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813A -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더 간단히 제조 가능한 플러그 - Google Patents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더 간단히 제조 가능한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813A
KR20180018813A KR1020187001909A KR20187001909A KR20180018813A KR 20180018813 A KR20180018813 A KR 20180018813A KR 1020187001909 A KR1020187001909 A KR 1020187001909A KR 20187001909 A KR20187001909 A KR 20187001909A KR 20180018813 A KR20180018813 A KR 20180018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sses
rectangular parallelepiped
plug
cavity
molded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3959B1 (ko
Inventor
라르스 비트코
에른스트 하욱
카를 슈티히로이트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18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bases or cases for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소재의 성형품(2)을 포함하는, 극성 역전이 방지된 전기 접속을 구현하기 위한 플러그(1)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플러그의 외주연이 적어도 부분 영역에 굴곡 처리된 모서리들(4a, 4b)을 가진 직육면체(3)로 형성되고, 상기 외주연은 반원형 실린더(5)로 이어지며, 상기 성형품(2)은 전기 콘택(8a, 8b, 8c)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성형품의 단부면(6)을 향하여 개방된 공동(7)을 가지며, 상기 단부면(6)은 직육면체(3)의 바닥면(3a)을 포함하며, 직육면체(3)의 하나 이상의 외부면(9, 10, 11)이 상기 외부면(9, 10, 11) 내에서 굴곡 처리된 모서리(4a, 4b)를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12, 13, 4, 15)를 갖는다.

Description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더 간단히 제조 가능한 플러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실 내 장치들의 전기 접촉을 위한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엔진실 내 장치들의 전기 접촉을 위해, 특히, "플라스틱 AK 플러그"라고도 불리는 플러그 커넥터가 이용된다. 이 플러그는 예컨대 DE 101 15 322 A1호 및 DE 10 2011 081 534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플러그는, 외주연의 일부는 반원형이고, 그 반대편에 놓인 외주연 부분은 직선인 성형품을 갖는다. 이러한 성형품은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된다. 이 경우, 액상 플라스틱은 고온 및 수백 바아의 압력에서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진 주형 내로 사출되며, 상기 주형은 원하는 성형품 형상의 음각 주형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주형이 개방되고, 그로부터 성형품이 제거된다(탈형된다).
플러그의 외주연이 그에 딱 맞는, 상대 부재의 내주연 내에 삽입되어야 하고, 그럼으로써 전기 접속이 구현될 수 있다. 플러그의 비대칭성 외주연은 이러한 방식으로, 플러그가 특정 배향 상태에서만 그의 상대 부재와 연결될 수 있는 점을 보장하며, 이로써 전기 접속의 극성 반전이 배제된다.
플라스틱 AK 플러그의 한 버전의 제조 시, 사출성형 다이에 장착된 핀의 단부측이 성형품의 주형 내로 돌출되어 있다가 플라스틱의 냉각 이후 성형품에서 제거됨으로써, 외주연의 직선 부분에서 재료가 제거된다. 이러한 재료 공동(material recess)을 통해, 외주연에서의 재료 퇴적이 사출성형 이후의 냉각 시 성형품의 변형을 심화시키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얇은 핀을 따라 방출되는 열이 적어짐으로써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공동들이 많은 냉각 시간을 필요로 하는 점을 감수해야 한다. 이와 다른 경우, 부분적으로 아직 액상인 재료가 핀들에 점착되어 있으면, 추가로 상기 핀들은 용융 압력 및 높은 온도에 의해 기계적/열적으로 강하게 부하를 받게 된다.
본 발명의 범주에서, 극성 반전을 방지하는 전기 접속의 구현을 위한 플러그가 개발되었다. 이 플러그는 플라스틱 소재의 성형품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의 외주연이 적어도 부분 영역에서 굴곡 처리된 모서리들을 가진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주연은 반원형 실린더로 이어진다. 상기 성형품은 전기 콘택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성형품의 단부면을 향하여 개방된 공동을 갖는다. 또한, 상기 단부면은 직육면체의 바닥면을 포함한다.
