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043A -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043A
KR20180018043A KR1020160102934A KR20160102934A KR20180018043A KR 20180018043 A KR20180018043 A KR 20180018043A KR 1020160102934 A KR1020160102934 A KR 1020160102934A KR 20160102934 A KR20160102934 A KR 20160102934A KR 20180018043 A KR20180018043 A KR 20180018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frame
milling
transf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1525B1 (ko
Inventor
이효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도 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도 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도 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60102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525B1/ko
Publication of KR20180018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3Surface milling of plates, sheets o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9/00Details or accessori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to milling machines or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Workpie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판재의 양 측면을 동시 가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 규격의 금속판재를 공급하는 공정, 양두 밀링을 이용해 금속판재의 양 측면을 동시에 가공하는 공정 및 가공된 금속판재를 배출하는 모든 공정이 하나의 장치 내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금속판재의 양 측면 자동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는, 표면 가공 대상인 금속판재(T)를 일정 거리만큼 이송시켜주는 작업용 이송라인(300);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30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금속판재(T)가 놓여지는 장착 공간(420)이 형성되며, 상기 금속판재(T)가 상기 장착 공간(42) 내에서 양 측면이 상하로 위치하도록 놓여진 때에 고정용 실린더(450)를 작동시켜 상기 금속판재(T)를 고정 장착시키는 이송 프레임(400);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30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300)을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상부 밀링부재(520)와 하부 밀링부재(530)가 설치되어 상기 이송 프레임(400)을 따라 이송되어 오는 상기 금속판재(T)의 양 측면을 동시에 가공하는 양두 밀링부(500); 및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300)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일정 거리를 회전 운동하는 배출 컨베이어(650)에 의해 상기 양두 밀링부(500)를 통과한 상기 금속판재(T)를 상기 이송 프레임(400)으로부터 이송 받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6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CHINING TWO SIDE OF METAL PLATE}
본 발명은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판재의 양측 표면을 동시에 밀링 가공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밀 기계 가공시 또는 다양한 부품 가공시에는 금속판재를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하고 그 표면을 밀링 처리한 규격품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규격품의 사용은 정밀 가공시 넓은 후판을 필요한 규격을 자르는 공정과 표면 가공을 위한 절단기, 선삭, 연삭, 밀링 가공장치가 필요 없게 되어 생산성과 함께 가공 정밀도를 높인다.
규격 금속판재를 제작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등록특허 제10-0733886호(특허문헌 1)에서 절단과 동시에 측면을 동시에 가공하여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하게 하였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339119호(특허문헌 2)에서는 표준 금속판재를 양면에서 연속 가공하는 장치에 의하여 상,하면을 동시에 가공하여 가공 정밀성과 생산성을 향상하였다.
이 중에서, 상기 등록특허 제10-1339119호에 개시된 표준 금속 플레이트 제조용 양면 연속 가공장치는, 장방형 구조의 금속판재를 가공부로 이송하는 이송부, 이송되어오는 금속판재의 상면을 가공하는 1차가공부, 1차가공부로 처리된 금속판재의 하면을 노출토록 이송하면서 그 하면을 가공하는 2차가공부로 구성한 금속판재의 양면 연속 가공장치에 있어서, 금속판재를 적재 이송할 수 있는 보디부에 출입홈들을 형성하여 리프팅 장치의 리프터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보디부의 내측에는 자석을 내장하여 금속판재의 자력고정이 가능토록 구성하며, 보디부의 하부는 구동부에 의하여 전체가 전진과 후진이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한 1차이송장치에 금속판재를 적재하여 이송하며, 이송하는 금속판재의 상면에 1차절삭장치가 접하여 가공하는 1차가공부와, 상기한 1차가공부에 의하여 가공처리한 금속판재를 1차이송장치의 리프팅장치로 상승시켜 2차이송장치에 자력 고정하여 하면이 노출토록 배치하며, 노출된 하면에 2차절삭장치가 접하여 가공하는 2차가공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공장치에 의하면, 표준 금속판재의 상,하면을 자동으로 연속 가공할 수 있어, 중량이 많이 나가는 금속판재를 작업원이 상주하면서 뒤집어주는 동작을 수동으로 하여야 하는데서 오는 생산성 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더욱이, 중량물인 금속판재를 사람이 직접 다루기 때문에 발생하였던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크게 낮출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표준 금속판재의 상,하면을 자동으로 연속 가공해주는 장치를 개발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표준 금속판재의 좌우, 양측면을 자동으로 가공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해 연구/개발에 매진한 결과 본 발명의 장치를 창안하게 되었다. 더욱이, 상기 금속판재의 상,하면을 자동으로 가공하는 장치는 상,하면을 순차적으로 가공하는 것과는 달리 금속판재의 양 측면을 동시에 가공하도록 개발함으로써 더욱 컴팩트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3886호(발명의 명칭: 밀링커터를 구비한 절단기) 2007. 06. 25.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9119호(발명의 명칭: 표준금속플레이트 제조용 양면 연속 가공장치) 2013.12.03. 등록
