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2023A - 생약 및 자생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 및 자생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2023A
KR20070072023A KR1020050135945A KR20050135945A KR20070072023A KR 20070072023 A KR20070072023 A KR 20070072023A KR 1020050135945 A KR1020050135945 A KR 1020050135945A KR 20050135945 A KR20050135945 A KR 20050135945A KR 20070072023 A KR20070072023 A KR 20070072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cpt1a
fatty acid
oxi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5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7088B1 (ko
Inventor
신의석
이태룡
조시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50135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088B1/ko
Publication of KR20070072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2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4Stemonaceae (Stemona family), e.g. croo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지방산 산화 촉진용 조성물은 도인 추출물, 백개자 추출물, 백부근 추출물, 전호 추출물, 천오 추출물, 파두 추출물, 패장근 추출물 및 때죽나무 추출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인간 간세포주에서 지방산 산화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인 CPT1A(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 1A) 프로모터의 활성을 증가시켜 간에서 CPT1A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간에서 지방산의 산화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하며, 더 나아가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도인, 백개자, 백부근, 전호, 천오, 파두, 패장근, 때죽나무, 지방산, 산화, CPT1A, 비만, 고지혈증

Description

생약 및 자생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moting oxidation of fatty acid comprising extract of crude drugs and native plants}
도 1은 도인 추출물, 백개자 추출물, 백부근 추출물, 전호 추출물, 천오 추출물, 파두 추출물, 패장근 추출물 및 때죽나무 추출물을 CPT1A 프로모터와 루시퍼라제 융합구조물을 함유하는 인체 간암 세포주인 Huh7세포에 각각 처리했을 때 루시퍼라아제의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도인 추출물, 백개자 추출물, 백부근 추출물, 전호 추출물, 천오 추출물, 파두 추출물, 패장근 추출물 및 때죽나무 추출물을 인간 간암 세포주인 HepG2 세포에 처리했을 때 지방산의 산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지방산의 산화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하는 생약 및 자생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간 간세포 주에서 지방산 산화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인 CPT1A(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 1A) 프로모터의 활성을 증가시켜 간에서 CPT1A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간에서 지방산의 산화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하는 생약인 도인, 백개자, 백부근, 전호, 천오, 파두, 패장근의 추출물과 자생식물인 때죽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카르니틴 팔미토일 트랜스퍼라아제 1A(Carnitine palmitoyl transfrase 1A; 이하,“CPT1A”라 함) 효소는 세포 내의 미토콘드리아 내부에 존재하는 단백질로서 긴 사슬의 지방산을 미토콘드리아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 효소는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나는 긴 사슬 지방산의 산화 과정에서 속도 결정 단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 수준의 실험 및 동물 수준의 실험에서 CPT1A의 발현을 증가시켰을 경우 지방산의 산화를 촉진시켜 에너지의 소비를 증가시킨다는 것이 알려졌다. 고지방 식이의 투여를 통해 비만을 유도한 주커 랫트(Zucker rat)에 CPT1 발현 증가를 통해 지방산 베타 산화를 촉진 시키는 약물인 TTA(Tetradecylthioacetic acid)를 처리했을 때 고지방 식이에 의해 유도된 고지혈증이 개선되었으며 인슐린 감수성이 증가했음이 알려졌으며(C. T. Cramer et al. Progress in Lipid Research, 40, pp231-268, 2001), 간에서 CPT1의 활성을 증가시킨다고 확인된 ragaglitazar를 고지방 식이를 투여한 햄스터에 처리했을 때 체내 지방의 양을 감소시킴이 확인되었다(R. Chakrabarti et al.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40, pp527-537, 2003).
