 연결부(72)가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72)의 선단에 램프접촉부(73)가 구비된다. 상기 램프접촉부(73)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연결부(72)가 탄성변형되면서 램프접촉부(73)가 램프측과 보다 확실하게 접촉되게 한다. 상기 램프접촉부(73)는 상기 램프홀더(30)의 장착공간(31') 내에 그 입구를 보도록 설치된다.
상기 본체부(71)의 일측에는 안착대지지부(75)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대지지부(75)는 상기 단자안착대(35)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대지지부(75)는 상기 단자안착대(35)의 구성에 대응되게 2회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대지지부(75)에서 연장되어서 연결부(76)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76)도 다수회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단자지지레그(57)에 대응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부(76)에는 상기 단자지지레그(57)에 접촉되는 탄성돌기부(77)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돌기부(77)는 상기 연결부(76)가 탄성변형되도록 하는 지지점의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부(76)의 선단에는 연결단자접촉부(78)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단자접촉부(78)는 상기 램프홀더(30)의 단자안착단(34)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단자접촉부(78)는 상기 탄성돌기부(77)가 형성된 연결부(76)의 부분과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연결부(76)의 선단에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단자접촉부(78)에는 접촉돌기(7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기(79)는 램프홀더어셈블리가 장착되는 램프하우징 측의 단자에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부분이다. 상기 접촉돌기(79)의 표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접지단자(8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접지단자(80)는 상기 프론트어댑터(50)의 단자삽입홈(58)에 삽입되는 본체부(81)가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81)에는 상기 단자지지레그(57')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가이드슬롯(8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가이드슬롯(81')은 상기 단자지지레그(57')의 삽입슬롯(57s)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어댑터(50)가 램프홀더(30)에 장착되면, 상기 고정가이드슬롯(81')과 삽입슬롯(57s)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가이드(36)가 삽입된다.
상기 본체부(81)의 일측에는 램프접촉부(83)가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램프접촉부(83)는 상기 프론트어댑터(50)의 원통부(52)의 통공(51')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81)에는 연결부(86)가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86)의 일측에는 탄성벤딩부(87)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벤딩부(87)는 상기 단자지지레그(57')에 접촉되어 연결부(86)가 탄성변형되는 지지점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벤딩부(87)는 그 단면이 'U'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연결부(86)의 선단에는 연결단자접촉부(88)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단자접촉부(88)는 상기 램프홀더(30)의 단자안착단(34)에 위치되는 부분으로 접촉돌기(89)가 구비된다. 상기 접촉돌기(89)는 램프하우징 측에 구비되는 연결단자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실링부재(90)는 상기 램프홀더(30)의 원통몸체(31)의 외주면을 둘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플랜지(45)의 일면에 안착된다. 상기 실링부재(90)는 상기 플랜지(45)와 램프하우징의 사이에 밀착되어 수밀작용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단자접촉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램프홀더어셈블리를 조립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램프홀더(30)의 내부에는 상기 전극단자(70,7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전극단자(70,70')의 본체부(71)는 원통몸체(31) 내부의 설치가이드(37)가 형성된 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가이드슬롯(71')에는 상기 설치가이드(37)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램프접촉부(73)는 상기 장착공간(31')의 입구를 향해 설치된다. 이는 도 5a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안착대지지부(75)는 상기 단자안착대(35)에 각각 안착되고, 상기 연결단자접촉부(78)는 상기 단자안착단(34)에 안착되어 원통몸체(31)의 외면으로 노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접지단자(80)는 상기 프론트어댑터(50)에 설치된다. 즉, 상기 프론트어댑터(50)의 단자삽입홈(58)에 상기 본체부(81)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램프접촉부(83)는 그 선단이 상기 통공(31')의 내면에 노출된다. 상기 접지단자(80)의 본체부(81)와 연결부(86)는 상기 단자지지레그(57)를 감싸도록 위치되고, 특히 상기 연결부(86)는 상기 단자지지레그(57)의 일면과 대응되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86)에 구비된 접촉돌기(89)는 상기 단자지지레그(57)에 접촉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86)의 선단은 상기 단자리브(56)의 선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극단자(70,70')와 접지단자(80)가 각각 상기 램프홀더(30)와 프론트어댑터(5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어댑터(50)가 램프홀더(30)의 원통몸체(31) 선단에 장착된다.