본 발명은 이러한 개발 과정을 통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규격품인 금속판재의 양 측면을 동시 가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 규격의 금속판재를 공급하는 공정, 양두 밀링을 이용해 금속판재의 양 측면을 동시에 가공하는 공정 및 가공된 금속판재를 배출하는 모든 공정이 하나의 장치 내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금속판재의 양 측면 자동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는, 표면 가공 대상인 금속판재를 일정 거리만큼 이송시켜주는 작업용 이송라인;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금속판재가 놓여지는 장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금속판재가 상기 장착 공간 내에서 양 측면이 상하로 위치하도록 놓여진 때에 고정용 실린더를 작동시켜 상기 금속판재를 고정 장착시키는 이송 프레임;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을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상부 밀링부재와 하부 밀링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이송 프레임을 따라 이송되어 오는 상기 금속판재의 양 측면을 동시에 가공하는 양두 밀링부; 및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일정 거리를 회전 운동하는 배출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양두 밀링부를 통과한 상기 금속판재를 상기 이송 프레임으로부터 이송 받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의 선단부에는, 일정 거리를 회전 운동하는 공급 컨베이어에 의해 일정 규격의 금속 판재를 이송 공급하는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의 선단부에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상기 금속판재를 집어 올려서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으로 이송시키는 로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 상에 여러 규격의 상기 금속판재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해주는 가변형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이 가변형 고정부재는 고정판재와, 이 고정판재와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상기 고정판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고정로드와, 이 고정로드를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된 상태로 후진시키면서 상기 고정판재와 상기 고정로드 사이에 상기 금속판재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해주는 로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더부는, 일정 높이를 갖는 수직 프레임 상에 장착된 수평이동 실린더와, 상기 수직 프레임 상에 설치된 케이블베이어와 함께 상기 수평이동 실린더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수평이동 프레임과, 이 수평이동 프레임 상에 장착된 수직이동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수직이동 프레임과, 이 수직이동 프레임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 컨베이어 상에 설치된 가변형 고정부재를 통해 이송되는 다양한 규격의 상기 금속판재를 집어 올려서 이송시키는 로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딩부재는 상기 수직이동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재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고정척과, 상기 수직이동 프레임 상에 장착된 로딩용 실린더에 의해 상기 고정척과의 거리를 조정 가능하게 이동하면서 상기 금속판재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가동척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딩부재의 고정척과 가동척의 표면은 상기 금속판재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널링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더부는 상기 로딩부재가 상기 금속판재를 상기 이송 프레임 상에 놓을 때 이를 받아주는 리프팅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부재는 상기 이송 프레임의 장착 공간과 대응되도록 마련된 받침 테이블과, 이 받침 테이블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하단에 장착된 승강용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받침 테이블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볼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은 베이스 프레임과, 이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프레임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과, 이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프레임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에 장착된 이송용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볼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프레임은, 상기 장착 공간을 중심으로 대향하는 양 내측면 형성되고, 한 쪽 내측면에는 상기 이송 프레임 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고정용 실린더에 의해 상기 장착 공간 쪽으로 이동하는 가동 밀착판이 마련되며, 다른 쪽 내측면에는 상기 가동 밀착판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금속판재와 밀착되는 고정 밀착판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두 밀링부는 밀링 하우징 상에 상기 상부 밀링부재와 하부 밀링부재가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상부 밀링부재와 하부 밀링부재는 상기 금속판재의 규격에 맞추어 상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두 밀링부는 상기 밀링 하우징 상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밀링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부 볼 스크류와, 상기 밀링 하우징 상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밀링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하부 볼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볼 스크류와 상기 하부 볼 스크류는 볼 스크류의 나사선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송 프레임 상에 고정 장착된 상기 금속판재가 상기 배출 컨베이어 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출 컨베이어의 일단이 상기 이송 프레임 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일정 규격을 가진 금속판재의 양측면을 밀링 가공하는 전체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종래에 작업원이 상주하면서 중량물인 금속판재의 가공면을 밀링 부재에 대응하도록 일일이 뒤집어주어야 하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금속판재의 양측면을 한 면씩 순차적으로 밀링 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양측면을 동시에 밀링 가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2개의 밀링 부재를 순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발생하던 장치의 거대화를 방지하고 보다 컴팩트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세째, 다양한 규격의 금속판재를 로더부를 이용해 작업용 이송라인으로 자동 공급하고 이에 맞추어 양두 밀링부의 제어조건도 자동 설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수동 가공장치에서 공급되는 금속판재의 규격이 변함에 따라 가공장치의 세팅을 일일이 새로 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네째, 중앙에 장착 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이송 프레임을 사용하고, 상기 장착 공간에 놓여지는 금속판재를 이송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용 실린더 및 밀착판를 이용해 진동에 의해서도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시킴으로써, 양두 밀링 작업시에 보다 정밀한 치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해준다.