이와 같은 결과에 비추어 보았을 때 CPT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물질은 세포내의 지방산의 산화를 촉진시켜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며 체내 지방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비만과 고지혈증의 치료 및 방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CPT1은 간세포에 존재하는 형태인 CPT1A와 근육에 존재하는 형태인 CPT1B 두 가지 형태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물이나 세포내에서 CPT1의 유전자 발현은 세포의 영양 상태와 호르몬 상태에 의해서 조절된다. 글루카곤의 증가와 인슐린의 감소는 CPT1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생선유에 함유된 EPA(eicopentaenoic acid)는 CPT1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지방산의 산화를 촉진시킨다는 것이 알려졌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간세포에서 CPT1A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지방산의 산화를 촉진시키는 식물 추출물을 찾고자 수백 종의 생약 및 자생식물 추출물들을 탐색한 결과, 생약인 도인, 백개자, 백부근, 전호, 천오, 파두, 패장근의 추출물과 자생식물인 때죽나무의 추출물이 간세포에서 CPT1A 유전자의 발현을 위한 프로모터의 활성을 증가시켜 지방산의 산화를 촉진시킴을 확인한 바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에서 지방산의 산화를 촉진시킴으로써 비만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 조성물,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방산 산화 촉진용 조성물은 도인 추출물, 백개자 추출물, 백부근 추출물, 전호 추출물, 천오 추출물, 파두 추출물, 패장근 추출물 및 때죽나무 추출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도인 추출물, 백개자 추출물, 백부근 추출물, 전호 추출물, 파두 추출물, 패장근 추출물 및 때죽나무 추출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도인 추출물, 백개자 추출물, 백부근 추출물, 전호 추출물, 파두 추출물, 패장근 추출물 및 때죽나무 추출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천호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간에서 CPT1A 유전자 프로모터의 활성을 증가시켜 CPT1A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각 추출물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에탄올 또는 메탄올의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탄올은 95% 에탄올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인(Persicae Semen)은 장미과에 속한 낙엽소교목인 복숭아나 산복사의 성숙한 과실의 핵인으로,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산야에 자생하거나 재배하며, 높이 6m, 꽃은 4~5월에 연한 붉은색으로 잎보다 먼저 피며, 약재 형태는 납작하고 좌우가 고르지 않은 난원형으로 한쪽 끝은 뽀족하고 다른 한쪽은 둥글게 되어 있으며 여기에 합점이 있다. 쓰고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은 없다. 혈의 움직임을 활발히 하며 어혈을 없애므로 생리불순, 생리통에 주로 쓰인다.
백개자(Sinapis Semen)는 십자화과에 속한 1년생 또는 숙년생초본인 겨자 및 갓의 성숙한 종자로,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서 재배하며, 약재형태는 지름이 1.5~2.5mm이고 표면은 담황색으로 그물무늬가 있으며 종피는 얇고 부스러지기 쉽다. 기침이나 천식을 멈추고 가슴이 더부룩하고 답답하고 아픈 것을 멈추게 하여 만성기관지염이나 기관지 확장에 효과가 있다.
백부근(Stemonae Radix)은 백부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덩굴백부의 덩이 뿌리로, 우리나라에는 없으며 중국의 서부지방을 제외한 전지역에서 자생하거나 재배한다. 높이 60~90cm, 뿌리는 굵고 방추형으로 수십 개가 모여 난다. 약재는 대개 방수형으로 길이 4~18cm, 지름 7~10mm로서 곧게 또는 약간 굽어져 있고 양끝이 가늘다. 기침 및 천식에 아주 좋은 효과가 있다.
전호(Peucedani Radix)는 미나리과에 속한 바디나물과 희꽃바디나물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우리나라 각지의 고산지대에 자생하며, 높이 1m, 뿌리가 굵고 줄기의 속은 비었으며, 위쪽에서 갈라진다. 약재는 방추형으로 근두부에는 줄기와 엽초가 남아 있는 것도 있다. 전호는 가래 등의 담을 없애고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이 있는 약재이다.
천오(Aconiti Tuber)는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한 오두의 덩이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6월 하순에서 7월 초순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고, 길이가 1.5~3cm정도이며 표면은 회갈색으로 주름이 나있다. 천오는 풍한습 사기를 없애고 경맥을 따뜻하게 통하게 해주며 아픔을 멈추게 하고 급성 류머티즘성 다발성 관절염, 사지가 오그라들면서 저리고 아픈 증상, 반신불수, 명치와 배가 차면서 아플때, 부스럼 등에 사용된다.