즉, 상기 각각의 단자슬롯(33)에 상기 단자리브(56)가 위치되게 하고, 상기 걸이후크(54)의 걸이턱(55)이 각각 삽입안내홈(40)에 위치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어댑터(50)가 상기 램프홀더(30)에 삽입되게 힘을 가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단자리브(56)는 단자슬롯(33)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되고, 상기 걸이후크(54)의 걸이턱(55)은 삽입안내홈(40)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된다. 상기 단자리브(56)의 선단이 상기 단자슬롯(33)의 끝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걸이후크(54)의 걸이턱(55)이 상기 삽입안내홈(40)을 끝부분을 지나 상기 걸이통공(42)에 걸어지면 프론트어댑터(50)가 램프홀더(30)에 장착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전극단자(70,70')의 연결부(76)선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프론트어댑터(50)의 단자리브(56) 선단부가 위치하여 전극단자(70,70')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단자(70,70')의 연결부(76)에 형성된 탄성돌기부(77)는, 도 7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어댑터(50)의 단자지지레그(57)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단자지지레그(57)에 연결부(76)의 탄성돌기부(77)가 지지됨에 의해 상기 탄성돌기부(77)를 기준으로 연결부(76)의 선단과 연결단자접촉부(78)가 탄성을 가지고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76)와 단자지지레그(57)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c')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밸브홀더어셈블리가 램프하우징측에 장착되어 램프하우징 측의 연결단자(t)와 상기 연결단자접촉부(78)가 접촉되었을 때, 도 7a의 상세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돌기부(77)가 지지점이 되어 연결부(76)가 탄성변형되므로 상기 연결단자접촉부(78)가 소정의 탄성력을 받아 대응되는 연결단자(t)에 접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여기서 상기 연결부(76)의 탄성변형은 상기 연결부(76)와 단자지지레그(57) 사이의 간격(c')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단자접촉부(78)는 상기 단자안착단(34)과 사이의 간격(c)내에서 이동이 이루어지고, 자체적으로도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을 한다.
한편, 상기 접지단자(80)는 상기 연결단자접촉부(88)가 상기 단자안착단(34)에 안착된 상태에서 역시 상기 단자리브(56)에 의해 탈거가 방지되고, 상기 단자지지레그(57')에 벤딩부(87)가 접촉되어 있어 벤딩부(87)를 지지점으로 연결부(86)의 선단이 탄성변형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접지단자(80)의 연결단자접촉부(88)가 램프하우징 측의 연결단자와 접촉되면 연결부(86)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결단자접촉부(88)와 연결단자가 보다 확실하게 접촉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프론트어댑터(50)는 상기 걸이턱(55)이 상기 걸이통공(42)에서 분리되면 쉽게 램프홀더(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전극단자(70,70')와 접지단자(80)는 각각 상기 램프홀더(30)와 프론트어댑터(50)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프론트어댑터(50)가 램프홀더(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원통부(52)와 원통몸체(31)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에는 상기 스페이서(39)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어댑터(50)가 램프홀더(30)에 대해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어댑터(50)의 내부에 형성된 스토퍼(60)는 상기 전극단자(70,70')의 램프접촉부(73)와 거의 같은 위치에 있게 되는데, 램프가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한다. 즉, 램프가 지나치게 삽입되어 전극단자(70,70')의 램프접촉부(73)가 과도하게 변형되어 소성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스토퍼(60)가 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단자접촉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상대되는 연결단자와 접촉되는 연결단자접촉부가 연결단자에 의해 눌러지면 상기 연결단자접촉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가 그 탄성돌기부를 지지점으로 선단측이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단자접촉부가 소정의 탄성력으로 상기 연결단자에 밀착될 수 있어 이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램프홀더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자접촉구조가 채용되는 램프홀더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램프홀더의 정면도.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램프홀더의 요부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6a, 6, 6c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론트 어댑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단자의 접촉부가 탄성력으로 연결단자에 접촉되는 것을 설명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램프홀더 31: 원통몸체