다섯째, 상,하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 밀링부재와 하부 밀링부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한 쌍의 볼 스크류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구동모터만으로 상기 한 쌍의 볼 스크류를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상부 밀링부재와 하부 밀링부재 사이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의 공급부 및 로더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의 로더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의 로더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의 로더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의 리프트 부재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의 작업용 이송라인을 상세히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의 작업용 이송라인을 상세히 나타낸 측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의 이송 프레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의 양두 밀링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의 배출부를 나타낸 측면도.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그 측면도이며, 도 3은 그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공장치 중 공급부와 로더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가공장치 중 리프트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가공장치 중 작업용 이송라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가공장치 중 이송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가공장치 중 양두 밀링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가공장치 중 배출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는, 크게 여러 규격의 금속판재(T)를 이송 공급하는 공급부(100), 이 공급부(100)를 통해 이송된 상기 금속판재(T)를 실제 밀링 가공을 위한 작업용 이송라인(300) 상으로 이동시켜 주는 로더부(200), 이 로더부(200)에 의해 공급된 상기 금속판재(T)를 그 양측면에 대한 표면 밀링 가공을 위하여 일정 거리만큼 이송시켜주는 작업용 이송라인(300), 이 작업용 이송라인(30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내부에 가공 대상인 상기 금속판재(T)를 고정시켜주는 이송 프레임(400), 이 이송 프레임(400)에 단단히 고정되어 이송되는 금속판재(T)의 양측면을 상하로 배치된 양두 밀링을 이용해 동시에 밀링 가공하는 양두 밀링부(500),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300)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양두 밀링부(500)에 의한 표면 가공 공정이 완료된 금속판재(T)를 상기 이송 프레임(400)으로부터 이송 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금속판재(T)의 양측면이라 함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슬라브와 같이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소재에 있어서 너비에 따른 상,하면이나 두께에 따른 좌,우면을 모두 포함하고, 블룸, 빌렛과 같이 정사각형 단면을 가진 소재에 있어서 상,하,좌,우의 4 면 중 2면을 의미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00)는 일정 거리를 회전 운동하는 공급 컨베이어(110)에 의해 일정 규격을 갖는 금속 판재(T)를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300)으로 이송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 프레임(105)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구동 스프라켓(120)과 피동 스프라켓(1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 스프라켓(120)에는 공급부 구동모터(140)가 구동 벨트(150)를 매개로 연결 설치된다. 상기 공급 컨베이어(110)의 컨베이어 면 위에는 여러 규격의 상기 금속판재(T)를 올려 놓아도 이를 고정시켜 이송시켜줄 수 있도록 복수개의 가변형 고정부재(160)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가변형 고정부재(160)는 수직하게 세워지는 고정판재(161)와, 이 고정판재(161)와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상기 고정판재(161)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고정로드(162)와, 이 고정로드(162)를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된 상태로 후진시키면서 상기 고정판재(161)와 상기 고정로드(162) 사이에 상기 금속판재(T)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해주는 로드 손잡이(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변형 고정부재(16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상기 로드 손잡이(163)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로드(162)를 실린더 내부로 후진하도록 잡아 당기면, 상기 고정로드(162)가 실린더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되면서 후진되어 상기 수직하게 세워진 고정판재(161)와 고정로드(162)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생긴다.
상기 고정판재(161)와 고정로드(162) 사이에 일정 규격의 금속판재(T)를 올려 놓은 다음 상기 로드 손잡이(163)를 놓으면 고정로드(162)가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전진하게 되고, 그 결과 금속 판재(T)는 상기 고정판재(161)와 고정로드(162) 사이에서 밀착 고정된다. 상기 고정판재(161)와 고정로드(162)의 사이 간격은 스프링에 의해 임의로 조절 가능하므로 여러 가지 규격을 갖는 금속판재(T)를 모두 장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더부(200)는 상기 공급부(100)의 공급 컨베이어(110)를 통해 이송된 여러 규격의 금속판재(T)를 집어 올려서 실제로 밀링 가공이 이루어지는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300) 상으로 공급해준다. 이를 위해 상기 로더부(200)는 일정 높이를 갖는 수직 프레임(205) 상에 장착된 수평이동 실린더(230)와, 상기 수직 프레임(205)에 고정 결합된 수평 프레임(210) 상에 설치된 케이블베이어(220)와 함께 상기 수평이동 실린더(230)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수평이동 프레임(240)과, 이 수평이동 프레임(240) 상에 장착된 수직이동 실린더(25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수직이동 프레임(260)과, 이 수직이동 프레임(260)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 컨베이어(110) 상에 설치된 가변형 고정부재(160)를 통해 이송되는 다양한 규격의 상기 금속판재(T)를 집어 올려서 이송시키는 로딩부재(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샤프트(255)는 상기 수직이동 프레임(260)이 상하로 이동할 때 상하로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로딩부재(270)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면서 흔들림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로딩부재(270)는 상기 수직이동 프레임(260)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재(T)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고정척(273)과, 상기 수직이동 프레임(260) 상에 장착된 로딩용 실린더(272)에 의해 상기 고정척(273)과의 거리를 조정 가능하게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금속판재(T)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가동척(27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로딩부재(270)의 고정척(273)과 가동척(274)의 표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판재(T)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격자 문양으로 널링(knurling)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로더부(200) 및 로딩부재(27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로더부(200)는 초기에 작업용 이송라인(300) 및 이송 프레임(400)이 있는 제1 지점에 위치한다. 공급부(100)의 공급 컨베이어(110)로부터 일정 규격의 금속판재(T)가 이송되어 상기 공급 컨베이어(110)의 맨 후단에 위치하였다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로더부(200)는 그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평이동 실린더(230)를 전진 작동시킴으로써, 수평이동 프레임(240)을 공급 컨베이터(110)의 후단에 위치한 제2 지점으로 수평 이동시킨다(도 5의 수평 화살표 참조).