파두(Tiglii Semen)는 대극과에 속하는 파두의 성숙한 과실을 건조한 것으로, 중국남부지방에서 자생하거나 재식하며, 높이 5m, 잎은 어긋난다. 약재는 납작하게 구부러진 타원형이고, 종피의 바깥면은 어두운 적갈색~회갈색이며 군데군데 흑색의 반점이 있다. 파두는 그 맛이 맵고 독이 있는 약재로서 오장육부를 깨끗이 하고 막힌 것을 통하게 하는 성질이 있다.
패장근(Patriniae Radix)은 마타리라고도 하며,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꼭두서니목 마타리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일본 열도의 북쪽부터 남으로 타이완, 중국 및 시베리아 동부에 분포하며, 높이 60~150cm 내외이고 뿌리줄기는 굵으며 옆으로 뻗는다. 꽃은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서 피고 노란색이다. 연한 순을 나물로 이용하고 전초를 소염, 어혈 또는 고름 빼는 약으로 사용한다.
때죽나무(Styrax japonica)는 쌍떡잎 식물 합판화군 강나무목 때죽나무과의 낙엽소교목으로, 한국(중부이남), 일본, 필리핀,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높이는 10 내외이다. 가지에 성모가 있으나 없어지고 표피가 벗겨지면서 다갈색으로 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톱니가 약간 있다. 꽃은 단성화이고 종 모양으로 생겼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함유되는 때죽나무 추출물은 잎, 줄기의 수피, 줄기의 심재, 열매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열매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각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용매로서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헥산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 95% 에탄올 또는 메탄올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각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각 약재 또는 식물을 실온의 음지에서 3 내지 6일간, 바람직하게는 5일간 건조한 후 에탄올, 바람직하게는 95% 에탄올 또는 메탄올,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헥산을 사용하여 4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50℃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추출한 후 4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5℃로 감압 농축한다. 그 다음에, 추출 및 농축 과정에서 사용한 용매 중 제거되지 않은 미량의 용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각 활성분획 함유량에 소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균질하게 현탁시킨 뒤 동결 건 조시켜 분말상태의 각 활성분획을 수득할 수 있다. 약재인 도인, 백개자, 백부근, 전호, 천호, 파두, 패장근의 추출물의 경우에는 추출 용매로서 95%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생식물인 때죽나무의 추출물의 경우에는 메탄올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각 추출물은 앞서 설명한 제조방법에 따라 직접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당업계에 통상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따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각 추출물은 동결 건조된 분말 상태의 제품으로 쉽게 입수할 수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대전에 소재한 한국식물추출물은행으로부터 상기 각 추출물을 분양받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각 추출물의 CPT1A 프로모터 활성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CPT1A 프로모터-루시퍼라제 융합 유전자를 함유하는 인체 간암 세포주인 Huh7세포를 상기 각 추출물로 처리하여 루시퍼라제의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CPT1A 프로모터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루시퍼라제 활성 증가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추출물에 의한 지방산 베타 산화 증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체 간암 세포주인 HepG2세포를 상기 각 추출물로 처리하여 배지에 함유된 3H2O를 정량함으로써 베타 산화를 측정한 결과, 지방산 베타 산화 증가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도인 추출물, 백개자 추출물, 백부근 추출물, 전호 추출물, 천오 추출물, 파두 추출물, 패장근 추출물 및 때죽나무 추출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99.9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효한 효과와 안정성, 및 제형 안정성을 고려한다면 0.1~60.0중량%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성분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01mg/kg/일 내지 대략 2000mg/kg/일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0.5mg/kg/일 내지 2.5mg/kg/일이다.
한편, 의도된 투여양식에 따라 약학 조성물은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투여 형태일 수 있다. 투여 형태의 예는 정제, 캡슐, 좌약, 작은 봉지, 과립, 분말, 크림, 로션, 연고, 겔, 패취, 분무제, 반창고, 액체 용액, 현탁액, 분산액, 에멀젼, 시럽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활성성분은 리포솜, 미세입자 또는 마이크로 캡슐 등에 캡슐화 될 수 있다.