이때, 성형품의 외주연에는 예컨대 체결 러그(locking lug)와 같은 추가의 형상 특징부도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공동의 내벽도, 플러그와 이 플러그의 상대 부재의 연결을 간편화하고 그리고/또는 고정하는 안내 요소 및/또는 체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직육면체의 하나 이상의 외부면이 상기 외부면 내에서 굴곡 처리된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갖는다. 이 리세스는, 굴곡 처리된 모서리에서 공동 내부로 이어지는 곳에서 상기 리세스가 횡단되는 방식으로, 특히 직육면체의 굴곡 처리된 모서리와 공동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제1 리세스가 직육면체의 굴곡 처리된 모서리와 공동 사이에 제공되고, 제2 리세스가 직육면체의 또 다른 굴곡 처리된 모서리와 공동 사이에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성형품의 외주연의 직선 부분에서의 재료 퇴적을 훨씬 더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리세스의 음각 주형이 사출성형에 이용되는 주형의 내주연에 직접 통합될 수 있다. 상기 내주연은 냉각될 수 있기 때문에, 리세스 영역 외부로의 열방출이 개선된다. 그로 인해 리세스는 더 잘 정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는, 단부측을 당겨서 빼내야 하는 기다란 핀을 가진 리세스를 제조할 때보다 리세스의 폭과 깊이 간 가로세로비가 탈형에 훨씬 더 유리하다는 점도 기여한다.
이로써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된 성형품의 치수 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양산이 더욱 안정적으로 진행되고, 품질 제어를 위한 측정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리세스에 의해 전체적으로 많은 재료가 배제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플러그에 비해 약 3%의 재료가 절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존의 상대 부재와 완전히 상호 호환된다. 그 취급에 있어서도 종래 기술에 따른 플러그와 다르지 않다. 그러나, 성형품의 직선 영역에서의 재주조(recasting) 및 그에 후속하는 길다란 핀의 제거를 통해 리세스로서의 에워싸인 공동이 제공되었던 플러그에 비해, 본원 플러그가 더 안정적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플러그를 부주의하게, 예컨대 집게를 이용하여 다룰 경우, 그러한 공동의 박벽은 상황에 따라 파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의 외부면이 삽입되는 리세스가 상기 직육면체 외부면의 절반 미만에 걸쳐서 연장된다. 이 경우, 상기 외부면에는 플러그의 상대 부재의 내주연에 형상 결합식으로 맞물리기에 충분한 부분이 남아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공동이 적어도 부분 영역에서 기저면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저면의 주연부는 2개의 원호 및 하나의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두 원호가 직사각형의 마주보는 측면들로 이어진다. 이때, 특히 원호는 성형부의 외주연을 형성하는 반원형 실린더에 대해 동심일 수 있다. 이 경우, 공동의 적절한 포지셔닝 및 치수 설계를 통해, 반원형 실린더에 대해 동심인 원호 또는 직사각형에 의해 정의된 기저면을 갖는 영역들에서의 상기 공동의 벽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2 원호의 영역에서만, 성형품의 의도적인 비대칭성으로 인해 공동이 더 많은 플라스틱으로 둘러싸인다. 이 플라스틱의 일부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리세스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세스의 횡단면이 직육면체의 외부면으로부터 성형품의 내부로 갈수록 축소된다. 이는 한편으로 사출성형 이후의 탈형을 간편화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리세스가 성형품의 비대칭성에 의해 더 부가되는 벽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한 공동의 형상과 비슷해질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 리세스는, 직육면체의 굴곡 처리된 모서리에서 시작하여 하강 에지를 따라 성형품 내로 이어지고, 상승 에지를 따라 다시 직육면체의 외부면으로 이어진다. 이 경우, 특히 리세스의 상승 에지가 리세스의 하강 에지보다 덜 가파를 수 있다. 즉, 리세스는 예컨대, 직육면체의 굴곡 처리된 모서리에서 시작하여 먼저 수직으로 성형품 내로 연장된 다음, 다시 완만하게 직육면체의 외부면에 가까워지는 톱니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승 에지가 반원형 실린더와 동일한 방식으로 만곡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리세스는 공동의 형상과 매우 흡사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특히, 리세스 영역에서의 공동의 벽 두께(d1)가 반원형 실린더 영역에서의 공동의 벽 두께(d2)와 동일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세스가 성형품의 단부면 내로 이어진다. 이는 플러그와 그의 상대 부재의 결합 시 유격이 없게 함으로써, 특히 차량의 엔진실 내에서의 좁은 조건으로 인해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시각적 접촉 없이 촉각을 이용해서만 상기 결합을 수행해야 할 경우에 이를 간편화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매우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는, 직육면체의 좁은 외부면이, 직육면체의 굴곡 처리된 모서리에 대해 평행하고 상기 모서리들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는 평면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리세스에 의해 본원 플러그의 외주연이 종래 기술에 따른 플러그와 차이가 나는데, 이는 플러그의 상대 부재와의 형상 결합식 연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을 개선하는 또 다른 조치들은, 하기에서 도면들에 기초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과 함께 더 상세히 기술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러그(1)의 단부측 도면(도 1a) 및 사시도(도 1b)이다.
