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6938A -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 효과를 갖는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 - Google Patents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 효과를 갖는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6938A
KR20180016938A KR1020170091458A KR20170091458A KR20180016938A KR 20180016938 A KR20180016938 A KR 20180016938A KR 1020170091458 A KR1020170091458 A KR 1020170091458A KR 20170091458 A KR20170091458 A KR 20170091458A KR 20180016938 A KR20180016938 A KR 20180016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trogen
present
composition
extract
smilax chi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호
한샘
윤태미
김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소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소재
Priority to KR1020170091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6938A/ko
Publication of KR20180016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Smilacaceae (Catbrier family), e.g. greenbrier or sarsapari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Psychia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 효과를 갖는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래 에스트로겐과 같이 에스트로겐 수용체 α 및 β와 결합하여 에스트로겐과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결합으로부터 유도되는 신호전달기작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에스트로겐 수용체가 발현되는 유방세포의 증식을 촉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 효과를 갖는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The composition of Smilax china root extracts containing estrogen mimic effects}
본 발명은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 효과를 갖는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노령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노령인구의 증가로 인해 노인성 질환이 주요한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45 ~ 55세 전후의 성인여성에게 나타나는 질환 중 노화로 인한 난소기능 저하 및 생식기능 소실이 수반되는 갱년기장애가 그 중 하나이다.
갱년기장애를 겪는 여성에서는 에스트로겐의 급속한 감소로 인하여 혈액순환 부전, 체온조절 이상, 자궁암, 유방암 등과 같은 신체적 징후 및 피로, 흥분, 집중력 저하, 기억 상실 등과 같은 심리학적 징후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골다공증이 쉽게 유발될 뿐 아니라, 피부 및 비뇨생식계통의 변화를 초래하며, 자가 면역성 질환 및 심장병, 고혈압, 뇌졸중 등의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도 증가한다 (Kalin MF & Zumoff B. Steroids 55:330-352, 1990).
이러한 여성 갱년기장애의 치료에는 calcium 제제, phosphate 제제, vitamin D 및 calcitonin 등 다양한 약물치료 방법이 있으며, 이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을 투여하여 체내에 결핍된 에스트로겐을 보충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합성 에스트로겐의 장기간에 걸친 투여는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는 가능성이 있다(AraJr NL & Athanazio DA. Cadernos de Saude Publica 23:2613-2622, 2007). 대표적으로, 에스트로겐 대체 요법이 유방암, 자궁암, 난소암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는 믿을 만한 주장이 다수 제기되면서 학계 및 사회 전반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아직 확실히 증명된 것은 아니지만, 합성 에스트로겐 대체 요법을 받은 여성에 있어서의 유방암 발생 위험은 시간 경과에 따른 에스트로겐 노출 용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잠재적 위험가능성을 가진 합성 에스트로겐의 사용보다는 안전한 대체물로서 식물성 에스트로겐인 피토에스트로겐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은 백합과의 덩굴성 관목으로 그 뿌리를 토복령이라고 한다. 애순과 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한방에서 약제로 사용한다. 뿌리에는 diosgenin과 diosgenin 골격으로 구성된 다종의 steroidal saponin을 주로 함유하고 있다. 현재까지 밝혀진 토복령의 주요 생리활성을 보면 성장호르몬 분비촉진(등록특허 제10-0521845호, 등록특허 제10-0498277호), 혈관질환의 예방(등록특허 제10-1156636호), 뇌신경 보호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등록특허 제10-0779179호), 비만,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 효능(등록특허 제10-1225486호), 천연보존제로서의 효능(등록특허 제10-1476220호) 등 다양한 효능이 보고되고 있으나, 에스트로겐을 대체하기 위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합성 에스트로겐을 대체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상기와 같은 청미래덩굴 뿌리가 식물성 에스트로겐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이의 결과,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이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며, 또한 유방세포의 증식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184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827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663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917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54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6220호