상기 제형 중 정제, 알약, 과립 등과 같은 고체 조성물은 편의상 코팅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정맥 내 투여를 위한 조성물은 멸균 등장 수성 완충액 내의 용액이고, 주사 부위의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국부 마취제를 포함한다.
또한, 원한다면 약제는 습윤제, 유화제, pH 완충제 등과 같은 소량의 무독성 보조 물질을 함유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보조 물질의 예는 나트륨 아세테이트, 솔 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 올리에이트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안정제, 항산화제, 결합제, 착색제, 향미제, 방부제 및 농후제와 같은 부형제, 담체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1 내지 99.9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01 내지 0.1 g, 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그다지 심각한 독성 및 부작용은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생약 및 자생식물 추출물의 CPT1A 프로모터(promoter) 활성 분석
<1-1 단계. 세포주와 세포 배양>
본 1-1 단계에서는 CPT1A 프로모터-루시퍼라제 융합 유전자를 함유하는 인체 간암 세포주(human hepatoma cell line)인 Huh7세포(선행 특허인 특허공개번호 제2004-0060749호 참조)를 10% 우혈청(fetal bovine serum)을 함유한 DMEM 배지(Dulbecco's modifided Eagle's Medium, Gibco 1210-0038) 10ml/flask에 1.0×106 cell로 접종하여 배양하였고, 배양은 모두 37℃로, 5% CO2 배양기에서 수행하였다.
<1-2 단계. 생약 및 자생식물 추출물에 의한 CPT1A 프로모터의 활성 증가>
한국식물추출물은행(대한민국 대전 소재)으로부터 입수한 도인(Persicae Semen) 추출물(분양번호: CA01-035) 백개자(Sinapis Semen) 추출물(분양번호: CA01-064), 백부근(Stemonae Radix) 추출물(분양번호: CA01-070), 전호(Peucedani Radix) 추출물(분양번호: CA03-049), 천오(Aconiti Tuber) 추출물(분양번호: CA04-051), 파두(Tiglii Semen) 추출물(분양번호: CA03-079), 패장근(Patriniae Radix) 추출물(분양번호: CA04-073), 때죽나무 추출물(분양번호: 001-064)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상기 건조 분말 상태의 각 추출물은 DMSO(Dimethyl sulpholxide)용매에 녹인 후 세포에 처리하였다.
상기 1-1 단계에서 배양된 Huh7 세포를 각각 3 ml/flask의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단일세포 현탁액을 만들고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1.0×104 세포/웰로 접종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우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지를 100 microL/well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대조군; control). 그 다음 역시 우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 100 microL/well에 상기에서 준비된 도인 추출물, 백개자 추출물, 백부근 추출물, 전호 추출물, 천오 추출물, 파두 추출물, 패장근, 때죽나무 추출물을 각각 10 ppm의 농도로 넣고 상기 세포 배양액에 24시간 처리하였다. 처리 후 루시퍼라아제 활성 측정 키트(Luciferase assay kit) (promega, USA)를 이용해 발현되는 루시퍼라아제의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프로모터의 활성을 측정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각 추출물들의 효과와 비교하기 위한 대조군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루시퍼라아제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할 때 본 발명에 의한 도인 추출물, 백개자 추출물, 백부근 추출물, 전호 추출물, 천오 추출물, 파두 추출물, 패장근, 때죽나무 추출물은 각각 2.1배, 2.7배, 2.4배, 2.5배, 2.6배, 2.5배, 2.3배, 3.0배의 루시퍼라아제 활성 증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생약 및 자생식물 추출물에 의한 지방산 베타 산화 증가
<2-1 단계. 세포주와 세포 배양>
본 2-1 단계에서는 인체 간암 세포주(human hepatoma cell line)인 HepG2 세포를 10% 우혈청(fetal bovine serum)을 함유한 DMEM 배지(Gibco 1210-0038) 10 ml/flask에 1.0×106 cell로 접종하여 배양하였고, 배양은 모두 37℃, 5% CO2 배양기에서 수행하였다.