도 2는 직육면체(3)의 동일한 외부면(10) 내에 2개의 리세스(12, 13)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1)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단부면(6)으로 이어지는 리세스들(12, 13)을 갖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4는 직육면체(3)의 상이한 외부면(9, 11) 내에 2개의 리세스(14, 15)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1)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5는 단부면(6)으로 이어지는 리세스들(14, 15)을 갖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라스틱 AK 플러그(1) 단부면(6)을 나타낸 도이다. 플러그(1)는 플라스틱 소재의 성형품(2)을 포함한다. 이 성형품(2)은 굴곡 처리된 모서리(4a, 4b)를 갖는 직육면체(3)로 형성된다. 굴곡 처리된 모서리(4a, 4b)의 반대편 측에서는 직육면체(3)가 반원형 실린더(5)로 이어진다. 플러그(1)의 단부면(6)은 직육면체(3)의 바닥면(3a) 및 반원형 실린더(5)의 바닥면(5a)으로 형성된다.
굴곡 처리된 모서리(4a, 4b) 가까이에서, 단부면(6)에서 시작하여 재료가 성형품(2)에서 제거됨에 따라, 성형품(2)에 2개의 리세스(3b, 3c)가 형성되고, 이들 리세스는 굴곡 처리된 모서리(4a, 4b)에 대해 평행하게 성형품(2)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리세스들(3a, 3b)은 사출성형 공정에서 성형품(2)의 제조 시 핀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이며, 상기 핀은 추후 성형품(2)을 위한 주형 내 리세스(3b, 3c)의 자리에 배치되어, 플라스틱의 냉각 이후 단부면(6)의 방향으로 성형품(2)에서 제거되었다.
성형품(2)은 그의 단부면(6) 쪽으로 개방된 공동(7)을 갖는다. 플러그(1)의 전기 콘택들(8a, 8b, 8c)이 상기 공동(7) 내에 장착된다. 공동(7)은 2개의 원호(18, 19) 및 1개의 직사각형(20)으로 구성된 주연부를 갖는 기저면(16)과 함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원호(18)가 제1 측면(20a)에서 직사각형(20)으로 이어지고, 원호(19)가 상기 제1 측면(20a) 반대편에 놓인 측면(20b)에서 직사각형(20)으로 이어진다. 원호(18)는 반원형 실린더(5)에 대해 동심이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러그(1)의, 리세스(3b, 3c)가 없는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성형품(2)의 외주연은 플러그(1)와 그 상대 부재의 결합을 고정하기 위한 추가 체결 러그(30)를 갖는다. 구조물(31, 32, 34, 36)은, 플러그의 상대 부재의 바닥에 재료 축적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 재료 리세스부들에 대응된다. 구조물(33, 35)은 극 수가 동일한 다른 플러그와의 혼동 방지에 이용되는 코딩부이다.