Steroids, Vol. 55, pp. 330 ~ 352, 1990. Cadernos Saude Publica, Vol. 23, pp. 2613 ~ 2622, 2007.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식물유래 에스트로겐 대체 물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식물유래 에스트로겐 대체 물질을 이용한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은 청미래덩굴 뿌리로부터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산화탄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은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불면증, 우울증, 신경과민증, 소심증 및 피부건조증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은 청미래덩굴 뿌리로부터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산화탄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은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불면증, 우울증, 신경과민증, 소심증 및 피부건조증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은 청미래덩굴 뿌리로부터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산화탄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은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불면증, 우울증, 신경과민증, 소심증 및 피부건조증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은 청미래덩굴 뿌리로부터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산화탄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은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불면증, 우울증, 신경과민증, 소심증 및 피부건조증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래 에스트로겐과 같이 에스트로겐 수용체 α 및 β와 결합하여 에스트로겐과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결합으로부터 유도되는 신호전달기작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에스트로겐 수용체가 발현되는 유방세포의 증식을 촉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수용체 α 및 β 결합 활성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UN, 음성대조군; E2, 에스트로겐(양성대조군); 1 ~ 500, 실험군별 처리된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의 농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의 유방세포 증식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UN, 음성대조군; E2, 에스트로겐(양성대조군); 1 ~ 500, 실험군별 처리된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의 농도.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이 에스트로겐 수용체 α 및 β와 결합하여 에스트로겐과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결합으로부터 유도되는 신호전달기작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또한 유방세포의 증식을 촉진할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안출된 것이다.
에스트로겐 수용체(estrogen receptor)는 에스트로겐이 결합하게 되면 에스트로겐 관련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다른 유전자에 결합하여 전사를 조절하는 전사조절인자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인체 내에서 에스트로겐이 결핍되면 이러한 신호전달기작이 원활하게 작동하지 못하게 되고, 이의 결과 다양한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에스트로겐 결핍은 45 ~ 55세 전후의 성인여성에게 주로 나타나며 관련 질환으로는 무월경, 월경이상, 질건조증, 안면홍조, 피로, 흥분, 집중력 저하, 불면증, 우울증, 기억상실증, 신경과민증, 소심증, 관절통, 비만, 골다공증, 심장병, 고지혈증, 고혈압, 뇌졸중, 피부질환, 비뇨생식계 질환, 자가 면역성 질환, 자궁암, 유방암, 탈모 및 피부건조증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이 에스트로겐 수용체 α 및 β와 결합하여 이로 인한 신호전달기작을 활성화한다는 것을 human ER reporter assay kit를 사용한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이 키트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α 또는 β를 발현하며 이들 수용체에 에스트로겐과 같은 물질이 결합하게 되면 마커 유전자(luciferase 등)가 발현되도록 설계된 세포를 이용한다. 그리고 에스트로겐이 발현되는 유방세포의 증식을 촉진한다는 것도 증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이 에스트로겐과 같은 작용을 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따라서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의 투여를 통해 상기와 같은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질환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은 용매를 사용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식물추출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용매로는 물, 탄소수 1 ~ 4의 알코올, 아세톤,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산화탄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용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 20 ~ 50%(v/v)인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용매의 양은 청미래덩굴 뿌리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 100배의 부피량(v/w)으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 ~ 50배의 부피량으로 하는 것이 좋다. 추출온도는 0 ~ 100℃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 60℃로 하는 것이 좋고, 추출시간은 1시간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2 ~ 48시간이 좋다. 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에스트로겐과 같은 작용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인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 뿌리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에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건조된 것, 건조하지 않은 것에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한약재로 판매되는 토복령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은 의약품, 식품, 화장품, 의약외품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은 식품의약안정청(KFDA)의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제로의 제형화 기준 또는 건강보조식품의 제형 기준에 의거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투여방법, 투여형태 및 치료목적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혼합하여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켜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담체가 희석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염수, 완충제, 덱스트로스, 물, 글리세롤, 링거액, 락토즈, 수크로즈, 칼슘 실리케이트, 메틸 셀룰로오즈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담체를 사용한 경구투여와 비경구투여용으로 분말, 과립, 주사액, 시럽, 용액제, 정제, 좌약, 페사리(pessaries), 연고, 크림 또는 에어로졸 등과 같은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담체가 상기의 담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비경구 투여는 경구 이외에 직장, 정맥, 복막, 근육, 동맥, 경피, 비강, 흡입 등을 통한 유효성분의 투여를 의미한다.