<2-2 단계. 각 추출물에 의한 지방산 베타 산화 증가>
상기 단계 2-1에서 배양된 HepG2 세포를 각각 3ml/flask 의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단일세포 현탁액을 만들고 6 웰(well) 플레이트에 2×105세포/웰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우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지를 1ml/well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대조군; control). 그 다음 역시 우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 1ml/well에 상기 실험예 1의 1-2 단계에서 준비된 도인 추출물, 백개자 추출물, 백부근 추출물, 전호 추출물, 천오 추출물, 파두 추출물, 패장근, 때죽나무 추출물을 각각 10 ppm의 농도로 넣고 상기 세포 배양액에 24시간 처리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제니스테인을 10 microM처리하였다. 상기 각 추출물 및 제니스테인 처리 후 24 시간 경과 시점에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우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DMEM배지1ml/well에 1mM의 L-카르니틴(L-carnitine)과 [9,10]-3H 팔미틴산 3 mCi/well([9,10]-3H palmitic acid 3 mCi /well)를 첨가하여 3시간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 후 배지를 수거하여 섬광계수관(Scintillation counter, 1450 MicroBeta, Wallac)을 이용해 배지에 함유된 3H2O를 정량함으로써 지방산 베타 산화를 측정할 수 있었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인 추출물, 백개자 추출물, 백부근 추출물, 전호 추출물, 천오 추출물, 파두 추출물, 패장근, 및 때죽나무 추출물의 각 처리군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해 유의하게 지방산 베타 산화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양성 대조군인 제니스테인 보다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에 상기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하기에서 유효성분은 도인 추출물, 백개자 추출물, 백부근 추출물, 전호 추출물, 천오 추출물, 파두 추출물, 패장근 추출물, 및 때죽나무 추출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제형예1] 연질캅셀제
유효성분 80mg, 대두유 180mg, 팜유 2mg, 식물성 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6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캡슐당 400mg씩 충진하여 연질캅셀을 제조하였다.
[제형예2] 정제
유효성분 80mg, 갈락토올리고당 200mg, 유당 60mg 및 맥아당 140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화 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 6mg을 첨가하여 타정기로 타정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600mg으로 한다.
[제형예3] 과립제
유효성분 80mg, 무수결정 포도당 250mg 및 전분 550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1g으로 한다.
[제형예4] 드링크제
유효성분 80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ml를 가하여 각 병에 200ml씩 되게 충진한다. 병에 충진한 후 130℃에서 4~5초간 살균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형예5] 캬라멜 제형
유효성분 80mg, 옥수수 시럽(corn syrup) 1.8g, 탈지우유 0.5g, 대두 레시틴 0.5g, 버터 0.6g, 식물성 경화유 0.4g, 설탕 1.4g, 마가린 0.58g 및 식염 20mg을 혼합하여 캬라멜 성형을 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6g으로 한다.
[제형예6] 다이어트 바(bar) 제형
유효성분 80mg, 전분 20g, 밀가루 9g, 물엿 11g, 맥아당 11.6g, 마가린 6g, 식염 30mg, 구연산 30mg, 중조 140mg 및 당 에스테르 2g을 혼합하여 캬라멜 성형을 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60g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도인 추출물, 백개자 추출물, 백부근 추출물, 전호 추출물, 천오 추출물, 파두 추출물, 패장근 추출물 및 때죽나무 추출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인간 간세포주에서 지방산 산화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인 CPT1A 프로모터의 활성을 증가시켜 간에서 CPT1A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간에서 지방산의 산화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생약 및 자생식물 추출물 함유 조성물은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도인 추출물, 백개자 추출물, 백부근 추출물, 전호 추출물, 천오 추출물, 파두 추출물, 패장근 추출물 및 때죽나무 추출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 조성물.