좁은 쪽 외부면(10)의 중심에서부터 상기 좁은 쪽 외부면에 대한 법선을 따라 중공 실린더(5)의 외측 에지까지 측정한 성형품(2)의 전체 폭은 전기 콘택(8a, 8b, 8c)의 개수에 따라 좌우된다. 상기 전체 폭은 콘택이 2개일 경우 바람직하게 19.8mm이고, 콘택이 3개일 경우에는 24.9mm, 콘택이 4개일 경우에는 29.8mm, 콘택이 5개일 경우에는 34.8mm, 콘택이 6개일 경우에는 39.8mm이다. 외부면(9)의 중심에서부터 상기 외부면에 대한 법선을 따라 외부면(11)의 중심까지 [체결 러그(30)의 고려 없이] 측정한 성형품(2)의 전체 높이는 바람직하게 13.8mm이다. 공동(7)은 바람직하게 21mm의 깊이를 갖는다. 성형품(2)의 벽 두께는 직사각형(20) 및 중공 실린더(5)의 영역에서 바람직하게 1 내지 2mm 사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1)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 사시도의 관점은 도 1b와 동일하다. 종래 기술에 따라 제공된 리세스(3b, 3c)는, 직육면체(3)의 좁은 쪽 외부면(10)에 형성된 리세스들(12, 13)로 대체되어 있다. 이때, 리세스(12)는 굴곡 처리된 모서리(4a)를 따라 연장되고, 리세스(13)는 굴곡 처리된 모서리(4b)를 따라 연장된다. 리세스들의 길이는 가변적이다.
리세스들(12, 13)은 본 실시예에서 각각 직육면체(3)의 좁은 쪽 외부면(10)의 약 1/3에 걸쳐 연장되는데, 이때 다른 비율의 연장도 원하는 대로 가능하다. 리세스들(12, 13) 사이에는, 상기 리세스들(12, 13)에 평행하게, 그리고 직육면체(3)의 굴곡 처리된 모서리(4a, 4b)에도 평행하게 평면 영역(23)이 연장된다. 이 평면 영역(23)은, 직육면체(3)의 최초 외부면(10)에서 리세스들(12, 13)에 의해 변하지 않은 부분이다. 직육면체(3)의 굴곡 처리된 모서리(4a, 4b) 및 평면 영역(23)은 모두, 플러그(1)와 그 상대 부재의 결합 시, 도 1에 따른 플러그(1)에서 직육면체(3)의 좁은 쪽 외부면(10)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대 부재의 내부면에 접한다.
리세스들(12, 13)의 횡단면은 직육면체(3)의 외부면(10)에서 성형품(2)의 내부로 가면서 축소된다. 성형품(2)이 사출성형 공정에서 제조될 때 플라스틱의 냉각 이후에 직육면체(3)의 외부면(10)에 리세스들(12, 13)의 음각 주형을 갖는 주형의 일부가 여전히 접해 있는 경우, 성형품(2)은 상기 주형 부분으로부터 간단히 빼내는 방식으로 분리(탈형)될 수 있다.
직육면체(3)의 굴곡 처리된 모서리(4a)에서 시작하여, 리세스(12)는 수직 하강 에지(21a)를 따라 성형품(2) 내로 이어진다. 상기 리세스는 이어서 만곡된 상승 에지(22a)를 따라 다시 직육면체(3)의 외부면(10)으로 이어지고, 거기서 평면 영역(23)을 만난다. 이때, 상승 에지(22a)는 반원형 실린더(5)와 동일하게 만곡됨으로써, 공동(7)의 벽부가 대칭성을 갖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리세스(13)도 직육면체(3)의 굴곡 처리된 모서리(4b)에서 시작하여 수직 하강 에지(21b)를 따라 성형품(2) 내로 이어진다. 상기 리세스는 이어서 만곡된 상승 에지(22b)를 따라 다시 직육면체(3)의 외부면(10)으로 이어지고, 거기서 평면 영역(23)을 만난다. 이때, 상승 에지(22b)도 반원형 실린더(5)와 동일하게 만곡된다.