상기 수평이동 프레임(240)이 제2 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수직이동 실린더(250)가 전진 작동하여 상기 수직이동 프레임(260)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도 7의 수직 화살표 참조). 이 때, 상기 수직이동 프레임(260)의 하방 이동 거리는 이송된 금속판재(T)의 규격에 따라 다르게 제어된다. 상기 수직이동 프레임(260)이 하방으로 미리 제어된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면, 수직이동 프레임(260)의 하단부에 설치된 로딩부재(270)은 상기 금속판재(T)를 집어 올릴 수 있는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로딩부재(270)가 하방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로딩용 실린더(272)가 전진 작동하여 가동척(274)을 이동하여 상기 고정척(273)과 가동척(274) 사이의 간격이 최대로 벌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도 6의 수평 화살표 참조). 그 결과, 이 고정척(273)과 가동척(274)의 최대 간격보다 더 작은 규격(예를 들어 두께)을 갖는 금속판재(T)는 어느 것이든 집어서 올릴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금속판재(T)는 하나의 단일 판재일 수도 있고, 복수개의 금속판재(T)를 겹쳐서 만든 것으로서 이를 하나의 가공 단위로 취급하여 이송시킬 수도 있다.
상기 로딩부재(270)가 금속판재(T)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로딩용 실린더(272)가 후진 작동하여 상기 가동척(274)이 고정척(27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그 사이에 위치한 금속판재(T)의 양측면을 밀착 고정시키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로딩부재(270)는 어떠한 규격의 금속판재(T)라도 그 크기에 관계없이 로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로딩부재(270)가 금속판재(T)를 로딩한 다음에는 상기 수직이동 실린더(250)가 후진 작동하여 상기 수직이동 프레임(260)을 수평이동 프레임(240) 쪽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수평이동 실린더(230)가 후진 작동하여 상기 수평이동 프레임(240)을 작업용 이송라인(300) 및 이송 프레임(400)이 있는 제1 지점으로 원위치시키게 된다.
상기 로더부(200)가 제1 지점으로 복귀한 후에는 상기 수직이동 실린더(250)가 다시 전진 작동하여 상기 수직이동 프레임(260)이 작업용 이송라인(30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이송 프레임(400)으로 이송해 온 금속판재(T)를 공급하게 된다. 이 금속판재(T)를 이송 프레임(400) 상에 공급하고 이를 이송 프레임(400) 상에 고정시키는 상세한 과정은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 8을 참조로 상기 로더부(200)가 자신이 이송시켜 온 금속판재(T)를 상기 이송 프레임(400) 상에 놓을 때 이를 받아주는 리프팅 부재(280)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리프팅 부재(280)는 이송 프레임(400)의 장착 공간(420)과 대응되도록 마련된 받침 테이블(281)과, 이 받침 테이블(281)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하단에 장착된 승강용 구동모터(282)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받침 테이블(28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볼 스크류(28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받침 테이블(281)은 상기 이송 프레임(400)의 장착 공간(420)으로 최대한 근접하도록 상승함으로써, 상기 금속판재(T)가 로딩부재(270)로부터 이송 프레임(400)의 장착 공간(420) 내부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 받침 테이블(281)의 양쪽 최상단에 안착대(281a)가 설치되고, 이 안착대(281a)에 금속판재(T)가 놓여지는 순간 별도의 센서부(미도시)가 상기 안착대(281a)의 높이를 정확히 감지한다. 이 안착부(281)의 높이는 이송 프레임(400)의 장착 공간(420) 내에 고정되는 금속판재(T)의 장착 높이로 변환되어, 금속판재(T)의 양 측면을 가공하기 위해 상기 양두 밀링부(500)의 상부 밀링부재(520)와 하부 밀링부재(530)가 상하로 이동해야 하는 거리 등을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커플링 부재(283)는 승강용 구동모터(282)의 회전축과 볼 스크류(284)가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해주고, 너트 블럭(285)은 상기 볼 스크류(284)가 진동없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볼 스크류(284)의 양쪽으로 설치된 가이드 바(286)에는 각각 한 쌍의 가이드 슬라이더(287)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받침 테이블(281)의 승하강시에 직선 운동을 가이드 해주는 LM 가이드(Linear Motion Guide) 역할을 해준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이송라인(300) 및 이송 프레임(4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300)은 베이스 프레임(310)과, 이 베이스 프레임(310) 상에 설치되고 이송 프레임(40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320)과, 이 한 쌍의 가이드 레일(320)의 안쪽 일측에 설치되고 