  2. 도인 추출물, 백개자 추출물, 백부근 추출물, 전호 추출물, 파두 추출물, 패장근 추출물 및 때죽나무 추출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도인 추출물, 백개자 추출물, 백부근 추출물, 전호 추출물, 파두 추출물, 패장근 추출물 및 때죽나무 추출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천오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간에서 CPT1A 유전자 프로모터의 활성을 증가시켜 CPT1A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50135945A 2005-12-30 2005-12-30 생약 및 자생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조성물 KR101007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945A KR101007088B1 (ko) 2005-12-30 2005-12-30 생약 및 자생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945A KR101007088B1 (ko) 2005-12-30 2005-12-30 생약 및 자생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023A true KR20070072023A (ko) 2007-07-04
KR101007088B1 KR101007088B1 (ko) 2011-01-10

Family

ID=3850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5945A KR101007088B1 (ko) 2005-12-30 2005-12-30 생약 및 자생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0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5976A (ja) * 2008-10-31 2010-05-13 Ss Pharmaceut Co Ltd 中性脂肪蓄積抑制剤
KR101346617B1 (ko) * 2011-11-17 2014-01-23 김연수 전복 젓갈 또는 소라 젓갈의 제조 방법
KR101419269B1 (ko) * 2011-08-09 2014-07-18 신안군 지질 대사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150050391A (ko) * 2013-10-28 2015-05-1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자화지정 추출물 또는 자화지정, 도인, 계지, 및 감초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50150934A1 (en) * 2012-07-03 2015-06-04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preventative or treatment effect on inflammatory bowel diseases comprising stemonae radix extra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90434B (zh) * 2012-03-01 2014-08-13 西藏奇正藏药股份有限公司 八味安宁制剂的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7689A (ja) * 1995-02-16 1996-08-27 Pola Chem Ind Inc 過剰栄養吸収抑制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KR20030084026A (ko) * 2002-04-24 2003-11-01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생약으로부터 얻은 지방세포 분화 저해용 활성분획 조성물
JP4982946B2 (ja) * 2003-12-26 2012-07-25 大正製薬株式会社 リパーゼ阻害剤
JP2005289984A (ja) * 2004-03-10 2005-10-20 Taisho Pharmaceut Co Ltd ハイショウソウを含有する高脂血症改善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5976A (ja) * 2008-10-31 2010-05-13 Ss Pharmaceut Co Ltd 中性脂肪蓄積抑制剤
KR101419269B1 (ko) * 2011-08-09 2014-07-18 신안군 지질 대사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1346617B1 (ko) * 2011-11-17 2014-01-23 김연수 전복 젓갈 또는 소라 젓갈의 제조 방법
US20150150934A1 (en) * 2012-07-03 2015-06-04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preventative or treatment effect on inflammatory bowel diseases comprising stemonae radix extract
US10543248B2 (en) * 2012-07-03 2020-01-28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preventative or treatment effect on inflammatory bowel diseases comprising stemonae radix extract
KR20150050391A (ko) * 2013-10-28 2015-05-1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자화지정 추출물 또는 자화지정, 도인, 계지, 및 감초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7088B1 (ko) 2011-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668B1 (ko)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꾸지뽕 및 의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080057368A (ko) 간경변, 세포 독성 개선 및 간손상 억제 활성을 갖는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07088B1 (ko) 생약 및 자생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조성물
KR101544470B1 (ko)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785495B1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29691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질 분해 촉진용 조성물
KR20180130080A (ko) 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1205A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99147B1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2483B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24313B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230014156A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344189B1 (ko) 발효 또는 미발효된 금은화 및 진피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96864B1 (ko) 갯대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00089910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103665A (ko)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100760386B1 (ko) Acp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24587B1 (ko) 간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17732B1 (ko)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234225B1 (ko) 두충 추출물 및 우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60030575A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갑상선기능 항진증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522975B1 (ko) 신규한 모나스커스 퍼퓨리우스 sl1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링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비만용 조성물
JP2017206477A (ja) 筋形成促進用組成物
KR20110078237A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