32: 걸이돌기 33: 단자슬롯
34: 단자안착단 35: 단자안착대
37: 설치가이드 39: 스페이서
40: 삽입안내홈 42: 걸이통공
45: 플랜지 47: 손잡이
50: 프론트어댑터 51: 헤드부
52: 원통부 54: 걸이후크
55: 걸이턱 56: 단자리브
57,57': 단자지지레그 70,70': 전극단자
71: 본체부 76: 연결부
77: 탄성돌기부 78: 연결단자접촉부
80: 접지단자 81: 본체부
86: 연결부 87: 벤딩부
88: 연결단자접촉부 t: 연결단자

Claims (7)

  1. 상대되는 단자와 접촉되는 부분으로 상기 상대되는 단자의 반대쪽으로 소정 거리 이동가능한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를 선단에 구비하여 접촉부에 소정의 탄성을 제공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접촉부가 상대되는 단자의 반대쪽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단자가 설치되는 설치물의 일측에 지지되어 연결부의 탄성변형을 위한 지지점이 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접촉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를 구비하는 연결부는 소정 크기의 판상으로 되는 본체부의 일측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접촉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표면에는 상기 상대되는 단자의 방향으로 돌출되게 표면이 곡면으로 되는 접촉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접촉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램프홀더에 프론트어댑터가 장착됨에 의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단자의 접촉부는 램프홀더의 원통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단자안착단에 위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론트어댑터에 형성된 단자지지레그에 접촉되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접촉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구비되는 접촉부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연결부의 부분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연결부의 선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접촉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결부에 반구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접촉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결부가 'U'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접촉구조.
KR10-2003-0079225A 2003-11-10 2003-11-10 단자접촉구조 KR100533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225A KR100533681B1 (ko) 2003-11-10 2003-11-10 단자접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225A KR100533681B1 (ko) 2003-11-10 2003-11-10 단자접촉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239A KR20050045239A (ko) 2005-05-17
KR100533681B1 true KR100533681B1 (ko) 2005-12-06

Family

ID=37244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225A KR100533681B1 (ko) 2003-11-10 2003-11-10 단자접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368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239A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1109B1 (en) Fastener for all-purpose power supply sockets
US7044762B1 (en) Waterproof connector
US6780068B2 (en) Plug-in connector with a bushing
US7537466B2 (en) Plug with retainer spring for an earth contact
BRPI0406587B1 (pt) conector elétrico e método para garantir uma posição de um conector elétrico em em conector de encaixe
CN110504587B (zh) 连接器
US11128064B2 (en)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 shield conductor of an electric line to a grounding section
CN110504582B (zh) 连接器
KR100533681B1 (ko) 단자접촉구조
US2003948A (en) Attachment plug and receptacle
US20200067224A1 (en) Socket Connector Assembly
KR100574835B1 (ko) 램프홀더어셈블리
US2798176A (en) Brush holder for electric motors
KR200437689Y1 (ko) 커넥터
KR200449223Y1 (ko) 벌브홀더
JP2011065854A (ja) コネクタ端子
US5687836A (en) Electrical switch assembly actuatable by a rotatable member
KR20220088042A (ko) 리어홀더 및 커넥터
KR200387562Y1 (ko) 원터치 결선식 전력량계
CN217239792U (zh) 一种分体加湿器的触点电连接结构
US6010364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asket abutting locking spacer
US3783438A (en) Electric wall plug
KR101127007B1 (ko) 블럭시일 고정구조를 가진 커넥터
JP3637409B2 (ja) 感知器ベース
JP2023107747A (ja) 信号端子、充電側アセンブリおよび充電ベ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