플러그(1)와 그 상대 부재의 연결 시, 한편으로는 성형품(2)의 외주연이 상대 부재의 내주연으로 둘러싸인다. 다른 한편으로는, 플러그(1)의 공동(7)이 상대 부재에서 전기 콘택들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의 외주연도 둘러싼다.
상기 실시예는 3개의 콘택(8a, 8b, 8c)을 보여주고 있으나, 콘택의 개수는 임의적이다.
도 3은 도 2와 동일한 관점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리세스들(12, 13)이 단부면(6) 내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구별된다. 즉, 상기 리세스들은 단부면(6)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리세스들(12, 13)의 깊이는 각각, 상기 리세스들(12, 13)의 영역에서의 공동(7)의 벽 두께(d1)가 반원형 실린더(5) 영역에서의 공동(7)의 벽 두께(d2)와 동일하도록 선택된다. 그럼으로써, 극성 반전 방지를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성형품(2)의 외주연의 비대칭성이 단지 공동(7)의 벽 두께의 최소 비대칭성만을 더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사출성형 공정에서 성형품(2)의 제조 시 상기 공동의 변형이 최소화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상기 리세스들(12, 13)의 영역에서의 공동(7)의 벽 두께(d1)가 반원형 실린더(5) 영역에서의 공동(7)의 벽 두께(d2)와 동일하다. 그러나 이를 도 2에서는 볼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리세스들(12, 13)이 직육면체(3)의 바닥면(3a)에 의해 가려져 있기 때문이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1)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달리, 여기서는 리세스들(14, 15)이 직육면체(3)의 상이한 외부면들(9, 11)에 형성되어 있다. 리세스(14)는 직육면체(3)의 상부의 넓은 쪽 외부면(9)에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사시도에서는 가려져 있는 리세스(15)는 직육면체(3)의 하부의 넓은 쪽 외부면(11)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리세스(14)는 직육면체(3)의 굴곡 처리된 모서리(4a)에서 시작하여 수직 하강 에지(21c)에서 성형품(2) 내로 이어진다. 상기 리세스는 이어서 만곡된 상승 에지(22c)를 따라 다시 직육면체(3)의 외부면(9)으로 이어지고, 거기서 공동(7)의 기저면(16)의 외주연(17)이 직사각형(20)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영역을 만난다. 이는 도 4에서 가려져 있는 리세스(15)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리세스들(14, 15)이 성형품(2)의 단부면(6) 내로 이어지고, 그럼으로써 상기 단부면(6)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구별된다. 그로 인해 도 5에서는, 리세스(15)가 직육면체(3)의 굴곡 처리된 모서리(4b)에서 시작해서 수직 하강 에지(21d)에서 성형품(2) 내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에 연결되는 상승 만곡 에지(22d)가 다시 직육면체(3)의 하부의 넓은 쪽 외부면(11)으로 이어진다.
리세스들(14, 15)의 깊이는 각각, 상기 리세스들(14, 15)의 영역에서의 공동(7)의 벽 두께(d1)가 반원형 실린더(5) 영역에서의 공동(7)의 벽 두께(d2)와 동일하도록 선택된다. 그럼으로써, 공동(7)의 전체 주연부를 따라 상기 공동의 벽 두께가 최대로 대칭을 이룬다. 그러므로 사출성형 이후 플라스틱의 냉각 시 상기 공동(7)의 변형이 바람직하게 최소화된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도 적용되나, 거기서는 리세스들(14, 15)이 직육면체(3)의 바닥면(3a)에 의해 가려져 있기 때문에 식별이 불가능하다.