이송 프레임(400)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에 장착된 이송용 구동모터(340)에 의해 회전하면서 이송 프레임(400)을 이동시키는 볼 스크류(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프레임(400)의 하단부는 롤러 타입 베어링(미도시)을 매개로 가이드 레일(320)과 결합됨으로써, 가이드 레일(320)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또한, 또한, 상기 이송 프레임(400)의 하단부는 스크류 브라켓(350)를 매개로 볼 스크류(330)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볼 스크류(330)가 회전함에 따라 수평 이동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300)은 가공 대상인 금속판재(T)가 고정된 이송 프레임(400)이 가이드 레일(320)을 따라 중앙 부근에 위치한 양두 밀링부(500)를 통과함으로써 상,하부 양측면의 밀링 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해주는 메인 가공 라인을 구성한다.
한편, 상기 이송 프레임(400)은 밀링 가공 대상인 금속판재(T)가 놓아지는 테이블 겸 금속판재(T)가 밀링 가공 중에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히 잡아주는 바이스 겸 금속판재(T)를 양두 밀링부(500)를 통과하도록 이동시켜주는 이송장치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이송 프레임(400)은 후술하는 고정용 실린더(450)에 의해 기계적인 방법으로 금속판재(T)를 단단히 고정시킴으로써 밀링 가공 중에서 금속판재(T)가 흔들리지 않도록 해줌으로써 정밀한 치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해준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 프레임(4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 본체(410)에 상기 장착 공간(420)을 중심으로 대향하는 양 내측면 형성되고, 한 쪽 내측면에는 상기 이송 프레임(400) 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용 실린더(450)에 의해 상기 장착 공간(420) 쪽으로 이동하는 가동 밀착판(440)이 마련되며, 다른 쪽 내측면에는 상기 가동 밀착판(440)의 이동에 따라 금속판재(T)와 밀착되는 고정 밀착판(430)이 마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장착 공간(420) 내에 금속판재(T)가 위치하게 되면, 고정용 실린더(450)가 전진 작동하여 가동 밀착판(440)을 이동시킴으로써 가동 밀착판(440)과 고정 밀착판(430) 사이에 금속판재(T)를 단단히 밀착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 프레임(400)은 내부에 장착 공간(420)이 마련된 중공형의 사각 테이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장착 공간(420) 내로 삽입되는 금속판재(T)를 복수개의 고정용 실린더를 이용하여 기계적 방법으로 고정시킨다는 점에서 기존의 이송용 장치와 구별된다.
대표적인 종래의 이송용 장치는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의 내부에 강한 자력체를 구비하여 자력으로 금속판재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었다. 이를 위해 금속판재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는 자력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제작되었다. 왜냐하면, 컨베이어 벨트를 금속 재질로 제작하게 되면 가해지는 자력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가 고정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이송용 장치의 경우, 강한 자력에 의해 금속판재가 흡착 고정되면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의 컨베이어 벨트도 압축될 수 밖에 없고 이러한 압축은 불과 0.1 ~ 1mm 이하의 정밀한 치수 가공에 있어서 심각한 가공 편차를 발생시켰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 자체가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로 인해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사이의 장력 변화로 인해 변형됨으로써 이 또한 정밀한 치수 제어를 어렵게 만들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송 프레임(400)은 금속 재질의 단단한 사각 프레임 내부에 금속판재(T)를 삽입시키고 복수개의 실린더를 이용하여 기계적 방법으로 금속판재(T)를 견고히 고정시킴으로써, 상기한 자력을 이용한 컨베이어 타입 이송용 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여 정밀한 치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해준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작업용 이송라인(300) 및 이송 프레임(400)이 상기 로더부(200)로부터 가공 대상인 금속판재(T)를 공급받아 고정시키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로더부(200)가 금속판재(T)을 로딩한 상태로 이송 프레임(400)이 위치하는 상기 제1 지점으로 복귀한 후에는 수직이동 실린더(250)가 전진 작동하여 수직이동 프레임(260)이 이송 프레임(400) 쪽으로 하강한다. 이와 동시에 이송 프레임(400)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리프팅 부재(280)도 작동하여 받침 테이블(281)을 이송 프레임(400) 쪽으로 상승시킨다.