상기 제형에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하여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형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투여 경로 및 투여 형태에 따라 조절될 수 있어 한정되지 않으며 증상에 따라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하게 다양한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실험적인 유효량으로 체중 1㎏ 당 1 내지 100㎎을 하루에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투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의 유효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 그 자체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를 혼합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팩 및 영양 에센스 등의 화장품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의 유효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 그 자체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 묵, 죽, 라면이나 국수 등의 면류,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의 조미식품, 소스, 과자, 발효유나 치즈 등의 유가공품, 김치나 장아찌 등의 절임식품, 과실, 채소, 두유, 발효음료 등의 음료수의 식품에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의 유효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 그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를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청결제, 욕용제,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마스크, 연고제 등의 의약외품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의 제조
국산 토복령, 즉 청미래덩굴 뿌리를 말린 것을 한약재상으로부터 구입하여 0.5 ~ 2.5㎜의 크기로 분쇄하였다. 분쇄된 토복령 중량 대비 0.5 내지 50배의 부피량(v/w)의 20 ~ 50% 에탄올 용액(에탄올과 물의 혼합용액)을 첨가한 후, 20 ~ 60℃의 온도에서 12 ~ 48시간 교반 추출하였다. 수득한 추출액을 바로 8㎛ 이하의 필터로 여과하고,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최종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수용체 α 및 β 결합 활성 검증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대체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에스트로겐 수용체 α 및 β와의 결합 활성을 실험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대상으로 human ER reporter assay kit(Indigo Bioscience, USA)를 이용하여 에스트로겐 수용체 α 및 β 결합 활성을 측정하였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α와 β가 각각 발현되는 reporter 세포를 recovery 배지와 1 : 1 로 혼합하여 96-well 조직배양 플레이트(96-well tissue culture plate)에 1×104 cells/well 단위로 100㎕씩 분주하였다. 그 후,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을 DMSO(dimethyl sulfoxide)에 100㎎/㎖의 농도로 용해하여 농도별로 세포에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음성대조군은 추출물과 동일한 부피의 증류수를 사용하였고, 양성대조군은 에스트로겐(17-estradiol)을 6.4pM로 사용하였다. 배양이 종료된 플레이트는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각 well에 남은 세포에 luciferase detection 시약을 100㎕ 부피로 첨가하고 암실에서 5분간 방치한 후에 luminometer를 사용하여 발광량을 측정하였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결합 활성 확인은 증류수를 처리한 음성대조군의 발광량을 1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α에 대한 결합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스트로겐을 6.4pM로 처리한 양성대조군은 대조군 대비 2.73배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의 추출물 처리군은 1㎍/㎖부터 100㎍/㎖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결합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100㎍/㎖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1.73배 결합 활성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도 1A 참조).
에스트로겐 수용체 β에 대한 결합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스트로겐을 6.4pM로 처리한 양성대조군은 대조군 대비 2.93배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의 추출물 처리군은 1㎍/㎖부터 100㎍/㎖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결합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100㎍/㎖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1.43배 결합 활성이 증가 된 것으로 나타났다(도 1B 참조).