Claims (12)

  1. 플라스틱 소재의 성형품(2)을 포함하는, 극성 역전이 방지된 전기 접속을 구현하기 위한 플러그(1)로서, 상기 플러그의 외주연이 적어도 부분 영역에 굴곡 처리된 모서리들(4a, 4b)을 가진 직육면체(3)로 형성되고, 상기 외주연은 반원형 실린더(5)로 이어지며, 상기 성형품(2)은 전기 콘택(8a, 8b, 8c)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성형품의 단부면(6)을 향하여 개방된 공동(7)을 가지며, 상기 단부면(6)은 직육면체(3)의 바닥면(3a)을 포함하는,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직육면체(3)의 하나 이상의 외부면(9, 10, 11)이 상기 외부면(9, 10, 11) 내에서 굴곡 처리된 모서리(4a, 4b)를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12, 13, 14, 1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1).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리세스(12, 14)가 직육면체(3)의 굴곡 처리된 모서리(4a)와 공동(7) 사이에 제공되고, 제2 리세스(13, 15)가 직육면체(3)의 또 다른 굴곡 처리된 모서리(4b)와 공동(7)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리세스(12, 13, 14, 15)는 직육면체(3)의 외부면(9, 10, 11)의 절반 미만에 걸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동(7)이 적어도 부분 영역에서 기저면(16)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저면의 주연부(17)는 2개의 원호(18, 19) 및 하나의 직사각형(20)으로 구성되며, 상기 두 원호(18, 19)가 직사각형(20)의 마주보는 측면들(20a, 20b)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1).
  5. 제4항에 있어서, 원호(18)는 반원형 실린더(5)에 대해 동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세스(12, 13, 14, 15)의 횡단면이 직육면체(3)의 외부면(9, 10, 11)으로부터 성형품(2)의 내부로 갈수록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세스(12, 13, 14, 15)는 직육면체(3)의 굴곡 처리된 모서리(4a, 4b)에서 시작하여 하강 에지(21a, 21b, 21c, 21d)를 따라 성형품(2) 내로 이어지고, 상승 에지(22a, 22b, 22c, 22d)를 따라 다시 직육면체(3)의 외부면(9, 10, 11)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1).
  8. 제7항에 있어서, 리세스(12, 13, 14, 15)의 상승 에지(22a, 22b, 22c, 22d)는 리세스(12, 13, 14, 15)의 하강 에지(21a, 21b, 21c, 21d)보다 덜 가파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1).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리세스(12, 13, 14, 15)의 상승 에지(22a, 22b, 22c, 22d)는 반원형 실린더(5)와 동일하게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1).
  10. 제9항에 있어서, 리세스(12, 13, 14, 15) 영역에서의 공동(7)의 벽 두께(d1)가 반원형 실린더(5) 영역에서의 공동(7)의 벽 두께(d2)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세스(12, 13, 14, 15)가 성형품(2)의 단부면(6) 내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육면체(3)의 좁은 외부면(10)이, 직육면체(3)의 굴곡 처리된 모서리(4a, 4b)에 대해 평행하고 상기 모서리들(4a, 4b)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는 평면 영역(2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1).
KR1020187001909A 2015-06-22 2016-04-26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더 간단히 제조 가능한 플러그 KR102503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11417.1A DE102015211417A1 (de) 2015-06-22 2015-06-22 Stecker mit verbesserter Herstellbarkeit durch Spritzgießen
DE102015211417.1 2015-06-22
PCT/EP2016/059228 WO2016206830A1 (de) 2015-06-22 2016-04-26 STECKER MIT VERBESSERTER HERSTELLBARKEIT DURCH SPRITZGIEß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813A true KR20180018813A (ko) 2018-02-21
KR102503959B1 KR102503959B1 (ko) 2023-02-28

Family

ID=55910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1909A KR102503959B1 (ko) 2015-06-22 2016-04-26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더 간단히 제조 가능한 플러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311452B1 (ko)
KR (1) KR102503959B1 (ko)
CN (1) CN107836064B (ko)
DE (1) DE102015211417A1 (ko)
WO (1) WO20162068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01703A1 (de) * 2018-01-25 2019-07-25 Reichle & De-Massari Ag Steckverbindervorrichtung
DE102019208007A1 (de) 2019-05-31 2020-12-03 Robert Bosch Gmbh Steckverbindung für einen elektrischen Anschluss eines Kraftstoffinjektors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378U (ja) * 1983-09-29 1985-04-25 平河電線株式会社 ノイズフィルタ内蔵差込みプラグ
WO2002077438A1 (de) * 2001-03-28 2002-10-03 Robert Bosch Gmbh Kraftstoff-einspritzvor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insbesondere common-rail-injektor, mit einem rücklaufanschluss