로더부(200)가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한 후에는 상기 로딩용 실린더(272)가 다시 전진 작동하여 고정척(273)에 의한 고정력을 해제시킴으로써 금속판재(T)를 이송 프레임(400)의 장착 공간(420) 내부로 떨어뜨린다. 이 때, 이송 프레임(400)의 하부에는 상기 장착 공간(420)과 대응되도록 받침 테이블(281)이 위치하기 때문에 금속판재(T)는 별다른 충격 없이 이송 프레임(40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송 프레임(400)의 고정용 실린더(450)가 전진 작동하여 가동 밀착판(440)이 금속판재(T)의 일측면을 단단히 고정시키게 된다. 그 다음, 이송용 구동모터(340)를 작동시키면 볼 스크류(330)의 회전에 따라 이송 프레임(400)이 양두 밀링부(500)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두 밀링부(500)는 밀링 하우징(510) 상에 상부 밀링부재(520)와 하부 밀링부재(53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상부 밀링부재(520)와 하부 밀링부재(530)는 금속판재(T)의 규격에 맞추어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밀링부재(520)는 상부 몸체(521)의 내부에 상부 회전축(522)이 삽입 설치되고, 이 상부 회전축(522)의 하단에 장착된 상부 밀(523)이 상부 회전축(522)의 상단에 연결 설치된 상부 구동모터(524)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동일하게 상기 하부 밀링부재(530)는 하부 몸체(531)의 내부에 하부 회전축(532)이 삽입 설치되고, 이 하부 회전축(532)의 상단에 장착된 하부 밀(533)이 하부 회전축(532)의 하단에 연결 설치된 하부 구동모터(534)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이송 프레임(400)에 고정되어 이송되어 오는 금속판재(T)의 상하 양측면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상술한 특허 문헌 2에서와 같이 가공대상인 금속판재의 상,하부 양면을 순차적으로 밀링 가공하도록 구성한 것보다 훨씬 더 컴팩트한 장치를 구성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더욱이, 상기 양두 밀링부(500)는 밀링 하우징(510) 상에 설치되고 상부 밀링부재(520)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부 볼 스크류(525)와 밀링 하우징(510) 상에 설치되고 하부 밀링부재(530)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하부 볼 스크류(535)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볼 스크류(525)와 하부 볼 스크류(535)는 볼 스크류의 나사선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되고, 커플링 부재(540)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밀링 하우징(510)의 내부에 설치된 하나의 간격 조절용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상기 상부 볼 스크류(525)와 하부 볼 스크류(535)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상부 볼 스크류(525)에 장착된 상부 밀링부재(520)와 하부 볼 스크류(535)에 장착된 하부 밀링부재(53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부 볼 스크류(525)와 하부 볼 스크류(535)의 나사선 방향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면, 하나의 간격 조절용 구동모터만 설치하여도 상부 밀링부재(520)와 하부 밀링부재(530)를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제어할 수 있고 그 이동 거리도 항상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여러 가지 규격을 갖는 금속판재(T)에 맞추어 양두 밀링부(500)의 간격을 매우 용이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3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6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배출부(600)는,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300)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베이스 프레임(605)의 상부에 설치된 체인 프레임(630)을 따라 일정 거리를 회전 운동하도록 설치된 배출 컨베이어(650)를 포함한다. 이 배출 컨베이어(650)는 구동 스프라켓(610)과 종동 스프라켓(620)의 사이에서 일정 거리를 회전 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 스프라켓(610)에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배출부 구동모터(660)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종동 스프라켓(620) 부근에는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 블록(640)이 설치된다. 상기 배출 컨베이어(650)에 의해 상기 양두 밀링부(500)를 통과한 상기 금속판재(T)를 상기 이송 프레임(400)으로부터 이송 받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배출부(600)의 배출 컨베이어(65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의 안착면이 전체적으로 수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300)의 후단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한 안착용 실린더(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안착용 실린더의 상단에는 안착용 받침부가 마련된다. 상기 안착용 실린더가 상기 이송 프레임(400)이 위치한 높이까지 상승한 후에 가공이 완료된 금속판재(T)가 이송 프레임(400)로부터 배출될 때에 금속판재(T)가 상기 안착용 받침부 상에 안전하게 놓여진다. 그 후, 안착용 실린더가 상기 배출 컨베이어(650)가 위치한 높이까지 하강하여 금속판재(T)가 배출 컨베이어(650) 상에 안전하게 놓여지도록 해준다.