위 실험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의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α와 β에 모두 결합하며, 에스트로겐과는 다르게 에스트로겐 수용체 α에 보다 더 친화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의 유방세포 증식 효과 검증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이 에스트로겐 작용기작과 유사하게 에스트로겐 수용체가 발현된 유방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2-1. 세포 배양
에스트로겐 수용체가 발현되는 유방세포 MCF-7과 에스트로겐 수용체가 발현되지 않는 유방세포 MDA-MB231을 사용하였다. 배지 중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배제하기 위하여, 10% charcoal treated FBS, 0.01㎎/㎖ bovine insulin, 항생제(100unit/㎖ penicillin, 100㎍/㎖ streptomycin)를 첨가한 RPMI 1640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 ~ 4일마다 배지를 교환하고 7일마다 세포를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2-2.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에 의한 유방세포 증식 효과 측정
에스트로겐 활성에 의한 세포증식 효과의 측정은 Soto 등의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적용하였다. 96-well 조직배양 플레이트에 2×104 cells/well 단위로 유방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test 배지(5% charcoal dextran treated FBS를 포함하고, phenol-red를 포함하지 않은 RPMI 1640)로 교환한 후,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을 DMSO(dimethyl sulfoxide)에 100㎎/㎖ 농도로 용해하여 농도별로 세포에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대조군은 추출물과 동일한 부피의 증류수를 사용하였고, 양성대조군은 에스트로겐을 10ng/㎖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배양이 종료된 플레이트는 MTT 시약을 주입하여 세포의 증식여부를 측정하였다. 유방세포 증식효과 확인은 증류수를 처리한 대조군의 세포 생존율을 100%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
에스트로겐 수용체가 발현되는 MCF-7 세포에 대한 증식 효과를 측정한 결과, 에스트로겐을 10ng/㎖의 농도로 처리한 양성대조군은 유방세포의 증식능이 140.0%로 대조군 대비 40%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의 추출물 처리군은 1 ~ 100㎍/㎖ 농도 구간에서 농도 의존적 세포 증식 효과를 보였으며, 50㎍/㎖과 100㎍/㎖의 농도에서 세포증식률이 각각 118.03%, 121.5%로 대조군 대비 18%와 21% 세포 증식 촉진 효과를 보였다(도 2A 참조).
에스트로겐 수용체가 발현되지 않는 MDA-MB231 세포에서는 양성대조군의 세포 증식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예 1의 추출물 처리군도 1 ~ 100㎍/㎖의 농도 구간에서 세포독성 및 유의적 세포 증식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도 2B 참조).
위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발명의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은 에스트로겐 작용기작과 유사하게 에스트로겐 수용체 α 및 β에 결합하며, 이를 통하여 유방세포의 증식이 촉진되는 작용 기작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에스트로겐 수용체가 발현되는 세포 내에서 에스트로겐을 대신하여 여성 호르몬 대체제로서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여성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내분기계 기능 장애 증상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4)

  1. 청미래덩굴(Smilax china) 뿌리로부터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불면증, 우울증, 신경과민증, 소심증 및 피부건조증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청미래덩굴(Smilax china) 뿌리로부터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불면증, 우울증, 신경과민증, 소심증 및 피부건조증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3. 청미래덩굴(Smilax china) 뿌리로부터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불면증, 우울증, 신경과민증, 소심증 및 피부건조증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청미래덩굴(Smilax china) 뿌리로부터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불면증, 우울증, 신경과민증, 소심증 및 피부건조증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KR1020170091458A 2017-07-19 2017-07-19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 효과를 갖는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 KR20180016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458A KR20180016938A (ko) 2017-07-19 2017-07-19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 효과를 갖는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458A KR20180016938A (ko) 2017-07-19 2017-07-19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 효과를 갖는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573A Division KR101796677B1 (ko) 2016-08-08 2016-08-08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 효과를 갖는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938A true KR20180016938A (ko) 2018-02-20

Family

ID=61394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458A KR20180016938A (ko) 2017-07-19 2017-07-19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 효과를 갖는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69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033B1 (ko) 관절염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98688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10004603A (ko) 폐경기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회화나무 추출물
KR102204346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JP5730550B2 (ja) Cgrp応答性促進剤
KR101964841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20070072023A (ko) 생약 및 자생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조성물
KR102087033B1 (ko) 달맞이꽃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조성물
US20240115642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milk thistle flowe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WO2014123305A2 (ko) 민들레 추출물 또는 민들레 함유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96677B1 (ko)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 효과를 갖는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
KR101698869B1 (ko)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37208A (ko)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
KR20180016938A (ko)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 효과를 갖는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
KR100569089B1 (ko)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210028169A (ko) 두메부추와 곤드레 추출복합물(complex)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비만 조성물
KR101436213B1 (ko)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5268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US11278748B2 (en) Endothel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KR102347819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US10806766B2 (en) Method for treating, preventing, or alleviating osteoporosis
KR20150002048A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102534261B1 (ko)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23899B1 (ko) 치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55820B1 (ko) 간 기능 개선 및 스태미나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