JP2011070956A (ja) * 2009-09-25 2011-04-0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差込プラグ
WO2011116162A1 (en) * 2010-03-19 2011-09-22 Corning Incorporated Fiber optic interface devices for electronic devices
DE102011081534A1 (de) * 2011-08-25 2013-02-28 Robert Bosch Gmbh Injektor für ein Fluid
JP2013125642A (ja) * 2011-12-14 2013-06-24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直流コンセント
US20130244457A1 (en) * 2008-06-17 2013-09-19 Walter Ruffner Three-pole adapter set with a plug part and a socket part which may be plugged in the plug part
US20170149177A1 (en) * 2014-07-01 2017-05-25 Michael S. Gzybowski Polarized electrical plug and adaptor with orientation verif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762B1 (ko) * 2004-11-16 2007-03-23 센서스앤드컨트롤스코리아 주식회사 냉장고 압축기용 접속 패키지
DE102008043404A1 (de) * 2008-11-03 2010-05-06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Steckvorrichtung
EP2672575A4 (en) * 2011-02-04 2014-07-23 Fujikura Ltd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378U (ja) * 1983-09-29 1985-04-25 平河電線株式会社 ノイズフィルタ内蔵差込みプラグ
WO2002077438A1 (de) * 2001-03-28 2002-10-03 Robert Bosch Gmbh Kraftstoff-einspritzvor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insbesondere common-rail-injektor, mit einem rücklaufanschluss
US20130244457A1 (en) * 2008-06-17 2013-09-19 Walter Ruffner Three-pole adapter set with a plug part and a socket part which may be plugged in the plug part
JP2011070956A (ja) * 2009-09-25 2011-04-0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差込プラグ
WO2011116162A1 (en) * 2010-03-19 2011-09-22 Corning Incorporated Fiber optic interface devices for electronic devices
DE102011081534A1 (de) * 2011-08-25 2013-02-28 Robert Bosch Gmbh Injektor für ein Fluid
JP2013125642A (ja) * 2011-12-14 2013-06-24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直流コンセント
US20170149177A1 (en) * 2014-07-01 2017-05-25 Michael S. Gzybowski Polarized electrical plug and adaptor with orientation verif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959B1 (ko) 2023-02-28
CN107836064B (zh) 2019-11-15
DE102015211417A1 (de) 2016-12-22
EP3311452B1 (de) 2019-02-27
CN107836064A (zh) 2018-03-23
WO2016206830A1 (de) 2016-12-29
EP3311452A1 (de)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6630B2 (en) Device for receiving ceramic heating elements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9508482B2 (en) Reactor
JP6681951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20120127668A1 (en) Power module
US20120190232A1 (en) Insulating plate, insulat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terminal block
KR20180018813A (ko)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더 간단히 제조 가능한 플러그
CN101615518B (zh) 按钮开关及其制造方法
JP5076198B2 (ja) 樹脂成形部品とその製造方法
JP6334456B2 (ja)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10333287B2 (en) Clearance filling structure of accommodation box, electric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JP5136861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6926535B2 (en) Flexible hinge and a wire cover using such a hinge
US20230246354A1 (en) Connector
US8852481B2 (en) Method of encapsulating an electrical energy accumulation component
JP2010118212A (ja) コネクタ
JP5333299B2 (ja) コネクタ
KR102595494B1 (ko) 캐리어 상에 장착된 전자 컴포넌트들을 캡슐화하기 위한 몰드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스 부품 및 프레스 부품을 포함하는 프레스
JP2017019166A (ja) 保持部材及び樹脂部材製造装置
WO2020004077A1 (ja) 遮蔽板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及び、該電気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JP5624899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5274178B2 (ja) コネクタの成形型、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
KR101193420B1 (ko) 공간부에 리브를 성형하기 위한 사출금형
JP2002166429A (ja) 成形方法及び成形金型
KR200331373Y1 (ko) 사출부품 결합체
JP2010049813A (ja) 近接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