한편, 상기 배출부(600)의 배출 컨베이어(650)는 이송 프레임(400) 상에 고정 장착된 금속판재(T)가 배출 컨베이어(650) 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출 컨베이어(650)의 일단이 상기 이송 프레임(400) 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이송 프레임(400)으로부터 배출 컨베이어(650)로부터 배출되는 금속판재(T)의 충격이 완화되어 이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표면 품질 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공급부 200: 로더부
300: 작업용 이송라인 400: 이송 프레임
500: 양두 밀링부 600: 배출부
T: 금속판재

Claims (12)

  1. 표면 가공 대상인 금속판재(T)를 일정 거리만큼 이송시켜주는 작업용 이송라인(300);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30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금속판재(T)가 놓여지는 장착 공간(420)이 형성되며, 상기 금속판재(T)가 상기 장착 공간(42) 내에서 양 측면이 상하로 위치하도록 놓여진 때에 고정용 실린더(450)를 작동시켜 상기 금속판재(T)를 고정 장착시키는 이송 프레임(400);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30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300)을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상부 밀링부재(520)와 하부 밀링부재(530)가 설치되어 상기 이송 프레임(400)을 따라 이송되어 오는 상기 금속판재(T)의 양 측면을 동시에 가공하는 양두 밀링부(500); 및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300)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일정 거리를 회전 운동하는 배출 컨베이어(650)에 의해 상기 양두 밀링부(500)를 통과한 상기 금속판재(T)를 상기 이송 프레임(400)으로부터 이송 받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600)를 포함하는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300)의 선단부에는, 일정 거리를 회전 운동하는 공급 컨베이어(110)에 의해 일정 규격의 금속 판재(T)를 이송 공급하는 공급부(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300)의 선단부에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110)에 의해 이송된 상기 금속판재(T)를 집어 올려서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300)으로 이송시키는 로더부(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00)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110) 상에 여러 규격의 상기 금속판재(T)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해주는 가변형 고정부재(160)가 설치되고,
    이 가변형 고정부재(160)는 고정판재(161)와, 이 고정판재(161)와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상기 고정판재(161)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고정로드(162)와, 이 고정로드(162)를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된 상태로 후진시키면서 상기 고정판재(161)와 상기 고정로드(162) 사이에 상기 금속판재(T)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해주는 로드 손잡이(1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로더부(200)는, 일정 높이를 갖는 수직 프레임(205) 상에 장착된 수평이동 실린더(230)와, 상기 수직 프레임(205) 상에 설치된 케이블베이어(220)와 함께 상기 수평이동 실린더(230)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수평이동 프레임(240)과, 이 수평이동 프레임(240) 상에 장착된 수직이동 실린더(25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수직이동 프레임(260)과, 이 수직이동 프레임(260)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 컨베이어(110) 상에 설치된 가변형 고정부재(160)를 통해 이송되는 다양한 규격의 상기 금속판재(T)를 집어 올려서 이송시키는 로딩부재(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재(270)는 상기 수직이동 프레임(260)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재(T)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고정척(273)과, 상기 수직이동 프레임(260) 상에 장착된 로딩용 실린더(272)에 의해 상기 고정척(273)과의 거리를 조정 가능하게 이동하면서 상기 금속판재(T)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가동척(2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재(270)의 고정척(273)과 가동척(274)의 표면은 상기 금속판재(T)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널링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로더부(200)는 상기 로딩부재(270)가 상기 금속판재(T)를 상기 이송 프레임(400) 상에 놓을 때 이를 받아주는 리프팅 부재(2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부재(280)는 상기 이송 프레임(400)의 장착 공간(420)과 대응되도록 마련된 받침 테이블(281)과, 이 받침 테이블(281)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하단에 장착된 승강용 구동모터(282)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받침 테이블(28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볼 스크류(2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용 이송라인(300)은 베이스 프레임(310)과, 이 베이스 프레임(3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프레임(40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320)과, 이 가이드 레일(3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프레임(400)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에 장착된 이송용 구동모터(340)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 프레임(400)을 이동시키는 볼 스크류(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프레임(400)은, 상기 장착 공간(420)을 중심으로 대향하는 양 내측면 형성되고, 한 쪽 내측면에는 상기 이송 프레임(400) 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고정용 실린더(450)에 의해 상기 장착 공간(420) 쪽으로 이동하는 가동 밀착판(440)이 마련되며, 다른 쪽 내측면에는 상기 가동 밀착판(44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금속판재(T)와 밀착되는 고정 밀착판(43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두 밀링부(500)는 밀링 하우징(510) 상에 상기 상부 밀링부재(520)와 하부 밀링부재(53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상부 밀링부재(520)와 하부 밀링부재(530)는 상기 금속판재(T)의 규격에 맞추어 상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양두 밀링부(500)는 상기 밀링 하우징(5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밀링부재(520)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부 볼 스크류(525)와, 상기 밀링 하우징(5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밀링부재(530)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하부 볼 스크류(535)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볼 스크류(525)와 상기 하부 볼 스크류(535)는 볼 스크류의 나사선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
KR1020160102934A 2016-08-12 2016-08-12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 KR101831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934A KR101831525B1 (ko) 2016-08-12 2016-08-12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934A KR101831525B1 (ko) 2016-08-12 2016-08-12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043A true KR20180018043A (ko) 2018-02-21
KR101831525B1 KR101831525B1 (ko) 2018-04-04

Family

ID=6152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934A KR101831525B1 (ko) 2016-08-12 2016-08-12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52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5600A (zh) * 2018-04-26 2018-09-21 东北大学 一种开卷、铣面一体机
CN109514301A (zh) * 2018-12-08 2019-03-26 江苏恒高电气制造有限公司 螺旋焊管生产线用双边自动r弧铣边机
CN110385586A (zh) * 2019-07-30 2019-10-29 开平市中立德路桥设备有限公司 矩形板材一次装夹完成四侧面铣削加工设备及加工方法
CN110549147A (zh) * 2019-09-30 2019-12-10 中山火炬职业技术学院 一种钣金件的可调节式夹具
CN110814779A (zh) * 2019-11-01 2020-02-21 嘉善亚飞复合轴承有限公司 一种自动双面倒角机
CN113399721A (zh) * 2021-07-01 2021-09-17 中国航发贵州黎阳航空动力有限公司 一种鼠笼窗口的铣加工方法
KR102381540B1 (ko) * 2020-11-05 2022-04-01 주식회사 청송스틸 성형강판 제조장치
CN118081418A (zh) * 2024-04-18 2024-05-28 南通市迈瑞泰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轴承座安装脚铣削夹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452B1 (ko) 2019-04-08 2019-10-22 이기용 제품의 포지션 반전을 위한 플립 콘트롤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5600A (zh) * 2018-04-26 2018-09-21 东北大学 一种开卷、铣面一体机
CN109514301A (zh) * 2018-12-08 2019-03-26 江苏恒高电气制造有限公司 螺旋焊管生产线用双边自动r弧铣边机
CN110385586A (zh) * 2019-07-30 2019-10-29 开平市中立德路桥设备有限公司 矩形板材一次装夹完成四侧面铣削加工设备及加工方法
CN110385586B (zh) * 2019-07-30 2024-03-12 开平市中立德路桥设备有限公司 矩形板材一次装夹完成四侧面铣削加工设备及加工方法
CN110549147A (zh) * 2019-09-30 2019-12-10 中山火炬职业技术学院 一种钣金件的可调节式夹具
CN110814779A (zh) * 2019-11-01 2020-02-21 嘉善亚飞复合轴承有限公司 一种自动双面倒角机
KR102381540B1 (ko) * 2020-11-05 2022-04-01 주식회사 청송스틸 성형강판 제조장치
CN113399721A (zh) * 2021-07-01 2021-09-17 中国航发贵州黎阳航空动力有限公司 一种鼠笼窗口的铣加工方法
CN113399721B (zh) * 2021-07-01 2022-06-03 中国航发贵州黎阳航空动力有限公司 一种鼠笼窗口的铣加工方法
CN118081418A (zh) * 2024-04-18 2024-05-28 南通市迈瑞泰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轴承座安装脚铣削夹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525B1 (ko)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525B1 (ko) 금속판재의 양측면 자동 가공장치
KR101934844B1 (ko) 환봉 절단장치
US104128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workpieces
JP5996308B2 (ja) ワイヤソー
KR20080063626A (ko) 자동 절단시스템
US10973160B2 (en) Component mounting machine
KR101815283B1 (ko) 탭핑용 작업대
KR101994859B1 (ko) 소재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일체형 절단 면취기
CN110843017B (zh) 一种输送装置及生产线
KR101068221B1 (ko) 고속 트랜스퍼 원자재 공급시스템
KR101722636B1 (ko) 금속판재의 수직 양면 자동 가공장치
JP2002346675A (ja) 鉄筋処理装置
JP2014217851A (ja) プレスブレーキによるワークの折曲げ加工方法及びプレスブレーキ
CN115980085A (zh) 一种自动化pcb板检测系统
CN112539727B (zh) 检测装置
KR101939951B1 (ko) 절삭품 연마장치
CN117444521B (zh) 一种颚式破碎机机架加工用焊接设备
KR101583533B1 (ko) 소재 반송장치
KR20210031097A (ko) 레이저 절단용 피절단물의 이송 시스템
KR100693928B1 (ko) 고정자 철심 자동적층장치
KR100895090B1 (ko) 시편 절단장치
CN213730653U (zh) 一种铣床零件的上料设备
KR200155131Y1 (ko) 지그재그방식의 판상재 자동이송장치
KR101496263B1 (ko) 섀시 자동 정렬장치
JP2020050451A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